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0623A -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 Google Patents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0623A
KR20150120623A KR1020140046383A KR20140046383A KR20150120623A KR 20150120623 A KR20150120623 A KR 20150120623A KR 1020140046383 A KR1020140046383 A KR 1020140046383A KR 20140046383 A KR20140046383 A KR 20140046383A KR 20150120623 A KR20150120623 A KR 20150120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wiper
wiper arm
coupl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6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224B1 (ko
Inventor
서덕희
Original Assignee
서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덕희 filed Critical 서덕희
Priority to KR1020140046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224B1/ko
Priority to PCT/KR2015/003793 priority patent/WO2015160189A1/ko
Publication of KR20150120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3Multi-purpose connections for two or more kinds of arm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48Flat-type wiper blade, i.e. without harness
    • B60S1/3849Connectors therefor; Connection to wiper arm; Attached to blade
    • B60S1/3865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 B60S1/3867Connectors having an integral pivot pin for connection with the wiper arm pin formed on the interior of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with means provided on the arm for locking the sid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2001/403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the connection being covered by a removable cover mounted on the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side wall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back part of the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가 제공된다. 와이퍼는, 와이퍼 블레이드,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며 힌지부가 형성된 힌지브라켓, 및 힌지부에 결합되어 시소(seesaw) 운동하고, 자동차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되, 연결브라켓은, 힌지부와 결합되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형성된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의 외측에 각각 탄성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결합부,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며 힌지브라켓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결합부,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며 힌지브라켓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3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Multiple coupling structured wiper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와이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방식의 결합구조가 단일 와이퍼에 적용된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wiper)는 윈도우를 닦아내는 장치이다. 와이퍼는 자동차의 전면 또는 후면에 장착될 수 있고, 장착된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움직여 전면 또는 후면 유리에 묻은 이물질이나 빗물 등을 닦아낼 수 있다. 와이퍼는 유리에 밀착되어 움직이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와이퍼가 차체에 형성된 움직이는 암(arm)과 결합되면, 와이퍼 블레이드가 자동차의 전면 또는 후면 유리에 밀착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암을 움직여 와이퍼 블레이드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유리면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다. 와이퍼는 암과 결합(coupling) 또는 분리(uncoupling)가 가능하게 형성되어, 필요한 때 적절히 교체될 수 있다.
그러나,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가 결합하는 결합구조가 차량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다시 말하면, 서로 다른 제조사에서 제조된 차량들이 각각 서로 다른 방식의 와이퍼 결합구조(coupling structure)를 채용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정말 필요한 상황에서도(예를 들어, 와이퍼 블레이드가 소모된 때 폭우나 폭설을 만난 경우) 운전자가 와이퍼를 교체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와이퍼를 교환할 때마다 결합구조를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35271호, (1998.09.1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서로 다른 종류의 결합구조가 단일 와이퍼에 적용된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는, 와이퍼 블레이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며 힌지부가 형성된 힌지브라켓; 및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시소(seesaw) 운동하고, 자동차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형성된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의 외측에 각각 탄성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결합부;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힌지브라켓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결합부;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힌지브라켓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3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결합부는 일측에 상기 제1고정돌기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제1누름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단면이 도립된'U'자 형상(inverted 'U' shape)을 이루고 내측으로 후크가 형성된 제1와이퍼 암이 결합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제1고정돌기에 인접하여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에 각각 탄성 결합되며 상기 후크에 걸리도록 돌출된 제2고정돌기와, 일측에 상기 제2고정돌기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제2누름돌기를 포함하는 제1보조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는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에 