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485A -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485A
KR20150123485A KR1020140049811A KR20140049811A KR20150123485A KR 20150123485 A KR20150123485 A KR 20150123485A KR 1020140049811 A KR1020140049811 A KR 1020140049811A KR 20140049811 A KR20140049811 A KR 20140049811A KR 20150123485 A KR20150123485 A KR 20150123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
cancer
present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1120B1 (ko
Inventor
김노수
이진무
허덕림
방옥선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4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1120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TRAIL-저항성 암세포에 TRAIL 단백질의 세포독성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나타내어 암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특히 TRAIL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암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TRAIL-RESISTANT CANCER COMPRISING NARCISSUS TAZETTA EXTRACTS OR FRACTION THEREOF, AND TRAIL PROTEIN}
본 발명은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사망자를 내는 질병 중 하나로서, 암 발생 연령은 점차 낮아지고 있는 반면 평균 수명은 점차 연장되어가고 있어 암 발생률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립 암센터 (National Cancer Center)에서 제공하는 2013년 통계 자료에 따르면(국립 암센터, 통계로 본 암 현황(Cancer Facts & Figures 2013), p 18, 2013.), 2010년 암 등록 통계과에 등록된 우리나라 암 발생 환자는 모두 202,053 명이며, 2015년에는 약 27 만여 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종양 괴사인자-관련 아폽토시스-유발 리간드[Tumor necrosis factor(TNF)-ra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는 막 통과 단백질(transmembrane protein)로서, 이들은 세포내 사멸 영역을 통해 아폽토시스 신호를 전달하는 막-결합 사멸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부대적 아폽토시스 경로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몇몇 세포주에 있어서, TRAIL과의 세포 감수성은 세포막 TRAIL 수용체 및 카스파아제-8의 발현에 의존한다. 카스파아제-8은 TRAIL에 대응하여 활성화되고, 세포질로 방출되며, 여기서 프로테아제 캐스케이드를 개시시키고, 이는 카스파아제-3 및 -7을 포함한 작동체 카스파아제들을 활성화시킨다.
종래 TRAIL을 이용하거나 TRAIL 유전자도입을 통한 새로운 암치료법의 개발이 시도되어 왔으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3-7015417호에 TRAIL 수용체에 면역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06450호에는 TRAIL을 이용하여 혈관신생을 억제시키는 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인간 위 선암종(AGS) 세포주를 포함한 많은 종양 세포가 TRAIL의 아폽토시스 효과에 내성을 획득한다는 몇몇 보고가 있어왔다. 아폽토시스 유발성(proapoptotic) 단백질인 Bax로의 변성 및 IAP 군 인자의 발현의 증가가 TRAIL-매개 아폽토시스에 대한 내성에 기여할 수도 있다. 최근 들어, 화학요법제들이 TRAIL-저항성 세포에서 TRAIL-매개 상승작용적 세포독성을 민감화시킨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TRAIL-저항성 암세포에서 이와 같은 내성을 극복하여 암 치료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병용 항암제의 탐구가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TRAIL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암에 대하여도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항암 조성물을 발명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에 천연물인 수선화 전초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TRAIL 저항성 암세포주에서 TRAIL 세포독성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아팝토시스에 의한 세포사가 증가시키는 효능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활용한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수선화(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사료, 음용수 첨가제 또는 음용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수선화(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수선화(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는 수선화과(Amaryllidac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로 꽃은 백색이고, 12~3월에 핀다. 열매를 맺지 못하며, 비늘줄기로 번식한다. 민간에서는 수선화의 생즙을 갈아 부스럼을 치료하고, 꽃은 향유를 만들어 풍을 제거하며, 비늘줄기는 거담·백일해 등에 약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TRAIL-저항성 암에 대한 치료효과는 알려진 바 없으며,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규명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수선화의 추출 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선화 추출물은, 상기 수선화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선화의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선화의 전초(全草)부위의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수선화 추출물에 있어서, 상기 수선화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열수 추출법, 냉침 추출법, 온침 추출법, 가압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선화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바람직하게는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경우,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C1 내지 C4의 알코올,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생약의 유효성분이 파괴되지 않거나 최소화된 조건에서 실온 또는 가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하는 유기용매에 따라 약제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유기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분획물"은 여러 다양한 구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 또는 특정 성분 그룹을 분리하기 위하여 