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791A -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 Google Patents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791A
KR20120016791A KR1020100079242A KR20100079242A KR20120016791A KR 20120016791 A KR20120016791 A KR 20120016791A KR 1020100079242 A KR1020100079242 A KR 1020100079242A KR 20100079242 A KR20100079242 A KR 20100079242A KR 20120016791 A KR20120016791 A KR 20120016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neutralization
treated water
water
coag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세영
Original Assignee
효림산업주식회사
정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림산업주식회사, 정세영 filed Critical 효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9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6791A/ko
Publication of KR20120016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8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provided with flocculating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05Control of chemical properties of a component, e.g. control of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내에서 중화, 응집 및 침전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반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각종 폐수 처리의 가장 기본적인 응집 및 침전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고, 침전장치가 차지하는 면적 및 침전장치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브이형 노치(100); 브이형 노치(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브이형 노치(100)에 연결된 제 1배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에 맞추어,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되는 중화제 및 1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1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중화조(200); 중화조(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중화조(200)로부터 유입되는 1차 처리수와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되는 2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2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응집조(300); 중화조(200)와 응집조(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응집조(300)에 연결된 제 2배관(320)을 통해 유입되는 2차 처리수를 중력작용 방향으로 낙하시키면서 2차 처리수의 중화 및 응집작용을 활성화시키는 파이프 형상의 반응부(400); 중화조(200)와 응집조(300)의 하부에 구비되고, 반응부(400)를 중심부에 포함하며, 중화 및 응집작용이 완료된 2차 처리수를 반응부(400)의 외주연부를 따라 중력작용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2차 처리수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경사판(530)을 통해 슬러지를 걸러낸 상징수를 생성시키는 침전조(500); 및 침전조(5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침전조(500)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축적하는 호퍼형 농축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One body type precipitator having neutralization tank and coagulation tank on top of precipitation tank and method of precipitating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브이형 노치, 중화조, 응집조, 파이프 형상의 반응부, 침전조 및 호퍼형 농축조를 포함하는 일체형 침전장치로서, 중화조와 응집조를 침전조 상부에 구비하여 동일면적과 공간에서 중화, 응집, 침전공정이 이루어지게 하여 침전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폐수와 건설현장의 골재 세척 폐수와 생활하수 등은 수질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폐수를 처리하는 침전장치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화, 응집 및 침전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래의 중화, 응집 및 침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침전장치는 중화조(200), 응집조(300), 교반기(210, 310, 410), 침전조(500)로 구성된다. 종래의 침전장치는 중화조(200), 응집조(300), 침전조(500) 등을 각각 별도의 장치로서 병렬 나열식으로 설치하였으므로, 장치의 외형이 커지게 되어 제작이 번거로워짐에 따라 제작비용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설치장소를 많이 차지하게 되어 설비비용이 많이 들게 되며, 또한 운영이 용이하지 못해 폐수처리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각종 폐수 처리의 가장 기본적인 응집 및 침전처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제반처리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설치비용을 최소로 하면서 그 운용을 누구나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하나의 장치내에서 중화, 응집 및 침전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반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각종 폐수 처리의 가장 기본적인 응집 및 침전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제 2목적은 중화조와 응집조를 침전조의 상부에 구비하여 침전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제 3목적은 중화조와 응집조를 침전조와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침전장치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브이형 