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181B1 -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181B1
KR102014181B1 KR1020180033750A KR20180033750A KR102014181B1 KR 102014181 B1 KR102014181 B1 KR 102014181B1 KR 1020180033750 A KR1020180033750 A KR 1020180033750A KR 20180033750 A KR20180033750 A KR 20180033750A KR 102014181 B1 KR102014181 B1 KR 102014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ser
mark
content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민
Original Assignee
김강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민 filed Critical 김강민
Priority to KR1020180033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K9/2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핸들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구하기 쉽고 재질에 제약 없는 판형 부재를 핸들(컨트롤러)로 사용 가능케 하여 핸들이 파손되더라도 쉽게 버릴 수 있고,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제작 가능하므로 유치원 등 유아용 교육기관에서 교육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CONTENTS CONTROL SYSTEM USING HANDLES WITHOUT POWER}
본 발명은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핸들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문헌 제10-2015-0129926호는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유아 또는 아동들이 쉽게 재미있게 이용할 수 있도록 컨텐츠 내에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기능을 추가하여 학습적 흥미를 부여할 수 있는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공개기술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온라인 학습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에 해당되는 이미지 정보, 음악 정보, 영상 정보 및 오디오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수신된 신호로 지정된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에서 생성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셋톱박스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메뉴를 검색하고 선택하며 입력할 컨텐츠 영상을 각각 터치로 선택하는 터치 패드부와 상기 셋톱박스와 멀티미디어 신호 및 데이터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하여 컨텐츠를 업그레이드 실행시키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접속하여 선택된 컨텐츠의 신호가 상기 셋톱박스에 무선 송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모니터하도록 출력하며 상기 셋톱박스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표시되도록 감시하는 제어부; 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상기 학습용 컨텐츠 중에서 선택한 컨텐츠의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분석하여 특정 동작이나 그림을 산출하고, 상기 컨텐츠에 상기 특정 동작이나 그림을 적용한 동작 수행 이미지를 생성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컨텐츠 정보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는 터치패드가 구비되고 셋톰박스와 통신할 수 있는 장치를 컨트롤러로 하여 컨텐츠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컨트롤러의 경우 셋톱박스와 같은 게임장치의 수신기와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하고 컨트롤러를 위한 전원이 필수적이므로 파손시 별도로 구입해야 하며 단가 또한 높게 책정될 수 밖에 없다.
공개특허 제10-2015-0129926호 (2015.11.23.)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
즉, 구하기 쉽고 재질에 제약 없는 판형 부재를 핸들(컨트롤러)로 사용 가능케 하여 핸들이 파손되더라도 쉽게 버릴 수 있고,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제작 가능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면에 다수의 인식마크가 구비되고 사용자(10)가 손으로 잡아 조작하는 핸들(100); 핸들(100)의 전면을 카메라(210)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200); 영상수신부(200)에서 수신한 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인식마크를 추출하여 인식마크의 변화에 따라 컨텐츠(50)를 제어하는 신호처리부(400); 신호처리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컨텐츠(50)를 디스플레이장치(310)로 출력하는 컨텐츠출력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100)은 이격된 세 점 이상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분포된 메인마크(110), 핸들(100)을 잡은 사용자(10)의 손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어활성화마크(120), 사용자(10)별로 부여되는 식별마크로서 핸들(100)의 전면 일측에 배치되는 사용자식별마크(130)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부(400)는 