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5439A -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5439A
KR20150125439A KR1020140052831A KR20140052831A KR20150125439A KR 20150125439 A KR20150125439 A KR 20150125439A KR 1020140052831 A KR1020140052831 A KR 1020140052831A KR 20140052831 A KR20140052831 A KR 20140052831A KR 20150125439 A KR20150125439 A KR 20150125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ves
bamboo
active ingredient
cosmetic composition
supercritical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223B1 (ko
Inventor
김귀철
이재의
김희진
권애영
권세환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영농조합법인 양지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영농조합법인 양지엔텍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남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4005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223B1/ko
Publication of KR20150125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5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03Solvent extraction of solids with a supercritical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준비된 신이대의 줄기와 잎을 세척, 건조 및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을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에 공용매를 첨가한 후,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1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준비된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세척, 건조 및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에탄올에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제2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농축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제1유효성분 및 농축된 상기 제2유효성분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BAMBOO SAP EXTRACT USING SUPERCRITICAL FLUIDEXTRA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T}
본 발명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가 포함하고 있는 유효성분을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 및 이들을 혼합함으로써, 우수한 항균활성 및 미백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나무는 껍질, 가지, 잎, 순, 내피인 죽여 등이 예로부터 한약재로 이용되어 왔다.
특히, 대나무 잎은 맛이 쓰고 성질이 차서 열 내림, 지혈제, 중풍, 고혈압 등에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 왔고 살균 및 항진균 작용과 항암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나무를 가열하여 추출한 죽력은 동의보감, 본초강목, 중약대사전 등에서 중풍, 고혈압을 치료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고 노화방지에 좋은 작물로 소개되고 있다.
한편, 솜대(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 et ZUCC .)는 분죽이라고도 하며 왕대보다는 키가 작고 10m를 약간 넘으며 줄기에 흰 무늬가 있어 이것이 솜처럼 보인다고 하여 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상기 솜대는 활력이 좋아 담양에서도 죽 제품 가공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죽종이며 왕대에 비해 죽순이 일찍 나온다고 하여 오죽 또는 올죽이라고도 한다.
죽순껍질은 황색으로 반점이 없으며 털이 있다.(정보섭 및 신민교 저, 도해향약대사전, 영림사, pp204-205, 1998).
한편, 신이대(이대)는 제주도와 남부지역에서 자라는 대나무 종류로 줄기의 높이는 2~4m에 달하며 직경은 5㎜ 가량이다.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변하며 털이 없고 중간 윗부분에서 5~6개의 가지가 나온다.
예로부터 화살로 사용된다하여 시죽(矢竹) 또는 전죽(箭竹) 이라 하였다.
아울러 맹종죽은 목본성 식물로서 죽순대, 또는 강남죽 이라고도 하며 관상용, 약용 및 식용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어 예로부터 구토, 소염, 유산, 발한, 중풍 등에 대한 치료제로서 이용되어 왔다.
또한, 항균성이 있어 식품제조 및 미용향료용 항균물질의 소재로서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맹종죽의 항균 성분은 퀴논(quinone) 유도체 알려져 있는데 맹종죽의 퀴논 유도체는 천연물로서는 대단히 강력한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맹종죽 추출물은 열에 안정하고 다른 천연 물질과는 달리 pH변화에도 활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대나무 추출물은 피부상태를 개선하는 데 유용하며 피부 보습력을 증진시켜 피부의 건조함과 거칠어짐을 개선시키고 티로시나제의 저해효과와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며 아토피 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종래 기술로 알려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공개 특허평5-124930호에는 피부 보습력, 피부의 건조함과 갈라짐을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대나무 추출물 함유 화장료에 대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공개 특허평11-199501호에는 피부의 보습력을 증진시켜 피부의 건조함과 거칠어짐을 개선시키는 대나무 추출물, 우레아, 항염증조성물을 혼합한 피부 외용제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2001-007943호에는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고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는 죽 내피 추출물 함유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고 일본공개 특허평11-080011호에는 대나무 증류액을 함유하여 아토피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욕용제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식용 또는 미용향료제품의 추출은 대부분 열수추출법이나 용매추출법을 통해 수행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열수추출법이나 용매추출법은 복잡한 정제과정을 거치며 이로 인한 유기용매의 잔존, 용매의 제거 및 오일성분의 낮은 분리효과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으며 특히, 정제과정에 있어서 인체에 유해한 독성물질 및 환경오염물질의 발생, 복잡한 정제과정에 따른 제품의 생산원가의 상승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먼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우수한 항균성 및 미백기능을 갖는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복잡한 정제과정을 거치는 열수추출법이나 용매추출법과는 달리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에서 항균 및 미백기능을 갖는 유효성분을 간단하게 추출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 시간, 원가 절감 및 대량생산이 가능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준비된 신이대의 줄기와 잎을 세척, 건조 및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을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에 공용매를 첨가한 후,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1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준비된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세척, 