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926A -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926A
KR20150129926A KR1020140056557A KR20140056557A KR20150129926A KR 20150129926 A KR20150129926 A KR 20150129926A KR 1020140056557 A KR1020140056557 A KR 1020140056557A KR 20140056557 A KR20140056557 A KR 20140056557A KR 20150129926 A KR20150129926 A KR 20150129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picture
top box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남
Original Assignee
박종남
(주)토이비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남, (주)토이비소프트 filed Critical 박종남
Priority to KR1020140056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29926A/ko
Publication of KR20150129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과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온라인 학습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에 해당되는 이미지 정보,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수신된 신호로 지정된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에서 생성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셋톱박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메뉴를 검색하고 선택하며 입력할 컨텐츠 영상을 각각 터치로 선택하는 터치 패드부와 상기 셋톱박스와 멀티미디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접속하여 모니터할 컨텐츠와 설정 컨텐츠의 신호가 상기 셋톱박스에 무선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하도록 출력하며 상기 셋톱박스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학습용 컨텐츠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학습용 컨텐츠 중에서 선택한 컨텐츠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선택 컨텐츠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을 산출하고, 상기 컨텐츠에 상기 특정 동작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애니메이션을 생성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교육 컨텐츠 제작에 관련된 지식이 거의 없는 일반인이라 할지라도 그림이나 동화에 관련하는 콘텐츠를 용이하게 창작하고 유아들이나 아동들에게 교육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콘텐츠의 이용으로 인한 창의력 증대 및 아동 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Online study contents system and the supply method for Infant and Children}
본 발명은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일반인 스스로 유아나 아동용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는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유치원, 학교, 학원 등 오프라인 상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최근 학습수단으로서의 인터넷의 가능성이 부각되면서 웹상에서 그 활용도와 기여도가 점차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종래 학습 제공 서비스에서는 학습 자료가 추가될 때마다 그 메뉴항목을 기존메뉴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메뉴관리를 해오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 결과 같은 주제의 학습 자료일지라도 각 학습 자료의 유형마다 학습 자료가 분산되어 있어서 매번 다른 메뉴 경로를 찾아 들어가야 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따라서 근래에는, 온라인 교육 방법으로서 일대일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구현하는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등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아무래도 유아 및 아동들에게 전달해야 하는 온라인 학습용 컨텐츠 교재의 제작은 전문지식은 물론이고 고도의 특수적인 능력이 요구된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콘텐츠를 제공받기가 매우 어려운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매우 고가(高價)임은 주지의 사실이므로 온라인 제공 컨텐츠 시스템의 필요성이 날이 갈수록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KR 2009-0008880 10 KR 2009-0063314 10 KR 2011-0018090 10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적인 지식이 없는 일반인도 누구나 쉽게 온라인 상에서 유아 및 아동용 콘텐츠를 개발하여 사용 할 수 있는 웹 마켓 플레스(Web market Place)를 구축하여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과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또한, 유아 또는 아동들이 쉽게 재미있게 이용할 수 있도록 컨텐츠 내에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기능을 추가하여 학습적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온라인 학습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에 해당되는 이미지 정보, 음악 정보,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수신된 신호로 지정된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에서 생성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셋톱박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메뉴를 검색하고 선택하며 입력할 컨텐츠 영상을 각각 터치로 선택하는 터치 패드부와 상기 셋톱박스와 멀티미디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컨텐츠를 업그레이드 실행시키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접속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신호가 상기 셋톱박스에 무선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하도록 출력하며 상기 셋톱박스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감시하는 제어부; 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학습용 컨텐츠 중에서 선택한 컨텐츠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이나 그림을 산출하고, 상기 컨텐츠에 상기 특정 동작이나 그림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셋톱박스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터넷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는 특정한 컨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컨텐츠의 선택과 관련되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셋톱박스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집, 분류 및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웹 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여 해당 창으로 이동하는 단계와 동화 또는 그림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동화 또는 그림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단계와 동화컨텐츠 또는 그림컨텐츠를 편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편집한 동화컨텐츠 또는 그림컨텐츠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저장된 동화컨텐츠 또는 그림컨텐츠를 이용하여 동영상파일을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동화이미지 또는 그림이미지와 동영상파일을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계는 저장된 동화 또는 그림컨텐츠에 설정된 영상 템플릿(Template)에 맞게 편집하고, 효과음악과 배경음악을 결합하여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는 상기 저장된 동화 또는 그림컨텐츠에 알맞는 나레이션이 녹음된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는 테마, 그림, 글, 효과음, BGM(배경음악), 나레이션을 해당하는 동화 또는 그림 컨텐츠에 알맞도록 선택하고 추가하여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은 일반인도 쉽게 제작을 하도록 함으로서, 유아 및 아동들에게 멀티미디어 동화(童畵), 색칠공부, 음악, 각종 학습게임 등을 습득시켜 줌으로 인하여 유아 및 아동들에게 인지 능력 향상 및 집중력, 창의력을 증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지식이 거의 없는 일반인이라 할지라도 쉽게 콘텐츠를 창작하고 유아들이나 아동들에게 교육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해당 콘텐츠의 창의적인 이용 및 질적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콘텐츠 제공방법의 흐름도.
