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4787A -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 Google Patents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4787A
KR20150124787A KR1020140051789A KR20140051789A KR20150124787A KR 20150124787 A KR20150124787 A KR 20150124787A KR 1020140051789 A KR1020140051789 A KR 1020140051789A KR 20140051789 A KR20140051789 A KR 20140051789A KR 20150124787 A KR20150124787 A KR 20150124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woven
coated
fabric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4121B1 (ko
Inventor
장지상
이재정
최경석
Original Assignee
(주)아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셈스 filed Critical (주)아셈스
Priority to KR1020140051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121B1/ko
Priority to DE102015106379.4A priority patent/DE102015106379B4/de
Priority to CN201510208037.8A priority patent/CN105029826B/zh
Publication of KR20150124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 A43B1/0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of fibres or fabrics made therefrom braided, knotted, knitted or croche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43B13/127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the midsole being multi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7Resiliency achieved by the features of the material, e.g. foam, non liqui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2Lofty fabric with variab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저경도 미드솔의 외부면에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피복한 미드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저경도 미드솔의 외부면에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피복함에 따라, 저경도 미드솔에 의해 쿠션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에 의해 미드솔의 무너짐 또는 주름짐 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자체에 접착성이 부여되어 있음에 따라 별도의 선처리, 표면처리 또는 접착제 도포 등의 공정 없이도 미드솔의 외부면에 용이하게 피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드솔에 각종 문양 및 색상(예를 들면 갑피와 대응되는 문양 및 색상 등)을 부여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신발의 종류, 사용목적 또는 미드솔과 아웃솔의 형태에 대응하여, 보행 시 미드솔의 접히는 부분에만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피복하고, 그 이외에 부분에는 경사 또는 위사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409호에 따른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또는 제10-1240490호에 따른 '접착성을 가지는 원단')을 피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 및 그 사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MIDSOLE COATED ADHESIVE MATERIAL}
본 발명은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에 관한 것으로, 저경도 미드솔의 외부면에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피복함에 따라, 저경도 미드솔에 의해 쿠션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에 의해 미드솔의 무너짐 또는 주름짐 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접촉되는 아웃솔(outsole)(10)과, 상기 아웃솔(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미드솔(midsole)(20)과, 상기 미드솔(2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발바닥과 접촉되는 인솔(insole)(30) 및 상기 미드솔(20)에 결합되어 발을 감싸는 갑피(upper)(40)로 구성된다.
그 중에서도 상기 미드솔은 보행 시 발이나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기능을 가지는 부재로써, 통상 각종 합성수지(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EVA 등)를 발포시킨 발포체로 구성되는데, 미드솔의 쿠션기능이 미비할 경우 보행 시 지면과의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충격의 상당부분이 신체로 전달되어 피로감 또는 불편함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장시간 보행 시 관절이나 근육 등이 훼손될 수 있다.
즉, 미드솔의 쿠션기능은 신발의 기능을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미드솔을 저경도(예를 들면, 경도 25 ~ 30(asker A) 정도)로 구성할 경우 미드솔의 쿠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미드솔의 경도를 단순히 저경도로 맞출 경우, 쿠션성, 유연성 등을 만족시킬 수는 있으나, 장시간 보행 시 그 하중에 의해 미드솔의 무너짐(여기서 무너짐은 미드솔이 하중에 의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압착됨을 의미함) 또는 주름짐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내마모성이 매우 취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허문헌 1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허문헌 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4)의 하부면에 폴리에틸렌계의 화섬섬유나 부직포(8)를 피복시킨 구성이다.
특허문헌 1에서는 상기 화섬섬유나 부직포를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가교체로 사용하였지만 이를 쿠션성 향상을 목적으로 채용해 본다면, 상기와 같이 저경도 미드솔의 외부면에 화섬섬유나 부직포와 같은 원단을 피복할 경우, 쿠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미드솔의 무너짐, 주름짐 또는 취약한 내마모성을 어느 정도 보완(예를 들면, 경도 35 ~ 50(asker A) 정도)할 수는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미드솔의 외부면에 화섬섬유나 부직포와 같은 원단을 단순 피복할 경우, 상기 원단에 의해 미드솔의 유연성이 상당히 취약해질 수 있으며, 이는 접힘동작을 반복하는 신발의 보행동작을 고려할 때, 신발의 기능 자체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한편,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공이 형성된 메쉬원단의 피복을 생각해볼 수 있다. 즉 저경도 미드솔의 외부면에 메쉬원단을 피복할 경우, 쿠션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미드솔의 무너짐, 주름짐 또는 취약한 내마모성을 보완할 수 있고, 더욱이 메쉬원단에 형성된 통공부분(미드솔에 피복되지 않는 부분)에 의해 유연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미드솔의 외부면에 일반 메쉬원단을 사용할 경우, 이를 피복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미드솔에 각종 선처리 및 표면처리를 한 후 접착제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는 공정의 복잡함, 생산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접착제에 의해 미드솔이 오염되어 제품으로써 가치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5833호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저경도 미드솔의 외부면에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피복함에 따라, 저경도 미드솔에 의해 쿠션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에 의해 미드솔의 무너짐 또는 주름짐 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아울러,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자체에 접착성이 부여되어 있음에 따라 별도의 선처리, 표면처리 또는 접착제 도포 등의 공정 없이도 미드솔의 외부면에 용이하게 피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드솔에 각종 문양 및 색상(예를 들면 갑피와 대응되는 문양 및 색상 등)을 부여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함을 다른 과제로 한다.
