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9807A - 잡 처리장치, 잡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잡 처리장치, 잡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9807A
KR20150119807A KR1020150052875A KR20150052875A KR20150119807A KR 20150119807 A KR20150119807 A KR 20150119807A KR 1020150052875 A KR1020150052875 A KR 1020150052875A KR 20150052875 A KR20150052875 A KR 20150052875A KR 20150119807 A KR20150119807 A KR 20150119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b
user
processing apparatus
sto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토루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8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the user being informed about print result after a job sub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9Print job monitoring, e.g. job st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3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user specified instructions, e.g. user selection of reproduction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2376Inhibiting or interrupting a particular operation o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잡 처리장치에서 유저와 관련된 잡의 보존에 성공하지 않았을 경우에, 잡의 보존에 성공하지 않았다는 것을 해당 유저에게만 통지할 수 없다. 잡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잡을 유저와 관련지어서 보존하는 단계와, 성공적으로 보존되어 있지 않은 잡과 관련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단계와,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보존되어 있을 경우에, 유저가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것에 따라 잡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해당 유저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잡 처리장치, 잡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JOB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JOB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잡을 보존하고, 보존한 잡을 실행하는 잡 처리장치, 잡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투입된 인쇄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잡의 인쇄 데이터를 전개해서 인쇄하는 화상 형성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장치에서는, 인쇄 데이터의 전개 중에 메모리가 다 고갈될 수도 있다. 메모리 고갈을 해당 화상 형성장치의 조작패널 또는 해당 호스트 컴퓨터에 통지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45703호 참조).
종래의 방법은, 잡의 보존에 성공하지 않았을 경우에, 잡의 보존에 성공하지 않았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유저와 관련된 잡의 보존에 성공하지 않았을 경우에, 잡의 보존에 성공하지 않았다는 것을 해당 유저에게만 통지할 수 없다. 또한, 종래의 방법을 이용해서, 유저와 관련된 잡의 보존에 성공하지 않았을 경우에, 유저와 관련된, 보존에 성공하지 않은 잡의 정보를 해당 유저에게 통지할 수 없고, 유저와 관련된 잡의 보존에 성공했을 경우에는, 유저와 관련된, 보존에 성공한 잡의 정보를 해당 유저에게 통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의하면, 잡 처리장치는, 잡을, 유저와 관련지어서 보존하는 제1 보존수단과, 제1 보존수단에 성공적으로 보존되어 있지 않은 잡과 관련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제2 보존수단과,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하는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보존수단에 보존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 유저에 의해서,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것에 따라 잡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해당 유저에게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MultiFunctional Peripheral)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3a 및 3b는 각각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다.
도 4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차트다.
도 5a 및 5b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7은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다.
도 8a 및 8b는 각각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다.
도 9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0은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1은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3은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다.
도 14는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5는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다.
도 16은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예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7은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화면을 나타낸다.
이하,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유저와 관련된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잡을 보존한다. 그리고,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을 경우에, 보존되어 있지 않은 잡이 있다는 것을 해당 유저에게만 통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은, MFP(MultiFunctional Peripheral)(100)와 PC(Personal Computer)(101)로 구성된다. MFP(100)는 인쇄장치("잡 처리장치"라고도 부른다)의 일례이다. PC(101)은 외부 정보처리장치이다.
또한, MFP(100)는, 원고를 판독해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화상 판독 기능을 가지고 있다. MFP(100)는 또한 생성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시트에 인쇄하는 인쇄 기능(카피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MFP(100)는 PC(101) 등의 외부장치로부터 인쇄 잡을 수신하고, 인쇄 지시를 접수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문자나 화상을 시트에 인쇄하는 인쇄 기능(PC 프린트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인쇄 기능에 의한 인쇄는, 컬러여도 되고, 모노크롬이어도 된다.
MFP(100)은, LAN(Local Area Network)(102)을 통해서 PC(101)와 접속되어, PC(101)와 통신을 행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PC(101)는, LAN(102)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MFP(100)에 인쇄 잡을 투입한다. 그리고, MFP(100)는, LAN(102)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PC(101)로부터 투입된 인쇄 잡을 처리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MFP(100)와 PC(101)가 LAN(102)을 통해서 접속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MFP(100)와 PC(101)는 인터넷 등의 WAN(Wide Area Network)을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혹은, MFP(100)과 PC(101)은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을 통해서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MFP(100)과 PC(101)은 Wi-Fi(Wireless Fidelity)이나 Bluetooth(등록상표)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PC(101)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화상 데이터를 MFP(100)에 송신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PC(101)을 외부의 정보처리장치의 예로서 설명하지만, 정보처리장치는 PC(101)에 한정하지 않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이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 정보단말이어도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는, 콘트롤러부(제어부)(110), 리더(reader)부(120), 프린터부(130), 외부 인터페이스(I/F)(140), 조작부(150), 하드 디스크(HDD)(160) 및 압축/전개부(17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소자는 시스템 버스(117) 위에 배치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되어, 서로 제어 코멘드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또한, 통신부의 일례인 외부 I/F(140)는, 외부장치와 화상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외부장치는, PC(101) 이외에, 예를 들면 팩시밀리, 네트워크 접속 기기, 외부전용장치 등이다.
리더부(120)는, 스캐너 제어부(121) 및 원고 급지부(122)를 포함하고 있다. 스캐너 제어부(121)는 콘트롤러부(110)와의 통신을 제어한다. 원고 급지부(122)는 원고를 급지한다.
리더부(120)에의 원고 판독 지시는 콘트롤러부(110)로부터 스캐너 제어부(121)를 통해서 행해지고, 리더부(120)는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전기신호의 형태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리더부(120)에의 원고 판독 지시는 콘트롤러부(110)로부터 스캐너 제어부(121)를 통해서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한정하지 않는다. MFP의 리더부(120)가 스캐너 제어부(121)를 그 구성으로서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리더부(120)에의 원고 판독 지시는 콘트롤러부(11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111)로부터 직접 행해져도 된다.
한편, 프린터부(130)는, 콘트롤러부(110)와의 통신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린터 제어부(131)를 포함한다. 프린터부(130)는, 인쇄에 사용하는 시트를 수납하기 위한 시트 수납부(급지 카세트, 수동 급지 트레이 등)를 구비하는 급지부(132)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급지부(132)로서, MFP(100) 내에 포함된 복수의 급지 카세트와 수동 급지 트레이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지만, 급지부(132)는 MFP(100)에 접속되는 급지 장치 내에 포함된 급지 데크여도 된다.
또한, 프린터부(130)는, 콘트롤러부(110)의 HDD(160)에 보존된 인쇄 대상의 잡의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프린터부(130)에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 지시는 콘트롤러부(110)로부터 프린터 제어부(131)를 통해서 행해지고,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시트 수납부로부터 급지된 시트에 토너를 사용하는 화상 데이터에 의거해서 화상을 형성(인쇄)하고, 해당 화상의 전사와 정착을 행한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부(130)에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 지시는 콘트롤러부(110)로부터 프린터 제어부(131)를 통해서 행해지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러한 경우에 한정하지 않는다. MFP의 프린터부(130)가 프린터 제어부(131)를 그 구성으로서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린터부(130)에의 화상 데이터의 인쇄 지시는 콘트롤러부(110)의 CPU(111)로부터 직접 행해져도 된다.
한편, 콘트롤러부(110)는, 내부에 복수의 처리 대상이 되는 잡을 보존할 수 있는 HDD(160)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기억부)를 구비한다. HDD(160)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후술하는 압축/전개부(170)에 의해 압축된 화상 데이터 등을 보존할 수 있다. 또한, HDD(160)는, 처리 대상이 되는 인쇄 잡의 인쇄 데이터와, 인쇄 잡의 속성을 해석함으로써 추출된 서지 정보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서지 정보는, 예를 들면 잡을 수신한 일시, 수신한 잡의 기억 장소(IP 어드레스, 패스, 잡 명 등), 및 수신한 잡의 인쇄 설정 정보(컬러 모드, 용지 사이즈, 부수, 마무리 등)이다.
