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320A -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320A
KR20200030320A KR1020180109062A KR20180109062A KR20200030320A KR 20200030320 A KR20200030320 A KR 20200030320A KR 1020180109062 A KR1020180109062 A KR 1020180109062A KR 20180109062 A KR20180109062 A KR 20180109062A KR 20200030320 A KR20200030320 A KR 20200030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teaching aid
analog
control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198B1 (ko
Inventor
문진희
이재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타임교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타임교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타임교육
Priority to KR102018010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00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 G09B1/02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 G09B1/16Manually or mechanically 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using elements forming, or bearing, symbols, signs, pictures, or the like which are arranged or adapted to be arranged in one or more particular ways and having a support carrying or adapted to carry the elements the elements each bearing a plurality of different symbols, signs, or combinations of symbols and signs, only one symbol, sign, or combination thereof, of each element to be used at a tim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10Mode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활용한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학습 교구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식 교구(2),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3),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마트보드(4)로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보드(4)는, 학습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화면(41)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기기(3)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학습 방법은, 제어장치에서 문제를 생성한 후,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아날로그식 교구를 조작하면, 이를 센싱기기가 감지하고, 제어장치에서 그 감지된 데이터와 문제의 답과 비교하거나(제 1 방식), 사용자가 아날로그식 교구를 조작하면, 센싱기기가 감지하여, 이를 토대로 문제가 생성되고, 그 문제에 대한 답을 사용자가 입력하면 제어장치에서 정오를 판별한 후(제 2 방식), 결과값을 화면에 표시하거나, 제 1 사용자가 조작한 아날로그 교구를 센싱기기가 감지하여, 제어장치에서 이를 토대로 문제를 생성하면, 제 2 사용자가 그 문제에 따라 아날로그식 교구를 조작하고, 이를 센싱기기가 감지하면, 제어장치에서 문제의 답과 감지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오를 판별한 후 결과값을 화면에 표시하는(제 3 방식) 방법이다. 이를 통해, 기존의 아날로그식 교구를 보다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컨텐츠로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아이들에게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하여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A TEACHING TOOL COMPRISING ANALOGUE TEACHING TOOL COMBINED WITH SMART DEVICE AND A TEACHING METHOD USING IT}
본 발명은, 다양한 분야에서 교구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는 학습 교구 및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정보나 전송능력을 가지지 않는 일반 아날로그식 교구를 스마트보드 및 센싱기기와 결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아날로그식 교구의 상태를 센싱기기가 감지하고, 이 감지된 상태를 스마트보드에서 처리하여 문제 생성 및 정오판단한 후 화면에 표시하여, 다양한 컨텐츠로 학습할 수 있는 학습 교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학습 교구들은 블록, 장난감, 인형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었으나, 동일한 학습 교구를 반복 사용하는 것은 아이들에게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하여, 새로운 학습 교구들의 구매에 대한 비용 부담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한편, 최근에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 스마트기기가 보급되면서, 스마트기기를 통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 및 시판되고 있어, 교육 동영상 및 동영상의 진행에 따라 아이들에게 터치방식으로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교육 방식도 보편화 되었다.
