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8437B1 -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 Google Patents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8437B1 KR102068437B1 KR1020190042904A KR20190042904A KR102068437B1 KR 102068437 B1 KR102068437 B1 KR 102068437B1 KR 1020190042904 A KR1020190042904 A KR 1020190042904A KR 20190042904 A KR20190042904 A KR 20190042904A KR 102068437 B1 KR102068437 B1 KR 1020684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tank
- reaction
- circulation line
- precipi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27—Processes for facilitating the dissolution of solid flocculants in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반응집반응(sweep coagulation)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수와 중화제 및 응집제 등의 화학약품과 혼합되는 중화조와, 중화조의 반응수가 유입되는 침전조를 구비하는 침전장치에서,침전조에 수집된 일부 슬러지를 순환시켜 중화조로 공급하도록 설치된 순환라인;을 포함함으로써, 순환된 슬러지의 플록과 원수의 플록과 접촉하여 동반응집반응이 진행되고, 침전조에 공급되기 이전부터 응집이 진행되어 응집 및 침전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침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조에 수집된 슬러지를 재순환시켜 원수와 혼합되도록 하여 동반응집반응(sweep coagulation)이 수반되도록 함으로써, 수처리 능력이 향상되도록 한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질오염 문제가 사회적인 이슈가 되면서, 실생활에서 발생되는 생활 하수 내지는 공장 폐수 등을 고차적으로 처리할 필요성이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더구나, 최근 수질오염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수처리 방류수의 수질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하수처리공정의 고도화가 시급하게 요구되는 실정이다.
하수의 수질을 평가하는 지표로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이 중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양을 측정할 수 있는 관리지표인 총유기탄소량(이하, TOC)이 최근 실질적인 오염도의 측정 지표로서 이슈가 되면서, 하수 처리시 TOC 수치를 저감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하수 중의 인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응집제를 이용한 고속응집침전공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특히 고속응집침전공법은 경제성 및 운전의 용이성, 우수성으로 인해 하수 처리 분야에의 적용 실적이 매우 우수하다.
이러한 고속응집침전공법을 이용한 종래의 폐수처리장치는 일례로, 도 1에서 보듯이, 원수저장부(10), 응집제가 수용된 응집탱크(20), 원수와 응집제가 혼합되는 중화조(30), 중화조(30)로부터 유입된 혼합수를 응집시키는 응집조(40), 응집조(40)의 혼합수가 유입되어 슬러지를 걸러내는 침전조(50), 침전조(50)에서 걸러진 슬러지를 농축하는 농축조(60), 농축된 슬러지를 케이크화 하는 필터프레스(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오폐수를 처리해야 할 용량이 클수록 침전조(50)가 커져야 하고, 침전조(50) 내에 응집제와 원수의 활발한 혼합을 위해 교반기가 설치되므로 유지보수가 어렵고 제작 비용이 상승할 수 있고, 단순히 응집제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면서 오폐수를 정화하므로 그 이상의 정화 성능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전조 내의 일부 슬러지를 순환시켜 원수와 혼합되도록 하고, 순환된 슬러지의 플록(floc)과 중화조 내의 슬러지의 플록이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침전조 내에서는 물론 침전조에 공급되기 이전부터 동반응집반응을 통해 응집이 수행되도록 하여 응집과 침전효율이 극대화되도록 한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조에 공급된 슬러지의 플록이 첨전조 내부의 슬러지 블랭킷 부위에서 상승하면서 스크린 현상에 의해 동반응집반응이 유도됨으로써, 슬러지의 대형화가 원활히 수행되도록 한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는, 원수와 중화제 및 응집제 등의 화학약품과 혼합되는 중화조와, 중화조의 반응수가 유입되는 침전조를 구비하는 침전장치에서,침전조에 수집된 일부 슬러지를 순환시켜 중화조로 공급하도록 설치된 순환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순환라인을 통해 공급된 슬러지의 플록과, 중화조 내의 원수에 포함된 슬러지의 플록들이 접촉하여 동반응집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순환라인 상에 배치되고, 슬러지가 유입되된 후 믹싱되어 중화조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라인믹스와, 라인믹스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지의 양을 체크하도록 설치된 배출량 체크센서(4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침전조는 슬러지를 수집하는 하부가 원추형상이면서 중공의 기둥형태인 몸체, 평면상 몸체의 중앙부위에 배치되면서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반응수가 유입되는 반응부, 반응부 내면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하단이 개방된 원추형상의 미끄럼판, 미끄럼판의 개방된 하단 아래에 배치된 정류판, 몸체의 내면에서 반응부측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판, 반응부의 외면에서 제1경사판측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판와, 몸체의 상부 내부에 설치된 웨어 및 유출수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경사판과 제2경사판은 서로 엇갈리면서 반응수의 통과를 위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반응부는 침전조 하부에 수집된 슬러지의 표면 근처의 슬러지블랭킷 부위로 