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883B1 - 악취 저감형 정화조 - Google Patents

악취 저감형 정화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883B1
KR101889883B1 KR1020170136046A KR20170136046A KR101889883B1 KR 101889883 B1 KR101889883 B1 KR 101889883B1 KR 1020170136046 A KR1020170136046 A KR 1020170136046A KR 20170136046 A KR20170136046 A KR 20170136046A KR 101889883 B1 KR101889883 B1 KR 101889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stewater
filtration
sedimentation
sett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호
김성진
송호면
이재엽
유성수
지현욱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36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8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8Plurality of plates inclined in alternating dir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3Settling tank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Biological Wast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발생 물질의 생성을 최소화하여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오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와 유출을 위한 바이패스 유출구가 형성되는 침전조; 격벽을 통해 상기 침전조와 구획되고, 상기 침전조를 통과한 오수를 여과하며, 상기 여과된 오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는 여과조; 및 상기 침전조와 여과조를 통과한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부패 처리하는 부패조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와 상기 여과조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패조의 일측에서 연결 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악취 저감형 정화조{ODOR REDUCING SEPTIC TANK}
본 발명은 악취 저감형 정화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수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발생 물질의 생성을 최소화하여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시민들의 요구와 함께 급증하는 악취관련 민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인구가 밀집된 도심지역의 환경기초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악취에 비하여 발생 빈도 및 농도가 현저히 낮지만, 심미적, 정신적 감각공해로서 지속적으로 불쾌감과 혐오감을 유발하며, 악취로 인한 정신적 스트레스, 악취의 원인인 황화수소(H2S)에 의한 가스질식사고 유발 등의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정화조에서 악취원인인 황화수소가 발생 배출되는 과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최근까지 시공된 단독 정화조는 부패탱크방식의 기술이 간단하고 경제적 이점이 높아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단독 정화조 중에서 가장 많이 시공된 부패탱크 방식은 일반적으로 2단 및 3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1단 혹은 2단의 침전 부패조 안에서는 고형의 오염물질이 1차 침전되고, 2차 미생물에 의한 혐기 소화(부패)에 의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혐기소화 방식은 오염물질 제거에 있어 낮은 유지관리 비용으로 인하여 물리화학적 방법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효과적이지만 고농도의 악취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정화조에서 발생하는 악취는 크게 휘발성 황화합물(VSCs;Volatile Sufur Compounds), 휘발성 질소화합물(VNCs;Volatile Nitrogenous Compounds), 휘발성 지방산(VFAs;Volatile Fatty Acids)로 분류되며, 침전 및 퇴적된 오염물질이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로 인하여 급격한 산소 및 전자수용체의 감소로 인하여 산소전달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황산염 환원상태 혹은 완전혐기성 상태가 유지되어 악취 유발물질이 대량으로 발생한다.
특히, 정화조에서 악취의 발생 장소는 주로 부패조와 방류조 유출구에서 발생하는데, 부패조에서는 혐기성미생물에 의하여 악취물질(황화수도 등)이 발생하며, 방류조 유출구 및 부패조에서 생성된 악취물질들이 방류조에서 펌핑되어 유출관을 하수관거로 유입되어 하수관거 및 맨홀에서 악취가 발생한다.
현재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는 하수도 악취저감 기술들은 대부분 맨홀, 빗물받이, 토구 등의 배출원에서 지상으로 배출되는 악취를 차단하거나, 환경기초시설에서 부관을 통해 단차를 완화시켜 발산을 저감시키는 차단형식이다. 이러한 기술들은 일시적으로 악취 저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나 수중 및 하수관 내에 악취 물질이 그대로 남아 있기 때문에 타 배출원에서 또 다시 악취 문제를 야기한다.
