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3232A -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3232A
KR20150123232A KR1020157021343A KR20157021343A KR20150123232A KR 20150123232 A KR20150123232 A KR 20150123232A KR 1020157021343 A KR1020157021343 A KR 1020157021343A KR 20157021343 A KR20157021343 A KR 20157021343A KR 20150123232 A KR20150123232 A KR 20150123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aw water
water
water container
contain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0854B1 (ko
Inventor
요시노리 오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50123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0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0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 container, e.g. bottle, cartridge, bag-in-box,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09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connected to a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67D1/0861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the evaporator acting through an intermediate heat transf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1Supports for the beverag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2001/0091Component stora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2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4Ergonomics
    • B67D2210/00097Handling of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99Temperature control
    • B67D2210/00118Heating and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교환식의 원수 용기(3)와, 그 원수 용기(3)를 싣는 용기 배치대(42)와,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에 접속되는 원수 급출관(5)을 갖는 워터 서버에 대해서, 원수 용기(3)를 그 목부(40)가 수평을 향한 상태로 유지하는 용기 홀더(4)를, 손잡이(55)를 갖는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용기 배치대(42)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하였다. 이에 의해, 원수 용기(3) 교환 시에는, 용기 홀더(4)의 손잡이(55)를 잡고 용기 홀더(4)와 함께 원수 용기(3)를 용기 배치대(42)에 싣기 때문에, 원수 용기(3)를 단독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져,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워터 서버{WATER SERVER}
본 발명은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충전한 교환식의 원수 용기로부터 음료수를 공급하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의 관심의 높아짐에 따라,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 서버로서, 교환식의 원수 용기를 케이스 상면에 셋트하고, 그 원수 용기에 충전된 음료수를, 케이스 내에 수용한 냉수 탱크에 중력 낙하시키도록 한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예컨대, 하기 특허문헌 1).
여기서, 원수 용기는, 중공 통형의 몸통부와, 그 몸통부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와, 몸통부의 타단에 어깨부를 통해 마련된 목부를 가지고, 목부에 물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원수 용기는, 원수 용기의 최하 위치에 물 배출구가 오도록, 목부를 하향으로 하여 워터 서버에 셋트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워터 서버는, 원수 용기가 케이스 상면에 셋트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를 교환할 때에,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를 높게 들어올릴 필요가 있다. 그러나,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는, 통상 10리터∼12리터 정도의 음료수가 수용되어 있고, 10 ㎏ 이상의 중량이 있기 때문에, 워터 서버의 사용자(특히 여성이나 고령자 등)에게 있어서, 원수 용기의 교환 작업은 큰 일이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원수 용기를 케이스의 하부에 셋트하는 타입의 워터 서버를 개발하였다. 이 워터 서버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81)를 횡방향의 자세[즉, 원수 용기(81)의 목부(82)를 수평을 향하게 한 상태]로 유지하는 용기 홀더(83)를, 케이스(84)의 바닥판(84a) 상에 마련한 슬라이드 레일(85)에서 수평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며, 원수 용기(81)와 케이스(84)의 상부에 마련한 냉수 탱크(도시 생략)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급출관(86)의 단부(조인트부)(86a)를 케이스(84) 내에 고정하고, 용기 홀더(83)의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원수 용기(81)의 물 배출구(87)를 원수 급출관(86)의 단부(86a)에 접속시키며, 원수 급출관(86)에 마련한 펌프(도시 생략)로 원수 용기(81)로부터 음료수를 급출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62318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워터 서버의 원수 용기를 케이스의 하부에 셋트하도록 하면, 케이스 상면에 원수 용기를 셋트하는 종래의 것에 비하면, 원수 용기의 교환 작업은 꽤 편해진다.
그러나, 도 9에 나타낸 워터 서버에서는, 원수 용기(81)를 횡방향의 자세로 배치하는 용기 홀더(83)가, 상방으로 개방된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슬라이드 레일(85)의 슬라이드부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81)를 교환할 때는, 용기 홀더(83)를 케이스(84)로부터 인출하여, 사용이 끝난 원수 용기(81)를 제거한 후,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81)를 수십 ㎝ 들어올려 용기 홀더(83)의 상방으로부터 용기 홀더(83) 내에 셋트할 필요가 있으며, 이 점에서 작업성에 더욱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원수 용기의 몸통부에 손잡이를 마련함으로써, 원수 용기를 횡방향의 자세로 들어올리기 쉽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원수 용기가 통상 일회용인 것을 고려하면, 그 몸통부에 튼튼하며 잡기 쉬운 손잡이를 마련하는 것은 비용면에서 현실적이지 않다. 한편, 저렴한 테이프체의 양단을 원수 용기의 몸통부에 접합하여 손잡이로 하면, 비용을 억제할 수는 있지만, 사용자가 그 손잡이를 잡고 원수 용기를 들어올렸을 때에, 테이프체가 끊어질 것 같은 불안을 느끼거나, 테이프체가 손에 죄어들어 아픈 경험을 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원수 용기를 횡방향의 자세로 셋트하는 워터 서버에 있어서, 원수 용기 자체의 비용을 늘리는 일없이, 원수 용기 교환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공 통형의 몸통부와, 이 몸통부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단에 어깨부를 통해 마련된 목부를 가지고, 그 목부에 물 배출구가 마련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 상기 원수 용기를 싣는 용기 배치대, 상기 원수 용기의 물 배출구에 접속되는 원수 급출관을 갖는 워터 서버에 대해서,
상기 용기 배치대에, 손잡이를 갖는 상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수 용기를 그 목부가 수평을 향한 상태로 유지하는 용기 홀더를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구성을 채용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워터 서버에 원수 용기를 셋트할 때에는, 용기 배치대로부터 용기 홀더를 제거하고, 이 용기 홀더를 워터 서버 설치 위치의 근처에 둔 원수 용기에 씌우도록 하여, 용기 홀더 내에 원수 용기를 담은 후, 용기 홀더와 함께 원수 용기의 목부가 수평을 향하는 상태로 하여, 용기 홀더의 손잡이를 잡고 용기 배치대에 배치하면 좋다. 따라서, 무겁고 들기 어려운 원수 용기를 단독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져, 원수 용기를 횡방향의 자세로 용이하게 셋트할 수 있다. 또한, 원수 용기에 손잡이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수 용기 자체의 비용이 늘어나는 일도 없다.
