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5724A -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5724A
KR20150115724A KR1020157016569A KR20157016569A KR20150115724A KR 20150115724 A KR20150115724 A KR 20150115724A KR 1020157016569 A KR1020157016569 A KR 1020157016569A KR 20157016569 A KR20157016569 A KR 20157016569A KR 20150115724 A KR20150115724 A KR 20150115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ic copolymer
optical film
mass
uni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고이케
아키히로 다가야
사야코 우치자와
아키라 마츠오
야스오 마츠무라
Original Assignee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제이엑스 닛코닛세키에너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각고호우징 게이오기주크
Publication of KR20150115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72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8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polaris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36Amides or imides
    • C08F222/40Imides, e.g. cyclic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07C7-(meth)acrylate, e.g. heptyl (meth)acrylate or benz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36Amides or imides
    • C08F222/40Imides, e.g. cyclic imides
    • C08F222/402Alkyl substituted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26Use as polymer for film 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00/0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 C08F2800/20Copolymer characterised by the proportions of the comonomers expressed as weight or mass percenta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3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3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3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Liquid Crysta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이 모두 작고,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해당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단은,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0.5 내지 35질량%와, 단독 중합체로 하였을 때에 음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 60 내지 85질량%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ACRYLIC COPOLYMER, OPTICAL FILM,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경우에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이 모두 작고, 또한 투명성, 내열성 및 가요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그것을 이용한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광학 관련 기기에서 이용되는 필름 형상의 광학 부재(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에서 이용되는 필름이나 프리즘 시트의 기판 등)는 일반적으로 「광학 필름」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 광학 필름의 중요한 광학 특성의 하나로 복굴절성이 있다. 즉, 광학 필름이 큰 복굴절성을 갖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특히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복굴절성이 큰 필름이 존재함으로써 상질에 악영향이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편광판의 보호 필름 등에는 복굴절성이 낮은 광학 필름의 사용이 요망된다.
편광판의 보호 필름에 이용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42754호 공보에는 N-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및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구성 단위로 하는 (메트)아크릴 중합체를 포함하는, 위상차가 작은 광학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42754호 공보
그런데, 광학 필름이 나타내는 복굴절에는, 그의 주요인이 중합체 주쇄의 배향에 있는 배향 복굴절과, 필름에 가해지는 응력에서 기인하는 광탄성 복굴절이 있다.
배향 복굴절은 일반적으로 쇄상의 중합체의 주쇄가 배향함으로써 발현되는 복굴절이고, 이 주쇄의 배향은 예를 들어 필름 제조시의 압출 성형이나 연신 등 재료의 유동을 수반하는 프로세스에서 발생하고, 그것이 필름에 고정되어 남는다.
한편, 광탄성 복굴절은 필름의 탄성적인 변형에 따라 야기되는 복굴절이다. 예를 들어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부근으로부터 그 이하의 온도로 냉각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체적 수축에 의해, 탄성적인 응력이 필름 내에 잔존하여 그것이 광탄성 복굴절의 원인이 된다. 또한, 광학 필름이 통상 온도에서 기기에 고정된 상태에서 받는 외력에 의해서도 필름에 응력이 발생하여 광탄성 복굴절이 발현된다.
편광판, 특히 IPS용 편광판에 적용하는 광학 필름에는 투명성 및 내열성이 양호한 것에 더하여, 이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의 양쪽이 충분히 작은 것이 요망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42754호 공보에는 위상차가 작은, 즉 배향 복굴절이 작은 광학 필름에 관한 개시는 있지만, 광탄성 복굴절에 관한 기재는 없고, 이 특허 출원 공개 공보에서는 투명성, 내열성,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이 모두 양호한 광학 필름의 실현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경우에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이 모두 작고, 또한 투명성, 내열성 및 가요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및 해당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0.5 내지 35질량%와, 단독 중합체로 하였을 때에 음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 60 내지 85질량%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경우에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이 모두 작고, 또한 투명성, 내열성 및 가요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실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한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학 관련 기기에 이용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특히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및 단독 중합체로 하였을 때에 양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3 구성 단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상기 제3 구성 단위를 1 내지 24질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가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고, 또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가 메타크릴산메틸 단위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3 구성 단위는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 아크릴산페녹시에틸 단위, 메타크릴산페녹시에틸 단위, 메타크릴산벤질 단위, 아크릴산2,4,6-트리브로모페닐 단위 및 메타크릴산2,2,2-트리플루오로에틸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0.5×105 내지 3.0×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1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 1.0g/10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잔존 단량체량이 3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1% 중량 감소 열분해 온도는 2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한 광학 필름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 필름의 면 내 위상차 Re의 절댓값 및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절댓값이 모두 3.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 필름의 광탄성 계수 C의 절댓값이 3.0×10-12/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광학 필름의 JIS P811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MIT 내절도 횟수가 1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이 다른 형태에 의하면 상기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및 해당 편광판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도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형상으로 성형한 경우에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이 모두 작고, 또한 투명성, 내열성 및 가요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한 광학 필름은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 모두 작기 때문에 상질에 부여하는 악영향을 충분히 저감할 수 있고,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학 관련 기기에 이용되는 광학 필름으로서, 특히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0.5 내지 35질량%와, 단독 중합체로 하였을 때에 음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 60 내지 85질량%를 필수의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이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 단위에 대하여 설명한다.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는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량체로부터 얻어지는 구성 단위이다.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는 말레이미드 단위의 질소 원자 상에 방향족기가 치환된 구성 단위이고, 당해 방향족기는 단환 방향족기일 수도 있고 다환 방향족기일 수도 있다.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에 있어서의 방향족기의 탄소 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4이다.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에 있어서의 방향족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안트릴기, 페난트릴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페닐기, 나프틸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로서는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N-나프틸말레이미드 단위, N-안트릴말레이미드 단위, N-페난트릴말레이미드 단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 N-나프틸말레이미드 단위가 바람직하고,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를 1종 또는 2종 이상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은 0.5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상이다.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광학 필름으로 한 경우에 면 내 위상차 Re의 절댓값,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절댓값 및 광탄성 계수 C의 절댓값이 커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은 35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2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9질량% 이하이다.