일부 환경기초시설에서 악취 유발 물질을 저감시키는 공기공급장치, SOB(Sulfur Oxidizing Bacteria) 메디아, 산화장치 기술들의 경우, 악취 저감 효율은 뛰어나나 추가적인 기계 설비가 필요하고, 전력 또는 용수 등의 추가적인 유지관리 비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환경기초시설에서 악취 유발물질의 생성 자체를 억제함으로써 악취를 저감시키고, 경제성 측면에서 효율적인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0288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687호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7028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687호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오수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발생 물질의 생성을 최소화하여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전조와 여과조를 전단부에 배치하여 침전조로 유입되는 오수의 체류 시간을 5분 이내로 구성할 수 있어 주요 악취 발생 물질인 황화수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침전조와 여과조의 후단부에 부패조를 배치하여 부패조에서 생성된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빗물받이를 활용하여 침전조와 여과조를 구성하고 기존 정화조에 침전조와 여과조의 적용 및 설치가 용이하여 악취 저감을 위한 시설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오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와 유출을 위한 바이패스 유출구가 형성되는 침전조; 격벽을 통해 상기 침전조와 구획되고, 상기 침전조를 통과한 오수를 여과하며, 상기 여과된 오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는 여과조; 및 상기 침전조와 여과조를 통과한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부패 처리하는 부패조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와 상기 여과조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패조의 일측에서 연결 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순간 수용량보다 많은 양의 오수 유입시 상기 순간 수용량을 초과하는 오수를 여과시킨 후 상기 바이패스 유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여재 카트리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상기 오수의 유입 속도에 의해 상기 오수의 교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격자 형상의 교란 방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ㅅ자형으로 형성되고,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의 낙하 속도를 제어하는 침전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전 플레이트는 일정 무게 이상의 침전물이 감지되면 상기 무게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침전물을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서로 다른 입경을 가지고,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여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와 상기 여과조의 하단면은 상기 침전조에서 상기 여과조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되, V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를 통과하여 상기 여과조로 유출되는 오수의 잔존 시간은 상기 침전조로 유입된 시점부터 상기 여과조로 유출되는 시점까지 5분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저감형 정화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수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발생 물질의 생성을 최소화하여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침전조와 여과조를 전단부에 배치하여 침전조로 유입되는 오수의 체류 시간을 5분 이내로 구성할 수 있어 주요 악취 발생 물질인 황화수소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침전조와 여과조의 후단부에 부패조를 배치하여 부패조에서 생성된 악취가 외부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빗물받이를 활용하여 침전조와 여과조를 구성하고 기존 정화조에 침전조와 여과조의 적용 및 설치가 용이하여 악취 저감을 위한 시설 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정화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저감형 정화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저감 정화조의 침전조와 여과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악취 저감형 정화조에 대하여 도 2 및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저감형 정화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저감 정화조의 침전조와 여과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저감형 정화조(100)는 오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111)와 유출을 위한 바이패스 유출구(112)가 형성되는 침전조(110), 격벽(10)을 통해 침전조(110)와 구획되고, 침전조(110)를 통과한 오수를 여과하며, 여과된 오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122)가 형성되는 여과조(120), 및 침전조(110)와 여과조(120)를 통과한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부패 처리하는 부패조(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110)와 여과조(120)는 격벽(10)으로 분리되되,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부패조(130)의 일측에서 연결 부재(140)를 통해 부패조(130)와 연결될 수 있다. 침전조(110)와 여과조(120)는 기존의 하수도 설치용 빗물받이를 활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기존의 하수도 설치용 빗물받이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부패조(1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침전조(110)와 여과조(120)는 수세식 변기 1회 물 사용량에 대응하는 크기, 대략 12 ~ 15L로 형성되어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오수가 바이패스 유출구(112)와 유출구(122)로 유출될 때까지의 체류 시간이 5분 이내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침전조(110)와 여과조(120)는 12 ~ 15L로 형성되고,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오수의 유속에 따라 침전조(110)의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12 ~ 15L의 오수를 여과조(120)의 유출구(122)로 배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5분 이내로 이루어지는 오수의 배출 속도로 인해 오수에 포함된 황산염의 