상기 용기 홀더는, 상방으로 개방되고, 그 개구부로부터 상기 원수 용기를 출납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 홀더의 용기 배치대와의 접촉면에 복수의 돌출부를 마련하고, 상기 용기 배치대에 이 돌출부가 끼워 넣어지는 감합부를 마련함으로써, 원수 용기를 유지한 용기 홀더를 용기 배치대에 배치할 때의 위치 결정, 나아가서는 원수 용기의 물 배출구와 원수 급출관의 접속이 용이해져, 원수 용기 교환 시의 작업성이 더욱 향상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홀더의 돌출부를, 원추형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하면, 용기 홀더의 용기 배치대에의 위치 결정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홀더의 둘레벽에, 상기 원수 용기의 목부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를 마련하면, 원수 용기의 물 배출구와 원수 급출관의 접속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용기 홀더의 목 지지부는, 용기 홀더의 둘레벽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여, 상기 원수 용기의 목부의 하측에 감합하는 홈통형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홈통형의 목 지지부를 채용하는 경우, 상기 원수 용기의 목부의 외주면에 한 쌍의 플랜지를 마련하고, 상기 용기 홀더의 목 지지부의 상측면에, 이 한 쌍의 플랜지의 사이에 끼워 넣이는 돌출편을 마련하여, 원수 용기의 용기 홀더에 대한 전후 방향(목부의 축방향)의 위치 결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용기 홀더의 목 지지부의 기단(基端)측의 상측면에, 상기 돌출편과의 사이에 상기 원수 용기의 플랜지가 하나만 들어가는 간극을 형성하고, 목 지지부의 기단 근방까지 연장되는 리브를 마련하면, 원수 용기의 한 쌍의 플랜지가 양쪽 모두 용기 홀더의 돌출편보다 기단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원수 용기의 목부가 목 지지부와 감합함으로써, 원수 용기의 물 배출구와 원수 급출관의 접속이 불완전해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워터 서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수 용기를 그 목부가 수평을 향한 상태로 유지하는 용기 홀더를, 손잡이를 갖는 상자형으로 형성하여, 용기 배치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것이기 때문에, 원수 용기를 셋트할 때에는, 용기 배치대로부터 제거한 용기 홀더를 원수 용기에 씌우도록 하여, 용기 홀더 내에 원수 용기를 담은 후, 용기 홀더의 손잡이를 잡고 용기 홀더와 함께 용기 배치대에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원수 용기를 단독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져, 원수 용기를 용이하게 셋트할 수 있다. 또한, 원수 용기에 손잡이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수 용기 자체의 비용이 늘어나는 일도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의 통상 운전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원수 용기 셋트 위치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 배치대를 케이스로부터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조인트부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조인트부와 원수 용기의 접속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워터 서버의 살균 운전 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의 (a)∼(c)는 각각 도 1의 원수 용기를 용기 홀더에 수용하는 순서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워터 서버의 원수 용기 셋트 위치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워터 서버를 나타낸다. 이 워터 서버는, 케이스(1)와, 케이스(1)의 외부로 주출(注出)하기 위한 저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냉수 탱크(2)와, 냉수 탱크(2)에 보급하기 위한 음료수가 충전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3)와, 원수 용기(3)를 지지하는 용기 홀더(4)와, 원수 용기(3)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는 원수 급출관(5)과, 원수 급출관(5)의 도중에 마련된 펌프(6)와, 냉수 탱크(2)의 측방에 배치된 버퍼 탱크(7)와,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를 버퍼 탱크(7) 내에 도입하는 버퍼 탱크 급수(汲水)관(8)과, 케이스(1)의 외부로 주출하기 위한 고온의 음료수를 수용하는 온수 탱크(9)와, 버퍼 탱크(7)와 온수 탱크(9) 사이를 연통시키는 온수 탱크 급수관(10)을 갖는다.
원수 급출관(5)의 상류측의 단부에는,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조인트부(5a)가 마련되어 있다. 원수 급출관(5)의 하류측의 단부는 냉수 탱크(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원수 급출관(5)은, 조인트부(5a)보다 낮은 위치를 통과하도록, 조인트부(5a)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기 시작한 후, 상방으로 방향을 바꾸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원수 급출관(5)의 조인트부(5a)보다 낮은 부분에 펌프(6)가 배치되어 있다.
펌프(6)는, 원수 급출관(5) 내의 음료수를 원수 용기(3)측으로부터 냉수 탱크(2)측으로 이송하고, 이 원수 급출관(5)을 통하여 원수 용기(3)로부터 음료수를 급출한다. 펌프(6)로서는, 예컨대 다이어프램 펌프나 기어 펌프를 이용할 수 있다.
원수 급출관(5)의 펌프(6)의 토출측에는, 유량 센서(12)가 마련되어 있다. 유량 센서(12)는, 펌프(6)의 구동 시에 원수 급출관(5)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면, 그 상태를 검지한다. 이때, 케이스(1)의 정면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용기 교환 램프가 점등하여, 원수 용기(3)의 교환 시기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원수 급출관(5) 중 펌프(6)와 냉수 탱크(2) 사이의 부분[바람직하게는 원수 급출관(5)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에는, 제1 삼방 밸브(13)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냉수 탱크(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1 삼방 밸브(13)를 배치하고 있지만, 제1 삼방 밸브(13)는, 냉수 탱크(2)에 직접 접속하여도 좋다. 이 제1 삼방 밸브(13)에는, 제1 삼방 밸브(13)와 버퍼 탱크(7)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1 살균용 배관(14)이 접속되어 있다. 제1 살균용 배관(14)의 버퍼 탱크(7)측의 단부는, 버퍼 탱크(7)의 상면(7a)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삼방 밸브(13)는, 펌프(6)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킴과 더불어 펌프(6)와 제1 살균용 배관(14) 사이를 차단하는 통상 유로(도 1 참조)와, 펌프(6)와 냉수 탱크(2) 사이를 차단함과 더불어 펌프(6)와 제1 살균용 배관(14) 사이를 연통시키는 살균 유로(도 7 참조) 사이에서 유로를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삼방 밸브(13)는, 통전에 의해 통상 유로로부터 살균 유로로 전환하고, 통전을 해제함으로써 살균 유로로부터 통상 유로로 전환하는 전자 밸브를 채용하고 있다.
