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956A - Rfid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 검출 - Google Patents

Rfid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 검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956A
KR20150120956A KR1020157020228A KR20157020228A KR20150120956A KR 20150120956 A KR20150120956 A KR 20150120956A KR 1020157020228 A KR1020157020228 A KR 1020157020228A KR 20157020228 A KR20157020228 A KR 20157020228A KR 20150120956 A KR20150120956 A KR 20150120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way
rfid
rfid transponder
antenna
transpo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베 캐너
보이드 미킬리칸
카메론 프레이저
Original Assignee
탈레스 캐나다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탈레스 캐나다 아이엔씨 filed Critical 탈레스 캐나다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50120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9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00Devices along the route controlled by interaction with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pedals
    • B61L1/16Devices for counting axles; Devices for counting vehicles
    • B61L1/163Detection devices
    • B61L1/165Elect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vehicle trains
    • B61L25/04Indicating or recording train identities
    • B61L25/048Indicating or recording train identities using programmable t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3/00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to release brake, to operate a warning signal
    • B61L3/0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to release brake,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 B61L3/08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to release brake,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 B61L3/12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to release brake,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using magnetic or electrostatic induction; using radio waves
    • B61L3/125Devices along the route for controlling devices on the vehicle or vehicle train, e.g. to release brake, to operate a warning signal at selected places along the route, e.g. intermittent control simultaneous mechanical and electrical control controlling electrically using magnetic or electrostatic induction; using radio waves using short-range radio transmission

Abstract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사용이 개시되며, 여기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은 가이드웨이의 경로를 따르도록 구성되고, 앞서의 장치는 무선 주파수 식별(RFID) 시스템을 포함한다. RFID 시스템은 경로를 가로질러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RFID 트랜스폰더를 포함한다. RFID 판독기는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를 포함한다.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는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RFID 판독기는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된다.

Description

RFID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 검출{GUIDEWAY-GUIDED VEHICLE DETECTION BASED ON RFID SYSTEM}
독립된 검출 시스템을 통해 열차를 검출하는 경우 차축 카운터(axle counters) 및/또는 궤도 회로(track circuits)가 사용된다. 궤도 회로 및 차축 카운터에 의한 검출은 철제 레일 상의 철제 차륜을 구비한 열차의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원리에 기반을 두고 있다. 궤도 회로는 철제 레일을 통해 전해지는 전압이 궤도 릴레이(track relay)에 에너지를 공급할 때 동작한다. 궤도 회로는 릴레이로부터 나온 레일 전압이 열차 축들에 의해 단락될 때(이로 인해 릴레이는 떨어지게 되고, 가이드웨이의 점유된 섹션이 표시됨) 열차를 검출한다. 차축 카운터는 점유된 블록 섹션에 들어오는 개개의 차륜 축들을 카운팅하는 검출 헤드에 의해 차륜 플랜지(wheel flange)가 지나가는 것을 검출한다. 열차가 철제 레일 계면에 대해 철제 차륜을 갖지 못하는 그러한 열차 시스템에 있어서(고무 타이어 시스템, 모노레일(monorails), 자기부상차량(Maglev), 등), 궤도 회로 및 차축 카운터와 같은 종래의 열차 검출 시스템은 신뢰할 수 없거나, 혹은 심지어 그 적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
궤도 회로 및 차축 카운터에 대한 대안으로서, 열차 장착 트랜스폰더(train mounted transponder)의 식별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열차가 지나가는 것을 식별하기 위해 때때로 열차 장착 RFID 트랜스폰더 및 경로변 판독기(wayside reader)가 사용된다. 경로변 판독기는 가이드웨이(guideway) 상의 열차의 움직임을 결정하기 위해 그 통과하는 트랜스폰더의 메시지를 평가한다.
열차가 철제 레일 계면에 대해 철제 차륜을 갖지 못하는 그러한 열차 시스템에 있어서(예를 들어, 고무 타이어 시스템, 모노레일, 자기부상차량, 등), 궤도 회로 및 차축 카운터와 같은 종래의 열차 검출 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은 어렵거나 불가능하다.
기존 시스템(궤도 회로 및 차축 카운터)의 단점은 이들이 검출을 제공하기 위해서 레일에 연결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이들이 레일에 유도되는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의 영향을 쉽게 받게 한다. 특히, 신뢰할 수 없는 동작을 야기할 수 있는 낙뢰(lightning strike)로 인한 손상의 위험, 그리고 전기적으로 결합된 장비에 레일을 따라 전파되는 에너지의 서지 전파(surge propagation)로 인한 다운스트림 장비 손상의 위험이 존재한다.
열차 상에 장착된 트랜스폰더 및 경로변 판독기의 검출에 기반을 둔 시스템이 갖는 단점은, 이러한 판독기 혹은 트랜스폰더의 고장이 잠복하고 있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특별한 예방조치가 적절한 위치에서 취해지지 않는다면) 이러한 고장을 검출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점, 이에 따라 시스템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고장발생시 안전하지 않다는 점)이다.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아울러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첨부 도면들은 몇 가지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있으며 본 명세서의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2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일부 실시예들의 프로세스 흐름도를 예시한다.
도 3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4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위에서 본 도면이다.
도 6은 제어기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일측 단면도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될 것이고, 첨부되는 도면에서 그 사례들이 예시된다. 어느 도면에서건 가능한 경우, 동일한 부분 혹은 유사한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될 것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도 1을 참조하여 예시가능하며, 도 1은 차폐 요소(masking component)를 가지며 가이드웨이를 따라 인도(guide)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guideway-guided vehicle)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가이드웨이(100)는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시스템(120)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요소들을 분리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100)는 RFID 시스템(120)의 구성요소들을 분리시키지 않는다.
가이드웨이(100)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미도시)의 경로를 정의한다. 단일 가이드웨이가 제시되고 있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둘 이상의 가이드웨이들(100)이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운송을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는 레일(rail) 혹은 그루브(groove)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100)는 하중 지지체(load bearing)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는 철 혹은 강철을 포함하거나, 자기부상차량 또는 다른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을 지지하는데 적합한 물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100)는 35 내지 80 킬로그램/미터(kg/m)의 범위, 혹은 40 내지 60 kg/m의 범위, 혹은 55 내지 70 kg/m의 범위로 분류되는 가이드웨이 분류체계(무게)를 갖는다.
