KR101214203B1 -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 Google Patents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14203B1 KR101214203B1 KR1020100084788A KR20100084788A KR101214203B1 KR 101214203 B1 KR101214203 B1 KR 101214203B1 KR 1020100084788 A KR1020100084788 A KR 1020100084788A KR 20100084788 A KR20100084788 A KR 20100084788A KR 101214203 B1 KR101214203 B1 KR 1012142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uice
- screw
- juicer
- vertical
- threa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로부터 즙을 최대한 낼 수 있는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는,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을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체인 여과망과 함께 착즙하는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여과망의 하부 개방부에 저면이 위치되는 스크류 몸체; 상기 스크류 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스크류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 및 상기 여과망의 내벽에 형성된 착즙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나사산에 형성되는 착즙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회전시 상기 착즙 대상물이 상기 나사산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나사산과 상기 여과망 사이에서 일차 착즙되고, 그리고 상기 착즙홈이 상기 착즙 돌기를 지나는 동안 이 사이에서 이차 착즙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녹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녹즙기는 스크류를 이용하여 야채나 과일 등을 착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녹즙기는 스크류가 수평으로 놓이는 수평형 녹즙기와 스크류가 수직으로 놓이는 수직형 녹즙기로 구분된다.
수평형 녹즙기는 수평으로 배열된 스크류의 일단에 모터축이 결합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크류의 타단에는 중력에 의해 처짐 현상이 발생되며, 이러한 처짐 현상에 의해 모터가 회전되는 동안 스크류의 타단에서 진동이 야기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수직형 녹즙기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수직형 녹즙기는 스크류가 수직으로 세워져 그 하단에 모터축이 결합되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 스크류의 하중이 모터축에 집중되어 중력에 의한 처짐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수직형 녹즙기는 수평형 녹즙기에 비해 보다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다.
나아가,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로부터 즙을 최대한 낼 수 있는 수직형 녹즙기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로부터 즙을 최대한 낼 수 있는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는,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을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체인 여과망과 함께 착즙시키는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여과망의 하부 개방부에 저면이 위치되는 스크류 몸체; 상기 스크류 몸체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스크류 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나사산; 및 상기 여과망의 내벽에 형성된 착즙 돌기에 대응되도록 상기 나사산에 형성되는 착즙홈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회전시 상기 착즙 대상물이 상기 나사산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나사산과 상기 여과망 사이에서 일차 착즙되고, 그리고 상기 착즙홈이 상기 착즙 돌기를 지나는 동안 이 사이에서 이차 착즙된다.
또한, 상기 착즙 돌기가 삼각 형상을 할 경우, 상기 착즙홈은 상기 삼각 형상에 대응되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상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즙 대상물의 투입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스크류의 평면에 제1 및 제2 투입구를 갖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은 상기 스크류 몸체의 평면의 두 군데에서 각각 움푹 들어가면서 시작되는 제1 및 제2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의 하부 외측면에는 착즙되고 남은 상기 착즙 대상물의 슬러지를 용기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복수개의 취출 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취출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취출 돌기에 각각 연결되되 상기 나사산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 나사산이 상기 스크류의 외측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류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구성을 가짐과 함께, 착즙 돌기 및 착즙홈이 형성됨에 따라,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채소 또는 과일 등과 같은 착즙 대상물로부터 즙을 최대한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나사산, 착즙홈, 보조 나사산 및 취출 돌기를 나타낸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투입구를 갖도록 제1 및 제2 나사산이 시작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취출 돌기 및 결합부를 나타낸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가 여과망에 삽입된 상태를 보이기 위해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스크류를 그대로 두고 여과망만을 도 5의 VI-VI 선으로 잘라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착즙홈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6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가 수직형 녹즙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나사산, 착즙홈, 보조 나사산 및 취출 돌기를 나타낸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1 및 제2 투입구를 갖도록 제1 및 제2 나사산이 시작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취출 돌기 및 결합부를 나타낸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가 여과망에 삽입된 상태를 보이기 위해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스크류를 그대로 두고 여과망만을 도 5의 VI-VI 선으로 잘라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착즙홈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6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가 수직형 녹즙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나사산, 착즙홈, 보조 나사산 및 취출 돌기를 나타낸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제1 및 제2 투입구를 갖도록 제1 및 제2 나사산이 시작되는 형상을 나타낸 도 1의 평면도이며, 그리고 도 4는 취출 돌기 및 결합부를 나타낸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가 여과망에 삽입된 상태를 보이기 위해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스크류를 그대로 두고 여과망만을 도 5의 VI-VI 선으로 잘라서 바라본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7은 착즙홈의 형상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 6의 VII-VII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가 수직형 녹즙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는,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을 모터(도 8의 "200")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체인 여과망(도 5의 "500")과 함께 착즙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몸체(610)와, 결합부(620)와, 나사산(630)과, 그리고 착즙홈(64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스크류(60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형 녹즙기에 장착된다.