각각 상기 제1와이퍼 암이 접하여 결합되도록 전방을 향하여 만입된 곡면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단면이 도립된'U'자 형상(inverted 'U' shape)을 이루도록 상면부 및 두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전방을 항하여 상면부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와 두 측면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와이퍼 암의 상기 제1돌출부가 결합되며, 상기 와이퍼는 상기 제1 측벽부와 상기 제2 측벽부에 각각 탄성 결합되며 상기 제2돌출부가 걸리도록 돌출된 제3고정돌기와, 일측에 상기 제3고정돌기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3고정돌기 하부에 위치하는 제3누름돌기를 포함하는 제2보조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결합부에는 후방으로 굽은 후크 형태의 제3와이퍼 암이 결합되며,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힌지부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와이퍼는 상기 연결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을 적어도 일부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는 서로 관통되는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측부에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4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결합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제1핀과 상기 제1핀과 나란히 연장되고 끝단부가 아래로 굴절된 제2핀을 포함하는 제4와이퍼 암이 결합되며, 상기 제4결합부는 상기 커버부에 상기 제2핀의 일부가 수용되는 만입홈과 상기 제2핀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완전히 다른 결합구조를 하나의 와이퍼에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와이퍼가 서로 다른 종류의 차량에 형성된 서로 다른 와이퍼 암에 손쉽게 장착될 수 있고, 운전자는 와이퍼 암과 와이퍼가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번거롭게 확인할 필요가 없다. 또한, 준비된 하나의 와이퍼로 와이퍼가 신속히 교체되어야 하는 긴급상황에도 용이하게 대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와이퍼의 힌지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커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연결브라켓을 확대하여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연결브라켓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브라켓의 A-A'단면, B-B'단면, C-C'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의 연결브라켓과 커버부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연결브라켓과 커버부의 측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와이퍼와 제1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1의 와이퍼와 제2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1의 와이퍼와 제3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의 와이퍼와 제4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의 사시이고, 도 2는 도 1의 와이퍼의 힌지브라켓, 연결브라켓, 및 커버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1)는 와이퍼 블레이드(10), 와이퍼 블레이드(10)에 고정되는 힌지브라켓(100), 힌지브라켓(100)과 힌지 결합되어 시소 운동하고 자동차의 와이퍼 암(도 8a 내지 도 11c의 A, B, C, D 참조)에 연결되는 연결브라켓(200), 및 연결브라켓(20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부(300)를 포함한다. 힌지브라켓(100)은 고정부(120)를 이용하여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일 측에 고정되고, 커버부(300)는 연결브라켓(200) 외측으로 회전하여 열릴 수 있다.
연결브라켓(200)과 커버부(300)는 제1결합부(210)와, 제2결합부(220)와, 제3결합부(230)와, 제4결합부(310), 및 제1보조결합부(240)와 제2보조결합부(250)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결합구조를 사용하는 서로 다른 와이퍼 암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200)은 서로 나란히 형성된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의 외측에 각각 탄성 결합되고 제1고정돌기(211)가 형성된 제1결합부(210),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2결합부(220), 및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 사이를 연결하는 제3결합부(230)를 포함하고, 커버부(300)는 결합홀(311), 만입홈(312), 및 삽입홈(313)으로 구성되는 제4결합부(31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각 구성부가 유기적으로 조합된 결합구조를 이용하여 하나의 와이퍼를 여러 가지 다른 형상의 와이퍼 암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1)의 구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와이퍼 블레이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된다. 와이퍼 블레이드(10)는 적어도 일부가 탄력 있는 재질로 형성되고, 탄력 있는 부분이 자동차 유리면에 밀착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10)의 자동차 유리면과 밀착되지 않는 부분에는 힌지브라켓(100)이 고정된다.
힌지브라켓(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0)와 힌지부(110)를 포함한다. 힌지브라켓(100)의 고정부(120)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120) 위에 고정부(120)와 평행하게 힌지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110)는 원통형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브라켓(200)의 고정홈(203)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고정홈(203)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브라켓(200)은 힌지부(110)에 결합되어 시소(seesaw)운동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120)와 힌지부(110)가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고정부(120)는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힌지부(110)는 고정부(120)의 형상에 따라 정렬된 방향이 바뀌거나 위치가 다양하게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힌지브라켓(100)이 와이퍼 블레이드(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연결브라켓(200)은 하나 이상의 결합부(제1결합부, 제2결합부, 제3결합부, 제1보조결합부, 및 제2보조결합부)가 유기적으로 조합된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브라켓(200)은 와이퍼 블레이드(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형성된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를 포함한다.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04)이 형성된 일단부와 제3고정돌기(251)가 형성된 타단부 사이의 부분일 수 있다.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 외측으로는 제1결합부(210), 제1보조결합부(240), 제2보조결합부(250)가 각각 돌출된다.