도 4a는 컨텐츠 제작에 해당되는 웹페이지의 화면.
도 4b는 동화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열리는 창을 켑쳐한 사진.
도 4c는 그림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열리는 창을 켑쳐한 사진.
도 5는 동화저작 프로그램의 창이 형성된 화면.
도 6a ~ 도 6e는 컨텐츠를 편집하는 방식을 나타낸 화면.
도 7은 편집하여 제작된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창이 나타난 화면.
도 8은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기 위한 창이 나타난 화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컨텐츠를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총체적인 흐름을 나타낸 사진.
도 10은 그림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에 관한 화면캡쳐 도면.
도 11에 보면 대표이미지 제어를 클릭하여 저장된 대표이미지가 나타난 화면.
본 발명은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과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요 구성적 특징은 본 발명은 그림 또는 동화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에 해당되는 이미지 정보, 음악 정보,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수신된 신호로 지정된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에서 생성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셋톱박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메뉴를 검색하고 선택하며 입력할 컨텐츠 영상을 각각 터치로 선택하는 터치 패드부와 상기 셋톱박스와 멀티미디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컨텐츠를 업그레이드 실행시키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접속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신호가 상기 셋톱박스에 무선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하도록 출력하며 상기 셋톱박스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학습용 컨텐츠 중에서 선택한 컨텐츠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이나 그림을 산출하고, 상기 컨텐츠에 상기 특정 동작이나 그림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가 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전체적인 개략도인데,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셋톱박스(20 :Set-top Box), 터치 패드부(30)로 나뉘어 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제어함으로서, 별도의 장치(미도시)를 통한 화면의 제공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는 그림이나 동화의 컨텐츠에 해당하는 이미지, 음악, 영상 및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도록 하여 더욱 생동감있는 시청각 교육이 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셋톱박스(2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 사이에 기가비트(Giga-bit)전송 프로토콜이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 셋톱박스(2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하는 고화질의 영상신호를 압축없이 원본 데이터로 전송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가비트 전송 프로토콜을 적용할 경우에, 처리지연이 최소화가 되어 사용자에게 최적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에, 기가비트 속도의 전송 프로토콜이 적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와이파이 등의 통신망을 통해 상기 고화질의 영상신호를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셋톱박스(20)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인터넷과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TV와 연동되거나 독립적인 화면을 상기 셋톱박스(20)로부터 제공받을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최근의 스마트 폰 사용자의 급속도로 늘어가는 현실에 발 맞추어 상기 스마트 폰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스마트 폰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셋톱박스(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상기 셋톱박스(20)는 인터넷 통신 수단을 구비하고 영상 처리를 하는 요소로서 영상수신 기능뿐만이 아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와의 통신을 통한 각종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선택되는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셋톱박스(20)는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집, 분류 및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제공하는 것이다.
터치 패드부(30)는 공지된 타블렛(Tablette) 형태의 것으로, 터치 펜(도시는 생략)으로 패드부분을 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자의 대상이 유아나 어린이인 점을 감안하여 아이들이 활용하기 편한 가볍고 튼튼한 재질로 제작되며, 사용방법이 단순하고 용이한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2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100)의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부(40)는 상기 셋톱박스(20)와 멀티미디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것으로 선택하여 저장된 컨텐츠를 사용자가 얼마든지 업그레이드 실행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그림이나 동화 등의 학습정보를 계속하여 갱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컨텐츠를 업그레이드 하여 학습정보를 갱신하는 것에 관한 구체적인 기술에 대한 설명은 공지된 것이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5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40)와 접속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신호가 상기 셋톱박스(20)에 무선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40)에서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하도록 출력하며 상기 셋톱박스(20)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감시하는 기능을 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비롯한 각종 기능을 지원하는 셋톱박스(20)의 주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명령 등을 상기 터치 패드부(30)를 통하여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설정을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50)는 컨텐츠 변경, 음량조절 등과 같은 설정변경의 제어와 셋톱박스(20)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제어하는 기능도 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셋톱박스(20)는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받게 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하여 연결되는 인터넷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집, 분류 및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컨텐츠의 선택 폭이 넓도록 하여 유아나 아동들에게 유익하면서도 생동감이 넘치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컨텐츠 제공서버(6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로 학습용 컨텐츠를 전송하여 관련되는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전송된 상기 학습용 컨텐츠 중에서 선택한 컨텐츠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분석하여 특정한 동작 또는 그림을 산출하고, 상기 컨텐츠에 상기 특정 동작 또는 그림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결국, 처음에 컨텐츠를 선택할 때, 동화 컨텐츠일 경우에는 동작을 산출하여 관련 이미지를 산출하고, 그림 컨텐츠일 경우에는 그림 관련 이미지를 산출하는 것이다.