설명의 편의상, 도 5 및 도 8을 참조하여, 수직형 녹즙기를 이루는 전체 구성을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수직형 녹즙기는,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와, 모터(200)와, 용기(300)와, 리드(400)(Lid)와, 여과망(500)과 그리고 스크류(6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기기의 하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버튼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 등 전기 부품들이 이에 내장된다.
모터(200)는 본체(100)에 내장되고, 그 모터축(210)은 위를 향해 본체(100)의 상부로 돌출된다. 모터(200)는 모터축(210)에 결합된 스크류(600)를 회전시켜 스크류(600)와 여과망(500) 사이의 착즙 대상물에 실질적인 부하를 제공하게 된다.
용기(300)는 기기의 상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본체(100)의 상단에 안착된다. 또한, 용기(300)의 평면에는 상부 개방부를 갖는다. 따라서, 모터축(210)은 용기(300)의 저면에 형성된 통과공(미도시)을 통해 용기(30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여과망(500) 및 스크류(600)는 상부 개방부를 통해 용기(300)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리드(400)(Lid)는 용기(300)의 상부 개방부를 개폐시킨다. 여기서, 리드(400)를 이용하여 용기(300)의 상부 개방부를 여는 이유는 착즙 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여과망(500)과 스크류(600)를 용기(300) 내측으로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도 8 참조). 도한, 착즙 대상물이 용기(300) 외부로 튀거나 사용자의 손이 다치는 것을 미연에 막기 위해 리드(400)의 평면에는 착즙 대상물을 용기(300) 내측으로 투입시키기 위한 투입관(4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투입관(410)은 사용자의 손이 용기(300) 내측에 있는 스크류(600)에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설정 길이 상부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이 투입관(410)에 투입된 착즙 대상물을 용기(300)의 내측으로 밀기 위한 투입봉(420)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여과망(500)은 그 상/하부가 개방되고 그 중심부가 역(逆) 원뿔대통 형상을 하며 그 하부가 용기(30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여과망(500)은 사용자에게 필요한 착즙 액만을 걸러주는 역할을 한다. 즉, 착즙 대상물의 착즙 액은 그 외측으로 통과시키고 슬러지는 그 내측에 있도록 한다.
스크류(600)는 여과망(500)에 삽입됨과 함께 여과망(500)의 하부 개방부(501)를 통과하여 모터축(210)에 그 하단이 결합되고 그 상단이 위로 향하는 구성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스크류(600)는 스크류 몸체(610)와, 결합부(620)와,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630)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6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스크류 몸체(610)는 그 중심부가 상술한 역 원뿔대통 형상의 여과망(500)에 대응되도록 역(逆) 원뿔대 형상을 한다. 이러한 스크류 몸체(610)는 수지 재질로 사출될 수 있다.
결합부(620)는 스크류 몸체(610)의 저면에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축(210)이 끼워지도록 결합공을 갖는다. 특히, 결합부(620)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스크류 몸체(610)에 비해 강도가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재질을 하나의 몸체로 만들기 위해서는 금속 재질의 결합부(620)를 금형에 넣고 사출하는 인서트 사출이 사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630)은 스크류 몸체(61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크류(600)는 상술한 모터(200) 및 여과망(500)과 함께 실질적으로 착즙 대상물에 부하를 제공하게 된다. 나아가, 스크류(600)는 여과망(500)과 함께 착즙 대상물을 1차 착즙하는 역할을 한다. 즉, 기기를 가동시킨 후 사용자가 투입관(410)을 통해 착즙 대상물을 용기(300)의 내측으로 투입시키면 착즙 대상물은 스크류(600)의 나사산(630) 및 여과망(500)의 내주면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착즙 대상물은 이동하는 동안 스크류(600)의 외주면과 여과망(500)의 내주면 사이에서 눌리면서 1차 착즙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는 상술한 여과망(500)의 내벽에 형성되는 착즙 돌기(510)와 함께 착즙 대상물을 2차 착즙하기 위해 착즙홈(640)을 더 포함한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착즙 돌기(510) 및 착즙홈(64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착즙 돌기(510)는 여과망(50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착즙홈(640)은 착즙 돌기(510)에 대응되도록 스크류(600)의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630)에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200)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600)의 착즙홈(640)이 용기(300)에 고정된 여과망(500)의 착즙 돌기(510)를 거치는 동안 그 사이에서 눌리면서 착즙 대상물은 2차 착즙된다. 