연결브라켓(200)의 중앙 하부에는 일부분이 개방된 고정홈(203)이 형성된다. 따라서, 힌지브라켓(100)의 힌지부(110)가 고정홈(203)을 통해서 연결브라켓(200)에 손쉽게 결합되고, 연결브라켓(200)이 힌지부(110)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할 수 있다. 연결브라켓(20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커버부(300)는 연결브라켓(200) 전체를 덮어 내부에 수용한다. 커버부(300)는 측면부에 결합홀(311)이 관통되고, 상부에는 커버부(300)의 표면이 만입되어 만입홈(312)이 형성된다. 만입홈(312)은 일 측으로 길게 연장되고 연장된 끝 부분에서 커버부(300) 표면이 관통되어 삽입홈(31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311), 만입홈(312), 및 삽입홈(31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4결합부(310)를 구성한다.
커버부(300)는 힌지홈(301)을 이용하여 연결브라켓(200)의 힌지축(204)에 힌지 결합 되고, 걸림홈(302)을 이용하여 연결브라켓(200)의 걸림돌기(243)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가 힌지축(20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거나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손쉽게 닫힐 수 있다. 커버부(300) 일 측에는 돌출된 무늬 등을 형성하여 마찰력을 높이고 커버부(300)가 용이하게 파지되도록 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제4결합부(310)는 이와 같이 커버부(300)가 닫힌 상태에서 와이퍼 암과 결합하게 된다. 커버부(300)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연결브라켓을 확대하여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연결브라켓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연결브라켓의 A-A'단면, B-B'단면, C-C'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연결브라켓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는 서로 평행하며 앞서 언급한 와이퍼 블레이드(도 1의 10 참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가 연장된 방향은 도 3의 X축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는 서로 관통되는 제1관통홀(201a) 및 제2관통홀(202a)을 포함한다. 제1관통홀(201a)과 제2관통홀(202a)이 서로 관통된다는 것은 제1관통홀(201a)과 제2관통홀(202a)이 연결브라켓(200)의 측방향(도 3의 Y축과 평행한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완전히 중첩되는 것을 말한다(도 4 참조).
제1결합부(210)는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의 외측에 각각 탄성 결합된다. 제1결합부(210)는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211)와, 제1고정돌기(211)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제1누름돌기(212)를 포함한다. (제1측벽부(201)의 외측은 도 3의 Y축이 향하는 방향이고 내측은 그 반대방향이며, 제2측벽부(202)의 외측은 도 3의 Y축이 향하는 반대방향이고 내측은 Y축이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211)와, 제1누름돌기(212)를 포함하는 제1결합부(210)가 구성된다. 제1결합부(210)는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고,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에 연결되어 탄력적으로 변형되거나 복원될 수 있다. 특히, 제1누름돌기(212)를 압박하면 제1결합부(210)를 손쉽게 변형시킬 수 있다. 제1결합부(210) 외에 제2결합부(220), 제1보조결합부(240), 및 제2보조결합부(250) 역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 역시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0)는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의 내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제2결합부(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벽부(201)의 내측(도 3의 Y축이 향하는 반대방향) 및 제2측벽부(202)의 내측(도 3의 Y축이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 사이에 위치한다. 제2결합부(220)는 한 쌍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측벽부(201)의 일부 및 제2측벽부(202)의 일부가 굴절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220)는 힌지브라켓(도 2의 100 참조)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제2결합부(220)에 와이퍼 암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힌지브라켓(100)과 연결브라켓(200) 사이의 시소운동이 방해받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브라켓(100)이 연결브라켓(200)의 하방에 결합되면, 제2결합부(220)는 연결브라켓(20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도 2 참조).
제3결합부(230)는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 사이를 연결한다. 제3결합부(230)는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3결합부(230)의 끝단부는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고정홈(20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결합부(23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결합부(230)는 고정홈(203)을 이용하여 힌지브라켓(도 2의 100 참조)의 힌지부(도 2의 110 참조)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제3결합부(230) 역시 힌지브라켓(100)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제3결합부(230)에 와이퍼 암이 결합된 상태에서도 힌지브라켓(100)과 연결브라켓(200) 사이의 시소운동은 방해받지 않는다. 예를 들어, 힌지브라켓(100)이 연결브라켓(200)의 하방에 결합되면, 제3결합부(230)는 연결브라켓(20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도 2 참조).
