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692A -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692A
KR20150112692A KR1020140037328A KR20140037328A KR20150112692A KR 20150112692 A KR20150112692 A KR 20150112692A KR 1020140037328 A KR1020140037328 A KR 1020140037328A KR 20140037328 A KR20140037328 A KR 20140037328A KR 20150112692 A KR20150112692 A KR 201501126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processing
unit
food
processing system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명관 이
Original Assignee
명관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관 이 filed Critical 명관 이
Priority to KR102014003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2692A/ko
Publication of KR20150112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6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시켜 배출하는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버너에서 열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열에너지를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의 열 에너지로 사용하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수행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원격지에 설치되며, 첫째,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화하며, 둘째, 음식물처리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시스템; 및,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 주위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원격관리시스템과 유선통신(예: 인터넷 통신, 전용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관리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중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후 남는 잔사를 연소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원으로 사용하고, 잔사를 연소시키는 버너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냄새를 소각시킴은 물론, 원격관리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석 연료의 사용을 저감시켜 환경을 보호하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며, 효율적인 최적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신속한 유지 보수 및 무인 자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각 구성요소의 작동 이력 및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 및, 사용자와 원격관리자 간의 실시간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 등이 있다.

Description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leaning system for food waste}
본 발명은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분쇄 및 교반시켜 처리함에 있어서, 건조, 분쇄 및 교반 후에 남는 최종 부산물인 잔사(殘渣)를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생산하고, 생산된 열에너지를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원으로 사용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 가장 많은 에너지(전기에너지)를 소모하는 건조 과정의 소요 에너지를 음식물 쓰레기에서 회수하는 에너지(잔사 연소 에너지)로 충당할 수 있도록 음식물처리시스템을 구성한 후, 각 지역에 분산 설치된 다수 개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 등을 원격지에 위치한 원격관리자가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잔사를 연소시킬 시 펠릿(pellet)으로 성형함으로써 에너지 밀도를 높이고 일정한 습도 및 균질한 품질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공기(건조실 내의 온도)를 버너 내로 유통시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대기 중으로 증발시키고 냄새를 태움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에서 대기오염 물질과 수질오염 물질(침출수, 또는 배출수)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지에 위치한 원격관리시스템 사이에 통화로를 구성하여 이용자와 원격관리자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클라이언트시스템을 통해 접속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에게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동통신망에 접속된 근접관리자시스템(예: 스마트폰, PDA 등)을 통해 접속하는 근접관리자에게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필요시 상기 근접관리자가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과정을 자동제어 함으로써 무인 자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원격관리자"라 함은 원격지에 위치한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음식물처리시스템을 원격 관리하는 관리자(예: 원격관리시스템 운영자)를 말하고, "근접관리자"라 함은 음식물처리시스템 설치 근처에서 음식물처리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예: 아파트 관리자 등)를 말하며,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라 함은 주민, 음식점 관계자와 같이 음식물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이용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
주지하다시피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분쇄 및 발효시켜 처리하는 시스템으로, 교반기, 건조실(탱크), 제습장치 및 가열장치 등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상기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및 파쇄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실에서 건조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게 되며, 발효 여부나 처리 상태에 따라 가축 사료나 퇴비 등으로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교반기는 회전축에 장착된 파쇄뭉치와 칼날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고, 제습장치는 저온을 생성하는 냉각부와 제습동작을 수행하는 제습부 및 송풍팬 등으로 구성되며, 가열장치는 발열코일(히터)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1308308호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1253507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1138500호 "탈습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1103542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 10-0817607호 "음식물 쓰레기 재활용장치" 등은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일례이다.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13-0141729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 10-2013-0141728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제어장치 및 방법" 등은 본인의 선출원 발명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들은,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으로 인해 에너지 이용 효율이 저하되고, 에너지 소비가 과다하게 됨은 물론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즉, 전기히터로 이루어진 가열장치에서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으로써 에너지 이용 효율이 저하되고, 전기에너지 사용량이 많아져 대용량 전력설비가 필요하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기술들은,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염분이나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침출수 처리가 용이하지 않아 토양오염, 수질오염, 해양오염 및 대기오염을 발생시키게 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들은 각 시스템의 동작 및 제어가 개별적으로 독립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처리 상태를 원격지에서 모니터링하거나 제어할 수 없어 운영,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지하다시피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아파트나 음식점 등과 같이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장소에 그 배출 용량에 따라 한 대 이상 설치되며, 이렇게 설치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근접관리자(예: 아파트 관리자)가 부정기적으로 그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24시간 시스템을 가동시키거나 또는 일정 시간 후에 그 처리 상태를 확인하여 가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들은 첫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에 따른 신속한 대응 조작을 할 수 없고, 둘째, 시스템 운영 효율이 저하되며, 셋째, 불필요한 에너지가 낭비된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근접관리자가 지속적으로 그 동작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어서 고장이나 이상 동작이 발생하였을 경우 신속한 처리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대부분의 근접관리자가 전문적인 관리자가 아니므로 인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없으며, 무인 자동 운전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경우에는 이용자와 전문적 기술을 갖춘 원격관리자와의 통화가 어려워 문제 해결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상태를 알 수 없어 관리가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 고장 등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적절한 대응을 신속히 취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후 남는 잔사를 연소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원으로 사용하고, 잔사를 연소시키는 버너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냄새를 소각시킴은 물론, 원격관리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음식물 잔사를 연소시킬 시 펠릿으로 만들어 연소시킴으로써 에너지 밀도를 높여 고온 발생이 가능하도록 하고, 균질한 품질의 펠릿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원격관리시스템과 음식물처리시스템 사이에 통화로를 제공하여 원격관리자와 음식물처리시스템 사용자 사이에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클라이언트시스템을 통해 접속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 또는 근접관리자시스템(예: 스마트폰, PDA 등)을 통해 접속하는 근접관리자에게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근접관리자는 근접관리자시스템을 통해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의 구성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시켜 배출하는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버너에서 열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열에너지를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의 열 에너지로 사용하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수행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원격지에 설치되며, 첫째,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화하며, 둘째, 음식물처리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시스템; 및,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 주위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원격관리시스템과 유선통신(예: 인터넷 통신, 전용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관리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중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는 클라이언트시스템을 통해 접속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예: 아파트 주민)에게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근접관리자(예: 아파트 관리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은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근접관리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된 제어명령을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고, 다시 원격관리시스템이 해당 제어명령을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시켜 잔사를 배출하는 음식물처리부;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버너에서 열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열에너지를 상기 음식물처리부에 공급하는 열원공급부;
상기 음식물처리부와 열원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첫째,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 시켜 잔사를 배출시키고, 둘째, 배출된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열에너지를 생성하고, 셋째, 연소 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음식물처리부에 공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에너지로 사용하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원공급부에서 잔사를 연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펠릿으로 압축 가공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처리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파쇄시키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에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실; 및,