그 예로써,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129926호 (특허문헌 1) 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따라 사용자가 전용패드를 통해 터치하고, 이를 인식하여 그 데이터를 셋톱박스로 수신하여 컨텐츠에 반영이 되는 학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시스템 및 학습 방법의 경우, 사용자의 행위는 패드상에서의 터치로 제한되어 있어, 실제 교구를 직접 활용함으로써 오는 현실성이나 오락효과가 부족하기 때문에, 아이의 창의성이나 흥미를 충분히 자극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210280 호 (특허문헌 2) 에는, 교구 조각 내에 내장되어 있어 자신의 위치 및 인접 교구 조각을 감지하는 내장 센서와 이 센서가 전송하는 데이터를 분석하고 완성도 평가한 후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하는 정보처리단말을 포함한 센서 기반 조립형 교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 의 교구는 교구 조각 각각에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아날로그식 교구를 활용할 수 없어 비용부담이 생기고, 그에 따라 교구의 다양성이 현저히 줄어들어, 아이들이 쉽게 싫증날 수 있으며, 내장 센서에 따른 안전성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29926호 (2015년 11월 23일 공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0280 호 (2012년 12월 4일 등록)
기존의 아날로그식 교구에는 아이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어 자주 교구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적 부담의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하는 교육 컨텐츠는 일반적으로 아이들의 참여방식이 터치기능에 한정되어 오감 자극, 현실성, 창의성 자극, 오락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발전된 스마트 교육 컨텐츠는 아이들이 직접 사용하는 교구물에 센서가 부착되어 있어, 안전성에 있어서 다소 불안감이 있으며, 하나의 교구물이 사용될 수 있는 분야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분야별로 새로운 교구를 구매해야 하는 비용적인 부담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존의 아날로그식 교구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스마트기기와 접목시킴에 따라, 아이들이 지속적인 흥미를 느낄 수 있는 학습 교구 및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발명은,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를 제공한다. 본 학습 교구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식 교구;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마트보드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보드는 학습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화면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기기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는 쌓기나무, 입체도형, 다각형조각, 자동차, 인형, 게임말, 문자가 인쇄된 숫자칩, 도형칩 등 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은 LED, OLED, QLED, LCD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센싱기기는 상기 스마트보드 위에 설치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문제를 생성하여 스마트보드의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기기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는, 상기 스마트보드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게 센싱기기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받은 상기 무게 센싱기기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생성된 문제와 비교하고 정오 판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는, 상기 스마트보드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배열, 형태를 인식하고 저장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싱기기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 받은 상기 카메라 센싱기기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생성된 문제와 비교하고 정오를 판별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는, 상기 스마트보드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게 센싱기기와 상기 스마트보드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배열, 형태를 인식하고 저장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싱기기를 동시에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무게 센싱기기와 상기 카메라 센싱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고, 이들을 조합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의 학습 교구를 사용하는,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 본 학습 방법은, 제 1 방식으로, 스마트보드의 제어장치에서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보드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상태를 센싱기기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문제의 답과 비교하고 정오를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방식으로, 스마트보드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상태를 센싱기기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문제를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보드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받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문제와 비교하고 정오를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마트보드 상에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를 조작하는 사용자와 문제를 보고 스마트보드를 통해, 예를 들어 터치 방식을 통해, 정답을 입력하는 사용자는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방식으로, 스마트보드 상에서 제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제 1 상태를 상기 센싱기기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송 받은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제 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아날로그식 교구의 제 2 상태를 센싱기기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제 2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송 받은 제2 상태의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문제를 비교하고 정오를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보드는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는, 상기 스마트보드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게 센싱기기일 수도 있고, 상기 스마트보드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배열, 형태를 인식하고 저장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싱기기일 수도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무게 센싱기기와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싱기기를 동시에 포함할 수도 있다.
제 3 발명은, 아날로그식 교구 (2) 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방식에 의한 아날로그식 교구 (2) 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문제를 생성하여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고, 센싱기기 (3) 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생성된 문제의 답과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센싱기기 (3) 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문제를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보드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생성된 문제와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센싱기기 (3) 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제 1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문제를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기기 (3) 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제 2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문제를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할 수도 있다.
제 4 발명은, 아날로그식 교구 (2) 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게 센싱기기 (31) 를 제공한다. 본 무게 센싱기기 (31) 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되고 각 영역에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들이 장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무게 감지 영역들과 그 외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무게 센싱기기 (31) 는 상기 복수개의 무게 감지 영역들 사이 및/또는 상기 복수개의 무게 감지 영역들과 상기 그 외 영역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둘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무게 센싱기기 (31) 는, 상기 복수개의 무게 감지 영역들과 그 외 영역의 높이가 상기 간격들의 높이와 다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아날로그식 교구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센싱기기를 다양화함으로써 교구의 종류에 구애 받지 않고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컨텐츠에 활용될 수 있어, 매번 새로운 교구를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적 부담이 줄어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터치 방식으로 한정된 기존의 스마트기기와 결합된 학습 교구와는 달리, 아이들이 실제 아날로그식 교구를 만지면서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흥미를 제공하여 아이들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고, 오감을 보다 더 자극하여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센싱기기를 내장한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연동시키는 기존의 학습교구에 비해, 아이들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교구가 아날로그식이므로 안전하다.