또한, HDD(160)는, MFP(100)에 로그인하기 위한 유저명 및 패스워드 등의 인증 정보를 보존할 수 있다. 또한, HDD(160)는, 도 5a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서지정보 테이블(500)을 보존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대용량 및 불휘발성 기억장치의 예로서 HDD(160)를 설명하지만, 어떤 대용량 및 불휘발성 기억장치는, SSD(Solid State Drive) 등의 불휘발성 메모리여도 된다.
콘트롤러부(110)는, 복수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콘트롤러부(110)는 리더부(120)가 판독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HDD(160)에 보존하고, 그 HDD(16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며, 프린터부(130)로 해당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시트에 인쇄함으로써 프린트 잡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부(110)는, 리더부(120)가 판독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코드 데이터로 변환하고, 통신부의 일례인 외부 I/F(140)을 통해서, 외부장치인 PC(101)에 송신함으로써 스캐너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부(110)는 PC(101)로부터 외부 I/F(140)을 통해 수신한 프린트 잡을 HDD(160)에 보존하고, HDD(160)로부터 판독된 코드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프린터부(130)로 해당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시트에 인쇄함으로써 인쇄 기능(PC 프린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부(110)는, CPU(111), ROM(Read-Ony Memory)(115), RAM(Random-Access Memory)(114), 리더부 I/F(112), 및 프린터 I/F(113)를 포함한다.
CPU(111)는, 이 MFP(100) 내에 포함된 각종 유닛의 처리, 동작 등을 제어한다.
ROM(115)은, 판독 전용의 메모리이며, 부트 시퀸스(boot sequences), 폰트 정보(font information) 등의 프로그램을 미리 기억하고 있다.
한편, RAM(114)은, 판독/ 재기록 가능한 메모리이며, 리더부(120)나 외부 I/F(140)로부터 보내져 온 화상 데이터, 각종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을 기억한다.또한, RAM(114)은, 도 5b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에러 정보 테이블(510)을 보존할 수 있다.
ROM(115) 또는 HDD(160)에는,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후술하는 플로차트의 각종 처리 등을 실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종의 제어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그리고나서, CPU(111)가, ROM(115) 또는 HDD(160)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RAM(114)에 해당 프로그램을 전개해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각종동작을 실행한다.
ROM(115) 또는 HDD(160)에는, 예를 들면 조작부(150)의 표시부에 각종의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이하, UI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표시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UI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약자이다. 또한, ROM(115) 또는 HDD(160)에는 조작부(15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 유저가 조작부(150)로부터 입력한 내용을 식별하고, 적절한 화면 천이나, 콘트롤러부(110)에 대한 처리 의뢰 지시를 하기 위한 UI 기능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ROM(115) 또는 HDD(160)에는, 예를 들면 CPU(111)가, 외부 I/F(140)을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한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데이터를 해석하고, PDL 데이터를 래스터 화상 데이터(비트맵 화상 데이터)에 전개한 후에, 콘트롤러부(110)에 의해 프린트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PDL 기능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콘트롤러부(110)는, 리더부(120)나 외부 I/F(140) 등의 각종 입력 유닛을 통해서 입력된 처리 대상이 되는 잡을, 이 HDD(160)에 격납(보존)하고, 이 잡을 HDD(160)로부터 판독해서 프린터부(130)에 출력해서 프린트한다. 또한, 콘트롤러부(110)는, HDD(160)로부터 판독한 잡을, 외부 I/F(140)을 통해 외부장치에 송신할 수 있게도 제어한다.
압축/전개부(170)는, JBIG(Joint Bi-level Image)나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등의 각종 압축 방식에 의해 RAM(114)이나 HDD(160)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등을 압축하거나 신장하거나 하는 처리를 행하고, RAM(114)에 다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도록 구성된 화상 처리 블록을 포함한다. 이 압축/전개부(170)에 의해 압축된 화상 데이터는, 외부 I/F(140)을 통해 외부장치에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콘트롤러부(110)는, 외부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외부 I/F(140)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외부 I/F(140)을 통해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HDD(160)에 격납할 때에 있어서, 해당 화상 데이터는 압축/전개부(170)에 의해 압축된다. 한편, HDD(160)에 격납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시트에 인쇄할 때에 있어서, 해당 화상 데이터는 압축/전개부(170)에 의해 신장된다. 또한, 콘트롤러부(110)는, 각종 출력 처리를 실행해서 HDD(160)에 격납된 처리 대상의 잡을 출력한다. 한편,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HDD(160)에 잡을 격납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휘발성의 RAM에 잡을 격납해도 된다.
리더 I/F(112)는 화상입력장치인 리더부(12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프린터 I/F(113)는 화상출력장치인 프린터부(130)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콘트롤러부(110)는, 리더 I/F(112)나 프린터 I/F(113)을 통해서 화상 데이터의 동기계/비동기계의 변환이나 제어를 행한다.
또한, MFP(100)는, 유저 인터페이스부의 일례에 해당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조작부(15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의 조작부(150)는, 표시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와 하드 키(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를 포함한다. 표시부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LCD 위에 부착된 투명 전극(정전 용량 방식을 사용해도 된다)으로 이루어지는 터치 패널 시트로 구성된다. LCD에는, 조작 화면 및/또는 MFP(100)의 상태가 표시된다. 조작부(150)는, 해당 조작 화면 또는 하드 키를 통해서 유저로부터의 각종 설정을 접수하는 기능을 갖는다. 조작부(150)는, 또한 유저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1에 나타낸 리더부(120) 및 프린터부(130)의 단면도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다.
이하, 프린터부(130)에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화상을 시트에 출력하는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린터부(130)에 전송된 화상 데이터는, 레이저 유닛(222)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레이저 빔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이 레이저 빔은 감광체 드럼 223∼226에 조사되어, 감광체 드럼 223∼226에는 레이저 빔에 대응하는 잠상이 형성된다. 이 감광체 드럼 223∼226의 잠상 부분에는 현상 유닛 227∼230에 의해 토너가 인가된다. 또한, 컬러 프린터에는, 시안, 옐로, 마젠타, 및 블랙용으로, 감광체 드럼 및 현상 유닛이 4개씩 구비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부(130)는, 급지부(132)에 포함되어 있는 시트 수납부로서 급지 카세트 251∼254 및 수동 급지 트레이(250)를 가지고 있다. 급지 카세트 251∼254는 인출형의 형상이다. 급지 카세트 251∼254 및 수동 급지 트레이(250)의 각각은, 복수매의 시트를 유지할 수 있다. 프린터부(130)는, 급지 카세트 및 수동 급지 트레이를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또는 급지 카세트 및 수동 급지 트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는 4개의 급지 카세트와 1개의 수동 급지 트레이를 구비하고 있는 MFP(100)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프린터부(130)에서는, 급지 카세트 251∼254 및 수동 급지 트레이(250) 중 어느 하나로부터 시트를 급지하고, 감광체 드럼 223∼226에 부착된 토너를 시트에 전사한다. 그 후에, 시트를 정착기(233)에 반송해서 열과 압력에 의해 토너를 시트에 정착한다. 시트를 급지하도록 구성된 시트 수납부의 설정값으로서, HDD(160)에 보존된 시트의 평량(grammage) 등의 속성 정보에 의거하여 정착기의 온도나 시트의 반송 속도가 제어된다. 정착기(233)를 통과한 시트는, 반송 롤러 234, 235에 의해 배지 트레이(236)에 배출된다.
배지부로서의 배지 트레이(236)를 구비하지 않는 MFP에 있어서는, 정착기(233)를 통과한 시트가, 배지부로서의 몸통 내에 배지되어도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 및 현상 유닛을 4개씩 구비하는 컬러 프린터를 사용했을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광체 드럼과 현상 유닛을 1개씩 구비하는 모노크롬 프린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화상을 시트에 인쇄하는 전자사진 방법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잉크젯 방식이나 그 밖의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의 인쇄 기능, 프린터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여, PC(101)로부터 MFP(100)에 인쇄 잡이 투입된다.