상기 건조실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건조열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처리부의 교반기와 건조실 및 건조열공급부는,
건조실 내부에 격벽을 설치하여 건조실을 제1건조실과 제2건조실로 분리한 후, 상기 제1건조실과 제2건조실 상면에 각각 투입구를 마련하고, 제2건조실 일측벽에 잔사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건조실과 제2건조실을 관통하여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 상에 방사 방향으로 파쇄뭉치와 칼날을 설치하여 교반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1건조실과 제2건조실 하부와 측면에 건조열공급부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건조실 일측벽에 구비되는 배출구에는 잔사이송장치가 장착되어 제2건조실에서 생성되는 잔사를 잔사저장탱크로 이송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잔사이송장치는 관 내부에 스크류가 장착되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잔사를 이송하는 공지의 회전이송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열공급부는,
건조실 하부나 측면의 내부나 외부에 공기나 유체가 흐르는 관을 설치하여, 상기 열원공급부에서 열교환 된 공기나 유체가 유통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여 건조실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되는 건조실 내부의 상단에서 시작되어 열원공급부의 버너 내부를 거쳐 다시 건조실 내부 하단으로 돌아오는 공기 유통 경로(열매체를 유체로 하였을 경우에는 유체 흐름 경로)를 구성하고, 공기 리턴 시 건조실 하부와 측면을 돌아 리턴하도록 공기 유통 관(에어히팅파이프)을 설치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건조실 내부 상단 -> 열원공급부 버너 내부 -> 건조실 하부 및 측면 -> 건조실 내 하부"로 이루어지는 공기 흐름 경로를 구성하여 버너에서 생성되는 열로 건조실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시켜 건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열공급부는 건조실 하부와 측면에 이중 벽체를 구성하여 그 이중 벽체 내부로 공기나 유체가 유통되는 관이 지나도록 설치한 후, 상기 이중 벽체 내부를 유체로 채움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건조열공급부는, 가열된 공기(또는 유체)가 지나가는 관이 유체 내로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원공급부는,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저장하는 잔사저장탱크;
상기 잔사저장탱크에 저장된 잔사를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교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열원공급부는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버너로 이송시켜 상기 잔사를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원공급부는,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저장하는 잔사저장탱크;
상기 잔사저장탱크에 저장된 잔사를 이송시켜 펠릿을 만드는 펠릿성형기;
상기 펠릿성형기에서 만들어지는 펠릿을 저장하는 펠릿저장탱크;
상기 펠릿저장탱크에 저장된 펠릿을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교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열원공급부는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펠릿으로 만들어 연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버너 내부에 보조가열장치를 더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보조가열장치는 잔사(또는 펠릿)가 모두 소진되거나, 또는 버너 내부의 온도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시키거나, 또는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잔사(또는 펠릿)를 연소시킬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 상기 보조가열장치를 통해 음식물처리부에 열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가열장치는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가열장치(예: 전기히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너에서 연소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공기(예: 건조실 내의 공기 또는 교반 중인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공기)를 버너 내부로 유통시켜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대기 중으로 증발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대기 중으로 증발시켜 처리함으로써 수질오염 물질인 침출수나 배출수가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버너 내의 열로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공기 중으로 증발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버너에서 연소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공기(예: 건조실 내의 공기 또는 교반 중인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공기)를 버너 내부로 유통시켜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상기 공기에 포함된 냄새 성분을 소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냄새 성분(악취 발생 성분)을 소각시켜 처리함으로써 냄새(악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버너 내의 열로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한 공기에 포함된 냄새 성분을 태워버림으로써 냄새 발생 요인을 근원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버너에서 연소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공기(예: 건조실 내의 공기 또는 교반 중인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공기)를 버너 내부로 유통시켜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 또는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소각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이나 잔사(또는 펠릿) 연소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예: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다이옥신, 비산재, 페놀, 벤젠 등의 유해가스)을 소각시켜 처리함으로써 대기 오염 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버너 내의 열로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 또는 잔사나 펠릿 연소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태워버림으로써 대기오염 발생 요인을 근원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필요 시 버너 내의 온도를 인위적으로 초고온(예: 섭씨 1,200~1,300도)으로 만들어 오염물질을 소각시킬 수 있다.
상기 버너에서 연소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사저장탱크에 저장된 잔사는 잔사이송장치에 의해 잔사를 이송시켜 연소시킴이 바람직하다.
즉, 설정된 조건이나 온도에 따라 필요한 양의 잔사를 이송시켜 연소시킴으로써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펠릿성형기는, 잔사를 압착하여 펠릿을 만드는 펠릿압착기; 및, 펠릿 압착 동력을 제공하는 펠릿압착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잔사를 압축하거나, 또는 압축 및 가열하여 펠릿을 제조하는 공지의 펠릿성형기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교환부는,
버너 내부 또는 외부에 공기나 유체가 흐르는 관을 설치한 후 상기 관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가 흐르도록 하여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을 교환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작제어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파쇄하는 교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교반제어부;
열원공급부에서 발생되어 음식물처리부로 이송하는 열에너지의 이송을 제어하는 열공급제어부;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잔사저장탱크로 이송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잔사저장제어부;
버너의 잔사 연소 동작을 제어하는 버너제어부;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부;
메모리부;
음식물처리부와 열원공급부의 동작 상태와 처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경보부;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제어통신부; 및,
상기 교반제어부와, 열공급제어부와, 잔사저장제어부와, 버너제어부와, 스위치부와, 메모리부와, 표시경보부 및 동작제어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교반 및 파쇄 동작을 제어하고, 배출되는 잔사를 연소시켜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도록 제어하며, 동작 상태 및 동작 이력 등을 저장하고 나타내며, 원격관리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동작제어부는,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직접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생성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동작제어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파쇄하는 교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교반제어부;
열원공급부에서 발생되어 음식물처리부로 이송되는 열에너지의 이송 동작을 제어하는 열공급제어부;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잔사저장탱크로 이송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잔사저장제어부;
펠릿성형부의 펠릿 제조 동작을 제어하는 펠릿성형제어부;
펠릿성형부에서 만드는 펠릿을 펠릿저장탱크로 이송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펠릿저장제어부;
버너의 펠릿 연소 동작을 제어하는 버너제어부;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부;
메모리부;
음식물처리부와 열원공급부의 동작 상태와 처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경보부; 및,
상기 교반제어부와, 열공급제어부와, 잔사저장제어부와, 펠릿성형제어부와, 펠릿저장제어부와, 버너제어부와, 스위치부와, 메모리부 및 표시경보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교반 및 파쇄 동작을 제어하고, 펠릿 제조 및 연소 동작을 제어하며, 펠릿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도록 제어하고, 동작 상태 및 동작 이력을 저장하고 나타내며, 원격관리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동작제어부는,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펠릿으로 만든 후, 이를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생성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관리자시스템 사이에 통화로를 구성하는 동작제어통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동작제어통화부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와 원격관리자 사이에 음성 및 영상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교반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 및,
교반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모터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습도센서로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의 습도를 검출하는 습도검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제어부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거나, 또는 온/오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교반제어부는 음식물 쓰레기의 온도(음식물 쓰레기가 담겨져 있는 건조실의 온도)와 습도를 검출하여 교반기 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교반제어부는, 건조실에 마련된 음식물 투입구 도어의 열고 닫음을 제어하는 도어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도어제어부는 건조실 도어를 전기적 신호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도어로 구성하였을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그 열리고 닫힘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건조실 벽면에 실린더를 고정하고, 상기 실린더 피스톤에 개폐 도어를 연결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모터의 회전축에 피니언 기어를 연결하고 개폐도어 측면에 랙 기어를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에 의해 동작하도록 구성한 후, 사용자의 개폐 스위치 조작에 의해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제어부는 양손에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들고 발로 스위치를 조작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교반기가 작동할 경우에는 작동이 정지된 후에 도어가 열리도록 제어함으로서 안전을 도모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공급제어부는,
상기 열원공급부에서 발생되어 음식물처리부로 이송되는 열에너지의 이송 동작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열원공급부에서 열교환한 열매체(공기,또는 유체)를 음식물처리부로 순환시키는 순환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열매체를 공기로 하였을 경우 상기 순환수단은 송풍팬으로 구성되고, 열공급제어부는 상기 송풍팬(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팬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열매체를 액체(물 등)로 하였을 경우 상기 순환수단은 순환펌프(미도시)로 구성되고, 열공급제어부는 상기 순환펌프(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하는 펌프제어부(미도시)로 구성된다.