영상수신부(200)에서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메인마크(110)를 추출하는 메인마크인식모듈(410),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추출된 메인마크(110)가 배치된 영역 내에서 제어활성화마크(120)를 추출하고, 사용자(10)의 손에 의해 가려지기 직전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설정한 뒤, 모든 제어활성화마크(120)가 가려지면 식별마크인식모듈(430)과 제어신호생성모듈(440)을 활성화시키는 제어활성화모듈(420), 제어활성화모듈(420)에 의해 활성화되면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추출된 메인마크(110)가 배치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식별마크(130)를 추출하는 식별마크인식모듈(430),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추출한 메인마크(110)의 움직임에 따라 컨텐츠(50)를 제어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모듈(440), 제어신호생성모듈(44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컨텐츠(5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310)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제어모듈(450), 컨텐츠제어모듈(450)에서 생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310)로 전달하는 컨텐츠출력모듈(4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신호처리부(400)에서 컨텐츠(50)를 제어하는 이력이 사용자(10)별로 저장되는 서버(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500)는 사용자(10)별로 할당되며 사용자(10)별 식별마크와 함께 해당 사용자(10)가 핸들(100)을 이용하여 컨텐츠(50)를 제어하는 사용이력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510)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400)는 컨텐츠제어모듈(450)에서 컨텐츠(50)가 제어되는 이력을 식별마크인식모듈(430)에서 연동한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하는 사용이력저장모듈(470), 사용이력저장모듈(47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된 사용이력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10)의 제어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하는 제어패턴분석모듈(4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마크인식모듈(430)은 서버(500)에 접속하여 추출된 식별마크가 할당된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연동부(4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정보열람모듈(520)은 정보열람모듈(520)에 접속하는 주체가 관리자(20)인지 보호자(30)인지 확인하는 주체확인부(521),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보호자(30)일 경우 보호자단말(31)에 저장된 식별마크를 불러오는 식별마크확인부(522),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보호자(30)일 경우 식별마크확인부(522)에서 불러온 식별마크가 저장된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사용이력저장모듈(47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고,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관리자(20)일 경우 모든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사용이력저장모듈(47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는 사용이력열람부(523),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보호자(30)일 경우 식별마크확인부(522)에서 불러온 식별마크가 저장된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제어패턴분석모듈(48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고,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관리자(20)일 경우 모든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제어패턴분석모듈(48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는 분석정보열람부(5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구하기 쉽고 재질에 제약 없는 판형 부재를 핸들(컨트롤러)로 사용 가능케 하여 핸들이 파손되더라도 쉽게 버릴 수 있고,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제작 가능하므로 유치원 등 유아용 교육기관에서 교육용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핸들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에 대한 도면.
도 3은 사용자가 다수의 아동으로 구성될 경우에 대한 도면.
도 4는 신호처리부의 세부 구성 및 다른 구성과의 관계를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정보열람모듈의 세부 구성에 대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은 도 2와 같이 핸들(100), 영상수신부(200), 컨텐츠출력부(300), 신호처리부(400), 서버(500)로 구성된다.
사용자(10)는 본 시스템에 의해 컨텐츠(50)를 제어(이용)하고자 하는 유아를 의미하고, 관리자(20)는 해당 유아 즉 사용자(10)의 선생님을 예로 들 수 있다. 보호자(30)는 해당 유아 즉 사용자(10)의 부모님으로서, 관리자(20)는 관리자단말(21)을, 보호자(30)는 보호자단말(31)을 이용하여 서버(500)에 접속함으로써 사용자(10)의 사용이력을 열람할 수 있다. 이 때, 관리자단말(21)과 보호자단말(31)은 스마트기기를 의미한다.