예를 들면, PC(101)의 조작부 (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표시된, 도 3a에 도시한 프린터 드라이버 화면(300) 위에서, 유저는, 인쇄 잡의 실행에 사용하는 MFP(100)(프린터명 301)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인쇄 설정(302)으로서, 예를 들면, 컬러 모드, 용지 사이즈, 부수, 마무리 등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인쇄 잡의 출력 모드(303)로서, 예를 들면 "인쇄", "시큐어 프린트(secure print)", "암호화 시큐어 프린트", "보존", "홀드" 등을 지정할 수 있다.
출력 모드(303)로서, 예를 들면 "인쇄"가 지정된 경우에는, 프린터 드라이버가 제공하는 인쇄 스타일 지정 기능으로 지정된 인쇄 설정(302)을 반영하는 PDL 데이터 등의 인쇄 데이터가 작성된다. 그리고, 유저에 의해 지정된 MFP(100)에 대하여, 유저 정보(예를 들면, PC(101)의 로그인명, 인증한 유저 ID(IDentification) 등)와 관련된 인쇄 잡을 송신한다. 또한, 인쇄 잡과 관련되는 유저 정보는, 예를 들면 PC(101)의 로그인명과 인증한 유저 ID다. 혹은, 유저에 의해, 도 3a의 프린터 드라이버 화면(300) 상의 OK 버튼(304)이 눌러졌을 때, PC(101)의 조작부(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에 도 3b에 나타낸 확인 화면(310)을 표시한다. 이 경우에는, 확인 화면(310) 위에서 유저가 입력한 유저명(311)을 인쇄 잡과 관련지어도 된다. 그리고나서, MFP(100)는, 유저 정보와 관련된 인쇄 잡을 수신하고, 인쇄를 실행한다.
출력 모드(303)로서, 예를 들면 "보존"이나 "홀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인쇄 설정(302)을 반영하는 PDL 데이터 등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리고나서, 유저에 의해 지정된 MFP(100)에 대하여, 유저 정보와 관련된 인쇄 잡을 송신한다. 그 다음, MFP(100)는, 유저 정보와 관련된 인쇄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 잡을 HDD(160)에 보존한다.
출력 모드(303)로서, 예를 들면 "시큐어 프린트"가 지정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3b에 나타낸 확인 화면(310)에 의해, 유저 명(311) 및 패스워드(312)의 입력을 유저에 요구한다. 그리고나서, 인쇄 설정(302)을 반영하는 PDL 데이터 등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 다음, 유저에 의해 지정된 MFP(100)에 대하여,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와 관련된 인쇄 잡을 송신한다. 그리고, MFP(100)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와 관련된 인쇄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 잡을 HDD(160)에 보존한다.
출력 모드(303)로서, 예를 들면 "암호화 시큐어 프린트"가 지정된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3b에 나타낸 확인 화면(310)에 의해, 유저명(311) 및 패스워드(312)의 입력을 유저에 요구한다. 그리고나서, 인쇄 설정(302)을 반영하는 PDL 데이터 등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한다. 그 다음, 해당 인쇄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유저에 의해 지정된 MFP(100)에 대하여,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와 관련된 인쇄 잡을 송신한다. 그리고나서, MFP(100)는,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유저 정보와 관련된 인쇄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인쇄 잡을 HDD(160)에 보존한다.
계속해서,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수신한 잡의 서지정보 및 인쇄 데이터를 HDD(160)에 보존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콘트롤러부(110)의 CPU(111)가, ROM(115) 또는 HDD(160)로부터 판독되어, RAM(114)에 전개된 PDL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스텝 S401에 있어서, CPU(111)는, 외부 I/F(140)을 통해 잡을 수신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한, 스텝 S401에서 수신되는 잡은, 예를 들면 전술한 도 3a의 프린터 드라이버 화면(300)을 통해서 PC(101)로부터 MFP(100)에 투입된 잡이다. 스텝 S401의 판정의 결과로서, CPU(111)가 잡을 수신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4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2로 진행된다. 한편, 잡을 수신할 때까지, 스텝 S401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402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401에서 잡을 수신한 MFP(100)의 강제 유치 설정은 ON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강제 유치 설정을 ON으로 할지 OFF로 할지 여부를, 유저(관리자)에 의해 MFP(100)마다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강제 유치란, 유저 정보와 관련된 인쇄 잡을 수신했을 경우에 수신한 인쇄 잡을 강제적으로 HDD(160)에 보존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강제 유치 설정이 ON인 경우에는, 프린터 드라이버의 출력 모드(303)로서, 예를 들면 "인쇄"가 지정되었을 경우에도, MFP(100)에 투입된 잡을 강제적으로 HDD(160)에 보존한다.
스텝 S402에서의 판정의 결과로서, CPU(111)는 강제 유치 설정이 ON이라고 판정하면(스텝 S40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3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02에서, CPU(111)가 강제 유치 설정이 ON이 아니라고 판정하면(스텝 S402에서 NO), 처리가 스텝 S410로 진행된다.
스텝 S403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의 설정을 해석하고, 해당 잡이 강제 유치 대상인지 여부(즉, 잡이 강제적으로 HDD(160)에 보존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잡을 투입한 유저 정보가 지정되지 않은(미설정) 경우에는, 잡을 수신한 MFP(100)의 강제 유치 설정이 가령 ON이어도, 해당 잡을 강제 유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켜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잡을 투입한 유저 정보가 특정한 유저인 경우에는, 잡을 수신한 MFP(100)의 강제 유치 설정이 가령 ON이어도, 해당 잡을 강제 유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켜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잡의 투입원의 IP 어드레스가 특정한 IP 어드레스인 경우에는, 잡을 수신한 MFP(100)의 강제 유치 설정이 가령 ON이어도, 해당 잡을 강제 유치 대상으로부터 제외시켜도 된다. 또한, 강제 유치 대상으로 하는 잡을 설정하는 각종의 조건은 유저(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스텝 S403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는 잡이 강제 유치 대상이라고 판정하면(스텝 S40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4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03에서, CPU(111)는 잡이 강제 유치 대상이 아니라고 판정하면(스텝 S403에서 NO), 처리가 스텝 S410로 진행된다.
스텝 S404에 있어서, CPU(111)는, 수신한 잡의 속성을 해석하고, 서지 정보의 추출에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한, 서지정보는, 예를 들면 잡을 수신한 일시(501), 수신한 잡의 기억 장소(502)(IP 어드레스, 패스, 잡 명 등), 및 수신한 잡의 인쇄 설정(503)(컬러 모드, 용지 사이즈, 부수, 마무리 등)을 나타낸다.
또한, 복수대의 MFP(100)가 LAN(102)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을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수신한 잡의 인쇄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MFP(100)(MFP(100)를 "스토리지기"라고 부른다)와, 서지 정보를 등록(보존)하기 위한 MFP(100)(MFP(100)를 "서지 서버기"라고 부른다)와, 잡을 실행하기 위한 MFP(100)(MPF(100)를 "출력기"라고 부른다)가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서지 정보에서는, 수신한 잡의 기억 장소(IP 어드레스 및 패스)가 관리되고 있다.
스텝 S404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서지정보의 추출에 성공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40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5로 진행된다. 한편, CPU(111)가 서지정보의 추출에 실패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404에서 NO), 도 4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서지 정보의 추출에 실패한 경우는, 예를 들면, 유저 정보가 미설정된 잡이 투입되었기 때문에, 잡의 속성을 해석할 수 없는 경우다. 또한, CPU(111)가 스텝 S404에서 서지정보의 추출에 실패했다고 판정하면, 서지 정보의 추출에 실패했다는 것을 유저에 통지하고나서, 도 4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스텝 S405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으로부터 추출된 인쇄 데이터를 HDD(160)에 보존하고, 처리는 스텝 S406로 진행된다. 또한, 인쇄 데이터는, 프린터 드라이버가 제공한 인쇄 스타일 지정 기능으로 지정된 인쇄 설정(302)을 반영하여 작성된 PDL 데이터 등이다.