상기 잔사저장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잔사이송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잔사저장탱크에 잔사를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잔사저장탱크에 저장된 잔사를 버너에 공급하는 잔사이송제어부; 및,
잔사저장탱크에 저장된 잔사의 양을 검출하는 잔사용량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잔사용량검출부는 잔사저장탱크에 저장된 잔사의 양을 검출하는 공지의 검출수단으로 구성된다. 접촉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져 일정 공간에 채워지는 물질의 채워짐 정도를 검출하는 기술이나, 무게 등을 검출하여 그 양을 검출하는 기술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잔사저장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하는 잔사를 잔사저장탱크에 이송 시켜 저장하고, 상기 잔사저장탱크에 저장된 잔사를 버너로 공급하는 기능을 반복 수행한다.
상기 펠릿성형제어부는, 잔사를 압착하여 펠릿을 만드는 펠릿압착기에 동력을 제공하는 펠릿압착구동모터의 동작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펠릿저장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펠릿이송장치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펠릿저장탱크에 잔사를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펠릿저장탱크에 저장된 잔사를 버너에 공급하는 펠릿이송제어부; 및,
펠릿저장탱크에 저장된 펠릿의 양을 검출하는 펠릿용량검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너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로 이루어져 버너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
연소를 보조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열제어부; 및,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팬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버너 내부에 투입된 잔사(또는 펠릿)를 교반 및 이송시키는 이송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이송모터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시스템은,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원격관리시스템과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원격유선통신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원격유선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관리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통신부는,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무선통신부; 및,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유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무선통신부는 음식물처리시스템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공지의 무선통신장치로 구성되며, 단말유선통신부, 또는 원격유선통신부는 인터넷망 또는 전용선망을 통해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공지의 유선통신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블루투스나 지그비, 또는 와이파이나 기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장치 및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유선통신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중계제어부는, 입출력단자, 연산모듈, 메모리, 통신모듈 및, A/D 컨버터나 D/A 컨버터 등을 선택적으로 갖는 마이컴, 또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PLC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라이언트시스템은, 공지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은, 이동통신단말기(핸드폰, 스마트폰, PDA, 아이패드 등)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은,
음식물처리시스템에 이상 상황(고장 발생, 점검 요구 발생 등)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표시경보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은, 음식물처리시스템과 통화로를 구성하는 원격관리통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은, 근접관리자가 휴대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원격관리시스템과 근접관리자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망접속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원격관리시스템은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근접관리자가 휴대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으로 전송하여 나타내주고,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을 통해 입력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 교환국의 게이트웨이에 접속하는 이동통신망접속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시경보시스템은,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안전 여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시각표시부; 및,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정상 동작 여부 및 안전 여부를 청각적으로 나타내는 청각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각표시부는 모니터, LCD, 터치스크린, 또는 LED나 경광등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각표시부를 모니터, LCD, 터치스크린 등으로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상태를 그림이나 문자, 또는 도형 등으로 나타냄이 바람직하다.
상기 청각표시부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상태나 고장 안내, 또는 점검 안내를 나타내는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발생장치, 또는 음성 안내를 하는 음성안내장치나 음성합성장치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주어진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발생장치나, 저장된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안내장치 및 음성을 합성하여 출력하는 음성합성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주지하는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서버시스템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서버;
가입자에 대한 정보(이름, 아이디, 비밀번호, 접속이력, 연락처 등)를 관리하는 고객관리서버;
각 음식물처리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데이터, 경보 상황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백업서버;
관리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다수개의 입출력장치; 및,
상기 통신서버와, 고객관리서버와, 데이터베이스서버와, 백업서버 및 입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관리통화부는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음성통화로를 구성하는 음성통화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관리통화부는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음성통화로를 구성하는 음성통화부; 및,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통화를 구현하는 카메라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원격관리통화부는 원격지에 위치한 음식물처리시스템을 통해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와 음성통화, 또는 영상통화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은,
음식물처리시스템, 중계시스템, 원격관리시스템, 클라이언트시스템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고, 근접관리자시스템을 선택적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시켜 잔사를 배출하고, 배출된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열에너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열에너지를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의 건조 에너지로 사용하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은,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시켜 배출하는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열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열에너지를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의 열 에너지로 사용하며,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중계시스템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중계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수행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제어단계;
원격관리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제어명령을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에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관리시스템제어단계;
중계시스템에서,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관리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시스템제어단계; 및,
클라이언트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방법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제어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제어단계는,
음식물처리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생성하고, 연소 동작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동작(건조, 교반, 분쇄 동작)을 제어하는 상태검출제어단계;
상기 상태검출제어단계를 수행 한 후, 상기 상태검출제어단계에서 검출한 모니터링데이터를 나타내는 단말표시경보단계;
상기 단말표시경보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상태검출단계에서 검출한 모니터링데이터를 중계시스템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전송단계;
상기 모니터링데이터전송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상태검출단계에서 검출한 모니터링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니터링데이터저장단계;
상기 모니터링데이터저장단계를 수행한 후,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중계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수신하는 단말수신단계; 및,
상기 단말수신단계를 수행한 후, 원격관리자와의 통화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통화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관리시스템과의 통화로를 구성하는 단말통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제어단계는,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중계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원격모니터링단계;
상기 원격모니터링단계를 수행한 결과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나타내는 원격표시경보단계;
상기 원격표시경보단계를 수행한 후 원격관리자가 입력하는 제어신호를 중계시스템을 통해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원격제어단계;
상기 원격제어단계를 수행한 후 인터넷망을 통해 클라이언트시스템이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클라이언트시스템이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클라이언트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처리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시스템처리단계를 수행한 후 이동통신망을 통해 근접관리자시스템이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근접관리자시스템이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근접관리자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처리단계;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처리단계를 수행한 후 모니터링데이터 및 모니터링 상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원격데이터베이스단계; 및,
상기 원격데이터베이스단계를 수행한 후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와의 통화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통화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음식물처리시스템과의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통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계시스템제어단계는,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중계단계; 및,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시스템중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시스템제어단계는,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는 로그인단계;
상기 로그인단계를 수행한 후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클라이언트모니터링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모니터링단계를 완료한 후 로그아웃하는 로그아웃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제어단계는,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는 정보수신및표시단계;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근접관리자모니터링단계; 및,
상기 근접관리자모니터링단계를 수행한 후, 근접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근접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근접관리자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은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한 후 남는 잔사를 연소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원으로 사용하고, 잔사를 연소시키는 버너 내부에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증발시키고, 냄새를 소각시킴은 물론, 원격관리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석 연료의 사용을 저감시켜 환경을 보호하고, 불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방지하며, 효율적인 최적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신속한 유지 보수 및 무인 자동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고, 각 구성요소의 작동 이력 및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효과 및, 사용자와 원격관리자 간의 실시간 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 등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중 음식물처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 중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시스템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 중 음식물처리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 중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내부 중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우측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 중 음식물처리시스템의 건조실과 교반기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 중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내부 중요 구성 요소를 나타낸 좌측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 중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 는 본 발명 중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외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0 는 본 발명 중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 은 본 발명 중 중계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12 는 본 발명 중 원격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13 은 본 발명 중 원격관리시스템 시각표시부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4 는 본 발명 중 클라이언트시스템 표시화면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 는 본 발명 중 근접관리자시스템 표시화면의 일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 은 본 발명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17 은 본 발명 중 음식물처리시스템제어단계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18 은 본 발명 중 중계시스템제어단계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19 는 본 발명 중 원격관리시스템제어단계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20 은 본 발명 중 클라이언트시스템제어단계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도 21 은 본 발명 중 근접관리자시스템제어단계의 제어흐름을 나타낸 제어흐름도.