노치(100); 브이형 노치(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브이형 노치(100)에 연결된 제 1배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에 맞추어,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되는 중화제 및 1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1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중화조(200); 중화조(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중화조(200)로부터 유입되는 1차 처리수와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되는 2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2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응집조(300); 중화조(200)와 응집조(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응집조(300)에 연결된 제 2배관(320)을 통해 유입되는 2차 처리수를 중력작용 방향으로 낙하시키면서 2차 처리수의 중화 및 응집작용을 활성화시키는 파이프 형상의 반응부(400); 중화조(200)와 응집조(300)의 하부에 구비되고, 반응부(400)를 중심부에 포함하며, 중화 및 응집작용이 완료된 2차 처리수를 반응부(400)의 외주연부를 따라 중력작용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2차 처리수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경사판(530)을 통해 슬러지를 걸러낸 상징수를 생성시키는 침전조(500); 및 침전조(5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침전조(500)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축적하는 호퍼형 농축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중화조(200)는 1차 처리수의 pH를 조절하는 pH 제어수단(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중화조(200)는 원수, 중화제 및 1차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기(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중화제는 황산 또는 가성소다 원액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1차 응집제는 황산알루미늄 원액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응집조(300)는 1차 처리수 및 2차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기(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2차 응집제는 고분자 원액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반응부(400)는 2차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원수, 중화제, 1차 응집제 및 2차 응집제가 혼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플 플레이트(420)를 반응부(400)의 중심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반응부(400)는 2차 처리수가 배플 플레이트(420)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반응부(400)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4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경사판(430)은 판의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을 갖는 형상이고, 판의 중심부가 반응부(400)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침전조(500)는 외주면의 상부에 상징수 유출배관(5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침전조(500)내의 경사판(530)은 침전조(500)의 내주면과 반응부(400)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경사판(530)은 판의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을 갖고, 판의 중심부가 침전조(500)의 하부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경사판(530)은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호퍼형 농축조(600)는, 농축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유출배관(610) 및 밸브(6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카테고리로서, 브이형 노치(100)가 유입된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S810); 중화조(200)가 브이형 노치(100)와 중화조(200)를 연결하는 제 1배관(110)을 통해 중화조(200)로 유입되는 원수,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된 중화제 및 1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1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단계(S820); 응집조(300)가 중화조(200)로부터 유입된 1차 처리수와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된 2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2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단계(S830); 반응부(400)가 응집조(300)와 반응부(400)를 연결하는 제 2배관(320)을 통해 반응부(400)로 유입된 2차 처리수를 중력작용 방향으로 낙하시키면서 2차 처리수의 중화 및 응집작용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840); 침전조(500)가 중화 및 응집작용이 완료된 2차 처리수를 반응부(400)의 외주연부를 따라 중력작용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2차 처리수가 침전조(50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경사판(530)을 통해 슬러지를 걸러낸 상징수를 생성하는 단계(S850); 호퍼형 농축조(600)가 침전조(500)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축적하는 단계(S8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침전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징수를 생성하는 단계(S850)는, 생성된 상징수를 침전조(500)의 상부에 구비된 상징수 유출배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8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슬러지를 축적하는 단계(S860)는, 축적된 슬러지를 