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661A -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661A
KR20150130661A KR1020140057502A KR20140057502A KR20150130661A KR 20150130661 A KR20150130661 A KR 20150130661A KR 1020140057502 A KR1020140057502 A KR 1020140057502A KR 20140057502 A KR20140057502 A KR 20140057502A KR 20150130661 A KR20150130661 A KR 201501306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stewater
unit
accelerating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884B1 (ko
Inventor
윤종석
Original Assignee
윤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석 filed Critical 윤종석
Priority to KR10201400575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88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이프형 유닛 및 연장형 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체류조의 오폐수를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어지되, 종래와 달리 각 단계에서 필요한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는 저류조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중화, 반응, 응집의 과정을 통해 처리하여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침전조에 연결되는 배출구 사이에서 오폐수가 흐르는 동안 화학약품의 공급을 통해 중화, 반응, 응집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길게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1증속관과, 상기 제1증속관과 상기 배출구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2증속관과, 상기 제1증속관 내부로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제1증속관 내부로 중화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2전자밸브와, 상기 제2증속관 내부로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3 전자밸브 및 상기 제1증속관 또는 제2증속관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축과 상기 축 상에 상기 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타원형 코일로 구성된 교반-산기관으로 이루어진 파이프형 유닛; 및 상기 파이프형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형 유닛의 배출구와 연통 연결되는 연결관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형 유닛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U'자형 타입으로 연장 안내된 후, 타측 상부에 구비된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연장형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Pipe type device for sewage and waste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형 유닛 및 연장형 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체류조의 오폐수를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어지되, 종래와 달리 각 단계에서 필요한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폐수의 화학적 처리는 폐수의 성상 및 공정의 종류에 따라 목적이 다양한데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은 화학침전에 의한 미세한 현탁물질 및 COD제거,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pH조절, CN-의 산화처리, Cr+6의 환원처리, N 및 P제거 및 소독과 경도제거 등을 들 수 있는데, 물리적 처리와 마찬가지로 단독처리 공정보다는 상황에 따라 복합적으로 병용하는 처리 시스템을 이룬다.
상기 처리 시스템은 먼저 오폐수를 최초로 포집하는 체류조(이하, 저류조라고도 함)로부터 그 오폐수를 중화, 반응, 응집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쳐 침전조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처리 시스템에서 체류조와 침전조 사이에 적용되는 종래의 중화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기 다른 단계(중화, 반응, 응집 단계)를 거치기 위해 3개의 공간 마련을 위한 격벽(110)이 구획되어야 하고, 각 공간으로 투여되는 중화제 및 응집제 등의 약품이 잘 섞이도록 대류를 일으키는 교반장치(120)가 필요하며, 상기 중화제 및 응집제 등의 약품들은 고체상태로 되어 있어 약품의 정량투여와 습기에 의해 엉겨붙는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pH미터(130)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어되는 약품투여장치가 부설된다.
상기와 같은 중화조(100)를 거친 후의 오폐수는 침전조(200)로 유입되어 비중이 큰 이물질은 응집되어 슬러지화되어 하부 배출구로 배출되고 정화된 물은 자연배수되는 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오폐수 처리 시스템에 적용되는 종래기술에 따른 중화조는 지상 또는 지하의 설치면적이 커 시설비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각 공간마다 교반을 위한 장치가 따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비가 막대한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체류조의 오폐수를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어지되, 종래와 달리 각 단계에서 필요한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유지관리비 및 시설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처리장치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이프형 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체류조의 오폐수를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어지되 종래와 달리 각 단계에서 필요한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연장형 유닛이 구비됨으로써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파이프형 유닛 및 연장형 유닛이 구비되어 체류조의 오폐수를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 단계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모두 포함하되, 각 단계에서 필요한 수조탱크 없이 오폐수의 파이프형 유닛 내의 흐름과 연장형 유닛 내의 흐름 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유지관리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설치면적을 최소화하여 그에 따른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파이프형 유닛의 파이프와 연통연결되는 연장형 유닛 상에 pH미터가 더 설치됨으로써 파이프형 유닛 상에서 약품투여가 이루어진 후 파이프형 유닛을 거친 오폐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1, 2, 3 전자밸브에 대한 