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1653A - 푸쉬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쉬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1653A
KR20150121653A KR1020150033937A KR20150033937A KR20150121653A KR 20150121653 A KR20150121653 A KR 20150121653A KR 1020150033937 A KR1020150033937 A KR 1020150033937A KR 20150033937 A KR20150033937 A KR 20150033937A KR 20150121653 A KR20150121653 A KR 20150121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engaging
operating member
pressing
engag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1854B1 (ko
Inventor
사토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1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20Driv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manual release of a l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cam or eccentric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 조작부재와 작동부재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인 것으로, 조작부재의 위치로부터 스위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푸쉬 스위치를 구성한다.
[해결 수단] 조작부재(10)와 작동부재(20)를 하우징(30)에 지지하고, 조작부재(10)를 돌출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 스프링(51)과, 작동부재(20)를 조작부재(10)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 스프링(52)을 구비하였다. 조작부재(10)를 조작 영역의 중간의 조작 중간 위치에 유지하고, 작동부재(20)를 작동 영역의 중간의 작동 중간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기구(A)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푸쉬 스위치{PUSH SWITCH}
본 발명은, 푸쉬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작부재를 눌러서 조작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구성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푸쉬 스위치로서 특허문헌 1에는, 상자형의 하우징에 대해서 상하 이동 가능하게 키 탑(key top)과, 슬라이더(slider)를 구비하되, 키 탑을 돌출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슬라이더를 키 탑에 맞닿게 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슬라이더의 작동에 따라 조작되는 스위치 접점을 구비하며, 슬라이더를 록(lock)하는 록 기구를 구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서는, 록 기구가 슬라이더에 형성한 하트형의 캠 홈과, 이 캠 홈에 일단부가 걸리게 되는 훅 핀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키 탑을 누름 조작한 경우에는, 키 탑으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슬라이더가 작동하여, 스위치 접점이 도통 상태가 되고, 록 기구에 의해 슬라이더는 록 위치에 유지되며, 키 탑은 스프링의 가압력(urging force)에 의해 비조작위치로 복원된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고 또한 돌출방향으로 스프링 가압된 가동부재를 포함하되, 가동부재에 연동하는 스위치 소자를 구비하고, 가동부재를 소정 위치에 록하는 록 수단을 구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에서는, 가동부재가 돌출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고, 록 수단으로서, 가동부재에 형성한 하트형 캠 홈과, 이 캠 홈에 삽입되는 록 부재를 구비해서 구성되어 있다.
JP 2007-323829 A JP 2007-103201 A
특허문헌 1 및 2에 개시된 푸쉬 스위치에서는, 누름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온(ON) 상태에 도달한 후에,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재차 누름 조작으로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어,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작동을 실현하기 위해서, 하트형의 캠 홈과 이 캠 홈에 걸리게 되는 부재를 가진 록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위 조작되는 키 탑과, 스위치 접점을 가진 슬라이더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것에서는, 키 탑을 누름 조작한 후에는, 스위치의 상태에 구애 받지 않고 키 탑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이것에 의해, 키 탑의 위치로부터는, 스위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이 특허문헌 1에서는, 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해서 키 탑의 내부의 LED를 점등 또는 비점등으로 전환함으로써 스위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스위치의 상태를 LED의 점등·소등에 의해 보고하는 구성에서는, LED를 제어하는 전기 회로를 스위치 내에 필요로 하므로, 부품점수가 증대하게 되고, LED나 전기 회로가 고장난 경우에는 스위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없는 것도 고려되어, 개선의 여지가 있다.
이에 대해서, 특허문헌 2의 구성에서는, 인위 조작되는 가동부재의 위치가 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것이지만, 특허문헌 1과 같이, 키 탑과 슬라이더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것에 적용할 수 없는 것이다.
특허문헌 1과 같이, 인위 조작되는 키 탑과, 스위치 접점을 가진 슬라이더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푸쉬 스위치에서도 키 탑의 위치로부터 스위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스위치의 상황을 반영하도록 키 탑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록 기구 이외에, 조작부재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록 기구를 필요로 한다. 이것은, 부품점수의 증가를 초래하는 관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위 조작되는 조작부재와, 스위치부에 연계되는 작동부재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인 것에 있어서, 조작부재의 위치로부터 스위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푸쉬 스위치를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인위 조작에 의해 조작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상기 조작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위치에 대응하는 도통 상태가 되는 스위치부와, 이들을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1 가압기구와,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조작부재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2 가압기구와, 상기 조작부재를 조작 영역의 중간의 조작 중간 위치에 유지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 영역의 중간의 작동 중간 위치에 유지가능한 유지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지기구가, 상기 작동부재에 형성된 하트형의 캠 홈과, 기단부(基端部)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캠 홈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작동부재의 왕복 작동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캠 홈을 따라서 이동하는 걸어맞춤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걸어맞춤됨으로써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작동 중간 위치에 유지하는 작동 유지부를 상기 캠 홈의 경로 중에 형성하고,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작동 유지부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요동된 상태에서, 해당 걸어맞춤단부가 걸어맞춤됨으로써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조작 중간 위치에 유지하는 조작 유지부를 상기 조작부재에 형성해서 구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작동부재가 유지기구에 의해 작동 중간 위치에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조작부재를 비유지 상태로 해서 제1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한 돌출 단부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에, 조작부재를 누름 조작한 경우에는 유지기구에 의한 작동부재의 유지가 해제되어, 작동부재를 제2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돌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동시에, 유지기구에 의해 조작부재를 조작 중간 위치에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스위치부가 작동부재에 연계되어 있고, 그 작동부재가 유지기구에 의해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조작부재가 돌출 단부에 있으며, 작동부재의 유지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조작부재가 눌린 위치에 있다.
