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6218A -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6218A
KR20150116218A KR1020140041164A KR20140041164A KR20150116218A KR 20150116218 A KR20150116218 A KR 20150116218A KR 1020140041164 A KR1020140041164 A KR 1020140041164A KR 20140041164 A KR20140041164 A KR 20140041164A KR 20150116218 A KR20150116218 A KR 20150116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isplay devices
region
optic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1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980B1 (ko
Inventor
김대식
세르게이 세스닥
조성우
서주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1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980B1/ko
Priority to US14/613,842 priority patent/US10416950B2/en
Priority to CN201510161072.9A priority patent/CN104978901B/zh
Publication of KR20150116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05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 G02B6/0008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of the fibre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t the end of the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75Arrangements of multiple light guides
    • G02B6/0078Side-by-side arrangements, e.g. for large area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Composi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26Video wall, i.e. juxtaposition of a plurality of screens to create a display screen of bigger dimens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04Display device controller operating with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시스템은, 활성 영역, 활성 영역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 측으로 절곡된 비활성 영역 및 활성 영역과 비활성 영역을 연결하는 절곡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절곡 영역에 설치되어, 절곡 영역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광학 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할 화상 내에서 절곡 영역에 대응되는 화상 부분을 각각 보상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활성 영역으로 인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 TILED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THEREOF }
본 발명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하나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란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화상을 제공하여 주는 장치를 의미한다. 일 예로, 일반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TV가 있을 수 있다. TV 사용이 증대함에 따라 사용자들은 좀 더 큰 화면으로 컨텐츠를 시청하고자 하는 욕구가 생기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과거에 비해 점점 더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를 확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여 큰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통상적으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음매가 없는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가능한 서로 밀착하여 나란하게 연결된다.
그런데,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활성 영역은 통상 베젤(bezel)이라 불리며, 제조공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을 봉합하고 활성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대형 LCD 또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최소 베젤 폭은 3-10mm 정도이다. 따라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면 그 사이의 베젤들에 의해 사용자는 시청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3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 20, 30)가 나란하게 배열된 형태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 20, 30)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좌우 가장자리의 베젤이 비활성 영역에 해당한다. 도 1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 20, 30)가 가로 방향으로만 배열되어 있다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우측 베젤(10-2)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좌측 베젤(20-1)이 하나의 시청 방해 영역을 형성하고,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의 우측 베젤(20-2)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의 좌측 베젤(30-1)이 또 다른 시청 방해 영역을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시청 방해 영역으로 인해 하나의 큰 화면 내에 세로 줄 모양이 있는 것처럼 인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져야 하는 하나의 객체가 잘린 것(40-1, 40-2)처럼 인식하게 된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복수의 행 및 열로 배열하게 되면, 상하 측 베젤까지 시청 방해 영역을 형성하므로, 사용자는 화면 내에 마치 격자 무늬가 있는 것 처럼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이러한 비활성 영역으로 인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라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에 배치된 광학 부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청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타일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 측으로 절곡된 비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 및 상기 비활성 영역을 연결하는 절곡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절곡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절곡 영역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광학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할 화상 내에서 상기 절곡 영역에 대응되는 화상 부분을 각각 보상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활성 영역과 평행한 제1평면, 상기 제1평면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비활성 영역에 평행한 제2평면, 상기 제1평면과 상기 제2평면의 후단을 연결하며, 상기 절곡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곡면 및 상기 제1곡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의 전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곡면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절곡 영역에서 출력되는 광이 상기 제1곡면을 통해 상기 제1평면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광학 부재의 상기 제1곡면과 상기 제1측면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절곡 영역에서 나오는 광을 상기 제1측면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광 안내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광안내층 각각의 경계면은 거울면일 수 있다.
또는, 광학 부재의 상기 제1곡면과 상기 제1측면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절곡 영역에서 나오는 광을 상기 제1측면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원통형 광안내봉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학 부재는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학 부재는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영역 사이에 형성된 노치를 덮는 프리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은 상기 노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투명 하우징 및 상기 투명 하우징에 채워지는 투명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시블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절곡 영역의 곡률을 유지하는 지지 프레임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광학 부재는,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영역 사이에 형성된 노치에 설치된 가버 슈퍼 렌즈(Gabor super lens)가 될 수도 있다.
상기 가버 슈퍼 렌즈는 오목하게 굽혀진 형상일 수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오목 또는 볼록하게 굽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 오목한 곡면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패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화상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화상을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화상 부분과 상기 절곡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화상 부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면에서 인지되는 픽셀 크기가 균일해지도록 상기 제2 화상 부분의 픽셀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제2 화상 부분의 픽셀 크기가 벤딩 포인트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조정하고, 화상의 전체 크기 및 상기 절곡 영역의 픽셀 확대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1 화상 부분의 픽셀 크기를 축소시킬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퍼런스로 설정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속성을 통일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속성은, 색온도, 픽셀 해상도, 색도, 채도,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화상을 각각 보상하는 화상 처리부 및 상기 화상처리부에서 보상된 각 화상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작은 크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복수 개 이용하여 큰 화면을 제공하면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비활성 영역으로 인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마치 하나의 큰 디스플레이 장치를 시청하는 듯한 만족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타일드 디스플레이장치의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절곡 영역에서 발생하는 화상의 왜곡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광학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3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광학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3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광학 부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광학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10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굽어진 가버 슈퍼렌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4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배열 패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 내지 도 17은 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복수의 플렉시블 패널을 사용하여 형성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9 및 도 20은 화상 보상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5는 도 24의 방법에 따라 보상된 화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 및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보상 방법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속성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 속성을 조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그리고,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속성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및 각 광학 부재(130-1, 130-2, 130-3)를 포함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로 구성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형태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두 개 또는 4개 이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4개 이상인 경우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 및 케이스(115-1, 115-2, 115-3)를 포함한다. 케이스(115-1, 115-2, 115-3)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케이스(115-1, 115-2, 115-3)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을 지지하면서, 후면을 보호한다. 케이스(115-1, 115-2, 115-3) 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에 사용되는 각종 전자 부품들이 탑재될 수 있다. 가령, 화상 처리부나, 제어부, 메모리, 전원 변환 유닛, 통신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탑재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은 활성 영역(111-1, 111-2, 111-3)과 비활성 영역(113-1, 113-2, 113-3)을 포함한다. 활성 영역(111-1, 111-2, 111-3)이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을 의미하고, 비활성 영역(113-1, 113-2, 113-3)은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다르게는, 활성 영역(111-1, 111-2, 111-3)은 메인 영역, 중앙 영역, 디스플레이 영역 등으로 명명할 수 있고, 비활성 영역(113-1, 113-2, 113-3)은 서브 영역, 가장자리 영역, 베젤 등으로 명명할 수 있다.