호퍼형 농축조(600)에 구비된 슬러지 유출배관(610) 및 밸브(620)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S8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내에서 중화, 응집 및 침전이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반장치를 콤팩트하게 구성함으로써 각종 폐수 처리의 가장 기본적인 응집 및 침전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화조와 응집조를 침전조의 상부에 구비하여 침전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중화조와 응집조를 침전조와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침전장치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화, 응집 및 침전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종래의 중화, 응집 및 침전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침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침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침전장치의 중화조와 응집조의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침전장치로 유입된 원수가 이동하여 상징수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침전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침전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침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침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침전장치는 브이형 노치(100), 중화조(200), 응집조(300), 파이프 형상의 반응부(400), 침전조(500) 및 호퍼형 농축조(6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브이형 노치(100)는 계량조로서, 브이형 노치(10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한다. 브이형 노치(100)는 순간 유량을 측정토록 삼각웨어(미도시)를 브이형 노치(100)의 유출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브이형 노치(100)에 구비되는 삼각웨어는 90°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브이형 노치(100)는 제 1배관(110)을 통해 중화조(200)로 원수를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침전장치의 중화조와 응집조의 확대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화조(200)는 브이형 노치(100)의 하부에 구비되고, 브이형 노치(100)와 중화조(200)에 연결된 제 1배관(110)을 통해 중화조(20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에 맞추어, 약품주입장치(미도시)로부터 주입된 중화제 및 1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1차 처리수를 생성한다. 이때 중화제 및 1차 응집제는 약품주입장치에 연결된 펌프(미도시)를 통해 중화조(200)에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중화조(200)는 원수, 중화제 및 1차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기(210)를 통해 적절한 중화반응이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중화조(200)는 1차 처리수의 pH를 조절하는 pH 제어수단(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브이노치(100)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바탕으로 pH 제어수단(220)에 의해 측정된 pH에 따라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되는 중화제의 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주입되는 중화제의 양은 pH 제어수단(220)이 약품주입장치에 연결된 펌프를 제어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중화제로는 황산(H2SO4) 또는 가성소다(NaOH) 원액이 사용될 수 있으며, 1차 응집제로는 황산알루미늄(Al2(SO4)3) 원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응집조(300)는 중화조(200)의 일측벽의 외부에 구비된다. 즉, 응집조(300)와 중화조(200)는 침전조(500)의 상부에 나란히 구비된다. 응집조(300)는 중화조(200)로부터 유입된 1차 처리수와 약품주입장치(미도시)로부터 주입된 2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2차 처리수를 생성한다. 이때, 1차 처리수와 2차 응집제는 교반기(310)에 의해 교반될 수 있다. 한편, 2차 응집제로는 고분자 원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약품주입장치에 연결된 2차 응집제 펌프(미도시)를 통해 응집조(300)에 주입될 수 있다. 고분자 응집제는 분자량이나 이온성 등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것이 있고, 통상 처리하는 슬러지의 성상(예컨대, 고형분 농도, 슬러지 입자의 표면 하전량, 유기 성분의 함량 등)에 따라 적합한 것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반응부(400)는 중화조(200)와 응집조(300)의 하부에 구비되고,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반응부(400)는 응집조(300)와 반응부(400)를 연결하는 제 2배관(320)을 통해 반응부(400)로 유입된 2차 처리수를 중력작용 방향으로 낙하시키면서 2차 처리수의 중화 및 응집작용을 활성화시킨다. 반응부(400)는 2차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원수, 중화제, 1차 응집제 및 2차 응집제가 적절히 혼합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배플 플레이트(420)를 반응부(400)의 중심부에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사판(430)은 반응부(400)의 내주면에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경사판(430)은 일측이 반응부(400)의 내주면에 부착되고, 타측이 반응부(40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반응부(400)내의 경사판(430)은 판의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을 갖는 형상이고, 판의 중심부가 반응부(400)의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경사판(430)은 반응부(400)의 내주면과 형상맞춤 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관통공의 크기는 처리되는 유량에 따라 달리할 있다. 