건조 및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에탄올에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제2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농축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제1유효성분 및 농축된 상기 제2유효성분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을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파쇄된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 입자크기가 0.5mm이하가 되도록 분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용매는 에탄올일 수 있고 상기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에 공용매를 첨가한 후,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1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50℃ 온도 및 200~400bar 압력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우수한 항균성 및 미백기능을 갖고, 복잡한 정제과정을 거치는 열수추출법이나 용매추출법과는 달리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에서 항균 및 미백기능을 갖는 유효성분을 간단하게 추출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 시간, 원가 절감 및 대량생산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전체공정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전체공정도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준비된 신이대의 줄기와 잎을 세척, 건조 및 파쇄하는 단계(S1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신이대는 벼과(Gramineae) 식물로 학명은 Pseudosasa japonica(Siebold & Zucc. ex Steud.) Makino 이고, 제주도와 남부지역에서 자라는 대나무 종류로 줄기의 높이는 2~4m에 달하며 직경은 5㎜ 가량이며, 녹색에서 황록색으로 변하며 털이 없고 중간 윗부분에서 5~6개의 가지가 나온다.
예로부터 화살로 사용된다 하여 시죽(矢竹) 또는 전죽(箭竹) 이라 하였으며 화병, 기관지염, 혓바늘 선 데, 신경통, 치질, 생리불순, 당뇨, 살균, 진균, 항암치료 등에 효능이 있는 식물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미리 채취한 상기 신이대의 줄기와 잎을 이용하며 채취된 신이대의 줄기와 잎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세척, 건조 및 파쇄(S100)한다.
이때, 상기 신이대의 세척, 건조 및 파쇄방식(S100)은 다양한 방식 또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특별한 한정은 두지 아니한다.
한편, 세척, 건조 및 파쇄하여 준비된 신이대의 줄기와 잎은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S200)되는데 이때, 상기 입자크기는 신이대에서 추출되는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0.5mm이하로 분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나무는 딱딱한 대나무 목질부의 특성상 대나무 추출물의 추출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데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자크기가 0.5mm이하가 되도록 분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분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에 공용매를 첨가한 후,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1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초임계 유체 추출법은 특수한 장비를 사용하여 내용물의 온도를 순간적으로 떨어뜨리고 고압의 유체를 불어 넣어 유체가 세포벽을 깨뜨려서 그 안의 필요 물질을 고순도로 추출해내는 기법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공용매는 다양한 알콜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에탄올(ethanol)을 이용하며, 에탄올과 같은 공용매를 첨가하는 이유는 상기 신이대 추출물에 포함된 오일성분을 제거하여 고순도의 제1유효성분만을 추출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상기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제1유효성분추출 단계(S300)는 다양한 온도 및 압력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50℃ 온도 및 200~400bar 압력하에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신이대에서 추출한 제1유효성분 외에 솜대와 맹종죽에서 추출 및 농축된 제2유효성분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유효성분은 후술하는 단계를 통해 준비되는데 먼저,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세척, 건조 및 파쇄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솜대(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 et ZUCC .)는 분죽이라고도 하며, 왕대보다는 키가 작고 10m를 약간 넘으며 줄기에 흰 무늬가 있는 식물이며, 상기 맹종죽은 목본성 식물로서 죽순대 또는 강남죽 이라고도 불리우며 관상용, 약용 및 식용자원으로 사용될 수 있어 예로부터 구토, 소염, 유산, 발한, 중풍 등에 대한 치료제로서 이용되어 왔다.
또한, 항균성이 있어 식품제조 및 미용향료용 항균물질의 소재로서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때, 맹종죽의 항균 성분은 퀴논(quinone) 유도체 알려져 있는데, 맹종죽의 퀴논 유도체는 천연물로서는 대단히 강력한 항균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상술한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세척, 건조 및 파쇄하는 단계(S400)는 다양한 방식 또는 방법을 통해 세척, 건조 및 파쇄될 수 있어 이에 대한 특별한 한정은 두지 아니하며, 파쇄된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은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되는 단계(S500)를 거친다.
이때, 분쇄되는 솜대와 맹종죽의 입자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입자크기로 분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있어서는 추출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0.5mm이하의 크기로 분쇄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분쇄된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은 에탄올에 12시간 동안 침지되어 제2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농축하는 단계(S600)를 거치며, 추출 후 농축된 상기 제2유효성분은 상기 제1유효성분과 혼합(S700)되어 최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룬다.
이때,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은 상기 신이대의 제1유효성분 추출방식과는 달리 에탄올에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제2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용매추출법을 이용한다.
이처럼 상기 용매추출법을 이용하는 이유는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에서 추출되는 제2유효성분의 항균활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효과 시험을 위한 병원성 미생물은 다음과 같다.
① 대장균(1종) : Escherichia coli
② 포도상 구균(1종) : Staphylococcus aureu
③ 여드름 구균(1종) : Propionibacterium acnes
이때, 상기 병원성 미생물은 균주은행(한국생명공학연구원)으로부터 분양받았으며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하에서 배양하여 준비하였다.
구분 대장균 포도상 구균 여드름 구균
시험방법 paper disk, cup, liquid culture 좌동 좌동
배양온도 37℃ 37℃ 37℃
배양조건 호기성 배양 호기성 배양 혐기성 배양
배양기간 2~3일 3~5일 3~5일
배양배지 LB medium BHI TSB
배양기 호기성 chamber 호기성 chamber 혐기성 chamber

