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25103A -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25103A
KR20190025103A KR1020170109108A KR20170109108A KR20190025103A KR 20190025103 A KR20190025103 A KR 20190025103A KR 1020170109108 A KR1020170109108 A KR 1020170109108A KR 20170109108 A KR20170109108 A KR 20170109108A KR 20190025103 A KR20190025103 A KR 20190025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r
vacuum decompression
vacuum
cutte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796B1 (ko
Inventor
류창열
조상태
Original Assignee
케이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바이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바이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9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17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25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5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9B3/00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45Steam treatment, e.g. supercritical water gasification or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30Incineration ashes
    • B09B2220/06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6Reducing the size of particles, liquid droplets or bubbles, e.g. by crushing, grinding, spraying, creation of microbubbles or nanobub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공간에 직투입된 도축장 폐수슬러지 및 폐기물(이하 '도축 폐기물')을 진공 감압에 의해 비등점을 저하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산물인 펠릿연료를 사용한 스팀 보일러로 가열하고, 발효 건조한 후 건조물을 절단, 성형하여 연료화하거나, 건조물을 선별 분리(스크린 프레스, 파쇄)하여 퇴비화나 비료화하는 자원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은, 도축 폐기물을 유기물 분해균과 함께 직투입으로 공급받아 진공 감압상태에서 증기 스팀에 의해 발효 건조하여 배출하는 진공감압 발효기;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의 가열에 필요한 스팀을 발생하여 공급하고, 그 진공감압 발효기의 가열에 사용되고 난 저온 스팀을 회수하는 보일러; 및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에서 배출된 건조물을 연료화할 수 있도록 절단, 성형하여 펠릿화하거나,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의 발효 과정에서 작용하여 배출된 건조물을 선별 분리하여 퇴비화하거나 비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보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Eco-friendly recycling system using slaughter waste}
본 발명은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밀폐된 공간에 직투입된 도축장 폐수슬러지 및 폐기물(이하 '도축 폐기물')을 진공 감압에 의해 비등점을 저하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산물인 펠릿연료를 사용한 스팀 보일러로 가열하고, 발효 건조한 후 건조물을 절단, 성형하여 연료화하거나, 건조물을 선별 분리(스크린 프레스, 파쇄)하여 퇴비화나 비료화하는 자원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식생활에서 많이 식용하고 있는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의 육류는 사육된 가축을 도축장에서 도축하고 가식 부분만을 유통시킨다.
따라서 도축장에서는 가축의 털, 가죽, 발톱 및 불가식 부분을 포함하는 도축 폐기물과, 도축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한 폐수슬러지가 도축시 발생한다.
이러한 도축 폐기물 즉, 도축장 폐수슬러지 및 폐기물은 처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처리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가축을 대량 도축하여 발생하는 폐기물을 해양투기 하였으나, 1972년 런던에서 체결되어 1975년에 발효된 런던협약에 따라 우리나라도 2012년부터 가축분뇨, 2015년까지 폐수오니 등 폐기물의 투기를 전면 금지하였다.
또한, 종래에는 음식물 폐기물에 대하여 호퍼로부터 폐기물을 공급받아 각종 이물질을 선별하고 미세하게 분쇄한 후, 감압 진공상태에서 열을 가하여 수분을 배출시키고 수분이 배출된 폐기물을 발효 건조시킨 상태에서 이를 이용해 발효사료나 발효퇴비 등을 만드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지만, 도축폐기물의 처리에 대한 기술은 공지된 바 없다.