핸들(100)은 전면에 다수의 인식마크가 구비되고 사용자(10)가 손으로 잡아 조작하는 판 형태의 부재로서, 전원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나무판자나 두꺼운 종이판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즉, 유아가 손에 쥘 수 있는 가벼운 판형태의 부재면 충분하고 아래와 같은 인식마크가 구비된 인쇄물을 부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는 유아용 교구 특성상 파손우려가 많아 교체가 잦으므로 교체가 쉽고 비용이 저렴해야 효용성이 증대되는데, 통상적인 게임기기의 컨트롤러의 경우 게임장치의 수신기와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하고 이를 위한 전원이 필수적이므로 파손시 별도로 구입해야 하며 단가 또한 높게 책정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핸들은 구하기 쉽고 제약 없는 판형 부재를 사용하므로 파손되더라도 쉽게 버릴 수 있고, 별도로 구입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제작 가능하므로 유치원 등 유아용 교육기관에서 교육용으로 사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다수의 인식마크는 하나의 시트지에 인쇄되어 판형 부재 위에 부착할 수도 있고, 각각 개별마크가 스티커형태로 구비되어 판형 부재의 특정 위치에 부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작된 핸들(100)을 카메라(210)에서 촬영하여 영상수신부(200) 및 신호처리부(400)를 거쳐 컨텐츠(50)를 제어하고, 이를 컨텐츠출력부(300)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10)가 핸들(100)을 이용하여 게임 등을 컨트롤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각 마크는 색깔 또는 일정 패턴으로 구성되어 신호처리부(400)에서 해당 색깔 또는 패턴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추출된다. 통상의 영상처리기법에 의한다.
핸들(100)을 구성하는 인식마크는 도 1과 같이 메인마크(110), 제어활성화마크(120), 사용자식별마크(130)로 구성되며, 사용자(10)가 핸들(100)을 잡을 때 사용자(10)의 손가락이 관통되도록 형성된 제어유도홀(140)이 핸들(1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메인마크(110)는 이격된 세 점 이상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분포된 마크로서, 카메라(210)에서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핸들(100)을 추출함과 동시에 신호처리부(400)의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메인마크(110)의 크기, 기울어짐, 회전, 뒤틀림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10)가 핸들(100)을 어떻게 조작하는지 파악하는데 사용된다. 핸들(100)에 내접하는 직사각형의 네 모서리 또는 삼각형의 세 모서리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핸들(100)의 전면 바탕이 메인마크(110)로 구성되도록 하여 핸들(100)의 전체를 덮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그 중 세 점 이상의 위치를 추출하여 점 사이 거리, 점이 이루는 도형 변화 등을 감지하여 핸들(100)의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제어활성화마크(120)는 핸들(100)을 잡은 사용자(10)의 손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배치되는 마크로서, 핸들(100)의 전면 양측 테두리 부근에 구비되면 사용자(10)가 핸들(100)을 양손으로 잡을 때 제어활성화마크(120)가 형성된 부분을 가리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식별마크(130)는 사용자(10)별로 부여되는 식별마크로서 QR코드 등이 인쇄된 카드를 핸들(100)의 일측에 형성된 식별마크부착부(131)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사용자(10)별로 바뀌는 식별마크를 하나의 핸들(100)에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유아A가 사용자(10A)일 때에는 핸들(100)의 식별마크부착부(131)에 유아A의 사용자식별마크(130A)를 부착하고, 이후 유아B로 사용자가 변경될 때에는 핸들(100)의 식별마크부착부(131)에 유아B의 사용자식별마크(130B)를 부착하는 것이다.
제어유도홀(140)은 제어활성화마크(120)와 이웃하며 배치되고 사용자(10)의 손가락이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10)가 핸들(100)을 잡으려 할 때 제어유도홀(140)에 손가락을 투입하여 잡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제어활성화마크(120)가 가려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수신부(200)는 핸들(100)의 전면을 카메라(210)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여 신호처리부(40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호처리부(400)는 영상수신부(200)에서 수신한 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인식마크를 추출하여 인식마크의 변화에 따라 컨텐츠(50)를 제어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도 4와 같이 메인마크인식모듈(410), 제어활성화모듈(420), 식별마크인식모듈(430), 제어신호생성모듈(440), 컨텐츠제어모듈(450), 컨텐츠출력모듈(460), 사용이력저장모듈(470) 및 제어패턴분석모듈(480)로 구성된다.