본 발명은, 아날로그식 교구를 스마트기기와 결합하여, 보다 다양한 방식-예를 들어, 지정된 문제들만 해결하는 것이 아닌 스스로 창출해낸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식, 복수의 사용자들의 상호교류를 통하여 협력 및 경쟁하면서 학습하는 방식 등-으로 학습할 수 있어, 아이들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무게 센싱기기 상에 놓인 아날로그식 교구들을 영역별로 그 무게를 측정해낼 수 있다. 각 영역에 놓인 아날로그식 교구들은 그 무게가 타 영역으로 분산되지 않아 보다 정확하게 무게를 측정해낼 수 있어, 이를 사용하여 학습하는 경우, 오류로 인한 학습 진행에 있어 방해를 받지 않을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센싱기기의 일 실시예로서, 도 2a는 무게 센싱기기이고, 도 2b는 카메라 센싱기기의 예시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스마트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의 일 실시예로서, 도 4a 는 학습 방법의 제 1 방식에서의 카메라 센싱기기의 동작의 일례를, , 도 4b는 학습 방법의 제 2 방식에서의 무게 센싱기기의 동작의 일례를 도식화한 것을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의 학습 방법 중 제 3 방식의 예시를 도식화한 것을 나타낸다.
도 6 은 본 발명의 무게 센싱 기기의 일 형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학습 교구(1) 은 아날로그식 교구 (2),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3), 및 스마트보드(4) 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보드(4) 는 화면(41) 을 포함한다.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 는 특정 정보통신 능력이나 감지능력과 같이, 전자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다. 즉, 아이들이 가지고 놀던 기존의 교구물들이다.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되어 있는 나무 조각과 같이, 입체도형, 다각형 조각과 같은 형태일 수 있고, 문자가 인쇄된 숫자칩, 도형칩의 형태일 수도 있고, 일반적인 장난감과 같은 자동차, 인형일 수도 있고, 오락용 게임말과 같은 형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교구물들 형태의 아날로그식 교구(2) 를 사용함으로써, 새로운 교구물 구매에 대한 비용 부담을 줄이고, 아이들과 직접 접촉하는 물체에 전자장치가 없기 때문에 더욱 안전하다. 또한, 기존 교구들의 다양성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스마트보드(4) 는,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가 사용자, 특히 아이들, 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도 2 는 스마트보드(4) 의 개략적인 형상을 나타낸다. 도 2 에서 스마트보드(4) 는 학습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화면(41) 을 포함하고, 도 2 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어장치도 포함한다. 도 2 의 스마트보드(4) 는 판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형상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마트보드(4)는 3개 이상의 지지부로 지지될 수 있고, 이 지지부는 아이들의 키높이에 맞춘 높이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지지부가 없어도 무관하다.
다른 변형예로, 상기 스마트보드 (4) 는 세로로 세워져서 칠판 등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다른 변형예로는, 상기 스마트보드 (4) 는 가로로 눕혀져서 테이블 형식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스마트보드 (4) 는 회전식으로 제작되어 양면을 서로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스마트보드 (4) 는 상기 언급한 변형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되어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보드(4) 는 센싱기기(3) 와 연결되어 있어 센싱기기(3)로부터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할 수 있고, 그 방식은 유선일 수 있고 무선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 은 LED, OLED, QLED, LCD 등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일 수 있고, 추가적으로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특히 아이들이 화면(41) 에 터치 방식으로 입력함으로써, 학습 진행에 직접 참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스마트보드는 별도의 전력공급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으나,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구비하고 스스로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휴대하기 간편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스마트보드가 포함하는 제어장치는, 문제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학습 진행을 위해 자체적으로 문제를 생성할 수 있고,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센싱기기(3) 로부터 전송받는 데이터를 토대로 문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생성된 문제를 상기 화면(41) 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기기(3) 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서 처리한다. 여기서 처리란, 상기 센싱기기(3) 로부터의 데이터를 필요에 따라 변환하는 것, 변환된 데이터를 문제의 답과 비교하는 것, 및 정오를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기기(3) 는,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상태를 감지하고 데이터화하여 전송한다. 여기서, 아날로그식 교구의 상태라는 것은, 아날로그식 교구자체의 무게, 색, 인쇄되어 있는 문자, 형태는 물론, 각 아날로그식 교구들의 위치, 개수, 배열 등 인접한 아날로그식 교구들과의 관계와 관련된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다양한 상태들은 다양한 센싱기기를 사용함으로써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를 스마트보드(4) 위에서 조작하기 때문에,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센싱기기(3) 는 스마트보드(4) 위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형태는 고정형일 수 있고, 스마트보드(4) 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형태일 수 있다.