그런데 이 기술은 발효 공정 이전에 폐기물을 선별하고 분쇄하는 공정에서 악취 등이 발생하여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며 도축폐기물의 경우 가축의 털이나 발톱 등이 절단되지 않고 그 크기가 일정하지 않아 펠릿화를 통한 발전이나 난방(스팀) 연료로 재활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번호 제10-2015-0012666호(공개일자 2015년02월04일) 등록번호 제10-1367947호(공고일자 2014년02월2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밀폐된 공간에 직투입된 도축 폐기물을 진공 감압에 의해 비등점을 저하하여 본 발명의 산물인 펠릿연료를 사용한 스팀 보일러로 가열하고, 보관중 혐기성 균에 의해 발생된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 고분자 악취원인 인자를 진공감압 발효시켜 저분자로 분해하여, 필터와 수분조절장치를 통하여 무배수 처리하여 증산시키고, 배출된 건조물을 절단, 성형, 스크린 프레스, 파쇄 등 2차 처리함으로써, 악취 등의 발생을 막아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건조물의 펠릿화를 통해 발전이나 난방(스팀)의 연료 자원이나 비료, 사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은, 도축 폐기물을 유기물 분해균과 함께 직투입으로 공급받아 진공 감압상태에서 증기 스팀에 의해 발효 건조하여 배출하는 진공감압 발효기;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의 가열에 필요한 스팀을 발생하여 공급하고, 그 진공감압 발효기의 가열에 사용되고 난 저온 스팀을 회수하는 보일러; 및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에서 배출된 건조물을 연료화할 수 있도록 절단, 성형하여 펠릿화하거나,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의 발효 과정에서 작용하여 배출된 건조물을 선별 분리하여 퇴비화하거나 비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보조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에서 보관중 혐기성 균에 의해 발생된 암모니아, 황화수소와 같은 고분자 악취원인 인자를 진공감압 발효시켜 저분자로 분해하여, 필터와 수분조절장치를 통하여 무배수 처리해서 증산시키는 무배수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에서 발효에 적정한 수분(함수율)을 조절하고, 발효가 완료되면 펠릿이나 비료화에 적정한 수분(함수율)을 조절하여 건조시키는 수분조절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발효에 적정한 수분은 40~60%이고, 펠릿에 적정한 수분은 5~10%이며 비료화에 적정한 수분은 15~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일러는 재활용 보조수단에 의한 산물인 펠릿연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활용 보조수단은 도축 폐기물에 털이나 발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배출된 건조물을 절단하는 절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기는 상부에 투입구가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의 투입구 하부에 커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커터 하부에 반원형의 메쉬망이 구비되되,
상기 커터는 다수의 삼각 회전체가 하나의 회전축에 외삽 고정되고, 삼각 회전체 각각에는 외측으로 3개의 결합돌기가 소정 각도의 간격으로 돌출되어 그 결합돌기에 절단날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삼각 회전체의 이웃된 결합돌기 간에 단차를 갖도록 회전축에 삼각 회전체가 외삽 고정되어 이웃된 절단날 사이에 단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 보일러, 절단기, 수분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해당 설치부위의 진동, 변위, 온도나 압력같은 데이터를 센싱해서 무선 통신으로 센싱 데이터를 PC에 전송하는 무선센서부;
M2M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무선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 데이터의 헤더를 읽고 제거한 후, 내용물인 센서값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외부 연결이 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PC; 및
모니터링 앱이 설치되어 상기 PC로부터 데이터를 와이파이로 수신하여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실시간 변화되는 센싱 데이터를 그래프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 보일러, 절단기, 수분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되고 기본적인 태그 ID를 저장하는 NFC 태그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에서 NFC 태그에 태깅하여 태그 ID를 읽어오고 PC에 태그 ID HTTP 요청하는 경우, 상기 PC에서 DB에 저장된 해당 태그 ID의 정보(데이터)를 읽어와 구성부 정보와 위치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달하여, 태그의 위치가 지도에 표시되고 해당 구성부의 구조와 기능이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밀폐된 공간에 직투입된 도축 폐기물을 진공 감압에 의해 비등점을 저하하여 본 발명의 산물인 펠릿연료를 사용하여 스팀 보일러로 가열하고, 발효 건조한 후 필터와 수분조절장치를 통하여 악취 등의 발생을 막음과, 배출된 건조물을 지방회수, 절단, 성형 등 2차 처리함으로써,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고 건조물의 펠릿화를 통해 발전이나 난방(스팀)의 연료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M2M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시스템의 운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을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나타낸 절단기의 상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의 센싱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의 NFC 태깅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은, 호퍼(20), 이송수단(30), 보일러(10), 진공감압 발효기(40,50), 절단기(60) 및 수분조절장치(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호퍼(20)에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오리고기 등의 가축을 도축장에서 도축하고 난 후의 도축 폐기물과 폐수 슬러지가 투입된다.