분획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분획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획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수선화를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에 소정의 용매를 처리하여 상기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분획물을 얻는 데에 사용되는 분획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알코올 등의 극성 용매; 헥산 (Hexane), 에틸 아세테이트 (Ethyl acetate), 클로로포름 (Chloroform), 디클로로메탄 (Dichloromethane) 등의 비극성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획 용매 중 알코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의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TRAIL 단백질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켜 TRAIL-저항성 암에 대해서도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는 본 발명자들에 의해 최초로 규명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TRAIL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단백질"은 종양 괴사 인자 (Tumor Necrosis Factor; TNF) 슈퍼 패밀리에 속하는 싸이토카인 (cytokine) 단백질의 일원으로서, 그 서열 등은 공지의 데이터베이스인 NCBI의 GenBank 등에서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TRAIL 단백질은 차세대 항암제로 주목받고 있는, 정상 세포에서는 거의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는 단백질이나, 현재 내성에 의해 TRAIL 치료 효과가 낮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이 새롭게 규명한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병용 투여는 TRAIL-저항성 암에서도 효과적으로 TRAIL의 암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내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서 "암"은 세포의 사멸 조절과 관련된 질병으로서, 정상적인 아폽토시스(apoptosis)의 균형이 깨지는 경우 세포가 과다증식하게 되어 발병하는 질병을 총칭한다. 이러한 비정상적 과다증식 세포들은 경우에 따라 주위 조직 및 장기에 침입하여 종괴(腫塊)를 형성할 수 있으며 체내의 정상적인 구조의 파괴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태를 통칭하여 암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종양(tumor)이라 하면 신체 조직의 자율적인 과잉 성장에 의해 비정상적으로 자란 덩어리를 의미하며, 종양은 양성 종양(benign tumor)과 악성 종양(malignant tumor)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악성 종양은 양성 종양에 비해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며 주변 조직에 침윤하면서 전이(metastasis)가 일어나 생명을 위협하게 된다. 이러한 악성 종양을 통상적으로 '암(cancer)'이라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암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목적상 TRAIL-저항성 암을 의미한다. 상기 암의 비제한적인 예로 뇌척수종양, 두경부암, 폐암, 유방암, 흉선종, 중프종, 식도암, 취암, 대장암, 간암, 위암, 췌장암, 담도암, 신장암, 방광암, 전립선암, 고환암, 생식 세포종, 난소암, 자궁 경부암, 자궁 내막암, 대장암, 림프종, 급성 백혈병, 만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육종, 악성 흑색종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TRAIL-저항성 암"은 TRAIL 단백질 처리에 의하여도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암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암세포 표면에 TRAIL 단백질 수용체가 적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등, 처음부터 TRAIL 단백질에 대한 민감성이 낮아 TRAIL 단백질로 유도되는 아폽토시스(apoptosis) 기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모든 종류의 암뿐만 아니라, 초기에는 TRAIL 단백질 처리에 따른 항암 효과가 나타났으나, 반복적인 TRAIL 단백질 처리에 의하여 점차로 TRAIL 단백질에 대한 항암 효과가 감소되거나 효과가 사라진 암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TRAIL-저항성 암은 TRAIL에 대하여 저항성을 나타내는 암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모든 종류의 암을 포함한다. 상기 TRAIL-저항성 암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폐암, 위암, 간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신장암, 피부암, 신경교종암, 갑상선암, 혈액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TRAIL-저항성 암으로 폐암 세포주인 A549에 대한 치료효과를 확인하였으며(실시예 2),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이 TRAIL과 병용 투여시 TRAIL-저항성 암의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부터 다른 종류의 TRAIL-저항성 암세포에도 동일한 치료효과가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암의 발병을 억제시키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는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암의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TRAIL-저항성 암세포에 처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작용에 의하여 암세포에서 TRAIL 단백질 수용체의 발현이 증가되고, 상기 TRAIL 단백질 수용체의 발현 증가에 따라 TRAIL에 대한 민감성이 증가된 암세포에 TRAIL 단백질을 처리함으로써 종래 TRAIL에 저항성을 나타내었던 암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TRAIL-저항성 암으로 폐암 세포주인 A549에 본 발명의 수선화 전초 추출물 및 TRAIL을 병용 처리한 결과, PARP 단백질 및 BID 단백질의 절단 현상이 크게 증가하였고, FITC 및PI로 세포염색한 결과, 전기 아폽토시스 및 후기 아폽토시스 세포사를 보이는 세포군의 비율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이는 수선화 전초 추출물 및 TRAIL의 병용투여에 의한 A549 폐암 세포주의 TRAIL 단백질 민감성 증가 현상은 외인성 아폽토시스 세포사가 증가하기 때문임을 시사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전체의 부피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 초과 50 ㎍/㎖로 함유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30 ㎍/㎖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범위내에서,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적절한 양으로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 따른 TRAIL 단백질 수용체의 발현 증가 효과를 비롯한 항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보다 적합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TRAIL 단백질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전체의 부피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 초과 200 ng/㎖로 함유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100 ng/㎖로 함유될 수 있다. 