스텝 S406에 있어서, CPU(111)는, HDD(160)에 인쇄 데이터를 보존하는 것에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406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인쇄 데이터를 HDD(160)에 보존하는 것에 성공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40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07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06에서, CPU(111)가 인쇄 데이터를 HDD(160)에 보존하는 것에 실패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406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9로 진행된다. 또한, 인쇄 데이터의 보존에 실패했을 경우는, 예를 들면 인쇄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HDD(160)의 빈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와, HDD(160)에 보존하는 인쇄 데이터의 파일 사이즈가, HDD(160)에 보존가능한 인쇄 데이터의 파일 사이즈를 넘는 경우와, HDD(160)에 보존하는 잡의 수가, HDD(160)에 보존가능한 1유저당의 잡의 수의 상한을 넘는 경우다.
스텝 S407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으로부터 추출된 서지 정보를 HDD(160)에 보존하고, 그 후에 처리는 스텝 S408로 진행된다.
스텝 S408에 있어서, CPU(111)는, HDD(160)에 서지정보를 보존하는 것에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HDD(160)에 보존된 서지정보는, 도 5a의 서지정보 테이블(500)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명(504)에 의거하여 잡을 투입한 유저마다 관리된다. 도 5a의 서지 정보 테이블(500)의 예에서는, UserA의 서지정보와, UserB의 서지정보와, UserC의 서지정보를 각각 관리하고 있다. 예를 들면, 서지 정보 테이블(500)은 UserA에 의해 MFP(100)에 투입된 잡(잡명: "AAA.ppt")이, "2012년 4월 10일의 10시 34분 45초"에 수신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해당 잡의 기억 장소에 관해서는, IP 어드레스가 "192.168.2.11"이고, 패스가 "/printdata/0015/xxx"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서지 정보 테이블(500)은, 해당 잡의 인쇄 설정이 A3, 풀 컬러, 마무리는 호치키스(좌측 위), 및 100부 인쇄하는 것을 나타낸다.
스텝 S408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서지정보의 보존에 성공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408에서 YES), HDD(160)에 수신한 잡을 보존하는 것에 성공했다고 간주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408에서, CPU(111)가 서지 정보의 보존에 실패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408에서 NO), 처리가 스텝 S409로 진행된다. 서지정보의 보존에 실패한 경우는, 예를 들면 서지정보를 보존하기 위한 HDD(160)의 빈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다.
스텝 S409에 있어서, CPU(111)는, RAM(114)에 보존된 도 5b에 나타내는 에러 정보 테이블(510)에 대하여, 스텝 S401에서 수신된 잡과 관련된 유저 정보를 등록한다. RAM(114)에 보존된 에러 정보 테이블(510)은, HDD(160)에 보존하는 것에 실패한 잡을 투입한 유저의 정보(유저명 511)를 관리하고 있다. 하나의 예로서 도 5b에 나타낸 에러 정보 테이블(510)은, UserA에 의해 투입된 잡의 보존에 실패한 것과, UserC에 의해 투입된 잡의 보존에 실패한 것을 나타낸다. 스텝 S409에 나타낸 처리 후에, 도 4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410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의 출력 모드가 "인쇄"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잡의 출력 모드는, 프린터 드라이버에 의해 지정된 출력 모드(303)에 의해 결정된다. 스텝 S410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출력 모드가 "인쇄"라고 판정하면(스텝 S410에서 YES), 처리가 스텝 S411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10에서, CPU(111)가 출력 모드가 "인쇄"가 아니라고 판정하면(스텝 S410에서 NO), 처리가 스텝 S412로 진행된다. 스텝 S410에서, CPU(111)가 출력 모드가 "인쇄"가 아니라고 판정한 경우는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의 출력 모드로서, 예를 들면 "시큐어 프린트", "암호화 시큐어 프린트", "보존", "홀드" 등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다.
스텝 S411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의 실행을 요구하고, 프린터 드라이버로 지정된 인쇄 설정(302)(예를 들면, 컬러 모드, 용지 사이즈, 부수, 마무리 등)에 의거하여 인쇄를 실행한다. 인쇄를 실행할 때에 있어서, 프린터부(130)는, 시트 수납부의 설정 값으로서 HDD(160)에 보존된 시트의 평량 등의 속성정보에 의거하여 정착기의 온도 및 시트의 반송 속도를 제어한다. 스텝 S411의 처리 후에, 도 4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412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의 실행을 요구하고, 해당 잡을 HDD(160)에 보존한다. 스텝 S412의 처리 후에, 도 4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수신한 잡의 인쇄 데이터 및 서지 정보를 HDD(160)에 보존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이다.
잡을 수신한 MFP(100)의 강제 유치 설정이 ON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잡을 강제적으로 HDD(160)에 보존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린터 드라이버의 출력 모드(303)로서 "강제 유치 설정"를 지정하여, MFP(100)에 잡을 투입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에는, 잡을 수신한 MFP(100)에 있어서의 강제 유치 설정이 가령 OFF여도, 수신한 잡을 강제적으로 HDD(160)에 보존해도 된다.
계속해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인증한 유저의 잡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도 6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콘트롤러부(110)의 CPU(111)가, ROM(115) 또는 HDD(160)로부터 판독되어 RAM(114)에 전개된 UI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잡 리스트는, 도 8a의 잡 리스트 화면(8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부(150)에 표시되는 HDD(160)에 보존된 잡에 관한 서지 정보를 나타낸다. 유저는, 도 8a에 나타낸 잡 리스트 화면(800)으로부터 임의의 잡을 선택하고, 선택한 잡의 실행 지시를 행할 수 있다.
스텝 S601에 있어서, CPU(111)는, MFP(100)에 로그 인하기 위한 도 7에 나타낸 인증 화면(700)을 조작부(150)에 표시하고, 처리는 스텝 S602로 진행된다.
스텝 S602에 있어서, CPU(111)는, 유저가 소정의 유저 정보(예를 들면, 유저명 701 및 패스워드 702)를 입력하고, 인증 화면(700) 상의 로그인 버튼(703)을 눌렀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11)가 로그인 버튼(703)이 눌러졌다고 판정하면(스텝 S602에서 YES), 처리가 스텝 S603로 진행된다. 로그인 버튼(703)이 눌러질 때까지, 스텝 S602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603에 있어서, CPU(111)는, 인증 화면(700) 위에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유저 정보에 의거하여 HDD(160)에 보존된 유저명 및 패스워드 등의 인증 정보를 대조하여 확인함으로써 인증을 실행하고, 처리가 스텝 S604로 진행된다.
스텝 S604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603에서 실행된 인증이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111)가 인증에 성공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604에서 YES), 처리가 스텝 S606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604에서, CPU(111)가 인증에 실패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604에서 NO), 처리가 스텝 S605로 진행된다.
스텝 S605에 있어서, CPU(111)는, 인증에 실패했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고, 처리는 스텝 S602로 되돌아간다.
스텝 S606에 있어서, CPU(111)는, HDD(160)에 보존된 도 5a에 나타내는 서지 정보 테이블(500)을 참조하고, 처리는 스텝 S607로 진행된다. 또한, 서지 정보 테이블(500)을 참조할 때에, 서지 정보 테이블(500)에 등록된 유저명 504를 키로서 사용해서 인증한 유저의 유저명 701이 검색된다. 검색의 결과, 유저명 504과 유저 명 701이 비교되고, 인증한 유저에 관한 서지 정보만이 참조된다.