RFID 시스템(120)은 제 1 안테나(160)를 갖는 판독기(140)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판독기(140)는 제 1 안테나(160)와 연결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판독기(140)는 제 1 안테나(160)와 통신하고 있다.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경로를 가로질러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고,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는 제 1 안테나(160)에 의해 수신가능하다. 적절한 RFID 시스템들(120) 및 이들의 구성 부분들이 다양한 판매자들로부터 입수가능하다.
RFID 트랜스폰더(180)는 수동형 RFID 트랜스폰더, 능동형 RFID 트랜스폰더, 및 배터리 지원 수동형 RFID 트랜스폰더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트랜스폰더(180)는 제 1 안테나(160)에 의해 전송되는 전자기 에너지(예를 들어, 질문 신호(interrogating signal))를 자신의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예를 들어,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의 아이덴티티(identity)를 인증하기 위해 코드(code)화된 정보 혹은 개개의 일련 번호와 같은 것)를 전송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어떤 RFID 트랜스폰더들은 개개의 일련 번호들 혹은 다른 인증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RFID 시스템(120)은 RFID 판독기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는 수 개의 RFID 트랜스폰더들 간을 구분하며,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그리고/또는 연속해서 이들을 판독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는 질문기 신호(interrogator signal) 중 일부 혹은 모두의 에코(echo); RFID 트랜스폰더(180)에 기입된 데이터; 그리고/또는 제품 종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판독기(140), 제 1 안테나(160), 및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120 kHz 내지 10 GHz 범위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이러한 범위는 120 내지 150 kHz이거나, 혹은 865 내지 868 MHz이거나, 혹은 902 내지 928 MHz이거나, 혹은 2450 내지 5800 MHz이거나, 혹은 3.1 내지 10 GHz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판독기(140), 제 1 안테나(160), 및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대략 중심 주파수가 약 13.56 MHz 또는 433 MHz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한다.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는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약 0.1 내지 200 미터(m) 범위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이러한 거리는 0.1 내지 2 m의 범위이거나, 혹은 1 내지 2 m의 범위이거나, 혹은 2 내지 10 m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웨이들(100)의 양측에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 간의 연결 경로는 가이드웨이(100) 위에 수직으로 경사져 있거나, 혹은 가이드웨이(100)와 직교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가이드웨이 구조와 관련되어 있거나 가이드웨이 구조에 가까이 근접해 있는 구조 상에 혹은 내에 독립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가이드웨이(반드시 하중 지지 가이드웨이일 필요는 없음), 침목(sleeper)(레일로드 타이(railroad ties)); 밸러스트(ballast)와 관련된 장착 구조 혹은 세스(cess)와 관련된 장착 구조 상에 독립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밸러스트 혹은 세스와 관련된 장착 구조는 밸러스트 및/또는 세스 내에 매립(embed)된다. 이러한 장착 구조들은, 월(walls), 폴(poles), 독립형 구조(free-standing structures), 및 컨테이너(containers)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월, 폴, 독립형 구조, 혹은 컨테이너 내에 매립된다. "고정된(fixed)" RFID 트랜스폰더들 및/또는 안테나들은, 예를 들어,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가 안테나(160) 부근에서 일시적으로 정지 혹은 주차된 가이드웨이 가이딩 차량 상에 혹은 내에 고정되는 그러한 실시예들을 배제한다.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이들 사이를 지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경로에 평행한 혹은 경로를 따르거나 경로와 평행한 수평 평면에서 분리되어 있는데, 즉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와 나란히 있게 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는 경로에 수직인 평면에서 분리되는데, 즉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 위에 그리고/또는 아래에 있게 되도록 구성된다.
동작이 시작되면, RFID 판독기(140)는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모니터링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의 부존재를 검출할 수 있는바, 이것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반면,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데, 이것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 존재함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는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지니고 있는 신호를 반사 및/또는 산란 및/또는 흡수하기에 충분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는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지니고 있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 1 안테나(160)의 능력을 방해하기에 충분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하중-지지 부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하중 지지 부분이 아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은 기관차(locomotives), 레일로드 차량(railroad cars), 레일 차량(rail cars), 객차(coaches), 및 보우기차(bogies)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폐 요소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하부 객차(under carriages), 측벽(sidewalls), 차륜(wheels), 혹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 상의 플랩(flaps)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120)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이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 사이를 지나가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은 둘 이상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그룹 중 일부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그룹의 모든 멤버들은 차폐 요소를 갖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그룹 중 둘 이상의 멤버들이 차폐 요소를 갖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그룹 중 첫 번째 멤버와 마지막 멤버가 차폐 요소를 갖거나, 혹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m 멤버 그룹의 매 n번째 멤버가 차폐 요소를 갖는다(여기서, n=2, 3, ... 등이고, m ≥2 x n). 이러한 경우에, 그룹의 전체 길이는 차폐 요소들을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빈도 혹은 패턴에 대한 지식으로부터 결정가능하다. 이처럼,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120)은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 사이를 지나가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규모에 관한 추가 지식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의해 점유되는 가이드웨이(100)의 길이의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처럼,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120)은 가이드웨이(100) 상의 하나 이상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점유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120)은 둘 이상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이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 사이를 지나가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사용 중인 장치가 도 2를 참조하여 예시가능한데, 도 2는 사용 중인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의 프로세스 흐름도를 나타낸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RFID 시스템은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지니고 있는 신호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한다(210). 이러한 모니터링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의 부존재를 검출할 수 있는데, 이것은 해당 위치가 점유되지 않은 것을 표시하는데, 즉,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한다.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지니고 있는 신호는 결국에는 차폐된다(220). 이때,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 그리고 선택에 따라서는 시간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230). 전형적으로, 임의의 차폐된 신호는 해당 위치가 점유된 것을 표시하는데(230), 즉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제 1 안테나(1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 존재함을 표시한다.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지니고 있는 신호는 결국에는 리턴(return)된다(240). 이때,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 그리고 선택에 따라서는 시간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250). 이후 RFID 시스템은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지니고 있는 신호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고, 이것은 시스템 상태가 작동 중임을 표시하는데, 이러한 상태는 선택에 따라서는 기록가능하다(260).