상기 범위내에서, 상기 TRAIL 단백질을 적절한 양으로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도, 상기 TRAIL 단백질에 따른 아폽토시스(apoptosis) 유도 효과를 비롯한 항암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보다 적합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상기 TRAIL 단백질뿐만 아니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다는 것은, 이를 투여 시 생물체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투여되는 화합물의 생물학적 활성 및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약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말토 덱스트린,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 부형제, 희석제, 항산화제, 완충액 또는 정균제 등 기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 들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충진제, 증량제, 습윤제, 붕해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결합제 또는 윤활제 등을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한 다양한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트로키제 (troches), 로젠지 (lozenge), 정제, 수용성 현탁액, 유성 현탁액, 조제 분말, 과립, 에멀젼, 하드 캡슐, 소프트 캡슐, 시럽 또는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락토오스, 사카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밀로펙틴(Amylopectin), 셀룰로오스(Cellulose) 또는 젤라틴(Gelatin) 등과 같은 결합제; 디칼슘 포스페이트(Dicalcium phosphate) 등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또는 고구마 전분 등과 같은 붕괴제; 스테아르산 마그네슘(Magnesium stearate), 스테아르산 칼슘(Calcium stearate), 스테아릴 푸마르산 나트륨(Sodium stearyl fumarate)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왁스(Polyethylene glycol wax) 등과 같은 윤활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 방향제, 시럽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캡슐제의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물질 외에도 지방유와 같은 액체 담체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주사액,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파우더, 오일, 크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제화하기 위하여,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외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주사액으로 제제화하는 경우,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을 안정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물에서 혼합하여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 제조하고 이를 앰플(ampoule) 또는 바이알(vial)의 단위 투여용으로 제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에어로졸제로 제제화하는 경우, 수분산된 농축물 또는 습윤 분말이 분산되도록 추진제 등이 첨가제와 함께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연고, 크림 등으로 제제화하는 경우에는,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담체로 사용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보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한 투여량은, 바람직하게는 1일 10 mg/kg 내지 1,000 mg/kg,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g/kg 내지 500 mg/k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1 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정맥 내 투여, 복강 내 투여, 근육 내 투여, 경피 투여 또는 피하 투여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방법 또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되거나 주사 투여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TRAIL-저항성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 투여 경로, 투여 방식 등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이 음료 조성물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제한적인 예로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되는 추가 성분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과일 음료 또는 야채 음료 등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사용되거나 2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물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첨가제 또는 음용수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사료 첨가제 또는 음용수 첨가제는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료 첨가제 또는 음용수 첨가제 형태로 따로 제조하여 사료 또는 음용수에 혼합시키는 방식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료 또는 음용수 제조시 직접 첨가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료 첨가제 또는 음용수 첨가제는 액상 또는 건조 상태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료 첨가제 또는 음용수 첨가제를 건조된 분말 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건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건조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통풍 건조, 자연 건조,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가지 이상의 방법을 함께 이용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사료 첨가제 또는 음용수 첨가제는 필요에 따라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사료 또는 음용수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하는 결착제, 유화제, 보존제 등; 사료 또는 음용수의 효용 증대를 위하여 첨가하는 아미노산제, 비타민제, 효소제, 생균제, 향미제, 비단백질태질소화합물(非蛋白質態窒素化合物), 규산염제, 완충제, 착색제, 추출제 또는 올리고당 등이 있으며, 그 외에 사료 혼합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이 함께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수선화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또는 음용수를 제공한다.