비활성 영역(113-1, 113-2, 113-3)은 활성 영역(111-1, 111-2, 111-3)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비활성 영역(113-1, 113-2, 113-3)은 후방, 즉 케이스(15)를 향해 절곡(bending)된다. 절곡 각도는 대략 90도 정도가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절곡에 의해, 비활성 영역(113-1, 113-2, 113-3)은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의 평평한 부분, 즉 활성 영역(111-1, 111-2, 111-3)에 대해 약 90도의 각도(θ)를 이룬다. 디스플레이 장치들 간의 연결 부분은 도 3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에서는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사이의 연결 부분을 도시하였으나, 제2 및 제3 디스플레이 장치(100-2, 100-3) 사이의 연결 부분도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의 구성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10-1)은 상부 기판(121-1), 하부 기판(122-1), 픽셀 층(123-1), 비활성 영역(113-1), 절곡 영역(113-1) 및 회로 기판(124-1)등을 포함한다.
상부 기판(121-1)과 하부 기판(122-1)은 픽셀 층(123-1)과 비활성 영역(113-1)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부 기판(121-1)은 픽셀 층(123-1)과 비활성 영역(113-1)의 전면에 설치되고, 하부 기판(122-1)은 픽셀 층(123-1)과 비활성 영역(113-1)의 후면에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앞쪽에서 비활성 영역(113-1)이 보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활성 영역(113-1)이 활성 영역(111-1)에 대해 대략 90도로 절곡되므로, 비활성 영역(113-1)에 연결되는 픽셀 층(23)의 일부분이 일정 곡률(R)로 절곡된다. 절곡 영역(112-1)이란 비활성 영역(113-1)에 인접한 픽셀 층(123-1)이 절곡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 부분을 의미한다. 절곡 영역(112-1)은 픽셀 층(123-1)의 일 부분이므로 활성 영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절곡 영역(112-1)에서는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1)은 4개의 측면을 가지므로 한 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1)은 상하좌우로 4개의 절곡 영역을 포함한다.
비활성 영역(113-1)은 케이스(115)를 향하여 대략 90도로 절곡되어 있으므로, 인접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의 비활성 영역들(113-1, 113-2)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따라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앞쪽에 위치하는 시청자(5)에게 보이는 비활성 영역(113-1)은 대략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상부 기판(121-1)의 두께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사이의 연결 부분에서 화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시청 방해 영역의 폭은 대략 상부 기판(121-1) 두께의 약 2배가 된다. 예를 들어, 상부 기판(121-1)의 두께가 1mm인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경우에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서 화상이 디스플레이되지 않는 영역의 폭은 대략 2mm가 된다.
비활성 영역(113-1)이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활성 영역(111-1)에 대해 대략 90도로 절곡되었을 때, 시청자(5)는 2개의 인접한 디스플레이 장치들(100-1, 100-2)사이의 연결 부분(400)에서 왜곡된 화상을 보게 된다.
도 4는 연결 부분에서의 화상 왜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분(400) 내에는 비활성 영역(113-1)이 존재하게 되므로, 다른 부분의 화상에 비해 어두워 보이게 된다. 또한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경우 각 화소에서 나오는 빛은 Lambert's cosine law를 따르는 램버시안(Lambertian) 분포를 가지므로 절곡된 부분에서 나오는 빛은 정면의 시청자에게 향하는 빛보다 절곡된 면의 수직 방향으로 향하는 빛이 더 많게 된다. 이로 인해 정면으로 가는 빛의 양이 줄면서, 정면의 시청자에게는 다른 부분에 비해 연결 부분(400)이 어두워 보이게 되고, 측면에 위치한 시청자에게는 연결 부분(400)이 더 밝아 보이는 왜곡된 화상을 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을 이용하여 하나의 큰 화상을 보고자 할 때, 연결 부분(400)에서는 화상이 단절되는 것처럼 여기게 된다. 이러한 시청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서는 연결 부분(400)에 광학 부재(130-1)를 배치한다.
광학 부재(130-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절곡 영역(112-1)에 출력되는 화상의 광이 정면 방향의 사용자(5)의 눈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굴절 및 투과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광학 부재(130-1)는 절곡 영역(112-1)에서 발생하는 화상의 왜곡과 어두워짐을 줄일 수 있다. 광학 부재(130-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절곡 영역(112-1)에 설치되어, 절곡 영역(112-1)에서 출력되는 화상, 즉 절곡 영역(112-1)의 픽셀 층(123-1)에서 나오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광학 부재(130-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절곡 부분(112-1)의 면에 밀착되거나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부재의 일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도 3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사용 가능한 광학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광학 부재(130-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절곡 영역(112-1)에 설치되고, 이에 좌우 대칭되는 구조의 또 다른 광학 부재(130-2)가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좌측 절곡 영역(112-2)에 설치되어, 연결 부분(400)을 채우게 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1)에 설치되는 광학 부재(130-2)에 대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광학 부재(130-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활성화 영역(111-1)에 평행한 제1평면(131), 제1평면(131)과 직각을 이루며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비활성 영역(113-1)에 평행한 제2평면(132), 제1평면(131)과 제2평면(132)의 후단(131a, 132a)을 연결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절곡 영역(112-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곡면(133), 제1곡면(133)과 마주하며, 제1평면(131)과 제2평면(132)의 전단(131b, 132b)을 연결하고 제1곡면(133)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곡면(134)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부재(130-1)는 상술한 단면 형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측면 길이, 즉, 세로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부재(130-1)가 첫 번째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우측의 절곡 영역(112-1)에 사용되는 경우, 광학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우측면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평면(131)과 제2평면(132)의 전단(131b, 132b)은 서로 직각이 되도록 배치된 제1평면(131) 및 제2평면(132)과 서로 제일 가깝게 인접하고 있는 단을 말하며, 제1평면(131)과 제2평면(132)의 후단(131a, 132a)은 전단(131b, 132b)에서 가장 멀리 위치하는 단을 말한다.