이송수단(30)은 상기 호퍼(20)의 하부와 진공감압 발효기(40)의 투입구 사이에 설치되어 호퍼(20)에 투입된 도축 폐기물을 이송시켜 진공감압 발효기(40)에 투입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컨베이어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진공감압 발효기(40)에 유기물 분해균도 같이 투입된다.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40)의 본체는 원통형으로 투입구가 닫힌 상태에서 완전히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기모터(42)에 연결된 샤프트(44)가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44)에는 다수의 교반날개(46)가 수직하게 다수 설치된다.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40)는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 감압하여 이에 의해 비등점을 저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을 700pHa로 조절하여 비등점을 70~80℃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40) 내부에 투입된 유기물 분해균과 도축 폐기물은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산물인 펠릿연료를 사용한 열원인 약 120℃의 고온 스팀(증기)으로 가열된다.
보일러(10)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산물인 펠릿연료(75)를 사용하여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40)의 가열에 필요한 스팀을 발생하는 것으로, 진공감압 발효기(40)의 가열에 사용되고 난 저온 스팀은 다시 보일러(10)에 회수된다.
상기 보일러(10)는 스팀을 발생하는 장치라면 다른 것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진공감압 발효기(10)의 내부를 진공 감압하여 비등점을 낮춘 상태에서 전기모터(42)를 구동하여 샤프트(44)를 회전시키면서 외부에서 스팀으로 가열하면, 도축 폐기물에 함유된 수분은 비등점에서 일부가 비등 증발하고, 이때 도축 폐기물은 교반되면서 발효 건조된다.
이때 도축 폐기물과 같이 투입된 유기물 분해균에 최적의 환경 조건을 제공하여 고속으로 발효 건조를 실현하고, 유기물 분해균의 호기성 작용(발효)에 의해 도축 폐기물의 암모니아를 분해하여 냄새(악취)를 억제한다.
즉,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40)에서 보관중 혐기성 균에 의해 발생된 암모니아, 황화수소와 같은 고분자 악취원인 인자를 진공감압 발효시켜 저분자로 분해한다.
또한, 상기 유기물 분해균에 의해 부산물 분해와 열량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예를 들어 뻣뻣한 돼지털을 흐물흐물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공감압 발효기(40) 1개와 내부에 수분조절 수단(미도시)을 구비하여 예를 들어 함수율 85~90% 도축 폐기물을 발효 건조해서 예를 들어 함수율 5~20% 건조물로 배출할 수도 있고, 2개(40,50) 구비하여 1차 진공감압 발효기(40)에서는 예를 들어 함수율을 45~55%로 하여 배출하고, 2차 진공감압 발효기(50)에서는 예를 들어 함수율을 5~20%로 하여 건조물을 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수분조절 수단은 1차 진공감압 발효기에서 발효에 적정한 수분(함수율)을 조절하고, 발효가 완료되면 펠릿이나 비료화에 적정한 수분(함수율)을 조절하며 건조시킨다.
여기서 상기 발효에 적정한 수분은 40~60%이고, 펠릿에 적정한 수분은 5~10%이며 비료화에 적정한 수분은 15~20%이다.
상기 비료화에 사용되는 발효 건조물은 미도시된 압착기를 이용하여 지방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산물인 펠릿연료(75)를 사용하는 스팀발전기로 전기를 생산하여, 이 전기를 진공감압 발효기(40,50) 등과 같이 전기가 필요한 장치에 사용하고, 여분의 전기는 판매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진공감압 발효기(40,50)에서 배출된 함수율 5~20% 건조물에 가축의 털이나 발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규격이 일정한 펠릿화가 불가능하여 발전이나 난방(스팀) 원료로 사용할 수 있는 바, 이를 위해 펠릿화가 용이하도록 건조물을 재활용 보조수단인 절단기(60)를 통해 절단한다.