약품투여량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는 저류조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중화, 반응, 응집의 과정을 통해 처리하여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에 연결되는 유입구와 상기 침전조에 연결되는 배출구 사이에서 오폐수가 흐르는 동안 화학약품의 공급을 통해 중화, 반응, 응집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길게 형성된 파이프와, 상기 유입구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1증속관과, 상기 제1증속관과 상기 배출구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2증속관과, 상기 제1증속관 내부로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1전자밸브와, 상기 제1증속관 내부로 중화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2전자밸브와, 상기 제2증속관 내부로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증속관 상에 설치되는 제3 전자밸브 및 상기 제1증속관 또는 제2증속관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축과 상기 축 상에 상기 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타원형 코일로 구성된 교반-산기관으로 이루어진 파이프형 유닛; 및 상기 파이프형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형 유닛의 배출구와 연통 연결되는 연결관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형 유닛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U'자형 타입으로 연장 안내된 후, 타측 상부에 구비된 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연장형 유닛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연장형 유닛은 상측에 상기 파이프형 유닛을 거친 오폐수의 pH를 감지하여 상기 제1, 2, 3 전자밸브를 통한 화학약품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해 측정값을 제어부로 송출하는 pH미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형 유닛은 'U'자형 타입으로 상기 파이프형 유닛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연장 안내되도록 중앙에 격벽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격벽과 내벽에 상호 엇갈려 오폐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 편이 더 구비됨이 양호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 편은 상기 연장형 유닛의 내부공간에 상기 파이프형 유닛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U'자형 타입으로 일정유속을 가지고 흐름이 안내되도록, 흐름방향에 대하여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교반-산기관의 케이스는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보다 작은 지름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원형 코일은 상기 축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개로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교반-산기관은 상기 제1증속관 또는 제2증속관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상에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좁은 폭에서 넓은 폭, 다시 좁은 폭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이 연이어져 반복되는 교반용 코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형 유닛은 상기 파이프와 제1, 2증속관으로 이뤄지는 경로 상의 다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내부의 오폐수를 선택적으로 추출 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샘플링-에어벤트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양호하다.
한편, 상기 연장형 유닛은 내측 바닥면으로서 상기 격벽과 내벽의 중앙부분의 바닥면 상에 고정봉이 상향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 상에 하단으로부터 상향 길이방향에 대하여 좁은 폭에서 넓은 폭, 다시 좁은 폭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이 연이어져 반복되는 교반코일이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교반-산기관은 상기 제1증속관 또는 제2증속관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 상에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나선형 라인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향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교반봉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교반봉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면적 외향 확장되는 교반돌기가 더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교반-산기관은 상기 제1증속관 또는 제2증속관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설치케이스 및 상기 설치케이스의 내면에 외주 면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설치케이스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상기 설치케이스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며, 교반가이드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교반가이드판은 상기 설치케이스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되,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과,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의 일 방향으로 각각 45도 경사진 사방의 위치에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이 상기 설치케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교번하여 다수 개로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파이프형 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체류조의 오폐수를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어지되 종래와 달리 각 단계에서 필요한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연장형 유닛이 구비됨으로써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둘째, 파이프형 유닛 및 연장형 유닛이 구비되어 체류조의 오폐수를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 단계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모두 포함하되, 각 단계에서 필요한 수조탱크 없이 오폐수의 파이프형 유닛 내의 흐름과 연장형 유닛 내의 흐름 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유지관리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설치면적을 최소화하여 그에 따른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다.
