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455A -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 - Google Patents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455A
KR20150125455A KR1020140052867A KR20140052867A KR20150125455A KR 20150125455 A KR20150125455 A KR 20150125455A KR 1020140052867 A KR1020140052867 A KR 1020140052867A KR 20140052867 A KR20140052867 A KR 20140052867A KR 20150125455 A KR20150125455 A KR 201501254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member
screen
closing
emergency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994B1 (ko
Inventor
위선복
Original Assignee
위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선복 filed Critical 위선복
Priority to KR102014005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994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4Removing or cutting-off the supply of inflammabl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8Roll-type closures
    • E06B9/11Roller shutters
    • E06B9/17Parts or details of roller shutters, e.g. suspension devices, shutter boxes, wicket doors, ventilation open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및 방화 스크린 셔터는, 유리섬유방적사와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stainless steel wire)를 포함하는 위사와 유리섬유방적사(glass fiber yarn)를 포함하는 경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직물층; 및 상기 직물층에 도포되는 내열성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열성 코팅층은 산화알루미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방화 스크린이 열에 노출되어 온도가 상승하면 산화알루미나가 산화규소 또는 실리카로 변하면서 약 1700 ℃까지 내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Fireproof screen and fireproof screen shut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비상구 스크린을 비상구의 전후 양방향으로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는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의 방화 스크린 셔터는 화재 발생시 건물 내의 연소 및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동으로 가동되어 화재 현장을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화재지역을 방화 스크린으로 차단한 상태에서 미처 대피하지 못한 사람들은 방화 스크린 중앙에 설치된 비상문을 개방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문은 비상문의 하단부에 설치된 경사진 경첩 등에 의해 상단의 개방 폭이 좁은 삼각형 모양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비상문으로 탈출할 때 신속하게 빠져나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상문의 무게 때문에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들은 비상문을 열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이, 철재로 된 방화 셔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가벼운 방화 스크린으로 된 셔터가 제안된 바도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방화 스크린 셔터의 경우에는 화재시 발생하는 열풍으로 인해 스크린이 부풀어 오르거나 하단이 들려져 연기 등을 완벽히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화 스크린 셔터 중 비상구를 개폐하는 비상구 스크린의 하단부가 메인 스크린과 분리된 상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람이 탈출한 후 비상구 스크린이 닫히면서 비상구 스크린의 하단이 원래의 위치에 정확하게 복귀되지 않는 문제점도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방화 스크린 셔터의 경우 방화 스크린의 내열성이 크지 않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방화 스크린이 불에 타서 방화 스크린이 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만약, 방화 스크린이 불을 견디지 못하고 타버리게 되면 방화 스크린의 하단부에 연결된 웨이트 바 등이 아래로 떨어지면서 사람을 다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내열성이 우수한 방화 스크린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공보 제10-1040125호(발명의 명칭; 방화 스크린 셔터, 등록일자; 2011년 6월 2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내열성을 높인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상구를 신속하게 개방하고 닫을 수 있는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유리섬유방적사와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stainless steel wire)를 포함하는 위사와 유리섬유방적사(glass fiber yarn)를 포함하는 경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직물층; 및 상기 직물층에 도포되는 내열성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열성 코팅층은 산화알루미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방화 스크린이 열에 노출되어 온도가 상승하면 산화알루미나가 산화규소 또는 실리카로 변하면서 약 1700 ℃까지 내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내열성 코팅층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사는 유리섬유방적사와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를 합사한 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사는 상기 합사한 실 1가닥과 유리섬유방적사 15가닥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직물층은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를 이용하여 8매 주자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는 인치(inch) 당 각각 38 내지 42 가닥이 사용되고, 상기 직물층의 두께는 인치 당 0.475 내지 0.525 mm이며, 상기 직물층의 중량은 제곱미터 당 711 내지 801 그램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는, 비상구가 형성된 메인 스크린; 상기 메인 스크린의 하단에 제공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의 수평을 유지하는 메인 웨이트바; 상기 메인 스크린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스크린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비상구는 비상구 스크린; 및 상기 메인 웨이트바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스크린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비상구 스크린을 동시에 개폐하는 비상구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스크린 및 상기 비상구 스크린은 상기한 방화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구 개폐부는, 상기 메인 웨이트바에 장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구 개방부재; 및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의 양면과 접촉하여 상기 비상구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비상구 개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상구 