상기 사료 또는 음용수는, 사료 또는 음용수에 본 발명의 상기 사료 첨가제 또는 음용수 첨가제를 첨가하여 제조하거나,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직접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료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곡물류, 근과류, 식품 가공 부산물류, 조류, 섬유질류, 제약 부산물류, 유지류, 전분류, 박류 또는 곡물 부산물류 등과 같은 식물성 사료; 단백질류, 무기물류, 유지류, 광물성류, 유지류, 단세포 단백질류, 동물성 플랑크톤류 또는 음식물 등과 같은 동물성 사료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음용수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음용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1조성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조성물을 포함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키트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키트는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이 각각 개별 용기에 담긴 형태, 또는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한 개의 용기 내에 담긴 형태로 포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은 각각 1회 투여 용량의 단위 용량 형태로 포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키트 내의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은 투여 대상 개체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함께 또는 개별적으로 병용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키트를 이용하여 TRAIL-저항성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키트를 이용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은, 상기 키트에 포함된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키트를 이용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서, 상기 키트의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의 투여량, 투여 경로, 투여 방식 등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관련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상기 키트를 이용하여 암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방법에서,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은 투여 시기, 투여 빈도, 투여 경로, 투여 방식 등에 있어서 각각 독립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은 동시 또는 이시에, 동일한 투여 빈도 또는 상이한 투여 빈도로, 동일 또는 상이한 투여 경로를 통하여, 동일 또는 상이한 투여 방식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될 수 있으며, 제2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 또는 주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제1조성물 및 제2조성물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투여하는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서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을 처리하는 것은, 상기 조성물을 분리된 세포 또는 개체에 투여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분리된 세포에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은 상기 세포의 배양 배지에 상기 조성물을 첨가하거나, 상기 세포에 상기 조성물을 주사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체에 상기 조성물을 투여하는 투여량, 투여 경로, 투여 방식 등은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TRAIL-저항성 암세포에 TRAIL 단백질의 세포독성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켜 암세포의 아폽토시스를 유도하는 효과를 나타냄에 따라, 특히 TRAIL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암을 효과적으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이어서 정상 세포에 심각한 자극을 가한다거나 유해한 작용을 유발함이 없이 안정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TRAIL에 저항성을 갖는 A549 폐암 세포주 및 