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577A -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 Google Patents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577A
KR20150116577A KR1020140041605A KR20140041605A KR20150116577A KR 20150116577 A KR20150116577 A KR 20150116577A KR 1020140041605 A KR1020140041605 A KR 1020140041605A KR 20140041605 A KR20140041605 A KR 20140041605A KR 20150116577 A KR20150116577 A KR 20150116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trafluoroethylene
fluororesin
fluororesin film
copolymer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묵
박관용
장대진
오세충
한승환
최지숙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국 타코닉
Priority to KR1020140041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6577A/ko
Publication of KR2015011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47J27/02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with enlarged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는 금속기재(M) 상에 2개 이상의 불소수지필름들이 차례로 라미네이팅 되어 불소수지 필름 적층체(F)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는 2층 이상의 구조로서, (ⅰ)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가 함유된 불소수지필름(F1)과 (ⅱ)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 (ⅲ)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 및/또는 (ⅳ)충진재와 내열성 중합체를 동시에 함유하여 이형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4)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는 금속기재를 성형 후 굴곡부를 갖는 성형품에 불소수지를 코팅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금속기재(M) 상에 균일한 두께의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를 형성할 수 있고, 이형성이 뛰어나 조리된 음식이 조리기구로부터 쉽게 박리되고, 세척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Laminate for 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주방기구용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방용품 및 제빵용품 등을 제조하는 소재로 사용되며, 이형성이 뛰어나 조리된 음식물이 주방기구로 부터 쉽게 분리되고 세척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뛰어나 사용 및 세척을 반복하여도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는 주방기구용 라미네이트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85-000130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152998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253호 등에서는 금속기재 상에 불소수지를 코팅하여 제조한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먼저 금속기재를 조리기구 형태로 성형한 다음 성형된 조리기구중 이형성이 요구되는 표면에 불소수지를 코팅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로 인해, 성형된 조리기구, 다시 말해 굴곡부를 갖는 조리기구에 불소수지를 코팅하게 되므로 코팅두께 및 조도를 균일하게하기 어렵고 코팅공정도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방법으로 형성된 불소수지 코팅층은 고유의 불소수지와 비교시 이형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FA) 등과 같이 내열성이 우수한 불소수지를 액상 스프레이 코팅 방식 또는 분체도장 방식으로 코팅하였다.
그러나, 분체도장 방식으로 불소수지를 금속기재 상에 코팅하는 경우에는 핀홀(Pin-hole) 등의 코팅불량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이형성이 나빠져서 조리기구의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되었고, 액상 스프레이 코팅방식으로 불소수지를 금속기재 상에 코팅하는 경우에는 코팅피막 내에 잔존하는 공극(Void), 휘발분 등에 의해 코팅막의 일부분이 박리되면서 조리기구의 이형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 되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8967호 등에서는 금속기재 상에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필름을 적층시켜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를 제조한 다음, 제조된 상기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를 성형하여 조리용 기구를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로 제조된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는 금속기재 상에 내열성이 떨어지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필름이 적층되어 있어서 내열성이 떨어지고 이형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형성 및 내구성이 동시에 우수하여 조리된 음식이 쉽게 분리되고 사용수명도 연장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세척이 용이한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조리용 기구의 제조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고, 조리용 기구 중 이형성이 필요한 부분에 균일한 두께 및 조도의 불소수지 필름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금속기재(M) 상에 2개 이상의 불소수지필름들을 차례로 라미네이팅하여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를 형성시켜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를 제조한다.
상기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는 2층 이상인 구조로서, 각층은 이형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서로 보완시켜주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는 금속기재를 성형 후 굴곡부를 갖는 성형품에 불소수지를 코팅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금속기재(M) 상에 균일한 두께의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를 형성할 수 있고, 이형성이 뛰어나 조리된 음식이 조리기구로부터 쉽게 박리되고, 세척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금속기재(M) 상에 3개의 불소수지필름이 차례로 라미네이팅되어 3층 구조의 불소수지 적층체(F)를 형성하고 있는 본 발명의 단면 개략도.
도 2 내지 도 4는 금속기재(M) 상에 2개의 불소수지필름이 차례로 라미네이팅되어 2층 구조의 불소수지 적층체(F)를 형성하고 있는 본 발명의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로 제조된 조리용 팬의 내마모성 시험 후 사진.
도 6은 불소수지가 코팅된 종래 조리용 팬의 내마모성 시험후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로 제조된 조리용 팬의 이형성을 보여주는 사진.
도 8은 불소수지가 코팅된 종래 조리용 팬의 이형성을 보여주는 사진.