원수 급출관(5) 도중의 펌프(6)와 원수 용기(3) 사이의 부분[바람직하게는 원수 급출관(5)의 원수 용기(3)측의 단부]에는, 제2 삼방 밸브(15)가 마련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조인트부(5a)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제2 삼방 밸브(15)를 배치하고 있지만, 제2 삼방 밸브(15)는, 조인트부(5a)에 직접 접속하여도 좋다. 이 제2 삼방 밸브(15)에는, 제2 삼방 밸브(15)와 온수 탱크(9) 사이를 연통시키는 제2 살균용 배관(16)이 접속되어 있다. 제2 살균용 배관(16)의 온수 탱크(9)측의 단부는, 온수 탱크(9)의 상면(9a)에 접속되어 있다.
제2 삼방 밸브(15)는, 펌프(6)와 원수 용기(3) 사이를 연통시킴과 더불어 펌프(6)와 제2 살균용 배관(16) 사이를 차단하는 통상 유로(도 1 참조)와, 펌프(6)와 원수 용기(3) 사이를 차단함과 더불어 펌프(6)와 제2 살균용 배관(16) 사이를 연통시키는 살균 유로(도 7 참조) 사이에서 유로를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삼방 밸브(15)는, 제1 삼방 밸브(13)와 마찬가지로, 통전에 의해 통상 유로로부터 살균 유로로 전환하고, 통전을 해제함으로써 살균 유로로부터 통상 유로로 전환하는 전자 밸브를 채용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삼방 밸브(13)와 제2 삼방 밸브(15)를 각각 단일의 밸브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복수의 이방 밸브를 조합하여 동일한 작용을 갖는 삼방 밸브를 구성하여도 좋다.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이층으로 수용하고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된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17)가 부착되어 있다. 냉각 장치(17)는, 냉수 탱크(2)의 하부 외주에 배치되며,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저장된 음료수의 수위를 검지하는 수위 센서(18)가 부착되어 있다. 이 수위 센서(18)에서 검지되는 수위가 내려가면, 그 수위의 저하에 따라 펌프(6)가 작동하여, 원수 용기(3)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가 퍼올려진다.
냉수 탱크(2)의 내부에는, 원수 용기(3)로부터 냉수 탱크(2)로 음료수가 퍼올려질 때에, 원수 급출관(5)으로부터 냉수 탱크(2) 내로 유입되는 연직 방향의 음료수의 흐름을 수평 방향의 흐름으로 바꾸는 안내판(19)이 마련되어 있다. 안내판(19)은, 냉수 탱크(2)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가, 원수 급출관(5)으로부터 냉수 탱크(2) 내로 유입되는 상온의 음료수로 인해 교반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수 탱크(2)의 바닥면에는,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냉수 주출관(20)이 접속되어 있다. 냉수 주출관(20)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냉수 코크(21)가 마련되고, 이 냉수 코크(21)를 개방함으로써 냉수 탱크(2)로부터 저온의 음료수를 컵 등으로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냉수 탱크(2)의 음료수의 용량은, 원수 용기(3)의 용량보다 작으며, 2리터∼4리터 정도이다.
냉수 탱크(2)에는, 공기 도입로(22)를 통해 공기 살균 챔버(23)가 접속되어 있다. 공기 살균 챔버(23)는, 공기 도입구(24)가 형성된 중공의 케이스(25)와, 케이스(25) 내에 마련된 오존 발생체(26)로 이루어진다. 오존 발생체(26)로서는, 예컨대, 저압 수은등이나 무성 방전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공기 살균 챔버(23)는, 일정 시간마다 오존 발생체(26)에 통전하여 오존을 발생시킴으로써, 항상, 케이스(25) 내에 오존이 저장된 상태로 되어 있다.
공기 도입로(22)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의 저하에 따라 냉수 탱크(2) 내로 공기를 도입하여 냉수 탱크(2)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한다. 또한, 이때 냉수 탱크(2) 내로 도입되는 공기가, 공기 살균 챔버(23)를 통과하여 오존 살균된 공기이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공기는 청정하게 유지된다.
버퍼 탱크(7)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이층으로 수용하고 있다. 버퍼 탱크(7)의 상면(7a)에는 통기관(27)이 접속되어 있다. 통기관(27)은, 버퍼 탱크(7) 내의 공기층과 냉수 탱크(2) 내의 공기층의 사이를 연통시킴으로써, 버퍼 탱크(7) 내를 대기압으로 유지하고 있다.
버퍼 탱크 급수관(8)은, 버퍼 탱크(7)의 공기층과 냉수 탱크(2) 사이를 연통시키고 있다. 버퍼 탱크 급수관(8)의 냉수 탱크(2)측의 단부는,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의 상층 부분으로부터 버퍼 탱크 급수관(8) 내로 음료수를 도입하도록,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의 상층 부분으로 개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버퍼 탱크(7)로의 급수용의 음료수로서,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의 상층 부분이 사용되기 때문에, 냉수 탱크(2) 내의 하부에 저장된 저온의 음료수가 버퍼 탱크(7)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가 효과적으로 저온으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버퍼 탱크 급수관(8)의 버퍼 탱크(7)측의 단부는, 버퍼 탱크(7)의 상면(7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버퍼 탱크 급수관(8)의 버퍼 탱크(7)측의 단부에는, 버퍼 탱크(7) 내의 수위에 따라 개폐하는 플로트 밸브(28)가 마련되어 있다. 이 플로트 밸브(28)는, 버퍼 탱크(7)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보다 내려갔을 때에 유로를 개방하고, 버퍼 탱크(7) 내의 수위가 일정 수위에 달하였을 때에 유로를 폐쇄한다.