이 때, 1차 착즙은 계속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2차"는 편의상 "1차"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것일 뿐, "2차"라는 의미는 반드시 "1차" 이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1차가 진행되는 동안에 함께 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 돌기(510)가 삼각 형상을 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즙홈(640)은 삼각 형상에 대응되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상을 할 수 있다. 특히, 착즙 돌기(510)가 삼각 형상을 가질 경우, 착즙 돌기(510) 중 여과망(500)에 고정되는 부위가 착즙 돌기(510) 중 완전히 돌출된 부위에 비해 그 단면적이 넓기 때문에, 동일한 단면적으로 돌출된 것에 비해 착즙홈(640) 및 착즙 대상물을 거치는 동안 착즙 돌기(510)에 가해지는 반복 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결론적으로, 상술한 착즙 과정을 다시 정리하면, 모터(200)에 의해 스크류(600)가 회전되면, 착즙 대상물이 나사산(630)을 따라 하강하면서 나사산(630)과 여과망(500) 사이에서 일차 착즙되고, 그리고 일차 착즙이 진행 중 착즙홈(640)이 착즙 돌기(510)를 거치는 동안 이 사이에서 착즙 대상물이 이차 착즙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크류(600)의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63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몸체(610)의 평면의 두 군데에서 각각 움푹 들어가면서 시작되는 제1 및 제2 나사산(631)(6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나사산(631)이 시작되는 부위에는 제1 투입구(A)가 형성되고, 제2 나사산(632)이 시작되는 부위에는 제2 투입구(B)가 형성됨에 따라, 하나의 나사산을 가질 때 보다 착즙 대상물의 투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600)의 하부 외측면에는 착즙되고 남은 착즙 대상물의 슬러지를 용기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복수개의 취출 돌기(65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술한 1차 및 2차 착즙 과정을 거치면서 착즙 대상물에서 착즙된 액은 여과망(500)을 통해 그 밖으로 나가게 되고, 여과망을 통과하지 못한 슬러지는 스크류(600)의 하단부, 즉 여과망(500)의 하단부까지 나사산(630)을 따라 내려온다. 이렇게 내려온 슬러지는 회전되는 복수개의 취출 돌기(650)에 의해 용기(300) 밖으로 밀리게 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하단 외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취출 돌기(650)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취출 돌기(650)에 각각 연결되되 나사산(630)과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보조 나사산(660)이 상기 스크류(600)의 외측면에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나사산(631)(632)을 따라 내려온 슬러지는 이와 함께 복수개의 보조 나사산(660)으로 분배된 후, 보조 나사산(660) 및 제1, 제2 나사산(631)(632)에 각각 대응되는 취출 돌기(650)로 정확하게 안내되므로 슬러지가 중간에 정체되는 현상 및 완전히 착즙되지 않고 바로 내려와 버리는 현상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 돌기(650)에 의해 밀린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관(320)을 통해 용기(300) 밖으로 나오게 되고, 착즙된 액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된 액 배출관(310)을 통해 용기(300) 밖으로 나오게 된다. 또한, 슬러지 배출관(320)은 슬러지에 의해 꽉 찬 상태가 되므로 착즙된 액이 슬러지 배출관(320)으로 배출되는 현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즉, 착즙된 액이 슬러지 배출관(320)으로 이동하기 전에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된 액 배출관(310)을 통해 용기(300) 밖으로 나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류(600)가 수직으로 세워지는 구성을 가짐과 함께, 착즙 돌기(510) 및 착즙홈(640)이 형성됨에 따라,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면서도 채소 또는 과일 등과 같은 착즙 대상물로부터 즙을 최대한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00: 모터 210: 모터축
500: 여과망 510: 착즙 돌기
610: 스크류 몸체 620: 결합부
630: 나사산 640: 착즙홈
500: 여과망 510: 착즙 돌기
610: 스크류 몸체 620: 결합부
630: 나사산 640: 착즙홈
Claims (5)
- 채소 또는 과일과 같은 착즙 대상물을 모터(200)의 회전력에 의해 고정체인 여과망(500)과 함께 착즙시키는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500)에 삽입됨과 함께 상기 여과망(500)의 하부 개방부(502)에 저면이 위치되는 스크류 몸체(610);
상기 스크류 몸체(610)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200)의 축(210)에 결합되는 결합부(620);
상기 스크류 몸체(6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나사산(630); 및