개폐모듈은, 제1 개폐부재; 상기 제1 개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부재; 및 상기 제2 개폐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개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3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구가 닫히게 되면 상기 제1 개폐부재, 상기 제2 개폐부재,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 및 상기 제3 개폐부재의 순으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개폐부재와 상기 제3 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개폐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3 개폐부재의 중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가 상기 제2 개폐부재를 타격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3 개폐부재가 상기 제2 개폐부재 쪽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개폐부재에는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 또는 상기 메인 웨이트바와 상기 제1 개폐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자석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개폐부재는 상기 제1 개폐부재에 힌지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힌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상기 제1 개폐부재와 상기 제3 개폐부재를 연결하는 탄성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에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은 상기 힌지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의 하부에는 힌지 스프링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는 산화알루미나 코팅층을 함유한 방화 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내열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는 유리섬유방적사와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를 합사한 실을 이용함으로써 방화 스크린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는 비상구의 양면을 개폐하는 비상구 스크린을 어느 한쪽만 움직이더라도 양면의 비상구 스크린이 동시에 움직이기 때문에 피난자들이 용이하게 비상구를 개방하여 신속하게 탈출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상구 스크린을 개방하여 탈출한 후 개방된 비상구 스크린이 스프링강에 의해 원상태로 빨리 복귀하기 때문에 탈출 후 비상구를 확실하게 닫을 수 있으며 탈출 과정에서 연기 등이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메인 스크린 및 비상구 스크린이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비상구 스크린이 차폐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비상구 개폐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원사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직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메인 스크린 및 비상구 스크린이 해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비상구 스크린이 차폐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의 비상구 개폐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원사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의 직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방화 스크린(104)이 설치되는 건물 등의 기둥(104,105)에 설치 고정되어 방화 스크린(104) 양단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0), 가이드 레일(110)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건물의 바닥에 설치되는 하부지지판(106), 가이드 레일(1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방화 스크린(104)을 권취하는 샤프트(102), 샤프트(102)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1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샤프트(102)에 권취된 방화 스크린(104) 및 샤프트(102)를 수용하기 위한 샤프트 수용 케이스(10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건물의 천정 상부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에는, 방화 스크린(104)을 권취하기 위한 모터(101) 및 샤프트(102)를 설치하지 않고 방화 스크린(102)을 권취하지 않고 펼쳐진 상태 그대로 올리거나 내리는 것도 가능하다.
방화 스크린(104)은 특수 재질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유리 섬유 직포, 실리카 클로스(silica cloth) 또는 카본 섬유 등을 함유한 내화 또는 불연 스크린이 될 수 있다. 방화 스크린(104)은 화재 지역을 차단하여 연기 등의 확산을 방지하는 메인 스크린(104) 및 구난자가 용이하게 화재 지역을 벗어날 수 있도록 메인 스크린(104)에 형성된 피난 통로인 비상구(190, 도 9 참조)를 덮는 비상구 스크린(110)을 포함할 수 있다. 방화 스크린(104)의 재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는, 비상구(190)가 형성된 메인 스크린(104), 메인 스크린(104)의 하단에 제공되어 메인 스크린(104)의 수평을 유지하는 메인 웨이트바(130), 메인 스크린(104)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스크린(111) 및 메인 스크린(104)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스크린(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크린(111)과 제2스크린(112)은 비상구 스크린(110)을 형성할 수 있다. 비상구 스크린(110)은 비상구(190)를 개폐하는 방화 스크린이다.
비상구(190)는 비상구 스크린(110) 및 메인 웨이트바(130)에 형성되며, 메인 스크린(104)의 양면에 형성된 비상구 스크린(104)을 동시에 개폐하는 비상구 개폐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스크린(104) 및 비상구 스크린(110)은 내열성이 우수한 재질로 직조된 방화 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피난자가 신속하게 비상구 스크린(110)을 열 수 있고, 피난자가 비상구 스크린(110)을 열고 비상구(190)를 통과하여 피난한 이후에는 비상구 스크린(110)은 신속하고 정확하게 비상구(190)를 닫아서 열기 또는 연기가 피난자 쪽으로 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비상구 스크린(110)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개폐할 수 있게 하는 비상구 개폐부(200)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의 비상구 개폐부(200)는, 메인 웨이트바(130)에 장착되는 고정부재(220), 고정부재(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구 개방부재(210) 및 비상구 개방부재(210)의 양면과 접촉하여 비상구(190)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비상구 개폐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220)는 비상구 개방부재(210)에 힌지(221)로 연결되며, 힌지(221)에 삽입되어 고정부재(220)와 비상구 개방부재(21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222)은 힌지(22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재(220)는 메인 웨이트바(130)에 고정되고 고정부재(22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비상구 개방부재(210)가 고정부재(220)에 대해서 접철되면서 비상구(190)가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비상구 개방부재(210)는 비상구 스크린(110)의 하단에 연결되어 비상구 스크린(110)과 함께 비상구(190)를 개폐할 수 있다.