한편, 신발의 종류, 사용목적 또는 미드솔과 아웃솔의 형태에 대응하여, 보행 시 미드솔의 접히는 부분에만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피복하고, 그 이외에 부분에는 경사 또는 위사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409호에 따른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또는 제10-1240490호에 따른 '접착성을 가지는 원단')을 피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 및 그 사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로써 신발 미드솔에 있어서,
미드솔(20)의 외부면에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이 피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을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써 신발 미드솔에 있어서,
미드솔(20)의 외부면에 경사 또는 위사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70)이 피복되되, 보행 시 미드솔(20)의 접히는 부분에는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이 피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을 과제의 다른 해결 수단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와, TPU 원사(62)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와, 섬유 원사(63)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는, 코어(61a)와 시드(61b)로 구성되는 섬유원사(61c)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61d)가 0.05 ~ 0.3g/m 양으로 코팅되되, 상기 섬유원사(61c)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핫멜트 수지(61d)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저경도 미드솔의 외부면에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피복함에 따라, 저경도 미드솔에 의해 쿠션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에 의해 미드솔의 무너짐 또는 주름짐 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자체에 접착성이 부여되어 있음에 따라 별도의 선처리, 표면처리 또는 접착제 도포 등의 공정 없이도 미드솔의 외부면에 용이하게 피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드솔에 각종 문양 및 색상(예를 들면 갑피와 대응되는 문양 및 색상 등)을 부여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신발의 종류, 사용목적 또는 미드솔과 아웃솔의 형태에 대응하여, 보행 시 미드솔의 접히는 부분에만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을 피복하고, 그 이외에 부분에는 경사 또는 위사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409호에 따른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또는 제10-1240490호에 따른 '접착성을 가지는 원단')을 피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 및 그 사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2는 일반적인 신발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은 특허문헌 1에 따른 신발밑창의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리코트 직조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핫멜트가 코팅된 원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드솔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의 실물사진
상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에 관한 것으로, 각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과 그리고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 미드솔에 있어서, 미드솔(20)의 외부면에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이 피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드솔(20)은, 보행 시 발이나 발바닥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기능을 가지는 부재로써 쿠션기능 및 유연성 등을 고려하여 저경도, 예를 들면 경도 25 ~ 30(asker A) 정도의 미드솔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신발의 종류, 사용목적이나 원하는 쿠션성능을 고려하여 다양한 경도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은, 상기 저경도 미드솔(20)에 대한 무너짐 또는 주름짐 등을 방지하면서도 유연성을 유지시키며 또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피복되는 것으로, 도 6의 (a) 또는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h, 도 4 및 5 참조)을 이루도록 직조거나, 또는 도 6의 (b) 또는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와 TPU 원사(62)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거나, 또는 도 6의 (c) 또는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와 섬유 원사(63)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이다.
여기서, 상기 '트리코트'란 편성(編成,knitting) 공정에 의해 만들어지는 편물로써, 편성 중에서도 조직이 경(經)방향 즉,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경편(經編,warp knitting)에 해당하는 직조방식이며, 이미 공지된 방식이다.
즉, 상기 트리코트 방식을 이용하여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에 대하여 그 직조형태, 방법 및 장치 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더욱이 구현하고자 하는 통공(h)의 크기 또는 사용분야 및 디자인 등에 따라 매우 가변적이므로 그 직조형태, 방법 및 장치 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이미 공지된 모든 직조형태, 방법 및 장치 등을 적용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일 예로 트리코트 방식 중에서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인형 트리코트 방식으로 직조하여 적용한다.