스텝 S607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606에서 참조된 결과에 의거해, 인증한 유저에 관한 서지 정보를 취득하고, 처리는 스텝 S608로 진행된다. 도 5에 나타낸 서지 정보 테이블(500)의 예에서는, 인증한 유저의 유저명 701이 "UserA"인 경우에는, 서지 정보 테이블(500)에 등록된 서지정보 중, 유저명 504가 "UserA"인 서지 정보만이 취득된다.
스텝 S608에 있어서, CPU(111)는, RAM(114)에 보존되어 있는 에러 정보 테이블(510)을 참조하고, 처리는 스텝 S609로 진행된다. 에러 정보 테이블(510)을 참조할 때에, 에러 정보 테이블(510)에 등록된 유저명 511을 키로서 사용하여, 인증한 유저의 유저명 701이 검색된다.
스텝 S609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608에서 참조된 결과에 의거해, 인증한 유저에 관한 정보(유저명)가 에러 정보 테이블(510)에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609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는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정하면(스텝 S609에서 YES), 처리가 스텝 S611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609에서, CPU(111)는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스텝 S609에서 NO), 처리가 스텝 S610로 진행된다.
스텝 S610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607에서 취득된 서지 정보(즉, 인증한 유저에 관한 서지정보)를 조작부(150)(잡 리스트)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8a의 잡 리스트 화면(8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증한 유저(UserA)에 의해 MFP(100)에 투입되었으며, HDD(160)에 보존하는 것에 성공한, 잡에 관한 서지 정보가 잡 리스트에 표시된다. 스텝 S610의 처리 후에, 도 6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611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607에서 취득된 서지 정보(즉, 인증한 유저의 서지 정보), 및 인증한 유저에 관한 에러 정보를 조작부(150)(잡 리스트)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8b의 잡 리스트 화면(8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인증한 유저(UserA)에 의해 MFP(100)에 투입되었으며, HDD(160)에 보존하는 것에 성공한, 잡에 관한 서지정보가 잡 리스트에 표시된다. 또한, 인증한 유저에 관한 보존 에러 정보(즉, 인증한 유저에 의해 MFP(100)에 투입되어, 수신시에 보존할 수 없었던, 잡이 있는 것)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메시지 803이 도 8b에 나타낸 잡 리스트 화면(810)에 표시된다. 스텝 S611의 처리 후에, 도 6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인증한 유저의 잡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이다.
스텝 S601∼S604에 있어서는, MFP(100)에 로그인하기 위한 인증이, 도 7에 나타낸 인증 화면(700) 위에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유저 정보에 근거해서 실행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MFP(100)에 로그인할 때에는, IC(Integrated Circuit) 카드에 미리 등록된 유저 ID 및 패스워드 등의 유저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인증이 행해져도 된다.
스텝 S611에 있어서, 메시지 803을 도 8b에 나타낸 잡 리스트 화면(810)에 표시함으로써, 인증한 유저에 관한 보존 에러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하는 경우에 대해서 도 8b에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인증한 유저에 의해 투입되었으며, 수신시에 보존할 수 없었던 잡이 있다는 것을 유저가 쉽게 확인가능하면, 인증한 유저에 관한 보존 에러 정보를 어떤 다른 형태로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면, 조작부(150)에 팝업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표시함으로써, 인증한 유저에 관한 보존 에러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혹은, 그 밖의 식별가능한 마크,소리나 빛을 이용해서, 인증한 유저에 관한 보존 에러 정보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또한, 인증한 유저에 관한 보존 에러 정보로서, 수신시에 보존할 수 없었던 잡에 관한 상세정보(예를 들면, 잡 명, 잡을 수신한 일시, 잡을 보존할 수 없었던 원인 등)를, 도 8b에 나타낸 잡 리스트 화면(810)에 더 통지해도 된다.
이상이,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HDD(160)에 보존된 잡을 실행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이다. 이 처리는, 콘트롤러부(110)의 CPU(111)가, ROM(115) 또는 HDD(160)로부터 판독되어, RAM(114)에 전개된 PDL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또한, 이 처리는, 잡 리스트가 조작부(150)에 표시된 상태로 개시된다.
스텝 S901에 있어서, CPU(111)는, HDD(160)에 보존된 잡의 실행 지시를 접수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8b의 잡 리스트 화면(810)에 표시된 각 잡에 관한 서지 정보의 리스트로부터 임의의 서지 정보가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서, 프린트 시작 버튼(802)이 눌러지면, 해당 잡의 실행 지시를 접수할 수 있다. 스텝 S901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잡 실행 지시를 접수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9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902로 진행된다. 한편, 잡 실행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스텝 S901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902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901에서 잡 실행 지시를 접수한 잡에 관한 서지 정보를 해석하고, 처리는 스텝 S903로 진행된다.
스텝 S903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901에서 잡 실행 지시를 접수한 잡의 인쇄 데이터를 HDD(160)로부터 취득하고, 처리는 스텝 S904로 진행된다.
스텝 S904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902에서 해석된 서지 정보(예를 들면, 인쇄 설정 정보), 및 스텝 S903에서 취득된 인쇄 데이터에 의거하여 스텝 S901에서 잡 실행 지시를 접수한 잡을 실행하고, 처리는 스텝 S905로 진행된다.
스텝 S905에 있어서, CPU(111)는, RAM(114)에 보존되어 있는 에러 정보 테이블(510)을 참조하고, 처리는 스텝 S906로 진행된다. 에러 정보 테이블(510)을 참조할 때에, 에러 정보 테이블(510)에 등록된 유저명(511)을 키로서 사용해서, 인증한 유저의 유저명(701)이 검색된다.
스텝 S906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905에서 참조된 결과에 의거해서, 인증한 유저에 관한 정보(유저명)가 에러 정보 테이블(510)에 등록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906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고 판정하면(스텝 S906에서 YES), 처리가 스텝 S907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906에서, CPU(111)가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하면(스텝 S906에서 NO), 도 9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907에 있어서, CPU(111)는, 에러 정보 테이블(510)에 등록되어 있는 유저의 정보(유저명) 중, 인증한 유저에 관한 정보(유저명)를 삭제한다. 예를 들면, 인증한 유저의 유저명이 "UserA"인 경우에는, 에러 정보 테이블(510)에 등록되어 있는 "UserA"가 삭제된다. 인증한 유저에 관한 에러 정보가 에러 정보 테이블(510)로부터 삭제됨에 따라, 도 8b의 잡 리스트 화면(800)에 표시되어 있는 에러 정보의 메시지 803을 소거해도 된다. 스텝 S907의 처리 후에, 도 9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HDD(160)에 보존된 잡을 실행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이다.
HDD(160)에 보존된 잡의 실행 지시를 접수한 다음에, 해당 잡이 실행될 때 인증한 유저에 관한 에러 정보를 에러 정보 테이블(510)로부터 삭제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8b의 잡 리스트 화면(810)에 표시된 잡의 서지 정보 중에서 임의의 서지 정보가 선택될 때 인증한 유저에 관한 에러 정보를 에러 정보 테이블(510)로부터 삭제해도 된다. 혹은, 도 8b의 잡 리스트 화면(810)에, 보존 에러 정보의 메시지 803이 표시되고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인증한 유저에 관한 에러 정보를 에러 정보 테이블(510)로부터 삭제해도 된다. 혹은, 유저가 MFP(100)로부터 로그 아웃할 때, CPU(111)는, 인증한 유저에 관한 에러 정보를 에러 정보 테이블(510)로부터 삭제해도 된다. 다시 말해, 인증한 유저가 MFP(100)로부터 로그 아웃한 후, 인증한 유저가 MFP(100)에 다시 로그 온 했을 때에, 도 8b의 잡 리스트 화면(810)에, 인증한 유저에 관한 에러 정보의 메시지 803가 표시되지 않는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유저 정보와 관련된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을 경우에 있어서, 에러 정보 테이블(510)에 해당 유저 정보를 등록한다. 그리고나서, 유저가 인증되면, 인증한 유저에 의해 투입된 잡 중에서, 보존에 실패한 잡이 있다는 것을 해당 유저에게 통지한다. 이렇게, 다른 유저에 의해 투입된 잡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인증한 유저에 의해 투입된 잡 중에서만 보존에 실패한 잡이 있는지 아닌지를 인증한 유저가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MFP(100)에 로그인하기 위한 인증이 행해질 경우에 대해서 상정했다. 상술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유저 정보와 관련된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을 경우에, RAM(114)에 보존된 에러 정보 테이블(510)에 해당 유저 정보를 등록한다. 그리고, 유저가 인증되면, 인증한 유저에 의해 투입된 잡 중에서 보존에 실패한 잡이 있다는 것을 해당 유저에게 통지한다.