광학 부재(130-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절곡 영역(112-1)에서 출력되는 광이 제1평면(131)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2 곡면(132)은 가능한 작은 곡률 반경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 부재(130-1)는 렌즈의 역할을 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곡률 반경이 실제의 곡률 반경(R)보다 작게 보이게 한다. 곡률 반경(R)이 작아지면서 연결 부분(400)도 실제 크기보다 작게 보이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광학 부재(130-1)의 제1평면(131)의 굴절률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절곡 영역(112-1)에 있는 픽셀들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활성 영역(111-1)에 좀 더 가깝게 보이게 된다. 결과적으로, 절곡 영역(112)의 화상 왜곡 및 조명 왜곡이 감소될 수 있다. 광학 부재(130-1)를 형성하는 투명 재질의 굴절률이 높으면 높을수록, 광학 부재(130-1)는 화상 및 조명 왜곡을 좀 더 잘 보상할 수 있다. 광학 부재(130-1)는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학 부재(130-1)의 형상은 상술한 도 5와 같은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디스플레이 장치(100-2)의 디스플레이 패널(110-2)의 좌측 절곡 영역(112-1)에 설치될 광학 부재(130-1)는 도 5에 도시된 구조와 좌우 대칭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화상 및 조명 왜곡을 보상할 수 있는 한, 광학 부재(130-1)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a) 및 (b)는 도 3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 사용 가능한 광학 부재(3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6의 (a)는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광학 부재(130'-1)는 상술한 광학 부재(130-1)와 동일하게 절곡 영역에 설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는 광학 부재(130'-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활성 부분(111)에 평행한 제1평면(131), 제1평면(131)과 직각을 이루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비활성 영역(113)에 평행한 제2평면(132), 제1평면(131)과 제2평면(132)의 후단을 연결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절곡 영역(112)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곡면(133), 및 제1곡면(133)과 마주하며, 제1평면(131)과 제2평면(132)의 전단을 연결하고 제1곡면(133)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곡면(134)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광학 부재(130'-1)는 제1곡면(133)과 제1측면(131) 사이에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절곡 영역(112)에서 나오는 광을 제1측면(131)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광안내층(135)이 형성되는 것이 도 5의 광학 부재(130-1)와의 차이점이다. 단면도인 도 6의 (a)를 참고하면, 5개의 광 안내층(135)이 절곡 영역(112-1)으로부터 정면 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제작되어, 절곡 영역(112-1)에서 발산되는 광을 정면 방향으로 굴절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복수의 광안내층(135)은 광학 부재(130-1)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나란하게 형성되며, 복수의 광안내층(135) 각각의 경계면(136)은 입사된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거울 면으로 형성된다.
도 7은 도 3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광학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광학 부재(130")의 단면도이고, 도 7의 (b)는 평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7의 (b)의 광학 부재(130")에서 X1-X2 방향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7의 (a) 및 (b)를 참조하면, 광학 부재(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활성 영역(111-1)에 평행한 제1평면(131), 제1평면(131)과 직각을 이루며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비활성 영역(113-1)에 평행한 제2평면(132), 제1평면(131)과 제2평면(132)의 후단을 연결하며,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절곡 영역(112-1)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곡면(133), 및 제1곡면(133)과 마주하며, 제1평면(131)과 제2평면(132)의 전단을 연결하고 제1곡면(133)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곡면(134)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광학 부재(130")는 제1곡면(133)과 제1평면(131) 사이에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절곡 영역(112-1)에서 나오는 광을 제1평면(131)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광안내봉(137)이 형성되는 것이 도 5 및 6의 광학 부재(130')과의 차이점이다. 복수의 광안내봉(137)은 각각 원통형이나 기타 다각 통 형으로 형성되며, 각 광안내봉(137)의 내면(138)은 입사된 광을 반사할 수 있도록 거울면으로 형성된다.
도 5, 6, 7에서 설명한 광학 부재는 하나의 절곡 영역을 커버하기 위한 형태이다. 즉, 하나의 연결 부분을 채우기 위해서는 두 개의 광학 부재가 사용된다. 이에 비해, 하나의 광학 부재 만으로 하나의 연결 부분을 채울 수 있도록 광학 부재가 설계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부재를 이용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의 연결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되는 광학 부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광학 부재(140)는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사이의 연결 부분(400)을 덮을 수 있는 프리즘으로 형성된다. 즉, 상술한 실시예들의 광학 부재(130, 130', 130")는 외부에서 보이는 각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의 절곡 영역(112-1, 112-2, 112-3)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 예에 의한 광학 부재(140)는 인접한 디스플레이 패널들(110-1 및 110-2, 110-2 및 110-3)사이의 절곡 영역(112-1, 112-2, 112-3)에 의해 형성된 오목한 부분인 노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의한 광학 부재(130, 130', 13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를 연결하기 전에 부착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 의한 광학 부재(14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를 모두 연결한 후, 각 연결 부분에서 설치하여야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한 광학 부재(140)인 프리즘은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의 활성 부분과 평행한 전면(141)과,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의 절곡 부분(112-1, 112-2)에 각각 대응하는 제1곡면(142)과 제2곡면(143)을 포함한다. 광학 부재(40)는 n의 굴절률을 갖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의 절곡 부분(112-1, 112-2)의 픽셀 층(123)이 평평한 전면(141)에 가깝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의 절곡 영역(112-1, 112-2)에서 발생하는 화상 왜곡이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광학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의 광학 부재(140')은 투명 하우징(145)과 투명 하우징(145)에 채워지는 투명 액체(146)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하우징(145)은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의 절곡 부분(112-1, 112-2)에 의해 형성되는 노치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9의 광학 부재(140')는 투명한 액체(146)를 사용하여 형성된 것 외에는 상술한 도 8의 광학 부재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는, 광학 부재의 다른 예로서 가버 슈퍼렌즈(Gabor superlens)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의 절곡 부분(112-1, 112-2)에 가버 슈퍼렌즈를 설치하여, 연결 부분에서의 화상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광학 부재로 가버 슈퍼렌즈를 사용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 따르면, 가버 슈퍼렌즈(150)는 2개의 공초점 렌즈 어레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가버 슈퍼렌즈(150)는 2개의 렌티큘라 렌즈 어레이(lenticular lens array)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인 렌즈와 달리 가버 슈퍼렌즈(150)는 대상물까지의 거리에 비례하는 일정한 거리에 대상물의 실상을 형성한다. 도 10에서는 굴곡 부분(112-1, 112-2)의 픽셀 층(123-1, 123-2)의 실상(real image)(51)이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사이의 연결 부분에 형성된 홈(19)에 가버 슈퍼렌즈(150)를 위치시키면, 가버 슈퍼렌즈(150)의 아래에 있는 굴곡 부분(112-1, 112-2)의 픽셀 층(123-1, 123-2)이 도 10의 점선(51)과 같이 가버 슈퍼렌즈(150)의 위에 위치한 것처럼 보이게 된다. 따라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의 연결 부분에서 절곡 부분의 화상이 자연스럽게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시야각(viewing zone)이 확장되게 된다.