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광학 필름으로 한 경우에 면 내 위상차 Re의 절댓값,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절댓값 및 광탄성 계수 C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후기하는 바와 같은 제3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지 않을 경우,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은 15 내지 3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7 내지 32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광학 특성이 보다 한층 우수한 광학 필름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단독 중합체로 하였을 때에 음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로서는 아크릴산메틸 단위, 메타크릴산메틸 단위, 메타크릴산이소보르닐 단위,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 단위, 메타크릴산에틸아다만틸 단위, 메타크릴산메틸아다만틸 단위, 메타크릴산에틸 단위, 메타크릴산n-부틸 단위,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단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아크릴산메틸 단위, 메타크릴산메틸 단위가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메틸 단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를 1종 또는 2종 이상 갖고 있을 수도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의 함유량은 60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2질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상이다.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의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광학 필름에 있어서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절댓값 및 광탄성 계수 C의 절댓값이 커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필름이 황변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의 함유량은 85질량%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3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하이다.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의 함유량이 너무 많으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Tg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한 2종의 구성 단위 이외에도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및 단독 중합체로 하였을 때에 양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3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이러한 제3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한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은 0.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질량%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함유량은 2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3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광학 특성이 한층 우수한 광학 필름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와 제3 구성 단위의 합계 함유량은 1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와 제3 구성 단위의 합계 함유량은 4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8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5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와 제3 구성 단위의 합계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광학 특성이 한층 우수한 광학 필름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는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단량체로부터 얻어지는 구성 단위이다.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는 말레이미드 단위의 질소 원자 상에 알킬기가 치환된 구성 단위이고, 당해 알킬기는 쇄상 알킬기일 수도 환상 알킬기일 수도 있고, 환상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쇄상 알킬기는 환 구조를 갖지 않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환상 알킬기는 환 구조를 갖는 알킬기를 나타낸다.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에 있어서의 알킬기의 탄소 원자수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이다.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에 있어서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n-헥실기, 2-에틸헥실기, 도데실기, 라우릴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메틸기, 에틸기, 시클로헥실기가 바람직하고, 시클로헥실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N-알킬말레이미드 단위로서는 N-메틸말레이미드 단위, N-에틸말레이미드 단위, N-n-프로필말레이미드 단위, N-이소프로필말레이미드 단위, N-n―부틸말레이미드 단위, N-이소부틸말레이미드 단위, N-t-부틸말레이미드 단위, N-n-헥실말레이미드 단위, N-2-에틸헥실말레이미드 단위, N-도데실말레이미드 단위, N-라우릴말레이미드 단위,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N-메틸말레이미드 단위, N-에틸말레이미드 단위,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가 바람직하고,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N-알킬말레이미드 단위는 이들 중의 1종일 수도 있고,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단독 중합체로 하였을 때에 양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서는, 방향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 및 불소 원자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만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고, 또한 2종 이상을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방향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에 있어서 방향환으로서는 벤젠환, 나프탈렌환, 안트라센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벤젠환이 바람직하다. 벤젠환을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서는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페녹시에틸 단위, (메트)아크릴산벤질 단위, (메트)아크릴산2,4,6-트리브로모페닐 단위, (메트)아크릴산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 단위, (메트)아크릴산비페닐 단위, (메트)아크릴산벤타플루오로벤질 단위, (메트)아크릴산트리플루오로페닐 단위를 들 수 있고, 이들 중 (메트)아크릴산페녹시에틸 단위, (메트)아크릴산벤질 단위 및 (메트)아크릴산2,4,6-트리브로모페닐 단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불소 원자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서는 예를 들어 불소 치환 방향족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 불화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들 수 있다. 불소 원자를 갖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서는 (메트)아크릴산불화알킬 단위가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불화알킬 단위로서는 (메트)아크릴산트리플루오로메틸 단위, (메트)아크릴산2,2,2-트리플루오로에틸 단위, (메트)아크릴산1-(트리플루오로메틸)-2,2,2-트리플루오로에틸 단위, (메트)아크릴산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단위, (메트)아크릴산2,2,3,3,3-펜타플루오로프로필 단위, (메트)아크릴산1H,1H,5H-옥타플루오로펜틸 단위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메트)아크릴산2,2,2-트리플루오로에틸 단위가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제3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경우, 제3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1질량% 이상으로 할 수 있고, 2질량%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제3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26질량% 이하일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24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2질량% 이하이다. 제3 구성 단위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광학 특성이 한층 우수한 광학 필름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제3 구성 단위는 그 종류에 따라 그의 가장 적합한 함유량 범위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3 구성 단위가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인 경우,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제3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5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1질량% 이상이다. 또한,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은 2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4질량% 이하이다. 제3 구성 단위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광학 특성이 한층 우수한 광학 필름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3 구성 단위가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인 경우,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의 제3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1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질량% 이상이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의 함유량은 2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3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하이다. 제3 구성 단위의 함유량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광학 특성이 한층 우수한 광학 필름이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필름 성형한 경우의 가요성 및 용융 유속(MFR) 등의 필름 제조 효율의 관점에서,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0.5×105 내지 3.0×105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105 내지 2.9×105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05 내지 2.7×105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중량 평균 분자량이 너무 높으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용융시의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필름의 제조 효율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기에 의해 필름을 제막하는 경우, 압출 성형기에는 수지 중의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되어 있는데, 수지의 용융 점도가 너무 높아지면 필터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고, 필터 성능이 저하되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필터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필름 제막시의 필터 성능의 저하를 억제하여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도소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HLC-8220 GPC에 의해 측정되는 표준 폴리스티렌 분자량 환산의 값을 나타낸다. 