버퍼 탱크(7)의 음료수의 용량은, 온수 탱크(9)의 용량보다 작으며, 0.2리터∼0.5리터 정도이다. 버퍼 탱크(7)의 바닥면(7b)은, 중심을 향하여 점차로 낮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이 바닥면(7b)의 중심에 온수 탱크 급수관(10)이 접속되어 있다. 온수 탱크 급수관(10)은, 버퍼 탱크(7)의 하방에 배치된 온수 탱크(9)에 접속되어 있다.
온수 탱크(9)는, 음료수로 완전히 채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온수 탱크(9)에는, 온수 탱크(9) 내의 음료수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29)와, 온수 탱크(9) 내의 음료수를 가열하는 히터(30)가 부착되어 있다. 온도 센서(29)에서 검지되는 온도에 따라 히터(30)의 ON·OFF가 전환되고, 온수 탱크(9) 내의 음료수가 고온(90℃ 정도)으로 유지된다. 도면에서는, 히터(30)로서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채용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밴드 히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온수 탱크(9)의 상면(9a)에는, 온수 탱크(9) 내의 상부에 저장된 고온의 음료수를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관(31)이 접속되어 있다. 온수 주출관(31)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부터 조작 가능한 온수 코크(32)가 마련되고, 이 온수 코크(32)를 개방함으로써 온수 탱크(9)로부터 고온의 음료수를 컵 등으로 주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온수 탱크(9)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버퍼 탱크(7) 내의 음료수가 자기 중량으로 인해 온수 탱크 급수관(10)을 통과하여 온수 탱크(9) 내로 도입되어, 온수 탱크(9)는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된다. 온수 탱크(9)의 음료수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온수 탱크 급수관(10)은, 온수 탱크(9)의 상면(9a)으로부터 온수 탱크(9)의 내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탱크 내 배관(33)을 갖는다. 탱크 내 배관(33)의 하단은, 온수 탱크(9)의 바닥면 근방에서 개방되어 있다. 탱크내 배관(33)의 온수 탱크(9)의 상면(9a) 근방에는, 탱크 내 배관(33)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작은 구멍(34)이 마련되어 있다.
온수 주출관(31)의 온수 탱크(9)측의 단부(31a)는, 온수 탱크(9)의 상면(9a)을 관통하여 온수 탱크(9) 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온수 탱크(9)의 상면(9a)으로부터 하방으로 간격을 둔 위치[예컨대, 온수 탱크(9)의 상면(9a)으로부터 하방으로 5 ㎜∼15 ㎜ 정도의 위치]에서 개방되어 있다. 온수 탱크 급수관(10)의 탱크 내 배관(33)의 작은 구멍(34)은, 온수 주출관(31)의 온수 탱크(9)측의 단부(31a)의 개구 위치보다 상방 위치에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2 살균용 배관(16)의 온수 탱크(9)측의 단부(16a)는, 온수 탱크 급수관(10)의 탱크 내 배관(33)의 작은 구멍(34)보다 상방 위치에서 개방되어 있다.
온수 탱크(9)의 바닥면에는, 케이스(1)의 외부로 연장되는 드레인관(35)이 접속되어 있다. 드레인관(35)의 출구는 플러그(36)로 폐쇄되어 있다. 플러그(36) 대신에 개폐 밸브를 마련하여도 좋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3)는, 단면 사각형으로 중공의 각통 형상으로 된 몸통부(37)와, 이 몸통부(37)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38)와, 몸통부(37)의 타단에 어깨부(39)를 통해 마련된 목부(40)를 가지고, 이 목부(40)에 물 배출구(11)가 마련되어 있다. 그 목부(40)의 외주에는 한 쌍의 플랜지(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몸통부(37)는,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원수 용기(3)가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원수 용기(3)는, 전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ET)의 블로우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그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10리터∼20리터 정도이다.
또한, 원수 용기로서는 전체에 강성을 갖게 하여 형성한 타입의 것을 채용할 수도 있지만, 원수 용기의 물 배출구를 수평을 향하게 하여도, 그 원수 용기 내의 음료수를 용이하게 펌프로 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 실시형태와 같이,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기 위해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한 원수 용기(3)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수 용기(3)는, 용기 홀더(4)에 유지된 상태로 용기 배치대(42)에 실려 있다.