TRAIL에 민감한 H460 폐암 세포주, MCF-7 유방암 세포주, PC-3 전립선암 세포주에 TRAIL을 처리한 경우의 상대적인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549 폐암 세포주에 수선화 전초 추출물(B65)을 처리한 후 48시간 경과 후 현미경 상으로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549 폐암 세포주에 수선화 전초 추출물(B65)와 그 밖의 식물추출물을 TRAIL 단백질과 병용 처리 후 24시간 후에 A549 폐암 세포주로부터 아폽토시스에 의한 세포사의 특징인 PARP 단백질의 절단 현상을 웨스턴블럿으로 관찰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A549 폐암 세포주에 수선화 전초 추출물(B65) 및 TRAIL 단백질을 단독 또는 병용 처리하고 24시간 후 A549 폐암 세포주에서 아폽토시스에 의한 세포사 정도를 FACS 분석을 통해 알아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선화 전초 추출물(B65)에 의한 외인성(extrinsic) 아폽토시스 세포사의 마커인 BID 단백질과 PARP 단백질의 농도의존적 절단 현상을 웨스턴블럿으로 관찰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제조예 1: 수산화 전초의 추출물의 제조
수선화 전초를 건조하여 분쇄하고, 상기 99.9%의 메탄올을 사용하여 실온에서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은 매회 용매를 교환하여 수행하였으며, 1회에 48 시간씩 총 3회 반복 수행하였다. 상기 추출 후, 이를 감압 농축하여 상층부의 기름 성분을 제거한 후, 하층부의 추출물을 건조 및 균질화하여 수산화 전초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A549의 TRAIL 단백질에 대한 저항성 확인
종래 TRAIL 단백질에 저항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549 인간 폐암 세포주의 TRAIL 저항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96-웰(well) 플레이트에 웰당 당 5,000 개씩의 A549 및 H460 인간 폐암 세포주, MCF-7 유방암 세포주, PC-3 전립선암 세포주 (ATCC, USA)를 100 ㎕ RPMI (Roswell Park Memorial Institute medium) + 10% FBS (Fetal bovine serum) 배양 배지에 24 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배지에 TRAIL (Invitrogen 사, USA)을 각각 최종 농도가 0, 6.25 ng/mL, 12.5 ng/mL, 25 ng/mL, 50 ng/mL 및 100 ng/mL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상기 처리 후, 48 시간 후에 각 웰 내 세포 생존율을 Ez-Cytox 용액 (대일랩서비스, 대한민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대적인 생존율은 음성 대조군 (PBS)의 평균값에 대한 상대적인 생존율로 계산하였다 (도 1).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549 세포의 경우 100 ng/mL의 TRAIL 단백질을 48 시간 동안 처리하여도 85% 이상의 세포 생존을 보인 반면, 또 다른 폐암 유래 세포주인 H460와, 또는 다른 조직에서 유래한 세포주인 MCF-7(유방암)과 PC-3(전립선암)에는 TRAIL의 처리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독성을 보였으며, 특히 25 ng/mL 보다 높은 농도의 TRAIL 단백질을 처리하였을 때 두드러지는 세포 독성을 보이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상기 암세포주 중에서 A549 폐암 세포주가 TRAIL에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2: A549 폐암 세포주에서 수선화 전초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세포사 증가
TRAIL에 저항성을 보이는 A549 세포에 수선화 전초 추출물(B65)와 TRAIL을 병용 처리하였을 때 세포사가 증가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96-웰(well) 플레이트에 웰당 5,000 개씩의 A549 폐암 세포주를 100 ㎕ RPMI + 10% FBS 배양 배지에 24 시간 동안 배양하고, 상기 배지에 TRAIL 혹은 음성대조군으로 bovine serum albumin (BSA)를 100 ng/mL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이와 동시에 수선화 전초 추출물을 100 ㎍/mL이 되도록 병용 처리하였다. 상기 처리 후, 48 시간 후에 각 웰 내 세포의 형태변화를 도립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선화 전초 추출물을 BSA와 병용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TRAIL 단백질과 병용 처리한 A549 세포에서 세포 성장의 둔화는 물론 세포가 전체적으로 수축하는 아폽토시스 세포사 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는 수선화 전초 추출물은 A549 세포에서 TRAIL에 대한 민감성을 증가시킴을 시사한다.