도 10에서는 평평한 형태의 가버 슈퍼 렌즈(150)를 도시하였으나, 가버 슈퍼 렌즈도 굴곡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1은 광학 부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따르면, 오목하게 굽혀진 가버 슈퍼렌즈(150')가 광학 부재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 부분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3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서, 회로 기판(124-1)은 케이스(115-1)의 내부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들이 탑재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예를 들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가 화상 처리부, 제어부, 메모리 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회로 기판(124-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픽셀 층(123-1)에서 화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회로 기판(124-1)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로 기판(124-1)은 비활성 영역(113-1)의 내부를 통해 픽셀 층(123-1)과 연결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시 예들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는 절곡 영역에 표시되는 화상이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광학 부재를 사용한다. 이 경우, 연결 부분의 화상이 좀 더 부드럽게 인식될 수 있도록,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는 화상의 적어도 일부를 보상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는 컬러, 채도, 휘도, 콘트라스트, 해상도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속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상들이 하나의 큰 화상을 이루는 것이라고 몰입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속성에 대한 조정 작업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화상 보상 작업 및 디스플레이 속성 조정 방법에 대해서는 명세서 후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들 간의 연결 부분이 광학 부재에 의해 보이지 않게 되는 심리스(seamless) 디스플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의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가 전체적으로 한 개의 평면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를 기준으로 볼록하거나 오목한 형태 또는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배치 형태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12에 따르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사용자(5)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들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오목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3에 따르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사용자(5) 위치를 기준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가 지그재그(또는 사인 파형)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4와 같이 배치될 경우, 하나의 사용자(5-1)는 볼록한 면으로 화상을 볼 수 있고, 다른 사용자(5-2)는 오목한 면으로 화상을 볼 수 있다.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는 다양한 형태의 곡면을 형성하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12 내지 도 14에서는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만을 도시하고, 케이스는 생략하였다.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지 않고,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상태로 연결되는 경우,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광학 부재의 형상도 변경될 수 있다. 가령 도 5, 6, 7에서는 광학 부재의 제1평면(131) 및 제2 평면(132)이 서로 직각을 이루지만, 도 12 내지 14와 같이 평면이 아닌 형태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1 평면(131) 및 제2 평면(132)이 둔각 또는 예각을 이루도록 변형된 구조의 광학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 내의 각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이 평면인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 각각은 반드시 평면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오목하거나 볼록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를 복수 개 사용하여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5는 오목한 곡면의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을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연결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장치(1000), 도 16은 볼록한 곡면의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110-3)을 갖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연결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장치(1000)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도 17은 볼록한 곡면의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을 갖춘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오목한 곡면의 디스플레이 패널(110-3)을 갖춘 1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서로 연결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밖에도,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상과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에 제조 공정에서 비활성 영역(13)이 90도로 굽혀진 후에는 변형되지 않는 딱딱한 디스플레이 패널(10)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패널(10)은 형태를 자유롭게 변형할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8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1800-1, 1800-2, 1800-3)은 플렉시블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플렉시블 EL(electro luminescence) 패널, 플렉시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면 형상이 변형되기 때문에,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곡률로 굽혀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곡률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 프레임(1810-1, 1810-2, 1810-3)이 필요하다. 지지 프레임(1810-1, 1810-2, 1810-3)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800-1, 1800-2, 1800-3)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외의 다른 구성은 상술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비디오 월(video walls), 멀티비젼 디스플레이(multivision displays), 파노라마 홈 티브이(panoramic home TV), 모바일 디스플레이(mobile display) 및 관련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절곡 영역을 포함하므로,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가 육안으로 느끼기에 절곡 영역의 픽셀은 활성 영역의 픽셀보다 작게 느껴지게 된다. 도 19 및 도 20은 절곡 영역에서의 픽셀 크기와 활성 영역의 픽셀 크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적어도 하나의 블록 라인(1900)으로 구분하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평평한 상태에서는 블록 라인(1900)의 폭 d1은 동일하다.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로 방향으로만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에는 블록 라인(1900)은 가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분된 세로 라인일 수 있지만,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에는 블록 라인(1900)은 세로 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분된 가로 라인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9에서는 연산의 편의를 위해서 d1을 1로 가정하지만, 각 블록 라인(19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픽셀 라인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S는 전체 디스플레이 패널(110) 중에서 절곡 영역으로 사용되는 패널 영역의 폭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벤딩 포인트를 기준으로 일측으로 벤딩시키면, 특정 포인트(O)를 원점으로 곡률이 형성된다. 여기서, 원점(O)을 기준으로 각 블록의 벤딩 각도는 θi, 원점(O)으로부터의 반지름을 x라 가정하면, S=2Πx*(θS/2Π) 이므로 x는 S/θS이 된다. 여기서 θS Π/2 이하가 된다.
이와 같이 휘어진 상태에서 절곡 영역에서 영상이 출력되면, 전방에 위치한 사용자(5)의 육안으로 느껴지는 각 블록의 크기는 b1 ~ bS 가 된다. 이를 각각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이에 따라, 원래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벤딩 영역의 크기 S는 사용자의 육안으로는 B와 같이 축소된 것처럼 느껴진다. B는 b1 내지 bS를 합산한 값이 된다. 이를 수학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04
도 20은 전체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활성 영역 및 절곡 영역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에 따르면, 활성 영역(111)의 상하 또는 좌우측 가장자리가 절곡 영역(112)이 된다. 활성 영역(111)의 폭이 L이고, 절곡 영역(112)의 크기가 S라면, 벤딩 이후의 절곡 영역(112)의 디스플레이 사이즈는 수학식 2에서 산출된 B와 같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평평한 상태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던 화상의 사이즈와, 벤딩 이후의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화상의 사이즈 사이의 비율을 구하면 다음 수학식과 같다.
Figure pat00005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절곡 영역(112)의 크기는 사용자가 육안으로 느끼기에 활성 영역(111)보다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들은 사용자가 연결 영역에서 어색함을 느끼지 않도록, 절곡 영역(112)에서의 화상을 각각 보상하여 줄 수 있다.
화상 보상 작업은 제어부 및 화상 처리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 및 화상 처리부는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한 장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1에 따르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는 각각 제어부 및 화상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1), 제1 제어부(2100-1) 및 제1 화상 처리부(2110-1)를 포함한다.
제1 화상 처리부(2110-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1)에서 디스플레이할 화상을 처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튜너를 통해 수신한 방송 컨텐츠나,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 등과 같은 기록 매체 재생 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컨텐츠, PC나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외부 단말 장치에서 재생되는 컨텐츠, 내외부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컨텐츠 파일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의 화상 처리부(2110-1, 2110-2, 2110-3)는 이러한 소스들로부터 입력되는 컨텐츠로부터 비디오 데이터를 검출하여, 디코딩, 프레임 레이트 변환, 스케일링, 등과 같은 각종 화상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부(2100-1)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케이스(115-1)의 내부에 설치되며, 제1 화상 처리부(2110-1) 및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1)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1 제어부(2100-1)는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절곡 영역(112-1)에 디스플레이되는 화상의 왜곡을 보상하도록 화상 처리부(2110-1)를 제어한다.
화상 처리부(2110-1)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면에서 인지되는 픽셀 크기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지도록 화상을 처리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부(2110-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에 표시될 전체 화상을 활성 영역(111-1)에 대응되는 제1 화상 부분과 절곡 영역(112-1)에 대응되는 제2 화상 부분으로 구분하고 제2 화상 부분의 픽셀 크기를 변경한다. 구체적인 화상 처리 방법은 후술하는 부분에서 설명한다. 이에 따라,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절곡 영역(112-1)에서 출력되는 화상이 광학 부재(30)를 통과한 후 제1 디스플레이 패널(110-1)의 활성 영역(111-1)에서 출력되는 화상처럼 보일 수 있다.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100-2 ~ 100-n)도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화상을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2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는 각각 디스플레이 패널(110-1 ~ 110-n), 패널 제어부(160-1 ~ 160-n), 인터페이스(170-1 ~ 170-n)를 포함한다.