한편,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MFP(100)에 로그인하기 위한 인증이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 대해서 상정한다. 유저 정보와 관련된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을 경우에, CPU(111)는, HDD(160)에 보존된 서지 정보 테이블(도 11)에 보존 실패 정보를 등록한다. 한편, 수신한 잡의 보존에 성공했을 경우에는, CPU(111)는, 서지 정보 테이블에 보존 성공 정보를 등록한다. 다음에, 잡 리스트가 표시되면, 보존에 실패한 잡과 보존에 성공한 잡의 각각을 유저 정보와 관련지어서 유저에게 통지한다. 이 경우에 대해서 제2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이하에 설명한다.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는, 수신한 잡의 서지 정보 및 인쇄 데이터를 HDD(160)에 보존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일부가 제1 예시적인 실시예(도 4)와 다르다.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는 다른 스텝을 중심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의 스텝과 비슷한 스텝은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부착하고, 그 스텝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서지 정보 테이블(11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시(501), 기억 장소(502), 및 인쇄 설정(503)에 더해서, 유저명(정보)(1101) 및 보존 결과(1102)가 서지 정보로서 등록된다. 보존 결과(1102)는, HDD(160)에 대하여 수신한 잡의 보존이 성공했는지 아닌지에 관한 정보다.
도 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텝 S403에서, CPU(111)가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이 강제 유치 대상이라고 판정하면(스텝 S40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1로 진행된다.
스텝 S1001에서, CPU(111)는, 수신한 잡의 속성을 해석하고, 서지 정보의 추출에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1001의 처리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한 도 4의 스텝 S404에 대응한다. 스텝 S1001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서지 정보의 추출에 성공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10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2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1001에서, CPU(111)가 서지 정보의 추출에 실패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1001에서 NO), 도 10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CPU(111)가 서지 정보의 추출에 실패했다고 판정하면, 서지 정보의 추출에 실패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고나서, 도 10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스텝 S1002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으로부터 추출된 서지 정보를 HDD(160)에 보존하고, 처리는 스텝 S1003으로 진행된다. 스텝 S1002의 처리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술한 도 4의 스텝 S407에 대응한다.
스텝 S1003에 있어서, CPU(111)는, HDD(160)에 대하여 서지 정보의 보존에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1003의 처리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설명한 도 4의 스텝 S408에 대응한다. 스텝 S1003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서지 정보의 보존에 성공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1003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4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1003에서, CPU(111)가 서지 정보의 보존에 실패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1003에서 NO), 도 10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03에서, CPU(111)가 서지 정보의 보존에 실패했다고 판정하면, 서지정보의 보존에 실패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고나서, 도 10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해도 된다.
스텝 S1004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으로부터 추출된 인쇄 데이터를 HDD(160)에 보존하고, 처리가 스텝 S1005로 진행된다. 또한, 스텝 S1004의 처리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설명한 도 4의 스텝 S405에 대응한다.
스텝 S1005에 있어서, CPU(111)는, HDD(160)에 대하여 인쇄 데이터의 보존에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스텝 S1005의 처리는, 제1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설명한 도 4의 스텝 S406에 대응한다. 스텝 S1005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인쇄 데이터의 보존에 성공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1005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006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1005에서, CPU(111)가 인쇄 데이터의 보존에 실패했다고 판정하면(스텝 S1005에서 NO), 처리가 스텝 S1007로 진행된다.
스텝 S1006에 있어서, HDD(160)에 보존된 서지 정보 테이블(1100)에, 보존 성공 정보(OK)를 등록한다. "보존 성공"는, HDD(160)에 대하여 수신한 잡의 보존에 성공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1의 서지 정보 테이블(11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serB에 의해 투입된 잡(잡 명:DDD.txt)의 보존 결과(1102)로서, OK(보존 성공)이 등록된다. 스텝 S1006의 처리 후에, 도 10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007에 있어서, HDD(160)에 보존된 서지 정보 테이블(1100)에, 보존 실패 정보(NG)를 등록한다. "보존 실패"는, HDD(160)에 대하여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1의 서지 정보 테이블(11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serC에 의해 투입된 잡(잡 명:EEE.jpg)의 보존 결과(1102)로서, NG(보존 실패)가 등록된다. 스텝 S1007의 처리 후에, 도 10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수신한 잡의 서지 정보 및 인쇄 데이터를 HDD(160)에 보존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에 포함된 스텝 중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는 다른 스텝의 상세이다.
계속해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잡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도 12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콘트롤러부(110)의 CPU(111)가, ROM(115) 또는 HDD(160)로부터 판독되어 RAM(114)에 전개한 UI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또한, 이하에 설명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서는, MFP(100)에 로그인하기 위한 인증은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잡 리스트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잡 리스트 화면(13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지 정보의 보존에 성공한 잡은, 해당 잡(인쇄 데이터)의 보존 결과(1302)를, 유저 정보(1301)와 관련지어서 일람 형식으로 표시된다. 도 13에 나타낸 잡 리스트 화면(1300)은, 조작부(150)에 표시된다.
스텝 S1201에 있어서, CPU(111)는, 잡 리스트의 표시 지시를 받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잡 리스트 화면(1300)은,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부(150)에 표시된 버튼(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누름으로써 호출된다. 스텝 S1201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표시 지시를 받았다고 판정하면(스텝 S12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202로 진행된다. 한편, 표시 지시를 받을 때까지, 스텝 S1201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202에 있어서, CPU(111)는, HDD(160)에 보존된 도 11에 나타낸 서지정보 테이블(1100)을 참조하여, 모든 서지정보를 취득하고, 그 다음 처리가 스텝 S1203로 진행된다. 스텝 S1202에서는, 서지정보로서, 일시(501), 기억 장소(502), 인쇄 설정(503)에 더해서, 유저명(1101) 및 보존 결과(1102)가 취득된다.
스텝 S1203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1202에서 취득된 서지 정보를 조작부(150)(잡 리스트)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3의 잡 리스트 화면(13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serA에 의해 MFP(100)에 투입되고, 잡 명이 "AAA.ppt"인 잡의 보존 결과(1302)는 실패(NG)이다. 한편, UserA에 의해 MFP(100)에 투입되며, 잡 명이 "BBB.txt"인 잡의 보존 결과(1302)는 "성공"(OK)이다. 그 때문에, 유저는 보존 결과(1302)가 성공(OK)인 잡을 선택하여, 해당 잡의 실행 지시를 행할 수 있다. 보존 결과(1302)가 실패(NG)인 잡에 대해서는, 유저는, 잡의 설정의 변경 등을 변경한 후에, PC(101)로부터 MFP(100)로 다시 잡을 투입하면 된다. 스텝 S1203의 처리 후에, 도 12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 위에 잡 리스트를 표시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이다. 도 13의 잡 리스트 화면(1300)에 수신한 잡의 보존에 성공했다는 것을 "OK"로 표시하고,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다는 것을 "NG"로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잡의 보존에 성공한 것과, 잡의 보존에 실패한 것을, 유저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예를 들면, 잡 리스트 화면(1300)에 팝업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표시함으로써, 보존 결과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혹은, 그 밖의 식별가능한 마크, 소리, 또는 빛을 이용해서 보존 결과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또한, 보존 결과로서, 수신시에 보존할 수 없었던 잡에 관한 상세 정보(예를 들면, 잡을 보존할 수 없었던 원인 등)를 다시 한번 통지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유저 정보와 관련된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을 경우에, 서지 정보 테이블(1100)에 보존 실패 정보(NG)을 등록한다. 한편, 수신한 잡의 보존에 성공했을 경우에는, 서지 정보 테이블(1100)에 보존 성공 정보(OK)를 등록한다.
