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798A -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의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의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798A
KR20150118798A KR1020140044880A KR20140044880A KR20150118798A KR 20150118798 A KR20150118798 A KR 20150118798A KR 1020140044880 A KR1020140044880 A KR 1020140044880A KR 20140044880 A KR20140044880 A KR 20140044880A KR 20150118798 A KR20150118798 A KR 2015011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eight
friction material
rubber friction
carbon bl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철
최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코
(주) 효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코, (주) 효광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코
Priority to KR1020140044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8798A/ko
Priority to CN201410323511.7A priority patent/CN105017578A/zh
Publication of KR2015011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798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8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with aromatically bound amino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9/00Domestic spin-dryers or similar spin-dryers not suitable for industrial use
    • D06F49/06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bowl or casings;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를 위한 마찰 고무재의 제조방법은, 원료 성분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덩어리 형태로 만드는 단계; 상기 덩어리 혼합물을 시트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트를 중량에 맞게 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한 제품을 금형틀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가류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사상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품의 치수 및 외관을 검사하고 포장하여 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고무 마찰재는 극저온에서도 수축하지 않고,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내마모성과 내한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의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Process for preparing rubber friction material of a vibration absorbing damper in full automatic wasing machine}
본 발명은 극저온에서도 수축하지 않고,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를 위한 마찰 고무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동 세탁기에서의 댐퍼는 세탁기 하우징 하부면 양측 모서리부와 터브 외주면 하부의 양 측부 사이에 설치되어 탈수시 발생하는 터브의 진동을 흡수하여 감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되는 댐퍼는 2개의 바아 형상의 부재를 서로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킬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진동을 감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하단 모서리부에 연결되는 중공의 외측 댐퍼 케이스와 상기 터브의 외측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댐퍼 케이스 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된 내측 댐퍼바아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댐퍼바아의 하단부에는 상기 외측 댐퍼 케이스의 내주면과 접촉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스펀지 등에 그리스가 함유된 한 쌍의 원형의 마찰재가 상하로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국내 특허 제10-799632호의 세탁기용 진동 흡수 댐퍼에 의하면 기존의 세탁기용 고감쇄 진동흡수 댐퍼의 마찰력 한계를 개선하고자 고무재질(NBR)의 마찰 보강재를 이용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댐퍼는 상온에서의 진동/소음 감쇄 효과만 가져올 뿐 극저온에서는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극저온에서도 댐퍼력이 상승하여 진동/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으며, 마찰재를 일반 고무 재질(NBR)로 사용해 온 댐퍼들은 상기와 같은 극저온에서의 진동/소음 문제가 이슈되고 있었다.
종래에 진동 흡수 댐퍼의 고무 마찰재로서 주로 사용된 니트릴 고무는 내마모성은 강하지만, 내한성에는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겨울철 영하의 온도 하에서 고무 마찰재가 수축하여 바아를 강하게 조이게 되어 그로 인해 진동이 원활하게 흡수 및 감쇄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극저온에서도 수축하지 않고,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예컨대 내마모성과 내한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를 위한 마찰 고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를 위한 마찰 고무재의 제조방법은
원료 성분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덩어리 형태로 만드는 단계;
상기 덩어리 혼합물을 시트 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트를 중량에 맞게 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한 제품을 금형틀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가류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사상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품의 치수 및 외관을 검사하고 포장하여 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를 위한 고무 마찰재는 극저온에서도 수축하지 않고,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를 위한 고무 마찰재는 내마모성과 내한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를 위한 고무 마찰재는 종래 -10도 이하에서 초기 댐퍼력이 업되는 현상을 -30도에서도 항상 상온에서와 동일한 댐퍼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를 위한 마찰 고무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원료 성분의 혼합단계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원료 성분을 균질하게 혼합을 하고 덩어리 형태로 만드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료 성분은 고무 성분, 카본 블랙, 가류 조제, 연화제, 노화방지제, 촉진제 및 가소제를 포함한다. 상기 원료 성분 중에서 고무 성분은 예를 들면, DN3O2H[ZEON 사에서 생산되는 NIPOL®BR(Nitrile Butadiene Rubber) 합성 고무 중 저 니트릴 함유량이 27.5%인 것] 22 내지 25중량%, DN2O2[ZEON 사에서 생산되는 NIPOL®BR(Nitrile Butadiene Rubber) 합성 고무 중 중 니트릴 함유량이 31%인 것] 8 내지 12중량%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 성분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댐퍼 고무의 내한성, 인장강도, 신율, 경도 등의 고무의 물리적 성질이 떨어져 댐퍼 고무의 내구력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상기한 카본블랙은 고무 성분의 보강제 역할을 하며, 댐퍼 고무의 물리적 특성 중에서 경도를 ?추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FEF 카본블랙 30 내지 35중량%와 SRF 카본블랙 5 내지 8중량%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EF(Fast Extrusion Furnace: 양압출성) 카본블랙은 매끄러움에 좋고, 내부 발열이 적으며, 열전도성이 좋고, 압출용으로 적합하다는 특성을 갖고 있고, SRF(Semi Reinforcing Furnace: 중보강성) 카본블랙은 입자가 미세하고, 보강성이나 마모성이 우수하고, 가공 중에 배합유와의 혼합 가공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카본블랙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경도값이 달라지게 되며, 진동/소음도 발생할 수 있다(경도값이 낮은 경우에는 댐퍼력이 낮아지게 되며, 경도값이 높은 경우에는 댐퍼력이 높아진다).