제1결합부(210)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단면이 도립된'U'자 형상(inverted 'U' shape)을 이루고 내측으로 후크(도 8a의 A3 참조)가 형성된 제1와이퍼 암(도 8a의 A 참조)이 결합되고, 제2결합부(220)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단면이 도립된'U'자 형상(inverted 'U' shape)을 이루고 전방(도 3의 X축 방향)을 항하여 상면부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도 9a의 B11 참조)와 제2 돌출부(도 9a의 B21 참조)를 포함하는 제2와이퍼 암(도 9a의 B 참조)의 제1돌출부가 결합된다. 또한, 제3결합부(230)에는 후방(도 3의 X축이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굽은 후크 형태의 제3와이퍼 암(도 10a의 C 참조)이 결합된다. 즉, 전술한 제1결합부(210), 제2결합부(220), 제3결합부(230)는 연결브라켓(2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전술한 바와 같은 유기적인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다른 와이퍼 암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은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제1결합부(210)는 제1보조결합부(240)의 도움을 받아 제1와이퍼 암(도 8a 의 A 참조)을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제1보조결합부(240)는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에 각각 탄성 결합되고 제1와이퍼 암의 후크(도 8a의 A3 참조)에 걸리도록 돌출된 제2고정돌기(241)와, 제2고정돌기(241)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제2누름돌기(242)를 포함한다. 제1보조결합부(240)는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와 일체로 형성될 수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고정돌기(241)가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 각각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2누름돌기(242) 또한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 각각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2누름돌기(242)는 제2고정돌기(241)보다 더 돌출되므로 제2누름돌기(242)를 눌러 제1보조결합부(240)를 용이하게 압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보조결합부(240)가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될 수 있다.
제1보조결합부(240)에는 또한 걸림돌기(24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243)는 전술한 커버부(300)의 걸림홈(302)에 삽입되어, 커버부(300)가 닫힐 때 커버부(300)를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300)가 닫힌 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2결합부(220)는 제2보조결합부(250)의 도움을 받아 제2와이퍼 암(도 9a의 B 참조)을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제2보조결합부(250)는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에 각각 탄성 결합되고 제2와이퍼 암의 제2돌출부(도 9a의 B21 참조)에 걸리도록 돌출된 제3고정돌기(251)와, 제3고정돌기(251)보다 더 돌출되고 제3고정돌기(251) 하부에 위치하는 제3누름돌기(252)를 포함한다. 제2보조결합부(250) 역시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고정돌기(251)가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 각각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3누름돌기(252)가 제3고정돌기(251) 하부에서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3누름돌기(252) 역시 제3고정돌기(251)보다 더 돌출되므로 제3누름돌기(252)를 눌러 손쉽게 제2보조결합부(250)를 압박하고 제2보조결합부(250)를 탄력적으로 변형 및 복원시킬 수 있다.
특히, 제3고정돌기(2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테면, 쐐기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고정돌기(251)는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제2와이퍼 암의 제2돌출부(도 9a의 B21 참조)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뾰족하게 돌출되고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여 제2돌출부와 보다 견고히 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제3고정돌기(251)의 형상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와이퍼 암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합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제2와이퍼 암의 돌출부 형상이 변화하는 경우, 제3고정돌기(251)의 형상도 그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에는 각각 곡면결합부(260)가 형성되고, 곡면결합부(260)가 제1와이퍼 암(도 8a의 A 참조)과 밀착되어 제1와이퍼 암을 보다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곡면결합부(260)는 연결브라켓(200)의 전방(도 3의 X축이 향하는 방향)을 향해 만입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곡면결합부(260)의 크기, 굴절된 정도는 제1와이퍼 암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형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커버부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연결브라켓과 커버부가 서로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연결브라켓과 커버부의 측면도이다.
커버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20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닫히고, 닫힌 상태에서 내부에 연결브라켓(200)을 완전히 수용한다. 이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300)의 결합홀(311)이 연결브라켓(200)의 제1관통홀(201a) 및 제2관통홀(202a)과 완전히 중첩된다. 따라서, 결합홀(311)과 제1관통홀(201a) 및 제2관통홀(202a)이 서로 연통된다.