또한, 칼럼은 도소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슈퍼-멀티포어(Super-Multipore) HZ-M을 사용하고, 측정 조건은 용매 HPLC용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유량 0.35ml/min, 칼럼 온도 40℃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리 전이 온도 Tg가 1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필름의 내열성이 한층 향상되고, 열에 대한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한층 적합한 것이 된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 Tg의 상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광학 필름으로서 이용한 경우, 광학 필름의 충분한 내열성이 달성되는 관점에서 160℃ 이하일 수도 있고, 150℃ 이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유리 전이 온도는 SII 나노테크놀로지사 제조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DSC7020을 사용하고, 승온 속도 10℃/분으로 승온시켰을 때의 유리 전이점의 온세트(onset) 온도로부터 구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시료 중량은 5mg 내지 10mg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융 유속(MFR)이 1.0g/10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유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용융 압출에 의한 필름 성형이 용이하게 되고, 필름의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용융 유속(MFR)의 상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40g/10분 이하일 수도 있고, 30g/10분 이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용융 유속(MFR)은 가부시키가이샤도요세키 제조의 멜트 인덱서 F-F01을 이용하고, 3.8kg 중하중, 260℃ 조건하, JIS K7020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값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1% 중량 감소 열분해 온도(이하, 간단히 「열분해 온도」라고도 함)는 28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후기하는 바와 같이 광학 필름으로서 적합한 재료인데, 미연신 필름의 제막시에 고온 프로세스(예를 들어 용융 압출 공정)를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해나 열화가 발생하면, 발포에 의해 평활한 필름이 얻어지기 어려워지거나, 이상한 냄새가 발생하여 작업성이 악화되거나, 또는 얻어진 필름에 착색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1% 중량 감소 열분해 온도를 285℃ 이상으로 함으로써, 제막시의 고온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해나 열화가 충분히 억제되기 때문에, 평활하고 또한 착색이 충분히 억제된 미연신 필름을 양호한 작업성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필름의 내열성이 한층 향상되고,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한층 적합한 것이 된다. 또한, 열분해 온도의 상한에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광학 필름으로서의 충분한 내열성이 달성되는 관점에서 400℃ 이하일 수도 있고, 350℃ 이하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열분해 온도는 SII 나노테크놀로지사 제조의 시차열 열중량 동시 측정 장치 TG/DTA7200을 사용하고, 승온 온도 10℃/분으로 180℃까지 승온시키고, 60분 유지한 후, 승온 속도 10℃/분으로 450℃까지 승온시키고, 250℃에서의 시료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 중량 감소하였을 때의 온도를 나타낸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한 3종의 단량체 단위를 공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중합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괴상 중합, 현탁 중합, 유화 중합, 용액 중합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중, 중합 후의 처리가 용이하고, 중합 후의 처리에 있어서 유기 용매의 제거를 위한 가열 등이 불필요한 관점에서 현탁 중합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는 현탁 중합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특히 색상이 우수한 것이 된다. 현탁 중합은 용액 중합과는 달리 중합계로부터 고온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하는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한층 색상이 우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예를 들어 상기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1-242754호 공보에 기재된 메타크릴산메틸과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의 공중합체를 제막하여 필름화한 경우, 필름의 색상이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색상의 악화 원인이 중합 후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잔존 단량체량이 많은 것이 한 요인이라는 지견을 얻었다. 그리고,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및 단독 중합체로 하였을 때에 음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 및 필요에 따라 제3 구성 단위를 특정한 비율로 함유시킴으로써, 단량체 전화율이 향상되고, 중합 후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있어서의 잔존 단량체량이 충분히 저감되는 것을 알았다. 또한, 잔존 단량체량이 많은 경우에도 아크릴계 공중합체 자체에 착색은 관찰되지 않는다. 본 발명자들의 지견에 의하면, 잔존 단량체량이 많은 경우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필름화하는 공정에서의 가열 등에 의해 황변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잔존 단량체량은 바람직하게는 5질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질량% 이하이다.
현탁 중합의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현탁 중합의 조건을 적절히 적용할 수 있다. 이하에 현탁 중합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의 일 형태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다음의 일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원하는 질량 비율이 되도록 단량체(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메트)아크릴산알킬 및 제3 구성 단위가 되는 단량체)를 각각 계량하고, 그 총량을 100질량부로 한다. 단량체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300질량부의 탈이온수 및 0.6질량부의 분산제로서의 폴리비닐알코올(가부시키가이샤구라레이 제조의 구라레파볼)을 현탁 중합 장치에 투입하고, 교반을 개시한다. 계속해서, 계량한 단량체와, 중합 개시제로서 닛본유시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퍼로일 TCP를 1질량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1-옥탄티올을 0.22질량부를 현탁 중합 장치에 투입한다.
그 후, 현탁 중합 장치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반응계를 70℃까지 승온시킨 후, 70℃에서 3시간 유지하여 반응시킨다. 반응 후,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필요에 따라 여과, 세정 및 건조 등의 조작을 행하여, 입자상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중량 평균 분자량이 0.5×105 내지 3.0×105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및 분산제의 종류 및 투입량은 일례이며, 현탁 중합의 조건은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현탁 중합에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 0.5×105 내지 3.0×105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그 조건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연쇄 이동제의 투입량을 변경함으로써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어 닛폰유시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퍼로일 TCP, 퍼옥타 O, 나이퍼 BW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단량체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2.0질량부일 수 있고, 0.1 내지 1.5질량부일 수도 있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예를 들어 1-옥탄티올, 1-도데칸티올, tert-도데칸티올 등의 티올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연쇄 이동제의 사용량은 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단량체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0.6질량부로 할 수 있고, 0.07 내지 0.5질량부일 수도 있다.
분산제로서는 예를 들어 가부시키가이샤구라레이 제조의 쿠라레파볼 등의 PVA,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산제의 사용량은 예를 들어 단량체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5질량부일 수 있고, 0.02 내지 0.3질량부일 수도 있다.
현탁 중합의 조건은 중합 개시제, 연쇄 이동제 및 분산제의 종류 및 사용량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온도는 50 내지 90℃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일 수도 있다. 또한, 반응 시간은 충분히 반응이 진행되는 시간이 확보되어 있으면 되며, 예를 들어 2 내지 10시간으로 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시간이다. 또한, 단량체 전화율은 반응 활성종의 수명, 단량체의 반응성 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반응 시간을 연장하여도 반드시 단량체 전화율이 향상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광학 필름용 수지 재료로서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의하면,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이 모두 작고, 투명성, 내열성 및 가요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광학 필름>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은 상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재료를 제막한 것인데, 제막에 의해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한 것이 바람직하다. 미연신의 광학 필름을 1축 내지 2축 연신함으로써, 광학 필름의 인장 강도나 굴곡 내성 등의 기계 특성이 향상되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연신한 광학 필름이라 하더라도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이 모두 작고, 우수한 투명성, 내열성 및 가요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의 여러 특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학 필름의 면 내 위상차 Re의 절댓값 및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절댓값은 모두 3.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nm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2.0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nm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면 내 위상차 Re의 절댓값 및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절댓값이 작으면, 배향 복굴절이 작아지기 때문에 광학 필름, 특히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한층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광탄성 계수 C의 절댓값은 3.0×10-12(/Pa)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10-12(/Pa)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10-12(/Pa)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5.0×10-13(/Pa) 이하가 한층 바람직하고, 1.0×10-13(/Pa) 이하일 수도 있다. 광탄성 계수 C의 절댓값이 작으면, 광탄성 복굴절이 작아지기 때문에 광학 필름, 특히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한층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배향 복굴절성은 악소메트릭스(Axometrics)사 제조 악소스캔(Axoscan) 장치로 필름의 면 내 위상차값인 리타데이션(Re)과 두께 방향 위상차값인 Rth를 측정하여 평가할 수 있다.
Re(단위: nm)는 필름 면 내의 일방향 굴절률을 nx, 그와 직행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ny, 필름의 두께를 dnm으로 하였을 때 다음 식 (1)로 표시된다.
Re=(nx-ny)×d … (1)
Rth(단위: nm)는 필름 면 내의 일방향 굴절률을 nx, 그와 직행하는 방향의 굴절률을 ny,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을 nz, 필름의 두께를 dnm으로 하였을 때 다음 식 (2)로 표시된다.
Rth=((nx+ny)/2-nz)×d … (2)
필름의 위상차값 부호는 중합체 주쇄의 배향 방향으로 굴절률이 큰 것을 양으로 하고, 연신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굴절률이 큰 것을 음으로 한다.