메인마크인식모듈(410)은 영상수신부(200)에서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메인마크(110)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메인마크(110)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네 모서리 점의 위치를 추출할 수도 있고 메인마크(110)가 분포된 영역 전체를 추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활성화모듈(420)은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추출된 메인마크(110)가 배치된 영역 내에서 제어활성화마크(120)를 추출하고, 사용자(10)의 손에 의해 가려지기 직전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설정한 뒤, 모든 제어활성화마크(120)가 가려지면 식별마크인식모듈(430)과 제어신호생성모듈(440)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도 1과 같이 핸들(100)에 두 개의 제어활성화마크(120)가 구성될 경우 사용자(10)의 양 손으로 두 개의 제어활성화마크(120)를 모두 가릴 경우에만 제어활성화 상태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 때 설정된 초기위치는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핸들(100)의 움직임을 추적할 때 기준점이 된다.
식별마크인식모듈(430)은 사용자(10)자가 양 손으로 핸들(100)을 잡음으로써 제어활성화모듈(420)에 의해 활성화되면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추출된 메인마크(110)가 배치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식별마크(130)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서버(500)에 접속하여 추출된 식별마크가 할당된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연동부(431)를 포함한다. 즉, 도 3을 참고하면 사용자인 아동A(10A), 아동B(10B), 아동C(10C) 중에서 아동C(10C)가 핸들(100)을 사용하고자 할 때 아동C(10C)의 식별마크C(130C)를 식별마크부착부(131)에 부착한 핸들(100)을 아동C(10C)가 양 손으로 잡게 되면 식별마크인식모듈(430)이 식별마크C(130C)를 추출하여 아동C데이터베이스(510C)와 연동하는 것이다. 특히, 컨텐츠(50)를 제어하는 내내 사용자식별마크(130)를 추적할 필요 없이 제어활성화모듈(420)에 의해 사용자(10)자가 양 손으로 핸들(100)을 잡는 순간에만 식별마크인식모듈(430)에 의해 사용자식별마크(130)를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인식 정확도를 높임과 동시에 메모리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제어신호생성모듈(440)은 사용자(10)자가 양 손으로 핸들(100)을 잡음으로써 제어활성화모듈(420)에 의해 활성화되면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추출한 메인마크(110)의 움직임에 따라 컨텐츠(50)를 제어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거리인식부(441)와 회전인식부(442)로 구성된다. 메인마크(110)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의 네 모서리가 거리인식부(441) 및 회전인식부(442)에서 핸들(100)의 움직임을 포착하는데 기준점이 되는 것이다. 이 기준점을 이용하여 제어활성화모듈(420)에서 설정된 초기 위치를 기준으로 초기 기준 대비 변화량(직사각형 영역의 면적 변화, 회전, 뒤틀림 등)을 산출하게 된다.
거리인식부(441)는 제어활성화모듈(420)에서 설정된 초기위치를 기준으로 메인마크(110)가 분포된 영역크기를 비교하여 핸들(100)의 전진 또는 후진을 인식한다.
회전인식부(442)는 제어활성화모듈(420)에서 설정된 초기위치를 기준으로 메인마크(110)가 분포된 영역의 회전 또는 뒤틀림정도를 비교하여 핸들(100)의 회전 또는 기울임을 인식한다.
상기와 같은 핸들(100)의 원근거리 또는 회전, 뒤틀림 등의 추출은 통상의 모션트래킹 기반의 영상처리기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핸들의 움직임으로 제어신호생성모듈(440) 및 컨텐츠제어모듈(450)에 의해 컨텐츠(50)를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컨텐츠(50)가 자동차 레이싱 게임일 경우 핸들(100)로서 컨텐츠(50) 내의 자동차를 운전하게 되는 것이다.