그리고, 잡 리스트가 표시될 때, 보존에 실패한 잡과 보존에 성공한 잡의 각각을 유저 정보와 관련지어서 유저에게 통지한다. 이렇게, 유저는, 자기가 투입한 잡 중, 보존에 실패한 잡과 보존에 성공한 잡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MFP(100)에 로그인하기 위한 인증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상정한다. 유저 정보와 관련된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을 경우에, HDD(160)에 보존된 잡 이력 테이블(도 15)에 보존 실패 정보를 등록한다. 한편, 수신한 잡의 보존에 성공했을 경우에, 잡 이력 테이블에 보존 성공 정보를 등록한다. 그리고, 잡 이력이 표시되면, 보존에 실패한 잡과 보존에 성공한 잡의 각각을 유저 정보와 관련지어서 유저에게 통지한다. 이 경우에 대해서는 제3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이하에 설명할 것이다.
잡 이력 정보는, 도 15의 잡 이력 테이블(15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서지정보의 추출에 성공한 잡에 관한 이력 정보로서, 수신한 잡의 일시(1501), 수신한 잡의 종별(1503), 및 수신한 잡의 잡 명(1504)을 관리한다. 또한, 잡을 투입한 유저의 부문 ID(1502), 잡을 투입한 유저에 관한 유저 정보(1505), 및 수신한 잡의 보존 결과(1506)가 관리된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잡 이력 테이블(1500)은, HDD(160)에 보존된다.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서는, 수신한 잡의 서지 정보 및 인쇄 데이터를 HDD(160)에 보존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일부가, 제1 실시예(도 4)와는 다르다. 여기에서,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는 다른 스텝을 중심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및 제2 예시적인 실시예와는 공통이 되는 스텝은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부착하고, 그 스텝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텝 S406에서, CPU(111)가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으로부터 추출한 인쇄 데이터의 보존에 실패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406에서 NO), 처리가 스텝 S1402로 진행된다.
또한,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텝 S408에서, CPU(111)가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으로부터 추출한 인쇄 데이터의 보존에 성공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408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401로 진행된다. 한편, 스텝 S408에서, CPU(111)가 스텝 S401에서 수신한 잡으로부터 추출한 인쇄 데이터의 보존에 실패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스텝 S408에서 NO), 처리가 스텝 S1402로 진행된다.
스텝 S1401에 있어서, HDD(160)에 보존된 잡 이력 테이블(1500)에, 보존 성공 정보(OK)를 등록한다. 또한, "보존 성공"은, HDD(160)에 대하여 수신한 잡의 보존에 성공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5의 잡 이력 테이블(15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serB에 의해 투입된 잡(잡 명:DDD.txt)의 보존 결과(1506)로서, OK(보존 성공)이 등록된다. 스텝 S1401의 처리 후에, 도 14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1402에 있어서, HDD(160)에 보존된 잡 이력 테이블(1500)에, 보존 실패 정보(NG)를 등록한다. 또한, "보존 실패"는, HDD(160)에 대하여,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15의 잡 이력 테이블(15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serC에 의해 투입된 잡(잡 명:EEE.jpg)의 보존 결과(1506)로서, NG(보존 실패)가 등록된다. 스텝 S1402의 처리 후에, 도 14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수신한 잡의 서지 정보 및 인쇄 데이터를 HDD(160)에 보존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에 포함된 스텝 중, 제1 예시적인 실시예와는 다른 스텝의 상세이다.
계속해서,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 위에 잡 이력을 표시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 도 16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처리는, 콘트롤러부(110)의 CPU(111)가, ROM(115) 또는 HDD(160)로부터 판독되어 RAM(114)에 전개한 UI 기능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서는, MFP(100)에 로그인하기 위한 인증이 행해지지 않는다.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의 잡 이력에서는, 도 17의 잡 이력 화면(17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서지 정보의 추출에 성공한 잡에 관한 이력 정보(예를 들면, 프린트 이력 정보, 및 보존 이력 정보)를, 유저 정보(1701)와 관련지어서 일람 형식으로 표시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잡 이력 화면(1700)은, 조작부(150)에 표시된다.
스텝 S1601에 있어서, CPU(111)는, 잡 이력의 표시 지시를 접수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또한, 도 17에 나타낸 잡 이력 화면(1700)은,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부(150)에 표시된 버튼(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누름으로써 호출된다. 스텝 S1601에서의 판정의 결과, CPU(111)가 표시 지시를 받았다고 판정하면(스텝 S1601에서 YES), 처리가 스텝 S1602로 진행된다. 한편, 표시 지시를 받을 때까지, 스텝 S1601의 처리를 반복한다.
스텝 S1602에 있어서, CPU(111)는, HDD(160)에 보존된 도 15에 나타낸 잡 이력 테이블(1500)을 참조하여, 모든 이력 정보를 취득하고, 처리는 스텝 S1603로 진행된다. 스텝 S1602에서는, 이력 정보로서, 일시(1501), 부문 ID(1502), 종별(1503), 및 잡 명(1504)에 더해서, 유저명(1505) 및 보존 결과(1506)가 취득된다.
스텝 S1603에 있어서, CPU(111)는, 스텝 S1602에서 취득된 이력 정보를 조작부(150)(잡 이력)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도 17의 잡 이력 화면(170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UserA에 의해 투입되며, 잡 명이 "AAA.ppt"인 잡의 (보존) 결과(1702)가 "실패"(NG)이다. 한편, UserB에 의해 MFP(100)에 투입되며, 잡 명이 "DDD.txt"인 잡의 보존 결과(1702)는 "성공"(OK)이다. 그 때문에, 유저는, 보존 결과(1702)가 "성공(OK)"인 잡을 선택하여, 해당 잡의 실행 지시를 할 수 있다. 한편, 보존 결과(1702)가 "실패"(NG)인 잡에 대해서는, 유저는, 잡의 설정의 변경 등을 행한 후에, PC(101)로부터 MFP(100)로 다시 잡을 투입하면 된다. 스텝 S1603의 처리 후에, 도 16에 나타낸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이,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MFP(100)에 있어서, 잡 이력을 표시하기 위한 일련의 처리의 상세이다. 또한, 도 17의 잡 이력 화면(1700) 위에, 수신한 잡의 보존에 성공했다는 것을 "OK"로 표시하고,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다는 것을 "NG"로 표시하는 경우에 대해서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잡의 보존에 성공했다는 것이나 잡의 보존에 실패했다는 것을, 유저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면, 잡 이력 화면(1700)에 팝업 화면(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을 표시함으로써, 보존 결과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혹은, 그 밖의 식별가능한 마크, 소리, 혹은 빛을 이용해서 보존 결과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또한, 보존 결과로서, 수신시에 보존할 수 없었던 잡에 관한 상세정보(예를 들면, 잡을 보존할 수 없었던 원인 등)을 다시 한번 통지해도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유저 정보와 관련된 잡을 수신하고, 수신한 잡의 보존에 실패했을 경우에, 잡 이력 테이블(1500)에 보존 실패 정보(NG)를 등록한다. 한편, 수신한 잡의 보존에 성공했을 경우에는, 잡 이력 테이블(1500)에 보존 성공 정보(OK)를 등록한다.