광학 필름의 광탄성 복굴절은 배향 복굴절성과 동일하게 악소메트릭스사 제조 악소스캔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의 위상차값인 리타데이션 Re의 필름에 가한 응력에 의한 변화량을 측정하고, 광탄성 계수 C(단위:10-12/Pa)로서 구해진다. 구체적인 광탄성 계수 C의 산출 방법은 다음 식 (3)과 같다.
C=ΔRe/(Δσ×t) … (3)
Δσ는 필름에 가해진 응력의 변화량으로 단위는 [Pa], t는 필름의 막 두께로 단위는 [m], ΔRe는 Δσ의 응력 변화량에 대응한 면 내 위상차값의 변화량으로 단위는 [m]이다. 광탄성 계수 C의 부호는 응력을 가한 방향으로 굴절률이 커지는 것을 양으로 하고, 응력을 가한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굴절률이 커지는 것을 음으로 한다.
광학 필름은 JIS P811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MIT 내절도 횟수가 150회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학 필름은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요구되는 가요성을 충분히 만족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편광판용 보호 필름으로서 한층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광학 필름은 내굴곡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대면적화가 요구되는 용도에 한층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중 MIT 내절도 시험은 테스터산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BE-201 MIT 내굴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테스터산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BE-201 MIT 내굴도 시험기는 MIT 내절도 시험기라고도 부르고 있다. 측정 조건은 가중 200g, 절곡점 선단 R은 0.38, 굴곡 속도는 175회/분, 굴곡 각도는 좌우 135°로 하고, 필름 샘플의 폭은 15mm로 한다. 그리고,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으로 반복하여 굴곡시켰을 때에 파단된 굴곡 횟수와, 폭 방향으로 반복하여 굴곡시켰을 때에 파단된 굴곡 횟수의 평균값을 MIT 내절도 횟수로 한다.
MIT 내절도 횟수가 150회 이상이면, 연신 공정 후의 광학 필름을 반송하여 권취하는 공정이나, 편광판 등에 맞대어 붙이는 등의 공정에서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용 보호 필름의 내히트쇼크성의 시험 방법으로서 유리 기반에 풀을 통하여 필름을 맞대어 붙이고, -20℃ 내지 60℃의 범위로 승온, 강온을 30분 간격으로 500사이클 반복하는 히트쇼크 시험이 알려져 있는데, 전술한 MIT 내절도 횟수가 150회 이상이면, 히트쇼크 시험 중에 필름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학 필름의 MIT 내절도 횟수는 150회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60회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70회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광학 필름의 막 두께는 10㎛ 이상 150㎛ 이하로 할 수 있고, 15㎛ 이상 120㎛ 이하로 할 수도 있다. 막 두께가 10㎛ 이상이면 필름의 취급성이 양호해지고, 150㎛ 이하이면 헤이즈의 증가나 단위 면적당 재료 비용의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학 필름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미연신 필름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지는 필름이면 되고, 2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지는 필름(2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연신 배율은 면적비로 1.3배 이상으로 할 수 있고, 1.5배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연신 배율은 면적비로 6.0배 이하일 수도 있고, 4.0배 이하일 수도 있다.
또한, 광학 필름의 황색기미의 지표인 b*값은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30 이하이다. 또한, 황색기미의 지표인 b*값은 광학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을 닛폰덴쇼쿠고교(주) 제조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 SD6000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은 우수한 내광성을 갖는다. 내광성은 광조사 전후에서의 필름 물성값의 변화량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필름 물성값으로서는 황색기미의 지표인 b*값, 면 내 위상차 Re, 두께 방향 위상차 Rth, 광탄성 계수 C 및 MIT 내절도 횟수 등이 이용된다. 예를 들어 크세논 웨더 미터[도요세키세이사쿠쇼 아틀라스 Ci4000]를 이용하여 광학 필름에 광을 조사하고, 하기와 같이 하여 내광성을 평가할 수 있다.
내광성은 광조사 후의 b*값을 광조사 전의 b*값(b*1)으로부터 차감한 값 Δb*(=b*1-b*), 광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면 내 위상차 Re의 차감값 ΔRe(=광조사 전 Re-광조사후 Re), 광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차감값 ΔRth(=광조사 전 Rth-광조사 후 Rth), 광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광탄성 계수 C의 차감값 ΔC(=광조사 전 C-광조사 후 C) 및 광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MIT 내절도 횟수의 차감값 ΔMIT(=광조사 전 MIT-광조사 후 MIT)로부터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즉, 광학 필름이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미연신 필름을 적어도 일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지는 것일 때, 수지 재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외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을 수도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외의 성분으로서는 산화 방지제, 활제, 자외선 흡수제, 안정제 등, 광학 필름에 이용되는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이용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는 범위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수지 재료의 총량 기준으로 1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수지 재료 중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함유량은 수지 재료의 총량 기준으로 9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9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9질량% 이상일 수도 있다.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형태에 있어서 광학 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미연신 필름을 일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광학 필름의 제조 방법은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재료를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는 공정(용융 압출 공정)과, 상기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하여 2축 연신 필름을 얻는 공정(연신 공정)을 구비한다.
용융 압출 공정은 예를 들어 다이립을 구비하는 압출 제막기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이때, 수지 재료는 압출 제막기 내에서 가열 용융되고, 다이립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토출됨으로써 필름 형상을 이룬다.
용융 압출의 압출 온도는 130℃ 이상 3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50℃ 이상 280℃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압출 온도가 130℃ 이상이면 수지 재료 중의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충분히 용융 혼련되기 때문에, 미용융물의 필름에 대한 잔존이 충분히 방지된다. 또한, 300℃ 이하이면, 열분해에 의한 필름의 착색이나 분해물의 다이립에 대한 부착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충분히 방지된다.
T 다이 압출 장치를 이용한 용융 제막법에 있어서 T 다이립으로부터 토출된 용융 수지가 최초로 접촉하는 제1 롤의 온도 T1℃는 용융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로 하였을 때, (Tg-24)≤T1≤(Tg+24)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Tg-20)≤T1≤(Tg+20)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T1의 온도가 (Tg-24)℃ 이상이면, T 다이립으로부터 토출된 용융 상태의 수지 필름이 급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축 불균일에 의해 제막한 필름의 두께 정밀도가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T1의 온도가 (Tg+24)℃ 이하이면 T 다이립으로부터 토출된 용융 상태의 수지가 제1 롤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필름 두께 불균일(단위: %)은 미연신 필름(원단 필름)의 양단의 귀를 각 10mm 잘라낸 후의 롤 샘플을 폭 방향 등간격으로 20개소 측정한 두께의 최댓값을 t1㎛, 최솟값을 t2㎛, 평균값을 t3㎛으로 하였을 때, 하기 식 (4):
두께 불균일(%)=100×(t1-t2)/t3 … (4)
로부터 산출되는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연신 공정에서는 용융 압출 공정에서 얻어진 미연신 필름(원단 필름)을 연신하여 광학 필름을 얻는다. 연신 방법으로서는 종래 공지된 1축 연신법 또는 2축 연신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2축 연신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텐터 연신 장치에 있어서 필름 단부를 파지하는 클립 간격이 필름의 반송 방향으로도 넓어지는 동시 2축 연신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연신 공정에서는 주속차를 이용한 롤간 연신, 텐터 장치에 의한 연신 조합 축차 2축 연신법도 적용할 수 있다.