용기 배치대(42)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형의 배치부(43)와, 배치부(43)의 하면측에 마련된 보강부(44)를 가지고, 그 배치부(43) 상면으로부터 보강부(44) 하면으로 관통하는 용기 홀더(4) 위치 결정용의 감합부로서의 관통 구멍(45)이 3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보강부(44)의 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차륜 부착부(46)에, 케이스(1)의 바닥판(1a) 상을 구르는 차륜(47)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전후의 방향은, 워터 서버를 향하여 선 사용자로부터 보아 가까운 똑을 전방, 먼 쪽을 후방으로 하고 있다. 한편, 케이스(1)의 바닥판(1a)의 상면에는, 용기 배치대(42)의 보강부(44)의 하면을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롤러(48)와,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며, 용기 배치대(42)의 보강부(44)의 측면을 안내하는 좌우 한 쌍의 가이드(49)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 배치대(42)가 가이드(49)에 안내되면서, 케이스(1) 내에 원수 용기(3)가 셋트되는 셋트 위치(도 2의 위치)와, 케이스(1)로부터 원수 용기(3)가 나가는 인출 위치(도 4의 위치) 사이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기 배치대(42)의 배치부(43)에, 원수 용기(3)를 물 배출구(11)가 후방을 향한 상태로 유지하는 용기 홀더(4)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용기 홀더(4)는, 상방으로 개방되는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개구부(50)로부터 원수 용기(3)를 출납함으로써, 원수 용기(3)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판(51)과, 원수 용기(3)를 사이에 두고 좌우에 위치하는 측면판(52)과, 원수 용기(3)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면판(53)과, 원수 용기(3)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면판(54)과, 원수 용기(3)를 전후 방향으로 걸치는 한 쌍의 손잡이(55)를 갖는다. 각 손잡이(55)는, 일단부에서 전면판(53)에, 타단부에서 후면판(54)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용기 홀더(4)의 지지판(51)의 하면, 즉 용기 배치대(42)와의 접촉면에는, 용기 배치대(42)의 3개의 관통 구멍(45)에 각각 끼워 넣어지는 3개의 원추형의 돌출부(56)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용기 홀더(4)를 용기 배치대(42)에 실었을 때에, 용기 홀더(4)가 용기 배치대(42)에 대하여 정확함과 더불어 원활하게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용기 홀더의 돌출부는 반구형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용기 홀더(4)의 둘레벽의 일부를 이루는 후면판(54)에는, 그 외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원수 용기(3)의 목부(40)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57)가 마련되어 있다. 이 목 지지부(57)는, 상측면이 원수 용기(3)의 목부(40)의 플랜지(41)의 외직경과 거의 동일한 곡률 반경의 원호면으로 형성된 홈통형의 것으로, 원수 용기(3)의 목부(40)의 하측에 감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목 지지부(57)의 상측면에는, 원수 용기(3)의 한 쌍의 플랜지(41)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부채형의 돌출편(58)과, 목 지지부(57)의 기단측에서 돌출편(58)과의 사이에 원수 용기(3)의 플랜지(41)가 하나만 들어가는 간극을 형성하고, 목 지지부(57)의 기단 근방까지 연장되는 리브(59)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수 용기(3)의 목부(40)와 목 지지부(57)가 감합할 때에, 원수 용기(3)의 한 쌍의 플랜지(41)가 양쪽 모두 용기 홀더(4)의 목 지지부(57)의 돌출편(58)보다 기단측에 끼워 넣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용기 홀더(4)는, 그 목 지지부(57)의 돌출편(58)이 원수 용기(3)의 한 쌍의 플랜지(41) 사이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목 지지부(57)를 원수 용기(3)의 목부(40)[각 플랜지(41)의 외주]의 하측에 감합시켜, 원수 용기(3)의 목부(40)를 직경 방향 및 축 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용기 배치대(42)가 셋트 위치에 왔을 때에는,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가 원수 급출관(5)의 조인트부(5a)에 확실하게 접속된다.
다음에, 원수 용기(3)와 조인트부(5a)의 접속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3)의 목부(40)의 선단에는 캡(60)이 부착되어 있다. 캡(60)의 중앙에는, 원수 용기(3)의 내부를 향하여 목부(40)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양단이 개방된 내통(61)이 형성되어 있다. 내통(61)의 내부의 영역이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를 형성하고 있고, 접속 전의 상태(도 6 참조)에서는, 이 물 배출구(11)에 마개체(62)가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캡(60)은, 폴리에틸렌 수지(PE)의 사출 성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3)의 내통(61)의 내주면에는, 원수 용기(3)의 내부를 향하여 소직경이 되는 단차부(63)가 형성되어 있다. 마개체(62)는, 통부(64)와, 통부(64)의 일단에 형성된 폐색 단부(65)와, 통부(64)의 타단의 내주를 따라 형성된 걸림부(66)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이다. 마개체(62)는, 원수 용기(3)의 외측을 향하여 개방되는 방향으로 내통(61)에 감합된다. 마개체(62)의 통부(64)의 외주면에는, 내통(61)의 단차부(63)와 맞물리는 돌기(67)가 형성되어 있다. 그 통부(64)의 원수 용기(3) 내부측의 단부에는, 내통(61)의 단부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대향 부재(6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조인트부(5a)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배치대(42)를 인출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로부터 분리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배치대(42)를 셋트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에 접속되도록, 케이스(1) 내에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5a)는, 케이스(1)의 바닥판(1a)의 상면에 세워서 설치된 고정판(69)을 관통하는 상태로, 그 고정판(69)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판(69)의 상단에는, 원수 용기(3)를 향하여 연장되는 유도 부재(70)가 마련되어 있다. 유도 부재(70)는, 단면 직사각형의 각 기둥형으로, 그 선단측이 원수 용기(3)에 근접함에 따라 상방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4의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3)를 케이스(1) 내에 셋트할 때에, 원수 용기(3)의 목부(40)가 기울어 그 선단 위치가 조인트부(5a)로부터 틀어져 있는 경우도, 유도 부재(70)가 원수 용기(3)의 목부(40)를 조인트부(5a)를 향하여 유도하도록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5a)는,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에 감합하도록 형성된 수평으로 연장되는 통체이며, 외주가 원통면인 스트레이트부(71)와, 반구형의 선단부(72)를 갖는다. 그 스트레이트부(71)의 직경은,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즉 내통(61)]에 조여지는 가운데 감합되는 크기로 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71)에는, 조인트부(5a)가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에 감합된 상태에서 원수 용기(3)의 내부로 개방되는 통수 구멍(73)이 형성되어 있다.
통수 구멍(73)은, 조인트부(5a)의 하반부의 영역에만 마련되어 있고, 상반부의 영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원수 용기(3) 내의 음료수가 얼마 남지 않게 되었을 때에도, 그 음료수를 되도록 마지막까지 퍼낼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5a)로부터 원수 용기(3)를 분리하였을 때에, 조인트부(5a)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기 어려워, 조인트부(5a)의 내부의 음료수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부(5a)의 근원에는, 자외선 발광부(74)가 마련되어 있다. 자외선 발광부(74)는, 조인트부(5a)의 내부의 음료수 및 조인트부(5a)의 내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한다. 자외선 발광부(74)로서는, 자외선 LED나 수은 램프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인트부(5a)의 선단부(72)의 중심에는, 조인트부(5a)를 내외로 관통하는 공기 빼기 구멍(7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부(5a)의 외주에는, 스트레이트부(71)와 선단부(72)의 경계 위치에, 마개체(62)의 걸림부(66)가 맞물리는 둘레홈(76)이 형성되어 있다.