따라서, 인위 조작되는 조작부재와, 스위치부에 연계되는 작동부재가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구성으로, 조작부재의 위치로부터 스위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푸쉬 스위치가 합리적으로 구성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압압 측의 작동 단부에 도달하고, 그 후에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작동 유지부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상기 제2 가압기구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작동 중간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조작부재의 다음의 누름 조작에 의한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작동 유지부로부터 요동에 의해 이탈되고, 그 후에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조작 유지부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상기 제1 가압기구에 가압력에 저항해서 조작부재가 상기 조작 중간 위치에 유지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캠 홈의 작동 유지부에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단부가 걸어맞춤됨으로써, 작동부재가 작동 중간 위치에 유지된다. 그 후에 조작부재가 누름 조작되어, 걸어맞춤부재가 작동 유지부로부터 이탈된 후에는,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단부가 조작부재의 조작 유지부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조작부재가 조작 중간 위치에 유지된다. 즉, 걸어맞춤부재를 겸용함으로써 2개의 록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작동부재의 유지와 조작부재의 유지가 실현된다.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작동부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지니고, 이 수용 공간 중 상기 작동부재의 상기 캠 홈을 따른 위치에 외벽면에 대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제1 구멍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재에 형성된 슬라이드체가, 상기 외벽면의 외측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제2 구멍부가 형성되며, 이 제2 구멍부의 내주에 상기 조작 유지부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슬라이드체의 제2 구멍부와 하우징 외벽면의 제1 구멍부에,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단부가 삽입 통과하여, 이 걸어맞춤단부가 작동부재 캠 홈에 걸리게 된다. 또한, 작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단부가 캠 홈을 따라서 이동하여 작동 유지부에 걸어맞춤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에, 작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걸어맞춤부재가 작동 유지부로부터 이탈된 후에, 걸어맞춤부재가 요동함으로써 걸어맞춤단부의 조작 유지부에의 걸어맞춤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캠 홈이, 상기 조작 유지부에 대응하는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걸어맞춤단부를, 상기 조작부재의 압압력에 의한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작 직선에 경사진 경사 경로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 경로와,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제1 경로의 이동 단부에 도달한 상태에서 압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단부를 상기 제2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한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동 유지부로 이동시키는 제2 경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작동 유지부로 이동가능한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조작부재의 압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제2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돌출방향으로 작동하고,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제1 경로의 상기 경사 경로부를 이동할 경우에, 상기 제1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조작 중간 위치로 되돌아가는 작동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단부에 접촉하며, 이 접촉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단부에 대해서 상기 초기 위치의 방향을 향하는 힘을 작용시키는 안내부가 상기 제2 구멍부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조작부재의 누름이 불충분한 상황에서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와 같이,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단부가 작동 유지부로 이동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제2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부재가 돌출방향으로 작동하고, 이 작동에 따라 걸어맞춤단부가 제1 경로의 경사 경로부를 역행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조작부재의 누름이 해제된 경우에는 제1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부재도 돌출방향으로 작동하게 되고, 이 작동에 따라 제2 구멍부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안내부가 걸어맞춤단부에 접촉함으로써, 이 안내부가 걸어맞춤단부에 대해서 초기 위치의 방향을 향하는 힘을 작용시킨다. 이것에 의해, 조작 단부를 초기 위치로 확실하게 이동시켜 조작 유지부에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작동 유지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고, 상기 제1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가 돌출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단부의 상기 조작부재에 대한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슬릿 형상의 가이드 개구부가 상기 제2 구멍부에 구비되는 동시에, 해당 가이드 개구부의 연장 측의 단부 내면에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맞닿아서 상기 조작부재의 돌출방향의 한계위치를 결정하는 맞닿음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개구부의 개구 폭이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값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걸어맞춤단부가 작동 유지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는 걸어맞춤단부가 작동 유지부에 걸어맞춤되어 작동부재의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걸어맞춤단부가 작동 유지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상태에서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는 제1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부재가 돌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걸어맞춤단부가 가이드 개구부의 내부를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이 가이드 개구부의 연장 측의 단부 내면에는 걸어맞춤단부가 맞닿는 맞닿음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맞닿음면에 걸어맞춤단부가 맞닿음으로써 조작부재의 돌출 위치가 결정된다. 또한, 가이드 개구의 개구 폭이 걸어맞춤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폭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진동 등의 부하가 작용할 경우에도 걸어맞춤단부가 작동 유지부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억제된다.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부가, 상기 작동부재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가동 접점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가동 접점에 접촉하는 고정 접점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작동부재의 포지션(position)에 대응해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을 접촉시키거나, 또는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조작부재의 위치에 대응한 도통 상태를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푸쉬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유지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캠 홈과 훅 로드(hook rod)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초기 상태에서의 슬라이드체와 훅 로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초기 상태에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1 조작 상태에서의 슬라이드체와 훅 로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1 조작 상태에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제2 조작 상태에서의 슬라이드체와 훅 로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제2 조작 상태에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제3 조작 상태에서의 슬라이드체와 훅 로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제3 조작 상태에서의 각 부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걸어맞춤단부에 안내부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기본구성]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10)와, 작동부재(20)와, 하우징(30)과, 제1 가압기구로서의 제1 스프링(51)과, 제2 가압기구로서의 제2 스프링(52)과, 스위치부(40)와, 유지기구(A)를 포함하여 푸쉬 스위치가 구성되어 있다.