덧붙혀,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60)는 특정한 컨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컨텐츠의 선택과 관련되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되는 것이다.
상기 정보는 해당하는 컨텐츠, 가령 동화 컨텐츠일 경우의 예를 들면, 관련되는 에니메이션의 주인공인 뽀로로, 아기공룡 둘리, 펑키, 뚱이 등과 같은 케릭터의 이미지를 제공한거나 관련되는 만화영화의 주제곡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산출된 관련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하여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여 학습용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PC(본 발명의 인터넷과 연동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 포함)의 웹 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여 해당 창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제1단계) 상기와 같은 회원가입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기입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이름, 주소, 이메일, 휴대폰 번호 등을 기재하는 것으로 더욱 보안을 위하여는 공인인증서를 통한 본인확인 절차 등이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로그인을 하여 해당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그 다음 단계로 해당되는 웹 페이지로 이동을 하여 동화 또는 그림을 선택하게 된다. (제2단계) 여기서,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해당 페이지를 켑쳐한 사진이 있는데 상기 도 4a에 표시된 SDK는 Software Development Kit의 약자로서, 유아나 아동의 부모 또는 선생님이 가정 또는 학교에서 매우 쉽게 학습 컨텐츠를 동화나 그림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편집 툴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4b는 동화를 선택하였을 경우에 열리는 창을 켑쳐한 사진이며, 도 4c는 그림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열리는 창을 켑쳐한 사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체적 설명의 편의를 의하여 동화 컨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중심으로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절차로 사용자가 선택한 동화 또는 그림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것이다. (제3단계)
도 4b를 확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각 tool의 기능을 설명하면, 시스템 메뉴는 업로드(동화컨텐츠를 등록), 새로 만들기, 저장, 불러오기 등의 작업을 수행하며, 동화제목은 제작하는 동화에 대한 제목을 설정할 수 있으며, 편집메뉴는 동화에 다양한 기능을 적용하는 곳이고, 편집메뉴 추가정보는 프레임 정보나 글상자 제어에 필요한 정보가 현출되는 곳이며, 프레임 메뉴는 프레임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제작된 동화를 미리보기하는 기능을 하며, 프레임 정보는 현재 추가된 프레임의 현황이 나타나고 각 프레임을 선택하는 것이다 .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tool이 생성되는 창에서 사용자는 동화이미지 또는 그림이미지를 편집하는 것이다. (제4단계)
도 6a를 보면, 도 5에도 도시되어 있는 테마, 글, 그림, 효과음, 나레이션, BGM(배경음악) 등의 편집메뉴의 확대사진인데, 클릭하여 자신의 선택에 따라 이미지를 선택하여 독창적인 동화나 그림을 편집하여 창조시키는 것이다. 즉, 상기 단계는 도 6a에 도시되어 있는 테마, 그림, 글, 효과음, BGM(배경음악), 나레이션을 해당하는 동화 또는 그림 컨텐츠에 알맞도록 선택하고 추가하여 편집하는 것이다. 가령, 웃음을 자아내는 동화 컨텐츠일 경우에는 효과음을 경쾌하게 하고, 나레이션에 유머를 넣는 것 등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b는 테마를 선택하여 추가하는 도면인데, 동화제작을 하는데 있어서 주제분야를 선택하는 것이다. 도 6c는 동화 등을 설명하는 데 필요한 그림을 추가하는 것으로, 도 6d는 효과음을 추가하는 것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6e는 이러한 과정으로 추가된 편집메뉴가 저장되어 나타나는 부분을 확대한 사진이다.