원수 용기(3)와 조인트부(5a)를 접속할 때는, 도 6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원수 용기(3)를 조인트부(5a)를 향하여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면, 우선, 조인트부(5a)의 선단부(72)가 원수 용기(3)의 마개체(62)에 들어가, 마개체(62)의 걸림부(66)가 조인트부(5a)의 둘레홈(76)에 맞물리게 된다. 이때, 마개체(62)와 조인트부(5a)의 선단부(72) 사이에 둘러싸이는 공기가, 조인트부(5aa)의 공기 빼기 구멍(75)을 통하여 내부로 빠져 나가기 때문에, 조인트부(5a)의 선단부(72)에 마개체(62)를 원활하게 감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더욱 원수 용기(3)를 전진시키면, 마개체(62)의 돌기(67)와 내통(61)의 단차부(63)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개체(62)만이 조인트부(5a)와 감합된 위치에 멈추고, 조인트부(5a)의 통수 구멍(73)이 원수 용기(3)의 내부로 개방되도록 하여 접속이 완료된다.
다음에, 이 워터 서버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운전 시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삼방 밸브(13) 및 제2 삼방 밸브(15)의 유로가 통상 유로에 전환된 상태로, 냉수 탱크(2) 내의 수위를 일정 범위 내로 유지하는 수위 제어와, 온수 탱크(9) 내의 음료수의 온도를 고온으로 유지하는 히터 제어가 행해진다.
즉, 사용자가 냉수 코크(21)를 조작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가 자기 중량으로 인해 냉수 주출관(20)을 통과하여 외부로 주출되어,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가 감소한다. 그리고, 수위 센서(18)에서 검출되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하한 수위를 하회하면, 전술한 수위 제어에 의해 펌프(6)가 구동되며, 원수 용기(3)의 음료수가 원수 급출관(5)을 통하여 냉수 탱크(2)로 퍼올려진다.
또한, 사용자가 온수 코크(32)를 조작하면, 온수 탱크(9)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온수 주출관(31)을 통과하여 외부로 주출되고, 버퍼 탱크(7) 내의 음료수가 자기 중량에 의해 온수 탱크 급수관(10)을 통과하여 온수 탱크(9) 내로 도입된다. 여기서, 버퍼 탱크(7) 내의 음료수는, 온수 탱크(9) 내의 음료수를 외부로 밀어내는 역할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버퍼 탱크(7) 내의 음료수가 온수 탱크(9) 내로 도입되면, 버퍼 탱크(7) 내의 수위가 내려가기 때문에, 플로트 밸브(28)가 개방되어, 냉수 탱크(2) 내의 음료수의 상층 부분으로부터 버퍼 탱크 급수관(8)을 통과하여 버퍼 탱크(7) 내로 음료수가 도입된다.
버퍼 탱크(7)로부터 온수 탱크(9)로 음료수가 도입되면, 온수 탱크(9) 내의 음료수의 온도가 내려간다. 그리고, 온도 센서(29)에서 검출되는 온수 탱크(9) 내의 온도가, 히터 제어에서 설정된 하한 온도(예컨대 85℃)보다 낮아졌을 때, 히터(30)가 ON 되어, 온수 탱크(9) 내의 음료수가 가열된다.
한편, 살균 운전 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위 제어를 중지하고, 제1 삼방 밸브(13) 및 제2 삼방 밸브(15)의 유로를 살균 유로로 전환한 상태에서 펌프(6)를 구동하는 물 순환 제어와, 상기 히터 제어를 병행하여 행한다. 이에 의해, 온수 탱크(9)의 고온의 음료수가, 제2 살균용 배관(16), 제2 삼방 밸브(15), 원수 급출관(5), 제1 삼방 밸브(13), 제1 살균용 배관(14), 버퍼 탱크(7), 온수 탱크 급수관(10)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순환하여, 그 순환 경로가 살균된다. 이때, 고온의 음료수는 냉수 탱크(2)를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살균 운전 시에도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주출할 수 있다.
그런데, 통상 운전 중에는, 냉수 탱크(2) 내 또는 온수 탱크(9) 내의 음료수의 사용에 따라, 원수 용기(3)의 음료수는 점차로 감소해 간다. 그리고, 원수 용기(3)가 빈 상태가 되면, 펌프(6)가 작동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수 급출관(5) 내의 음료수의 흐름이 없어지기 때문에, 이 상태를 유량 센서(12)가 검지하여, 상기 용기 교환 램프가 점등한다.
상기 용기 교환 램프가 점등하면, 사용자는 다음과 같이 하여 원수 용기(3)의 교환 작업을 행한다. 우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1)로부터 용기 배치대(42)를 인출한다. 이때, 용기 배치대(42)와 일체로 용기 홀더(4) 및 원수 용기(3)가 이동하기 때문에, 원수 용기(3)가 케이스(1) 내에 고정된 조인트부(5a)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그리고, 용기 배치대(42)로부터 용기 홀더(4)를 제거하고, 용기 홀더(4)로부터 빈 상태의 원수 용기(3)를 취출한다.
다음에, 워터 서버 설치 위치의 근처의 마루 위에, 만수 상태의 원수 용기(3)를 그 목부(40)가 수직으로 상방을 향한 상태로 둔 후, 도 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3)를 기울이고, 이 상태의 원수 용기(3)에 개구부를 옆을 향하게 한 자세의 용기 홀더(4)를 슬라이드시켜 씌운다. 그리고, 도 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3)를 당초의 자세로 복귀시키면서 용기 홀더(4)를 더욱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도 8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수 용기(3)를 용기 홀더(4)에 거의 담은 상태로 한다. 그 후, 용기 홀더(4)와 함께 원수 용기(3)를 횡방향의 자세로 하여, 용기 홀더(4)의 손잡이(55)를 가지고 용기 배치대(42)에 배치한다. 이때, 원수 용기(3)의 목부(40)를 용기 홀더(4)의 목 지지부(57)에 감합시킨다.