연신 장치는 압출 제막기와 일관 라인일 수도 있다. 또한, 연신 공정은 압출 제막기에 의해 권취한 원단 필름을 오프라인에서 연신 장치로 송출하여 연신하는 방법으로 행할 수도 있다.
연신 온도로서는 원단 필름의 유리 전이 온도를 Tg(℃)로 하였을 때에 Tg+2℃ 이상 Tg+20℃ 이하가 바람직하고, Tg+5℃ 이상 Tg+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Tg+2℃ 이상이면 연신 중의 필름의 파단이나 필름의 헤이즈의 상승 등의 문제 발생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Tg+20℃ 이하이면 중합체 주쇄가 배향되기 쉬워, 한층 양호한 중합체 주쇄 배향도가 얻어지는 경향이 있다.
용융 제막법으로 제막된 원단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중합체 주쇄가 배향하여 필름의 내굴곡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복굴절률이 작은 중합체 재료를 포함하는 필름이 아니면, 필름의 위상차값이 상승하고, 액정 표시 장치에 내장하였을 때에 상질이 악화된다. 본 형태에 있어서는 전술한 수지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우수한 광학 특성과 내굴곡성을 양립한 광학 필름이 얻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이 모두 작고, 투명성, 내열성 및 가요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을 얻을 수 있다.
<편광판>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은 편광 필름 중 적어도 한쪽의 면에 상기 광학 필름을 보호 필름으로서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광학 필름은 배향 복굴절 및 광탄성 복굴절이 모두 작기 때문에,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에 의하면,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적용시에 보호 필름에 의한 상질의 악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은 상기 광학 필름 이외의 구성 요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편광판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은 공지된 편광판에 있어서 보호 필름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광학 필름으로 변경한 것일 수도 있다. 편광판은 예를 들어 상기 광학 필름, 편광층, 편광층 보호 필름 및 점착층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을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은 보호 필름으로서 상기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호 필름의 광학 특성에서 기인하는 상질의 악화를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 의하면 양호한 상질이 실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 이외의 구성 요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된 액정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지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편광판을 상기 편광판으로 변경한 것일 수도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예를 들어 상기 편광판, 백라이트, 컬러 필터, 액정층, 투명 전극 및 유리 기판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성을 구비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 평가 방법>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유리 전이 온도(Tg), 잔존 단량체량, 용융 유속(MFR) 및 1% 질량 감소 온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도소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HLC-8220 GPC를 사용하여 측정한, 표준 폴리스티렌 분자량 환산의 값을 나타낸다. 또한, 칼럼은 도소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슈퍼-멀티포어 HZ-M을 사용하고, 측정 조건은 용매 HPLC용 테트라히드로푸란(THF), 유량 0.35ml/min, 칼럼 온도 40℃로 하였다.
유리 전이 온도 Tg는 SII 나노테크놀로지사 제조의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DSC7020을 사용하고, 승온 속도 10℃/분으로 승온시켰을 때의 유리 전이점의 온세트 온도로부터 구하였다. 또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시료 질량은 5mg 이상 10mg 이하로 하였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잔존 단량체량은 이하의 장치 및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장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 장치: 아질렌트테크놀로지사 제조 GC 6850
칼럼: HP-5 30m
오븐 온도 조건: 50℃에서 5분 유지한 후 10℃/분으로 250℃까지 승온시키고, 10분 유지하였다.
주입량: 0.5μl
모드: 스플릿법
스플릿비: 80/1
캐리어: 순질소
검출기: FID
(방법)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입자 약 1g을 정칭하고, 아세톤 약 10ml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당해 입자를 완전히 용해시켜 아세톤 용액으로 하였다. 교반자를 넣은 100ml 용기에 메탄올 약 90ml를 측량하여 취하고, 상기 아세톤 용액을 적하하여 중합체를 석출시켜 슬러리액으로 하였다. 계속해서, 내부 표준 물질로서 클로로벤젠 약 0.1ml를 정칭하고, 상기 슬러리액에 첨가하고, 격렬하게 흔들어서 잘 섞었다. 이 용액을 정치하고, 상청액 약 1.5ml를 여과한 것을 이용하여 GC(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각 단량체의 검출을 행하였다. 또한, 각 성분의 유지 시간, 면적/질량 환산 계수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01
각 단량체의 GC 면적값에 면적/질량 환산 계수를 곱하고, 이하의 비례식에 의해 각 단량체의 질량을 산출하였다.
내부 표준 물질 질량:각 단량체 질량=(내부 표준 물질 GC 면적값×면적/질량 환산 계수):(각 단량체 GC 면적값×면적/질량 환산 계수)
이상의 방법에 의해, 정칭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입자 중의 각 단량체의 잔존 질량을 구하고, 그 총합을, 정칭한 아크릴계 중합체 입자의 질량으로 제산함으로써 잔존 단량체량%를 산출하였다.