컨텐츠제어모듈(450)은 제어신호생성모듈(44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컨텐츠(5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310)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컨텐츠출력모듈(460)은 컨텐츠제어모듈(450)에서 생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31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이력저장모듈(470)은 컨텐츠제어모듈(450)에서 컨텐츠(50)가 제어되는 이력을 식별마크인식모듈(430)의 데이터베이스연동부(431)에서 연동한 해당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저장되는 정보로는 해당 사용자(10)의 컨텐츠(50) 사용 시간, 핸들(100)의 이동/회전 범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제어 이력, 컨텐츠(50)에 따른 스코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패턴분석모듈(480)은 사용이력저장모듈(47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된 사용이력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10)의 제어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 사용자(10A)의 컨텐츠(50) 사용 시간을 다른 사용자(10B,10C)의 컨텐츠(50) 사용 시간과 비교하여 짧을 경우 그에 대한 정보, 핸들(100)의 이동/회전 범위 등이 다른 사용자(10B,10C)에 비해 클 경우 그에 대한 정보 뿐만 아니라 이를 토대로 한 2차 분석 결과(순발력, 적극성, 승부욕 등)를 일정 알고리즘에 의해 도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컨텐츠출력부(300)는 신호처리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컨텐츠(50)를 디스플레이장치(310)로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TV 또는 프로젝터 등으로 구성되는 디스플레이장치(310)에 컨텐츠(50)가 실시간으로 출력된다.
서버(500)에는 신호처리부(400)에서 컨텐츠(50)를 제어하는 이력이 사용자(10)별로 저장되며, 데이터베이스(510)와 정보열람모듈(520)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510)는 사용자(10)별로 할당되며 사용자(10)별 식별마크와 함께 해당 사용자(10)가 핸들(100)을 이용하여 컨텐츠(50)를 제어하는 사용이력이 저장되는 부분이다.
정보열람모듈(520)은 관리자(20)가 관리자단말(21)을 이용하여 모든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거나 특정 사용자(10)의 보호자(30)가 해당 사용자(10)의 식별마크가 저장된 보호자단말(31)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도 5와 같이 주체확인부(521), 식별마크확인부(522), 사용이력열람부(523), 분석정보열람부(524)로 구성된다.
주체확인부(521)는 정보열람모듈(520)에 접속하는 주체가 관리자(20)인지 보호자(30)인지 확인하는 역할을 하며, 주체에 따라 식별마크확인부(522), 사용이력열람부(523) 및 분석정보열람부(524)의 기능 내지 권한이 달라지게 되므로 주체확인부(521)에서 주체확인이 필수적이다. 관리자단말(21)에 마스터권한을 부여하는 등으로 관리자(20)인지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가능하도록 하고 그 이외 정보열람모듈(520)로 접속하는 단말은 모두 보호자단말(31)로 간주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식별마크확인부(522)는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보호자(30)일 경우 보호자단말(31)에 저장된 식별마크를 불러오는 역할을 하며, 식별마크가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불러올 수 없는 경우 데이터베이스(510)의 정보를 열람할 수 없도록 접속을 차단하게 된다.
사용이력열람부(523)는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보호자(30)일 경우 식별마크확인부(522)에서 불러온 식별마크가 저장된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사용이력저장모듈(47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고,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관리자(20)일 경우 모든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사용이력저장모듈(47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도 3과 같이 아동A(10A), 아동B(10B), 아동C(10C)의 보호자가 각각 부모A(30A), 부모B(30B), 부모C(30C)이고, 세 아동의 선생님이 관리자(20)로 구성될 때, 부모B(30B)는 아동B(10B)가 식별마크B(130B)를 핸들(100)에 부착하여 플레이한 이력이 저장되는 아동B데이터베이스(510B)만 열람할 수 있고, 부모A(30A), 부모C(30C) 역시 각각 아동A데이터베이스(510A), 아동C데이터베이스(510C)만 열람할 수 있으나, 선생님인 관리자(20)는 모든 아동의 데이터베이스(510A, 510B, 510C)를 열람할 수 있는 것이다.
