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3696A - 지오벨트를 이용한 운행경로 이탈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지오벨트를 이용한 운행경로 이탈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3696A
KR20150113696A KR1020140038060A KR20140038060A KR20150113696A KR 20150113696 A KR20150113696 A KR 20150113696A KR 1020140038060 A KR1020140038060 A KR 1020140038060A KR 20140038060 A KR20140038060 A KR 20140038060A KR 20150113696 A KR20150113696 A KR 20150113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te
specific vehicle
server
current position
tra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올로케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올로케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올로케이션
Priority to KR1020140038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3696A/ko
Publication of KR20150113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6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특정 차량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운행경로에 관한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특정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현재 위치가 운행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벨트 모양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특정차량이 기 운행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운행경로이탈 판단방법을 공개한다.

Description

지오벨트를 이용한 운행경로 이탈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a breakaway has happened for a predetermined transport route and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운행경로 이탈여부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물류차량의 위치, 이동경로 및 현재 상태에 관하여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대부분의 차량의 실시간 위치서비스는 GPS 위치 단말기를 이용한다. GPS 위치 단말기는 무선으로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GPS 위치값을 수신하여 1분 내지 2분에 한 번씩 위치값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가장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는 GPS 위치 단말기에는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GPS 정보를 계산하는 기능 이외에 복잡한 연산을 수행할 수가 없다. 서버에서는 상기 GPS 위치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GPS 위치값을 기반으로 경로를 체크하기 위하여 경로 상의 지점들 또는 목적지들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상기 서버는 이러한 경로지점 또는 목적지에 관한 정보를 기반으로 자동차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 남아 있는 잔여 운행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경로 상의 특정 지점을 통과하는데 있어서 지연이 발생했는지 여부도 체크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본 명세서에서는 운송관제라는 용어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위의 차량들이 물건을 운송하는 도중에는 그 이동경로 상에서 물건의 분실, 도난, 사고, 및/또는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들을 실시간으로 원격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는 상기 서버에서 관리하는 모든 차량에 대하여, 상기 차량들이 각각 미리 지정된 이동경로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들이 미리 계획된 지정된 시간 내에 물건들을 운송 중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2012-0056715, 2011-0072006, 2011-0021666, 2008-0097582, 2006-0022510, 2005-0063067, 1998-0056158, 1997-0078432 등이 공개되어 있다. 이들 발명에서는 주로 경로이탈이 이루어진 경우, 그 사후 처리 방법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경로 전 구간에서 차량의 이동경로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운행경로이탈 판단방법은, 특정 차량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운행경로에 관한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운행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벨트 모양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차량이 상기 운행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위의 각 단계는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제공되는 서버는, 통신부 및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부는, 특정 차량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운행경로에 관한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운행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벨트 모양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차량이 상기 운행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운행경로이탈 처리방법은, 특정 차량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운행경로에 관한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특정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운행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벨트 모양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차량이 상기 운행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각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통신부 및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처리부는, 특정 차량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운행경로에 관한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운행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벨트 모양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차량이 상기 운행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경로 전 구간에서 차량의 이동경로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비교예에 따른 운행경로 이탈여부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비교예에 따른 운행경로 이탈여부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경로 이탈여부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행경로 이탈여부 감시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의도된 것이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비교예 1 - 서버에서 이동거점 체크를 통한 이탈감지 경고방법>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일 비교예에 따른 차량 경로 이탈감지 알람 방법을 설명한다.
비교예 1에 따른 방법은 서버(10)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여러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110)에서, 서버(10)는 전자지도(1) 위의 이동경로(2) 상에 주요 이동거점(3)을 설정한다. 이때, 이동거점(3)은 위도 및 경도 등을 이용한 지리적 좌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동거점(3)의 예로서, 운행시작지점(31), 운행휴식지점(32), 운행경유지점(33), 운행완료지점(34), 고속도로 IC(35), 및 주요길목(36) 등을 들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서버(10)는 이동거점(3) 각각에 대하여 반경(4)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반경(4)은 각 이동거점(3)에 대하여 동일한 크기로 설정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서버(10)는 차량(5)에 설치된 GPS 장치(6)의 위치 좌표(7)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서버(10)는 수신된 GPS 좌표(7)가 설정된 이동거점(3)들의 반경(4) 안에 있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 만일 수신된 GPS 좌표(7)가 설정된 이동거점(3) 중 어느 하나의 반경(4) 내에 들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는 차량(5)이 그 이동거점(3)을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각 이동거점(3) 마다 제한시간이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단계(S160)에서, 차량(5)이 출발시간으로부터 각 이동거점(3)마다 설정된 제한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 상기 각 이동거점(3)을 통과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면, 서버(10)는 상기 차량(5)의 운행이 지연되고 있다는 알람을 표출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5)이 운행경로를 이탈했다는 알람을 표출할 수 있다.