물론 진공감압 발효기(40,50)에서 배출된 건조물을 스크린 프레스 등으로 선별(72) 분류하여 지방을 회수하고, 필요한 경우 분쇄(73)하여 바로 유기질 퇴비화나 비료화가 가능하고, 이후 포장기를 이용하여 유기질 비료와 퇴비를 규격 포장 단위로 포장할 수 있다.
또한, 진공감압 발효기(40)에서 배출된 포화수증기는 필터와 수분조절장치(90)를 통하여 가수분해(악취제거), 무배수 처리하여 외부로 증산한다.
미설명 부호 70은 펌프, 74는 성형, 80은 열교환기, 90은 냉각탑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나타낸 절단기의 상세 도면으로서, 상부에 투입구(68)가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의 투입구 하부에 커터(6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커터(62) 하부에 반원형의 메쉬망(64)이 구비되어 균일하게 절단된 펠릿만 배출된다.
상기 커터(62)는 힘의 균형을 위한 다수의 삼각 회전체(63)가 하나의 회전축(65)에 외삽 고정된다.
상기 삼각 회전체(63) 각각에는 외측으로 3개의 결합돌기(63a)가 120도의 간격으로 돌출되고, 그 결합돌기(63a)에 절단날(62b)이 탈착이 가능하도록 고정되어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삼각 회전체(63)의 결합돌기(63a) 간에 단차가 형성되도록 회전축(65)에 삼각 회전체(63)가 외삽 고정되어 이웃된 절단날(62b)이 단층을 갖고 구비됨으로써, 건조물 절단시 커터(62)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에는 고정날(62a)이 고정되게 구비되어 삼각 회전체(63)가 회전하면서 절단날(62b)이 고정날(62a)에 교차되는 경우 건조물이 절단되어 하부의 메쉬망(64)을 통해 낙하되고 절단되지 않은 건조물은 절단날(62b)을 따라 회전 이동하여 고정날(62a)과 다시 교차되면서 절단된다.
이 절단된 건조물은 펠릿화되어 재생 연료로 사용되거나 선별, 분류되어 비료로 사용된다.
즉, 상기 보일러(10)의 스팀 발생 연료 즉 펠릿연료(75)로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산업 발전이나 난방 연료에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분조절장치(90)는 필터와 함께 무배수 처리수단을 구성하여 진공감압 발효기(10)에서 배출된 포화수증기를 무배수 처리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의 센싱을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센서부, PC(130) 및 DB(132,134)와 스마트폰(1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부 예를 들어 보일러(10)나 진공감압 발효기(40,50)의 진동, 변위, 온도나 습도 등을 센싱하여, 측정된 데이터는 PC(130)에 내장한 DB(132,134)에 전달되어 저장되고, M2M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하는 PC 프로그램에 의해 스마트폰(140)에 구현된 모니터링 앱이 PC(130)에 접속하여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취득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PC(130)의 GIS DB(132)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부의 지리정보를 저장하고, 구성부 DB는 각 구성부의 구조와 기능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무선센서부는 예를 들어 진동 센서(112) 및 스트레인게이지 센서(114)와 마이컴(110) 및 무선 통신으로 CDMA 모듈(120a,…,120n)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센서(112)는 가장 작은 크기의 진동을 측정할 수 있도록 조정되며, 3개의 진동센서들이 예를 들어 보일러나 진공감압 발효기에 분산 배치된다.
이 진동센서(112)의 저주파 압전센싱기술을 이용해 보일러나 진공감압 발효기의 손상을 검사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게이지 센서(114)는 시스템의 구조부나 몸체 부위에 부착되어 시스템의 변형도를 센싱하여 CDMA 모듈(120a,…,120n)의 무선 통신을 통해 PC(130)에 전송한다.
PC(130)에 탑재된 M2M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은 무선센서부의 CDMA 모듈(120a,…,120n)로부터 전송된 센서 데이터를 PC에서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 데이터의 헤더를 읽고 제거한 후, 내용물인 센서값을 PC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외부 연결이 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한다.