결합홀(311)은 커버부(300)의 측부에 형성되고, 커버부(300) 상부의 만입홈(312) 및 삽입홈(313)과 함께 제4결합부(310)를 구성한다. 제4결합부(310)에는 측방향(도 3의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제1핀(도 11a의 D1 참조)과, 제1핀과 나란히 연장되고 끝단부가 하방(도 3의 Z축 반대방향)으로 굴절된 제2핀(도 11a의 D2 참조)을 포함하는 제4와이퍼 암(도 11a의 D 참조)이 결합된다. 커버부(300) 표면이 만입되어 형성된 만입홈(312) 내측에서 제2핀이 지지됨으로써 제4와이퍼 암이 전술한 전방 또는 후방(도 3의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즉, 제4와이퍼 암은 커버부(300)가 닫힌 상태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홈 또는 홀들(결합홀, 제1관통홀, 제2관통홀, 만입홈, 및 삽입홈)을 이용해 손쉽게 결합된다. 반면, 제1와이퍼 암, 제2와이퍼 암, 제3 와이퍼 암은 커버부(300)가 열린 상태에서 결합되고, 결합된 후 커버부(300)가 닫히면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1의 와이퍼와 제1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도 1의 와이퍼와 제2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0a 내지 도 10c는 도 1의 와이퍼와 제3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의 와이퍼와 제4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제1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와이퍼 암(A)은 상면부(A1), 측면부(A2)로 이루어져 단면이 도립된'U'자 형상(inverted 'U' shape)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측면부(A2)의 끝단에는 내측방향(도 3의 Y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 후크부(A3)가 형성된다.
제1와이퍼 암(A)이 결합되기 위해, 커버부(300)가 열린 상태로 준비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200)의 제1측벽부(201), 제2측벽부(202) 및 제1결합부(210), 제1보조결합부(240)가 외부로 노출된다.
도 8b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와이퍼 암(A)이 연결브라켓(200)에 삽입된다. 특히, 제1와이퍼 암(A)은 전방에 위치하는 곡면부(A4)가 곡면결합부(260)를 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제1와이퍼 암(A)의 결합방식이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제1와이퍼 암(A)은 편의에 따라 연결브라켓(200)과 평행하게 삽입될 수도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제1와이퍼 암(A)이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200)에 밀착되고, 제1결합부(210)의 제1고정돌기(211)와 제1누름돌기(212) 사이로 제1와이퍼 암(A)의 후크(A3)가 삽입된다. 또한, 후크(A3)는 제1보조결합부(240)의 제2고정돌기(241)에 걸려 후방(도 3의 X축이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후퇴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1와이퍼 암(A)이 연결브라켓(200)에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제1와이퍼 암(A)의 곡면부(A4)는 곡면결합부(260)에 밀착되어 제1와이퍼 암(A)의 움직임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제1와이퍼 암(A)의 고정상태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후 커버부(300)를 닫으면, 제1와이퍼 암(A)에 와이퍼가 장착된다.
한편, 와이퍼를 제1와이퍼 암(A)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부(300)를 열고, 제1누름돌기(212), 및 제2누름돌기(242)를 눌러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와이퍼 암(A)을 결합할 때에도 제1누름돌기(212) 및 제2누름돌기(242)를 눌러 제1결합부(210) 및 제1보조결합부(240)를 탄력적으로 변형시키고, 제1와이퍼 암(A)을 연결브라켓(200)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9a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제2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제2와이퍼 암(B) 역시 상면부(B1), 측면부(B2)로 이루어져 단면이 도립된'U'자 형상(inverted 'U' shape)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제2와이퍼 암(B)은 제1돌출부(B11)가 상면부(B1)로부터 전방(도 3의 X축이 향하는 방향)을 향해 돌출되고, 제2돌출부(B21)가 측면부(B2)로부터 후방(도 3의 X축이 향하는 반대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제2와이퍼 암(B)이 결합되기 위해, 역시 커버부(300)가 열린 상태로 준비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200)의 제1측벽부(201), 제2측벽부(202) 및 제2결합부(220), 제2보조결합부(250)가 외부로 노출된다.