용융 유속은 가부시키가이샤도요세키 제조의 멜트 인덱서 F-F01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 질량 감소 온도는 SII 나노테크놀로지사 제조의 시차열 열질량 동시 측정 장치 TG/DTA7200을 사용하고, 승온 온도 10℃/분으로 180℃까지 승온시키고, 60분 유지한 후, 승온 속도 10℃/분으로 450℃까지 승온시키고, 250℃에서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기준으로 하여 1% 질량 감소하였을 때의 온도를 구하였다.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
이하와 같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a-1) 내지 (a-9), (b-1) 내지 (b-7)을 합성하고,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 유리 전이 온도 Tg, 용융 유속 MFR, 잔존 단량체량 및 1% 질량 감소 온도를 측정하였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의 합성)
교반 장치, 온도 센서, 냉각관 및 질소 도입관을 구비한 반응 용기에 탈이온수 300질량부와, 분산제로서 폴리비닐알코올(가부시키가이샤구라레사 제조 구라레포발) 0.6질량부를 합하여 투입하고, 교반을 개시하였다. 이어서, 메타크릴산메틸(이하, 경우에 따라 「MMA」라고 나타냄) 78질량부와, N-페닐말레이미드(이하, 경우에 따라 「PhMI」라고 나타냄) 22질량부와, 중합 개시제로서 닛폰유시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퍼로일 TCP를 1질량부와, 연쇄 이동제로서 0.22질량부의 1-옥탄티올을 투입하고, 반응 용기에 질소를 통과시키면서 70℃까지 승온시켰다. 70℃에 도달한 상태를 3시간 유지한 후, 냉각시키고, 여과, 세정, 건조에 의해 입자상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2)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0질량부 및 N-페닐말레이미드(PhMI) 20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2)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3)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3질량부 및 N-페닐말레이미드(PhMI) 17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3)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4)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79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15질량부 및 아크릴산페녹시에틸(이하, 경우에 따라 「PhOEA」라고 나타냄) 6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4)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5)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2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16질량부 및 아크릴산페녹시에틸(PhOEA) 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5)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6)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0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9질량부 및 메타크릴산페녹시에틸(이하, 경우에 따라 「PhOEMA」라고 나타냄) 11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6)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7)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1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17질량부 및 메타크릴산페녹시에틸(PhOEMA) 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7)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8)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3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8질량부 및 메타크릴산벤질(이하, 경우에 따라 「BnMA」라고 나타냄) 9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8)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9)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0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18질량부 및 메타크릴산벤질(BnMA) 2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9)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0)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78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0.5질량부 및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이하, 경우에 따라 「CHMI」라고 나타냄) 21.5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10)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1)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0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7질량부 및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13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11)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2)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1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2질량부, 메타크릴산벤질(BnMA) 12질량부 및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5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12)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3)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1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3질량부, 메타크릴산벤질(BnMA) 12질량부 및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4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13)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4)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65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16질량부 및 메타크릴산2,2,2-트리플루오로에틸(이하, 경우에 따라 「3FMA」라고 나타냄) 19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14)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5)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75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21질량부 및 메타크릴산2,2,2-트리플루오로에틸(3FMA) 4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15)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6)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0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10질량부 및 아크릴산2,4,6-트리브로모페닐(이하, 경우에 따라 「TBPhA」라고 나타냄) 10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16)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7)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75질량부, N-페닐말레이미드(PhMI) 1질량부 및 아크릴산2,4,6-트리브로모페닐(TBPhA) 24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용 중합체 (a-17)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8)의 합성)
연쇄 이동제(1-옥탄티올)를 0.47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a-18)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19)의 합성)
연쇄 이동제(1-옥탄티올)를 0.08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a-19)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a-20)의 합성)
연쇄 이동제(1-옥탄티올)를 0.08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a-19)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b-1)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2질량부 및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18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1)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b-2)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3질량부,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13질량부 및 아크릴산페녹시에틸(PhOEA) 4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2)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b-3)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3질량부,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14질량부 및 메타크릴산페녹시에틸(PhOEMA) 3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3)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b-4)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2질량부,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14질량부 및 메타크릴산벤질(BnMA) 4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4)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b-5)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60질량부,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18질량부, 메타크릴산벤질(BnMA) 4질량부 및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이하, 경우에 따라 「DCPMA」라고 나타냄) 18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5)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b-6)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63질량부,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5질량부, 메타크릴산벤질(BnMA) 16질량부 및 메타크릴산디시클로펜타닐(DCPMA) 16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6)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b-7)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65질량부,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19질량부 및 메타크릴산2,2,2-트리플루오로에틸(3FMA) 16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7)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b-8)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0질량부,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10질량부 및 아크릴산2,4,6-트리브로모페닐(TBPhA) 10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8)을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b-9)의 합성)
단량체로서 메타크릴산메틸(MMA) 80질량부 및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CHMI) 20질량부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a-1)과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9)를 얻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b-10)의 합성)
연쇄 이동제(1-옥탄티올)를 0.06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아크릴계용 중합체 (b-2)와 마찬가지로 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합성을 행하고, 아크릴계 공중합체 (b-10)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아크릴계용 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Mw), 유리 전이 온도(Tg), 용융 유속(MFR), 잔존 단량체량 및 1% 질량 감소 온도의 측정 결과는 다음의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02
<광학 필름의 평가 방법>
이어서, 얻어진 각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광학 필름의 두께, 두께 불균일, 면 내 위상차 Re, 두께 방향 위상차 Rth, 광탄성 계수 C, MIT 내절도 횟수, 황색기미의 지표인 b*값 및 내광성은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광학 필름 (A-1)의 두께는 디지털 측장기(디지털 마이크로 MF501, 니콘사 제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필름 두께 불균일(단위:%)은 필름 원단의 양단의 귀를 각 10mm 잘라낸 후의 롤 샘플을 폭 방향 등간격으로 20개소 측정한 두께의 최댓값을 t1㎛, 최솟값을 t2㎛, 평균값을 t3㎛로 하였을 때, 두께 불균일=100×(t1-t2)/t3으로서 계산되는 값으로 하였다.
면 내 위상차 Re 및 두께 방향 위상차 Rth는 악소메트릭스사 제조 악소스캔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광탄성 계수 C는 악소메트릭스사 제조 악소스캔 장치를 이용하여 필름의 위상차값인 리타데이션(Re)의 광학 필름에 가한 응력에 의한 변화량을 측정하여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다음 식 (3)과 같다.
C=ΔRe/(Δσ×t) … (3)
Δσ는 필름에 가해진 응력의 변화량(단위: Pa)이고, t는 필름의 막 두께(단위: m), ΔRe는 Δσ의 응력 변화량에 대응한 면 내 위상차값의 변화량(단위: m)이다.
MIT 내절도 횟수의 측정은 JIS P8115에 준거하고, 테스터산교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BE-201 MIT 내절도 시험기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측정 조건은 가중 200g, 절곡점 선단 R은 0.38, 굴곡 속도는 175회/분, 굴곡 각도는 좌우 135°로 하고, 필름 샘플의 폭은 15mm로 하였다. 그리고, 광학 필름의 반송 방향(MD 방향)으로 반복하여 굴곡시켰을 때에 파단된 굴곡 횟수와, 폭 방향(TD 방향)으로 반복하여 굴곡시켰을 때에 파단된 굴곡 횟수의 평균값을 MIT 내굴도 시험 횟수로 하였다.
황색기미의 지표인 b*값의 측정은 광학 필름의 분광 스펙트럼을 닛폰덴쇼쿠고교(주) 제조 스펙트로포토미터 SD6000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구하였다. 측정 조건은 크세논 웨더 미터[도요세키세이사쿠쇼 아틀라스 Ci4000]를 이용하여 광학 필름에 방사 조도 60W/m2, 블랙 패널 온도 63±3℃, 습도 50% RH, 600시간 광조사로서 행하였다.