도 2a 는 상기 센싱기기(3) 의 일례인, 무게 센싱기기 (31) 를 나타낸다. 무게 센싱기기 (31) 는,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 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 의 오른쪽 및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 센싱기기 (31) 는 여러 영역으로 나뉘어진 각 부분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영역의 크기나 개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나, 분리되어 있는 각 영역마다 센서가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여야 한다. 이는, 각 영역별로 무게를 감지하기 위함이다. 도 2a에서는 영역이 9개이고, 각 영역 에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영역별로 감지된 무게 데이터를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 받은 영역별 무게 데이터를 통하여, 영역별 아날로그식 교구(3), 특히 쌓기나무의 개수를 도출해내고, 이를 토대로 아날로그식 교구(2) 의 배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무게 센싱기기 (32) 의 형태는 도 2a 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2b는 상기 센싱기기(3) 의 일례인, 카메라 센싱기기 (32) 를 나타낸다. 카메라 센싱기기 (32) 는, 상기 스마트보드(4)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 의 배열, 형태를 인식하고 저장한 후,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카메라가 저장하는 데이터의 형태는 이미지일 수 있고, 동영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의 왼쪽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센싱기기 (32) 는, 스마트보드(4) 상에 놓인 칩들의 배열-이 경우, 5개의 칩이 놓여있는 것- 을 이미지로 저장하고, 이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받은 이미지로부터 칩이 5개라는 데이터를 추출해내고, 다시 5 라는 수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 받은 아날로그식 교구(2) 의 배열, 형태 데이터-이 경우, 이미지-를 통하여,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 의 배치 상태- 이 경우, 칩이 5 개라는 점-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센싱기기 (32) 의 형태는 도 2b 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카메라 센싱기기 (32) 는 단면이 원형, 사각형 등인 기둥의 지지대와, 지지대 상부에 구형이나 다면체 형태의 머리부를 포함하고, 머리부에 하나 이상의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도 1 과 같이, 상기 센싱기기(3) 는 상기 무게 센싱기기 (31) 와 카메라 센싱기기 (32) 를 동시에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무게 센싱기기 (31) 에서 전송 받은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 센싱기기 (32) 에서 전송 받은 데이터를 조합해서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를 사용하여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방식은, 스마트보드(4) 의 제어장치에서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a의 (a) 에서 카메라 센싱기기 (32) 밑에 도시된 것이 상기 화면(41) 에 표시된 문제이다. 이 문제는 상기 제어장치에서 자체적으로 생성된 문제로서, 주어진 수(8) 가 되도록 필요한 교구의 수를 묻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은 5 이다.