선택에 따라서, 시스템은 신호가 차폐될 때(220)와 신호가 리턴될 때(240) 간의 기간이 과도하게 지연되는 것에 응답하도록 구성된다(270). 예를 들어, 만약 신호 리턴(240)이 예기치 못한 기간(이것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1 내지 120 초의 범위에 있거나, 혹은 10 내지 30 초의 범위에 있거나, 혹은 차폐 요소가 해당 위치를 지나가는데 소요될 시간보다 훨씬 더 긴 어떤 다른 기간임) 동안 지연된다면, 선택에 따라서는 시스템 상태 에러(error)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하다(280).
둘 이상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 간의 거리 및 시간에 대한 지식을 가짐으로써 속력과 같은 운동 파라미터(kinetic parameter)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120)은 둘 이상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이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 사이를 지나갈 때 이들 간의 기간에 근거하여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 사이를 지나가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속력을 추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120)은 프로세서(미도시)에 정보를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은 무선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은 유선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는 구역 제어기(zone controller)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는,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이 부존재하는 것;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이 존재하는 것;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이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 사이를 지나가는 시간; 일정 기간 동안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 사이를 지나가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수; 일정 기간 동안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 사이를 지나가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관한 (속력 등을 포함하는) 운동 정보; 일정 기간 동안 제 1 RFID 트랜스폰더(180)와 제 1 안테나(160) 사이를 지나가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가이드웨이(100) 상의 점유, 그리고 시스템 상태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110)은 추가적인 RFID 트랜스폰더, 그리고 선택에 따라서는 추가적인 안테나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획득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도 3을 참조하여 예시가능하며, 도 3은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가이드웨이(300)는 RFID 시스템(320)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분리시킨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들(300, 310)은 RFID 시스템(320)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분리시킨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들(300, 310)은 예컨대, 안테나-트랜스폰더 쌍의 수직 구성에서와 같이 RFID 시스템(320)을 분리시키지 않는다.
도 3에서, RFID 시스템(320)은 RFID 판독기(340),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360), 그리고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370)를 포함한다. RFID 시스템(320)은 경로를 가로질러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RFID 시스템(320)은 경로를 가로질러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를 더 포함한다.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와 제 1 안테나(360)는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와 제 2 안테나(370)는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RFID 판독기(340)는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로부터의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와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로부터의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모두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와 제 1 안테나(360)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고,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와 제 2 안테나(370)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된다.
추가적인 안테나-트랜스폰더 쌍을 통해 최초 고장 발생시 보호장치(safeguard)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추가적인 안테나-트랜스폰더 쌍은 제 1 안테나-트랜스폰더 쌍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의 존재 혹은 부존재가 검출될 수 있게 하고, 이것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제 1 안테나(3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 및/또는 제 2 안테나(370)와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 존재하는 것 혹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표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는 경로를 따라 혹은 경로와 평행하게 일정 거리만큼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로부터 떨어져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는 제 1 안테나(3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는 존재하지만 제 2 안테나(370)와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게 되며,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는 경로를 따라 혹은 경로와 평행하게 적어도 1 미터의 거리만큼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로부터 떨어져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거리는 1 내지 30 m의 범위이거나, 혹은 2 내지 20 m의 범위이거나, 혹은 10 내지 15 m의 범위이거나, 혹은 3 내지 5 m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RFID 시스템(320)은 제 1 안테나(360)를 통한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와 제 2 안테나(380)를 통한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 간의 모니터링이 번갈아가며 일어나도록 구성된 스위치(350)를 더 포함한다. 번갈아가며 일어나는 이러한 교번 동작에도 불구하고, 모니터링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일어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안테나(360)를 통한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와 제 2 안테나(370)를 통한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 간의 모니터링은 대칭적 기간에서 번갈아가며 일어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안테나(360)를 통한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와 제 2 안테나(370)를 통한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 간의 모니터링은 비대칭적 기간에서 번갈아가며 일어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스위칭 기간은 임의적(random)이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RF 스위치와 제 1 안테나 및 제 2 안테나를 통해 제 1 트랜스폰더와 제 2 트랜스폰더를 연속적으로 번갈아가며 판독함으로써, 시스템의 건강 상태가 연속적으로 검증되고, 잠복하고 있는 고장이 검출된다. 이처럼 본 장치는 안전 무결성 등급(Safety Integrity Level, SIL) 4를 달성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시스템의 어떠한 잠복하고 있는 고장도 검출되지 않은 채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다. SIL 4는,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국제 전기기술 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의 표준 IEC 61508에 기반을 두고 있다. SIL 레벨 4는 시간당 고장 발생 확률이 10-8 내지 10-9의 범위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320)은 스위치(350)를 제어하여 소정의 교번 패턴(alternation pattern)에 따라 제 1 안테나(360)와 제 2 안테나(370)의 모니터링 간에 교번 동작이 일어나게 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정의 교번 패턴은 라운드 로빈 스케쥴링 패턴(round robin scheduling pattern)에 따라 안테나들의 모니터링을 할당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정의 교번 패턴은 무작위 분포 스케쥴링 패턴(random distribution scheduling pattern)에 따라 안테나의 모니터링을 할당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소정의 교번 패턴은 하나의 안테나가 또 하나의 다른 안테나보다 더 빈번하게 모니터링되는 불평형 분포 패턴(unbalanced distribution pattern)에 따라 안테나의 모니터링을 할당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더 많은 안테나들이 RFID 시스템(320)과 함께 사용되며, 그 사용되는 안테나들에는 소정의 교번 패턴이 적용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더 많은 안테나들이 RFID 시스템(320)과 함께 사용되며, 그 사용되는 안테나들의 서브세트에는 소정의 교번 패턴이 적용된다. 적어도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350)는 임의의 주어진 패턴 "A, B, B, A, B, A, A, B, A, B, B, A ..."(여기서, A는 제 1 안테나(360)를 모니터링하는 기간에 대응하고, B는 제 2 안테나(370)를 모니터링하는 기간에 대응함)에 따라 제 1 안테나(360)와 제 2 안테나(370)의 모니터링 간에 교번 동작이 일어나게 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트랜스폰더-안테나 쌍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된 방식으로 동작한다. 도 2를 참조하는 경우, 만약 "1"이 (차폐되지 않은) 임의의 신호를 표시하고, "0"이 임의의 차폐된 신호를 표시한다면, 제 1 트랜스폰더-안테나 쌍("T1")과 제 2 트랜스폰더-안테나 쌍("T2")에 대해 4가지 가능한 상태가 존재한다.