도 9b 및 도 9c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와이퍼 암(B)이 연결브라켓(200)에 삽입된다. 특히,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와이퍼 암(B)의 제1돌출부(B11)가 제2결합부(220)의 하방을 향해 먼저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제1돌출부(B11)를 제2결합부(220)에 지지하여 제2와이퍼 암(B)을 회전시키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와이퍼 암(B)의 제2 돌출부(B21)가 제2보조결합부(250)의 제3고정돌기(251)에 밀착된다.
제2고정돌기(24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2고정돌기(241)의 표면에 경사진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와이퍼 암(B)의 제2돌출부(B21)는 경사진 부분을 포함하는 제2고정돌기(241)와 경사 접촉하여 보다 유연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와이퍼 암(B)이 연결브라켓(200)에 결합된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부(300)를 닫아 와이퍼를 제2와이퍼 암(B)에 안전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와이퍼를 제2와이퍼 암(B)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부(300)를 열고 제3누름돌기(252)를 눌러 제2보조결합부(250)를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3고정돌기(251)와 제2와이퍼 암(B)의 제2돌출부(B21) 사이의 결합을 먼저 해제하고 제2와이퍼 암(B)을 보다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도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제3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제3와이퍼 암(C)은 전방에 굴절부(C1)를 포함하고, 이로 인해 후방으로 굴절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와이퍼 암(C)이 결합되기 위해, 역시 커버부(300)가 열린 상태로 준비되는 것은 이전과 같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200)의 제1측벽부(201), 제2측벽부(202) 및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 사이의 제3결합부(230)가 노출된다.
이어서,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와이퍼 암(C)을 제1측벽부(201)와 제2측벽부(202) 사이로 삽입하여 제3결합부(230)의 전방에 위치시킨다. 이 때, 제3와이퍼 암(C)은 연결브라켓(200)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삽입될 수도 있고, 제2결합부(220) 전방으로부터 제2결합부(220)를 통과하는 방향(도 3의 X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즉, 제2결합부(220)는 탄성력을 가져 제1측벽부(201) 및 제2측벽부(202)의 외측으로 탄력적으로 굴절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부분을 이용하여 제3와이퍼 암(C)이 손쉽게 이동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3와이퍼 암(C)이 연결브라켓(200)의 상방 또는 전방 등 다양한 방향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3와이퍼 암(C)을 연결브라켓(200)의 후방(도 3의 X축이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완전히 이동시킨다. 그러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와이퍼 암(C)의 굴절부(C1)가 제3결합부(230)에 걸려 견고히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후, 커버부(300)를 닫으면 와이퍼가 제3와이퍼 암(C)에 장착된다. 와이퍼를 제3와이퍼 암(C)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커버부(300)를 열고 제3와이퍼 암(C)을 연결브라켓(200)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결합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도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제4와이퍼 암의 결합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4와이퍼 암(D)은 제1핀(D1)과 제2핀(D2)이 서로 나란히 돌출되는 특징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핀(D1)과 제2핀(D2)은 서로 평행하며, 제1핀(D1)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핀(D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핀의 끝단부(D21)는 연결브라켓(200)의 하방(도 3의 Z축이 향하는 반대방향)으로 굴절될 수 있다.
한편, 제4와이퍼 암이 결합되기 위해, 커버부(300)는 닫힌 상태로 준비된다. 커버부(300)가 닫히면 커버부(300)의 결합홀(311)이 연결브라켓(200)의 제1관통홀(201a) 및 제2관통홀(202a)과 연통된다.
도 11b 및 도11c를 참조하면, 이러한 상태에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핀(D1)을 삽입한다. 제1핀(D1)은 결합홀(311)을 통해 제1관통홀(201a) 및 제2관통홀(202a)까지 도달할 수 있다. 결합홀(311), 제1관통홀(201a), 및 제2관통홀(202a)은 모두 원통형으로 형성되므로 제1핀(D1)이 내측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다.