제 1 방식은, 상기 스마트보드(4)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상태를 센싱기기(3)가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4)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장치에서 생성된 문제를 보고 사용자, 특히 아이들이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 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문제에 대한 답을 표현하고, 그 조작된 아날로그식 교구(2) 의 상태를 센싱기기가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예를 들면, 도 4a의 (b) 와 같이, 사용자가 아날로그식 교구- 이경우, 원형칩-를 5 개 배열해놓는 조작을 하게 되면, 카메라 센싱기기 (32)가 이를 인식하여 이미지 형태의 데이터를 제어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 1 방식은, 전송 받은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문제의 답과 비교하고 정오를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 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4a 를 예를 들면, 상기 제어장치는, 카메라 센싱기기 (32)로부터 전송된 원형칩 5 개가 배열된 이미지를 5 라는 수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문제의 답인 5 와 비교하여 정오 판별한다. 이 경우, 정답이므로, 정답이라는 결과값이 도출되고 그것이 화면(41)에 표시된다.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오 판별하였을 때 오답인 경우, 오답이라는 결과값이 도출되어 화면(41)에 표시되면, 사용자, 특히 아이들이 다시 아날로그식 교구(2) 를 조작하게 되고, 상기 제 1 방식이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방식은, 스마트보드(4)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상태를 센싱기기(3) 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4)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 장치에서,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문제를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 2 방식은, 제1 방식에서 상기 제어장치에서 자체적으로 문제를 생성하는 것과는 달리, 사용자가 문제를 만드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도4b의 (a)와 같이, 사용자가 무게 센싱기기 (31) 위에 아날로그식 교구, 특히 쌓기나무를 조작하여 특정 형상을 만들면, 이를 무게 센싱기기 (31) 가 감지하여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세부적으로는, 사용자가 도 4b 의 (a)와 같이, 각 영역에 서로 다른 나무 조각을 쌓으면, 무게 센싱기기 (31)가 각 영역별로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 받은 데이터를 토대로 도 4b의 (b)와 같은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에 따른 문제를 생성한 후, 화면(41)에 표시한다. 즉, 상기 제어 장치에서는 이를 토대로 각 영역별로 나무 조각의 개수를 도출해내고, 도 4b 의 (b)와 같이, 위, 앞, 옆에서 보았을 때의 형태를 계산해내어, 문제를 만든다. 이 문제는, 사용자가 조작해놓은 쌓기나무의 형태를 도 4b의 (b) 와 같이, 위, 앞, 옆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평면도를 그려야 하는 형식이다.
제 2 방식은, 상기 스마트보드(4)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 받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문제와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세부적으로는, 상기 화면(41)에 표시된 문제를 보고, 사용자, 특히 아이들이 스마트보드 화면(41)에 터치 기능을 통하여 답을 입력하면, 그 입력된 답이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되어 문제의 답과 비교되고, 정오를 판별한다. 그 후, 결과값을 다시 화면(41)에 표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도 4b의 오른쪽과 같이 평면도를 그리라는 문제를 보고, 화면(41) 에 올바른 구역을 터치함으로써, 도 4b의 오른쪽과 같이 올바른 평면도가 입력되면, 이를 제어장치에서 문제의 답과 비교되고, 정오가 판별될 수 있다.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 방식이 터치 방식에 국한되지 않는다. 버튼 입력 방식, 마우스 클릭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일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방식은, 하나의 사용자가 자신이 아날로그식 교구(2)를 조작하고, 그에 따른 문제를 푸는 형식일 수 있다.
또 다른 변형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방식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실시되어, 제 1 사용자가 아날로그식 교구(2)를 조작하면, 이에 따른 문제를 제 2 사용자가 스마트보드(4)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오 판별하였을 때 오답인 경우, 오답이라는 결과값이 도출되어 화면(41)에 표시되면, 사용자, 특히 아이들이 다시 스마트보드(4) 에 입력하게 되고, 상기 제 2 방식이 반복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는, 화면(41)에 오답이 표시된 후, 사용자, 특히 아이들이 다시 아날로그식 교구(2) 를 조작하여 문제 자체를 변경하여, 상기 제 2 방식이 반복될 수도 있다.
제 3 방식은, 스마트보드(4) 상에서 제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제 1 상태를 상기 센싱기기(3)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4)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는 제 2 방식에서 문제를 생성하는 것과 동일하다.
제 3 방식은, 또한, 제 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아날로그식 교구(2) 의 제 2 상태를 센싱기기(3)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제 2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4)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송받은 제 2 상태의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문제를 비교하고 정오를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즉, 제 3 방식은, 제 1 사용자의 아날로그식 교구(2)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문제를 제 2 사용자가 아날로그식 교구(2)를 조작함으로써 해결하는 방식이다. 제 2 방식과 비교하면, 복수의 사용자의 참여가 필수라는 점과 문제 해결도 반드시 아날로그식 교구(2)를 조작함으로써 실시된다는 점이 추가된다.