환원시간인 2 ~ 3시간에 미치지 않아 침전조(110)와 여과조(120)에서 수중 황화수소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황화수소의 생성 억제에 따라 악취를 저감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100)에 대하여 아래에서 각 구성별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오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11)로부터 오수의 흐름에 따라 침전조(110), 여과조(120), 부패조(13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침전조(110)는 오수가 최초로 유입되는 공간으로, 오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111)가 형성되고, 최초로 유입되는 오수의 양이 많을 경우 오수의 일부를 여과하여 유출하기 위한 바이패스 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최초로 유입되는 오수의 양이 많은 경우는 수세식 변기 1회 물 사용량보다 많은 것으로, 연속으로 수세식 변기를 사용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침전조(110)는 순간 수용량, 즉 수세식 변기 1회 물 사용량보다 많은 양의 오수 유입시 순간 수용량을 초과하는 오수를 여과시킬 수 있는 여재 카트리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침전조(110)와 여과조(120)는 그 크기의 합이 수세식 변기 1회 물 사용량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오수의 양이 침전조(110)와 여과조(120)의 크기(여기에서 크기는 순간 수용량에 대응함)를 초과하는 경우 여과조(120)에서 모든 오수를 유출시킬 수 없다. 이에 따라 여과조(120)의 유출구(122)로 70~80%의 오수가 배출되고, 침전조(110)의 바이패스 유출구(112)로 20~30%의 오수가 배출될 수 있다.
여재 카트리지(113)는 침전조(110)의 바이패스 유출구(112)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침전조(110)의 유입구(111)로 유입된 순간 수용량을 초과하는 오수의 배출시 해당 오수를 여과한 후 바이패스 유출구(112)로 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여재 카트리지(113)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제작되어 교체가 용이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입경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재 카트리지(113)는 외측면이 부직포, 헝겊, 종이, 금속 망 등 다공성 망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여재가 담아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오수의 여과 정도에 따라 오염도가 심한 여재 카트리지(113)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재 카트리지(113)는 오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침전물을 포함함)을 여과 및 필터링하기 위해 오염물질의 크기에 따라 큰 입경을 가지는 쇄석, 자갈, 우드칩, 굵은 모래와 같은 여재를 포함하거나, 작은 입경을 가지는 미세 모래, 점토와 같은 여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침전조(110)는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오수의 유입 속도에 의해 오수의 교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격자 형상의 교란 방지 부재(114)를 포함할 수 있다. 교란 방지 부재(114)는 유입구(111)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동일한 크기 또는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지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되는 오수와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 등이 관통홀을 통과하면서 교란 발생이 최소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란 방지 부재(114)는 침전조(110)의 벽 및 침전조(110)와 여과조(120) 사이의 격벽(10)에 연결되는 축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격자 형상의 회전 날개 판을 포함하여, 회전하면서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오수의 교란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침전조(110)는 교란 방지 부재(114)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오수의 낙하 속도를 제어하는 침전 플레이트(115)를 포함할 수 있다.
침전 플레이트(115)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호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교호하게 배치될 수 있다. 침전 플레이트(115)는 침전조(110)의 벽 및 침전조(110)와 여과조(120) 사이의 격벽(10)에 교호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ㅅ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침전 플레이트(115)는 ㅅ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이 흘러 내려가지 않고 남아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ㅅ자의 절곡된 각도에 따라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의 낙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침전 플레이트(115)는 ㅅ자의 절곡된 정도가 크면 경사가 가파르게 되어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의 낙하 속도가 빨라지고, ㅅ자의 절곡된 정도가 작으면 경사가 완만하게 되어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의 낙하 속도가 느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침전물의 침전 효율은 표면적 부하율을 따르며, 낙하 속도가 표면적 부하율 보다 크면 침전이 일어난다. 표면적 부하율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7103370747-pat00001
V는 표면 부하율, Q는 오수의 유량, A는 침전지 표면적(침전 플레이트(115)의 표면적)을 말한다.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의 침전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표면적 부하율이 작아야 하고, 표면적 부하율이 작기 위해서 침전지 표면적의 증가, 침강 속도의 증가, 유량의 감소가 필요하다. 침강 속도의 증가와 유량의 감소를 구현하기에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따르므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침전 플레이트(115)를 통해 침전 면적을 증가시켜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의 침전 효율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침전 플레이트(115)는 일정 무게 이상의 침전물이 감지되면 침전물의 무게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침전물을 낙하시킬 수 있다. 침전 플레이트(115)는 무게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기준 무게 이상의 침전물이 감지되면 상하좌우의 진동을 발생시켜 흘러 내려가지 않고 남아있는 침전물을 낙하시킬 수 있다.