상기 비교예 1에 의한 방법을 이용할 때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이 운반하는 물건을 도난 당하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도난은 차량 운행자 또는 타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도난이 발생하여 운행이 지체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차량의 운행자가 차량을 빨리 몰아서 다음 거점에 지정된 시간 내에 도달한다면 상기 도난이 상기 운행도중에 발생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얻기가 어렵다. 또한, 운행 도중 교통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차량 운행자가 과속을 하여 상기 다음 거점에 지정된 시간 내에 도달하는 경우에도,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상기 교통 사고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알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이동거점 사이에서 일어나는 실시간적인 경로이탈이나 운행지연에 대해서는 원격에서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없다.
<비교예 2 - 네비게이션 엔진 기반의 이탈감지 방법>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비교예에 의한 차량경로이탈 감지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비교예에 따른 차량 경로 이탈감지 방법은 여러 개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210)에서, 차량(6)에 설치된 네비게이션(11)은, 사용자 입력을 받아 전자지도(1) 상에 시작점(3, 31)과 경유지(3, 33), 및 도착지점(3, 34)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S220)에서, 네비게이션(11)은, 시작점(3, 31)과 경유지(3, 33), 및 도착지점(3, 34)을 도로기반으로 연결하는 이동경로(2)를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S230)에서, 네비게이션(11)은 GPS 위치값을 예컨대 1초에 1회씩 수신할 수 있다.
단계(S240)에서, 네비게이션(11)은 상기 수신된 GPS 위치값(7)을 이전 위치값과 비교하여 차량(6)의 이동좌표(8)가 도로 상에 설정되도록 보정해 줄 수 있다.
단계(S250)에서, 네비게이션(11)은 상기 보정된 이동좌표 상의 도로정보(22)와 상기 이동경로(2) 상의 도로정보를 비교하여 차량 이탈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S260)에서, 네비게이션(11)은 스스로 경로를 이탈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원격의 서버(10)에게 이탈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비교예 2에 의한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네비게이션(11)은 고가의 장치이기 때문에 비용의 부담이 크다. 또한, 도로사고와 같은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차량(6)은 우회도로(222)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이동경로(2)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네비게이션(11)은 차량(6)이 원래 처음 설정된 경로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너무 많은 이탈정보가 원격의 관리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서 혼선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차량(6)이 최초 설정된 이동경로(2)를 따라 정상적으로 운행하고 있는 경우에도 GPS 오차로 다른 도로(22) 상을 달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될 가능성이 있다. 이때에도 네비게이션(11)은 차량(6)이 원래 처음 설정된 경로(2)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너무 많은 이탈정보가 원격의 관리자에게 전달될 수 있어서 혼선을 야기할 수 있다.
<실시예 1 - 지오벨트를 이용한 차량경로이탈 감지방법>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경로이탈 감지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감지방법은 서버(10)에서 수행되는 여러 개의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310)에서, 서버(10)는 특정 아이디(ex: ID=1)를 갖는 제1차량(6)의 운행 시작지점(3, 31), 경유지점(3, 33), 및 도착점(3, 34)에 관한 운행정보(200)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운행정보(200)는 서버(1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서버(10)가 상기 제1차량(6)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1)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제1차량(6)의 운행정보를 관리하는 다른 관리장치(2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도 있다.