분석정보열람부(524) 역시 사용이력열람부(523)와 마찬가지로,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보호자(30)일 경우 식별마크확인부(522)에서 불러온 식별마크가 저장된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제어패턴분석모듈(48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고,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관리자(20)일 경우 모든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제어패턴분석모듈(48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관리자(20)에게 모든 데이터베이스(510)를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고, 보호자(30)는 그에 소속된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만 열람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는 것 또한 사용이력열람부(523)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핸들
110 : 메인마크
111 : 메인마크부착부
120 : 제어활성화마크
130 : 사용자식별마크
140 : 제어유도홀
200 : 영상수신부
210 : 카메라
300 : 컨텐츠출력부
310 : 디스플레이장치
400 : 신호처리부
410 : 메인마크인식모듈
420 : 제어활성화모듈
430 : 식별마크인식모듈
431 : 데이터베이스연동부
440 : 제어신호생성모듈
441 : 거리인식부
442 : 회전인식부
450 : 컨텐츠제어모듈
460 : 컨텐츠출력모듈
470 : 사용이력저장모듈
480 : 제어패턴분석모듈
500 : 서버
510 : 데이터베이스
520 : 정보열람모듈
521 : 주체확인부
522 : 식별마크확인부
523 : 사용이력열람부
524 : 분석정보열람부
10 : 사용자
20 : 관리자
21 : 관리자단말
30 : 보호자
31 : 보호자단말
50 : 컨텐츠

Claims (3)

  1. 전면에 다수의 인식마크가 구비되고 사용자(10)가 손으로 잡아 조작하는 핸들(100);
    핸들(100)의 전면을 카메라(210)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수신부(200);
    영상수신부(200)에서 수신한 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인식마크를 추출하여 인식마크의 변화에 따라 컨텐츠(50)를 제어하는 신호처리부(400);
    신호처리부(400)에 의해 제어되는 컨텐츠(50)를 디스플레이장치(310)로 출력하는 컨텐츠출력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핸들(100)은
    이격된 세 점 이상의 위치를 포함하는 영역에 분포된 메인마크(110),
    핸들(100)을 잡은 사용자(10)의 손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에 배치되는 제어활성화마크(120),
    사용자(10)별로 부여되는 식별마크로서 핸들(100)의 전면 일측에 배치되는 사용자식별마크(130)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처리부(400)는
    영상수신부(200)에서 수신한 영상으로부터 메인마크(110)를 추출하는 메인마크인식모듈(410),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추출된 메인마크(110)가 배치된 영역 내에서 제어활성화마크(120)를 추출하고, 사용자(10)의 손에 의해 가려지기 직전의 위치를 초기위치로 설정한 뒤, 모든 제어활성화마크(120)가 가려지면 식별마크인식모듈(430)과 제어신호생성모듈(440)을 활성화시키는 제어활성화모듈(420),
    제어활성화모듈(420)에 의해 활성화되면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추출된 메인마크(110)가 배치된 영역 내에서 사용자식별마크(130)를 추출하는 식별마크인식모듈(430),
    메인마크인식모듈(410)에서 추출한 메인마크(110)의 움직임에 따라 컨텐츠(50)를 제어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모듈(440),
    제어신호생성모듈(44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에 따라 컨텐츠(5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장치(310)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는 컨텐츠제어모듈(450),
    컨텐츠제어모듈(450)에서 생성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장치(310)로 전달하는 컨텐츠출력모듈(4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신호처리부(400)에서 컨텐츠(50)를 제어하는 이력이 사용자(10)별로 저장되는 서버(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500)는
    사용자(10)별로 할당되며 사용자(10)별 식별마크와 함께 해당 사용자(10)가 핸들(100)을 이용하여 컨텐츠(50)를 제어하는 사용이력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510)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부(400)는
    컨텐츠제어모듈(450)에서 컨텐츠(50)가 제어되는 이력을 식별마크인식모듈(430)에서 연동한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하는 사용이력저장모듈(470),
    사용이력저장모듈(470)에 의해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된 사용이력을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10)의 제어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510)에 저장하는 제어패턴분석모듈(48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식별마크인식모듈(430)은