실시예 3: 수선화 전초의 추출물 및 TRAIL 의 병용 처리 시 A549 세포내에서 아폽토시스 세포사 증가 관찰
실시예 3-1: 수선화 전초의 추출물과 TRAIL 병용 처리에 의한 아폽토시스 세포사 관련 단백질 발현 현상 관찰
상기 실시예 2에서, 수선화 전초 추출물을 TRAIL 단백질과 병용 처리하였을 경우 아폽토시스 세포사 현상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는 바, 실제로 세포내에서 아폽토시스 세포사가 증가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웨스턴블럿으로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60 mm 배양 접시에 A549 세포를 24시간 배양하고 수선화 전초 추출물(B65) 100 ㎍/mL, 혹은 음성대조군으로 DMSO를 BSA 혹은, TRAIL 100 ng/mL을 24시간 병용 처리하였다. 이후 RIPA 버퍼를 사용하여 세포내 단백질을 분리하고 10 ㎍의 단백질을 전기영동하였다. PAGE 젤에서 분리된 단백질을 나이트로셀룰로스 멤브레인에 옮긴 후 PARP(Poly ADP ribose polymerase)와 베타-액틴 단백질을 각각 특이 항체로 검출하였다. 웨스턴블럿 실험에 사용된 PARP와 일차 항체는 셀 시그날링 테크놀로지사에서, 베타-액틴 일차 항체는 산타 크루즈 바이오테크놀로지사에서, 이차 항체로 사용된 항-래빗-HRP, 및 항-염소-HRP 항체는 바이오랜드사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여타의 추출물(Drug X1-X4)은 vehicle+TRAIL 대조군과 비교하여 PARP 단백질의 절단 현상이 크게 증가하지 않은 반면, 수선화 전초 추출물(B65)을 TRAIL과 병용 처리하였을 경우 PARP 단백질의 절단 현상이 크게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실시예 3-2: 수선화 전초 추출물 및 TRAIL 의 병용 처리시의 세포사가 아폽토 시스에 의해 유도되는 것인지 여부 확인
수선화 전초 추출물(B65)와 TRAIL을 병용 처리하였을 경우 증가하는 세포사가 아폽토시스에 의한 세포사인지 검증하기 위하여 Annexin-FITC로 세포를 염색한 후 FACS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A549 폐암 세포주를 6-웰 배양 접시에 24시간 키운 후 수선화 전초 추출물 (50 ㎍/mL)과 TRAIL (100 ng/mL)을 24시간 동안 병용 처리하였다. 수선화 전초 추출물 및 TRAIL 단백질에 대한 음성대조군은 각각 DMSO와 BSA 단백질을 사용하였다. 수선화 전초 추출물과 TRAIL을 병용 처리한 후 BD 바이오사이언스 사에서 공급하는 Annexin V-FITC 아폽토시스 검출 킷을 사용하여 세포를 염색하였다. 염색 후 1시간 내에 Annexi V-FITC (FITC)와 propidium iodie (PI)로 염색된 세포를 FACS 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정상세포, 전기 아폽토시스 세포, 후기 아폽토시스세포, 및 네크로시스에 의한 세포사는 각각 아래 표 1에 따라 그 세포군을 구분하였다.
FITC/PI 염색 조합에 따른 세포사 분류
Viable 세포(V) 전기 아폽토시스 세포(EA) 후기 아폽토시스 세포(LA) 네크로시스 세포(N)
FITC - + + -
PI - - + +
그 결과, 수선화 전초 추출물(B65) 혹은 TRAIL 단독 처리의 경우 보다 각각을 병용 처리하였을 경우(B65+TRAIL) 전기 아폽토시스 및 후기 아폽토시스 세포사를 보이는 세포군의 비율이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수선화 전초 추출물은 A549 세포에서 TRAIL에 의한 아폽토시스 세포사를 증가시킴을 확인할 수 있다(표 1, 도 4).