도 5 는 제 3 방식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 에서 아날로그식 교구(2) 는 쌓기나무이고 센싱기기(3) 는 모두 무게 센싱기기 (31) 이다. 제 1 사용자가 (a)와 같이 쌓기나무를 스마트보드(4) 상에서 쌓게 되면, 무게 센싱기기 (31) 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제어장치에서는 도 5 의 (b)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문제를 화면(41)에 표시한다. 이 경우, 상기 문제는 제 1 사용자가 조작한 쌓기나무 형상의 앞, 옆, 위의 평면도를 보고 동일한 형상의 쌓기나무를 유추하는 것이다. 제 2 사용자는 화면(41)에 표시된 문제를 보고, (c)와 같이 다른 무게 센싱기기 (32) 상에 쌓기나무를 쌓아올리고, 이를 무게 센싱기기 (32)에서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장치에서는 문제의 답과 비교하여 정오를 판별하여 다시 화면(41)의 그 결과값을 표시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3 방식에서의 스마트보드(4) 는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3 방식의 센싱기기(3)는 무게 센싱기기 (31) 와 카메라 센싱기기 (32)를 적어도 하나씩 동시에 구비하고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스마트보드(4)의 제어장치는, 무게 센싱기기 (31)로부터의 데이터와 카메라 센싱기기 (32)로부터의 데이터를 조합하여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변형 실시형태에 있어서, 정오 판별하였을 때 오답인 경우, 오답이라는 결과값이 도출되어 화면(41)에 표시되면, 제 2 사용자는 다시 아날로그식 교구(2) 를 조작하게 되고, 다시 정오 판별하는 방식으로 반복될 수 있다.
상술한 학습 방법에 따르게 되면, 사용자, 특히 아이들은 기존 아날로그식 교구를 직접 조작하면서 학습할 수 있으므로 창의성과 참여력이 증진될 수 있고, 단순히 주어진 문제만 해결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조작한 아날로그식 교구의 상태에 기반한 문제를 스스로 풀어 무한한 방식으로 다양한 분야에서의 학습이 가능하여, 쉽게 싫증이 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혼자 뿐만이 아니라, 다른 사용자와 교감할 수 있어, 참여력과 흥미는 더욱 장려되고, 학문적인 학습에 한정되지 않은 다른 능력, 특히 사회성도 자연스레 계발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아날로그식 교구 (2) 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에 대한 설명이다.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내지 3 방식의 학습 방법을 구현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문제를 생성하여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고, 센싱기기 (3) 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생성된 문제의 답과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센싱기기 (3) 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상기 생성된 문제를 보고 스마트보드 (4)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아날로그식 교구 (2) 의 상태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센싱기기 (3) 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문제를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보드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생성된 문제와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센싱기기 (3) 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는 스마트보드 (4)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아날로그식 교구 (2) 의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보드 (4) 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은 상기 문제에 대한 사용자가 도출해낸 답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센싱기기 (3) 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제 1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문제를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기기 (3) 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제 2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문제를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이터는 스마트보드 (4) 상에서 제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아날로그식 교구 (2) 의 제 1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생성된 문제를 보고 스마트보드 (4) 상에서 제 2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아날로그식 교구 (2) 의 제 2 상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는, 무게 센싱기기 (31) 인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다.