한편, 힌지(221)의 하부에는 힌지 스프링(223)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힌지(221)의 힌지핀(222) 하부에 힌지 스프링(223)이 장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비상구 스크린(110)이 열리는 경우 비상구 개방부재(210)가 고정부재(220)에 대해서 회전하면서 비상구 개방부재(210)가 다소 위쪽으로 움직이게 되는데, 비상구 스크린(110)이 닫히는 경우에는 위쪽으로 움직였던 비상구 개방부재(210)가 다시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고정부재(22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충격이 고정부재(220)에 전달되는 것이 힌지 스프링(223)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비상구 개폐모듈(230)은, 제1 개폐부재(231), 제1 개폐부재(2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부재(232) 및 제2 개폐부재(232)와 이격된 위치에서 제1 개폐부재(2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3 개폐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구(190)가 비상구 스크린(110)에 의해서 닫히게 되면 제1 개폐부재(231), 제2 개폐부재(232), 비상구 개방부재(210) 및 제3 개폐부재(233)의 순으로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구 개방부재(210)가 제2 개폐부재(232)와 제3 개폐부재(233)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제1 개폐부재(231)에 밀착한 상태가 비상구(190)가 닫힌 상태이다.
제1 내지 제3 개폐부재(231,232,233)이 최대한 펼쳐지면 대략 삼각형 모양을 유지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제2 개폐부재(232)와 제3 개폐부재(233)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51)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251)는 제2 개폐부재(232)의 일단과 제3 개폐부재(233)의 중단을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재(251)의 양단은 각각 제2 개폐부재(232)의 일단과 제3 개폐부재(233)의 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251)를 연결하기 위해 제2 개폐부재(232)의 일단에는 연결 리브(235)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개폐부재(233)에는 연결 브라켓(234)이 형성될 수 있다.
비상구 개방부재(210)가 제2 개폐부재(232)를 타격하게 되면 연결부재(251)에 의해서 제3 개폐부재(233)가 제2 개폐부재(232) 쪽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개폐부재(232)의 타단은 제1 개폐부재(231)에 경첩(242)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개폐부재(231)에는 비상구 개방부재(210) 또는 메인 웨이트바(103)와 제1 개폐부재(231)를 부착시키기 위한 자석(2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개폐부재(231)의 일면 중 비상구 개방부재(210)를 바라보는 면에 자석(241)이 부착되어 있다. 비상구 개방부재(210)가 제2 개폐부재(232)와 제3 개폐부재(233) 사이에 끼어 있는 상태만으로도 비상구(190)의 닫힘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1 개폐부재(231)에 자석(241)을 부착함으로써 비상구(190)의 닫힌 상태에서 비상구 개방부재(210)가 제1 개폐부재(231)에 확실히 붙어 있게 할 수 있다.
제3 개폐부재(233)는 제1 개폐부재(231)에 힌지(243)에 의해서 연결되며, 힌지(243)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제1 개폐부재(231)와 제3 개폐부재(233)를 연결하는 탄성부재(246)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246)는 비상구(190)가 닫힐 때 제3 개폐부재(233)가 제1 또는 제2 개폐부재(231,232) 쪽으로 원활히 움직이게 만들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개폐부재(232)는 제1 개폐부재(231)에 힌지(243)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힌지(243)의 일단에는 경첩(245)이 형성되고 이 경첩(245)이 제2 개폐부재(232)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개폐부재(232)의 일단 중 힌지(243)와 연결되는 일단의 폭방향 상하부에는 각각 스프링 연결부(236)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하부의 스프링 연결부(236) 중 어느 하나는 절곡 형성될 수 있다.