패널 제어부(160-1 ~ 160-n)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 ~ 110-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는, 패널 제어부(160-1 ~ 160-n)는 디스플레이 패널(110-1 ~ 110-n)의 어드레스 전극 및 데이터 전극에 대해 전기 신호를 인가하여, 각 픽셀을 온/오프 제어한다. 이에 따라, 화상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0-1 ~ 170-n)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인터페이스(170-1 ~ 170-n)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NFC, 지그비 등과 같은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유선 인터페이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2에서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의 인터페이스(170-1 ~ 170-n)가 호스트 장치(2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호스트 장치(2200)는 화상 처리부(2210) 및 제어부(2220)를 포함한다. 호스트 장치(2200)는 셋탑박스, PC, 랩탑 PC, 휴대폰, 태블릿 PC, 기록 매체 재생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화상 처리부(221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에서 디스플레이할 화상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2220)는 화상 처리부(2210)를 제어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에서 표시할 화상을 생성한다. 화상 처리부(2210)는 임의의 소스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 화상을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맞게 복수 개의 서브 화상으로 구분한다. 화상 처리부(221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의 절곡 영역 및 활성 영역의 크기를 고려하여, 각 서브 화상의 가장 자리 화상의 픽셀 크기를 조정한다. 이에 따라,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를 통해 인식되는 화상이 영역 별로 균일한 크기의 픽셀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2에서는 별도로 마련된 호스트 장치(2200)가 화상을 보상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화상 처리부 및 제어부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 중 메인 디바이스로 동작하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탑재될 수도 있다. 도 23은 이러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일드 디스플레이 장치(10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3에 따르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들 중 하나인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1)가 화상 처리부(2310), 제어부(2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20)는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100-2 ~ 100-n)가 연결되면, 화상 처리부(2310)를 제어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의 개수 및 배치 형태에 맞게 복수 개의 서브 화상을 생성하여 인터페이스(170-1 ~ 170-n)를 통해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100-2 ~ 100-n)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n)의 패널 제어부(160-1 ~160-n)는 자신의 위치에 대응되는 서브 화상을 디스플레이 패널(110-1 ~ 110-n)에 디스플레이한다.
도 24는 화상 보상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에 따르면, 전체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응되는 화상(2400)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활성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화상 부분(2420)과, 양측 절곡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화상 부분(2410, 2430)으로 구분될 수 있다.
화상(2400)의 원 해상도는 균일한 크기(d1)의 픽셀들로 구성되지만, 벤딩이 이루어지면 화상 처리부는 제2 화상 부분(2410, 2430)의 픽셀의 크기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부는 제2 화상 부분(2410, 2430)의 픽셀을 벤딩 포인트(P1, P2)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조정한다. 도 24에 따르면, 벤딩 포인트와의 거리에 따라 제2 화상 부분(2410, 2430)의 픽셀 크기는 d2, d3, d4가 된다. 픽셀 들간의 크기 관계는 d2>d3>d4>d1이 된다. 제1 화상 부분(2410)의 픽셀 크기는 그대로 d1으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조정된 제2 화상부분(2410', 2430')와 제1 화상부분(2420)이 결합된 화상이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된다. 벤딩 전의 제2 화상 부분(2410, 2430)의 크기는 수학식 1 및 2에서 S에 해당하고, 벤딩 후의 제2 화상 부분(2410', 2430')의 크기는 수학식 1 및 2의 B에 해당한다. 화상 처리부는 S 및 B 사이의 비율에 기초하여 벤딩 후의 제2 화상 부분(2410', 2430') 내의 픽셀의 값을 균일하게 산출한 후, 벤딩 포인트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각 픽셀 값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픽셀 값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4에서는 제2 화상 부분(2410, 2430)의 픽셀의 크기가 서로 다르게 조정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화상 부분(2410, 2430) 내의 픽셀을 모두 동일한 크기(예를 들어 d2)로 조정할 수도 있다.
도 25는 도 24와 같은 방법으로 보상한 화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따르면, 3개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3)가 나란하게 연결된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에서 화상 보상 없이 그대로 화상(2500)을 디스플레이하게 되면, 각 서브 화상(2500-1 ~ 2500-3) 사이의 연결 구간(2510-1, 2510-2)의 화상 픽셀은 가로 길이가 축소된 것처럼 인식된다. 이에 따라, 연결 구간(2510-1, 2510-2)에 표시되는 객체(2512, 2514)는 정상 구간에 표시되는 객체(2511, 2513)에 비해 가로 방향으로 찌그러진 것처럼 인식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 구간(2510-1, 2510-2)의 화상 픽셀의 가로 길이를 증대시키는 화상 보상을 수행하게 되면, 연결 구간(2510-1, 2510-2) 내에서 정상적인 형태의 객체(2512', 2514')가 인식될 수 있다.
한편, 도 24 및 도 25와 같은 방식으로 화상을 보상하게 되면, 최좌측 서브 화상(2500-1)의 좌측 가장자리 일부와, 최우측 서브 화상(2500-3)의 우측 가장자리 일부가 잘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활성 영역의 픽셀 크기를 조금 축소시켜 전체 화상을 그대로 보존할 수도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에 따르면, 화상 처리부는 전체 화상(2600)을 제1 화상 부분(2620) 및 제2 화상 부분(2610, 2630)으로 구분하고, 각 부분(2610, 2620, 2630)의 픽셀 크기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제2 화상 부분(2610, 2630)에서는 벤딩 포인트(P1, P2)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상이한 크기(d5, d6, d7)의 픽셀로 조정하고, 제1 화상 부분(2620)에서는 원 픽셀 크기(d1)를 축소시켜 d8 크기의 픽셀로 조정한다. 이에 따라, 보상된 부분(2610', 2620', 2630')을 결합하여, 보상된 화상(2600')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화상 부분(2610, 2630)의 픽셀 크기를 증대시키는 대신, 제1 화상부분(2620)의 픽셀 크기를 축소시킴으로써, 전체 화상이 잘리지 않고 모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벤딩 각도가 완만하지 않고 급격한 경우에는, 절곡 영역 중 일부는 활성 영역과 거의 90도만큼 수직한 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절곡 영역 내에서도 90도로 벤딩되어 평평한 면의 픽셀은 서로 동일한 크기로 조정하고, 벤딩이 이루어진 면의 픽셀은 점진적으로 다른 크기로 조정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에 따르면, 화상(2700)이 d1 크기의 픽셀로 이루어진 경우, 화상 처리부는 절곡 영역에 해당하는 제2 화상부분(2710, 2730)과, 활성 영역에 해당하는 제1 화상부분(2720)을 각각 보상한다. 화상 처리부는 제2 화상부분(2710, 2730)을 다시 두 개의 파트(a, b)로 구분하여, a 파트의 픽셀 크기는 d9로 전부 조정하고 b 파트의 픽셀 크기는 d10, d11 등과 같이 서로 다른 크기로 조정한다. 화상 처리부는 벤딩 포인트(P1, P2)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b 파트의 픽셀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증대시킨다. 또한, 화상 처리부는 제1 화상부분(2720)의 픽셀 크기는 d1에서 d12로 축소시킨다. 이에 따라 보상된 화상부분(2710', 2720', 2730')이 결합된 화상(2700')을 디스플레이 패널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처리부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마다 설치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에만 설치되거나, 별도의 호스트 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화상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8에 따르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면(S2810), 절곡 영역에 대응되는 화상 파트를 검출한다(S2820). 절곡 영역의 크기는 미리 산출하여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을 수도 있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통신을 통해서 입력받을 수도 있다.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검출된 화상 파트의 픽셀 크기를 보상한다(S2830). 실시 예에 따라서는, 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화상 파트의 픽셀 크기도 보상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보상 방식은 상술한 도 24, 26, 27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보상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한다(S2840). 이에 따라, 연결 영역에서도 화상이 찌그러지지 않고 자연스럽게 인식될 수 있다.