셋째, 파이프형 유닛의 파이프와 연통연결되는 연장형 유닛 상에 pH미터가 더 설치됨으로써 파이프형 유닛 상에서 약품투여가 이루어진 후 파이프형 유닛을 거친 오폐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1, 2, 3 전자밸브에 대한 약품투여량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좌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연장형 유닛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정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8b는 도 8a의 교반-산기관 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체로 성형되는 교반가이드판들을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
도 9b는 도 9a의 교반-산기관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평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좌측면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파이프형 유닛을 나타낸 우측면구성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연장형 유닛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정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교반-산기관 내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체로 성형되는 교반가이드판들을 나타낸 요부 정면구성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요부인 교반-산기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구성도이며, 도 9b는 도 9a의 교반-산기관 내부구조를 도시한 요부 사시구성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는 저류조(이하, 체류조라고도 함)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중화, 반응, 응집의 과정을 통해 처리하여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오폐수 처리를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는 크게 분류하면, 파이프(110)와, 제1증속관(120)과, 제2증속관(130)과, 제1전자밸브(140)와, 제2전자밸브(150)와, 제3 전자밸브(160)와, 교반-산기관(170)으로 이루어진 파이프형 유닛(100) 및 연장형 유닛(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110)는 상기 저류조에 연결되는 유입구(111)와 상기 침전조에 연결되는 배출구(112) 사이에서 오폐수가 흐르는 동안 화학약품의 공급을 통해 중화, 반응, 응집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증속관(120)은 상기 유입구(111)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110)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증속관(130)은 상기 제1증속관(120)과 상기 배출구(112)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파이프(110)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110)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전자밸브(140)는 상기 제1증속관(120) 내부로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120) 상에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제2전자밸브(150)는 상기 제1증속관(120) 내부로 중화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120) 상에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제3 전자밸브(160)는 상기 제2증속관(130) 내부로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증속관(130) 상에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교반-산기관(170)은 상기 제1증속관(120) 또는 제2증속관(1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1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171)와, 상기 케이스(171)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축(172)과, 상기 축(172) 상에 상기 축(17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타원형 코일(17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타원형 코일(173)은 상기 축(17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개로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교반-산기관(170)은 교반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산기는 이루어지지 않게 제공될 수 있으며, 물론 교반과 산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교반-산기관(170)에서, 상기 케이스(171)는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110)보다 작은 지름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파이프(110)와, 제1증속관(120)과, 제2증속관(130)과, 제1전자밸브(140)와, 제2전자밸브(150)와, 제3 전자밸브(160)와, 교반-산기관(17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은 상기 파이프(110)와 제1, 2증속관(120, 130)으로 이뤄지는 경로 상의 다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110) 내부의 오폐수를 선택적으로 추출 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샘플링-에어벤트(1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샘플링-에어벤트(180)는 샘플링만 이루어지도록 하고 에어벤트의 기능은 적용되지 않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물론 샘플링과 에어벤트의 기능이 다 수행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파이프형 유닛(100)에서 상기 파이프(110)의 임의의 한 지점에는 상기 제1, 2, 3 전자밸브(140, 150, 160)를 통한 화학약품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해 측정값을 제어부로 송출하는 pH미터(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전술한 파이프형 유닛(100)에서 상기 파이프(110)와, 제1증속관(120)과, 제2증속관(130)과, 제1전자밸브(140)와, 제2전자밸브(150)와, 제3 전자밸브(160)와, 교반-산기관(170) 및 샘플링-에어벤트(180)의 구성은 설치대(101) 상에 의해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파이프(110)는 외면을 고정시키는 상기 설치대(101) 상에 구비되는 설치브래킷(102)에 의해 상기 설치대(101) 상에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상기 연장형 유닛(200)은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의 배출구(112)와 연통 연결되는 연결관(210)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210)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U'자형 타입으로 연장 안내된 후, 타측 상부에 구비된 배출관(22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장형 유닛(200)은 상측에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의 pH를 감지하여 상기 제1, 2, 3 전자밸브(140, 150, 160)를 