테이블 1. 트랜스폰더 상태
T1 T2
1 1 차폐 요소가 T1-T2의 위치에서 부존재함을 표시함
0 1 T1에서는 존재, T2에서는 부존재함
1 0 T1에서는 부존재, T2에서는 존재함
0 0 T1-T2에서 존재,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능, 하지만 이것은 허용되지 않음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더 많은 트랜스폰더-안테나 쌍들이 가능하다.
적어도 임의의 주어진 실시예에서, (도 3의 스위치(350)에서와 같이) 단일 RF 스위치의 사용은 시스템의 자동안전화(fail safe) 혹은 활성화(vitality)를 결정하기 위한 자체 점검 메커니즘(self checking mechanism)과 관련된 기능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주어진 실시예에 따르면, RFID 판독기(340)는 모니터링의 소정 교번 패턴에 따라 RF 스위치(350)를 통해 그 대응하는 안테나(360, 370)로부터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한다. RF 스위치(350)는 제 1 안테나(360)와 제 2 안테나(370)를 연속적으로 교번하여 모니터링하는 것이 번갈아가며 일어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RFID 판독기(340)에 의해 수신되는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는 RF 스위치(350)에 의해 수행되는 마지막 모니터링 교번 동작에서보다 더 오래되지 않게 된다. RFID 판독기(340)는 모니터링되는 안테나에 관해 스위치(350)로부터 오래된(즉, 마지막 수신 정보 혹은 데이터보다 더 오래된) 정보 혹은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수신된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는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의 발생 및/또는 전송과 관련된 시간 및/또는 날짜를 표시하는 시간 및/또는 날짜 스탬프 정보를 포함한다.
주어진 실시예에 따르면, RFID 시스템(320)은 모니터링의 소정 교번 패턴으로 인해 스위치(350)로부터 가변의 수신된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본 장치의 자동 안전화 동작을 검증할 수 있다. 즉, 스위치(350)는 제 1 안테나(360)와 제 1 트랜스폰더(380) 그리고 제 2 안테나(370)와 제 2 트랜스폰더(370)의 모니터링이 번갈아가며 일어나게 하기 때문에, 스위치(350)로부터 RFID 판독기(340)로 전송되는 데이터는 모니터링의 교번 동작에 따라 변한다. 만약 RFID 판독기(340)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가 변하지 않는다면, RFID 시스템(320)은,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고장이 발생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주어진 실시예에 대해 계속 설명하면, 도면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가이드웨이(300) 상에서 움직이는 차량은 먼저 제 1 트랜스폰더(380)와 쌍을 이루는 제 1 안테나(360)와 만나게 되고, 차량의 차폐 요소는 쌍을 이루는 제 1 트랜스폰더(380)와 제 1 안테나(360) 간의 경로를 방해하여 스위치(350)가 제 1 안테나(360)로부터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제 2 안테나(370)와 제 2 트랜스폰더(390) 간의 경로는 차량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으며, 스위치(350)가 제 2 안테나(370)를 모니터링하는 기간 동안 스위치(350)는 제 2 안테나(370)로부터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안테나(360)와 제 1 트랜스폰더(380) 간의 경로가 방해를 받는) 이러한 기간 동안, 시스템(320)은 제 2 안테나(37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고, 그리고 제 1 안테나(360)가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이것은 제 1 안테나(360)의 고장을 표시하거나 혹은 제 1 안테나와 제 1 트랜스폰더 간의 경로를 방해하는 차량이 가이드웨이(300) 상에 있음을 표시함). 제 1 안테나(360)와 제 1 트랜스폰더(380) 간의 경로를 방해하는 차량이 이곳을 넘어 진행한 이후에, 스위치(350)는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것은 제 1 안테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표시한다.
차량이 가이드웨이(300)를 더 진행(도면의 더 위쪽으로 진행)한 이후, 차량은 제 2 트랜스폰더(390)와 쌍을 이루고 있는 제 2 안테나(370)를 만나게 되고, 차량의 차폐 요소는 쌍을 이루는 제 2 트랜스폰더(390)와 제 2 안테나(370) 간의 경로를 방해하여 스위치(350)가 제 2 안테나로부터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앞서의 기간에서와 같이 제 2 안테나와 제 2 트랜스폰더 간의 경로의 차단 동안, 제 1 안테나(360)와 제 1 트랜스폰더(380) 간의 경로는 차량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으며, 스위치(350)가 제 1 안테나(360)를 모니터링하는 기간 동안 스위치(350)는 제 1 안테나(360)로부터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한다. 이러한 기간 동안, 시스템(320)은 제 1 안테나(36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결정할 수 있고, 그리고 제 2 안테나(370)가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음을 결정할 수 있다(이것은 제 2 안테나(370)의 고장을 표시하거나 혹은 제 2 안테나와 제 2 트랜스폰더 간의 경로를 방해하는 차량이 가이드웨이(300) 상에 있음을 표시함). 제 2 안테나(370)와 제 2 트랜스폰더(390) 간의 경로를 방해하는 차량이 이곳을 넘어 진행한 이후에, 스위치(350)는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고, 이것은 제 2 안테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을 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시스템의 자동 안전화 SIL 4 동작이 보장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한 쌍의 트랜스폰더-안테나 간의 경로의 방해가 시스템의 고장을 표시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소정의 타임아웃 기간(timeout period)이 사용된다. 만약 소정의 타임아웃 기간보다 더 큰 기간 동안 경로가 방해된다면, 시스템 고장이 발생했다고 결정되며, 경고 혹은 다른 표시가 발생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표시는 시스템(320)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임의의 시스템에 전송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표시는 시스템(320)에 국지적으로 저장된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일 스위치(350)의 사용은 앞서의 장점에 추가하여 시스템의 전체 비용을 감소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320)은, (a)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고 그리고 (b)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순서에 근거하여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은 차폐가 일어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시간적 순서로 차폐가 일어난다고 가정한다(t=시간, 단위는 임의의 단위).