도 9는 도 1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10은 도 2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를 제조하는 공정개략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기재(M) 상에 2개 이상의 불소수지필름들이 차례로 라미네이팅되어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를 형성하고 있는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는 금속기재(M) 상에 2개 ~ 7개의 불소수지필름(F)들이 차례로 라미네이팅되어 2층 내지 7층 구조인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를 형성하고, 상기 2층 내지 7층 구조의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중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1층은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이고, 상기 2층 내지 7층 구조인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 중 제1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들은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 및 내열성 중합체와 충진재를 동시에 함유하여 이형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4)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금속기재(M) 상에 3개의 불소수지필름이 차례로 라미네이팅되어 3층 구조의 불소수지 적층체(F)를 형성하고 있는 본 발명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금속기재(M) 상에 2개의 불소수지필름이 차례로 라미네이팅되어 2층 구조의 불소수지 적층체(F)를 형성하고 있는 본 발명의 단면 개략도이다.
상기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는 구현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불소수지필름 들이 내층, 중간층 및 외층을 형성하는 구조이고, 상기 내층은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이고, 상기 중간층은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이고, 상기 외층은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이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기재(M) 상에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 및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을 차례로 적층하여 제조한다.
또 다른 구현예로 상기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불소수지필름들이 내층 및 외층을 형성하는 구조이고, 상기 내층은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이고, 상기 외층은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기재(M) 상에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과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을 차례로 적층하여 제조한다.
또 다른 구현예로,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불소수지필름들이 내층 및 외층을 형성하는 구조이고, 상기 내층은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이고 상기 외층은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이다.
또 다른 구현일례로서, 상기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불소수지필름 들이 내층 및 외층을 형성하는 구조이고, 상기 내층은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이고, 상기 외층은 충진재와 내열성 중합체를 동시에 함유하여 이형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4)이다.
본 발명에서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을 구성하는 불소수지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EF)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을 구성하는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EF)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을 구성하는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EF)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은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및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과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가 브랜딩(혼합)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불소수지필름(F2)내에 함유되는 충진재는 탈크(Talc), 마이카(Mica), 카본블랙, 그라파이트, 이산화티타늄, 인조 다이아몬드, 알루미나, 실리카, 징크 옥사이드, 산화마그네슘 및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1종 등이다.
상기 불소수지필름(F3)내에 함유되는 내열성 중합체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및 폴리에테르설폰(PES) 중에서 선택된 1종 등이다.
상기 충진재 및 내열성 중합체의 함량은 조리용 기구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된다.
조리기구의 용도에 적합한 색상을 부여하여 외관을 수려하기 위해서 상기의 다층 불소수지 캐스트 필름(F)에 색상을 발현하는 첨가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의 두께도 조리용 기구의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며, 구현일례로서 10~100㎛의 두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로 조리용 팬을 제조한 다음 3M Scotch Brit(Green) 기계에서 1kg의 하중과 45싸이클/분의 속도로 10,000 Cycle 동안 내마모성 시험을 실시한 후 사진은 도 5와 같았다.
한편, 불소수지가 코팅된 종래의 조리용 팬을 3M Scotch Brit(Green) 기계에서 1kg의 하중과 45싸이클/분의 속도로 10,000 Cycle 동안 내마모성 시험을 실시한 후 사진은 도 6과 같았다.
도 5와 도 6을 대비시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로 제조된 조리용 팬이 불소수지가 코팅된 종래의 조리용 팬 보다 내구성에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로 조리용 팬을 제조한 다음 계란 후라이 요리를 30회 실시하고, 30회째에 계란 후라이가 조리용 팬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은 도 7과 같았다.
도 7에서는 계란 후라이는 조리용 팬으로부터 양호하게 분리되었으며, 이로 부터 조리용 팬의 이형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불소수지가 코팅된 종래의 조리용 팬으로 계란 후라이 요리를 30회 실시하고, 30회째에 계란 후라이가 조리용 팬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은 도 8과 같았다.