통한 화학약품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해 측정값을 제어부로 송출하는 pH미터(230)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6a를 참조하면, 연장형 유닛(200)은 'U'자형 타입으로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연장 안내되도록 중앙에 격벽(240)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격벽(240)과 내벽(250)에 상호 엇갈려 오폐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 편(260)이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 편(260)은 상기 연장형 유닛(200)의 내부공간에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U'자형 타입으로 일정유속을 가지고 흐름이 안내되도록, 흐름방향에 대하여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도 6a에서 보는 바와 같은 연장형 유닛(200)은 내측 바닥면으로서 상기 격벽(240)과 내벽(250)의 중앙부분의 바닥면 상에 고정봉(270)이 상향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270) 상에 하단으로부터 상향 길이방향에 대하여 좁은 폭에서 넓은 폭, 다시 좁은 폭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이 연이어져 반복되는 교반코일(271)이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도 6b를 참조하면, 연장형 유닛(200)은 'U'자형 타입으로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연장 안내되도록 중앙에 격벽(240)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내벽(250) 은 제외하고 상기 격벽(240)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가이드 편(260)이 더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편(260)은 상기 연장형 유닛(200)의 내부공간에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U'자형 타입으로 일정유속을 가지고 흐름이 안내되도록, 흐름방향에 대하여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게 구비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교반-산기관(170)은 상기 제1증속관(120) 또는 제2증속관(1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1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171')와, 상기 케이스(171')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172') 및 상기 샤프트(172') 상에 상기 샤프트(17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좁은 폭에서 넓은 폭, 다시 좁은 폭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이 연이어져 반복되는 교반용 코일(1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반용 코일(173')은 지그재그 타입으로 코일이 마름모 형상이 연이어져 반복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물론 지그재그 타입의 바(Bar) 형상으로 제공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교반-산기관(170)은 상기 제1증속관(120) 또는 제2증속관(1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1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171a)와, 상기 케이스(171a) 내부의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설치케이스(175a) 및 상기 설치케이스(175a)의 내면에 외주 면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설치케이스(175a)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상기 설치케이스(17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며, 교반가이드판(176a, 176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교반가이드판(176a, 176b)은 상기 설치케이스(17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되,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177a)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177a)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178a)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176a)과,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의 일 방향으로 각각 45도 경사진 사방의 위치에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177b)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177b)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178b)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176b)이 상기 설치케이스(17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교번하여 다수 개로 고정설치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한편,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교반-산기관(170)은 상기 제1증속관(120) 또는 제2증속관(1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1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171")와, 상기 케이스(171")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172") 및 상기 샤프트(172") 상에 상기 샤프트(172")의 길이방향에 나선형 라인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향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교반봉(1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교반봉(173")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면적 외향 확장되는 교반돌기(174")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이 구비됨으로써 체류조의 오폐수를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을 단계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이루어지되 종래와 달리 각 단계에서 필요한 수조탱크가 없이도 오폐수의 흐름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연장형 유닛(200)이 구비됨으로써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을 연장시켜 화학반응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 및 연장형 유닛(200)이 구비되어 체류조의 오폐수를 유입시켜 중화, 반응, 응집 단계를 거쳐 침전조로 보내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모두 포함하되, 각 단계에서 필요한 수조탱크 없이 오폐수의 파이프형 유닛(100) 내의 흐름과 연장형 유닛(200) 내의 흐름 과정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유지관리비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설치면적을 최소화하여 그에 따른 시설비를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의 파이프(110)와 연통연결되는 연장형 유닛(200) 상에 pH미터(230)가 더 설치됨으로써 파이프형 유닛(100) 상에서 약품투여가 이루어진 후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제1, 2, 3 전자밸브(140, 150, 160)에 대한 약품투여량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파이프형 유닛