반응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라인에 연결되고, 순환라인을 통해 유동하는 슬러지의 과잉 유동량을 회수하도록 설치된 회수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화조에서 혼합되어 유입된 반응수를 침전조롤 공급하도록 설치된 반응조; 순환라인에 설치된 회수라인과 연결되어 순환라인 내의 과잉 공급된 슬러지가 회수되도록 설치된 농축조;와, 침전조에 수집되어 순환라인으로 배출되고 남은 잔여 슬러지가 유입되고, 농축조로부터 농축된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설치된 탈수기;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침전조에서 수집된 일부 슬러지가 순환되어 중화조에서 원수와 혼합됨으로써, 순환된 슬러지의 플록과 원수의 플록과 접촉하여 동반응집반응이 진행되고, 침전조에 공급되기 이전부터 응집이 진행되어 응집 및 침전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러지와 원수가 라인믹스에서 혼합됨으로써, 응집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원수와 응집제의 반응에 의한 응집 반응과 더불어 침전 슬러지를 혼합하여 동반응집반응을 유도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응집 효율이 상승되고, 처리된 수질 역시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중화조에서 유입된 반응수가 반응조에서 고분자응집제와 반응하면서 1차 완속 반응이 진행되어 응집 및 침전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화조에서 공급된 반응수가 침전조의 반응부의 미끄럼판과 정류판에 충돌하면서 2차 완속 반응이 진행되어 응집 및 침전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응집이 진행되는 반응수가 침전조에 공급되어 상승하면서 슬러지 블랭킷 부위의 스크린 현상에 의해 슬러지 대형화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중화조 또는 반응조에서 순환된 슬러지가 원수와 혼합됨으로써, 중화조 또는 반응조에 투입되는 중화제, 응집제 및 고분자응집제 등을 포함한 화학약품이 절감되고, 종래의 가중 응집보조제를 배제 또는 최소화함으로써, 약품 구입 비용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침전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침전조 내부에서의 처리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은 종래의 침전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침전조 내부에서의 처리수 흐름이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구성>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에 대해 도 2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화조(100), 반응조(200), 침전조(300), 순환라인(400), 농축조(500)와 탈수기(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중화조(100)는 원수가 유입되고, 응집, 침전 및 중화 등을 포함한 다수의 화학약품이 공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중화조(100)는 침전조(300)에서 수집된 일부 슬러지를 유출하도록 설치된 순환라인(400)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중화조(100)에는 순환라인(400)의 슬러지가 유입된 후 믹싱되어 배출되는 라인믹스(4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라인믹스(410)의 내부는 슬러지의 유동 흐름이 지그재그 형태가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라인믹스(410)와 연결되어 순간 슬러지의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한 배출량측정센서(420)는 중화조(100) 내의 반응수의 수위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이는 슬러지가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라인믹스(410) 및/또는 배출량측정센서(420)는 배제될 수도 있다. 또한, 라인믹스(410)는 반응수의 수위 아래에 위치될 수 있고, 순환라인(400) 상에서 배출량측정센서(420) 보다 후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중화조(100)에서 원수, 슬러지, 중화제 및 응집제가 혼합되고, 동반응집반응을 통해 응집 현상이 진행될 수 있다. 중화조(100)에는 별도의 교반기(110)와, pH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pH지시조절계(12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반응조(200)는 중화조(100) 내의 반응수가 유입되고, 고분자응집제를 포함한 화학약품이 공급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반응조(200)에서 반응수와 고분자응집제가 혼합되어 미세 플록(floc)의 대형화가 유도되는 1차 완속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고분자응집제는 중화조(100)에 공급된 슬러지로 대체되므로 배제되거나 소량 투입될 수 있다. 반응조(200)에는 별도의 교반기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중화조(100) 및 반응조(200)에는 중화제, 무기 및 고분자 응집제 외에 천연 광물계의 가중 응집보조제가 첨가되어 플록의 성장속도 증가 및 이종 응결핵으로 응집 및 침전 효율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반면, 순환라인(400)을 통해 침전조(300)에 유입된 슬러지를 직접 이용하여 응결핵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가중 응집보조제가 배제될 수 있고, 침전조(300)에서는 침전조(300)에서 중화처리된 슬러지가 유입된 후 원수와 혼합되도록 하므로 중화제 사용량이 감소될 수도 있습니다. 이로 인해, 운전경비가 최소화되고, 시설 설비가 단순화될 수 있다. 물론 순환 슬러지와 가중 응집보조제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침전조(300)는 몸체(310), 반응부(320), 제1경사판(330) 및 제2경사판(340), 웨어(350)와 유출수로(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310)는 중공의 기둥형상이면서 원추형의 하부에 슬러지가 수집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몸체(310)는 수집된 슬러지의 일부를 중화조(100)로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라인(400)이 설치되고, 슬러지의 나머지를 탈수기(600)로 배출하도록 제1배출라인(311)이 설치될 수 있다.