힌지(243)의 폭방향 상단 및 하단에는 나사 또는 스프링 고정부(247)가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 고정부(247)와 스프링 연결부(236)에 스프링(246)이 연결될 수 있다. 이 스프링(246)은 제1 개폐부재(231)에 대해서 제2 개폐부재(232)가 펼쳐 졌을 때 빨리 제2 개폐부재(232)가 제1 개폐부재(231)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도와주게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의 비상구 스크린(110)이 열리는 모습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비상구 스크린(110)은 제1 스크린(111)과 제2 스크린(112) 중 어느 하나를 개방하게 되면 비상구 개방부재(210)가 제1 내지 제3 개폐부재(231,232,233)에서 분리되면서 비상구(190)가 열리게 된다. 피난자가 손으로 잡고 있던 제1 스크린(111) 또는 제2 스크린(112)을 놓게 되면 비상구 개방부재(210)가 제1 내지 제3 개폐부재(231,232,233) 사이에 놓이면서 비상구(190)가 신속히 닫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 셔터(100)에 사용되는 방화 스크린(104)의 재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104)은, 유리섬유방적사와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stainless steel wire)를 포함하는 위사와 유리섬유방적사(glass fiber yarn)를 포함하는 경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직물층 및 상기 직물층에 도포되는 내열성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열성 코팅층은 산화알루미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방화 스크린(104)이 열에 노출되어 온도가 상승하면 산화알루미나가 산화규소 또는 실리카로 변하면서 약 1700 ℃까지 내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104)에 사용되는 유리섬유방적사는 G75 1/3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위사(weft, 緯絲)는 유리섬유방적사와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를 합사한 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사는 유리섬유방적사(301)와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302)를 서로 꼬아서 합사(合絲)한 실(305)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위사는 상기 합사한 실(305) 1가닥과 유리섬유방적사 15가닥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물층은 상기 위사(304) 및 상기 경사(warp, 經絲, 303)를 이용하여 8매 주자직(satin weave, ?子織)으로 직조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는 인치(inch) 당 각각 38 내지 42 가닥이 사용되고, 상기 직물층의 두께는 인치 당 0.475 내지 0.525 mm이며, 상기 직물층의 중량은 제곱미터 당 711 내지 801 그램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열성 코팅층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화 스크린(104)의 원단의 내열성은 약 300~400℃ 정도임에 반하여, 산화알루미나를 포함한 내열성 코팅층이 형성되면 방화 스크린(104)의 내열성은 약 1700℃ 정도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화 스크린은 산화알루미나를 포함하는 내열성 코팅층을 구비함으로써, 방화 스크린이 열에 노출되어 온도가 상승하면 산화알루미나가 산화규소 또는 실리카로 변하게 되면서 약 1700 ℃까지 내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방화 스크린 셔터 104: 방화 스크린
110: 비상구 스크린 190: 비상구
201: 비상구 개방부재 220: 고정부재
230: 비상구 개폐모듈 231: 제1 개폐부재
232: 제2 개폐부재 233: 제3 개폐부재
241: 자석 251: 연결부재

Claims (15)

  1. 유리섬유방적사와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stainless steel wire)를 포함하는 위사와 유리섬유방적사(glass fiber yarn)를 포함하는 경사를 직조하여 형성된 직물층; 및
    상기 직물층에 도포되는 내열성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내열성 코팅층은 산화알루미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열성 코팅층은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유리섬유방적사와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를 합사한 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상기 합사한 실 1가닥과 유리섬유방적사 15가닥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층은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를 이용하여 8매 주자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 및 상기 경사는 인치(inch) 당 각각 38 내지 42 가닥이 사용되고, 상기 직물층의 두께는 인치 당 0.475 내지 0.525 mm이며, 상기 직물층의 중량은 제곱미터 당 711 내지 801 그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7. 제6항에 있어서,
    비상구가 형성된 메인 스크린;
    상기 메인 스크린의 하단에 제공되어 상기 메인 스크린의 수평을 유지하는 메인 웨이트바;
    상기 메인 스크린의 일면에 설치되는 제1스크린 및 상기 메인 스크린의 타면에 설치되는 제2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비상구는 비상구 스크린; 및
    상기 메인 웨이트바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 스크린의 양면에 형성된 상기 비상구 스크린을 동시에 개폐하는 비상구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스크린 및 상기 비상구 스크린은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화 스크린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개폐부는,
    상기 메인 웨이트바에 장착되는 고정부재;
    상기 제1 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비상구 개방부재; 및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의 양면과 접촉하여 상기 비상구의 닫힘 상태를 유지하는 비상구 개폐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개폐모듈은,
    제1 개폐부재;
    상기 제1 개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개폐부재; 및
    상기 제2 개폐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개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3 개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비상구가 닫히게 되면 상기 제1 개폐부재, 상기 제2 개폐부재,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 및 상기 제3 개폐부재의 순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폐부재와 상기 제3 개폐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2 개폐부재의 일단과 상기 제3 개폐부재의 중단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가 상기 제2 개폐부재를 타격하게 되면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3 개폐부재가 상기 제2 개폐부재 쪽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폐부재에는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 또는 상기 메인 웨이트바와 상기 제1 개폐부재를 부착시키기 위한 자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개폐부재는 상기 제1 개폐부재에 힌지에 의해서 연결되며, 상기 힌지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상기 제1 개폐부재와 상기 제3 개폐부재를 연결하는 탄성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에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힌지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비상구 개방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은 상기 힌지 보다 길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의 하부에는 힌지 스프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 스크린 셔터.
