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167A - 차량용 도어 스커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스커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167A
KR20150130167A KR1020140057405A KR20140057405A KR20150130167A KR 20150130167 A KR20150130167 A KR 20150130167A KR 1020140057405 A KR1020140057405 A KR 1020140057405A KR 20140057405 A KR20140057405 A KR 20140057405A KR 20150130167 A KR20150130167 A KR 20150130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bstrate
layer
present
lo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4114B1 (ko
Inventor
박형민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411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4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4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17Doors, e.g. door sills;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6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 B60Q3/62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optical aspects using light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2013/046Foo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추출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스커프에 관한 것으로, 광출사면 쪽의 문자 로고 영역에서 빛의 확산광을 극대화하고 흡수광을 최소화하는 인쇄층을 형성하여, 내부에서 손실되는 빛을 최대한 추출하여 광균일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스커프{oor scuff for a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추출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스커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사이드 실에는 승객의 승/하차를 돕기 위한 도어 스커프(Door scuff)가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도어 스커프는 승객의 승/하차시 발판의 기능을 수행하여 차체의 손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문자와 숫자를 포함하는 각종 로고 등의 표시물을 발광 가능한 구조로 구성하여 차량의 식별력 내지 심미감(審美感)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그 이외에도 상기 도어 스커프에 차량의 명칭, 차량 제조회사, 차량의 특성 등을 홍보하기 위한 특정 문자 또는 로고와 같은 소정의 도안을 새긴 후 상기 도안상에 색상안료, 형광필름 또는 야광필름 등의 색상필름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도안의 식별력을 향상시키는 방식이 있다.
그런데, 기존과 같이 도어 스커프의 도안에 색상안료 또는 색상필름을 삽입 형성시킨 경우, 주위환경이 어둡거나 야간인 경우에 도안의 식별력이 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탑승자의 승하차 시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 홍보 등의 효과가 저하는 문제점 또한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도어 스커프의 구조가 얇은 판상의 구조물로 구현되는바, 판상의 발광면적에 대하여 균일한 광량을 구현하기가 어려우며, 글자, 로고 등의 삽입되는 구조물에 의해 광이 흡수되어 전체적인 광손실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광출사면 쪽의 문자 로고 영역에서 빛의 확산광을 극대화하고 흡수광을 최소화하는 인쇄층을 형성하여, 내부에서 손실되는 빛을 최대한 추출하여 광균일도를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스커프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출사면인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로고패턴부를 포함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기판의 중심부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의 타면에 광흡수방지층 및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스커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출사면 쪽의 문자 로고 영역에서 빛의 확산광을 극대화하고 흡수광을 최소화하는 인쇄층을 형성하여, 내부에서 손실되는 빛을 최대한 추출하여 광균일도를 향상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스커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흡수광을 최소화하면서도 확산광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바, LED 패키지 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저전류 구동이 가능하여 제품수명을 증대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스커프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커프의 분리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커프의 결합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상부 평면의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여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스커프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분리 개념도 및 결합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스커프는 광출사면인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로고패턴부(120)를 포함하는 베이스 기판(110)을 포함하는 기판모듈(100) 및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기판의 중심부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타면에 광흡수방지층(130) 및 광확산층(1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통해, 광원모듈(200)에서 출사한 광이, 별도의 도광판 등의 구조물이 없이 광이동 공간부(240) 내로 진행하며, 광흡수방지층(130) 및 광확산층(140)을 통해 반사, 확산하는 광이 상부의 로고패턴부(120)으로 광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해 전체적인 도어 스커프의 광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기판(100)은 광투과성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유리기판이나 수지재질의 