도 28에서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절곡 영역의 크기에 기초하여 보상할 화상 파트를 검출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상을 직접 촬상하여 보상하여 줄 수도 있다.
도 29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에 따르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100-1 ~ 100-3) 뿐만 아니라 카메라(2900) 및 호스트 장치(2910)를 더 포함한다.
도 29에 따르면, 카메라(2900)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방에 배치되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촬영한다. 촬영 이미지는 호스트 장치(2910)로 제공된다. 호스트 장치(2910)는 촬영 이미지를 분석하여 왜곡 지점을 검출하고, 왜곡 지점의 화상을 보상하여 준다. 보상된 화상은 인터페이스(170-1, 170-2, 170-3)를 통해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로 제공된다. 호스트 장치(2910)는 기하 왜곡 보정 기술을 이용하여 화상을 보상하여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호스트 장치(2910)는 촬영 이미지 내에서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의 화상을 캡쳐한다. 호스트 장치(2910)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로 제공된 원 화상과, 캡쳐된 화상 사이의 픽셀값을 이용하여 변환 행렬을 산출한 후, 그 역행렬을 구힌다. 호스트 장치(2910)는 원 화상에 역행렬을 적용하여 보상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로 제공할 수 있다. 별도의 호스트 장치가 존재하지 않고, 각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제어부 및 화상 처리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카메라(2900)의 촬영 이미지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어 보상 처리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제어부 및 화상 처리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촬영 이미지는 메인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되어 보상 처리에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은 기본적으로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속성을 가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속성이란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때의 특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속성은 색온도, 픽셀 해상도, 색도, 채도,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속성이 장치 별로 상이하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하나의 전체 화상이라고 인식하는데 방해를 받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퍼런스로 설정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속성을 통일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카메라(2900)를 포함하는 경우, 카메라(2900)의 촬영 이미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속성을 조정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이 임의의 모노 컬러 패턴을 디스플레이하는 동안, 사용자는 카메라(2900)를 이용하여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1000)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촬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된 이미지 내에서 전체 디스플레이 패널 중 하나를 레퍼런스로 설정하면, 레퍼런스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속성과 동일하도록 나머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조정한다. 카메라(2900)는 촬영된 이미지를 호스트 장치(2910)로 전달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910)는 촬영 이미지 내에서 레퍼런스 디스플레이 패널로 지정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R, G, B 값과, 다른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R, G, B 값을 검출한다. 호스트 장치(2910)는 검출된 R, G, B 값들 사이의 변환 행렬을 계산할 수 있다. 호스트 장치(2910)는 변환 행렬을 역변환하여 색상 보상 행렬(Color correction Matrix : CCM)을 연산하여,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로 제공한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는 인터페이스(170-1 ~ 170-3)를 통해서 색상 보상 행렬이 수신되면, 이를 저장한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100-1, 100-2, 100-3)는 디스플레이할 화상 데이터가 입력되면 색상 보상 행렬을 적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색상을 보상한다. 색상 뿐만 아니라 색온도, 픽셀 해상도, 색도, 채도, 콘트라스트 등에 대해서도 유사한 방식으로 센싱하여 보상하여 줄 수 있다.
또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속성에 대한 설정 값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공유할 수도 있다. 가령,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장치 ID, 픽셀 해상도 정보, 색온도 정보, 색도 정보, 채도 정보, 콘트라스트 정보 등을 주변 디스플레이 장치로 알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속성 테이블을 미리 확보해둘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레퍼런스로 선택되면, 선택된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에 맞게 자신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또는, 레퍼런스 디스플레이 장치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레퍼런스 디스플레이 장치가 자신의 디스플레이 속성 정보를 주변 장치들로 제공하여, 통일시킬 수도 있다.
도 30은 디스플레이 속성을 통일시키는 방법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에 따르면,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센서(3000-1, 3000-2)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센싱할 수 있다.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은 센싱 결과를 기초로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센싱 작업 및 디스플레이 속성 조정 작업은 각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호스트 장치에 탑재된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 및 화상 처리부의 탑재 위치는 상술한 도 21 내지 도 2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센서는 포토 다이오드나 CCD(Charged Coupled Devices) 어레이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0에서는 각 디스플레이 장치가 연결 부분에만 하나의 센서(3000-1, 3000-2)를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센서(3000-1, 3000-2)의 개수 및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나란하게 연결되는 경우 또는 매트릭스 형태로 연결되는 경우 등에 대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좌우측 가장자리마다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의 서로 다른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주변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속성을 동시에 센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0에서는 센서(3000-1, 3000-2)가 디스플레이 패널(110-1, 110-2) 내의 절곡 영역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절곡 영역을 센싱할 수 있는 방향으로 비활성 영역(113-1, 113-2)에 배치될 수도 있고, 케이스(115) 부분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속성 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센싱할 수 있다(S3110). 디스플레이 속성이 센싱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퍼런스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속성을 조정한다(S3120). 센싱은 별도로 마련된 카메라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 마련된 센서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하면서 광학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 부분에서도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처럼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그 연결 부분에 표시될 화상 등을 적절하게 보상하여, 화상이 부분적으로 왜곡되어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속성을 통일시켜 전체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마치 하나의 큰 화면으로 인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 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 : 디스플레이 패널
130 : 광학 부재 1000 :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Claims (20)

  1. 활성 영역, 상기 활성 영역을 기준으로 적어도 일 측으로 절곡된 비활성 영역 및 상기 활성 영역 및 상기 비활성 영역을 연결하는 절곡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및
    상기 절곡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절곡 영역으로부터 발산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광학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할 화상 내에서 상기 절곡 영역에 대응되는 화상 부분을 각각 보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활성 영역과 평행한 제1평면;
    상기 제1평면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비활성 영역에 평행한 제2평면;
    상기 제1평면과 상기 제2평면의 후단을 연결하며, 상기 절곡 영역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곡면; 및
    상기 제1곡면과 마주하며, 상기 제1평면과 제2평면의 전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곡면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 제2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광학 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절곡 영역에서 출력되는 광이 상기 제1곡면을 통해 상기 제1평면으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과 상기 제1측면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절곡 영역에서 나오는 광을 상기 제1측면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광 안내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안내층 각각의 경계면은 거울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곡면과 상기 제1측면 사이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절곡 영역에서 나오는 광을 상기 제1측면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원통형 광안내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투명한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영역 사이에 형성된 노치를 덮는 프리즘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은 상기 노치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투명 하우징; 및