이 푸쉬 스위치는, 조작부재(10)의 인위 조작에 연계해서 작동부재(20)가 작동하고, 작동부재(20)의 작동위치에 대응하는 도통 상태를 스위치부(40)가 나타내어, 이것에 의해 조작 상태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조작부재(10)와 작동부재(20)와 하우징(30)은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고, 제1 스프링(51)과 제2 스프링(52)은 용수철 재료에 의해 압축 코일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푸쉬 스위치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부재(10)를 인위적으로 누름 조작함으로써,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제1 조작 상태에 도달시키고, 이 조작력을 해제시킴으로써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제2 조작 상태로 이행된다. 이것에 이어서, 조작부재(10)를 인위적으로 누름 조작함으로써,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제3 조작 상태로 이행되고, 이 조작력을 해제시킴으로써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초기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부재(10)가 반복해서 누름 조작됨으로써, 조작부재(10)는, 초기 조작위치(Pa)(조작 중간 위치의 일례)와, 제1 조작위치(Pb)와, 제2 조작위치(Pc)와, 제3 조작위치(Pd)로, 이 순서로 위치가 변화된다. 또한, 이것에 연계해서, 작동부재(20)는 초기 작동위치(Qa)와, 제1 작동위치(Qb)(압압 측의 작동 단부의 일례)와, 제2 작동위치(Qc)(작동 중간 위치의 일례)와, 제3 작동위치(Qd)로 순차 위치가 변화된다. 이하에, 각 부의 구성과 작동 형태를 설명한다.
[조작부재·작동부재·하우징]
도 1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부재(10)는, 인위 조작되는 노브(knob)(11)를 단부에 구비하는 동시에, 조작 직선(X)을 따른 방향으로 뻗는 맞닿음 돌기(12)와, 조작 직선(X)을 따른 방향으로 뻗는 판 형상의 슬라이드체(13)와, 이 슬라이드체(13)의 돌출 단부에 형성된 1쌍의 피(被)가이드 돌기(14)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재(10)는, 맞닿음 돌기(12)의 외주를 따른 영역에 환 형상으로 되는 제1 스프링 수용 공간(1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부재(10)는, 일체적으로 노브(11)를 형성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외단부 측에 키 탑 등의 별도의 부재를 구비해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작동부재(20)는, 1쌍의 피가이드편(21)과, 스위치 조작편(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부재(20)에서는, 작동부재(20)에 대해서 환 형상으로 되는 제2 스프링 수용 공간(23)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0)은, 작동부재(20) 및 제2 스프링(52)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31)이 형성되는 동시에, 스위치 지지부(32)가 바깥쪽으로 뻗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하우징(30)에는, 조작부재(10)의 피가이드 돌기(14)가 끼워넣어지는 1쌍의 제1 가이드 홈(33)과, 작동부재(20)의 1쌍의 피가이드편(21)이 끼워넣어지는 1쌍의 제2 가이드 홈(34)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0)에는, 수용 공간(31) 중 작동부재(20)에 형성되는 캠 홈(55)을 따른 위치에 외벽면(35)이 형성되고, 이것에 인접하는 위치에 걸어맞춤부재로서의 훅 로드(56)의 기단부(56A)를 지지하는 기단 지지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스프링(51)은, 한쪽 단부를 제1 스프링 수용 공간(15)에 수용하고, 다른 쪽 단부의 일부를 하우징(30)에 삽입하는 형태로, 조작부재(10)와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어, 조작부재(10)를 하우징(30)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시킨다.
제2 스프링(52)은, 그 일부를 제2 스프링 수용 공간(23)에 수용하는 형태로, 작동부재(20)와 하우징(30) 사이에 배치되어, 작동부재(20)를 조작부재(10)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력을 작용시킨다.
[스위치부]
스위치부(40)는, 작동부재(20)의 스위치 조작편(22)에 지지되는 가동 접점(41)과, 이 가동 접점(41)이 접촉하는 고정 접점(42)과, 이 고정 접점(42)이 형성되는 기판(43)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43)은 스위치 지지부(32)에 지지된다.
가동 접점(41)은, 구리합금 등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양도체에 의해 3개의 접촉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3개의 가동 접점(41)은 판 형상부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지니고, 판 형상부에 형성된 3개의 연결 구멍부에 대해서, 스위치 조작편(22)에 형성된 3개의 핀부를 삽입 통과시킨 상태에서 코킹 가공을 행하는 등의 가공에 의해 스위치 조작편(22)에 지지되어 있다.