마지막으로, 용기 배치대(42)를 밀어, 용기 홀더(4) 및 원수 용기(3)를 함께 케이스(1) 내에 수용함과 동시에, 원수 용기(3)를 케이스(1) 내에 고정된 조인트부(5a)에 접속한다. 이에 의해 교환 작업이 완료한다.
이 워터 서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원수 용기(3) 교환 시에는, 용기 배치대(42)로부터 제거한 용기 홀더(4)에 원수 용기(3)를 담은 후, 용기 홀더(4)의 손잡이(55)를 잡고 용기 홀더(4)와 함께 용기 배치대(42)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원수 용기(3)를 단독으로 들어올릴 필요가 없어, 원수 용기(3)를 횡방향의 자세로 용이하게 셋트할 수 있다. 또한, 원수 용기(3)에 손잡이를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원수 용기(3) 자체의 비용도 억제된다.
또한, 용기 홀더(4)를 용기 배치대(42)에 실었을 때에 정확함과 더불어 원활하게 위치 결정되며, 용기 홀더(4)에 대하여 원수 용기(3)의 목부(40)가 직경 방향 및 축방향으로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용기 배치대(42)를 셋트 위치에 수용하면,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를 원수 급출관(5)의 조인트부(5a)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원수 용기(3)와 원수 급출관(5)의 접속이 용이하고, 이 점에서도 원수 용기(3) 교환 시의 작업성이 우수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원수 용기(3) 교환 시에, 만일, 용기 홀더(4)에 담은 원수 용기(3)가 찢어져 음료수가 원수 용기(3)로부터 누출되어도, 용기 홀더(4)를 용기 배치대(42)로부터 제거하고, 용기 홀더(4) 내에 저장된 음료수를 버리면 되기 때문에, 종래의 고정식의 용기 홀더로부터 누출된 음료수를 퍼내는 데 비해서, 교환 작업을 재개하는 데 시간이 걸리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원수 용기(3)의 목부(40)에 플랜지(41)를 형성하였지만, 플랜지는 목부에 장착하는 캡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원수 용기의 목부에 플랜지를 형성하지 않고, 그 목부를 파지하는 클램프 수단을 용기 홀더에 마련하고, 그 클램프 수단으로 원수 용기의 물 배출구의 이동을 구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용기 홀더의 지지판 하면의 돌출부, 및 이 돌출부가 끼워 넣어지는 용기 배치대의 관통 구멍 등의 감합부는, 실시형태에서는 3개씩 마련하였지만, 돌출부와 감합부의 수는 동수로 3개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의 수를 3개 이상으로 함으로써, 용기 홀더를 용기 배치대로부터 제거하여 바닥면 등에 둘 때에, 돌출부가 발이 되어 용기 홀더의 자세가 안정되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형태와 반대로, 용기 배치대의 상면에 돌출부를 마련하고, 이 돌출부가 끼워 넣어지는 감합부를 용기 홀더의 지지판에 마련할 수도 있다. 그 경우는, 용기 홀더의 지지판을 두껍게 형성하는 등에 의해, 감합부가 용기 홀더에 담은 원수 용기에 간섭하지 않도록 하면 좋다.
3: 원수 용기 4: 용기 홀더
5: 원수 급출관 11: 물 배출구
40: 목부 41: 플랜지
42: 용기 배치대 45: 관통 구멍(감합부)
50: 개구부 55: 손잡이
56: 돌출부 57: 목 지지부
58: 돌출편 59: 리브

Claims (8)

  1. 중공 통형의 몸통부(37)와, 이 몸통부(37)의 일단에 마련된 바닥부(38)와, 상기 몸통부(37)의 타단에 어깨부(39)를 통해 마련된 목부(40)를 가지고, 그 목부(40)에 물 배출구(11)가 마련된 교환식의 원수 용기(3), 상기 원수 용기(3)를 싣는 용기 배치대(42), 상기 원수 용기(3)의 물 배출구(11)에 접속되는 원수 급출관(5)을 갖는 워터 서버로서,
    상기 용기 배치대(42)에, 손잡이(55)를 갖는 상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원수 용기(3)를 그 목부(40)가 수평을 향한 상태로 유지하는 용기 홀더(4)를 착탈 가능하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홀더(4)는, 상방으로 개방되고, 그 개구부(50)로부터 상기 원수 용기(3)를 출납하는 것인 워터 서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홀더(4)의 용기 배치대(42)와의 접촉면에 복수의 돌출부(56)를 마련하고, 상기 용기 배치대(42)에 이 돌출부(56)가 끼워 넣어지는 감합부(45)를 마련한 것인 워터 서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홀더(4)의 돌출부(56)는, 원추형 또는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워터 서버.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홀더(4)의 둘레벽에, 상기 원수 용기(3)의 목부(40)를 지지하는 목 지지부(57)를 마련한 것인 워터 서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홀더(4)의 목 지지부(57)는, 용기 홀더(4)의 둘레벽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하여, 상기 원수 용기(3)의 목부(40)의 하측에 감합되는 홈통형인 것인 워터 서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 용기(3)의 목부(40)의 외주면에 한 쌍의 플랜지(41)를 마련하고, 상기 용기 홀더(4)의 목 지지부(57)의 상측면에, 이 한 쌍의 플랜지(41)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돌출편(58)을 마련한 것인 워터 서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홀더(4)의 목 지지부(57)의 기단(基端)측의 상측면에, 상기 돌출편(58)과의 사이에 상기 원수 용기(3)의 플랜지(41)가 하나만 들어가는 간극을 형성하고, 목 지지부(57)의 기단 근방까지 연장되는 리브(59)를 마련한 것인 워터 서버.