    서버(500)에 접속하여 추출된 식별마크가 할당된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와 연동하는 데이터베이스연동부(4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정보열람모듈(520)은 정보열람모듈(520)에 접속하는 주체가 관리자(20)인지 보호자(30)인지 확인하는 주체확인부(521),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보호자(30)일 경우 보호자단말(31)에 저장된 식별마크를 불러오는 식별마크확인부(522),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보호자(30)일 경우 식별마크확인부(522)에서 불러온 식별마크가 저장된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사용이력저장모듈(47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고,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관리자(20)일 경우 모든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사용이력저장모듈(47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는 사용이력열람부(523),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보호자(30)일 경우 식별마크확인부(522)에서 불러온 식별마크가 저장된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제어패턴분석모듈(48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고, 주체확인부(521)에서 확인된 주체가 관리자(20)일 경우 모든 사용자(10)의 데이터베이스(510)에 접속하여 제어패턴분석모듈(480)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는 분석정보열람부(5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KR1020180033750A 2018-03-23 2018-03-23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KR102014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50A KR102014181B1 (ko) 2018-03-23 2018-03-23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750A KR102014181B1 (ko) 2018-03-23 2018-03-23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181B1 true KR102014181B1 (ko) 2019-10-23

Family

ID=6846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3750A KR102014181B1 (ko) 2018-03-23 2018-03-23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1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453A (ko) * 2009-08-20 2011-02-28 배진우 영상 해석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452355B1 (ko) * 2014-02-13 2014-10-22 (주)펜제너레이션스 닷패턴 인식 장치 및 컨텐츠 실행 장치
KR20150015800A (ko) * 2013-08-01 2015-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50129926A (ko) 2014-05-12 2015-11-23 박종남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453A (ko) * 2009-08-20 2011-02-28 배진우 영상 해석 장치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15800A (ko) * 2013-08-01 2015-0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1452355B1 (ko) * 2014-02-13 2014-10-22 (주)펜제너레이션스 닷패턴 인식 장치 및 컨텐츠 실행 장치
KR20150129926A (ko) 2014-05-12 2015-11-23 박종남 유아 및 아동용 온라인 학습 컨텐츠 시스템 및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0328B2 (en) Books, papers, and downloaded information to facilitate human interaction with computers
JP3120085B2 (ja) 電子装置及び情報担体
CN103052979B (zh) 用于阅读媒体的提升的系统
TW394879B (en) Graphics processing system and its data input device
JP5689057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利用した接触カード認識システム及び認識方法
US9454262B2 (en) Information output device
KR100557474B1 (ko) 도트 패턴을 이용한 정보재생, 입출력방법, 정보재생장치,휴대정보 입출력 장치 및 전자완구
US20140327660A1 (en) Transaction automation and archival system using electronic contract disclosure units
CA2602722C (en) Manipulable interactive devices
KR101491476B1 (ko) 저렴하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oid인식펜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이의 학습방법.
GB2424510A (en) Interactive blocks.
CN102549527A (zh) 用于便携式有形交互的系统
JP5125121B2 (ja) ゲーム装置
BRPI0708766A2 (pt) sistema multimÍdia interativo
KR20140055572A (ko) 패턴코드 인식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700317B1 (ko) 도트 코드 기반의 필기 인식 전자펜을 이용한 교육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181B1 (ko) 무전원 핸들을 이용한 컨텐츠 제어 시스템
JP5911995B1 (ja) 装置、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9788155A (zh) 图像读取装置和方法
CN107146483B (zh) 体验式阅读系统
KR100788961B1 (ko) 에이알 북스테이션
AU2020102908A4 (en) IOTM- Class Monitoring System: IoT and AI based Monitoring System for Faculty and their Course Materials Availability
TWI515698B (zh) 互動式感應學習裝置
Kanev et al. Case study: approaching the learning of kanji through augmented toys in Japan
WO2022163286A1 (ja) 情報取得装置、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