한편,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는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에 접착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61a)와 시드(61b)로 구성되는 섬유원사(61c)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61d)가 0.05 ~ 0.3g/m 양으로 코팅되어 이루어지는데, 0.05g/m 미만일 경우, 접착성이 미비해질 우려가 있으며, 0.3g/m를 초과할 경우, 핫멜트 수지(61d)의 양이 많아서 메쉬 원단 형태로 직조 시,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때,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에 포함되는 섬유원사(61c)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핫멜트 수지(61d)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섬유원사(61c)의 종류에 상관없이 상기 각 핫멜트 수지(61d)를 코팅할 수 있지만, 코팅을 통한 섬유원사(61c)와 핫멜트 수지(61d)의 융합성을 고려하여, 폴리에스터사일 경우, 폴리에스터 수지 또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코팅하고, 나일론사일 경우,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아미드 수지를 코팅하며, 면사일 경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TPU 원사는 TPU(Thermoplastic Polyurethane) 수지를 압출하여 제조된 원사를 의미하며, 이는 이미 공지된 원사의 한 종류이다.
그리고,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와 함께 트리코트 방식으로 직조되는 섬유 원사(63)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 4,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경도 미드솔(20)의 외부면에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을 피복함에 따라, 저경도 미드솔(20)에 의해 쿠션성 및 유연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에 의해 미드솔(20)의 무너짐 또는 주름짐 등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에 형성된 통공(h)부분(미드솔(20)에 피복되지 않는 부분)에 의해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 자체에 접착성이 부여되어 있음에 따라 별도의 선처리, 표면처리 또는 접착제 도포 등의 공정 없이도 미드솔(20)의 외부면에 용이하게 피복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미드솔(20)에 각종 문양 및 색상(예를 들면 갑피와 대응되는 문양 및 색상 등)을 부여할 수 있음에 따라 제품의 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20)의 외부면에 경사 또는 위사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70)을 피복하거나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드솔(20)의 외부면에 경사 또는 위사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70)이 피복되되, 보행 시, 미드솔(20)의 접히는 부분에는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이 피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 또는 위사로 직조되는 접착성 원단(70)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도어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0409호에 따른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또는 제10-1240490호에 따른 '접착성을 가지는 원단'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신발의 종류, 사용목적 또는 미드솔과 아웃솔의 형태에 대응하여, 보행 시 미드솔(20)의 접히는 부분에만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을 피복하고, 그 이외에 부분에는 경사 또는 위사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70)을 피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효과 및 그 사용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히는 부분'은 신발의 종류, 사용목적 또는 미드솔과 아웃솔의 형태에 따라 매우 가변적이기 때문에 특정 부분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 : 미드솔 60 :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h : 통공 61 :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
61a : 코어 61b : 시드
61c : 섬유원사 61d : 핫멜트 수지
62 : TPU 원사 63 : 섬유 원사
70 : 경사 또는 위사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Claims (6)

  1. 신발 미드솔에 있어서,
    미드솔(20)의 외부면에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이 피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와, TPU 원사(62)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은,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와, 섬유 원사(63)가 트리코트(tricot) 방식으로 통공(h)을 이루도록 직조되는 메쉬형태의 원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수지가 코팅된 원사(61)는,
    코어(61a)와 시드(61b)로 구성되는 섬유원사(61c)의 외부면에 핫멜트 수지(61d)가 0.05 ~ 0.3g/m 양으로 코팅되되,
    상기 섬유원사(61c)는, 폴리에스터사, 나일론사 또는 면사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고,
    상기 핫멜트 수지(61d)는, 폴리에스터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 중에서 단독 또는 2 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6. 신발 미드솔에 있어서,
    미드솔(20)의 외부면에 경사 또는 위사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70)이 피복되되,
    보행 시 미드솔(20)의 접히는 부분에는 메쉬형태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60)이 피복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KR1020140051789A 2014-04-29 2014-04-29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KR101604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789A KR101604121B1 (ko) 2014-04-29 2014-04-29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DE102015106379.4A DE102015106379B4 (de) 2014-04-29 2015-04-24 Mit haftendem Stoff beschichtete Schuhzwischensohle