또, 고정 접점(42)은, 구리합금 등의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양도체로 형성되는 3열의 도통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 3열의 도통부 중 1열은, 3개의 접촉부 중 1개에 항상 접촉하도록 직선적으로 형성되어 전압 인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다른 2열의 도통부는 검지부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작동부재(20)의 위치에 대응해서 도통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스위치부(40)는, 조작부재(10)의 누름 조작에 의해, 작동부재(20)가 도 6에 나타낸 제1 조작위치(Pb)에 있을 경우에는, 전압 인가부와, 2열의 검지부(도통부)가 도통 상태로 된다. 또, 조작부재(10)가, 도 9에 나타낸 제2 조작위치(Pc)와 제3 조작위치(Pd)에 있을 경우에는, 전압 인가부와, 1열의 검지부(도통부)가 도통 상태로 된다. 또한, 조작부재(10)가, 도 5에 나타낸 초기 조작위치(Pa)(조작 중간 위치의 일례)에 있을 경우에는, 전압 인가부는 어느 검지부(도통부)도 도통시키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검지부로서 기능하는 2열의 도통부의 전위로부터 조작위치의 검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스위치부(40)의 구성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조작부재(10)가 제1 조작위치(Pb)에 있을 경우에, 검지부로서 기능하는 2열의 도통부의 전압이 접지 전압(제로 전압)으로 저하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이 스위치부(40)는, 하우징(30)에 1쌍의 리드 스위치를 구비하고, 작동부재(20)에 대해서 영구자석을 구비함으로써, 작동부재(20)의 조작위치를 검출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지기구]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기구(A)는, 작동부재(20)에 형성된 하트형의 캠 홈(55)과, 이것에 걸어맞춤단부(56B)가 걸어맞춤되는 훅 로드(56)(걸어맞춤부재의 일례)와, 이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걸어맞춤되도록 조작부재(10)에 형성된 조작 유지부(57)와, 제3 코일 스프링(5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하트형의 캠 홈(55)과 걸어맞춤부재로서의 훅 로드(56)는, 종래부터 하트형 캠 등으로 지칭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유지기구(A)는 하트형 캠의 구성과, 조작부재(10)의 슬라이드체(13)에 형성한 조작 유지부(5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훅 로드(56)는, 조작 직선(X)을 따라서 뻗는 로드재(즉, 봉재)의 일단부를 조작 직선(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기단부(56A)를 형성하고, 타단부를 조작 직선(X)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시켜 걸어맞춤단부(56B)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기단부(56A)가 하우징(30)의 기단 지지부(36)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기단부(56A)를 중심으로 해서 걸어맞춤단부(56B)가 요동 가능해진다. 또한, 이 걸어맞춤단부(56B)는 제3 코일 스프링(58)의 가압력에 의해 캠 홈(55)에 걸리게 되는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하우징(30)의 외벽면(35)에 대해서,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삽입 통과하는 제1 구멍부(35A)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벽면(35)에 겹치는 위치에 조작부재(10)의 슬라이드체(13)가 배치되고, 이 슬라이드체(13)에는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삽입 통과하는 제2 구멍부(16)가 형성되며, 이 제2 구멍부(16)의 개구 가장자리에 조작 유지부(57)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구멍부(16)는 걸어맞춤단부(56B)의 요동을 허용하는 주 개구부(16A)와, 조작부재(10)의 초기 조작위치(Pa)로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릿 형상의 가이드 개구부(16B)를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 개구부(16B)의 슬릿 폭은, 걸어맞춤단부(56B)의 직경보다 약간 넓고, 훅 로드(56)(걸어맞춤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2 구멍부(16)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도 4에 나타낸 방향에서 보아서 조작 직선(X)에 대해서 경사지는 자세(제1 경로(Rb)에 있어서 초기 위치(Ga)에 이어진 경사 경로부와 평행 자세)의 안내부(16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16G)는, 제1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부재(10)가 초기 조작위치(Pa)(조작 중간 위치)로 되돌아가는 작동 시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에 접촉하여, 걸어맞춤단부(56B)에 대해서 초기 위치(Ga)로 되돌리는 힘을 작용시키도록 경사 방향이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훅 로드(56)는, 그 기단부(56A)가 기단 지지부(36)에 대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걸어맞춤단부(56B)가 슬라이드체(13)의 제2 구멍부(16)와, 외벽면(35)의 제1 구멍부(35A)에 삽입 통과하는 상태에서 캠 홈(55)에 걸어맞춤된다.
캠 홈(55)은, 캠 홈(55)의 밑면에 단(段) 형상부와 경사면이 소정의 순서로 형성되고, 작동부재(20)의 작동에 따라,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홈(55)의 밑면에 추종하는 형태로 순환하도록 이동한다. 캠 홈(55)의 경로 중에는, 작동부재(20)가 작동 영역의 중간에 도달한 경우에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걸어맞춤되는 작동 유지부(55A)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도 4, 도 6, 도 8,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홈(55)은, 제1 경로(Rb)와 제2 경로(Rc)와 제3 경로(Rd)와 제4 경로(Re)에 의해서 하트형의 폐쇄된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경로(Rb)는, 조작부재(10)가 초기 조작위치(Pa)로부터 누름 조작되어, 이 조작부재(10)의 이동에 따라 작동부재(20)가 이동할 때에, 걸어맞춤단부(56B)가 초기 위치(Ga)로부터 제1 가이드 위치(Gb)로 이동하는 경로이다. 이 제1 경로(Rb)에서는 압압의 초기에는 초기 위치(Ga)에 있는 걸어맞춤단부(56B)를 조작 직선(X)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그 후에 조작 직선(X)과 평행한 방향으로 걸어맞춤단부(56B)를 이동시켜 제1 가이드 위치(Gb)로 안내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경로(Rc)는, 걸어맞춤단부(56B)가 제1 경로(Rb)의 이동 단부로 되는 제1 가이드 위치(Gb)에 도달한 상태에서 조작부재(10)의 압압력이 해제되어, 제2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부재(20)가 이동함에 따라 걸어맞춤단부(56B)를 작동 유지부(55A)로 이동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이동에 의해서 걸어맞춤단부(56B)는 제2 가이드 위치(Gc)에 유지된다.