테이블 2. 시간 증가에 따른 트랜스폰더 상태
t T1 T2
1 1 1 T1-T2의 위치에서 부존재함
2 0 1 T1에서는 존재, T2에서는 부존재함
3 1 0 T1에서는 부존재, T2에서는 존재함
테이블 2에서의 데이터에 근거하는 경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은 T1의 위치로부터 T2의 위치를 향해 움직이고 있다.
예를 들어, 만약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가 경로를 따라 혹은 경로와 평행하게 일정 거리만큼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로부터 떨어져 있어,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제 1 안테나(3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는 존재하지만 제 2 안테나(370)와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게 된다면, RFID 시스템(320)은 자체-점검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짐과 아울러 하나 이상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를 결정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록 (T1, T2)가 (0, 0)인 실시예가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가능하지만, 일부 실시예들의 경우 이와 같이, (0, 0)의 상태는 제 1 트랜스폰더-안테나 쌍과 제 2 트랜스폰더-안테나 쌍의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로 인해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만약 이러한 상태가 일어나게 된다면, 시스템은 에러 상태, 예컨대 전력 중단 상태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 상태는 기록가능하다.
이러한 실시예의 사례가 도 4에서 예시가능한데, 도 4는 차폐 요소(412, 또는 413, 또는 414)를 갖는 객차(417 또는 418)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차폐 요소들(412-414)은 객차(417 또는 418)의 차륜에 대응한다. 가이드웨이들(400, 410)은 객차들(417 및 418)을 위한 경로를 정의하고, RFID 시스템(420)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분리시키며, RFID 시스템(420)은, (가이드웨이들(400, 410) 바깥쪽 가이드웨이(410)의 일측에 있는) 제 1 안테나(460) 및 제 2 안테나(470)와 통신하는 RFID 판독기(440), 그리고 (가이드웨이들(400, 410) 바깥쪽 가이드웨이(400)의 일측에 있는) 제 1 트랜스폰더(480) 및 제 2 트랜스폰더(490)를 포함한다. 제 1 트랜스폰더(480)와 제 2 트랜스폰더(490)는, 박스카(boxcar)들(417-418)의 차폐 요소들(412-414)이 제 1 안테나(4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48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는 존재하지만 제 2 안테나(470)와 제 2 RFID 트랜스폰더(49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는 존재하지 않도록 하는 그러한 위치에 고정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비록 (T1, T2)가 (0, 0)인 실시예가 어떤 실시예들에서는 가능하지만, 이 실시예에서, (0, 0)의 상태는 제 1 트랜스폰더-안테나 쌍과 제 2 트랜스폰더-안테나 쌍의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로 인해 허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만약 (0, 0)의 상태가 일어나게 된다면, 시스템은 에러 상태에 있는 것이고, if...then의 로직 테스트에 의해 결정가능하다. 이러한 시스템 상태는 기록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320)은, (a)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과 그리고 (b)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에 근거하여 시스템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만약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제 1 안테나(360)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 있다면, 모니터링은 이후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허위 양성 모니터링 기간(false positive monitoring period) 내에 제 2 안테나(370)와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 도달했는지 아니면 도달하지 못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만약 허위 모니터링 기간이 제 2 안테나(370)와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 사이의 경로 상의 해당 위치에서 차폐 없이 끝난다면, RFID 시스템(320)은 허위 양성 결정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식으로, 예를 들어, RFID 시스템(320)은 자신의 상태를 자체-점검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이러한 상태는 기록가능하다.
허위 양성 모니터링 기간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이 제 1 RFID 트랜스폰더(380)와 제 2 RFID 트랜스폰더(390) 사이의 경로를 따라 혹은 이 경로와 평행하게 있는 이격 거리를 지나가기에 충분한 시구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허위 양성 모니터링 기간은 이격 거리,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속력 등과 같은 수 가지 인자들 중 하나 이상의 인자에 따라 달라진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허위 양성 모니터링 기간은 1 내지 120 초의 범위이거나, 혹은 10 내지 30 초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장치는 자체-점검을 행하며, 이것은 고장을 검출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또는 본 장치는 가이드웨이에 연결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웨이에 연결된 시스템이 경험하게 되는 EMI/EMC(ElectroMagnetic Interference(전자기 간섭)/EelectroMagnetic Compatibility(전자기 적합성))와 관련된 문제가 감소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320)은 프로세서(355)와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은 무선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은 유선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는 구역 제어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프로세서는 도 3과 관련된 실시예를 포함하는 임의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가능하다.