제1핀(D1)을 중심으로 제4와이퍼 암(D)을 회전시키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핀(D2)이 커버부(300)의 만입홈(312)에 밀착된다. 특히, 제2핀의 끝단부(D21)는 삽입홈(313)을 관통하여, 삽입홈(313) 내측에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방향으로 유기적으로 배치된 결합홀(311), 만입홈(312), 삽입홈(313)을 이용하여 제4와이퍼 암(D)의 제1핀(D1)과 제2핀(D2)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다. 와이퍼를 제4와이퍼 암(D)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핀(D1)을 중심으로 제4와이퍼 암(D)을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를 통해 제2핀(D2)의 밀착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후 제1핀(D1)을 분리하면 제4와이퍼 암(D)이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나의 와이퍼를 서로 다른 결합구조의 와이퍼 암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10: 와이퍼 블레이드
100: 힌지브라켓 110: 힌지부
120: 고정부 200: 연결브라켓
201: 제1측벽부 201a: 제1관통홀
202: 제2측벽부 202a: 제2관통홀
203: 고정홈 204: 힌지축
210: 제1결합부 211: 제1고정돌기
212: 제1누름돌기 220: 제2결합부
230: 제3결합부 240: 제1보조결합부
241: 제2고정돌기 242: 제2누름돌기
243: 걸림돌기 250: 제2보조결합부
251: 제3고정돌기 252: 제3누름돌기
260: 곡면결합부 300: 커버부
301: 힌지홈 302: 걸림홈
310: 제4결합부 311: 결합홀
312: 만입홈 313: 삽입홈
A: 제1와이퍼 암 B: 제2와이퍼 암
C: 제3와이퍼 암 D: 제4와이퍼 암
A1, B1: 상면부 A2, B2: 측면부
A3: 후크 A4: 곡면부
B11: 제1돌출부 B21: 제2돌출부
C1: 굴절부 D1: 제1핀
D2: 제2핀 D21: 제2핀 끝단부

Claims (8)

  1. 와이퍼 블레이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며 힌지부가 형성된 힌지브라켓; 및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시소(seesaw) 운동하고, 자동차의 와이퍼 암에 연결되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힌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형성된 제1측벽부와 제2측벽부;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의 외측에 각각 탄성 결합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제1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결합부;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로부터 각각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힌지브라켓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2결합부;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힌지브라켓과 이격되어 형성된 제3결합부를 포함하는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일측에 상기 제1고정돌기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제1누름돌기를 더 포함하는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단면이 도립된'U'자 형상(inverted 'U' shape)을 이루고 내측으로 후크가 형성된 제1와이퍼 암이 결합되며,
    상기 제1고정돌기에 인접하여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에 각각 탄성 결합되며 상기 후크에 걸리도록 돌출된 제2고정돌기와, 일측에 상기 제2고정돌기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된 제2누름돌기를 포함하는 제1보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에 각각 상기 제1와이퍼 암이 접하여 결합되도록 전방을 향하여 만입된 곡면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에는 하부로 개방되어 단면이 도립된'U'자 형상(inverted 'U' shape)을 이루도록 상면부 및 두 측면부로 이루어지고 전방을 항하여 상면부로부터 돌출된 제1돌출부와 두 측면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와이퍼 암의 상기 제1돌출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에 각각 탄성 결합되며 상기 제2돌출부가 걸리도록 돌출된 제3고정돌기와, 일측에 상기 제3고정돌기 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제3고정돌기 하부에 위치하는 제3누름돌기를 포함하는 제2보조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결합부에는 후방으로 굽은 후크 형태의 제3와이퍼 암이 결합되며,
    상기 제3결합부는 상기 힌지부를 내측에 수용하는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연결브라켓을 적어도 일부 덮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측벽부와 상기 제2측벽부는 서로 관통되는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측부에 상기 제1관통홀과 연통되는 결합홀을 포함하는 제4결합부를 포함하는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결합부에는 측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의 제1핀과 상기 제1핀과 나란히 연장되고 끝단부가 아래로 굴절된 제2핀을 포함하는 제4와이퍼 암이 결합되며,
    상기 제4결합부는 상기 커버부에 상기 제2핀의 일부가 수용되는 만입홈과 상기 제2핀의 끝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KR1020140046383A 2014-04-18 2014-04-18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KR101681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383A KR101681224B1 (ko) 2014-04-18 2014-04-18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PCT/KR2015/003793 WO2015160189A1 (ko) 2014-04-18 2015-04-15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6383A KR101681224B1 (ko) 2014-04-18 2014-04-18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623A true KR20150120623A (ko) 2015-10-28