도 7을 보면, 이러한 과정으로 제4단계를 통하여 편집한 동화 컨텐츠 또는 그림 컨텐츠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것이다. (제5단계)
그 다음 단계로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5단계에서 저장된 동화 컨텐츠 또는 그림 컨텐츠를 이용하여 동영상파일을 제작하는 것이다. (제6단계)
상기 저장된 동화 컨텐츠에 설정된 영상 템플릿(Template)에 맞게 편집하고, 효과음악과 배경음악을 결합하여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는 것이다. 동영상은 플래쉬 또는 GIF(Graphics Interface Format) 애니메이션과 같은 어플을 이용하여 제작할수 있으며, 저장된 동화나 그림 컨텐츠에 이미 설정된 영상 템플릿에 맞도록 편집하고, 배경음악을 결합하여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저장된 동화 또는 그림 컨텐츠에 알맞는 나레이션이 녹음된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 동화나 그림과 관련되는 해설 등을 수록하여 유아나 아동들에게 더욱 효과적인 학습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6단계에서 완성한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여 동화컨텐츠 또는 그림컨텐츠를 실행시키는 것이다. (제7단계)
한편,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수 있는 기록매체(CD-ROM 등)에 저장될수 도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으로 동화컨텐츠를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총체적인 흐름을 간략하게 나타낸 사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부모가 직접 온라인 상에서 동화를 제작하여, 이에 배경음악 등을 곁들여 온라인 동화책을 제작하여 유아에게 직접 제공하여 유아가 이에 대하여 매우 흥미를 가지게 되어 것이다.
이하에서는 그림컨텐츠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상기 동화컨텐츠의 편집하는 부분과 중복되는 설명은 어느정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1단계는 상기 동화컨텐츠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도 4a에서 '색칠나라"를 선택하여(제2단계) 그림컨텐츠를 실행시키는 것(제3단계)인데, 도 10은 그림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에 관한 화면캡쳐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한 대로 대표이미지 제어는 현재 선택된 이미지를 대표이미지로 변경하는 역할을 하며, 시스템 메뉴는 새로운 그림컨텐츠를 만들거나, 그림컨텐츠를 저장, 불러오기, 업로드 할 수 있도록 하는 메뉴바인 것이다.
폴더리스트(참고로, 폴더에는 그림의 카테고리(예를 들어, 집, 유치원 등의 그림)에 알맞는 그림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는 현재 추가되어 있는 폴더리스트를 보여주어 폴더의 갯수를 한정하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예, 최대 저장갯수 7개) 이미지 리스트는 현재 추가되어있는 폴더리스트를 보여주며, 이미지 크게 보기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이미지를 크게 보여주는 역할을 하며, 편집메뉴는 이미지를 추가, 삭제 또는 폴더의 추가, 삭제를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도 11에 보면 대표이미지 제어를 클릭하여 저장된 대표이미지가 나타난 화면이다. 상기 도 11의 우측 하부에 형성된 선택바인 폴더 추가, 폴더 삭제, 이미지 추가, 이미지 삭제를 선택하여 알맞는 그림컨텐츠를 편집하여 완성시키는 것이다. (제4단계)
상기와 같이 편집한 그림컨텐츠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것이며, (제5단계) 상기 제5단계에서 저장된 그림컨텐츠를 이용하여 그림의 주제나 이미지에 알맞는 알맞는 동영상파일을 제작하며, (제6단계) 상기 제6단계에서 그림컨텐츠를 포함하여 동영상파일을 실행시키는 것이다. (제7단계)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학부형 등의 보호자가 자신의 유아나 아동의 취향을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에 알맞는 동화나 그림컨텐츠를 직접 제작하여 유아나 아동들에게 제공하여 습득시킬 수가 있으므로, 더욱 효과적이면서 창의적인 교육이 가능하다는 탁월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디스플레이 장치 20 : 셋톱박스
30 : 터치 패드부 40 : 인터페이스부
50 : 제어부 60 : 컨텐츠 제공서버
100 : 학습 컨텐츠 시스템

Claims (8)

  1.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에 있어서,
    그림 또는 동화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에 해당되는 이미지 정보, 음악 정보,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수신된 신호로 지정된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에서 생성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하는 셋톱박스(20);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표시되는 메뉴를 검색하고 선택하며 입력할 컨텐츠 영상을 각각 터치로 선택하는 터치 패드부(30);와
    상기 셋톱박스(20)와 멀티미디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컨텐츠를 업그레이드 실행시키는 인터페이스부(4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40)와 접속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신호가 상기 셋톱박스(20)에 무선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40)에서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하도록 출력하며 상기 셋톱박스(20)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감시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전송된 상기 학습용 컨텐츠 중에서 선택한 컨텐츠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이나 그림을 산출하고, 상기 컨텐츠에 상기 특정 동작이나 그림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영역을 제공하고 상기 셋톱박스(20)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가 인터넷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서버(60)는 특정한 컨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컨텐츠의 선택과 관련되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20)는 상기 제어부(50)로부터 컨텐츠와 관련된 제어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의하여 인터넷을 통하여 원하는 정보를 수집, 분류 및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5.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에 있어서