단계(S320)에서, 서버(10)는 상기 운행정보(200)를 기초로 생성되는 도로기반의 운행경로(2)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도로기반의 운행경로'라고 하는 것은, 지도상에서 상기 제1차량이 이동해야 하는 경로가, 차량이 통과 가능한 도로 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도로기반의 운행경로(2)는 서버(10)에서 스스로 생성한 것이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11)가 생성하여 서버(10)에게 제공한 것이거나, 또는 다른 관리장치(20)가 생성하여 서버(10)에게 제공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운행경로(2)를 생성하는 장치는 상기 시작지점(3, 31), 경유지점(3, 33), 및 도착점(3, 34)에 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상기 시작지점(3, 31), 경유지점(3, 33), 및 도착점(3, 34)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거나, 서버(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거나, 또는 관리장치(2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단계(S330)에서 서버(10)는 길게 연장되어 있는 운행경로(2)를 포함하는 벨트 모양의 영역(100)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영역을 지오벨트(100)라는 이름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지오벨트(100)의 경계부는 도 3에서 굵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지오벨트(100)의 임의의 경계부로부터 운행경로(2)까지의 최단거리는 일정한 값(R)으로 고정되어 있다.
지오벨트(100)는 개념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즉, 운행경로(2)의 각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R의 원 안에 포함된 영역을, 운행경로(2)의 시작지점(3, 31)으로부터 도착점(3, 34)까지 중첩하면 지오벨트(100)가 차지하는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단계(S330)가 실행되면, 케이스 1에서는, 서버(10)는 지오벨트(100)가 차지하는 영역에 포함되는 각 지점의 위도 및 경도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한 개의 면 내에 존재하는 점의 개수는 무한대이므로, 미리 결정된 방식에 의해 한정된 숫자의 지점만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케이스 2에서는, 단계(S330)가 실행되면, 서버(10)는 운행경로(2)가 나타내는 모든 지점의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반경 R에 관한 정보만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운행경로(2)와 반경 R을 특정할 수 있으면, 지오벨트(100)이 포함하는 영역을 특정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확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단계(S340)에서, 서버(10)는 제1차량(6)의 지구위치정보를 제1차량(6)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1)로부터 무선 네트워크(5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1)는 GPS(6) 장치와 연결된 네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지구위치정보는 예컨대 위도 및 경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지구위치정보는 도 3의 지점(8)을 나타낼 수도 있다.
단계(S350)에서, 서버(10)는 상기 지구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지점(8)이 지오벨트(100)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판단방법은 후술한다.
단계(S360)에서, 만일 지점(8)이 지오벨트(100) 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면, 서버는(10) 제1차량(6)이 운행경로(2)를 이탈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단계(S350)에서 지구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지점(8)이 지오벨트(100)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일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S351)에서 서버(10)는, 지점(8)과 운행경로(2) 사이의 최단거리를 계산한다. 이를 위해 지점(8)과 운행경로(2) 상의 복수 개의 지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고, 이 중 가장 작은 값을 갖는 거리를 상기 최단거리로 볼 수 있다. 에컨대, 도 3에서 지점(8)과 운행경로 상의 지점(81) 및 지점(82) 사이의 거리는 각각 D1, D2로 계산될 수 있다. 이 중 더 작은 D1의 값이, 지점(8)과 운행경로(2) 사이의 최단거리인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다.
그 다음, 단계(S352)에서 서버(10)는, 상기 계산된 최단거리가 상술한 지오벨트(100)의 반경 R보다 작으면, 제1차량(6)이 지오벨트(100)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차량(6)이 지오벨트(100) 바깥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단계(S350)에서 지구위치정보가 나타내는 지점(8)이 지오벨트(100)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다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단계(S356)에서 서버(10)는, 지점(8)을 중심으로 하며, 상술한 지오벨트(100)의 반경 R과 동일한 반경 R을 갖는 원형영역(700)에 관한 정보를 생성한다.
그 다음, 단계(S357)에서 서버(10)는, 상기 원형영역(700) 내에 운행경로(2)의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차량(6)이 지오벨트(100)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1차량(6)이 지오벨트(100) 바깥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 2 - 지오벨트를 이용한 차량경로이탈 감지 서버>
실시예 2에 따른 서버(10)는 실시예 1에 따른 단계(S310) 내지 단계(S360)을 실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컴퓨팅 장치이다.