또한, 내광성의 평가에는 크세논 웨더 미터[도요세키세이사쿠쇼 아틀라스 Ci4000]를 이용하여 광학 필름에 방사 조도 60W/m2, 블랙 패널 온도 63±3℃, 습도 50% RH, 600시간 광조사하여 행하였다. 광조사 후의 b*값을 광조사 전의 b*값(b*1)으로부터 차감한 값 Δb*(=b*1-b*), 광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면 내 위상차 Re의 차감값 ΔRe(=광조사 전 Re-광조사 후 Re), 광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차감값 ΔRth(=광조사 전 Rth-광조사 후 Rth), 광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광탄성 계수 C의 차감값 ΔC(=광조사 전 C-광조사 후 C) 및 광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MIT 내절도 횟수의 차감값 ΔMIT(=광조사 전 MIT-광조사 후 MIT)를 구하고, 내광성을 평가하였다.
<광학 필름의 제조>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각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이하의 표 3에 기재된 제막 조건에 의해 광학 필름을 제조하고, 광학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광학 필름 (A-1)의 제조
입자상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테크노벨사 제조의 2축 스크루식 압출기 KZW-30MG로 필름으로 하였다. 2축 압출기의 스크루 직경은 15mm, 스크루 유효 길이(L/D)는 30이고, 압출기에는 어댑터를 통하여 행거 코트 타입의 T 다이가 설치되어 있다. 압출 온도 Tp(℃)는 유리 전이 온도가 Tg(℃)인 비결정성 중합체의 경우, 식 (7)이 최적이 되는 점으로부터 251℃로 하였다.
Tp=5(Tg+70)/4 … (7)
또한, 필름 원단을 얻을 때의 제1 롤 온도를 136℃로 하였다.
얻어진 필름 원단(미연신 필름)을 이모토세이사쿠쇼 제조 2축 연신기로 연신하고(연신 온도: Tg+9℃, 연신 배율: 1.5×1.5배, 동시 2축 연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 광학 필름 (A-2)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2)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2)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2)는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3: 광학 필름 (A-3)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3)으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3)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3)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4: 광학 필름 (A-4)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4)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4)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4)는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5: 광학 필름 (A-5)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5)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5)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5)는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6: 광학 필름 (A-6)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6)으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6)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6)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7: 광학 필름 (A-7)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7)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7)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7)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8: 광학 필름 (A-8)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8)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8)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8)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9: 광학 필름 (A-9)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9)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9)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9)는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0: 광학 필름 (A-10)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10)으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0)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0)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1: 광학 필름 (A-11)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11)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1)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1)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2: 광학 필름 (A-12)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12)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2)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2)는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3: 광학 필름 (A-13)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13)으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3)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3)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4: 광학 필름 (A-14)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14)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4)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4)는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5: 광학 필름 (A-15)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15)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5)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5)는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6: 광학 필름 (A-16)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16)으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6)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6)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7: 광학 필름 (A-17)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17)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7)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7)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8: 광학 필름 (A-18)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18)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이모토세이사쿠쇼 제조 2축 연신기로 연신 온도 Tg+9℃, 연신 배율 1.5×1.0배의 조건으로 1축 연신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8)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8)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19: 광학 필름 (A-19)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a-19)로 변경하고, 연신 배율을 2.0×2.0배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19)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19)는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0: 광학 필름 (A-20)의 제조
연신 배율을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5×1.0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20)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20)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1: 광학 필름 (A-21)의 제조
연신 배율을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0×2.0배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21)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21)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2: 광학 필름 (A-22)의 제조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47℃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22)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22)는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실시예 23: 광학 필름 (A-23)의 제조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7℃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0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A-23)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23)은 다음의 표 4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분한 가요성을 갖고 있고, 또한 육안 검사에 있어서 백탁 없이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었다.
비교예 1: 광학 필름 (B-1)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b-1)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1)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4)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분해 온도가 낮고, 내열성에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2: 광학 필름 (B-2)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b-2)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2)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4)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전이 온도가 낮고, 내열성에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3: 광학 필름 (B-3)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b-3)으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3)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4)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분해 온도 및 유리 전이 온도가 낮고, 내열성에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4: 광학 필름 (B-4)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b-4)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4)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4)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분해 온도 및 유리 전이 온도가 낮고, 내열성에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5: 광학 필름 (B-5)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b-5)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5)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4)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분해 온도가 낮고, 내열성에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6: 광학 필름 (B-6)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b-6)으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6)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4)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분해 온도가 낮고, 내열성에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7: 광학 필름 (B-7)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b-7)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7)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4)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분해 온도 및 유리 전이 온도가 낮고, 내열성에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8: 광학 필름 (B-8)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b-8)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8)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4)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전이 온도가 낮고, 내열성에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9: 광학 필름 (B-9)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a-1)을 아크릴계 공중합체 (b-9)로 변경하고,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9)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A-4)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분해 온도가 낮고, 내열성에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10: 광학 필름 (B-10)의 제조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5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을 제조하려고 하였지만, 필름 원단이 제1 롤에 부착되어 제막할 수 없었다.
비교예 11: 광학 필름 (B-11)의 제조
제1 롤 온도를 다음의 표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04℃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9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10)을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B-10)은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분해 온도가 낮고, 내열성에 문제가 있었다.
비교예 12: 광학 필름 (B-12)의 제조
아크릴계 공중합체 (b-2)를 아크릴계 공중합체 (b-10)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광학 필름의 제조를 행하고, 두께 40㎛의 광학 필름 (B-12)를 얻었다. 얻어진 광학 필름 (B-12)는 다음의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높고, 2축 스크루식 압출기에 있어서의 필터 전후 압차가 크기 때문에 필름 제막에 적합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및 비교예의 광학 필름의 두께 불균일, 면 내 위상차 Re, 두께 방향 위상차 Rth, 광탄성 계수 C, MIT 내절도 횟수, 황색기미의 지표인 b*값 및 내광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다음의 표 4 및 표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았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Claims (17)

  1.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0.5 내지 35질량%와,
    단독 중합체로 하였을 때에 음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 60 내지 85질량%
    를 구성 단위로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N-알킬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 및 단독 중합체로 하였을 때에 양의 고유 복굴절을 나타내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3 구성 단위를 더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성 단위를 1 내지 24질량%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N-방향족 치환 말레이미드 단위가 N-페닐말레이미드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 단위가 메타크릴산메틸 단위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성 단위가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단위, 아크릴산페녹시에틸 단위, 메타크릴산페녹시에틸 단위, 메타크릴산벤질 단위, 아크릴산2,4,6-트리브로모페닐 단위 및 메타크릴산2,2,2-트리플루오로에틸 단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0.5×105 내지 3.0×105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가 120℃ 이상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용융 유속이 1.0g/10분 이상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잔존 단량체량이 3질량% 이하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1% 질량 감소 온도가 285℃ 이상인 아크릴계 공중합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재료를 포함하는 미연신 필름을 2축 연신해서 얻어지는 광학 필름.