실시예 3-3: 수선화 전초의 추출물과 TRAIL 병용 처리에 의한 extrinsic 아폽토시스 세포사 관련 단백질 발현 현상 관찰
TRAIL 단백질 및 TRAIL 단백질의 세포막 수용체인 DR4/DR5에 의한 세포사는 외인성(extrinsic) 아폽토시스 신호전달체계를 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TRAIL이 DR4/DR5에 결합하면 카스파제-8(caspase-8)의 활성이 증가하고, 활성화된 카스파제-8에 의해 BID 단백질이 절단된다. 따라서 수선화 전초 추출물에 의해 외인성 아폽토시스 세포사 관련 단백질의 발현 패턴에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60 mm 배양 접시에 A549 세포를 24시간 배양한 후, 수선화 전초 추출물(12.5-100 ㎍/mL)과 100 ng/mL의 TRAIL을 병용 처리하였다. 24시간 병용 처리 후 RIPA 버퍼를 사용하여 세포내 단백질을 분리한 후 웨스턴블럿을 실시예 3-1과 같이 실시하였다. 웨스턴블럿에 사용된 BID 의 일차 항체는 셀 시그날링 테크놀로지사에서 구입하였다.
그 결과, 수선화 전초 추출물(B65)이 없이 TRAIL만 단독 처리하는 경우 절단된 BID 단백질은 검출되지 않았다. 하지만 수선화 전초 추출물과 TRAIL 단백질을 병용 처리하는 경우 수선화 전초 추출물에 의하여 농도의존적으로 BID 단백질의 절단 현상이 증가하며(노출을 길게 한 경우, long), 이와 동시에 intact한 BID 단백질의 양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노출을 짧게 한 경우, short).
상기 실시예 3을 통해 수선화 전초 추출물에 의한 A549 폐암 세포주의 TRAIL 단백질 민감성 증가 현상은 수선화 전초 추출물에 의한 외인성 아폽토시스 세포사가 증가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Claims (8)

  1. 수선화(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RAIL-저항성 암은 폐암인 것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선화는 수선화 전초인 것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5. 수선화 추출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TRAIL-저항성 암은 폐암인 것인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선화는 수선화 전초인 것인 조성물.
  8. 수선화 추출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또는 음용수.

KR1020140049811A 2014-04-25 2014-04-25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8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811A KR101781120B1 (ko) 2014-04-25 2014-04-25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811A KR101781120B1 (ko) 2014-04-25 2014-04-25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485A true KR20150123485A (ko) 2015-11-04
KR101781120B1 KR101781120B1 (ko) 2017-09-22

Family

ID=5459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811A KR101781120B1 (ko) 2014-04-25 2014-04-25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1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713B1 (ko) 2018-01-10 2020-09-1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3398B1 (ko) 2018-01-10 2019-08-2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4921B2 (ja) 2003-03-31 2010-03-03 社団法人 北部農林高等学校後援会 抗腫瘍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1120B1 (ko) 2017-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07637A (ko) 감귤 콤부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광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9820963B2 (en) Composition containing lignan compound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cancer
KR101808718B1 (ko) 신경세포 보호 효과를 갖는 상황버섯 자실체 유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81120B1 (ko) 수선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45507B1 (ko) 가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32034B1 (ko) 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33733B1 (ko) 오리나무, 재쑥 및 백화전호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3398B1 (ko) 청각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2937B1 (ko) 천궁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20152006A (ko) 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6249B1 (ko) 쿠마타케닌을 포함하는 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6212B1 (ko) 재쑥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trail-저항성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50854B1 (ko) 프로폴리스 추출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소분획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조성물
KR20190118961A (ko) 구꼬아민 a 및 구꼬아민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격근 위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90118286A (ko) 다이알릴 다이설파이드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26021B1 (ko) 텔렉타디엄 동나이엔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90129262A (ko) 단삼 및 도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5713B1 (ko) 해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 및 trail 단백질을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454361B1 (ko) 플루옥세틴 및 비타민 c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추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90110602A (ko) 일본 후박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암 치료 및 암전이 억제용 조성물
KR101561736B1 (ko) 트레쿨리아 아프리카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101398737B1 (ko)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87788A (ko) 프로테아좀 저해제 및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760691B1 (ko) 췌장선암 예방용 건강기능성 식품
KR101514145B1 (ko) 마카에리움 쿠스피다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