그리고, 잡 이력이 표시되면, 보존에 실패한 잡과 보존에 성공한 잡의 각각을 유저 정보와 관련지어서 유저에게 통지한다. 이렇게, 유저는, 자신이 투입한 잡 중, 보존에 실패한 잡과 보존에 성공한 잡을 유저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저의 편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각 예시적인 실시예의 유기적인 조합을 포함한다)으로 변형이 가능하며, 그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제외시킬 만한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MFP(100)의 콘트롤러부(110)의 CPU(111)에 의해 상술한 각종 제어가 행해지지만, MFP(100)와 다른 하우징의 외장형 콘트롤러 등의 인쇄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각종 제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1대의 MFP(100)에 의해 수신한 잡의 인쇄 데이터 및 해당 잡에 관한 서지정보를 HDD(160)에 보존하고, 해당 잡을 실행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복수대의 MFP(100)가 LAN(102)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신한 잡의 인쇄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스토리지기와, 해당 잡에 관한 서지정보를 등록(보존)하기 위한 서지 서버기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 다른 MFP(100)(출력기)의 CPU(111)는, 스토리지기에 보존된 인쇄 데이터 및 서지 서버기에 보존된 서지 정보의 취득을 요구함으로써 잡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예와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는, 본 명세서 내의 특정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 예들은, 상술한 실시 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상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고, 또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들)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행하도록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을 판독 및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다른 회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고, 독립된 컴퓨터 또는 독립된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들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RAM(random-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컴팩트 디스크(CD), DVD(digital versatile disc), Blue-ray Disc(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변형 및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잡 처리장치로서,
    잡을, 유저와 관련지어서 보존하는 제1 보존수단과,
    상기 제1 보존수단에 성공적으로 보존되어 있지 않은 잡과 관련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제2 보존수단과,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하는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상기 제2 보존수단에 보존되어 있을 경우에, 유저에 의해서,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것에 따라 잡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잡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존수단에 성공적으로 잡이 보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보존수단은, 잡이 성공적으로 보존되어 있지 않다고 상기 판정수단에 의해 판정한 것에 따라, 성공적으로 보존되어 있지 않은 잡과 관련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잡 처리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에 의해 통지한 후에, 상기 제2 보존수단에 보존된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삭제수단을 더 구비하는, 잡 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통지수단에 의해 통지한 후에 상기 제1 보존수단에 보존된 잡을 실행한 것에 따라 상기 제2 보존수단에 보존된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잡 처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통지수단에 의해 통지한 후, 유저가 상기 잡 처리장치로부터 로그아웃한 것에 따라 상기 제2 보존수단에 보존된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잡 처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수단은, 상기 통지수단에 의해 통지한 후에, 미리 정한 시간이 경과한 것에 따라 상기 제2 보존수단에 보존된 식별 정보를 삭제하는, 잡 처리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존수단에 보존된 잡을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유저와 관련지어서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지수단으로부터의 통지는 상기 화면에 표시되는, 잡 처리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하는 유저를 인증하는 인증수단을 더 구비하는, 잡 처리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잡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메시지, 마크, 소리, 또는 빛을 이용해서 유저에게 통지하는, 잡 처리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는 유저명인, 잡 처리장치.
  11. 제1 잡 처리장치와,
    제2 잡 처리장치를 구비하는 잡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잡 처리장치는,
    잡을 유저와 관련지어서 보존하는 제1 보존수단과,
    상기 제1 보존수단에 성공적으로 보존되어 있지 않은 잡과 관련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제2 보존수단과,
    상기 제2 보존수단에 보존된 식별 정보를 상기 제2 잡 처리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잡 처리장치는,
    상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제2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상기 수신수단에 의해 수신된 식별 정보에 포함될 경우에, 유저가 상기 제2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것에 따라 잡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통지유닛을 구비하는, 잡 처리 시스템.
  12. 잡 처리장치로서,
    상기 잡 처리장치와는 다른 별도의 잡 처리장치에서 잡이 유저와 관련되어 성공적으로 보존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별도의 잡 처리장치로부터 송신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상기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된 식별 정보에 포함될 경우에, 유저가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것에 따라 잡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구비하는, 잡 처리장치.
  13. 잡 처리장치로서,
    잡을 유저와 관련지어서 보존하는 제1 보존수단과,
    상기 제1 보존수단에 성공적으로 보존되어 있지 않은 잡과 관련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제2 보존수단과,
    상기 제2 보존수단에 보존된 식별 정보를 상기 잡 처리장치와는 다른 별도의 잡 처리장치에 송신하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잡 처리장치.
  14. 잡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잡을 유저와 관련지어서 보존하는 단계와,
    성공적으로 보존되어 있지 않은 잡과 관련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단계와,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보존되어 있을 경우에, 유저가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것에 따라 잡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잡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잡 처리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잡을 유저와 관련지어서 보존하는 단계와,
    성공적으로 보존되어 있지 않은 잡과 관련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보존하는 단계와,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유저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가 보존수단에 보존되어 있을 경우에, 유저가 상기 잡 처리장치에 로그인한 것에 따라 잡이 보존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50052875A 2014-04-16 2015-04-15 잡 처리장치, 잡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201501198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84719A JP5968355B2 (ja) 2014-04-16 2014-04-16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JP-P-2014-084719 2014-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807A true KR20150119807A (ko) 2015-10-26

Family

ID=5432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875A KR20150119807A (ko) 2014-04-16 2015-04-15 잡 처리장치, 잡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9778890B2 (ko)
JP (1) JP5968355B2 (ko)
KR (1) KR20150119807A (ko)
CN (1) CN1050496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2779A (ja) * 2012-09-06 2014-03-20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JP6071973B2 (ja) * 2014-10-09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2143411B1 (ko) * 2016-02-02 2020-08-1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JP6800672B2 (ja) * 2016-09-20 2020-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72893B2 (ja) * 2017-02-28 2020-10-21 株式会社リコー 認証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認証装置、認証管理方法
JP7107052B2 (ja) * 2018-07-19 2022-07-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3253A (ja) * 1991-11-22 1993-06-11 Ricoh Co Ltd プリンタおよびプリントシステム
US6687018B1 (en) * 1997-11-07 2004-02-03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print jobs
JP4298594B2 (ja) 2004-06-14 2009-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通知方法
JP2006289680A (ja) * 2005-04-07 2006-10-26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US7697861B2 (en) * 2005-12-28 2010-04-13 Ricoh Company, Limited Prin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926622B2 (ja) 2006-02-14 2012-05-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制御方法及び画像形成制御プログラム
JP2007223225A (ja) * 2006-02-24 2007-09-06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
US20090033992A1 (en) * 2007-07-30 2009-02-05 Kabushiki Kaisha Toshiba Printing apparatus, printing method, and printing system
JP4980255B2 (ja) * 2008-01-28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印刷処理システム
JP5081021B2 (ja) * 2008-03-05 2012-11-2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701039B2 (ja) * 2010-12-14 2015-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制御システム、印刷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979822B2 (ja) * 2011-05-23 2016-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管理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760745B2 (ja) * 2011-06-28 2015-08-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システム
JP6071973B2 (ja) * 2014-10-09 2017-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96345B2 (en) 2019-12-03
US11106412B2 (en) 2021-08-31
US20150301772A1 (en) 2015-10-22
US20180004466A1 (en) 2018-01-04
US20190347058A1 (en) 2019-11-14
US9778890B2 (en) 2017-10-03
CN105049665B (zh) 2019-03-12
JP5968355B2 (ja) 2016-08-10
CN105049665A (zh) 2015-11-11
JP2015204074A (ja) 201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18B1 (ko) 잡 처리장치, 잡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11106412B2 (en) Job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job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784211B1 (ko) 화상 형성장치, 화상 형성장치의 제어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및 프로그램
KR102046749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JP6319584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9536182B2 (en) Print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to register attribute information about sheets for print jobs
CN106612384B (zh) 作业处理系统、作业处理装置及作业处理装置的控制方法
US20150109642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read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CN110825329B (zh) 打印装置、控制方法和存储介质
US11775241B2 (en) Performing blank determination processing and storing data as log information
US2016027529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ensuring high security level, method of controlling image form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20190120070A (ko)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저장 매체
KR102024420B1 (ko)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JP2016092757A (ja)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2015115673A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54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1110

Effective date: 2019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