본 발명의 무게 센싱기기 (31) 는 아날로그식 교구 (2) 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 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무게 센싱기기 (31) 는 여러 영역으로 나뉘어진 각 부분에 개별적으로 복수 개의 무게 센서들이 설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무게 센서들이 설치된 각 영역들은 무게 감지 영역들이다. 영역의 크기나 개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나, 분리되어 있는 각 영역마다 무게 센서가 외부 또는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형태여야 한다. 무게 센서들이 부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그 외 영역이다. 도 6 에서의 그 외 영역은 복수 개의 무게 감지 영역들을 둘러싸는 가장자리에 위치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무게 센싱기기 (31) 는 보다 정확한 무게 감지를 위해, 무게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무게 감지 영역들 사이에 소정 간격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간격에서는 무게를 감지할 수 없다. 또한, 무게 감지 영역들과 그 외 영역 사이에도 간격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무게 감지 영역들 및 그 외 영역과 그 사이에 형성된 간격들의 높낮이를 달리하여, 아날로그식 교구 (2) 의 무게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무게 감지의 정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센서가 부착된 영역(무게 감지 영역)의 표면이 간격들의 표면보다 높으면, 무게 감지 영역 상에 놓여진 아날로그식 교구 (2) 가 무게 센싱기기 (31) 의 무게 감지 영역 외에 다른 표면과 닿지 않기 때문에, 아날로그식 교구 (2) 의 무게가 분산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가 부착된 무게 감지 영역들의 표면이 간격들의 표면보다 낮으면, 무게 감지 영역 상의 아날로그식 교구 (2) 가 대응되는 무게 감지 영역에 보다 용이하고 명확하게 수용될 수 있어, 더욱 정확하게 무게가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에서의 센싱기기 (3) 가 상기에 서술한 무게 센싱기기 (31) 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2: 아날로그식 교구
3: 센싱 기기
31: 무게 센싱기기
32: 카메라 센싱기기
4: 스마트보드
41: 화면

Claims (20)

  1.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에 있어서,
    상기 학습 교구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식 교구(2),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의 상태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3),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스마트보드(4)로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보드(4)는, 학습 진행상황을 표시하는 화면(41)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보드(4)는 상기 센싱기기(3)와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2.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를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화면(41)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기기(3)로부터 감지된 데이터를 전송받아 처리하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3)는, 상기 스마트보드(4)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게 센싱기기 (31)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받은 상기 무게 센싱기기의 데이터로부터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생성된 문제와 비교 및 정오 판별하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3)는, 상기 스마트보드(4)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배열, 형태를 인식 및 저장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싱기기 (32)이고,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받은 상기 카메라 센싱기기의 테이터로부터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배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생성된 문제와 비교 및 정오 판별하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3)는, 상기 스마트보드(4)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게 센싱기기 (31) 및 상기 스마트보드(4)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배열, 형태를 인식 및 저장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싱기기 (32)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전송받은 상기 무게센서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 센싱기기 테이터를 조합하여 처리하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는, 쌓기나무, 입체도형, 다각형 조각, 자동차, 인형, 게임말, 문자가 인쇄된 숫자칩, 도형칩을 포함하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은 LED, OLED, QLED, LCD 중 어느 하나이고,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기기(3)는 상기 스마트보드(4) 위에 설치되어 있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9.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으로서,
    스마트보드(4)의 제어장치에서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보드(4)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상태를 센싱 기기(3)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4)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문제의 답과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
  10.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으로서,
    스마트보드(4) 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상태를 센싱기기(3)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4)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문제를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보드(4)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전송받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생성된 문제와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
  11.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으로서,
    스마트보드(4) 상에서 제 1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제 1 상태를 상기 센싱기기(3)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4)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송받은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여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
    제 2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아날로그식 교구(2)의 제 2 상태를 센싱기기(3)가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제 2 상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스마트보드(4)의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어장치에서, 상기 전송받은 제2 상태의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문제를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41)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보드(4)는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
  13.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센싱기기(3)는, 상기 스마트보드(4)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무게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무게 센싱기기 (31) 및/또는 상기 스마트보드(4) 상의 상기 아날로그식 교구(2)의 배열, 형태를 인식 및 저장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 센싱기기 (32)를 포함하는,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방법.
  14. 아날로그식 교구 (2) 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문제를 생성하여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고,
    센싱기기 (3) 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생성된 문제의 답과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는, 아날로그식 교구 (2) 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5. 아날로그식 교구 (2) 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센싱기기 (3) 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문제를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고,
    상기 스마트보드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생성된 문제와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는, 아날로그식 교구 (2) 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6. 아날로그식 교구 (2) 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센싱기기 (3) 로부터 제 1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제 1 데이터로부터 문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문제를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고,
    상기 센싱기기 (3) 로부터 제 2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전송된 제 2 데이터와 상기 생성된 문제를 비교 및 정오 판별하여 결과값을 도출하고,
    상기 결과값을 상기 스마트보드의 화면 (41) 에 표시하는, 아날로그식 교구 (2) 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17. 아날로그식 교구 (2) 의 무게를 감지하여 제어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무게 센싱기기 (31) 로서,
    상기 무게 센싱기기 (31) 는, 복수개의 영역들로 분할되고,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들이 장착되어 있는 복수개의 무게 감지 영역들과 그 외 영역을 포함하는, 무게 센싱기기 (31).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센싱기기 (31) 는, 상기 복수개의 무게 감지 영역들 사이 및/또는 상기 복수개의 무게 감지 영역들과 상기 그 외 영역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둔, 무게 센싱기기 (31).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센싱기기 (31) 는, 상기 복수개의 무게 감지 영역들과 그 외 영역의 높이가 상기 간격들의 높이와 다른, 무게 센싱기기 (31).