반응부(320)는 평면상 몸체(310)의 중앙부위이면서 하방 삽입되어 하부에 수집된 슬러지 근처까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반응부(320)를 통해 반응조(200)에서 몸체(310)로 유입된 반응수가 몸체(310) 하부에 수집된 슬러지의 수집부 즉, 슬러지블랭킷(B) 부위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부(320)를 따라 하방 유입된 반응수가 슬러지블랭킷(B) 부위에 토출된 후 상향 유동하면서 스크린 현상에 의해 슬러지 대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응부(320)는 내면을 따라 측면상 뾰족한 하부가 개방된 대략 원추형상의 미끄럼판(321)과, 미끄럼판(321)의 개방된 하단의 아래에 설치된 정류판(322)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부(320)를 따라 유동하는 반응수가 미끄럼판(321)과 정류판(322)을 통과하면서 플록의 대형화가 유도되는 2차 완속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제1경사판(330)은 몸체(310)의 내면으로부터 평면상 중앙부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제2경사판(340)은 반응부(320)의 외면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이들 제1경사판(330)과 제2경사판(340)은 높이 방향으로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경사판(330)은 제2경사판(340) 보다 길이가 짧을 수 있고, 제1경사판(330) 단부의 경사면에 제2경사판(340) 단부의 끝면이 위치하여 엇갈려 위치하여 대략 역방향의 "인(人)"자 형태로 배치되면서 제1경사판(330)과 제2경사판(340) 사이의 간격을 통해 반응수가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반응수는 제1경사판(330)과 제2경사판(340) 사이를 통과하면서 측면상 대략 지그재그 형태로 상향 유동할 수 있다. 더불어, 제1경사판(330) 및 제2경사판(340)에는 반응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이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웨어(350)와 유출수로(360)는 몸체(310)의 상부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반응부(320)를 통해 유입된 후 상향 유동하면서 정화된 반응수가 웨어(350)를 통과해 유출수로(360)로 진입하게 되고, 유출수로(360)와 연결된 배수라인(3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순환라인(400)은 침전조(300)의 하부에 수집된 슬러지 중 일부를 중화조(100)로 순환시키도록 설치된다. 이 순환라인(400)은 침전조(300)의 하부에서 중화조(100)까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순환라인(400)은 중화조(100) 와 연결된 라인믹스(410)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순환라인(400)에는 슬러지의 유동을 위한 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순환라인(400)은 슬러지의 유동량을 제어하기 위해 펌프의 작동 및 밸브의 개폐가 제어부에서 제어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농축조(500)는 순환라인(400)을 통해 유동하는 슬러지의 유동량을 조절하거나 과잉 유동하는 슬러지 중 잉여 슬러지를 수집하도록 설치된다. 이 농축조(500)는 순환라인(400)과 연결되는 회수라인(43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농축조(500)에 수집된 슬러지를 탈수기(600)로 배출하도록 설치된 제2배출라인(51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농축조(500)의 상부에는 침전조(300)와 마찬가지로 웨어, 유출수로와 배수라인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라인(400) 및 회수라인(430)의 밸브 제어를 통해 순환라인(400)을 유동하는 잉여 슬러지가 회수라인(430)을 통해 농축조(500)로 회수되고, 일정량 또는 일정 상태가 되면 제2배출라인(510)을 통해 탈수기(600)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탈수기(600)는 침전조(300) 및 농축조(500)로부터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탈수기(600)는 침전조(300) 및 농축조(500)에서 유입된 슬러지를 케이크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순환라인(400)에 연결된 회수라인(430)이 탈수기(600)로 직접 연결될 수 있고, 이때 농축조(500)는 배제될 수 있다.