특이사항
①항균력은 생육저지환(Clear Zone) 영역으로 확인함.
②생육저지 최소농도(MIC: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확인은 액체배양 또는 평판배지에서 확인함.
- 호기성 배양 -
액체 배양은 200㎖ flask에 100㎖에 배지를 넣고 Autoclave를 이용하여 121℃, 15min 동안 멸균 처리한 후 Clean bench에서 상온(20℃~25℃)까지 떨어뜨린 후 최적 배양된 균(Cell Optical Density가 2.0 이상으로 2.0×103~4CFU/㎖)을 50배 희석하여 100㎕를 접종하여 4주마다 계대 배양하여 균의 활성을 계속적으로 유지시켜 주었으며 항균성 테스트는 15㎖ 멸균된 Test Tube에 4㎖의 액체 배지를 넣고 적당하게 희석(원액을 10배, 20배,100배 이상으로 단계적으로 희석)된 항균제를 1 또는 0.001g ~ 0.200g을 취하여 배지에 녹인 후 Clean bench에서 1시간 동안 UV 처리하여 멸균 처리한 후 활성된 균을 각각 50㎕씩 접종하여 시간에 따른 세포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24시간 배양 된 Seed Culture(종배양)를 고체 배지(액체 배지에 Agar 20g/L를 첨가한 배지)에 20㎕씩 도말하여 24시간 배양 한 후 집락을 확인하였다.
- 혐기성 배양 -
혐기성 배양은 호기성 배양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며, 다만 혼합 가스(80% N2, 10% CO2, 10% H2)를 공급할 수 있는 혐기성 Chamber에서 혼합 가스를 주입하여 균을 접종하였으며, Gas pack anaerobic system(Difco사 제품)을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LB medium : Yeast extract 5g/L, Ttypetone 10g/L, NaCl 10g/L
BHI : Brain Heart Infusion(BD 237500) 30g/L
TSB :Tryptic Soy medium(BD 236950) 35g/L
- 시험결과 -
하기 [표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각 추출방법에 따른 단일 죽종별 대나무 추출물과의 항균효과를 비교한 표이다.
구분 대장균 포도상 구균 여드름 구균
맹종죽