KR1020157021343A 2013-03-01 2013-11-28 워터 서버 KR102090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40490A JP5529310B1 (ja) 2013-03-01 2013-03-01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JP-P-2013-040490 2013-03-01
PCT/JP2013/082029 WO2014132510A1 (ja) 2013-03-01 2013-11-28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232A true KR20150123232A (ko) 2015-11-03
KR102090854B1 KR102090854B1 (ko) 2020-03-18

Family

ID=5117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343A KR102090854B1 (ko) 2013-03-01 2013-11-28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344281A1 (ko)
EP (1) EP2962982A4 (ko)
JP (1) JP5529310B1 (ko)
KR (1) KR102090854B1 (ko)
CN (1) CN105026303B (ko)
TW (1) TWI680096B (ko)
WO (1) WO20141325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29314B1 (ja) * 2013-03-07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714763B1 (ja) * 2014-10-07 2015-05-07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WO2017168392A1 (en) * 2016-04-01 2017-10-05 True Keg S.R.L. A system for dispensing water, and water container to be used in such system
ITUA20163118A1 (it) * 2016-05-03 2017-11-03 Water Time Il Boccione S R L Distributore automatico di bevande espresse a pagamento
JP7011538B2 (ja) * 2018-06-18 2022-01-26 パーパス株式会社 ウォータサーバ
GB2620103A (en) * 2022-05-12 2024-01-03 Britvic Soft Drinks Ltd Coupling system for a flowable material contai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1601A (en) * 1992-11-30 1994-04-12 C. Cretors & Company Storage and metering apparatus for popcorn popping oil
US20060080993A1 (en) * 2004-10-18 2006-04-20 Mullen James T Refrigerated liquid dispensing system
US20080277417A1 (en) * 2007-05-10 2008-11-13 Groesbeck R Clay Temperature controlled liquid dispenser, containers therefore, and bag-in-box container construction
US20120193375A1 (en) * 2011-02-02 2012-08-02 Neviot - Nature Of Galilee Ltd. Water dispenser with bag in a box unit
JP2012162318A (ja) 2011-02-09 2012-08-30 Air Water Inc 飲料水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3807A (en) * 1965-01-22 1968-01-16 Howard P. Powell Flexible dispensing bag and semirigid container therefor
JPH07323284A (ja) * 1994-05-31 1995-12-12 Sanyo Electric Co Ltd イオン水生成装置
US5673817A (en) * 1995-04-05 1997-10-07 Rapid Cartridge Dispensing Systems, Inc. All-purpose dispenser for liquids such as milk, cream and juices, and bulk products such as condiments and salad dressings
US5826752A (en) * 1995-05-23 1998-10-27 Latimer; Scott Fluid despensing and shipping container system and methods
US5803346A (en) * 1996-05-15 1998-09-08 Longview Fibre Company Paperboard container for liquids including an improved structure to prevent fitment rotation
JP2001153523A (ja) * 1999-11-19 2001-06-08 Kyushu Kaihatsu Kikaku:Kk 飲料用温水器及び飲料用冷水器及び飲料用温水・冷水器
US6543495B2 (en) * 2001-08-22 2003-04-08 Fmc Technologies, Inc. Multiple access container and methods for the transfer of fluent materials
JP4043808B2 (ja) * 2002-03-06 2008-02-06 株式会社北栄 液体冷却システムおよび液体収容コンテナ
US8366920B2 (en) * 2002-06-17 2013-02-05 S.I.P.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gramably treating water in a water cooler
US20060032864A1 (en) * 2004-08-16 2006-02-16 Jung Suk D Water dispenser
US8459503B2 (en) * 2007-05-10 2013-06-11 R. Clay Groesbeck Temperature controlled liquid dispenser, containers therefore, and bag-in-box container construction
IES20070805A2 (en) * 2007-11-07 2008-10-15 Aqueduct Invest Internat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liquid
JP2012188163A (ja) * 2011-03-09 2012-10-04 Cbc Est Co Ltd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3175817U (ja) * 2012-03-09 2012-05-31 五洲薬品株式会社 ウォーターサーバー
US9415990B2 (en) * 2013-02-13 2016-08-16 Cryovac, Inc. Bag-in-box system for use in dispensing a pumpable produc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01601A (en) * 1992-11-30 1994-04-12 C. Cretors & Company Storage and metering apparatus for popcorn popping oil
US20060080993A1 (en) * 2004-10-18 2006-04-20 Mullen James T Refrigerated liquid dispensing system
US20080277417A1 (en) * 2007-05-10 2008-11-13 Groesbeck R Clay Temperature controlled liquid dispenser, containers therefore, and bag-in-box container construction
US20120193375A1 (en) * 2011-02-02 2012-08-02 Neviot - Nature Of Galilee Ltd. Water dispenser with bag in a box unit
JP2012162318A (ja) 2011-02-09 2012-08-30 Air Water Inc 飲料水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6303A (zh) 2015-11-04
EP2962982A1 (en) 2016-01-06
KR102090854B1 (ko) 2020-03-18
US20150344281A1 (en) 2015-12-03
TW201434732A (zh) 2014-09-16
JP2014169090A (ja) 2014-09-18
CN105026303B (zh) 2019-05-10
JP5529310B1 (ja) 2014-06-25
TWI680096B (zh) 2019-12-21
WO2014132510A1 (ja) 2014-09-04
EP2962982A4 (en) 201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3232A (ko) 워터 서버
KR102086880B1 (ko) 워터 서버
KR102065202B1 (ko) 워터 서버
JP5520403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2068864B1 (ko) 워터 서버
KR20150127130A (ko) 워터 서버
KR20150070188A (ko) 워터 서버
TW201400398A (zh) 飲水機
KR20150133823A (ko) 워터 서버
KR20150124975A (ko) 워터 서버
JP2007062746A (ja) 飲料ディスペンサ
KR101772162B1 (ko) 고온멸균 기능이 있는 직수냉온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