제3 경로(Rd)는, 걸어맞춤단부(56B)가 제2 가이드 위치(Gc)(작동 유지부(55A))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재(10)가 누름 조작되어, 이 누름에 따라서 작동부재(20)가 이동한 경우에, 걸어맞춤단부(56B)를 작동 유지부(55A)로부터 이탈시켜, 제3 가이드 위치(Gd)로 이동시키는 경로이다. 또한, 제4 경로(Re)는, 걸어맞춤단부(56B)가 제3 경로(Rd)의 이동 단부로 되는 제3 가이드 위치(Gd)에 도달한 상태에서 조작부재(10)가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 작동부재(20)의 돌출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걸어맞춤단부(56B)를 초기 위치(Ga)로 이동시키도록 조작 직선(X)과 평행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부터, 하우징(30)의 수용 공간(31)에 작동부재(20)를 수용함으로써, 하우징(30)의 1쌍의 제2 가이드 홈(34)에 작동부재(20)의 피가이드편(21)이 끼워져, 작동부재(20)가 조작 직선(X)을 따라서 이동 가능해진다. 또한, 제1 가이드 홈(33)에 대해서 조작부재(10)의 피가이드 돌기(14)가 끼워져, 조작부재(10)가 조작 직선(X)을 따라서 이동 가능해진다.
[작동 형태]
이 푸쉬 스위치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초기 상태에서는, 조작 유지부(57)에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걸어맞춤되고, 조작부재(10)의 노브(11)는 조작부재(10)의 조작 영역의 중간의 초기 조작위치(Pa)에 유지된다. 또한, 이 초기 상태에서는, 캠 홈(55)의 초기 위치(Ga)에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걸어맞춤되므로, 제1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초기 조작위치(Pa)에 유지된다. 또한, 작동부재(20)는 제2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의해 초기 작동위치(Qa)(바깥쪽으로 가장 변위되는 위치)에 있다.
즉,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캠 홈(55)의 초기 위치(Ga)에 걸어맞춤되는 상태에서는,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한쪽(도 4에서는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위치에 있으므로, 이 걸어맞춤단부(56B)가 조작 유지부(57)에 걸어맞춤되어, 조작부재(10)를 초기 조작위치(Pa)에 유지하는 상태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다음에,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부재(10)의 노브(11)를 누름으로써,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제1 조작 상태로 이행된다. 이 제1 조작 상태에서는, 조작부재(10)의 맞닿음 돌기(12)가 작동부재(20)에 맞닿아서 압압력을 작용시키므로,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캠 홈(55)의 제1 경로(Rb)를 따라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단부(56B)는, 초기 위치(Ga)로부터 조작 직선(X)에 경사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 후에 조작 직선(X)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가이드 위치(Gb)에 도달하게 되며, 작동부재(20)는 제1 작동위치(Qb)(압압 측의 작동 단부의 일례·안쪽으로 가장 변위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작동부재(20)의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조작부재(10)의 제1 조작위치(Pb)의 위치가 결정된다. 제1 가이드 위치(Gb)는 초기 상태와 비교하면, 걸어맞춤단부(56B)는 다른 쪽(도 6에서 위쪽)으로 요동하여,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조작 유지부(57)로부터 이탈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이 제1 조작 상태는 노브(11)를 누르는 조작을 계속하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
다음에, 조작부재(10)의 노브(11)의 압압력을 해제함으로써 푸쉬 스위치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제2 조작 상태로 이행한다. 이 제2 조작 상태에서는,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조작 유지부(57)로부터 이미 이탈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부재(10)가 제2 조작위치(Pc)까지 이동한다. 또,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는, 제1 가이드 위치(Gb)로부터 제2 경로(Rc)를 따라서 이동하고, 제2 가이드 위치(Gc)에 도달하여 작동 유지부(55A)에 걸어맞춤되므로, 작동부재(20)는 제2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제2 작동위치(Qc)(작동 중간 위치의 일례)에 유지된다.