기판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PMMA, A-PET, PETG, PC, PET, PI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의 베이스 기판(100)은 상부 표면(일면)에 대향하는 반대표면(타면)에 로고나 문자 등의 형상에 대응되는 음각의 패턴이 구현될 수 있으며(이하, '로고패턴부(120)'이라 한다.), 상기 로고패턴부(120)는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표면에서 내부로 직접 기계가공이나 사출 등의 방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로고패턴부(120)는 상기 기판(100)의 측면부에서 출사되는 광이 상기 기판의 길이방향으로 진행을 하는 중, 오목한 홈 내부로 광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여 광 추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하부의 베이스기재(230)의 상면에 배치되는 반사부재(220)와 상기 기판의 타면에 형성되는 광흡수방지층(130) 및 광확산층(140)과 반사 확산하는 광을 음각구조의 로고패턴부(12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고패턴부(120)로의 광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베이스 기판(110)의 타면에 광흡수방지층(130) 및 광확산층(140)을 형성한다. 상기 광흡수방지층(130)은 도어 스커프에서 투명 기판에서 글자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발광을 방지하기 위해 블랙(black) 인쇄층을 형성하여, 외부로 로고부분이나 문자부분만이 발광하고, 그 외 부분은 블랙 인쇄층으로 커버하여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처리하는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블랙 인쇄층에서 광을 흡수하는 성질이 강하여 상당량의 광이 소실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다양한 색상이나 디자인을 도입하기 어려워 색상선택의 자유도가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스커프에서는 기판의 타표면에 로고나 문자가 형성되는 로고패턴부(120) 이외의 영역에 2 중 구조의 광학층을 형성하여 이러한 색상선택의 자유도와 광추출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타면에 광흡수방지층(130) 및 광확산층(140)을 순차로 적층하는 구조로 구현하는 경우, 특히 광확산층(140)의 색상을 화이트(white)계열의 물질층으로 구현하여 반사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그 상면에 형성되는 광흡수방지층(130)은 블랙(흑색) 색상 이외에도 빛의 흡수로 인한 소실문제를 광확산층(140)이 해소할 수 있게 되는바, 황색, 적색, 초록색 등 다양한 색상을 기판 표면에 형성하게 되는바, 도어스커프 자체의 색상을 다채롭게 구현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즉, 차량용 도어 스커프에서 빛이 한 쪽 또는 양 쪽에서 입사하여, 로고가 형성되는 표면으로 발광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로고나 글자부위로 최대한 빛이 추출될 수 있도록 하여 광량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나, 대부분의 빛이 정반사되거나 흡수되어 외부로 추출되는 광량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백색계열의 광확산층을 형성하여 정반사보다는 난반사특성을 유도하여 확산을 강화하며, 빛이 검은색 계열의 수지층에 흡수되거나 단파장만 흡수되어 빛의 색상이 변하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나아나, 이렇게 광확산층(140)에 의해 난반사 및 확산하는 광이 음각패턴으로 구현되는 로고패턴으로 쉽게 유도될 수 있게 되며, 홈 가공이 되는 로고패턴부 내부로 진입하는 광의 추출표면적을 증대할 수 있도록 해, 광의 추출효율을 더욱 극대화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고패턴부(120)의 내표면에는 표면조도를 형성하여 추출되는 광의 접촉표면적을 더욱 늘림과 동시에 확산 및 산란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확산층(140)은 백색 PET로 코팅 또는 인쇄 등의 방법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광확산층(140)을 형성하는 경우, 백색안료에 합성수지를 혼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백색계열의 반사층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백색 안료는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탄산연, 황산바륨, 탄산칼슘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합성 수지로서는 폴리에틸엔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아크릴수지, 콜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셀룰로소스 아세테이트, 내후성 염화비닐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반사모듈의 내표면에 TiO2, CaCo3, BaSo4, Al2O3, Silicon, P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반사잉크를 이용하여 패터닝하거나, 상술한 시트나 코팅 등의 반사층 표면에 패터닝함으로써, 반사효율을 더욱 높이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프레임(230)은 다양한 합성수지재의 프레임을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그 상면에는 반사부재(220)을 더 포함하여, 상기 광원모듈(200)의 광원(210)에서 출사하는 광을 반사 및 산란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부재(220)는 합성수지재나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나 시트의 표면에 Al 증착이나 Al 시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이와는 달리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수지재 또는 표면에 반사물질이 코팅된 구조물을 사용하여 반사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는 반사부재로 수지 재질, 금속 재질, 비금속 재질일 수 있으며, 이러한 예로는 Al, PC, PP, ABS, PBT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반사물질로 상술한 반사부재 상에 코팅되거나 반사패턴으로 패터닝될 수 있는 물질로는 은(Ag), 알루미늄(Al), 백금(Pt), 크롬(Cr), 니켈(Ni), 티타늄 산화물, 규소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 마그네슘 불화물, 탄탈륨 산화물 및 아연 산화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층의 구현재료는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시트나 필름 형태가 아니라 증착형 박막형태나 반사패턴 형태도 가능하며, 빛의 반사특성 및 빛의 분산을 촉진하는 특성을 구현하여 위하여 상술한 백색안료를 분산 함유하는 합성 수지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광원모듈(200)은 기본적으로 광원(210)을 실장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기판 상에 