도 7은 도 3의 실시예의 일측 단면도이다. RFID 판독기(340)는 RF 스위치(35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RF 스위치(350)는 제 1 안테나(360) 및 제 2 안테나(370)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1 안테나(360) 및 제 2 안테나(370)는 대응하는 제 1 트랜스폰더(380) 및 제 2 트랜스폰더(390)와 통신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정보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들에 대해 앞서 언급된 정보와 동일한 타입의 정보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정보에 더하여, 추가적인 정보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진행 방향 및 RFID 시스템(320)의 시스템 상태를 포함한다. 위치 및 방향이 결정가능하기 때문에, 더 많은 운동 정보(예를 들어,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속도 등)가 결정가능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은 도 5를 참조하여 예시가능한데, 도 5는 차폐 요소(미도시)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517)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가이드웨이들(500, 510)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517)을 인도한다. 가이드웨이(500)는 RFID 시스템(520)의 일부 구성요소들을 분리시킨다. RFID 시스템(520)은 RFID 판독기(540),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560), 그리고 선택에 따라서는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미도시)를 포함한다. RFID 시스템(520)은 경로를 가로질러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RFID 트랜스폰더(580), 그리고 선택에 따라서는 경로를 가로질러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RFID 트랜스폰더(미도시)를 포함한다. 제 1 RFID 트랜스폰더(580)와 제 1 안테나(560)는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며, 선택적인 (도시되지는 않은) 제 2 RFID 트랜스폰더와 제 2 안테나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경로에 대해 고정된다. RFID 판독기(54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RFID 트랜스폰더(580)로부터의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 그리고 선택에 따라서는 제 2 RFID 트랜스폰더로부터의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제 1 RFID 트랜스폰더(580)와 제 1 안테나(560)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고, 선택에 따라서는 (도시되지는 않은) 제 2 RFID 트랜스폰더와 제 2 안테나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된다.
도 5에서, RFID 시스템(520)은, 제 1 안테나(560)를 통한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와 선택에 따라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존재하는 경우) 제 2 안테나를 통한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 간의 모니터링이 번갈아가며 일어나도록 구성된 스위치(5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이 동작한다.
도 5에서, RFID 시스템(520)은, 장착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mounted RFID transponder specific information)를 전송하기 위한 RFID 트랜스폰더(585)가 장착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으로부터 장착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차량 장착 RFID 트랜스폰더(585)는 앞서 언급된 것들과 같은 그러한 임의의 RFID 트랜스폰더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량 장착 RFID 트랜스폰더(585)는 차량 장착 RFID 트랜스폰더가 장착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장착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차량 장착 RFID 트랜스폰더(585)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517)의 적절한 위치에 장착가능하고,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517)의 차륜의 차축 상에, 혹은 격납 구조 상에, 혹은 객실 내에 장착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FID 시스템(520)은 구역 제어 센터와 같은 프로세서(555)와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보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차량 장착 RFID 트랜스폰더가 장착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장착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포함한다.
물론, 도 5의 실시예는 안테나-트랜스폰더의 단일 쌍을 갖는 실시예들과 함께 동작할 수 있고, 아울러 안테나-트랜스폰더의 복수의 쌍들을 갖는 실시예들과 함께 동작할 수 있다. 당연한 것으로, 도 5의 실시예는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들과도 함께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장치는 가이드웨이 섹션을 진입/진출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을 필수적으로 검출할 뿐만 아니라, 본 장치는 또한, 예컨대, 차량 장착 RFID 트랜스폰더(585)를 판독함으로써 가이드웨이 섹션을 진입/진출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아이덴티티를 결정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장치는 비-필수적 RFID 장비를 사용하여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관한 필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장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 검출 시스템을 위한 레일웨이 시그널링(railway signaling)에 적합한 신호들을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장치는 검출가능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과 관련된 금속성 혹은 비-금속성 물체의 부존재 검출을 안전 필수 검출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임의의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는 검출가능하다. 다음에 제공되는 것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사례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은 가이드웨이의 경로를 따르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방법은 제 1 RFID 트랜스폰더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제 1 RFID 판독기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제 1 RFID 판독기와 통신하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된다. 또한,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는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2 안테나와 제 2 트랜스폰더가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방법은 또한, 제 2 RFID 트랜스폰더로부터 전송되는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RFID 판독기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RFID 판독기와 통신하는 제 2 안테나를 통해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시 한번, 제 2 RFID 트랜스폰더와 제 2 안테나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된다. 또한, 제 2 RFID 트랜스폰더와 제 2 안테나는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RFID 트랜스폰더는 경로를 따라 혹은 경로와 평행하게 일정 거리만큼 제 2 RFID 트랜스폰더로부터 떨어져 있고, 이에 따라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을 차폐시키기에 충분하게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을 차폐시키는 것과 동시에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은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과 번갈아가며 일어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방법은 또한, (a)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고 그리고 (b)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시간적 순서에 근거하여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방법은 또한, (a)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시간, 그리고 (b)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시스템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방법은 또한, RFID 트랜스폰더가 장착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으로부터의 장착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제 1 RFID 판독기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제 1 RFID 판독기와 통신하는 안테나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 방법은 또한, 프로세서에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6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5와 관련된 것들 및 아래에서 제시되는 다른 실시예들과 같은, 장치와 관련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가능한 제어기 시스템(600)의 블록도이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 시스템(600)은 판독기(140)(도 1)의 적어도 일부분으로서 사용가능하다. 이 시스템(600)은 하드웨어 프로세서(602)와,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606), 즉 일 세트의 실행가능한 명령들로 인코딩된(즉, 이들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602)는 버스(608) 혹은 다른 적절한 메커니즘을 통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04)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프로세서(602)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04)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606)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시스템(600)이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된 것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장치의 사용과 관련하여 제시된 바와 같은 그러한 동작들 중 일부 혹은 모두의 수행을 위해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602)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다중-프로세서, 분산형 프로세싱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특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그리고/또는 적절한 프로세싱 유닛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04)는 전자, 자기, 광학, 전자기, 적외선, 및/또는 반도체 시스템(또는 장치 또는 디바이스)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04)는 반도체 또는 솔리드-스테이트 메모리(solid-state memory), 자기 테이프, 탈착가능 컴퓨터 디스켓,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전용 메모리(Mead-Only Memory, ROM), 경화 자기 디스크(rigid magnetic disk), 및/또는 광학 디스크를 포함한다. 광학 디스크를 사용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604)는 콤팩트 디스크-판독 전용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 판독/기입가능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Read/Write, CD-R/W), 및/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 DVD)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장 매체(604)는 시스템(600)으로 하여금 (도 1 내지 도 5와 연관된 것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장치와 관련된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606)를 저장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저장 매체(604)는 또한, 방법 수행을 위해 필요하거나 혹은 방법 수행 동안 발생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예컨대, 도 1 내지 도 5의 것들을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장치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임시 변수, 룩업 테이블(lookup tables) 및 일 세트의 실행가능한 명령들)를 저장한다.