또한, 상기 진동센서(112)와 스트레인게이지(114) 센서값을 개별적으로 수신하고, 서버 기능을 사용하여 와이파이로 스마트폰(140)에 의해 원격으로 출력 파일을 읽어올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PC(130)는 예를 들어 WampServer 응용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 Apache 기반 서버는 HTTP request에 의해 용이하게 액세스(access)할 수 있고 이는 원격지에서의 센서 데이터 액세스를 가능하게 하여, 원격지의 스마트폰(140)에서 와이파이를 통해 PC(130)로 데이터를 보내고 받을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140)에 설치된 모니터링 앱은 PC(130)로 데이터를 와이파이로 수신하여 센서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실시간 변화되는 센서 데이터를 그래프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무선센서부는 위와 같은 CDMA+아두이노 조합과는 별개로 와이파이 무선통신을 사용하는 와이파이+라즈베리 조합을 사용할 수 있고, 이때 감시대상은 예를 들어 설비알람, 가스압력, 수위레벨, 온도습도, 전압전류, 화재연기, 정전전력, 카운터, 모터과열, 이상진동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일러(10)의 센서는 온도, 습도, 펌프, 진공갑압 발효기(40,50)의 센서는 전압, 전류, 전기모터 속도, 과열 온도, 습도, 압력, 절단기(60)의 센서는 운전시간, 모터과열, 절단량, 이송수단(30)의 센서는 도축 폐기물 투입 상태, 모터과열 등을 센싱한다.
이와 같은 보일러(10), 진공갑압 발효기(40,50), 이송수단(30), 절단기(60) 등의 다양한 센싱 데이터는 무선 통신을 통해 PC(130)에 전달되고, 스마트폰(140)은 와이파이를 통해 이 PC에 저장된 센싱 데이터를 출력하여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이상의 도 3에서는 PC(130)가 서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별도의 시스템 서버를 구축하고 그 시스템 서버에 GIS DB나 시스템 DB를 구비하여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의 NFC 태깅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예를 들어 보일러, 진공감압 발효기, 절단기 등)에 NFC 태그(16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NFC 태그(160)에는 기본적인 태그 ID만을 저장하고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폰 모니터링 앱을 통해 API 서버(즉 PC)(130)로부터 정보를 요청,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즉, 스마트폰(140)에서 구성부에 부착된 NFC 태그(160)에 태깅하여 태그 ID를 읽어오고 API 서버(130)에 태그 ID HTTP 요청하는 경우, API 서버(130)는 서버 DB(132,134)에 저장된 해당 태그 ID의 정보(데이터)를 읽어와 구성부와 위치 정보(위도와 경도)를 스마트폰(140)에 전달하여 화면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스마트폰(140)에는 첫 번째 태깅한 NFC가 기록되고, 두 번째 그 태그의 위치가 지도에 표시되며, 세 번째와 네 번째 구성부의 구조와 기능이 화면에 출력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보일러 40,50: 진공감압 발효기
60: 절단기 70: 수분조절장치
75: 펠릿연료 130: PC
140: 스마트폰 160: NFC 태그

Claims (10)

  1. 도축 폐기물을 유기물 분해균과 함께 직투입으로 공급받아 진공 감압상태에서 증기 스팀에 의해 발효 건조하여 배출하는 진공감압 발효기;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의 가열에 필요한 스팀을 발생하여 공급하고, 그 진공감압 발효기의 가열에 사용되고 난 저온 스팀을 회수하는 보일러; 및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에서 배출된 건조물을 연료화할 수 있도록 절단, 성형하여 펠릿화하거나,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의 발효 과정에서 작용하여 배출된 건조물을 선별 분리하여 퇴비화하거나 비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 보조수단; 을
    포함하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에서 보관중 혐기성 균에 의해 발생된 암모니아, 황화수소와 같은 고분자 악취원인 인자를 진공감압 발효시켜 저분자로 분해하여, 필터와 수분조절장치를 통하여 무배수 처리해서 증산시키는 무배수 처리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에서 발효에 적정한 수분(함수율)을 조절하고, 발효가 완료되면 펠릿이나 비료화에 적정한 수분(함수율)을 조절하여 건조시키는 수분조절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에 적정한 수분은 40~60%이고, 펠릿에 적정한 수분은 5~10%이며 비료화에 적정한 수분은 1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는 재활용 보조수단에 의한 산물인 펠릿연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보조수단은 도축 폐기물에 털이나 발톱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배출된 건조물을 절단하는 절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기는 상부에 투입구가 경사지게 형성된 본체의 투입구 하부에 커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커터 하부에 반원형의 메쉬망이 구비되되,