침전조(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는 교란 방지 부재(114), 침전 플레이트(115)를 거쳐 격벽(10)을 통해 분리되는 여과조(120)로 유입된다.
여과조(120)는 격벽(10)을 통해 침전조(110)와 구획되고, 침전조(110)를 통과한 오수를 여과하여 유출시킨다. 여과조(120)는 상단부에 오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122)가 형성되고, 침전조(110)의 유입구(111)를 통해 유입되는 오수의 유입 속도에 따라 여과조(120)의 하단부부터 상단부를 통과하는 오수를 여과하여 필터링된 오수를 유출구(122)로 유출시킬 수 있다.
여과조(120)는 서로 다른 입경을 가지고,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여재 카트리지(123)를 구비할 수 있다. 여재 카트리지(123)는 침전조(110)의 여재 카트리지(113)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오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함에 따라 유출구(122)를 통해 유출되는 오수로 인해 하수관에 퇴적 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재 카트리지(123)는 경제성 측면에서 뛰어난 저회경량골재를 여재로서 포함할 수 있고, 하단 카트리지에서 입경 20mm의 여재를 사용하고, 상단 카트리지에서 입경 15mm의 여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침전조(110)와 여과조(120)의 하단면은 침전조(110)에서 여과조(120)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되, V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20)는 침전조(110)의 하단면에서 W1의 폭을 가지고 여과조(120)의 하단면에서 W1보다 작은 W2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대략 협곡 모양)되며, 침전조(110)에서 여과조(120) 방향으로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20)는 이러한 형상에 따라 침전조(110)와 여과조(120)에서 침전되는 침전물을 한데 모을 수 있어 오수에 대한 침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침전조(110)와 여과조(120)는 연결 부재(140)를 통해 부패조(130)의 일측에서 부패조(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140)는 플랜지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체로 형성되는 침전조(110)와 여과조(120)를 부패조(130) 또는 기 설치된 정화조의 일측에 연결할 수 있어, 적용성과 설치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부패조(130)는 침전조(110)와 여과조(120)를 통과한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부패하는 공간에 해당한다. 부패조(130)는 대략 1년 주기로 청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저감형 정화조(100)는 침전조(110)의 유입구(111)로 유입된 오수를 부패조(130)를 거치지 않고 바이패스 유출구(112) 및 유출구(122)로 배출함으로써 부패조(130)에서의 악취물질(고농도의 악취물질)이 정화조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구조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악취 저감형 정화조
110: 침전조
120: 여과조
130: 부패조
140: 연결 부재

Claims (8)

  1. 오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구와 유출을 위한 바이패스 유출구가 형성되고, 순간 수용량보다 많은 양의 오수 유입시 상기 순간 수용량을 초과하는 오수를 여과시킨 후 상기 바이패스 유출구로 배출하기 위한 여재 카트리지가 형성되는 침전조;
    격벽을 통해 상기 침전조와 구획되고, 상기 침전조를 통과한 오수를 여과하며, 상기 여과된 오수의 유출을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는 여과조; 및
    상기 침전조와 여과조를 통과한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을 부패 처리하는 부패조를 포함하고,
    상기 침전조와 상기 여과조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패조의 일측에서 연결 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상기 오수의 유입 속도에 의해 상기 오수의 교란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격자 형상의 교란 방지 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는
    ㅅ자형으로 형성되고,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오수에 포함된 침전물의 낙하 속도를 제어하는 침전 플레이트가 형성되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 플레이트는
    일정 무게 이상의 침전물이 감지되면 상기 무게에 대응하는 진동을 발생시켜 상기 침전물을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조는
    서로 다른 입경을 가지고, 교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여재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와 상기 여과조의 하단면은
    상기 침전조에서 상기 여과조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되, V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를 통과하여 상기 여과조로 유출되는 오수의 잔존 시간은
    상기 침전조로 유입된 시점부터 상기 여과조로 유출되는 시점까지 5분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저감형 정화조.