시스템(600)은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출력(Input/Output, I/O) 인터페이스(628)를 포함한다. 입력/출력 인터페이스(628)는 외부 회로에 결합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입력/출력 인터페이스(628)는 안테나(160)(도 1)로부터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수신한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시스템(600)은 또한, 프로세서(602)에 결합된 선택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0)는 시스템(600)으로 하여금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터 시스템들이 연결된 네트워크(632)와 통신할 수 있게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630)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IMAX), GPRS, 또는 WCDM), 혹은 유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USB, 또는 IEEE-1394)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1 내지 도 5의 것들을 포함하는 장치와 관련된 방법은 둘 이상의 시스템 내에서 구현되고,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네트워크(632)를 통해 상이한 시스템들(600) 간에 교환된다.
시스템(600)은 I/O(628)를 통해 임의 타입의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보는 RFID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여 적어도 차량 검출을 결정하기 위해 버스(608)를 통해 프로세서(602)에 전달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여기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은 가이드웨이의 경로를 따르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임의의 장치는 제조가능하다. 다음에 제공되는 것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사례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장치는 경로에 대해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를 경로의 양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RFID 트랜스폰더는 경로를 가로질러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제 1 안테나는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제 1 안테나는 제 1 RFID 판독기에 연결되고, 제 1 RFID 판독기는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며,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된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본 발명은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가이드웨이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경로를 정의하고, 이러한 장치는 RFID 시스템을 포함하며, 여기서 RFID 시스템은, 경로를 가로질러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를 포함하는 RFID 판독기를 포함하고,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는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며, RFID 판독기는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도록 구성되고,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 사이에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의 고려로부터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들에게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및 사례들은 오로지 예시로서 고려되도록 의도된 것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 및 사상은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된다.

Claims (20)

  1. 차폐 요소(masking component)를 가지며 가이드웨이(guideway)를 따라 인도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guideway-guided vehicle)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은 가이드웨이의 경로를 따르도록 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무선 주파수 식별(RFID) 시스템은,
    상기 경로를 가로질러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RFID transponder specific information)를 전송하기 위한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를 갖는 RFID 판독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상기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RFID 판독기는 상기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1 안테나 사이에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상기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은 또한,
    상기 경로를 가로질러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 2 RFID 트랜스폰더와; 그리고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2 안테나는 상기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상기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RFID 판독기는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로부터의 상기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2 안테나 사이에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상기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는 상기 경로를 따라 혹은 상기 경로와 평행하게 적어도 1 미터(meter)의 거리만큼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로부터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은 또한, 상기 제 1 안테나를 통한 상기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와 상기 제 2 안테나를 통한 상기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 간의 모니터링이 번갈아가며 일어나도록 하는 RF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은, (a)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고 그리고 (b)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은, (a)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과 그리고 (b)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시스템의 상태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은,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이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1 안테나 사이를 지나가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은,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1 안테나 사이를 지나가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의 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은, 둘 이상의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들이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1 안테나 사이를 지나가는 시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은, 장착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mounted RFID transponder specific information)를 전송하기 위한 RFID 트랜스폰더가 장착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으로부터 상기 장착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시스템은 프로세서와 정보를 주고받는 통신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12. 차폐 요소를 가지며 가이드웨이를 따라 인도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은 가이드웨이의 경로를 따르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제 1 RFID 트랜스폰더로부터 전송되는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제 1 RFID 판독기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제 1 RFID 판독기와 통신하는 제 1 안테나를 통해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1 안테나 사이에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상기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고,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상기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제 2 RFID 트랜스폰더로부터 전송되는 제 2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RFID 판독기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RFID 판독기와 통신하는 제 2 안테나를 통해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2 안테나 사이에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상기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고,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2 안테나는 상기 경로의 양측에 있고 아울러 상기 경로에 대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는 상기 경로를 따라 혹은 상기 경로와 평행하게 일정 거리만큼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로부터 떨어져 있어,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상기 차폐 요소가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을 차폐시키기에 충분하게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1 안테나 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을 차폐시키는 것과 동시에 일어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번갈아가며 모니터링하는 것이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는 것과 번갈아가며 일어나서 상기 시스템의 고장을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a)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고 그리고 (b)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시간적 순서에 근거하여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진행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a)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시간, 그리고 (b) 상기 제 2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시스템의 상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RFID 트랜스폰더가 장착된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으로부터의 장착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상기 제 1 RFID 판독기에 연결되어 있거나 혹은 상기 제 1 RFID 판독기와 통신하는 상기 안테나를 통해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또한, 프로세서에 상기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방법.