본 발명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기술적 사상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을 함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 및 부호를 사용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중계시스템, 원격관리시스템, 클라이언트시스템 및 근접관리자시스템으로 본 발명을 구성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관리시스템 사이에 통화로를 구성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중계시스템은 원격관리시스템과는 유선통신을 수행하고, 음식물처리시스템과는 무선통신이나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잔사를 펠릿으로 성형하여 연소시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열원공급부는 펠릿성형기와 펠릿저장탱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버너에서는 펠릿을 연소시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열원공급부와 음식물처리부 사이의 열 교환은 공기 이송을 통해 교환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저장실 하부와 측면에 공기 유통경로인 에어히팅파이프를 지그재그로 설치하고, 공기 이송을 강제하는 송풍팬을 설치하며, 열원공급부의 버너 내부를 거쳐 공기가 순환되도록 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버너 내부에서 대기 중으로 증발시켜 침출수나 배출수가 없도록 한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냄새 성분 및 대기오염 성분, 또는 펠릿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물질을 버너 내부에서 소각시키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버너는 내부에 보조가열장치를 장착하지 않은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를 구성한 이유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다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100, 100a)을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중계시스템(200, 200a)에 접속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중계시스템(200, 200a)을 인터넷망(1)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에 접속하여 본 실시예를 구성한다.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은 도2와 도4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식물처리부(A200)에서 배출되는 잔사가 열원공급부(A300)에 공급되고, 상기 열원공급부(A300)에서 생성된 열에너지가 상기 음식물처리부(A200)로 공급되어 공급된 열에너지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구성 및 배치하고, 상기 음식물처리부(A200)와 열원공급부(A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A10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도3은 잔사를 직접 버너에 투입하여 열에너지를 생성하는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상기 음식물처리부(A200)는, 도5와 도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건조실(A210) 내부에 격벽(A211b)을 설치하여 건조실(A210)을 제1건조실(A211)과 제2건조실(A212)로 분리한 후, 상기 제1건조실(A212)과 제2건조실(A212) 상면에 각각 투입구(A211a, A212a)를 마련하고, 제2건조실(A212) 일측벽에 잔사를 배출하는 배출구(미도시)를 구비하고, 상기 제1건조실(A211)과 제2건조실(A212)을 관통하여 회전축(A222a)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 상에 방사 방향으로 파쇄뭉치(A222b)와 칼날(미도시)을 설치하여 교반기(A220)를 구성하고, 상기 제1건조실(A211)과 제2건조실(A212) 하부와 측면에 에어히팅파이프(A223)로 이루어진 건조열공급부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A221)은 교반기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A221a)는 원동스프로킷, (A222c)는 종동스프로킷, (A224)는 잔사 배출구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열원공급부(A300)는 도4, 도5 및 도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잔사배출부(A224)에서 배출되는 잔사가 저장되는 잔사저장탱크(A310)와, 펠릿압착기(A321), 펠릿압착기구동모터(A322), 펠릿저장탱크(A330) 및 버너(A340)를 상기 음식물처리부(A200) 주위에 배치하여 구성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A311)은 잔사저장탱크(A310)가 놓이는 잔사저장탱크받침대, (A323)은 잔사저장탱크(A310)에 저장된 잔사를 펠릿압착기(A321)로 이송하는 제2잔사이송장치, (A324)는 상기 펠릿압착기(A321)에서 만들어지는 펠릿을 펠릿저장탱크(A330)로 이송하는 제1펠릿이송장치, (A331)은 펠릿저장탱크(A330)에 저장된 펠릿을 버너(A340)에 공급하는 제2펠릿이송장치, (A341)은 공기배출구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A312)는 잔사배출구(A224)안에 설치되어 상기 제2건조실(A212)에서 생성되는 잔사를 잔사저장탱크(A310)로 이송하는 제1잔사이송장치(미도시)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제1,2잔사이송장치(A312, A323)와, 제1,2펠릿이송장치(A324, A331)은 회전스크류에 의해 잔사나 펠릿을 이송하는 공지의 회전이송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동작제어부(A100)는, 도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표시경보부(A110)와, 스위치부(A120)와, 교반제어부(A130)와, 열공급제어부(A140)와, 동작제어통신부(A145)와, 잔사저장제어부(A160)와, 펠릿성형제어부(A170)와, 펠릿저장제어부(A180)와, 버너제어부(A190)와 동작제어통화부(A195)를 제어부(A150)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상기 표시경보부(A110)는 시각표시부(A111)와 청각표시부(A112)로 구성하고, 교반제어부(A130)는 구동모터제어부(A131)와 온도검출부(A132)와, 습도검출부(A133)와, 도어제어부(A134)로 구성하고, 잔사저장제어부(A160)는 잔사이송제어부(A161)와 잔사용량제어부(A162)로 구성하고, 펠릿저장제어부(A180)는 펠릿이송제어부(A181)와 펠릿용량제어부(A182)로 구성하며, 버너제어부(A190)는 온도검출부(A191)와, 이송모터제어부(A192)와, 팬제어부(A193) 및 발열제어부(A194)로 구성하고, 동작제어통화부(A195)는 카메라부(A195a)와 음성통화부(A195b)로 구성한다.