또한, 경사판(430)의 판의 중심부가 반응부(400)의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각도도 처리되는 유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판의 형상은 반응부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반응부(400)가 원통 형상이면 경사판(430)은 원판 형상으로, 반응부(400)가 사각기둥 형상이면, 판의 형상도 사각판의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반응부(400)의 경사판(430)은 반응부(400)로 유입된 2차 처리수가 배플 플레이트(420)로 낙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배플 플레이트(420)는 낙하된 2차 처리수가 배플 플레이트(420)에 부딪치면서 원수, 중화제, 1차 응집제 및 2차 응집제가 적절히 혼합되어 중화 및 응집작용이 활발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반응부(400)는 배플 플레이트(420)의 하부에 배플 플레이트(420)를 지지하는 지지대(4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반응부(400)는 2차 처리수내의 원수, 중화제, 1차 응집제 및 2차 응집제가 잘 혼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콘(미도시)을 반응부(400)의 중심부에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반응부(400)내의 경사판(430)과 배플 플레이트(4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경사판(430)과 하나의 배플 플레이트(420)를 통과한 2차 처리수는 다시 하부의 경사판(430)과 배플 플레이트(420)를 통과하게 함으로써 2차 처리수의 중화 및 응집 작용이 반복하여 충분히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침전조(500)는 중화조(200)와 응집조(3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중심부에 반응부(400)를 포함하고 있다. 침전조(500)는 중화 및 응집작용이 완료된 2차 처리수를 반응부(400)의 외주연부를 따라 중력작용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2차 처리수가 침전조(50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경사판(530)을 통해 슬러지를 걸러낸 상징수를 생성한다. 한편, 침전조(500)는 외주면의 상부에 슬러지가 걸러진 상징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상징수 유출배관(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사판(530)은 침전조(500)의 내주면과 반응부(400)의 외주면에 한쌍으로 복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반응부(400)를 통과하여 침전조(500)로 유입된 2차 처리수는 외부 압력에 밀려 반응부(400)의 외주연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침전조(500)내의 경사판(530)은 침전조(500)의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이룬다. 또한, 판의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한쌍의 경사판(530) 중 어느 하나를 더 길게 하여 침전조(500) 하부의 2차 처리수가 침전조(500)의 상부 방향으로 수직으로 직접 상승할 수 없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러지가 걸러지지 않은 2차 처리수가 직접 침전조(500)의 상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침전조(500)의 내주면과 반응부(400)의 외주면에 구비된 한쌍의 경사판(530)은 경사판(530)과 경사판(530) 사이에 홈을 형성하여 슬러지가 걸러진 상징수가 침전조(50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2차 처리수가 침전조(50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침전조(500)내의 경사판(530)에 의해 슬러지는 상승하지 못하고 슬러지가 걸러진 상징수만 경사판(530)과 경사판(530) 사이에 형성된 홈을 통해 침전조(50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침전조(500)내의 경사판(530)을 복수개 형성하여 2차 처리수가 반응부(400)의 외주연부를 따라 상승하면서 반복적으로 슬러지가 걸러지게 함으로써 깨끗한 상징수를 생성시킬 수 있다.
호퍼형 농축조(600)는 침전조(5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침전조(500)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축적한다. 즉, 침전조(500)에서 걸러진 슬러지는 중력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떨어지게 되는데, 침전조(500)의 하부에 구비된 호퍼형 농축조(600)에 모두 모아지게 되고, 일정한 양의 슬러지가 호퍼형 농축조(600)에 모아지게 되면 중력 압축 및 농축된다. 한편, 호퍼형 농축조(600)는 외주면에 슬러지 유출배관(610) 및 밸브(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호퍼형 농축조(600)에 축적된 슬러지는 슬러지 유출배관(610)을 통해 탈수기 등의 슬러지 처리시설(미도시)로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되는 슬러지의 양은 슬러지 유출배관(610)에 부착된 밸브(620)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일체형 침전장치는 호퍼형 농축조(600)의 외주면에 지지부재(70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지지부재(700)로는 H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침전장치로 유입된 원수가 이동하여 상징수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유입된 원수가 슬러지가 제거된 상징수로 배출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브이형 노치(100)로 유입된 원수는 제 1배관(110)을 통해 중화조(200)로 유입된 후, 중화제 및 1차 응집제와 교반기(210)를 통해 혼합되어 1차 처리수를 생성한다. 생성된 1차 처리수는 응집조(300)로 유입되고 2차 응집제와 교반기(310)를 통해 혼합되어 2차 처리수를 생성한다. 생성된 2차 처리수는 제 2배관(320)을 통해 반응부(400)로 유입되고 반응부(400)에 구비된 경사판(430) 및 배플 플레이트(420)를 통해 중화 및 응집반응을 활성화시킨다. 반응부(400)에서 침전조(500)로 유입된 2차 처리수는 외부압력에 의해 반응부(400)의 외주연부를 따라 중력작용의 반대 방향으로 상승하는 과정에서 침전조(500)내에 구비된 경사판(530)과 충돌 작용을 일으킨다. 이때, 슬러지는 중력의 작용에 의해 호퍼형 농축조(600)로 떨어지고 슬러지가 제거된 상징수는 침전조(500)내의 경사판(530)과 경사판(530) 사이에 있는 홈을 통해 상부로 이동한다. 상징수가 일정 수위까지 차 오르면 상징수 유출 배관을 통해 상징수가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호퍼형 농축조(600)로 떨어진 슬러지는 슬러지가 계속 쌓이면서 생기는 압력에 의해 압축 및 농축되어 슬러지 유출배관(610)을 통해 슬러지 처리시설로 배출된다.