즉, 슬라이드체(13)의 제2 구멍부(16)의 가이드 개구부(16B)의 단부 내면의 맞닿음면(16Bt)에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맞닿는 위치까지 조작부재(10)가 돌출하고, 이 돌출 위치가 제2 조작위치(Pc)로 된다. 또한, 캠 홈(55)의 작동 유지부(55A)에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걸어맞춤됨으로써, 제2 가이드 위치(Gc)에 훅 로드(56)가 도달하고, 작동부재(20)가 제2 작동위치(Qc)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맞닿음면(16Bt)에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맞닿음으로써, 조작부재(10)의 돌출 위치가 제2 조작위치(Pc)로 결정된다. 또한, 걸어맞춤단부(56B)가 가이드 개구부(16B)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훅 로드(56)(걸어맞춤부재)의 요동이 규제되게 되고, 예를 들면, 외부로부터 진동 등의 부하가 작용하는 상황이라도 걸어맞춤단부(56B)가 요동하는 일은 없고, 이 걸어맞춤단부(56B)가 작동 유지부(55A)로부터 이탈되는 문제도 억제된다.
다음에, 제2 조작 상태로부터 조작부재(10)의 노브(11)를 누름으로써,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제3 조작 상태로 이행한다. 이 제3 조작 상태에서는, 조작부재(10)의 맞닿음 돌기(12)가 작동부재(20)에 맞닿아서 압압력을 작용시켜, 작동부재(20)의 작동에 따라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작동 유지부(55A)로부터 이탈되어, 제2 가이드 위치(Gc)로부터 제3 경로(Rd)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이 걸어맞춤단부(56B)는 제3 가이드 위치(Gd)에 도달하고, 작동부재(20)는 제3 작동위치(Qd)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작동부재(20)의 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조작부재(10)의 제3 조작위치(Pd)도 결정된다. 이 제3 조작 상태는, 노브(11)를 누르는 조작을 계속하는 것에 의해 유지되고,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는, 한쪽(도 10에서는 아래쪽)으로 변위되므로, 조작 유지부(57)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 도달한다.
다음에, 조작부재(10)의 노브(11)를 누르는 조작력을 해제한 경우에는, 제1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부재(10)가 돌출방향으로 작동하고, 이 작동 시에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제3 가이드 위치(Gd)로부터 제4 경로(Re)를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이 걸어맞춤단부(56B)는 조작 유지부(57)에 걸어맞춤되고, 조작부재(10)는 초기 조작위치(Pa)에 유지된다. 또한, 제2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부재(20)는 초기 작동위치(Qa)까지 변위된다. 이 상태가 앞서 설명한 초기 상태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 스위치는, 조작부재(10)를 반복해서 누름 조작함으로써, 조작부재(10)가 초기 조작위치(Pa)와, 제1 조작위치(Pb)와, 제2 조작위치(Pc)와, 제3 조작위치(Pd)로, 이 순서로 변화된다. 이것에 연계해서 작동부재(20)는, 초기 작동위치(Qa)와, 제1 작동위치(Qb)와, 제2 작동위치(Qc)와, 제3 작동위치(Qd)로 순차 변화되는 것이다.
이 푸쉬 스위치는, 예를 들면, 가스 조리기 등에 있어서 가스의 공급, 점화, 소화를 일련의 조작으로 실현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가스의 급배(給排)를 제어하는 전자밸브 등과, 가스를 점화하는 점화 기구 등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대해서 스위치부(40)의 3열의 도통부의 전위를 검지하는 신호계를 제어장치에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푸쉬 스위치가 초기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조작부재(10)가 조작 영역의 중간에 유지된 상태에 있어, 사용자는, 조작부재(10)의 노브(11)의 위치로부터 가스의 공급이 차단된 소화 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 초기 상태로부터 조작부재(10)의 노브(11)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제1 조작 상태에 도달한 경우에는, 가스를 공급하는 동시에 점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 점화 후에,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을 해제한 경우에는 제2 조작 상태로 이행하여, 점화를 위한 제어를 정지한 상태에서 가스의 계속적인 공급이 가능해진다. 이 상태에서는, 조작부재(10)가 가장 돌출한 상태에 있어, 사용자는, 가스 조리 기구에 있어서 가스가 연소하고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다음에, 재차 조작부재(10)의 노브(11)를 누름으로써, 제3 조작 상태에 도달하여, 작동부재(20)의 유지가 해제되고, 이 누름 조작을 해제함으로써, 초기 상태로 이행하여, 가스의 소화가 실현한다. 이와 같이 초기 상태에 도달한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부재(10)의 돌출량은 제한되어, 사용자는 가스가 소화 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푸쉬 스위치에서는, 조작부재(10)의 노브(11)의 누름 조작을 반복해서 행함으로써, 가스 조리기 등의 제어를 용이하게 행하고, 초기 상태와 제2 조작 상태에서는 조작부재(10)의 돌출량이 다르기 때문에, 그 돌출량으로부터 스위치부(40)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져, 오조작을 회피하여 양호한 사용 편리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노브의 부적절한 조작에 대처하는 구성]
이 푸쉬 스위치에서는, 예를 들면, 걸어맞춤단부(56B)가 작동 유지부(55A)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조작부재(10)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훅 로드(56)의 걸어맞춤단부(56B)가 제1 경로(Rb)를 역행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걸어맞춤단부(56B)를 조작 유지부(57)에 걸어맞춤되는 위치로 복귀시킬 수 없어, 복귀 불량으로 되는 것도 상상할 수 있었다.