열수추출 + - -
용매추출 ++ ++ ++
초임계 추출 - + +
솜대

열수추출 - - -
용매추출 ++ ++ +
초임계 추출 - - +
신이대

열수추출 - ++ -
용매추출 + - +
초임계 추출 +++ ++ ++
오죽

열수추출 - - -
용매추출 + - +
초임계 추출 - - -
왕대

열수추출 + - -
용매추출 ++ - +
초임계 추출 - - -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 ++ +++ ++
시험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모든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 우수한 항균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친화적이며 우수한 항균성 및 미백기능을 갖고, 복잡한 정제과정을 거치는 열수추출법이나 용매추출법과는 달리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에서 항균 및 미백기능을 갖는 유효성분을 간단하게 추출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 시간, 원가 절감 및 대량생산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Claims (6)

  1. 준비된 신이대의 줄기와 잎을 세척, 건조 및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을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에 공용매를 첨가한 후,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1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준비된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세척, 건조 및 파쇄하는 단계;
    파쇄된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에탄올에 12시간 동안 침지시켜 제2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농축하는 단계; 및
    추출된 상기 제1유효성분 및 농축된 상기 제2유효성분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을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및 파쇄된 상기 솜대와 맹종죽의 줄기와 잎을 일정 입자크기로 분쇄하는 단계는 상기 입자크기가 0.5mm이하가 되도록 분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매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상기 신이대 줄기와 잎에 공용매를 첨가한 후,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제1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는 50℃ 온도 및 200~400bar 압력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솜대, 맹종죽 및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052831A 2014-04-30 2014-04-30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86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31A KR101686223B1 (ko) 2014-04-30 2014-04-30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2831A KR101686223B1 (ko) 2014-04-30 2014-04-30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5439A true KR20150125439A (ko) 2015-11-09
KR101686223B1 KR101686223B1 (ko) 2016-12-15

Family

ID=54604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831A KR101686223B1 (ko) 2014-04-30 2014-04-30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2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2330A (ja) * 2002-12-10 2006-04-13 上海▲ユン▼騰▲植▼物提取科技▲発▼展有限公司 竹からの抽出のトリテルペノイドサポゲニン化合物の製法と用途
KR20100054386A (ko) *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트리신 포접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2330A (ja) * 2002-12-10 2006-04-13 上海▲ユン▼騰▲植▼物提取科技▲発▼展有限公司 竹からの抽出のトリテルペノイドサポゲニン化合物の製法と用途
KR20100054386A (ko) * 2008-11-14 2010-05-25 주식회사 마크로케어 트리신 포접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223B1 (ko)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68151B1 (ko) 항균 및 방부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177245B1 (ko) 발효 현미 미강을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및 그 제조방법
Sahu et al. Quisqualis indica Linn: A review of its medicinal properties
KR101523631B1 (ko) 항염증 조성물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ćimović et al. Dracocephalum moldovica: cultivation,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KR20160115311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용 조성물
KR20180008071A (ko) 발효된 선복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03664A (ko)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79743A (ko)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효과를 갖는 산야초를 이용한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170017318A (ko) 수경재배 인삼 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101230814B1 (ko) 천연 성분이 혼합된 em 옻물 수용액을 발효한 발효 항산화 물질 가공방법
KR101349101B1 (ko) 천연살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61221A (ko) 붉나무, 지모, 가죽나무 추출물과 그 용도
KR102163969B1 (ko) 유동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3501A (ko) 피부 보호효과를 갖는 비파나무 잎 미네랄당 숙성액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86223B1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 신이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0660A (ko)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105580A (ko) 백연잎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및 항진균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39612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KR20190102364A (ko) 항노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228735B1 (ko) 미세캡슐화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5599A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