상기한 가류 조제, 예를 들면 산화 조제를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산화아연 1 내지 2중량%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 조제로 사용되는 산화아연은 산소를 부여하거나 수소를 빼앗는 등의 산화작용을 가지는 물질로서, 고무유황 및 가황촉진제의 화학반응에 관여하며 상기 범위 내에서 배합하는 경우는 보강제로 사용되는 것 외에 열전도성이 좋으므로 고무의 내열성을 부여하고 백색 착색제로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원료 성분으로 사용하는 연화제로는 고무를 유연하게 하여 가공성을 부여하고 가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0.2 내지 0.4중량%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에는 댐퍼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얻기가 어려우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노화 방지제로는 N-페닐렌-N-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Kumanox 3C, 상품명) 0.1 ~ 0.2중량%,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Kumanox RD, 상품명) 0.1 내지 0.2중량%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화 방지제는 노화 현상의 주요 인자인 산소에 의해서 자동 산화되는 연쇄반응을 정지시키는 작용을 하며, 특히 N-페닐렌-N-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은 일광균열방지 기능을 하며, 상기 범위 내로 포함시킬 경우에는 오존 균열 방지에 특히 효과가 있고, 굴곡 균열 방지에도 유효하다. 또한,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은 배합시 블루밍이 없고, 가황촉진제에 영향이 없어 노화방지제로서 내열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배합하는 촉진제는 예를 들면, 가류촉진제를 의미하며, 노화방지제와 함께 대표적인 유기고무 약품으로써 원료고무에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가황공정에 투입되는 가황속도 촉진 및 고무물성 증진에 기여하는 필수 화학 첨가 약품이다. 이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S(유황) 0.2 내지 0.6중량%, N-사이클로헥실-2-벤조티아질-설펜아미드(CZ, 상품명) 0.2 내지 0.6중량%,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TT, 상품명) 0.1 내지 0.2중량%, 디-N-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BZ, 상품명) 0.1 내지 0.2중량%를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미만 또는 초과할 경우에는 노화 특성이 나빠지게 되고, 산화가 발생하기 쉬우며, 스코치성이 생기게 되므로 상기 범위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가소제는 고무의 가공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제품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디옥틸 프탈레이트(Dioctyl Phthalate: DOP) 10 내지 20중량%와, 몰리브덴 0.2 내지 0.4중량%,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0.1 내지 0.2중량%, 수분 함유도가 낮게 정제된 올레아미드(ARMOSLIP CP, 상품명) 분말 1.7 내지 8.5중량%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가소제를 상기 범위 내로 포함시키지 못할 경우에는 댐퍼고무의 물리적 특성을 얻기가 어렵게 된다.