도9는 본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처리 시스템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중계시스템은(200)은, 도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기능이 있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a)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무선통신부(211)와, 음식물처리시스템(100)과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유선통신부(212)와, 원격관리시스템(300)과 인터넷망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원격유선통신부(230)를 중계제어부(220)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상기 원격관리시스템(300)은, 도12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서버시스템(310)에 원격관리통화부(320)와 표시경보시스템(330) 및 이동통신망접속장치(340)를 접속하여 구성한다.
상기 서버시스템(310)은, 입출력장치(311)와, 메인서버(312)와, 통신서버(313)와, 고객관리서버(314)와, 데이터베이스서버(315)와, 백업서버(316) 및, 방화벽(317)으로 접속하여 구성하고, 원격관리통화부(320)는 카메라부(321)와 음성통화부(322)로 구성하며, 표시경보시스템(330)은 시각표시부(331)와 청각표시부(332)로 구성한다.
클라이언트시스템(400)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성하며,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500)은, 이동통신단말기(예: 스마트폰, PDA 등)로 구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동작 및 작용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식물처리시스템(100, 100a) 동작제어부(A100)의 메모리부(A125), 또는 제어부(A150)의 내부메모리에 각 센서(온도센서, 습도센서 등)에서 검출하는 값으로부터 음식물처리부(A200)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처리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데이터 테이블)와 검출 프로그램, 제어프로그램, 통신프로그램, 통화프로그램 및 운영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중계시스템(200, 200a)의 메모리에 데이터 중계를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며, 원격관리시스템(300)과 클라이언트시스템(400) 및 근접관리자시스템(500)에 해당 운영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각각의 음식물처리시스템(100, 100a)과 중계시스템(200, 200a)에 인식번호를 부여한다.
이후 도 16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음식물처리시스템(100)에서 음식물처리시스템제어단계(S100)를 수행하여 펠릿(또는 잔사)를 연소시켜 생성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교반기를 통해 교반 및 분쇄시켜 처리하고, 원격관리시스템(300)에서 중계시스템(200)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며, 펠릿 제조 동작 및 연소 상태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와 동작 상태 등을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중계시스템(200)으로 전송하면, 상기 중계시스템(200)은 중계시스템제어단계(S200)를 수행하여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100)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원격관리시스템(300)으로 전송하고, 원격관리시스템(300)에서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원격관리시스템(300)은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100)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제어명령을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400)이나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500)에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관리시스템제어단계(S300)를 수행하게 된다. 클라이언트시스템(400)은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가 인터넷망(1)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제어단계(S400)를 수행하고, 근접관리자시스템(500)은 근접관리자가 이동통신망(2)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 상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제어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제어단계(S500)를 수행한다.
이하, 상기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식물처리시스템제어단계(S1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동작제어부(A100)의 제어부(A150)는, 도1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태검출제어단계(S110)를 수행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100)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생성하고, 연소 동작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동작(건조, 교반, 분쇄 동작)을 제어한다.
즉, 음식물처리부(A200)의 동작조건을 설정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상태를 검출하여 제어량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제어량으로 음식물처리부(A200)와 열원공급부(A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시켜 잔사를 배출한다. 또한, 상기 과정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잔사저장탱크(A310)로 이송하여 저장하였다가 펠릿성형기(A320)로 이송하여 펠릿을 제조하고, 제조된 펠릿을 펠릿저장탱크(A330)로 이송하여 저장한 후, 상기 제어부(A150)의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펠릿저장탱크(A330)에 저장된 펠릿을 버너(A340)로 이송시켜 연소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펠릿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음식물처리부(A200)에 공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는 에너지로 사용하게 된다. 즉, 에어히팅파이프(A223) 내의 공기 순환을 강제하는 송풍팬(A141)의 동작을 열공급제어부(A140)를 통해 제어하여 상기 버너(A340)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를 음식물처리부(A200)의 건조실(A211, A212)에 공급하게 되며, 이 건조실(A211, A212)에 공급되는 열에너지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열원으로 사용된다. 이때 검출 및 제어하는 데이터는 모니터링데이터로 가공된다.
도10은 본 실시예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것으로, 버너(A340)에서 펠릿의 연소로 인해 생성되는 열에너지가 공기 유통 경로(A142)와 송풍팬(A141) 및 에어히팅파이프(A223)를 통해 건조실(A210)에 열 에너지를 전달하면, 상기 건조실(A210) 내에 설치된 교반기(A220)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분쇄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건조실(A210) 내의 공기는 중고온의 다습한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건조실(A210)의 온도가 섭씨 90도가 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건조실(A210)의 온도, 송풍팬(A141)의 송풍량(가동량) 및 교반기(A210) 동작 속도 등을 통해 일정 %의 습도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건조실(A210)의 중저온의 다습한 공기는 버너(A340) 내부로 이송된다. 그러면 버너(A340) 내부의 온도에 의해 공기가 점차 가열되어 고온 상태가 되어 건조실(A210)에서 이송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은 공기배출구(A141)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되게 된다. 즉, 건조실(A210)에서 이송된 중고온 다습의 공기가 버너(A340) 내부를 통과하며 더욱 뜨거워지며,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의 분자 운동이 더욱 활발해져 공기배출구(A3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침출수)의 배출이 없게 된다.
한편, 공기 중의 수분이 외부 공기로 배출되는 것과는 별개로 상기 버너(A340) 내를 통과하는 건조실(A210)에서 이송된 공기에 포함된 냄새 발생 성분이나 오염 물질은 버너(A340) 내부에서 태워져 외부로의 냄새 유출이 없게 된다. 즉, 버너(A340) 내부의 고온에 의해 냄새 성분 및 오염물질 성분을 소각시켜 악취 발생 및 오염 물질 배출을 원천 차단하게 된다. 참고로, 버너(A340) 내부의 온도를 초고온(예: 섭씨 1,200도 ~ 1,300도)으로 가열하면 다이옥신을 포함한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 비산재, 페놀, 벤젠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소각시킬 수 있다.
상기 상태검출제어단계(S110)를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A150)는 상태검출제어단계(S110)에서 검출한 모니터링데이터를 표시경보부(A110)의 시각표시부(A111)와 청각표시부(A112)에 나타내는 단말표시경보단계(S120)를 수행한다.
상기 단말표시경보단계(S120)를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A150)는 모니터링데이터전송단계(S130)와 모니터링데이터저장단계(S140)와 단말수신단계(S150)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상기 상태검출단계(S110)에서 검출한 모니터링데이터를 동작제어통신부(A145)와 중계시스템(200)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원격관리시스템(300)에서 중계시스템(200)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상태검출단계(S110)에서 검출한 모니터링데이터를 메모리부(A125)에 저장한다.
상기 단말수신단계(S150)를 수행한 후 상기 제어부(A150)는 단말통화단계(S160)를 수행하여 원격관리시스템(300)을 관리하는 원격관리자(미도시)와의 통화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통화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동작제어통화부(A195)의 음성통화부(A195b)와 카메라부(A195a)를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과의 통화로를 구성한다.
상기 중계시스템제어단계(S200)는, 도1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100)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원격관리시스템(300)으로 전송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중계단계(S210)와, 상기 원격관리시스템(300)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시스템중계단계(S220)를 수행한다.