<작동>
이하의 설명에서는 침전조(300)에 미리 슬러지가 수집된 상태에서 일부 슬러지가 순환라인(400)을 통해 순환되는 환경을 전제로 한다. 다만, 슬러지가 수집되지 않은 초기 환경에서는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해 중화제, 응집제 및 고분자응집제만을 활용하여 침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슬러지가 충분히 수집되면 일부 슬러지를 순환시킬 수 있다.
원수와, 순환라인(400)을 통해 침전조(300) 내의 일부 슬러지 및, 중화제 및 응집제가 중화조(100)에 유입되어 혼합될 수 있다. 이때, 1차 완속 반응이 진행되고, 슬러지의 플록과 중화조(100) 내의 플록이 접촉하여 플록들이 뭉쳐지는 동반 응집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이 중화조(100)에서 혼합된 반응수가 고분자응집제가 투입되는 반응조(200)를 거쳐 반응부(32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중화조(100) 내에서는 고분자응집제에 의해 플록의 대형화가 가속될 수 있다.
또한, 반응부(320)로 유입된 반응수가 미끄럼판(321)과 정류판(322)과 충돌하면서 2차 완속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도 3a에서 보듯이, 반응수가 미끄럼판(321)에 의해 집중되었다가 배출되면 정류판(322)에 의해 분산되는 유동 흐름이 유도될 수 있다. 이때에도 플록들 간의 접촉이 유도되어 플록의 대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응부(320)에서 반응수가 슬러지의 상부에 형성된 슬러지블랭킷(B) 부위로 토출되어 상향 유동하게 되고, 이때 스크린 현상에 의해 플록의 대형화가 재차 유도될 수 있다.
이후, 도 3b에서 보듯이 반응수가 상향 유동하면서 제1경사판(330)과 제2경사판(340)에 충돌하면서 침전효과가 가속되고, 제1경사판(330)과 제2경사판(340) 사이를 통과하여 상향 유동할 수 있다. 이때의 반응수 유동이 굴절 현상을 보이게 된다. 따라서, 정화된 반응수는 상향 이동하고, 슬러지는 하향 이동하게 되어 고액 분리효과인 침전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 이렇게 제1경사판(330)과 제2경사판(340) 사이를 반복적으로 통과하면서 도 3c에서 도시된 유동 흐름이 나타나게 되고, 이러한 유동으로 인해 반응수 내의 슬러지 분리가 극대화될 수 있다.
이렇게 슬러지가 분리된 정화수는 웨어(350)와 유출수로(360)를 지나 배수라인(312)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침전조(300) 내의 슬러지 중 일부 슬러지가 순환라인(400)을 통해 중화조(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순환된 슬러지는 중화조(100)에 곧바로 투입될 수 있고, 라인믹스(410)로 공급된 후 중화조(100)로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중화조(100) 내의 원수, 중화제, 응집제 등의 비율에 따라 슬러지의 투입량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순환라인(400)을 통해 유동하는 슬러지가 과잉 공급될 때는 회수라인(430)이 개방되고, 과잉된 양만큼의 슬러지가 농축조(500)로 회수될 수 있다. 농축조(500)에서 슬러지가 농축된 다음 제2배출라인(510)을 통해 탈수기(600)로 유동될 수 잇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중화조
110:교반기 120:pH지시조절계
200:반응조
300:침전조
310:몸체 311:제1배출라인
312:배수라인 320:반응부
321:미끄럼판 322:정류판
330:제1경사판 340:제2경사판
350:웨어 360:유출수로
400:순환라인
410:라인믹스 420...배출량측정센서
430:회수라인
500:농축조
510:제2배출라인
600:탈수기.