이러한 걸어맞춤단부(56B)의 역행은, 조작하는 자의 부적절한 조작을 원인으로 하지만, 캠 홈(55)의 밑면의 단 형상부의 단차가 비교적 작아 걸어맞춤단부(56B)가 단 형상부로부터 이탈하기 쉬운 것도 원인으로서 고려된다. 즉, 노브(11)(조작부재(10))의 압압조작에 의해 걸어맞춤단부(56B)가 캠 홈(55)의 제1 가이드 위치(Gb)에 도달하고 있어도, 노브(11)를 누르는 힘을 갑자기 해제한 경우와 같이 작동부재(20)가 고속으로 돌출 작동할 경우에는, 걸어맞춤단부(56B)가 단차부를 뛰어넘는 현상을 초래하고, 이것에 의해서도 복귀 불량을 초래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제2 구멍부(16)의 내부 가장자리에는, 조작 직선(X)에 대해서 경사지는 자세의 안내부(16G)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부(16G)는, 제1 경로(Rb) 중 조작 직선(X)에 대해서 경사지는 부위와 평행 자세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걸어맞춤단부(56B)가 작동 유지부(55A)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조작부재(10)의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와 같이, 걸어맞춤단부(56B)가 캠 홈(55)의 제1 경로(Rb)를 역행할 때에는, 안내부(16G)가 걸어맞춤단부(56B)에 접촉하여, 이 걸어맞춤단부(56B)를 조작 유지부(57)에 안내하는 작동을 확실하게 한다.
즉, 조작부재(10)의 노브(11)의 누름 조작이 도중에 해제된 경우에는, 제2 스프링(52)의 가압력에 의해 작동부재(20)가 돌출방향으로 작동하므로, 걸어맞춤단부(56B)가 캠 홈(55)의 제1 경로(Rb)에 있어서 역행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조작부재(10)의 노브(11)의 누름 조작이 도중에 해제된 경우에는, 제1 스프링(51)의 가압력에 의해 조작부재(10)가 초기 조작위치(Pa)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작동하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구멍부(16)의 안내부(16G)가 걸어맞춤단부(56B)에 접촉한다.
이 안내부(16G)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 직선(X)에 대해서 경사지는 자세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안내부(16G)가 걸어맞춤단부(56B)에 접촉함으로써, 걸어맞춤단부(56B)에 대해서 조작 유지부(57)로 이동하는 방향으로의 분력을 작용시킨다. 이와 같이 안내부(16G)로부터 분력이 작용하는 결과, 훅 로드(56)는, 기단부(56A)를 중심으로 해서 요동하고, 캠 홈(55)의 초기 위치(Ga)에 도달함과 동시에, 조작 유지부(57)에 걸어맞춤되는 것이 양호하게 행해져 복귀 불량에 빠져드는 일이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조작부재를 누름 조작하는 형태의 푸쉬 스위치에 이용할 수 있다.
10: 조작부재 13: 슬라이드체
16: 제2 구멍부 16B: 가이드 개구부
16Bt: 맞닿음면 16G: 안내부
20: 작동부재 30: 하우징
31: 수용 공간 35: 외벽면
35A: 제1 구멍부 40: 스위치부
41: 가동 접점 42: 고정 접점
51: 제1 가압기구(제1 스프링) 52: 제2 가압기구(제2 스프링)
55: 캠 홈 55A: 작동 유지부
56: 걸어맞춤부재(훅 로드) 56B: 걸어맞춤단부
57: 조작 유지부 A: 유지기구
Ga: 초기 위치 X: 조작 직선
Pa: 초기 조작위치(조작 중간 위치) Rb: 제1 경로
Rc: 제2 경로 Qc: 작동 중간 위치(제2 작동위치)

Claims (6)

  1. 인위 조작에 의해 조작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조작부재와, 상기 조작부재로부터의 압압력에 의해 상기 조작 직선을 따라서 이동하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위치에 대응하는 도통 상태가 되는 스위치부와, 이들을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1 가압기구와,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조작부재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시키는 제2 가압기구와, 상기 조작부재를 조작 영역의 중간의 조작 중간 위치에 유지 가능하고, 또한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 영역의 중간의 작동 중간 위치에 유지 가능한 유지기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지기구는, 상기 작동부재에 형성된 하트형의 캠 홈과, 기단부(基端部)가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고,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캠 홈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작동부재의 왕복 작동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캠 홈을 따라서 이동하는 걸어맞춤부재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걸어맞춤됨으로써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작동 중간 위치에 유지하는 작동 유지부를 상기 캠 홈의 경로 중에 형성하고,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작동 유지부로부터 벗어난 위치로 요동된 상태에서, 해당 걸어맞춤단부가 걸어맞춤됨으로써 상기 조작부재를 상기 조작 중간 위치에 유지하는 조작 유지부를 상기 조작부재에 형성해서 구성되어 있는 것인 푸쉬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압압 측의 작동 단부에 도달하고, 그 후에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작동 유지부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상기 제2 가압기구에 의한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작동 중간 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조작부재의 다음의 누름 조작에 의한 상기 작동부재의 작동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작동 유지부로부터 요동에 의해 이탈되고, 그 후에 누름 조작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조작 유지부에 걸어맞춤됨으로써, 상기 제1 가압기구에 가압력에 저항해서 조작부재가 상기 조작 중간 위치에 유지되는 것인 푸쉬 스위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작동부재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지니고, 이 수용 공간 중 상기 작동부재의 상기 캠 홈을 따르는 위치에 외벽면에 대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제1 구멍부가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재에 형성된 슬라이드체가, 상기 외벽면의 외측에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 슬라이드체에 대해서,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걸어맞춤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제2 구멍부가 형성되며, 이 제2 구멍부의 내주에 상기 조작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인 푸쉬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 홈은, 상기 조작 유지부에 대응하는 초기 위치에 있는 상기 걸어맞춤단부를, 상기 조작부재의 압압력에 의한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조작 직선에 경사진 경사 경로부를 따라서 이동시키는 제1 경로와,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제1 경로의 이동 단부에 도달한 상태에서 압압력이 해제된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단부를 상기 