101: 설치대 102: 설치브래킷
110: 파이프 111: 유입구
112: 배출구 120: 제1증속관
130: 제2증속관 140: 제1전자밸브
150: 제2전자밸브 160: 제3전자밸브
170: 교반-산기관
171, 171', 171", 171a: 케이스
172: 축 172', 172": 샤프트
173: 타원형 코일 173': 교반용 코일
173": 교반봉 174": 교반돌기
175a: 설치케이스 176a, 176b: 교반가이드판
177a, 177b: 흐름유도홈 178a, 178b: 흐름안내공
180: 샘플링-에어벤트
200: 연장형 유닛
210: 연결관 220: 배출관
230: pH미터 240: 격벽
250: 내벽 260: 가이드 편
270: 고정봉 271: 교반코일

Claims (12)

  1. 저류조에서 유입되는 오폐수를 중화, 반응, 응집의 과정을 통해 처리하여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류조에 연결되는 유입구(111)와 상기 침전조에 연결되는 배출구(112) 사이에서 오폐수가 흐르는 동안 화학약품의 공급을 통해 중화, 반응, 응집 처리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길게 형성된 파이프(110)와, 상기 유입구(111)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110)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1증속관(120)과, 상기 제1증속관(120)과 상기 배출구(112)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파이프(110)의 경로 상에 설치되면서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110)보다 좁게 형성되는 제2증속관(130)과, 상기 제1증속관(120) 내부로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120) 상에 설치되는 제1전자밸브(140)와, 상기 제1증속관(120) 내부로 중화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1증속관(120) 상에 설치되는 제2전자밸브(150)와, 상기 제2증속관(130) 내부로 고분자 응집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제2증속관(130) 상에 설치되는 제3 전자밸브(160) 및 상기 제1증속관(120) 또는 제2증속관(1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1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171)와 상기 케이스(171)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축(172)과 상기 축(172) 상에 상기 축(17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일정각도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타원형 코일(173)로 구성된 교반-산기관(170)으로 이루어진 파이프형 유닛(100); 및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의 배출구(112)와 연통 연결되는 연결관(210)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관(210)을 통하여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U'자형 타입으로 연장 안내된 후, 타측 상부에 구비된 배출관(22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연장형 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형 유닛(200)은 상측에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의 pH를 감지하여 상기 제1, 2, 3 전자밸브(140, 150, 160)를 통한 화학약품의 공급량을 조정하기 위해 측정값을 제어부로 송출하는 pH미터(23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형 유닛(200)은 'U'자형 타입으로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연장 안내되도록 중앙에 격벽(240)이 구비되는 한편,
    상기 격벽(240)과 내벽(250)에 상호 엇갈려 오폐수의 흐름을 안내하는 가이드 편(260)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편(260)은 상기 연장형 유닛(200)의 내부공간에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을 거친 오폐수가 유입되어 'U'자형 타입으로 일정유속을 가지고 흐름이 안내되도록,
    흐름방향에 대하여 하향 또는 상향 경사지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산기관(170)의 케이스(171)는 내부로 흐르는 오폐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도록 내부 지름이 상기 파이프(110)보다 작은 지름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원형 코일(173)은 상기 축(17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지그재그 타입으로 다수 개로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산기관(170)은 상기 제1증속관(120) 또는 제2증속관(1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1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171')와,
    상기 케이스(171')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172') 및
    상기 샤프트(172') 상에 상기 샤프트(17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좁은 폭에서 넓은 폭, 다시 좁은 폭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이 연이어져 반복되는 교반용 코일(173')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형 유닛(100)은 상기 파이프(110)와 제1, 2증속관(120, 130)으로 이뤄지는 경로 상의 다수 지점에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110) 내부의 오폐수를 선택적으로 추출 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샘플링-에어벤트(1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형 유닛(200)은 내측 바닥면으로서 상기 격벽(240)과 내벽(250)의 중앙부분의 바닥면 상에 고정봉(270)이 상향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봉(270) 상에 하단으로부터 상향 길이방향에 대하여 좁은 폭에서 넓은 폭, 다시 좁은 폭을 가지는 마름모 형상이 연이어져 반복되는 교반코일(271)이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산기관(170)은 상기 제1증속관(120) 또는 제2증속관(1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1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171")와,
    상기 케이스(171") 내부의 중심에 설치되는 샤프트(172") 및
    상기 샤프트(172") 상에 상기 샤프트(172")의 길이방향에 나선형 라인 상에 일정간격을 가지고 외향 일정길이 돌출 형성되는 교반봉(173")을 포함하는 한편,
    상기 교반봉(173")은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일정면적 외향 확장되는 교반돌기(174")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산기관(170)은 상기 제1증속관(120) 또는 제2증속관(130)의 후단에 근접하는 파이프의 경로 상에 설치되되,
    상기 파이프(110)에 대응하여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171a)와,
    상기 케이스(171a) 내부의 중심에 삽입 설치되는 설치케이스(175a) 및