B:슬러지블랭킷.
110:교반기 120:pH지시조절계
200:반응조
300:침전조
310:몸체 311:제1배출라인
312:배수라인 320:반응부
321:미끄럼판 322:정류판
330:제1경사판 340:제2경사판
350:웨어 360:유출수로
400:순환라인
410:라인믹스 420...배출량측정센서
430:회수라인
500:농축조
510:제2배출라인
600:탈수기.
B:슬러지블랭킷.
Claims (5)
- 원수와 중화제 및 응집제를 포함한 화학약품과 혼합되는 중화조(100)와, 중화조(100)의 반응수가 유입되는 침전조(300)를 구비하는 침전장치에서,
상기 중화조(100)에서 혼합되어 유입된 반응수를 침전조(300)로 공급하도록 설치된 반응조(200);
상기 침전조(300)에 수집된 일부 슬러지를 순환시켜 중화조(100)로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공급되는 슬러지의 양을 체크하는 배출량측정센서(420)를 구비한 순환라인(400);
상기 순환라인(400)에 연결되고, 순환라인(400)의 슬러지 유동량이 과도하다고 판단되면, 개방되어 순환라인(400)을 통해 유동하는 슬러지의 과잉 유동량을 회수하도록 설치된 회수라인(430);과
상기 회수라인(430)과 연결되어 순환라인(400) 내의 과잉 공급된 슬러지를 회수하도록 설치된 농축조(500);를 포함하고,
상기 순환라인(400)을 통해 공급된 슬러지의 플록과, 중화조(100) 내의 원수에 포함된 슬러지의 플록들이 접촉하여 동반응집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침전조(300)에 수집되어 순환라인(400)으로 배출되고 남은 잔여 슬러지가 유입되고, 농축조(500)로부터 농축된 슬러지가 유입되도록 설치된 탈수기(600),
상기 순환라인(400)상에 배치되고, 슬러지가 유입된 후 믹싱되어 중화조(100)로 배출되도록 설치된 라인믹스(410),
상기 침전조(300)에서 순환라인(400)으로 유동되고 남은 잔여 슬러지가 탈수기(600)로 유동하도록 설치된 제1배출라인(311)과,
상기 농축조(500)에서 농축된 슬러지가 탈수기(600)로 유동하도록 설치된 제2배출라인(51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 제2항에서,
상기 침전조(300)는 슬러지를 수집하는 하부가 원추형상이면서 중공의 기둥형태인 몸체(310), 평면상 몸체(310)의 중앙부위에 배치되면서 높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반응수가 유입되는 반응부(320), 반응부(320) 내면에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면서 하단이 개방된 원추형상의 미끄럼판(321), 미끄럼판(321)의 개방된 하단 아래에 배치된 정류판(322), 몸체(310)의 내면에서 반응부(320)측으로 하향 경사진 제1경사판(330), 반응부(320)의 외면에서 제1경사판(330)측으로 하향 경사진 제2경사판(340)와, 몸체(310)의 상부 내부에 설치된 웨어(350) 및 유출수로(36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판(330)과 제2경사판(340)은 서로 엇갈리면서 반응수의 통과를 위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반응부(320)는 침전조(300) 하부에 수집된 슬러지의 표면 근처의 슬러지블랭킷(B) 부위로 반응수를 배출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2904A KR102068437B1 (ko) | 2019-04-12 | 2019-04-12 |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2904A KR102068437B1 (ko) | 2019-04-12 | 2019-04-12 |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8437B1 true KR102068437B1 (ko) | 2020-02-11 |
Family
ID=69568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2904A KR102068437B1 (ko) | 2019-04-12 | 2019-04-12 |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843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69294A1 (ko) * | 2021-02-05 | 2022-08-11 | 주식회사 파나시아 | 프리침전조가 형성된 선박용 세정액 처리장치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4656A (ja) * | 1997-10-06 | 1999-04-20 | Kurita Water Ind Ltd | 無機系汚染物含有水の処理装置 |
KR100418213B1 (ko) | 2001-07-06 | 2004-02-11 | 정영옥 | 일체형 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
KR100874477B1 (ko) | 2007-05-23 | 2008-12-18 | 정세영 | 수처리용 침전조 |