제2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한 상기 작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작동 유지부로 이동시키는 제2 경로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작동 유지부로 이동가능한 위치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조작부재의 압압력이 해제되어, 상기 제2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가 돌출방향으로 작동하고,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제1 경로의 상기 경사 경로부를 이동할 경우에, 상기 제1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가 상기 조작 중간 위치로 되돌아가는 작동에 따라 상기 걸어맞춤단부에 접촉하며, 이 접촉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단부에 대해서 상기 초기 위치의 방향을 향하는 힘을 작용시키는 안내부가 상기 제2 구멍부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푸쉬 스위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상기 작동 유지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위치에 도달한 후에, 상기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이 해제되고, 상기 제1 가압기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조작부재가 돌출방향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걸어맞춤단부의 상기 조작부재에 대한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슬릿 형상의 가이드 개구부가 상기 제2 구멍부에 구비되는 동시에, 해당 가이드 개구부의 연장 측의 단부 내면에 상기 걸어맞춤단부가 맞닿아 상기 조작부재의 돌출방향의 한계위치를 결정하는 맞닿음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개구부의 개구 폭이 상기 걸어맞춤부재의 요동을 규제하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인 푸쉬 스위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작동부재와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가동 접점과, 상기 하우징에 지지되어 상기 가동 접점에 접촉하는 고정 접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푸쉬 스위치.
KR1020150033937A 2014-04-21 2015-03-11 푸쉬 스위치 KR1022018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7285 2014-04-21
JP2014087285 2014-04-21
JP2014167704A JP6278866B2 (ja) 2014-04-21 2014-08-20 プッシュスイッチ
JPJP-P-2014-167704 2014-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1653A true KR20150121653A (ko) 2015-10-29
KR102201854B1 KR102201854B1 (ko) 2021-01-11

Family

ID=5475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937A KR102201854B1 (ko) 2014-04-21 2015-03-11 푸쉬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278866B2 (ko)
KR (1) KR102201854B1 (ko)
TW (1) TWI6335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8885B2 (ja) * 2018-03-26 2020-06-10 株式会社ニックス 操作機構及び操作機構の製造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8018A (ja) * 1986-02-25 1987-09-01 松下電工株式会社 セルフロツク式スイツチ
JPS63191525U (ko) * 1987-05-29 1988-12-09
JPH09161600A (ja) * 1995-11-30 1997-06-20 Yazaki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4273199A (ja) * 2003-03-06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03201A (ja) 2005-10-05 2007-04-19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7323829A (ja) 2006-05-30 2007-12-13 Hosiden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9639B2 (ja) * 2012-01-11 2015-08-26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ライドスイッチ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98018A (ja) * 1986-02-25 1987-09-01 松下電工株式会社 セルフロツク式スイツチ
JPS63191525U (ko) * 1987-05-29 1988-12-09
JPH09161600A (ja) * 1995-11-30 1997-06-20 Yazaki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4273199A (ja) * 2003-03-06 2004-09-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7103201A (ja) 2005-10-05 2007-04-19 Alps Electric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7323829A (ja) 2006-05-30 2007-12-13 Hosiden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33567B (zh) 2018-08-21
KR102201854B1 (ko) 2021-01-11
TW201606829A (zh) 2016-02-16
JP2015216093A (ja) 2015-12-03
JP6278866B2 (ja)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3047B1 (en) Slide switch
DE502006007044D1 (de) Bedienelement mit zentralem taster
CN108138935A (zh) 具有无噪声制动点火变速器换档互锁换档杆控制装置的换档装置
KR20150121653A (ko) 푸쉬 스위치
TW201009873A (en) Switching apparatus with tripping device
AU2018204641B2 (en) Push-button switch
JP3898193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6605793B2 (en) Slide actuated switch
AU2018204743B2 (en) Push button switch
JP2013098059A (ja) リセット機能付スイッチ
US9640338B2 (en) Press operation apparatus
WO1995015000A1 (en) Multiple position manual switch
CN105023785B (zh) 按压开关
JP2016219219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A2493657A1 (en) Switch actuator assembly
JP4619196B2 (ja) 押圧スイッチ付き摺動式電子部品
TW202345184A (zh) 啟動開關
JP2009193790A (ja) 操作スイッチ
JP2003272476A (ja) スイッチ装置
JP2020053328A (ja) イネーブルスイッチ
JP2008112688A (ja) 電気機器スイッチ装置
JP2010170929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1006492A (ja) スイッチ
JP2018037362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8198368A (ja) 車両の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用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