KR1020170136046A 2017-10-19 2017-10-19 악취 저감형 정화조 KR101889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046A KR101889883B1 (ko) 2017-10-19 2017-10-19 악취 저감형 정화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046A KR101889883B1 (ko) 2017-10-19 2017-10-19 악취 저감형 정화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883B1 true KR101889883B1 (ko) 2018-08-21

Family

ID=63453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046A KR101889883B1 (ko) 2017-10-19 2017-10-19 악취 저감형 정화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8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60573A (zh) * 2020-08-18 2020-11-20 赵月 一种高效的废水除臭净化装置
KR102265834B1 (ko) * 2020-06-05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악취 저감형 정화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082A (ko) * 2001-03-08 2002-09-14 대현산업주식회사 막분리형 정화조
US7727388B1 (en) * 2003-11-06 2010-06-01 Houck Randall J Septic tank and drainfield products, systems and methods
KR20120016791A (ko) * 2010-08-17 2012-02-27 효림산업주식회사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KR101170288B1 (ko) 2012-01-06 2012-07-31 (주)엑센 정화조의 악취 처리장치
KR101402687B1 (ko) 2012-12-07 2014-06-03 디에이치엠(주) 공기공급 및 sob 매체를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및 악취 저감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082A (ko) * 2001-03-08 2002-09-14 대현산업주식회사 막분리형 정화조
US7727388B1 (en) * 2003-11-06 2010-06-01 Houck Randall J Septic tank and drainfield products, systems and methods
KR20120016791A (ko) * 2010-08-17 2012-02-27 효림산업주식회사 침전조의 상부에 중화조와 응집조를 구비한 일체형 침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전방법
KR101170288B1 (ko) 2012-01-06 2012-07-31 (주)엑센 정화조의 악취 처리장치
KR101402687B1 (ko) 2012-12-07 2014-06-03 디에이치엠(주) 공기공급 및 sob 매체를 이용한 악취 저감 장치 및 악취 저감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5834B1 (ko) * 2020-06-05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악취 저감형 정화조
CN111960573A (zh) * 2020-08-18 2020-11-20 赵月 一种高效的废水除臭净化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693B1 (ko) 초기 우수 처리 장치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US6905599B2 (en) Prefilter for water treatment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1382006B1 (ko) 합류식 하수관거의 월류수 및 초기 우수 처리장치
US20090200216A1 (en) Storm drain filter
KR100648794B1 (ko) 하천수 및 호소수 정화 장치
KR20150144975A (ko) T형 와류통과 다단필터가 구비된 비점오염원 처리 장치
KR100491866B1 (ko) 초기우수유출수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1889883B1 (ko) 악취 저감형 정화조
KR101273679B1 (ko) 초기빗물처리조를 포함한 친환경 하이브리드 빗물재이용시스템
KR101554029B1 (ko) 무동력 사이펀 연결관로를 이용한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Shammas et al. Sedimentation
KR200378313Y1 (ko) 도로 배수 시설에서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1532191B1 (ko)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역세척 기능이 가능한 여과블록 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377629Y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KR100628881B1 (ko) 집약적 폐수처리장치
CN1285322A (zh) 城市地下管道式污水处理装置
KR200331355Y1 (ko) 우수 및 하천수 정화구조
JP3468171B2 (ja) 廃水処理装置
KR100879788B1 (ko) 초기우수에 의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오폐수 처리장치, 그 방법, 및 시스템
KR102441986B1 (ko) 와류 및 여과형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CN212594474U (zh) 农村污水预处理装置
KR200359694Y1 (ko) 모듈형 습지기반설비와 모듈형 접촉산화·여과설비를 병합한 하천수, 호소수, 또는 유출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