    상기 설치케이스(175a)의 내면에 외주 면이 고정설치되되, 상기 설치케이스(175a)의 길이방향 일측으로 중앙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상기 설치케이스(17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며, 교반가이드판(176a, 176b)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가이드판(176a, 176b)은 상기 설치케이스(17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고정설치되되,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177a)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177a)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178a)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176a)과, 정면에서 봤을 때 상하 및 좌우의 일 방향으로 각각 45도 경사진 사방의 위치에 내향 함몰되는 흐름유도홈(177b)이 형성되고 상기 흐름유도홈(177b) 내측 면적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가지고 직경이 다른 다수 개의 흐름안내공(178b)이 관통 형성되는 교반가이드판(176b)이 상기 설치케이스(175a)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가지고 교번하여 다수 개로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KR1020140057502A 2014-05-14 2014-05-14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KR101662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02A KR101662884B1 (ko) 2014-05-14 2014-05-14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02A KR101662884B1 (ko) 2014-05-14 2014-05-14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61A true KR20150130661A (ko) 2015-11-24
KR101662884B1 KR101662884B1 (ko) 2016-10-05

Family

ID=5484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02A KR101662884B1 (ko) 2014-05-14 2014-05-14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8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7723A (zh) * 2017-04-24 2017-09-01 葛洲坝水务投资有限公司 精准管式微孔曝气器安装、检测系统及安装和检测方法
CN107746135A (zh) * 2017-11-04 2018-03-02 张瑁珈 一种废水处理系统
CN108862519A (zh) * 2018-07-08 2018-11-23 郑雄珍 一种污水处理设备
KR20210073646A (ko) * 2019-12-10 2021-06-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림아그로텍 콜드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농·어업용 대용량 살균수 제조장치
CN113933455A (zh) * 2021-09-01 2022-01-14 江苏裕隆环保有限公司 一种曝气器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65B1 (ko) * 2005-08-02 2006-12-15 (주)원이기공 소용돌이 유체 혼합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용해장치
KR100796330B1 (ko) * 2006-12-27 2008-01-21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소멸장치
KR100938146B1 (ko) * 2009-02-11 2010-01-21 (주)엔엘에스바이오 다기관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101753B1 (ko) * 2011-08-01 2012-01-05 한국기계연구원 가스용해 생성 스태틱 믹서의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8165B1 (ko) * 2005-08-02 2006-12-15 (주)원이기공 소용돌이 유체 혼합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고효율 오존용해장치
KR100796330B1 (ko) * 2006-12-27 2008-01-21 씨제이 푸드 시스템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소멸장치
KR100938146B1 (ko) * 2009-02-11 2010-01-21 (주)엔엘에스바이오 다기관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KR101101753B1 (ko) * 2011-08-01 2012-01-05 한국기계연구원 가스용해 생성 스태틱 믹서의 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7723A (zh) * 2017-04-24 2017-09-01 葛洲坝水务投资有限公司 精准管式微孔曝气器安装、检测系统及安装和检测方法
CN107117723B (zh) * 2017-04-24 2020-10-30 葛洲坝水务投资有限公司 精准管式微孔曝气器安装、检测系统及安装和检测方法
CN107746135A (zh) * 2017-11-04 2018-03-02 张瑁珈 一种废水处理系统
CN108862519A (zh) * 2018-07-08 2018-11-23 郑雄珍 一种污水处理设备
CN108862519B (zh) * 2018-07-08 2021-05-11 广东盛洋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设备
KR20210073646A (ko) * 2019-12-10 2021-06-2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부림아그로텍 콜드 플라즈마 기술을 이용한 농·어업용 대용량 살균수 제조장치
CN113933455A (zh) * 2021-09-01 2022-01-14 江苏裕隆环保有限公司 一种曝气器检测装置及方法
CN113933455B (zh) * 2021-09-01 2022-08-09 江苏裕隆环保有限公司 一种曝气器检测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884B1 (ko)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884B1 (ko)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US8262914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JP6183525B1 (ja) 凝集沈澱装置
CN105129985B (zh) 一种生化池进水分配系统
US20120000859A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CN102366680B (zh) 一种海水混凝除浊系统
KR20120016791A (ko)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JP2010207670A (ja) 濁水の処理装置
KR101226945B1 (ko) 색상과 형상 분석 보정에 의한 슬러지 자동응집 급속혼화 시스템 및 방법
KR100637920B1 (ko)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KR101652158B1 (ko) 오폐수 처리장치
CN210825516U (zh) 一种高位槽加药系统
JP5436350B2 (ja) エアリフトポンプ装置及び汚水処理設備
CN112174395A (zh) 多级混凝沉淀装置
CN113461228B (zh) 泥浆法处理酸性废水的系统和方法
KR101438417B1 (ko) 폐수처리용 플러그 플로우 응집반응기
JP4743421B2 (ja) 凝集反応装置
KR100819155B1 (ko)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CN110697827A (zh) 一种气浮式分离设备及搭载其的极限除磷系统
KR200471668Y1 (ko)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CN204643928U (zh) 一种污水站加药装置
KR101017869B1 (ko) 배수지 또는 수조에서의 수질 대표값 측정 시스템
CN210215016U (zh) 实验室废水处理装置
KR101839475B1 (ko) 희석식 슬러지 농도 측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슬러지 처리 시스템
KR100460077B1 (ko) 가압식 관로형 반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