  2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센싱기기 (31) 는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무게 센싱기기 (31) 인, 아날로그식 교구(2)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1).
KR1020180109062A 2018-09-12 2018-09-12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KR102253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062A KR102253198B1 (ko) 2018-09-12 2018-09-12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062A KR102253198B1 (ko) 2018-09-12 2018-09-12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320A true KR20200030320A (ko) 2020-03-20
KR102253198B1 KR102253198B1 (ko) 2021-05-18

Family

ID=69958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062A KR102253198B1 (ko) 2018-09-12 2018-09-12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903A1 (ko) *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재미씨 학습방법, 학습 장치 및 학습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4732Y2 (ko) * 1974-10-30 1980-12-18
KR101109515B1 (ko) * 2009-06-03 2012-01-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억연상게임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게임방법
KR101210280B1 (ko) 2009-09-02 2012-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기반 조립형 교구
KR20150129926A (ko) 2014-05-12 2015-11-23 박종남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70007676A (ko) * 2015-07-11 2017-01-19 이경록 퍼즐블럭 전자책
KR20170122616A (ko) * 2016-04-27 2017-11-06 (주)브레인숲 사물인터넷 기반의 한글학습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4732Y2 (ko) * 1974-10-30 1980-12-18
KR101109515B1 (ko) * 2009-06-03 2012-01-3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억연상게임장치 및 시스템, 이를 이용한 게임방법
KR101210280B1 (ko) 2009-09-02 2012-12-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기반 조립형 교구
KR20150129926A (ko) 2014-05-12 2015-11-23 박종남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KR20170007676A (ko) * 2015-07-11 2017-01-19 이경록 퍼즐블럭 전자책
KR20170122616A (ko) * 2016-04-27 2017-11-06 (주)브레인숲 사물인터넷 기반의 한글학습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10903A1 (ko) * 2020-04-13 2021-10-21 주식회사 재미씨 학습방법, 학습 장치 및 학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198B1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7187B2 (en) Coding toy, block, stage, figure body toy and coding method
US6755655B2 (en) Electronic educational toy appliance and a portable memory device therefor
US20170326445A1 (en) Puzzle system interworking with external device
KR20190046170A (ko) 코딩교육 컨텐츠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코딩교육 컨텐츠 제어방법
KR1020490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CN102157079A (zh) 婴幼儿动中育乐育教系统及教育方法
US20120009557A1 (en) Interactive apparatus having contact sensitive display screen capable of detecting two or more coincident contacts
KR102253198B1 (ko) 아날로그식 교구와 스마트기기를 결합한 학습 교구 및 이를 이용하는 학습 방법
US11534677B2 (en) Board game system and method
US20040063078A1 (en) Electronic educational toy appliance
KR101890315B1 (ko) 전자주판을 결합한 디지털 보드 게임 시스템
KR1019178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734987B1 (ko) 유아교육용 로봇 컨트롤러 및 그 작동방법
US20020160340A1 (en) Character recognition educational system
Kaisar et al. Ball Game Controller: A Tangible User Interface
KR20220146788A (ko) 코딩교육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코딩교육 컨텐츠 제공장치 및 방법
CN108452537A (zh) 一种人机交互式内容可配置式玩具平台
Wang Tangible Educational Game for Pre-school Children
KR20120087446A (ko) 체감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07013063A2 (en) Multidimensional multifunctional computer interface device
KR20120016768A (ko) 터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