  13. 제12항에 있어서, 면 내 위상차 Re의 절댓값 및 두께 방향 위상차 Rth의 절댓값이 모두 3.0nm 이하인 광학 필름.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광탄성 계수 C의 절댓값이 3.0×10-12/Pa 이하인 광학 필름.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P8115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MIT 내절도 횟수가 150 이상인 광학 필름.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광학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
  17. 제16항의 편광판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20157016569A 2012-11-22 2013-11-22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1501157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6764 2012-11-22
JP2012256764 2012-11-22
PCT/JP2013/081487 WO2014081007A1 (ja) 2012-11-22 2013-11-22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724A true KR20150115724A (ko) 2015-10-14

Family

ID=5077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569A KR20150115724A (ko) 2012-11-22 2013-11-22 아크릴계 공중합체, 광학 필름,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50369963A1 (ko)
JP (2) JP5706040B2 (ko)
KR (1) KR20150115724A (ko)
CN (1) CN105026445A (ko)
TW (1) TW201431941A (ko)
WO (1) WO201408100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613A (ko) *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내가열(耐加熱) 내백화(耐白化) 필름
KR20180079614A (ko) *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내가열(耐加熱) 내백화(耐白化)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20293B2 (ja) * 2014-03-11 2017-10-25 株式会社日本触媒 光学フィルム、偏光子保護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655528B2 (ja) * 2016-01-05 2020-0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6761301B2 (ja) * 2016-08-19 2020-09-23 旭化成株式会社 メタクリル系樹脂、及び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
US11437032B2 (en) 2017-09-29 2022-09-06 Shanghai Cambrico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11663002B2 (en) 2018-02-13 2023-05-30 Shanghai Cambrico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Computing device and method
US11609760B2 (en) 2018-02-13 2023-03-21 Shanghai Cambrico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Computing device and method
US11630666B2 (en) 2018-02-13 2023-04-18 Shanghai Cambrico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Computing device and method
CN116991226A (zh) 2018-02-14 2023-11-03 上海寒武纪信息科技有限公司 处理器的控制装置、方法及设备
EP3624020A4 (en) 2018-05-18 2021-05-05 Shanghai Cambrico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CALCULATION PROCEDURES AND RELATED PRODUCTS
KR102470893B1 (ko) 2018-06-27 2022-11-25 상하이 캠브리콘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온 칩 코드의 브레이크 포인트에 의한 디버그 방법, 온 칩 프로세서 및 브레이크 포인트에 의한 칩 디버그 시스템
JP7294922B2 (ja) * 2018-07-13 2023-06-20 旭化成株式会社 メタクリル系樹脂、成形体、光学部品又は自動車部品
JP7294921B2 (ja) * 2018-07-13 2023-06-20 旭化成株式会社 メタクリル系樹脂、成形体、光学部品又は自動車部品
EP3757896B1 (en) 2018-08-28 2023-01-11 Cambricon Technologies Corporation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pre-processing data in a neural network
WO2020062392A1 (zh) 2018-09-28 2020-04-02 上海寒武纪信息科技有限公司 信号处理装置、信号处理方法及相关产品
JP7338639B2 (ja) * 2018-11-30 2023-09-05 日本ゼオン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CN111383637A (zh) 2018-12-28 2020-07-07 上海寒武纪信息科技有限公司 信号处理装置、信号处理方法及相关产品
US11934940B2 (en) 2019-04-18 2024-03-19 Cambricon Technologies Corporation Limited AI processor simulation
CN111832738B (zh) 2019-04-18 2024-01-09 中科寒武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处理方法及相关产品
US11676029B2 (en) 2019-06-12 2023-06-13 Shanghai Cambricon Information Technology Co., Ltd Neural network quantization parameter determination method and related products
CN112400176A (zh) 2019-06-12 2021-02-23 上海寒武纪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神经网络的量化参数确定方法及相关产品
CN111961161A (zh) * 2020-08-27 2020-11-20 聚纶材料科技(深圳)有限公司 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光学薄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9773B2 (ja) * 1988-11-22 1997-09-30 株式会社クラレ メタクリル系共重合体
JPH07161070A (ja) * 1993-12-03 1995-06-23 Mitsubishi Rayon Co Ltd 光学式情報記録媒体
JPH07145214A (ja) * 1994-01-17 1995-06-06 Kuraray Co Ltd 耐熱性メタクリル系樹脂の製法
JP2007031537A (ja) * 2005-07-26 2007-02-08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延伸フィルムおよび延伸フィルムを用いた偏光板
CN102317333B (zh) * 2009-02-18 2015-06-10 Lg化学株式会社 丙烯酸类树脂组合物和包含该丙烯酸类树脂组合物的光学膜
KR101261619B1 (ko) * 2010-03-16 2013-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JPWO2011149008A1 (ja) * 2010-05-27 2013-07-25 京セラ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および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
US8822614B2 (en) * 2010-05-28 2014-09-02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Acrylic thermoplastic resin and molded object thereof
JP5965593B2 (ja) * 2011-07-01 2016-08-10 旭化成株式会社 光学等方性支持板及びインナータッチパネル
JP2013019957A (ja) * 2011-07-07 2013-01-31 Asahi Kasei Chemicals Corp 偏光透過光学部品及び光学投影装置
JP5965612B2 (ja) * 2011-11-01 2016-08-10 旭化成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5965621B2 (ja) * 2011-11-24 2016-08-10 旭化成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9613A (ko) *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내가열(耐加熱) 내백화(耐白化) 필름
KR20180079614A (ko) * 2016-12-30 2018-07-11 주식회사 효성 내가열(耐加熱) 내백화(耐白化)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81007A1 (ja) 2014-05-30
JP2014199464A (ja) 2014-10-23
CN105026445A (zh) 2015-11-04
JP5706040B2 (ja) 2015-04-22
US20160282519A1 (en) 2016-09-29
TW201431941A (zh) 2014-08-16
US20150369963A1 (en) 2015-12-24
JP5758530B2 (ja) 2015-08-05
JPWO2014081007A1 (ja)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8530B2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697783B2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二軸延伸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086326B1 (ko) 푸마르산디이소프로필-계피산 유도체계 공중합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위상차 필름
KR20140099511A (ko) 광학 필름, 광학 필름용 수지 재료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5101707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731054B2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二軸延伸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02868A (ja) 光学補償フィルム
JP2014133883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4111751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4111748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4133885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664736B2 (ja) 光学補償フィルム
JP2014111749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4111747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440108B2 (ja) 光学補償フィルム
JP2014133884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2014111750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2011102867A (ja) 光学補償フィルム
JP2014133882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光学フィルム、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5428264B2 (ja) 光学補償膜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007564A (ja) 光学樹脂材料の製造方法
WO2015098759A1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035029A (ja) アクリル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アクリル系共重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