<침전방법>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침전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체형 침전장치에 의한 침전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되, 침전장치에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이를 생략한다.
우선, 브이형 노치(100)가 유입된 원수의 유량을 측정한다(S810)
다음으로, 중화조(200)가 브이형 노치(100)와 중화조(200)를 연결하는 제 1배관(110)을 통해 중화조(200)로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에 맞추어,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된 중화제 및 1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1차 처리수를 생성한다(S820).
다음으로 응집조(300)가 중화조(200)로부터 유입된 1차 처리수와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된 2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2차 처리수를 생성한다(S830).
다음으로 반응부(400)가 응집조(300)와 반응부(400)를 연결하는 제 2배관(320)을 통해 반응부(400)로 유입된 2차 처리수를 중력작용 방향으로 낙하시키면서 2차 처리수의 중화 및 응집작용을 활성화시킨다(S840).
다음으로, 침전조(500)가 중화 및 응집작용이 완료된 2차 처리수를 반응부(400)의 외주연부를 따라 중력작용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2차 처리수가 침전조(50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경사판(530)을 통해 슬러지를 걸러낸 상징수를 생성한다(S850). 한편, 상징수를 생성하는 단계(S850)는, 생성된 상징수를 침전조(500)의 상부에 구비된 상징수 유출배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8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호퍼형 농축조(600)가 침전조(500)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축적한다(S860). 한편, 슬러지를 축적하는 단계(S860)는, 축적된 슬러지를 호퍼형 농축조(600)에 구비된 슬러지 유출배관(610) 및 밸브(620)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S8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브이형 노치
110 : 제 1배관
200 : 중화조
210, 310, 410 : 교반기
220 : pH 제어수단
300 : 응집조
320 : 제 2배관
400 : 반응부
420 : 배플 플레이트
430, 530 : 경사판
440 : 지지대
500 : 침전조
520 : 상징수 유출배관
600 : 호퍼형 농축조
610 : 슬러지 유출배관
620 : 밸브
700 : 지지부재

Claims (17)

  1. 유입되는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브이형 노치(100);
    상기 브이형 노치(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이형 노치(100)에 연결된 제 1배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에 맞추어,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되는 중화제 및 1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1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중화조(200);
    상기 중화조(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중화조(200)로부터 유입되는 상기 1차 처리수와 상기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되는 2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2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응집조(300);
    상기 중화조(200)와 상기 응집조(3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응집조(300)에 연결된 제 2배관(320)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2차 처리수를 중력작용 방향으로 낙하시키면서 상기 2차 처리수의 중화 및 응집작용을 활성화시키는 파이프 형상의 반응부(400);
    상기 중화조(200)와 상기 응집조(30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반응부(400)를 중심부에 포함하며, 중화 및 응집작용이 완료된 상기 2차 처리수를 상기 반응부(400)의 외주연부를 따라 중력작용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2차 처리수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경사판(530)을 통해 슬러지를 걸러낸 상징수를 생성시키는 침전조(500); 및