    상기 커터는 다수의 삼각 회전체가 하나의 회전축에 외삽 고정되고, 삼각 회전체 각각에는 외측으로 3개의 결합돌기가 소정 각도의 간격으로 돌출되어 그 결합돌기에 절단날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회전체의 이웃된 결합돌기 간에 단차를 갖도록 회전축에 삼각 회전체가 외삽 고정되어 이웃된 절단날 사이에 단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 보일러, 절단기, 수분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설치되어 해당 설치부위의 진동, 변위, 온도나 압력같은 데이터를 센싱해서 무선 통신으로 센싱 데이터를 PC에 전송하는 무선센서부;
    M2M 게이트웨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상기 무선센서부로부터 전송된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패킷 데이터의 헤더를 읽고 제거한 후, 내용물인 센서값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며 외부 연결이 될 수 있도록 데이터를 변환하는 PC; 및
    모니터링 앱이 설치되어 상기 PC로부터 데이터를 와이파이로 수신하여 센싱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실시간 변화되는 센싱 데이터를 그래프 방식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스마트폰; 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감압 발효기, 보일러, 절단기, 수분처리장치 중 어느 하나 이상에 부착되고 기본적인 태그 ID를 저장하는 NFC 태그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마트폰에서 NFC 태그에 태깅하여 태그 ID를 읽어오고 PC에 태그 ID HTTP 요청하는 경우, 상기 PC에서 DB에 저장된 해당 태그 ID의 정보(데이터)를 읽어와 구성부 정보와 위치 정보를 스마트폰에 전달하여, 태그의 위치가 지도에 표시되고 해당 구성부의 구조와 기능이 화면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KR1020170109108A 2017-08-29 2017-08-29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KR102021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108A KR102021796B1 (ko) 2017-08-29 2017-08-29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108A KR102021796B1 (ko) 2017-08-29 2017-08-29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5103A true KR20190025103A (ko) 2019-03-11
KR102021796B1 KR102021796B1 (ko) 2019-09-18

Family

ID=65758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108A KR102021796B1 (ko) 2017-08-29 2017-08-29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17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1475A (zh) * 2019-04-04 2019-05-31 江苏瑞安特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喷浆造粒干燥机
CN110204369A (zh) * 2019-05-16 2019-09-06 蒋兰琴 污泥发酵肥生产装置
KR102116103B1 (ko) * 2019-04-05 2020-05-28 케이바이오텍 주식회사 축열구조를 통한 무탈수 가축분뇨 상압증류수 제조장치
CN111618073A (zh) * 2020-06-05 2020-09-04 杭州碳明科技有限公司 垃圾处理系统及方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608Y1 (ko) * 2005-01-05 2005-03-31 오인숙 폐음식물 분쇄기
KR100584918B1 (ko) * 2005-10-25 2006-05-30 주식회사 대림기계 플라스틱 폐기물용 파쇄기
KR101367947B1 (ko) 2011-09-28 2014-02-28 조상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발효사료·발효퇴비·액비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9096A (ko) * 2012-09-21 2014-04-01 와이앤케이텍 주식회사 앤에프씨휴대폰적용 지아이에스기술이용 보수보강시뮬레이션시스템
KR20150012666A (ko) 2013-07-26 2015-02-04 한국앤바이오기술(주)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아미노산 비료의 제조방법
KR20150112692A (ko) * 2014-03-29 2015-10-07 명관 이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1645A (ko) *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이지테크환경시스템 음폐수를 무방류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20170044335A (ko) * 2015-10-15 2017-04-25 최준호 음식물 쓰레기 무배수 연료화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0608Y1 (ko) * 2005-01-05 2005-03-31 오인숙 폐음식물 분쇄기