즉, 도 1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말통신부(210)를 구성하는 단말무선통신부(211)나 단말유선통신부(212)를 통해 음식물처리시스템(100, 100a)과의 통신을 수행하고, 원격유선통신부(230)를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100, 100a)과 원격관리시스템(300)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단말무선통신부(211)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a)과의 통신을 무선통신으로 구성하였을 경우에 사용하며, 단말유선통신부(212)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a)과의 통신을 무선통신으로 구성하였을 경우에 사용한다.
도19를 참조하여 원격관리시스템제어단계(S300)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나 이상의 중계시스템(200)에서 인터넷망(1)을 통해 모니터링데이터를 전송하면 상기 메인서버(312)는 이를 통신서버(313)를 통해 수신하여 각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원격모니터링단계(S310)를 수행한다.
상기 원격모니터링단계(S310)를 수행한 결과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으면 상기 메인서버(312) 표시경보시스템(330)을 통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원격표시경보단계(S320)를 수행한다.
즉, 음식물처리시스템(100)에서 음식물처리시스템(100)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정상적인 동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시각표시부(331)와 청각표시부(332)를 통해 나타내게 된다.
상기 원격표시경보단계(S320)를 수행한 후 상기 메인서버(312)는, 원격관리자가 입력하는 제어신호를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원격제어단계(S330)를 수행한다.
상기 원격제어단계(S330)를 수행한 후 상기 메인서버(312)는, 인터넷망(1)을 통해 클라이언트시스템(400)이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클라이언트시스템(400)이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시스템(400)으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처리단계(S340)를 수행한다.
즉, 근접관리자나 음식물처리시스템(100) 이용자가 인터넷망(1)을 통해 메인서버(312)에 접속해 로그인하면, 고객관리서버(314)에 저장된 해당 회원 정보를 검색하여 그 회원이 이용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에 대한 상태 데이터를 독출하여 해당 클라이언트시스템(400)으로 전송하여 클라이언트시스템(400)을 통해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100) 상태 및 이력에 관한 사항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라이언트시스템처리단계(S340)를 수행한 후 상기 메인서버(312)는, 이동통신망(2)을 통해 근접관리자시스템(500)이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근접관리자시스템(500)이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근접관리자시스템(500)으로 전송하고,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500)에서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중계시스템(200)을 통해 음식물처리리스템(100)으로 처리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처리단계(S350)를 수행한다.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처리단계(S350)를 수행한 후 상기 메인서버(312)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 이용자, 또는 근접관리자와의 통화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통화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음식물처리시스템(100)과의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통화단계(S360)를 수행한다.
즉, 음식물처리시스템(100) 이용자 또는 근접관리자가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통화버튼(미도시)을 통해 원격관리자를 호출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통신서버(313)를 통해 수신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100)과 통화로를 구성함으로써 음식물처리시스템(100) 이용자와 원격관리자가 음성 및 영상 통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성 및 영상 통화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카메라부(A195a) 및 음성통화부(A195b)와, 원격관리시스템(300)의 카메라부(321) 및 음성통화부(322)를 통해 수행한다.
상기 원격통화단계(S360)를 수행한 후 상기 메인서버(312)는 원격데이터베이스단계(S370)를 수행하여 모니터링데이터 등을 데이터베이스서버(315)에 저장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각 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각 음식물처리시스템(100)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게 된다.
도13은 모니터링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331a)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안전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창, (331b)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 및 주변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표시창, (331c)는 경보표시등, (331d)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 관리 상황 표시창, (331e)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창의 일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클라이언트시스템제어단계(S400)는, 도2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시스템(400)을 인터넷망(1)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에 로그인하는 로그인단계(S410)와, 상기 로그인단계(S410)를 수행한 후 원격관리시스템(300)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클라이언트모니터링단계(S420) 및, 상기 클라이언트모니터링단계(S420)를 완료한 후 로그아웃하는 로그아웃단계(S430)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즉, 클라이언트시스템(400)을 인터넷망(1)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에 로그인하면, 상기 원격관리시스템(300)이 고객관리서버(314)의 회원 정보를 독출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시스템(400)에 전송하고, 이를 클라이언트시스템(400)에서 수신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도14는 클라이언트시스템(400) 모니터링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411a)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안전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표시창, (411b)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 및 주변 영상을 나타내는 영상 표시창, (411c)는 메뉴 선택 버튼, 411d)는 영상 표시 선택 버튼, (411e)는 영상 확대 선택 버튼, (411f)는 영상 축소 선택 버튼, (411g)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 관리 상황 표시창, (411h)는 음식물처리시스템(100)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표시창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근접관리자시스템제어단계(S500)는, 도2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격관리시스템(300)에서 이동통신망(2)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는 정보수신및표시단계(S510)와, 이동통신망(2)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근접관리자모니터링단계(S520)와, 상기 근접관리자모니터링단계(S520)를 수행한 후, 근접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근접관리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어신호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이동통신망(2)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300)으로 전송하는 근접관리자제어단계(S530)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도15는 모니터링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 미 설명 부호 (511a)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설치 위치 표시창, (511b)는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그래픽으로 나타낸 그래픽 표시창, (511c)는 음식물처리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창, (511d)는 메뉴 선택 버튼, (511e)는 통화 선택 버튼, (511f)는 확대 선택 버튼, (511g)는 축소 선택 버튼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는 특히,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펠릿을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고,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외부 공기 중으로 증발시켜 배출하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냄새 발생 성분과 오염 발생 성분을 버너 내부에서 소각시켜 버리며, 원격지에 위치한 원격관리시스템에서 각 지역에 분산 설치된 음식물 처리 시스템의 상태 및 동작을 원격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하고, 사용자와의 통화로를 제공함으로써, 에너지 사용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냄새나 오염물질이 발생하지 않으며, 침출수나 배출수가 배출되지 않음은 물론, 실시간 제어 및 무인 자동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음식물처리부에서 발생되는 잔사를 펠릿을 만들어 연소시키도록 구성하였으나, 도3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잔사를 직접 버너 내부로 투입하여 연소시킨 후, 상기 잔사 연소 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와 같은 동작 및 효과가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열 교환 및 전달 매체로 공기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즉, 유체를 열 교환 및 열 전달 매체로 사용하여 음식물처리부와 열원공급부 사이의 열 교환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100: 음식물처리시스템 A100: 동작제어부
A110: 표시경보부 A111: 시각표시부
A112: 청각표시부 A120: 스위치부
A125: 메모리부 A130: 교반제어부
A131: 구동모터제어부 A132: 온도검출부
A133: 습도검출부 A134: 도어제어부
A140: 열공급제어부 A141: 송풍팬
A145: 동작제어통신부 A150: 제어부
A160: 잔사저장제어부 A161: 잔사이송제어부
A162: 잔사용량검출부 A170: 펠릿성형제어부
A180: 펠릿저장제어부 A181: 펠릿이송제어부
A182: 펠릿용량검출부 A190: 버너제어부
A191: 온도검출부 A192: 이송모터제어부
A193: 팬제어부 A194: 발열제어부
A195: 통장제어통화부 A195a: 카메라부
A195b: 음성통화부 A200: 음식물처리부
A210: 건조실 A211: 제1건조실
A211a: 도어 A211b: 격벽
A212: 제2건조실 A212a: 도어
A212b: 확인창 A220: 교반기
A221: 구동모터 A221a: 원동스프로킷
A222a: 회전축 A222b: 파쇄뭉치
A222c: 종동 스프로킷 A223: 에어히팅파이프