    상기 침전조(5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침전조(500)에서 걸러진 상기 슬러지를 축적하는 호퍼형 농축조(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조(200)는 상기 1차 처리수의 pH를 조절하는 pH 제어수단(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조(200)는 상기 원수, 상기 중화제 및 상기 1차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기(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황산 또는 가성소다 원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응집제는 황산알루미늄 원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조(300)는 상기 1차 처리수 및 상기 2차 응집제를 교반하는 교반기(3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응집제는 고분자 원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400)는 상기 2차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원수, 상기 중화제, 상기 1차 응집제 및 상기 2차 응집제가 혼합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플 플레이트(420)를 상기 반응부(400)의 중심부에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9. 제 1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부(400)는 상기 2차 처리수가 상기 배플 플레이트(420)로 가이드될 수 있도록 상기 반응부(400)의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경사판(4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430)은 판의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을 갖는 형상이고, 상기 판의 중심부가 상기 반응부(400)의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500)는 외주면의 상부에 상징수 유출배관(5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500)내의 경사판(530)은 상기 침전조(500)의 내주면과 상기 반응부(400)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경사판(530)은 판의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을 갖고, 상기 판의 중심부가 상기 침전조(500)의 하부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13. 제 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판(530)은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형 농축조(600)는,
    농축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슬러지 유출배관(610) 및 밸브(6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15. 브이형 노치(100)가 유입된 원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단계(S810);
    중화조(200)가 상기 브이형 노치(100)와 상기 중화조(200)를 연결하는 제 1배관(110)을 통해 상기 중화조(200)로 유입되는 상기 원수의 유량에 맞추어,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된 중화제 및 1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1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단계(S820);
    응집조(300)가 상기 중화조(200)로부터 유입된 상기 1차 처리수와 상기 약품주입장치로부터 주입된 2차 응집제를 교반하여 2차 처리수를 생성하는 단계(S830);
    반응부(400)가 상기 응집조(300)와 상기 반응부(400)를 연결하는 제 2배관(320)을 통해 상기 반응부(400)로 유입된 상기 2차 처리수를 중력작용 방향으로 낙하시키면서 상기 2차 처리수의 중화 및 응집작용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840);
    침전조(500)가 중화 및 응집작용이 완료된 상기 2차 처리수를 상기 반응부(400)의 외주연부를 따라 중력작용 반대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상기 2차 처리수가 상기 침전조(500)의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중에 경사판(530)을 통해 슬러지를 걸러낸 상징수를 생성하는 단계(S850);
    호퍼형 농축조(600)가 상기 침전조(500)에서 걸러진 상기 슬러지를 축적하는 단계(S8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침전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수를 생성하는 단계(S850)는,
    상기 생성된 상징수를 상기 침전조(500)의 상부에 구비된 상징수 유출배관(52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S8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침전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를 축적하는 단계(S860)는,
    상기 축적된 슬러지를 상기 호퍼형 농축조(600)에 구비된 슬러지 유출배관(610) 및 밸브(620)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S86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침전방법.
KR1020100079242A 2010-08-17 2010-08-17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KR201200167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242A KR20120016791A (ko) 2010-08-17 2010-08-17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9242A KR20120016791A (ko) 2010-08-17 2010-08-17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791A true KR20120016791A (ko) 2012-02-27