    상기 투명 하우징에 채워지는 투명 액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시블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플렉시블 패널의 절곡 영역의 곡률을 유지하는 지지 프레임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부재는, 인접한 2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결 영역 사이에 형성된 노치에 설치된 가버 슈퍼 렌즈(Gabor super len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버 슈퍼 렌즈는 오목하게 굽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오목 또는 볼록하게 굽혀진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전방을 향하여 볼록한 곡면, 오목한 곡면 또는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패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화상 보상을 수행하기 위한 화상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화상을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제1 화상 부분과 상기 절곡 영역에 대응되는 제2 화상 부분으로 구분하고,
    상기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면에서 인지되는 픽셀 크기가 균일해지도록 상기 제2 화상 부분의 픽셀 크기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부는,
    상기 제2 화상 부분의 픽셀 크기가 벤딩 포인트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조정하고, 화상의 전체 크기 및 상기 절곡 영역의 픽셀 확대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제1 화상 부분의 픽셀 크기를 축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레퍼런스로 설정된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 속성을 통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속성은, 색온도, 픽셀 해상도, 색도, 채도, 콘트라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가장자리 부분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를 더 포함하며,
    각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주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기초로 상기 각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속성을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호스트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될 화상을 각각 보상하는 화상 처리부; 및
    상기 화상처리부에서 보상된 각 화상을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140041164A 2014-04-07 2014-04-07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KR102172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164A KR102172980B1 (ko) 2014-04-07 2014-04-07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US14/613,842 US10416950B2 (en) 2014-04-07 2015-02-04 Tiled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s thereof
CN201510161072.9A CN104978901B (zh) 2014-04-07 2015-04-07 拼接显示系统及其处理图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1164A KR102172980B1 (ko) 2014-04-07 2014-04-07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218A true KR20150116218A (ko) 2015-10-15
KR102172980B1 KR102172980B1 (ko) 2020-11-02

Family

ID=54209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1164A KR102172980B1 (ko) 2014-04-07 2014-04-07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16950B2 (ko)
KR (1) KR102172980B1 (ko)
CN (1) CN104978901B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772A (ko) * 2015-11-13 2017-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WO2017171400A1 (ko) * 2016-03-31 2017-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WO2018080051A1 (ko) * 2016-10-26 2018-05-03 주식회사 토비스 일부 휘어진 곡면부를 갖는 대형 디스플레이장치
WO2018110879A1 (en) * 2016-12-14 2018-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seam correction method thereof
KR101948556B1 (ko) * 2017-09-06 2019-02-18 (주)코텍 슬롯머신 장치의 영상표시장치
KR20190137320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라온아이엔씨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CN111583781A (zh) * 2019-02-18 2020-08-25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荧幕显示装置
KR20200104553A (ko) * 2019-02-27 2020-09-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패널 경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개선한 멀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양면 반사체 제조방법
WO2021086579A1 (en) * 2019-10-28 2021-05-06 Corning Incorporated Tiled display with optical blur seam
JP2021162668A (ja) * 2020-03-31 2021-10-11 ナガシマ工芸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補助部材
US11269208B2 (en) 2019-09-11 2022-03-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auxiliary substrate including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oriented at a first right-or-acute angle relative to the first section and tile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220132109A (ko) 2021-03-23 2022-09-3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의 비활성 영역 패딩 시스템 및 방법
WO2023113057A1 (ko) * 2021-12-14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737330B2 (en) 2020-05-12 2023-08-22 Samsun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device
KR102578050B1 (ko) * 2022-05-19 2023-09-14 주식회사 엠알케이 옵티컬 본딩된 v형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2202B (zh) * 2013-09-27 2015-07-11 Ye Xin Technology Consulting Co Ltd 顯示裝置及拼接式顯示器
KR102172980B1 (ko) 2014-04-07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CN104122688B (zh) * 2014-07-11 2017-07-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系统
US20170086308A1 (en) * 2015-09-17 2017-03-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device
CN105446529A (zh) * 2015-11-18 2016-03-30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US10140946B2 (en) * 2015-12-21 2018-11-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Display assembly with multiple flat lenses with optical adhesives to generate a non-linear surface
CN108399870A (zh) 2016-01-04 2018-08-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拼接屏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07039485A (zh) 2016-02-03 2017-08-1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像素排布结构、蒸镀掩膜板及异形显示屏体
CN106249863B (zh) * 2016-02-04 2019-02-12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交互方法、交互装置及用户设备
KR102480462B1 (ko) * 2016-02-05 2022-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07472B1 (ko) * 2016-02-26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안테나
KR102517336B1 (ko) * 2016-03-29 2023-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멀티비전 장치
US10930205B2 (en) * 2016-05-19 2021-02-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system and moving object
CN106686423B (zh) * 2016-12-30 2018-03-20 惠科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画面显示方法及显示装置
CN108269495A (zh) * 2017-01-04 2018-07-10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显示屏
KR102628093B1 (ko) * 2017-01-31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8630111A (zh) * 2017-03-17 2018-10-09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显示设备
US10503457B2 (en) * 2017-05-05 2019-12-10 Nvid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ndering perspective-correct images for a tilted multi-display environment
WO2019014036A1 (en) 2017-07-11 2019-01-17 Corning Incorporated MOSAIC SCREE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TWI642050B (zh) * 2017-10-25 2018-11-21 誠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螢幕顯示裝置
CN108334163A (zh) * 2018-01-05 2018-07-2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双屏电子设备及其显示控制方法
CN110189630B (zh) 2018-02-22 2021-11-02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屏幕显示装置及显示方法
US11003015B1 (en) * 2018-03-05 2021-05-1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light guiding layer
US10674606B2 (en) * 2018-03-13 2020-06-02 Innolux Corporatio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1937061A (zh) * 2018-03-29 2020-11-13 索尼公司 显示装置
CN208256187U (zh) 2018-06-06 2018-12-18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屏幕显示装置
CN110716703B (zh) * 2018-07-13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拼接屏的图像处理方法及装置、拼接屏
US11388329B1 (en) * 2018-07-17 2022-07-12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image transport layers
CN112585526A (zh) * 2018-08-23 2021-03-3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面板、显示装置
US11272045B2 (en) * 2018-11-05 2022-03-0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splay presentation across plural display surfaces
KR102662666B1 (ko) * 2018-11-09 202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09859618B (zh) * 2019-01-21 2021-11-2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9785753B (zh) * 2019-01-29 2021-04-13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拼接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11275403B2 (en) * 2019-03-08 2022-03-15 Innolux Corporation Tiled display device