혼합물의 시트화 단계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원료 성분의 혼합물을 덩어리 형태로 한 후 롤에 통과시켜서 시트상으로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재단하는 단계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단계에서 형성한 시트를 중량에 맞게 재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트화 단계 이후, 재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혼합물의 성분의 배합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가류 성형하는 단계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재단한 제품을 금형틀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가류 성형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성형물을 사상하는 단계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가류 성형된 성형물을 사상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최종 제품의 검사 및 포장 출하 단계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생산품의 치수 및 외관을 검사하고 포장하여 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Claims (9)

  1.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를 위한 마찰 고무재의 제조방법으로서,
    원료 성분을 균질하게 혼합하고 덩어리 형태로 만드는 단계;
    상기 덩어리 혼합물을 시트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시트를 중량에 맞게 재단하는 단계;
    상기 재단한 제품을 금형틀에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가류 성형하는 단계;
    상기 성형물을 사상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품의 치수 및 외관을 검사하고 포장하여 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의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 성분은 고무 성분, 카본 블랙, 가류 조제, 연화제, 노화방지제, 촉진제 및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 성분은 예를 들면, 저니트릴 함유량이 27.5%인 니트릴 부타디엔 합성고무 22 내지 25중량%, 중니트릴 함유량이 31%인 니트릴 부타디엔 합성고무 8 내지 12중량%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랙은 FEF 카본블랙 30 내지 35중량%와 SRF 카본블랙 5 내지 8중량%를 함께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류 조제로는 산화아연 1 내지 2중량%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화제로는 스테아르산 0.2 내지 0.4중량%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화 방지제로는 N-페닐렌-N-이소프로필-p-페닐렌디아민 0.1 ~ 0.2중량%와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 0.1 내지 0.2중량%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류촉진제로는 S(유황) 0.2 내지 0.6중량%, N-사이클로헥실-2-벤조티아질-설펜아미드 0.2 내지 0.6중량%, 테트라메틸티우람디설파이드 0.1 내지 0.2중량% 및 디-N-부틸디티오카바메이트 아연 0.1 내지 0.2중량%를 적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 프탈레이트 10 내지 20중량%와, 몰리브덴 0.2 내지 0.4중량%,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0.1 내지 0.2중량% 및 올레아미드분말 1.7 내지 8.5중량%를 적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KR1020140044880A 2014-04-15 2014-04-15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의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KR20150118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880A KR20150118798A (ko) 2014-04-15 2014-04-15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의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CN201410323511.7A CN105017578A (zh) 2014-04-15 2014-07-08 制备全自动洗衣机中减振阻尼器的橡胶摩擦材料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880A KR20150118798A (ko) 2014-04-15 2014-04-15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의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798A true KR20150118798A (ko) 2015-10-23

Family

ID=5440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880A KR20150118798A (ko) 2014-04-15 2014-04-15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의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118798A (ko)
CN (1) CN1050175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4975A (zh) * 2018-09-20 2019-01-04 裴清馨 一种耐低温耐臭氧nbr橡胶及其制备方法
CN114276588A (zh) * 2021-11-19 2022-04-05 浙江威格尔传动股份有限公司 防开裂低温同步带及其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6737A (zh) * 2017-06-28 2017-10-20 常州创索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橡胶摩擦材料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4975A (zh) * 2018-09-20 2019-01-04 裴清馨 一种耐低温耐臭氧nbr橡胶及其制备方法
CN114276588A (zh) * 2021-11-19 2022-04-05 浙江威格尔传动股份有限公司 防开裂低温同步带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17578A (zh)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20510B2 (ja) クロロプレンゴム組成物及びその加硫物並びに成形体
CN106317901A (zh) 一种改性纳米复合硅胶密封圈及其制备
JP6112755B2 (ja) 防振ゴム組成物及び防振ゴム
JP5904314B2 (ja) Hnbr組成物及びhnbr架橋体
KR20170074918A (ko) 클로로프렌 고무 조성물, 가황 성형체 및 방진 고무
KR20150118798A (ko) 전자동 세탁기의 진동 흡수 댐퍼의 고무 마찰재의 제조방법
US20150259577A1 (en) Fluorine-contained rubber composition and seal member
JP2016216549A (ja) ゴム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ホース
JP6720874B2 (ja) タイヤ加硫ブラダーの使用方法
KR20120041399A (ko) 알루미노규산염을 포함하는 타이어 가류 블래더용 고무조성물
JP6374769B2 (ja) 水素化ニトリルゴム組成物とオイルシール
RU2458943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рмопластичной эластомерной композиции
CN116948276B (zh) 一种硅橡胶密封圈及其制备方法
US20210087368A1 (en) Antivibration rubber composition, and antivibration rubber
KR101776413B1 (ko) 나노 산화 아연 충전 웨더스트립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웨더스트립
JP6702313B2 (ja) 防振部材
Krmelová et al. Evaluation of effect of white fillers on selected properties of EPDM blend
JP2009279763A (ja) 防振ゴムの製造方法及び防振ゴム
KR101653758B1 (ko) 오링용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80838B1 (ko) 이피디엠에 실리카를 첨가하여 동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 엔진마운트용 고무 조성물
KR102199959B1 (ko) 극 저온성이 향상된 쇄빙선용 고무
KR102203262B1 (ko)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타이어
KR102211666B1 (ko) 윤활성을 향상시킨 고무 조성물 및 그 조성물 제조방법
Kamaruddin et al. Evaluation of Specialty Natural Rubbers for Engine Mount Application
KR100379037B1 (ko) 특성변화 저감 서스펜젼 부시용 고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