KR100946402B1 (ko) * | 2009-12-09 | 2010-03-09 | 계룡환경주식회사 | 고속 응집침전시스템 |
KR20100004577U (ko) | 2008-10-27 | 2010-05-07 | 황정훈 | 휴대용 까스통 저면반달홈 에 부착된 천공핀 |
KR20120016791A (ko) * | 2010-08-17 | 2012-02-27 | 효림산업주식회사 |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
KR101133316B1 (ko) * | 2011-06-20 | 2012-04-04 | 그린엔텍 주식회사 | 슬러지 순환식 튜브형 경사판 침전장치 |
-
2019
- 2019-04-12 KR KR1020190042904A patent/KR1020684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04656A (ja) * | 1997-10-06 | 1999-04-20 | Kurita Water Ind Ltd | 無機系汚染物含有水の処理装置 |
KR100418213B1 (ko) | 2001-07-06 | 2004-02-11 | 정영옥 | 일체형 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
KR100874477B1 (ko) | 2007-05-23 | 2008-12-18 | 정세영 | 수처리용 침전조 |
KR20100004577U (ko) | 2008-10-27 | 2010-05-07 | 황정훈 | 휴대용 까스통 저면반달홈 에 부착된 천공핀 |
KR100946402B1 (ko) * | 2009-12-09 | 2010-03-09 | 계룡환경주식회사 | 고속 응집침전시스템 |
KR20120016791A (ko) * | 2010-08-17 | 2012-02-27 | 효림산업주식회사 |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
KR101133316B1 (ko) * | 2011-06-20 | 2012-04-04 | 그린엔텍 주식회사 | 슬러지 순환식 튜브형 경사판 침전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169294A1 (ko) * | 2021-02-05 | 2022-08-11 | 주식회사 파나시아 | 프리침전조가 형성된 선박용 세정액 처리장치 |
KR20220113175A (ko) * | 2021-02-05 | 2022-08-12 | 주식회사 파나시아 | 프리침전조가 형성된 선박용 세정액 처리장치 |
KR102465690B1 (ko) * | 2021-02-05 | 2022-11-11 | 주식회사 파나시아 | 프리침전조가 형성된 선박용 세정액 처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08483A1 (en) |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 |
CN103395943B (zh) | 一种污水处理方法 | |
KR100941938B1 (ko) | 혼화응집설비를 갖춘 슬러지 수집기 | |
KR20100118372A (ko) | 응집-경사판 침전지를 전처리로 한 가압식 정밀여과기와 회수율 증대를 위한 공극제어형 섬유사여과기를 이용한 정수 처리 장치 및 방법 | |
KR20090102000A (ko) | 자가 응집기능의 장방형 침전시스템 | |
CN102910765A (zh) | 一种机加工切削液污水的破乳絮凝处理方法 | |
CN103880208A (zh) | 一种铅酸废水处理工艺 | |
CN209226708U (zh) | 一种高浓度悬浮物去除的微砂高速沉淀一体化装置 | |
KR102068437B1 (ko) | 동반응집반응을 이용한 일체형 초고속 응집 경사판 침전장치 | |
CN210945141U (zh) | 一种井下多效高密度澄清设备 | |
CN110678244B (zh) | 沉淀和漂浮分离工序一体化高效率沉淀漂浮系统以及其驱动方法 | |
CN205473060U (zh) | 一体化多功能废水处理装置 | |
KR101061982B1 (ko) | 총인 제거를 위한 개선된 하·폐수처리시설 | |
CN109748419A (zh) | 一种污水处理反应器 | |
CN108975564A (zh) | 酸性矿山排水处理系统 | |
KR20050009976A (ko) | 응집 침전방법 및 장치 | |
CN209098305U (zh) | 一种用于排泥水生物氧化除锰的曝气沉淀一体化反应装置 | |
CN208265916U (zh) | 一种高效复合eps反应器 | |
CN106943774A (zh) | 一种污水高效沉淀池 | |
CN107973446A (zh) | 一种洗毛废水预处理工艺 | |
KR20190102376A (ko) | 고효율 혼화·응집침전설비를 갖춘 굴착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
US20130075341A1 (en) | Method for clarifying industrial wastewater | |
CN107019956A (zh) | 一种集成式污水深度处理装置 | |
CN114715986A (zh) | 一种磁分离技术的污水处理系统 | |
KR20050092154A (ko) | 폐수 처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