CN111866232A (zh) * 2019-04-29 2020-10-3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模组及电子设备
CN110136587A (zh) * 2019-05-29 2019-08-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
CN112309245B (zh) 2019-07-26 2022-08-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折叠式显示设备
US11782190B2 (en) 2019-09-06 2023-10-10 Apple Inc. Optical film arrangements for electronic device displays
US11705029B1 (en) * 2019-09-10 2023-07-18 Apple Inc. Curved display panel color and brightness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CN110794923B (zh) * 2019-10-21 2021-04-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显示模组及其控制方法和装置、电子设备
WO2021094844A1 (ja) 2019-11-11 2021-05-2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動作方法
CN113160701B (zh) * 2020-01-22 2023-03-0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拼接显示装置
TWI728786B (zh) * 2020-04-22 2021-05-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20220031803A (ko) * 2020-09-04 2022-03-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일형 표시 장치
KR20220109115A (ko) * 2021-01-28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개선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3301194A (zh) * 2021-05-14 2021-08-24 武汉纺织大学 一种楔形构件、屏幕拼接显示方法和智能手机
US11693558B2 (en) * 2021-06-08 2023-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ontent on display
CN113470579B (zh) * 2021-07-01 2022-10-21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显示装置及驱动方法、存储介质、终端
CN114488604B (zh) * 2022-03-07 2023-10-03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模组及显示装置
CN115019747B (zh) * 2022-05-23 2023-07-18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控制方法及车载显示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3832A (ja) * 1998-02-17 2002-02-05 サーノフ コーポレイション タイル張り電子ディスプレイ構造
JP4731637B2 (ja) * 2008-03-31 2011-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40071657A1 (en) * 2012-03-26 2014-03-13 Dai Nippon Printing Co., Ltd. Array-type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223883D0 (en) * 2002-10-15 2002-11-20 Seamless Display Ltd Visual display screen arrangement
CN102257549B (zh) 2008-12-18 2014-02-26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CN101587670A (zh) 2009-04-10 2009-11-25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oled拼接显示屏
TWI411848B (zh) 2009-04-30 2013-10-11 Au Optronics Corp 具複數顯示模組之顯示裝置
US8305294B2 (en) * 2009-09-08 2012-11-06 Global Oled Technology Llc Tiled display with overlapping flexible substrates
CN202650440U (zh) 2012-03-22 2013-01-02 曹嘉灿 消隐边框显示装置
US20140092346A1 (en) * 2012-09-28 2014-04-03 Apple Inc. Borderless Display with Light-Bending Structures
CN102982744B (zh) 2012-12-17 2014-09-24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发光二极管led显示模组
CN202956999U (zh) 2012-12-20 2013-05-29 上海阳淳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lcd显示屏无缝显示拼接装置
KR20140090482A (ko) * 2013-01-09 2014-07-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72980B1 (ko) 2014-04-07 2020-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CN104464538A (zh) 2014-12-16 2015-03-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3832A (ja) * 1998-02-17 2002-02-05 サーノフ コーポレイション タイル張り電子ディスプレイ構造
JP4731637B2 (ja) * 2008-03-31 2011-07-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US20140071657A1 (en) * 2012-03-26 2014-03-13 Dai Nippon Printing Co., Ltd. Array-type display apparatus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6772A (ko) * 2015-11-13 2017-05-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딩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1287554B2 (en) 2016-03-31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O2017171400A1 (ko) * 2016-03-31 2017-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장치
WO2018080051A1 (ko) * 2016-10-26 2018-05-03 주식회사 토비스 일부 휘어진 곡면부를 갖는 대형 디스플레이장치
US10806040B2 (en) 2016-10-26 2020-10-13 Tovis Co., Ltd. Large display device having partially curved part
US10431149B2 (en) 2016-12-14 2019-10-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seam correction method thereof
WO2018110879A1 (en) * 2016-12-14 2018-06-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seam correction method thereof
WO2019050210A1 (ko) * 2017-09-06 2019-03-14 (주)코텍 슬롯머신 장치의 영상표시장치
KR101948556B1 (ko) * 2017-09-06 2019-02-18 (주)코텍 슬롯머신 장치의 영상표시장치
AU2018329316B2 (en) * 2017-09-06 2021-03-25 Kortek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of slot machine apparatus
US11120717B2 (en) 2017-09-06 2021-09-14 Kortek Corporation Image display device of slot machine apparatus
KR20190137320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라온아이엔씨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CN111583781A (zh) * 2019-02-18 2020-08-25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荧幕显示装置
CN111583781B (zh) * 2019-02-18 2022-12-27 诚屏科技股份有限公司 多荧幕显示装置
US11466838B2 (en) 2019-02-27 2022-10-11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Multi-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image discontinuity at panel bounda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uble-sided reflector therefor
KR20200104553A (ko) * 2019-02-27 2020-09-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패널 경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을 개선한 멀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양면 반사체 제조방법
US11269208B2 (en) 2019-09-11 2022-03-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auxiliary substrate including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oriented at a first right-or-acute angle relative to the first section and tile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WO2021086579A1 (en) * 2019-10-28 2021-05-06 Corning Incorporated Tiled display with optical blur seam
JP2021162668A (ja) * 2020-03-31 2021-10-11 ナガシマ工芸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補助部材
US11796848B2 (en) 2020-03-31 2023-10-24 Nagashima Kougei Co., Ltd. Display device and display auxiliary member
US11737330B2 (en) 2020-05-12 2023-08-22 Samsung Display Co., Ltd. Tiled display device
KR20220132109A (ko) 2021-03-23 2022-09-3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영상의 비활성 영역 패딩 시스템 및 방법
WO2023113057A1 (ko) * 2021-12-14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578050B1 (ko) * 2022-05-19 2023-09-14 주식회사 엠알케이 옵티컬 본딩된 v형 듀얼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6950B2 (en) 2019-09-17
KR102172980B1 (ko) 2020-11-02
US20150286457A1 (en) 2015-10-08
CN104978901B (zh) 2019-06-25
CN104978901A (zh)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980B1 (ko) 타일드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TWI767891B (zh) 雙模增強/虛擬實境(ar/vr)近眼穿戴式顯示器
CN106251800B (zh) 用于增强可见度的显示系统及其方法
US9866825B2 (en) Multi-view imag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264967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9172949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JP5001575B2 (ja) 立体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9804405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frame
US20150227112A1 (en) Display apparatus and visual displaying method for simulating a holographic 3d scene
US20150077526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10157323A1 (en) Miniaturized Imaging Module, 3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and Image Arrangement Method Thereof
KR20110100605A (ko)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 디스플레이 영역을 감추기 위한 장치
JP2017003981A (ja)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動作方法
US9113156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331307B (zh) 一种异形显示面板与装置
US9857601B2 (en) Display device
WO2018233275A1 (zh) 裸眼3d显示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4424538A (zh) 剧院参数管理设备和方法
KR20160018022A (ko) 다시점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215364A1 (en) Displays
CN106094386B (zh) 液晶透镜、显示装置和曲面显示方法
KR20130129534A (ko)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CN109947384B (zh) 一种电子设备及处理方法
US20190205082A1 (en)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JP2017156593A (ja) マルチ画面表示システム、表示装置、バックライト輝度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