A224: 잔사배출구 A310: 잔사저장탱크
A311: 잔사저장탱크받침대 A312: 제1잔사이송장치
A320: 펠릿성형기 A321: 펠릿압착기
A322: 펠릿압착기구동모터 A323: 제2잔사이송장치
A324: 제1펠릿이송장치 A330: 펠릿저장탱크
A331: 제2펠릿이송장치 A340: 버너
A341: 공기배출구 200, 200a: 중계시스템
210: 단말통신부 211: 단말무선통신부
212: 단말유선통신부 220: 중계제어부
230: 원격유선통신부 300: 원격관리시스템
310: 서버시스템 311: 입출력장치
312: 메인서버 313: 통신서버
314: 고객관리서버 315: 데이터베이스서버
316: 백업서버 317: 방화벽
320: 원격관리통화부 321: 카메라부
322: 음성통화부 330: 표시경보시스템
331: 시각표시부 332: 청각표시부
340: 이동통신망접속장치 400: 클라이언트시스템
410: 모니터 500: 근접관리자시스템
S100: 음식물처리시스템제어단계 S110: 상태검출제어단계
S120: 단말표시경보단계 S130: 모니터링데이터전송단계
S140: 모니터링데이터저장단계 S150: 단말수신단계
S160: 단말통화단계 S200: 중계시스템제어단계
S210: 음식물처리시스템중계단계 S220: 원격관리시스템중계단계
S300: 원격관리시스템제어단계 S310: 원격모니터링단계
S320: 원격표시경보단계 S330: 원격제어단계
S340: 클라이언트시스템처리단계 S350: 근접관리자시스템처리단계
S360: 원격통화단계 S370: 원격데이터베이스단계
S400: 클라이언트시스템제어단계 S410: 로그인단계
S420: 클라이언트모니터링단계 S430: 로그아웃단계
S500: 근접관리자시스템제어단계 S510: 정보수신및표시단계
S520: 근접관리자모니터링단계 S530: 근접관리자제어단계

Claims (27)

  1.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시켜 배출하는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버너에서 열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열에너지를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의 열 에너지로 사용하고,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수행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
    원격지에 설치되며, 첫째,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화하며, 둘째, 음식물처리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시스템; 및,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 주위에 설치되며,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원격관리시스템과 유선통신(예: 인터넷 통신, 전용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관리시스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중계하는 중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가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거나, 또는 근접관리자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시켜 잔사를 배출하는 음식물처리부;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버너에서 열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열에너지를 상기 음식물처리부에 공급하는 열원공급부;
    상기 음식물처리부와 열원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첫째,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 시켜 잔사를 배출시키고, 둘째, 배출된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열에너지를 생성하고, 셋째, 연소 시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음식물처리부에 공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에너지로 사용하는 동작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공급부에서 잔사를 연료로 사용할 경우에는 펠릿으로 압축 가공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파쇄시키는 교반기;
    상기 교반기에서 파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는 건조실; 및,
    상기 건조실에 열에너지를 공급하는 건조열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식물처리부의 교반기와 건조실 및 건조열공급부는,
    건조실 내부에 격벽을 설치하여 건조실을 제1건조실과 제2건조실로 분리한 후, 상기 제1건조실과 제2건조실 상면에 각각 투입구를 마련하고, 제2건조실 일측벽에 잔사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건조실과 제2건조실을 관통하여 회전축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 상에 방사 방향으로 파쇄뭉치와 칼날을 설치하여 교반기를 구성하고,
    상기 제1건조실과 제2건조실 하부와 측면에 건조열공급부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열공급부는,
    건조실 하부나 측면의 내부나 외부에 공기나 유체가 흐르는 관을 설치하여, 상기 열원공급부에서 열교환 된 공기나 유체가 유통되면서 열교환을 수행하여 건조실의 온도를 상승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공급부는,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저장하는 잔사저장탱크;
    상기 잔사저장탱크에 저장된 잔사를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교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원공급부는,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저장하는 잔사저장탱크;
    상기 잔사저장탱크에 저장된 잔사를 이송시켜 펠릿을 만드는 펠릿성형기;
    상기 펠릿성형기에서 만들어지는 펠릿을 저장하는 펠릿저장탱크;
    상기 펠릿저장탱크에 저장된 펠릿을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발생하는 버너; 및,
    상기 버너에서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교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 내부에 보조가열장치를 더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에서 연소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공기를 버너 내부로 유통시켜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대기 중으로 증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에서 연소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공기를 버너 내부로 유통시켜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상기 공기에 포함된 냄새 성분을 소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에서 연소 동작을 수행할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와 접촉하는 공기를 버너 내부로 유통시켜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상기 공기에 포함된 오염 물질, 또는 연소로 인해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소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부는,
    버너 내부 또는 외부에 공기나 유체가 흐르는 관을 설치한 후 상기 관 내부로 공기, 또는 유체가 흐르도록 하여 버너에서 발생되는 열을 교환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1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파쇄하는 교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교반제어부;
    열원공급부에서 발생되어 음식물처리부로 이송하는 열에너지의 이송을 제어하는 열공급제어부;
    상기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잔사저장탱크로 이송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잔사저장제어부;
    버너의 잔사 연소 동작을 제어하는 버너제어부;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부;
    메모리부;
    음식물처리부와 열원공급부의 동작 상태와 처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경보부;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제어통신부; 및,
    상기 교반제어부와, 열공급제어부와, 잔사저장제어부와, 버너제어부와, 스위치부와, 메모리부와, 표시경보부 및 동작제어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교반 및 파쇄 동작을 제어하고, 배출되는 잔사를 연소시켜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도록 제어하며, 동작 상태 및 동작 이력 등을 저장하고 나타내며, 원격관리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1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제어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파쇄하는 교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교반제어부;
    열원공급부에서 발생되어 음식물처리부로 이송되는 열에너지의 이송 동작을 제어하는 열공급제어부;
    음식물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잔사를 잔사저장탱크로 이송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잔사저장제어부;
    펠릿성형부의 펠릿 제조 동작을 제어하는 펠릿성형제어부;
    펠릿성형부에서 만드는 펠릿을 펠릿저장탱크로 이송시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펠릿저장제어부;
    버너의 펠릿 연소 동작을 제어하는 버너제어부;
    하나 이상의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부;
    메모리부;
    음식물처리부와 열원공급부의 동작 상태와 처리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경보부; 및,
    상기 교반제어부와, 열공급제어부와, 잔사저장제어부와, 펠릿성형제어부와, 펠릿저장제어부와, 버너제어부와, 스위치부와, 메모리부 및 표시경보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교반 및 파쇄 동작을 제어하고, 펠릿 제조 및 연소 동작을 제어하며, 펠릿 연소 시 발생하는 열에너지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하도록 제어하고, 동작 상태 및 동작 이력을 저장하고 나타내며, 원격관리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관리자시스템 사이에 통화로를 구성하는 동작제어통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로 이루어져 버너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부;
    연소를 보조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발열제어부; 및,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팬의 동작을 제어하는 팬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시스템은,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통신부;
    원격관리시스템과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원격유선통신부; 및,
    상기 단말통신부와 원격유선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관리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통신부는,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무선통신부; 및,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유선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유선통신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은,