KR101681224B1 KR101681224B1 (ko) 2016-12-01

Family

ID=54324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6383A KR101681224B1 (ko) 2014-04-18 2014-04-18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81224B1 (ko)
WO (1) WO20151601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25984A1 (de) * 2015-12-18 2017-06-22 Robert Bosch Gmbh Wischblattvorrichtung
EP3398822A4 (en) * 2015-12-28 2019-08-07 Gos Co. Ltd. WIPER BLADE ADAPTER ASSEMBLY
US10150452B2 (en) 2016-10-14 2018-12-11 Federal-Mogul Motorparts Llc Windscreen wiper device
FR3069510B1 (fr) * 2017-07-31 2021-03-19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pour un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et ensemble comportant un tel adaptateur
CN110626311B (zh) * 2019-10-30 2024-01-16 韶关市万博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多功能快换式雨刷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271A (ko) 1996-11-12 1998-08-05 김광호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
KR20080099013A (ko) * 2007-05-08 2008-11-12 주식회사 캐프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장치의 탑록킹 아암용 커넥터
KR20110057150A (ko) * 2008-09-13 2011-05-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와이퍼 암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힌지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US20120246860A1 (en) * 2010-03-31 2012-10-04 Valeo Systemes D'essuyage Wiper blade and wiper device for cleaning vehicle windows
JP2012525296A (ja) * 2009-04-30 2012-10-22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ワイパアームに固く結合さ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枢着式に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0030880A1 (de) * 2010-07-02 2012-01-05 Robert Bosch Gmbh Anschlussvorrichtung zum gelenkigen Verbinden eines Wischarms mit einem Wischblat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5271A (ko) 1996-11-12 1998-08-05 김광호 음성 출력레벨 조절방법
KR20080099013A (ko) * 2007-05-08 2008-11-12 주식회사 캐프 자동차 와이퍼 블레이드장치의 탑록킹 아암용 커넥터
KR20110057150A (ko) * 2008-09-13 2011-05-3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와이퍼 암에 와이퍼 블레이드를 힌지식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장치
JP2012525296A (ja) * 2009-04-30 2012-10-22 ローベルト ボツシユ ゲゼルシヤフト ミツト ベシユ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ワイパアームに固く結合さ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枢着式に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US20120246860A1 (en) * 2010-03-31 2012-10-04 Valeo Systemes D'essuyage Wiper blade and wiper device for cleaning vehicle windo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224B1 (ko) 2016-12-01
WO2015160189A1 (ko) 2015-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224B1 (ko) 다중 결합구조의 자동차용 와이퍼
US8261405B2 (en) Wiper blade assembly having rotatable auxiliary beam
US8959701B2 (en) Multi-adapter for a vehicle wiper
JP5335133B2 (ja) ワイパアームに固く結合された結合エレメントを枢着式に結合するための接続装置
US8671505B2 (en) Windshield wiper blade assembly
JP5058250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US10611343B2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US9669803B2 (en) Wiper blade
US20080289134A1 (en) Locking Device Between a Wiper Blade and a Windscreen Wiper Blade Arm
KR20120011858A (ko)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장치
JP2015003721A (ja) ワイパーブレード
KR101766944B1 (ko) 차창용 와이퍼장치
US20180126956A1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KR950014783B1 (ko) 윈드스크린와이퍼의 피봇죠인트
KR101608373B1 (ko) 와이퍼 블레이드
JP5620360B2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08504167A (ja) ワイパーレバーとワイパーレバー支持体との間の関節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関節装置を備えるワイパーアーム
JP2006089043A (ja) ワイパブレード
KR101741434B1 (ko) 윈드쉴드 와이퍼 블레이드
CN114502422B (zh) 杯架
KR101742950B1 (ko) 와이퍼 블레이드
KR101534773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KR20090099997A (ko) 공용 및 독자 와이퍼 아암 체결을 위한 와이퍼 블레이드의멀티 어댑터
JP2005297940A (ja) ワイパブレード
JP7377872B2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ブレード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