  20. 차폐 요소를 가지며 가이드웨이를 따라 인도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은 가이드웨이의 경로를 따르도록 되어 있고, 상기 방법은,
    상기 경로에 대해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제 1 안테나를 상기 경로의 양측에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는 상기 경로를 가로질러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안테나는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안테나는 제 1 RFID 판독기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RFID 판독기는 상기 제 1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를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와 상기 제 1 안테나 사이에 상기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의 상기 차폐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 1 RFID 트랜스폰더 특정 정보가 실질적으로 연속해서 모니터링되는 것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요소를 갖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57020228A 2013-01-30 2014-01-24 Rfid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 검출 KR201501209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754,363 2013-01-30
US13/754,363 US9390385B2 (en) 2013-01-30 2013-01-30 Guideway-guided vehicle detection based on RFID system
PCT/IB2014/058529 WO2014118681A2 (en) 2013-01-30 2014-01-24 Guideway-guided vehicle detection based on rfid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956A true KR20150120956A (ko) 2015-10-28

Family

ID=51222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0228A KR20150120956A (ko) 2013-01-30 2014-01-24 Rfid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 검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390385B2 (ko)
EP (1) EP2951074A4 (ko)
JP (1) JP6196688B2 (ko)
KR (1) KR20150120956A (ko)
CN (1) CN105026240A (ko)
BR (1) BR112015017611A2 (ko)
CA (1) CA2897564C (ko)
HK (1) HK1218532A1 (ko)
MY (1) MY175755A (ko)
WO (1) WO20141186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27010A1 (en) * 2017-05-11 2018-11-15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n End-of-Train Position
CA2913517A1 (en) * 2013-06-05 2014-12-11 Siemens Ag Osterreich Wheelset shaft for rail vehicles
JP6646479B2 (ja) * 2016-03-07 2020-02-14 株式会社東芝 列車位置検知システム
DE102016217480A1 (de) * 2016-09-14 2018-03-1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Überwachen eines Fahrzeuginnenraums eines Fahrzeugs
US11465660B2 (en) 2017-02-28 2022-10-11 Thales Canada Inc. Apparatuses, systems, methods, and software for train control and tracking using multi sensors, SSD/QR signs, and/or RF reflectors
JP6957234B2 (ja) * 2017-06-27 2021-11-02 東芝インフラシステムズ株式会社 配送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CN108725514B (zh) * 2018-07-23 2024-04-02 湖南云辙科技有限公司 导轨、轨道车辆控制装置、轨道车辆及运输系统
EP4021779A1 (en) 2019-08-29 2022-07-06 Piper Networks, Inc. Enhanced transit lo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767042B2 (en) 2019-09-09 2023-09-26 Piper Networks, Inc. Enhanced transit location systems and methods
EP4172659A1 (en) 2020-06-26 2023-05-03 Piper Networks, Inc. Multi-sensor vehicle positioning system employing shared data protocol
WO2022162647A1 (en) * 2021-02-01 2022-08-04 Thales Canada Inc. Systems and methods of calibrating a range measurement system
US11529977B1 (en) 2021-10-12 2022-12-20 Diane Albert Radar enabled determination of presence, axle count, speed, and direction of a rail ca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6924B2 (ja) 1991-07-30 2002-01-15 日本信号株式会社 列車位置検出装置
JP2002048862A (ja) * 2000-08-07 2002-02-15 Railway Technical Res Inst 移動体進行方向検知装置
JP2005047409A (ja) * 2003-07-30 2005-02-24 Railway Technical Res Inst 列車検知システム及び列車進入進出検知方法
AU2005217624B2 (en) 2004-02-24 2010-11-25 General Electric Company Rail car tracking system
US7826938B2 (en) 2005-12-22 2010-11-0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ystem for tracking railcars in a railroad environment
JP4752018B2 (ja) 2006-03-20 2011-08-17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列車検知システム
US20080055043A1 (en) 2006-08-01 2008-03-06 Watco Companies, Inc. Railroad yard inventory control system
US7954770B2 (en) 2006-12-15 2011-06-07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and system for jointless track circuits using passive signaling
US8655540B2 (en) * 2007-08-20 2014-02-18 International Electronic Machines Corp. Rail vehicle identification and processing
CN101497344A (zh) * 2008-02-02 2009-08-05 鼎升资讯科技股份有限公司 轨道车无线射频定位控制装置
US8400270B2 (en) 2008-03-14 2013-03-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 operating state using RFID
DE102008060188A1 (de) * 2008-11-28 2010-06-1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bstandsmessung
CN101513888B (zh) * 2009-04-10 2011-02-09 中兴智能交通系统(北京)有限公司 一种定位方法及系统
US8344877B2 (en) 2009-07-07 2013-01-01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Track worker safety system
US9381927B2 (en) * 2012-07-09 2016-07-05 Thales Canada Inc. Train detectio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train movement and location
CN102887158B (zh) * 2012-09-12 2016-03-23 苏州富欣智能交通控制有限公司 列车位置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26240A (zh) 2015-11-04
CA2897564A1 (en) 2014-08-07
WO2014118681A2 (en) 2014-08-07
US20140210595A1 (en) 2014-07-31
CA2897564C (en) 2018-06-12
EP2951074A4 (en) 2016-07-20
BR112015017611A2 (pt) 2017-07-11
HK1218532A1 (zh) 2017-02-24
EP2951074A2 (en) 2015-12-09
JP6196688B2 (ja) 2017-09-13
US9390385B2 (en) 2016-07-12
MY175755A (en) 2020-07-08
WO2014118681A3 (en) 2014-10-30
JP2016515963A (ja)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20956A (ko) Rfid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가이드웨이-가이딩 차량 검출
US8996208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track circuit monitoring and alerting in automatic train control systems
RU2619148C2 (ru) Определение саморасцепа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состава
US11067539B2 (en) System for detecting a break in a rail
CN104192171B (zh) 轨道交通列车检测方法及设备
CN108128324B (zh) 一种移动闭塞系统列车占用计轴检测方法
EP28512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ck occupation
CN102387952B (zh) 用于核查轨道存在的方法和装置
KR100961489B1 (ko) 철도신호용 열차분리 검지 시스템
US6763290B2 (en) Cab signal quality detecting and reporting system and method
US7959112B2 (en) Whee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system for railroad data network
US202103948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Derailed State of a Rail Vehicle
CN206606211U (zh) 适用于单轨的列车自动防护系统
RU2340497C2 (ru) Рельсовая цепь для контроля занятости блок-участка и кабельный петлевой датчик контроля прохода колесных пар и единиц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го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KR101221843B1 (ko) 무선통신기반 열차제어시스템의 열차 무결성 확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70307A1 (en) Vehicle detection system
CN105818838B (zh) 一种计轴传感器及计轴检测方法
JP6824468B2 (ja) レール状態監視装置
RU2729132C1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сортировочной горки и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такой горкой
DE19957587A1 (de) Sensorüberwachungssystem für mehrachsige Fahrzeuge
KR20200024467A (ko) 레일 변위 측정 시스템
RU19342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оложения колесных пар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относительно прямолинейного рельсового пути
RU2669721C1 (ru) Система определения подвижных единиц с нарушением нижнего габарита при движении длинносоставных поездов
SK288396B6 (sk) Svetelné priecestné zabezpečovacie zariadenie a spôsob bezpečného vyhodnotenie koľajového vozidla na tomto zariadení
JP5094774B2 (ja) 列車制御地上装置および列車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