CN201510208037.8A CN105029826B (zh) 2014-04-29 2015-04-28 包覆有粘接性织物的鞋底夹层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789A KR101604121B1 (ko) 2014-04-29 2014-04-29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87A true KR20150124787A (ko) 2015-11-06
KR101604121B1 KR101604121B1 (ko) 2016-03-16

Family

ID=54261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789A KR101604121B1 (ko) 2014-04-29 2014-04-29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604121B1 (ko)
CN (1) CN105029826B (ko)
DE (1) DE102015106379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9548A (zh) * 2017-04-07 2020-01-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针织纺织品和其形成方法以及包含针织纺织品的服装物品如鞋类物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08237B (zh) * 2016-07-05 2017-09-29 晋江市池店镇娇鹏贸易有限公司 一种耐弯曲的鞋底材料
CN106108234A (zh) * 2016-07-05 2016-11-16 晋江市池店镇娇鹏贸易有限公司 一种浇注型聚氨酯鞋底材料
CN106108235B (zh) * 2016-07-05 2017-09-29 晋江市池店镇娇鹏贸易有限公司 一种浇注型聚氨酯鞋底材料
CN107912840B (zh) * 2017-12-15 2021-04-27 浙江伟星实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防泼水布带和防泼水拉链
WO2019236500A1 (en) * 2018-06-04 2019-12-12 Nike Innovate C.V. Two part sole structures and uses thereof
FR3082103B1 (fr) 2018-06-08 2020-08-28 Decathlon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haussure, et chaussure susceptible d'etre obtenue par ledit proced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1848A (en) * 1962-06-22 1961-11-08 Scholl Mfg Co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cushioning insoles and methods of making such insoles
CN2103274U (zh) * 1991-11-08 1992-05-06 上海塑料制品五厂 竹编鞋垫
US6231946B1 (en) 1999-01-15 2001-05-15 Gordon L. Brown, Jr. Structural reinforcement for use in a shoe sole
KR20020090965A (ko) * 2002-10-24 2002-12-05 고영기 신발중창
KR100706610B1 (ko) 2006-10-12 2007-04-13 이태성 시이소 신발 밑창
KR20070105833A (ko) 2007-01-18 2007-10-31 주식회사영풍제화 신발밑창의 제조방법
CN202043708U (zh) * 2011-04-16 2011-11-23 钟振辉 一种透气鞋垫
DE102012206094B4 (de) 2012-04-13 2019-12-05 Adidas Ag Sohlen für Sportschuhe, Schuh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chuhsohle
KR101250409B1 (ko) 2012-09-26 2013-04-05 (주)아셈스 접착성을 가지는 장식용 원단
KR101240490B1 (ko) 2012-10-11 2013-03-11 (주)아셈스 접착성을 가지는 원단
US20150256845A1 (en) 2012-10-22 2015-09-10 Humax Holding Co., Ltd. Method for predicting inter-view motion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terview merge candidates in 3d vide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09548A (zh) * 2017-04-07 2020-01-17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针织纺织品和其形成方法以及包含针织纺织品的服装物品如鞋类物品
US11525197B2 (en) 2017-04-07 2022-12-13 Nike, Inc. Knitted textile and method of forming
US11788219B2 (en) 2017-04-07 2023-10-17 Nike, Inc. Knitted textile and method of form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9826A (zh) 2015-11-11
DE102015106379A1 (de) 2015-10-29
DE102015106379B4 (de) 2019-09-26
KR101604121B1 (ko) 2016-03-16
CN105029826B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121B1 (ko) 접착성 원단이 피복된 미드솔
US11116275B2 (en) Shoe
JP6917122B2 (ja) 運動靴のための平緯編みアッパー
TWI609642B (zh) 用於具有編織組件之物件的鞋楦系統及製作一鞋類物件之一鞋面之方法
CN106923437B (zh) 三维形状织物涂层的制造方法
JP6637036B2 (ja) レンチキュラーニット構造を組み込む製品用のニット構成要素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US974567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knit upper with a polymer layer
US11666113B2 (en) Shoe with knitted outer sole
TWI669076B (zh) 形成用於一鞋類物件之一輪廓化編織元件之方法及製造一鞋類物件之方法
US20200196700A1 (en) Shoe
CN104470390A (zh) 包含编织部件的鞋类物品
US11026477B2 (en) Shoes with knit upper portion
US11206899B2 (en) Knit shoes with elastic region
JP2017095849A (ja) 横編ジャカード方式で製織された接着性生地及びこれを利用した表面モルディング方法
US20210076775A1 (en) Shoes with water-resistant membranes and coating
KR20160019725A (ko) 환편으로 직조된 접착성 원단
KR20160019724A (ko) 접착성 원단이 부착된 인솔
US20160309839A1 (en) Shoe midsole coated with adhesive fabric
RU2013135907A (ru) Сверхэластичная прокладка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акой прокладки
TW201912395A (zh) 布面結構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