    웹 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여 해당 창으로 이동하는 제1단계;와
    해당 웹페이지에서 동화 또는 그림을 선택하는 제2단계;와
    상기 동화 또는 그림에 해당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제3단계;와
    동화컨텐츠 또는 그림컨텐츠를 편집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4단계에서 편집한 동화컨텐츠 또는 그림컨텐츠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저장된 동화컨텐츠 또는 그림컨텐츠를 이용하여 동영상파일을 제작하는 제6단계;와
    상기 제6단계에서 동화컨텐츠 또는 그림컨텐츠와 동영상파일을 실행시키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저장된 동화 또는 그림컨텐츠에 설정된 영상 템플릿(Template)에 맞게 편집하고, 효과음악과 배경음악을 결합하여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저장된 동화 또는 그림컨텐츠에 알맞는 나레이션이 녹음된 동영상 파일을 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8. 제5항에서, 상기 제4단계는 테마, 그림, 글, 효과음, BGM(배경음악), 나레이션을 해당하는 동화 또는 그림 컨텐츠에 알맞도록 선택하고 추가하여 편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KR1020140056557A 2014-05-12 2014-05-12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50129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57A KR20150129926A (ko) 2014-05-12 2014-05-12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557A KR20150129926A (ko) 2014-05-12 2014-05-12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926A true KR20150129926A (ko) 2015-11-23

Family

ID=54844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557A KR20150129926A (ko) 2014-05-12 2014-05-12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299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81B1 (ko) 2018-03-23 2019-10-23 김강민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KR20200030320A (ko)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타임교육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KR20210065326A (ko) 2019-11-27 2021-06-04 (주)디지엔터테인먼트 그림교육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20078796A (ko) 2020-12-03 2022-06-13 주식회사 커넥팅더다츠 교육용 게임과 동영상을 결합한 인터랙티브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181B1 (ko) 2018-03-23 2019-10-23 김강민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KR20200030320A (ko)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타임교육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KR20210065326A (ko) 2019-11-27 2021-06-04 (주)디지엔터테인먼트 그림교육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220078796A (ko) 2020-12-03 2022-06-13 주식회사 커넥팅더다츠 교육용 게임과 동영상을 결합한 인터랙티브 플랫폼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stello Multimedia foundations
US7596598B2 (en) Multi-media tool for creating and transmitting artistic works
Nansen et al. Infants, interfaces, and intermediation: Digital parenting and the production of “iPad Baby” videos on YouTube
Anderson Getting acquainted with social networks and apps: Instagram’s instant appeal
WO2021031462A1 (zh) 一种课件的操作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WO20150636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multi-slide presentations
KR20170057736A (ko) 교육용 vr 콘텐츠 제작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29926A (ko)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CN105637472A (zh) 具有广义屏幕描述的屏幕内容共享系统的框架
CN106610826A (zh) 在线场景应用的制作方法及装置
CN112235603B (zh) 视频分发系统、方法、计算设备、用户设备及视频播放方法
Tidal Podcasting: A practical guide for librarians
KR102083997B1 (ko) 오브젝트 기반 모션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KR101912554B1 (ko)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Lior Multimedia Shakespeare editions: Making Shakespeare accessible/making an accessible Shakespeare
KR101489211B1 (ko) 사진을 이용한 동영상 제작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88619A (ko) 자작 동화 제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자작 동화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47896B1 (ko) 양방향 유아 교육 서비스 장치 및 양방향 유아 교육 서비스 방법
Fernandes Moodle 1.9 Multimedia
CN107154173B (zh) 一种语言学习方法及系统
JP2009217140A (ja) 教材編集装置
KR100714409B1 (ko) 강의목차, 강의교재와 연동되는 동영상 강의 저작도구 및그 저작방법
KR20160052031A (ko) 사용자의 음성 또는 동영상을 부가한 동화책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150085869A (ko) 계층형 구조 및 타임라인을 이용한 앱북 빌더 시스템
KR101640794B1 (ko)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