도 8에서는 계란 후라이는 조리용팬으로부터 양호하게 분리되지 않았으며, 이로 부터 종래 조리용 팬의 이형성이 불량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는 금속기재를 성형 후 굴곡부를 갖는 성형품에 불소수지를 코팅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금속기재(M) 상에 균일한 두께의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를 형성할 수 있고, 이형성이 뛰어나 조리된 음식이 조리기구로부터 쉽게 박리되고, 세척이 용이하며, 내구성이 우수하여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M : 금속기재 F : 불소수지필름 적층체
F1 :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가 함유된 불소수지필름
F2 :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
F3 :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
F4 : 충진재와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치수안정성 및 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

Claims (16)

  1. 금속기재(M) 상에 2개 이상의 불소수지필름 들이 차례로 라미네이팅 되어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금속기재(M) 상에 2개 ~ 7개의 불소수지필름(F)들이 차례로 라미네이팅되어 2층 내지 7층 구조인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를 형성하고, 상기 2층 내지 7층 구조의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중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제1층은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이고, 상기 2층 내지 7층 구조인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 중 제1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들은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 및 내열성 중합체와 충진재를 동시에 함유하여 이형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4)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라미네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는 3개의 불소수지필름들이 내층, 중간층 및 외층을 형성하는 3층 구조이고, 상기 내층은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이고, 상기 중간층은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이고, 상기 외층은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는 2개의 불소수지필름들이 내층 및 외층을 형성하는 2층 구조이고, 상기 내층은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이고, 상기 외층은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는 2개의 불소수지필름들이 내층 및 외층을 형성하는 2층 구조이고, 상기 내층은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이고, 상기 외층은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수지필름 적층체(F)는 2개의 불소수지 필름들이 내층 및 외층을 형성하는 2층 구조이고, 상기 내층은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이고, 상기 외층은 충진재와 내열성 중합체를 동시에 함유하여 이형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7.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을 구성하는 불소수지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8.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을 구성하는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E/PMVE),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9. 제2항,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을 구성하는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10.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충진재와 내열성 중합체를 동시에 함유하여 이형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4)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11. 제2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충진재는 탈크, 마이카, 카본블랙, 그라파이트, 이산화티타늄, 인조 다이아몬드, 알루미나, 실리카, 징크 옥사이드, 산화마그네슘 및 탄소나노튜브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12. 제2항,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내열성 충진제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이미드(PI),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및 폴리에테르설폰(PES)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13.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흐름성이 양호한 불소수지필름(F1)을 구성하는 불소수지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14.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충진재를 함유하여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2)을 구성하는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15. 제2항,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내열성 중합체를 함유하여 이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3)을 구성하는 불소수지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16. 제2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충진재와 내열성 중합체를 동시에 함유하여 이형성, 치수안정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한 불소수지필름(F4)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FEP),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 비닐에테르(PFA),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비닐플루오라이드(PVF),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프로필비닐에테르 공중합체(TFM),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메틸비닐에테르 공중합체(MFA),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CTFE) 및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를 함유하는 불소수지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KR1020140041605A 2014-04-08 2014-04-08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KR20150116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605A KR20150116577A (ko) 2014-04-08 2014-04-08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605A KR20150116577A (ko) 2014-04-08 2014-04-08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577A true KR20150116577A (ko) 2015-10-16

Family

ID=54365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605A KR20150116577A (ko) 2014-04-08 2014-04-08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65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9206A1 (fr) 2021-06-24 2022-12-29 Seb S.A. Element de cuisson revetu par un film polymerique fluore antiadhesi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69206A1 (fr) 2021-06-24 2022-12-29 Seb S.A. Element de cuisson revetu par un film polymerique fluore antiadhesif
FR3124367A1 (fr) 2021-06-24 2022-12-30 Seb S.A. Element de cuisson revetu par un film polymerique fluore antiadhesi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7588B2 (en) Coating composition and coated article
KR20150116575A (ko)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KR102263333B1 (ko) 조리 기구
KR101557713B1 (ko) 비점착 특성이 개선된 조리기구 및 그의 제조방법
US8714398B2 (en) Rigid durable non-metallic release laminate for oven cooking and oven containing same
KR20080026089A (ko) 불소수지 코팅 필름
CN115232523A (zh) 涂料组合物、涂布膜和层积体
CA2548778A1 (en) Inductively heatable components
JPWO2011048965A1 (ja) 被覆物品の製造方法、及び、被覆物品
CN113710478A (zh) 被覆组合物和被覆物品
KR20140013942A (ko) 피복 물품
KR20110118081A (ko) 불소 수지 피복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9469B1 (ko) 조성물 및 도막
KR20150116577A (ko) 조리기구용 라미네이트
JP2589459B2 (ja) 調理器具
KR20210154805A (ko) 눌어붙지 않는 복합 재료 및 몰딩된 눌어붙지 않는 조리 기구
WO2020071453A1 (ja) 調理用具
JP3146744U7 (ko)
JP3146744U (ja) 調理用加熱容器
JP2022093396A (ja) 塗料組成物、塗布膜及び積層体
JP2006130743A (ja) フッ素樹脂被覆材、調理器具、電磁誘導加熱容器および該電磁誘導加熱容器の形成方法
CN209346712U (zh) 一种不粘基材、炊具及烘焙模具
JP2020084029A (ja) 被覆組成物及び被覆物品
JP2016042942A (ja) 加熱調理器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69154A (ja) 非付着性の調理器および材料、ならびに、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