KR1020140052867A 2014-04-30 2014-04-30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 KR10163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67A KR101638994B1 (ko) 2014-04-30 2014-04-30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67A KR101638994B1 (ko) 2014-04-30 2014-04-30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455A true KR20150125455A (ko) 2015-11-09
KR101638994B1 KR101638994B1 (ko) 2016-07-12

Family

ID=54604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867A KR101638994B1 (ko) 2014-04-30 2014-04-30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6780U1 (ru) * 2020-05-14 2021-09-2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ая фирма НОРД Устройство герметизации отсеков судна при пожаре, закрывающее горизонтальные проемы шторой из трудногорючего полотн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9668A (ja) * 2006-09-26 2008-04-10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ウォークスルー耐火スクリーン
JP2011255066A (ja) * 2010-06-11 2011-12-22 Ashimori Industry Co Ltd 遮炎遮煙布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ャッタースクリーン
KR20120004063A (ko) * 2010-07-06 2012-01-12 주식회사 솔루에타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내열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방화 직물
JP2013035939A (ja) * 2011-08-08 2013-02-21 Nitto Denko Corp 光拡散性不燃複合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9668A (ja) * 2006-09-26 2008-04-10 Tostem Suzuki Shutter Mfg Co Ltd ウォークスルー耐火スクリーン
JP2011255066A (ja) * 2010-06-11 2011-12-22 Ashimori Industry Co Ltd 遮炎遮煙布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ャッタースクリーン
KR20120004063A (ko) * 2010-07-06 2012-01-12 주식회사 솔루에타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내열성 코팅층을 포함하는 방화 직물
JP2013035939A (ja) * 2011-08-08 2013-02-21 Nitto Denko Corp 光拡散性不燃複合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994B1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67595B2 (ja) ブラインド
KR101638994B1 (ko) 방화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방화 스크린 셔터
KR100980382B1 (ko) 3중 비상문이 구비된 방화스크린 셔터
JP4789763B2 (ja) ウォークスルー耐火スクリーン
KR101040125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200411903Y1 (ko) 방화 스크린 셔터
KR20110111617A (ko) 비금속내화단열재로 이루어진 비상도어를 구비한 철재방화셔터
KR20080109160A (ko) 우수한 차단효과를 갖는 엘리베이터용 방화스크린셔터
JP5703765B2 (ja) ガラス繊維織物及び照明装置
TWI678462B (zh) 横型百葉窗
JP2000337046A (ja) 防火防煙用スクリーンシャッター
KR100980372B1 (ko) 열림방지구를 구비하는 방화스크린셔터
KR101438052B1 (ko) 방화 스크린 셔터
JP6739794B2 (ja) ブラインド機能付きスクリーン装置
JP2016125225A (ja) 日射遮蔽装置
JP3097543B2 (ja) 人が容易に通過できる防火・防煙区画構造
KR102636525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JP2003093532A (ja) 防火区画用スクリーン装置
KR20170021608A (ko) 방화 스크린 셔터용 감아올리는 비상문장치
KR102619879B1 (ko) 프로젝트 창
KR102656680B1 (ko) 폐곡면 타입 방화 스크린 셔터
JP2000080866A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KR20120020214A (ko) 일체형 스크린 방화 셔터
JP3732976B2 (ja) 防火防煙シャッター
JP3629607B2 (ja) 避難用シート扉付捲込み防火シート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