회로패턴이 형성된 기판, 즉 PCB를 의미하며, 불투명한 기판 뿐만아니라, 투명 재질의 인쇄회로기판, 플렉시블(flexible)한 기판을 포함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FR4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하여 견고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연성을 가지는 PET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절곡면의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는 일정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형성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메탈 코어(metal core) PCB(Printed Circuit Board), FR-4 PCB, 및 일반 PC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원모듈(200)을 구성하는 상기 광원(210)은 인쇄회로기판 상에 하나 이상의 광원이 배열되어 광을 출사하는 부분으로서, 다양한 광원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일예로 고체발광소자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체발광소자는 LED, OLED, LD(laser diode), Laser, VCSEL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광소자를 LED를 적용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LED는 적색광을 발생하는 레드 LED 칩, 청색광을 발생하는 블루 LED 칩, 녹색광을 발생하는 그린LED 칩과 같은 유색의 LED 칩으로 구현되거나, UV LED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아울러, PCB 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칩들이 탑재될 수 있으며, LED 칩의 종류 및 탑재 개수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발광 소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소자(예: 제너 다이오드)가 탑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원은 측면형(side view type) 발광다이오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출사되는 광의 방향이 바로 상부로 직진하는 것이 아니라 측면을 향해서 출사하는 구조의 발광다이오드를 본 발명의 광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반사부재(220)와 접촉하는 출사광의 전달율을 높이고 광 소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구현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원모듈(200)은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타면과 밀착하는 구조로 배치되어 내부에 광이동 공간부(240)을 형성하는 구조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이며, 상기 광원모듈(200)이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측외부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별도의 실링재와 스패이서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광이동 공간부(240)을 형성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광원모듈(200)의 광원(210)에서 출사되는 광(a1, a2, a3)은 별도의 도광판 등의 부재 없이 광이동 공간부(240) 내로 진행하면서, 반사부재(220)의 표면에서 반사, 산란하여 상부의 표면으로 진행하거나, 로고패턴부(120)으로 진입하여 광추출되어 로고나 문자 부분을 발광(b1, b2, b3)하게 된다.
특히, 상기 베이스 기판(110)의 타면에 형성되는 광확산층(140)의 표면에 닿은 반사광이나 출사광은 대부분 흡수되거나 소실되지 않고 다시 하부의 반사부재(220)으로 재반사되는 과정을 되풀이하며, 오목한 홈부인 로고패턴부(120)으로 추출되는 확율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최소한의 광원(LED)만으로도, 도어 스커프에 필요한 충분한 광을 제공할 수 있게 되며, 매우 간단한 구조와 LED 패키지 만으로도 균일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바, 그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광확산층(140)과 베이스 기판(110)의 타면과의 사이에 광흡수방지층(130)의 색상을 자유롭게(광흡수나 내부 구조물이 보여 시인성이나 디자인적 미감이 훼손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음) 선택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3은 도 2에서 로고나 문자 부분에 대하여 음각의 패턴이 형성되는 로고패턴부(120)의 상부면의 발광부(b1, b2, b3)를 예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글자부분은 음각의 로고패턴부 부분으로 광추출되어 발광되는 부분이며, 그 외 부분은 2중층 구조로 형성되는 광확산층 및 광흡수방지층 영역으로 상술한 것과 같이, 흑색 이외에도 다양한 색상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광흡수로 인한 소실의 문제 없이 균일한 광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기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기판모듈
110: 베이스기판
120: 로고패턴부
130: 광흡수방지층
140: 광확산층
200: 광원모듈
210: 광원
230: 반사부재
240: 베이스프레임

Claims (7)

  1. 광출사면인 일면에 대향하는 타면에 로고패턴부를 포함하는 베이스기판을 포함하는 기판모듈; 및
    상기 기판의 일측 또는 양측에서 기판의 중심부 방향으로 광을 출사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기판의 타면에 광흡수방지층 및 광확산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스커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고패턴부는,
    음각의 패턴구조인 차량용 도어 스커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음각의 패턴구조의 내 표면에 표면 조도처리가 구현되는 차량용 도어 스커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방지층 및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로고패턴부가 형성되는 이외의 영역에 대한 기판의 표면에 적층되는 차량용 도어 스커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방지층이 상기 기판의 타면에 밀착하며,
    상기 광확산층은 상기 광흡수방지층 상에 적층되는 백색물질층인 차량용 도어 스커프.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과 상기 기판의 타면 사이에 광이동 공간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도어 스커프.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원모듈에서 출사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베이스기재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 스커프.