서버(10)는 단계(S310), 단계(S320), 단계(S33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다른 장치로부터 상기 단계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해야 한다. 따라서 서버(10)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인터넷을 통해 제1차량(6)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기(11)로부터 제1차량(6)의 지구위치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통신부는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모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는 단계(S310) 내지 단계(S360)에서 각종 판단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서버(10)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는 통신부로부터 제공받는 각종 정보를 기초로 미리 결정된 알고리듬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3 - 지오벨트를 이용한 차량경로이탈 감지 장치>
실시예 3애 따른 장치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1)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1)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단계(S310) 내지 단계(S330), 그리고 단계(S350)의 수행주체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350)의 수행결과 제1차량(6)이 지오벨트를 벗어 났다고 판단되면, 그 사실을 서버(10)에게 송신하는 단계(S360')를 실행할 수 있다. 통신부는 무선의 통신모듈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11)도 처리부 및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특허청구범위의 각 청구항의 내용은 본 명세서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인용관계가 없는 다른 청구항에 결합될 수 있다.

Claims (10)

  1. 서버가, 특정 차량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운행경로에 관한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특정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운행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벨트 모양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차량이 상기 운행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행경로이탈 판단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행경로는 상기 특정 차량의 운행 시작시점, 경유지점 및 도착점을 포함하는, 운행경로이탈 판단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는 상기 특정 차량에 설치된 지구위치정보 수신장치로부터 송신된 것인, 운행경로이탈 판단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현재 위치와 상기 운행경로 사이의 최단거리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최단거리가 미리 결정된 값 R보다 크면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행경로이탈 판단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현재 위치를 중심으로 하며, 미리 결정된 값 R의 반경을 갖는 원형영역에 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원형영역 내에 상기 운행경로의 어떠한 지점도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행경로이탈 판단방법.
  6. 통신부 및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가,
    특정 차량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운행경로에 관한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운행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벨트 모양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차량이 상기 운행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운행경로이탈 판단 서버.
  7. 사용자 단말기가, 특정 차량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운행경로에 관한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특정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운행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벨트 모양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차량이 상기 운행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운행경로이탈 처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운행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는, 서버에게 운행경로이탈 경고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운행경로이탈 처리방법.
  9. 통신부 및 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처리부가,
    특정 차량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운행경로에 관한 운행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특정 차량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운행경로를 모두 포함하는 미리 결정된 벨트 모양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위치가 상기 영역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특정차량이 상기 운행경로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GPS 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KR1020140038060A 2014-03-31 2014-03-31 지오벨트를 이용한 운행경로 이탈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501136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060A KR20150113696A (ko) 2014-03-31 2014-03-31 지오벨트를 이용한 운행경로 이탈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060A KR20150113696A (ko) 2014-03-31 2014-03-31 지오벨트를 이용한 운행경로 이탈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696A true KR20150113696A (ko) 2015-10-08

Family

ID=54346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060A KR20150113696A (ko) 2014-03-31 2014-03-31 지오벨트를 이용한 운행경로 이탈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36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58B1 (ko) * 2016-04-27 2018-07-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Gps를 이용한 위치 감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6758B1 (ko) * 2016-04-27 2018-07-10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Gps를 이용한 위치 감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77422B1 (ja) ナビサーバ
US9842496B1 (en) Broadcasting information related to hazards impacting vehicle travel
CN111200796A (zh) 用于评估车辆的环境感测系统的操作的系统及方法
CN102187246A (zh) 定位的改进和验证
JP6301719B2 (ja) 歩行者通知システム
WO2018116795A1 (ja) 運転支援システム及び運転支援装置
JP2005283480A (ja) 交通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744789B1 (ko) 지오벨트를 이용한 운행경로 이탈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6170094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6352010B2 (ja)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CN108712721A (zh) 用于识别对象之间的相对位置的装置和方法
JP2009289223A (ja) 交通状況予測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サーバ
JP2010237794A (ja) 交通情報処理装置
JP2006229692A (ja) 車載装置
JP2017135603A (ja) 歩行者位置検出システム、車載注意喚起装置、携帯情報端末、および歩行者位置検出方法
JP7213107B2 (ja) 車両位置分析装置及び車両位置分析方法
JP2011209849A (ja) 運転支援方法および運転支援装置
JP567007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7085391B2 (ja) サーバ及び通信システム
KR20150113696A (ko) 지오벨트를 이용한 운행경로 이탈 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971027B2 (ja) 車載装置、車両用情報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
US11454729B2 (en) Driving evaluation apparatus
JP2017111726A (ja) 報知装置及び報知方法
JP7497286B2 (ja) 周辺他車監視システム
JP5657083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移動体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