Family

ID=4583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9242A KR20120016791A (ko) 2010-08-17 2010-08-17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6791A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305B1 (ko) * 2014-03-28 2014-09-26 주식회사 에스비씨글로벌 슬러지 고형화를 방지하는 침사조
KR101500712B1 (ko) * 2013-04-04 2015-03-10 주식회사 에스비씨글로벌 착탈형 응집조를 구비하는 침전조
KR101582811B1 (ko) * 2015-06-10 2016-01-07 (주)우진 교반 분리장치
KR20160026336A (ko) *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리텍 토목, 건축현장에서 발생된 오염수 여과장치
CN105417656A (zh) * 2015-12-15 2016-03-23 桐城市神墩环卫保洁有限公司 一种环卫保洁用水处理器
KR20160001603U (ko) * 2016-02-04 2016-05-13 열린환경기술 주식회사 와류 발생 구조를 갖는 폐수 처리장치
CN105858966A (zh) * 2016-05-18 2016-08-17 南京海益环保工程有限公司 工业给水处理系统
KR101889883B1 (ko) * 2017-10-19 2018-08-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악취 저감형 정화조
CN110127901A (zh) * 2019-05-29 2019-08-16 临沂弘通五金工具有限公司 一种磨床给排水系统
KR102068437B1 (ko) * 2019-04-12 2020-02-11 정세영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CN112408567A (zh) * 2020-11-26 2021-02-26 安徽清源环境水务有限公司 一种模块化设计一体化污水处理设备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0712B1 (ko) * 2013-04-04 2015-03-10 주식회사 에스비씨글로벌 착탈형 응집조를 구비하는 침전조
KR101445305B1 (ko) * 2014-03-28 2014-09-26 주식회사 에스비씨글로벌 슬러지 고형화를 방지하는 침사조
KR20160026336A (ko) * 2014-08-29 2016-03-09 주식회사 리텍 토목, 건축현장에서 발생된 오염수 여과장치
KR101582811B1 (ko) * 2015-06-10 2016-01-07 (주)우진 교반 분리장치
CN105417656A (zh) * 2015-12-15 2016-03-23 桐城市神墩环卫保洁有限公司 一种环卫保洁用水处理器
KR20160001603U (ko) * 2016-02-04 2016-05-13 열린환경기술 주식회사 와류 발생 구조를 갖는 폐수 처리장치
CN105858966A (zh) * 2016-05-18 2016-08-17 南京海益环保工程有限公司 工业给水处理系统
KR101889883B1 (ko) * 2017-10-19 2018-08-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악취 저감형 정화조
KR102068437B1 (ko) * 2019-04-12 2020-02-11 정세영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CN110127901A (zh) * 2019-05-29 2019-08-16 临沂弘通五金工具有限公司 一种磨床给排水系统
CN112408567A (zh) * 2020-11-26 2021-02-26 安徽清源环境水务有限公司 一种模块化设计一体化污水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16791A (ko)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US10814337B2 (en) Composite ozone flotation integrated device
KR101800290B1 (ko) 이산화탄소 가스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 중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칼리성 폐수의 중화 처리 방법
KR101455180B1 (ko) 수류 분산형 가압부상조
KR100883312B1 (ko) 무동력 고효율 침전조
KR200395184Y1 (ko) 경사판 모듈 및 이를 갖는 고속 침전장치
KR101602289B1 (ko)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KR101345262B1 (ko) V―블록형 경사판 침전장치
KR101701399B1 (ko) 이동형 약품반응 침사지
KR100946402B1 (ko) 고속 응집침전시스템
KR101145049B1 (ko) 하수 및 폐수처리장치
KR100982833B1 (ko) 하수처리수 고도처리를 위한 용존공기부상형 장치
KR100637920B1 (ko) 생물학적 하·폐수처리장용 2차 침전지
KR200418339Y1 (ko) 수처리 장치
KR100990438B1 (ko) 응집 침전 장치
KR100667225B1 (ko) 철촉매 공기산화 반응조와 고속응집 경사판 침전장치를이용한 폐수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1232884B1 (ko) 수로형 응집조를 구비하는 침전지
KR100745119B1 (ko) 수처리 장치
KR101438417B1 (ko) 폐수처리용 플러그 플로우 응집반응기
KR20020057592A (ko) 급속반응조와 완속응집조가 연결된 고속응집 경사판침전장치
KR101941078B1 (ko) 입자 크기가 제어되는 버블 반응에 의한 용존공기 부상시스템
CN110678244B (zh) 沉淀和漂浮分离工序一体化高效率沉淀漂浮系统以及其驱动方法
KR101009747B1 (ko) 무동력 와류 혼화장치
CN109603216A (zh) 一种无动力微絮凝反应沉淀池
KR102369774B1 (ko) 액화탄산가스 중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