    음식물처리시스템에 이상 상황(고장 발생, 점검 요구 발생 등)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경보신호를 발생하는 표시경보시스템; 및,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서버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은, 음식물처리시스템과 통화로를 구성하는 원격관리통화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은, 근접관리자가 휴대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도록 원격관리시스템과 근접관리자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통신망접속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시스템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서버;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고객관리서버;
    각 음식물처리시스템에 대한 모니터링데이터, 경보 상황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데이터 백업을 수행하는 백업서버;
    관리자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다수개의 입출력장치; 및,
    상기 통신서버와, 고객관리서버와, 데이터베이스서버와, 백업서버 및 입출력장치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메인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23. 음식물처리시스템, 중계시스템, 원격관리시스템, 클라이언트시스템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고, 근접관리자시스템을 선택적 구성요소로 하여 이루어져,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시켜 잔사를 배출하고, 배출된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열에너지를 생성하며 생성된 열에너지를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의 건조 에너지로 사용하며,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원격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은,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교반 및 분쇄시켜 배출하는 잔사를 연료로 사용하여 열에너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열에너지를 음식물 쓰레기 건조 시의 열 에너지로 사용하며,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중계시스템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중계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수행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제어단계;
    원격관리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나타내고, 데이터베이스화하며, 제어명령을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에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모니터링데이터를 제공하는 원격관리시스템제어단계;
    중계시스템에서,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과 원격관리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는 중계시스템제어단계; 및,
    클라이언트시스템에서, 인터넷망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제어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망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제어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제어단계는,
    음식물처리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동작 상태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상태를 검출하여 이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생성하고, 연소 동작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상태검출제어단계;
    상기 상태검출제어단계를 수행 한 후, 상기 상태검출제어단계에서 검출한 모니터링데이터를 나타내는 단말표시경보단계;
    상기 단말표시경보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상태검출단계에서 검출한 모니터링데이터를 중계시스템을 통해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전송단계;
    상기 모니터링데이터전송단계를 수행한 후, 상기 상태검출단계에서 검출한 모니터링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니터링데이터저장단계;
    상기 모니터링데이터저장단계를 수행한 후,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중계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에는 이를 수신하는 단말수신단계; 및,
    상기 단말수신단계를 수행한 후, 원격관리자와의 통화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통화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관리시스템과의 통화로를 구성하는 단말통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
  26.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제어단계는,
    하나 이상의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중계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각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원격모니터링단계;
    상기 원격모니터링단계를 수행한 결과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가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나타내는 신호를 나타내는 원격표시경보단계;
    상기 원격표시경보단계를 수행한 후 원격관리자가 입력하는 제어신호를 중계시스템을 통해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원격제어단계;
    상기 원격제어단계를 수행한 후 인터넷망을 통해 클라이언트시스템이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클라이언트시스템이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데이터를 클라이언트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클라이언트시스템처리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시스템처리단계를 수행한 후 이동통신망을 통해 근접관리자시스템이 접속되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근접관리자시스템이 접속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음식물처리시스템의 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근접관리자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에서 전송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근접관리자시스템처리단계;
    상기 근접관리자시스템처리단계를 수행한 후 모니터링데이터 및 모니터링 상황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원격데이터베이스단계; 및,
    상기 원격데이터베이스단계를 수행한 후 음식물처리시스템 이용자와의 통화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통화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음식물처리시스템과의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원격통화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시스템제어단계는,
    상기 음식물처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모니터링데이터를 수신하여 원격관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음식물처리시스템중계단계; 및,
    상기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음식물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시스템중계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140037328A 2014-03-29 2014-03-29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1126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328A KR20150112692A (ko) 2014-03-29 2014-03-29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328A KR20150112692A (ko) 2014-03-29 2014-03-29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692A true KR20150112692A (ko) 2015-10-07

Family

ID=5434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328A KR20150112692A (ko) 2014-03-29 2014-03-29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269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035B1 (ko) * 2017-07-27 2018-08-2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음식물 폐기물 발효소멸 장치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90025103A (ko) * 2017-08-29 2019-03-11 케이바이오텍 주식회사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KR102042784B1 (ko) * 2019-05-31 2019-11-08 주식회사 미래에스아이 IoT를 활용한 이동형 해안 폐기물 고형연료화 장치
KR20200049018A (ko) * 2018-10-31 2020-05-08 장대호 생물자원을 활용한 음식물감량기 및 음폐수 관리 융합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9035B1 (ko) * 2017-07-27 2018-08-21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음식물 폐기물 발효소멸 장치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자동 제어 시스템
KR20190025103A (ko) * 2017-08-29 2019-03-11 케이바이오텍 주식회사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KR20200049018A (ko) * 2018-10-31 2020-05-08 장대호 생물자원을 활용한 음식물감량기 및 음폐수 관리 융합 시스템 및 방법
KR102042784B1 (ko) * 2019-05-31 2019-11-08 주식회사 미래에스아이 IoT를 활용한 이동형 해안 폐기물 고형연료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2692A (ko)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6966771A (zh) 一种废弃物生物制料机
CN101048712A (zh) 超文本标记语言驱动嵌入控制器
CN205507445U (zh) 一种可远程监控与操作的智能厨房系统
KR10149256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제어장치 및 방법
CN108027620A (zh) 高级实时图形无传感器节能泵控制系统
CN105212549A (zh) 易燃有毒有害品智能储存柜
JP6357808B2 (ja) リモートバックアップオペレーションシステム
CN108037709B (zh) 干化机远程控制系统、方法及污泥低温干化机
WO2009010640A1 (en) Maintenance system
CN109088952A (zh) 嵌入式设备接入到区块链的装置及方法
CN104557157A (zh) 一种病死动物尸体无害化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U2021292808A1 (en) Monitoring and controlling connected pool devices
CN107999505A (zh) 一种基于物联网的垃圾处理装置
JP7284376B2 (ja) 発電給湯システム
CN111059539A (zh) 一种垃圾处理系统及方法
CN110711757A (zh) 一种湿垃圾综合管理服务系统
CN101867497A (zh) 一种网络物理隔离状态监测报警保护系统
CN116360312A (zh) 铝镁合金压铸车间监控系统
JP3983383B2 (ja) 有機性廃棄物の分解処理装置
CN209181284U (zh) 有机载体炉控制系统
TW200933358A (en) On-lin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KR102266598B1 (ko) 수분제거 및 탈취효율이 우수한 가압 탈취기 및 이를 통한 혼합재료 수분제거 및 탈취방법
JP2005205376A (ja) 生ごみ処理機
CN211176815U (zh) 微型生活垃圾处理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