KR1020140057405A 2014-05-13 2014-05-13 차량용 도어 스커프 KR102314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405A KR102314114B1 (ko) 2014-05-13 2014-05-13 차량용 도어 스커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405A KR102314114B1 (ko) 2014-05-13 2014-05-13 차량용 도어 스커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167A true KR20150130167A (ko) 2015-11-23
KR102314114B1 KR102314114B1 (ko) 2021-10-18

Family

ID=5484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405A KR102314114B1 (ko) 2014-05-13 2014-05-13 차량용 도어 스커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41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9041A (zh) * 2019-02-08 2021-09-24 韦巴斯托股份公司 车辆外壳组件
US20220153190A1 (en) * 2020-11-17 2022-05-1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panel light-emitting three-dimensional pattern in gradation
KR2022015718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발광 가니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897A (ja) * 2002-09-04 2004-03-25 Yazaki Corp 車両用イルミネーション装置
JP2007108438A (ja) * 2005-10-13 2007-04-26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照明装置
KR100877377B1 (ko) * 2007-04-13 2009-01-09 박영석 도어 스커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0897A (ja) * 2002-09-04 2004-03-25 Yazaki Corp 車両用イルミネーション装置
JP2007108438A (ja) * 2005-10-13 2007-04-26 Harison Toshiba Lighting Corp 照明装置
KR100877377B1 (ko) * 2007-04-13 2009-01-09 박영석 도어 스커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39041A (zh) * 2019-02-08 2021-09-24 韦巴斯托股份公司 车辆外壳组件
US20220153190A1 (en) * 2020-11-17 2022-05-19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panel light-emitting three-dimensional pattern in gradation
KR20220157182A (ko) *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용 발광 가니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4114B1 (ko) 2021-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758B2 (en) Illumination device
US20130003354A1 (en) Light Directing Sign Substrate
EP3118516B1 (en) Lighting unit for vehicle
KR20170064665A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20150130167A (ko) 차량용 도어 스커프
KR20140078371A (ko) 차량용 면조명
JP4862776B2 (ja) 表示装置
JP2004196201A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明装置
JP6081784B2 (ja) 発光装置
KR20150090459A (ko) 차량용 복합조명
JP2007258136A (ja) 光源体及び照明装置
KR102125679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JP2002245830A (ja) 導光板装置
KR102292690B1 (ko)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2146474B1 (ko) 조명장치
CN112721798A (zh) 可变换显示图案的汽车天窗用发光装置
JP2008081079A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照明装置
JP3231497U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JP3230450U (ja) 表示プレート
KR20050116764A (ko) 축광 유도등
US20230086391A1 (en) Lighting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same
JP5483614B2 (ja) 電子機器用カバー部材および電池蓋
JP3230449U (ja) バックライトモジュール
CN114423987B (zh) 照明装置
CN215154265U (zh) 可变换显示图案的汽车天窗用发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