상기 여과망(500)의 내벽에 형성된 착즙 돌기(510)에 대응되도록 상기 나사산(630)에 형성되는 착즙홈(640)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스크류(600) 회전시 상기 착즙 대상물이 상기 나사산(630)을 따라 하강하면서 상기 나사산(630)과 상기 여과망(500) 사이에서 일차 착즙되고, 상기 착즙홈(640)이 상기 착즙 돌기(510)를 지나는 동안 이 사이에서 이차 착즙되는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돌기(510)가 삼각 형상을 할 경우, 상기 착즙홈(640)은 상기 삼각 형상에 대응되도록 비스듬하게 경사진 형상을 하는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즙 대상물의 투입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기 스크류(600)의 평면에 제1 및 제2 투입구(A)(B)를 갖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630)은 상기 스크류 몸체(610)의 평면의 두 군데에서 각각 움푹 들어가면서 시작되는 제1 및 제2 나사산(631)(632)을 포함하는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600)의 하부 외측면에는 착즙되고 남은 상기 착즙 대상물의 슬러지를 용기 밖으로 밀어내기 위한 복수개의 취출 돌기(650)가 더 형성되는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4788A KR101214203B1 (ko) | 2010-08-31 | 2010-08-31 |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4788A KR101214203B1 (ko) | 2010-08-31 | 2010-08-31 |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0880A KR20120020880A (ko) | 2012-03-08 |
KR101214203B1 true KR101214203B1 (ko) | 2012-12-20 |
Family
ID=46129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4788A KR101214203B1 (ko) | 2010-08-31 | 2010-08-31 |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420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990121B1 (fr) * | 2012-05-07 | 2014-06-13 | Seb Sa | Organe de travail rotatif et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e vis de pressage |
US10524495B2 (en) | 2014-07-22 | 2020-01-07 | Nuc Electronics Co., Ltd. | Juice extraction module for juice |
KR101500998B1 (ko) * | 2014-08-08 | 2015-03-10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원액기용 착즙 모듈 |
CN108261107A (zh) * | 2018-04-18 | 2018-07-10 | 陈柏龙 | 一种多用食物料理器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54083A (ja) | 2004-02-23 | 2007-03-08 | Hiraga:Kk | 健康食物ドロドロ汁製造機 |
KR100755440B1 (ko) | 2006-06-21 | 2007-09-05 | 김영기 | 착즙주스기 |
-
2010
- 2010-08-31 KR KR1020100084788A patent/KR10121420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54083A (ja) | 2004-02-23 | 2007-03-08 | Hiraga:Kk | 健康食物ドロドロ汁製造機 |
KR100755440B1 (ko) | 2006-06-21 | 2007-09-05 | 김영기 | 착즙주스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0880A (ko) | 2012-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20879A (ko) | 수직형 녹즙기 | |
KR101214203B1 (ko) | 수직형 녹즙기의 스크류 | |
JP2014530048A (ja) | フィルタ付き作業用カップを備える家電装置 | |
JP3213606U (ja) | スクリュープレス式搾汁機 | |
KR20200103103A (ko) | 푸드 프로세서 | |
KR200454079Y1 (ko) | 수직형 녹즙기의 다짐용 보조 용기 | |
EP3135159A1 (en) | Rapid and automatic feeding squeeze type juice extractor | |
KR101597631B1 (ko) |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 |
KR200475273Y1 (ko) | 착즙기 | |
CN1742657A (zh) | 翻盖型整果榨汁机 | |
KR102115996B1 (ko) | 청소용 브러쉬를 포함하는 주서기 | |
KR20150115259A (ko) | 모재 통투입 및 역배출 방지 가능한 착즙 어셈블리 | |
KR101705030B1 (ko) | 자동 스포이드형 캡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 스포이드형 용기 | |
CN104957958B (zh) | 一种安全方便的螺杆挤压榨汁机 | |
US12102266B2 (en) | Appliance for processing foods | |
KR102116001B1 (ko) | 상부 부착식 착즙 원통을 포함하는 주서기 | |
CN210144440U (zh) | 榨汁组件及榨汁机 | |
CN210144439U (zh) | 榨汁组件及榨汁机 | |
CN204351576U (zh) | 双入口榨汁机 | |
KR101510998B1 (ko) | 착즙용 하우징 리브를 포함하는 하우징 | |
KR102228521B1 (ko) | 펄프량 조절 가능한 주서기 | |
CN210057545U (zh) | 一种便于清洗的过滤组件及家用榨汁设备 | |
CN206303807U (zh) | 滤网及食物料理机 | |
CN206565736U (zh) | 食物料理杯及食物料理机 | |
CN208625280U (zh) | 一种榨汁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