KR100584918B1 (ko) * 2005-10-25 2006-05-30 주식회사 대림기계 플라스틱 폐기물용 파쇄기
KR101367947B1 (ko) 2011-09-28 2014-02-28 조상태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발효사료·발효퇴비·액비 제조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39096A (ko) * 2012-09-21 2014-04-01 와이앤케이텍 주식회사 앤에프씨휴대폰적용 지아이에스기술이용 보수보강시뮬레이션시스템
KR20150012666A (ko) 2013-07-26 2015-02-04 한국앤바이오기술(주)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아미노산 비료의 제조방법
KR20150112692A (ko) * 2014-03-29 2015-10-07 명관 이 자원 회생 순환 구조를 갖는 원격 제어 음식물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21645A (ko) *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이지테크환경시스템 음폐수를 무방류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방법
KR20170044335A (ko) * 2015-10-15 2017-04-25 최준호 음식물 쓰레기 무배수 연료화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1475A (zh) * 2019-04-04 2019-05-31 江苏瑞安特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喷浆造粒干燥机
KR102116103B1 (ko) * 2019-04-05 2020-05-28 케이바이오텍 주식회사 축열구조를 통한 무탈수 가축분뇨 상압증류수 제조장치
CN110204369A (zh) * 2019-05-16 2019-09-06 蒋兰琴 污泥发酵肥生产装置
CN110204369B (zh) * 2019-05-16 2022-03-04 德州迈科生物技术有限公司 污泥发酵肥生产装置
CN111618073A (zh) * 2020-06-05 2020-09-04 杭州碳明科技有限公司 垃圾处理系统及方法
CN111618073B (zh) * 2020-06-05 2021-07-20 杭州碳明科技有限公司 垃圾处理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796B1 (ko) 2019-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5103A (ko)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US20020114866A1 (en) Process for recovering feed-grade protein from animal manure
KR102224761B1 (ko) 유기물 처리 장치 및 시스템
CN101928163B (zh) 去除畜禽粪便中四环素类抗生素残留的受控堆肥系统
KR20130124429A (ko) 축산분뇨를 이용한 고형연료화장치
KR102063120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한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960166B1 (ko) 유기질이 함유된 축산 배설물 및 폐기물의 발효 처리방법
Reyes et al. Anaerobic biodegradation of solid substrates from agroindustrial activities—Slaughterhouse wastes and agrowastes
CN208121090U (zh) 一种工业生物质沼气项目应用系统
KR101935327B1 (ko) 도축 폐기물을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방법
Vintilă et al. Biogas in Romanian agriculture, present and perspectives
Nadan et al. Prospective of pretreatment and anaerobic digestion of dairy cow manure in Fiji
KR20190062659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시스템
Jordan et al. Enzymatic hydrolysis of organic waste materials in a solid–liquid system
KR101183744B1 (ko) 원통형 또는 다각형 밀폐형 발효조에 축사 깔짚을 포함한 축사폐기물을 수분조절제로 가축분뇨 폐수 무 방류, 속성발효로 퇴, 액비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CN207845655U (zh) 一种高温高浓度有机废弃物厌氧发酵有机肥料制造设备
CN103435240A (zh) 脱水污泥发酵再脱水方法
Saleh et al. The potential of sustainable biogas production from animal waste
Khan et al. Planning and engineering strategies of agricultural wastes and their remediation strategies
CN206137147U (zh) 以餐厨垃圾和秸秆生产黄粉虫饲料的装置
KR20190062658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친환경 자원화 방법
JP2019122951A (ja) 廃棄物処理施設の管理装置及び廃棄物処理施設の管理方法
KR100467940B1 (ko) 축산분뇨와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유기질 비료제조장치
KR20120047067A (ko) 펠릿 제조 시스템
KR20200080476A (ko) 유기 폐기물의 자원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