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120B1 -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한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한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63120B1 KR102063120B1 KR1020180157885A KR20180157885A KR102063120B1 KR 102063120 B1 KR102063120 B1 KR 102063120B1 KR 1020180157885 A KR1020180157885 A KR 1020180157885A KR 20180157885 A KR20180157885 A KR 20180157885A KR 102063120 B1 KR102063120 B1 KR 1020631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dry fermentation
- fermentation
- hot air
- organic was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 B01F15/0229—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9—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 B01F27/191—Stirrers with two or more mixing elements mounted in sequence on the same axis with similar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belts
-
- B01F7/00633—
-
- B01F7/04—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79—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gaseo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7/00—Fertilisers from waste water, sewage sludge, sea slime, ooze or similar ma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 Y02W30/4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이러한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 발효장치에 투입 콘베어를 통하여 공급한 후 가열과 정역 교반으로 발효 건조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하여 얻어지고 투입 콘베어에 연결된 선별 투입 콘베어에 설치되어 공급호퍼에 정량 배출하는 투입 전환장치와; 상기 공급호퍼가 설치되며 동력장치와 동력체인으로 연결되고 횡형으로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에서 회전축에 발효 교반날개를 설치한 상부 회전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이 열수 가열공간을 갖는 상부 건조 발효탱크와; 상기 상부 건조 발효탱크와 연결구로 연결되며 동력장치와 동력체인으로 연결되고 횡형으로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에서 회전축에 발효 교반날개를 설치한 하부 회전축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이 열수 가열공간을 갖는 하부 건조 발효탱크와; 상기 하부 건조 발효탱크의 선단 배출구에 배출 제어장치를 설치해 발효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되;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는 횡형으로 설치되어 열수 가열공간을 열수 투입라인과 열수 배출라인으로 열수조에 연결하는 퇴비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는 동력장치와 동력체인으로 연결된 상, 하부 회전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원주방향에 설치한 교반축의 선단에 발효 교반날개가 설치되고,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의 내부를 3개의 열수 가열공간으로 구분하여 열수 투입라인과 열수 배출라인을 열수조에 연결하는 것과;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는 외경에 열수 가열공간을 형성해 외부에서 60∼70℃로 가열된 열수가 공급되고, 상기 열수 가열공간의 외경에는 보온열선이 나선형으로 감겨 온도를 정확하게 조절 및 보온 유지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는 45∼60℃의 건조 발효온도를 유지하는 열풍이 열풍 부로와 및 열풍 투입라인이 연결되어 열풍을 계속해서 공급받을 수 있도록하고, 열풍 배기라인이 연결되어 싸이클론에 열풍이 배기되도록 연결하되;
상기 열풍 부로와는 열풍 투입라인을 통해 열풍을 공급하고, 분진포집 싸이클론은 열풍 배기라인이 연결되어 열풍을 흡입하는 순환 사용으로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제습만 수행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일부만을 흡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열풍 배기라인을 싸이클론과 연결하여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고, 공조기에 연결되며, 상기 공조기는 내부에 설치된 콘덴서가 냉각수 탱크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정화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냉동기와 연결되는 것이며, 냉각수 온도는 7∼15℃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는 횡형으로 설치되어 열수 가열공간을 열수 투입라인과 열수 배출라인으로 열수조에 연결하는 퇴비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는 동력장치와 동력체인으로 연결된 상, 하부 회전축에 일정한 간격으로 원주방향에 설치한 교반축의 선단에 발효 교반날개가 설치되고,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의 내부를 3개의 열수 가열공간으로 구분하여 열수 투입라인과 열수 배출라인을 열수조에 연결하는 것과;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는 외경에 열수 가열공간을 형성해 외부에서 60∼70℃로 가열된 열수가 공급되고, 상기 열수 가열공간의 외경에는 보온열선이 나선형으로 감겨 온도를 정확하게 조절 및 보온 유지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는 45∼60℃의 건조 발효온도를 유지하는 열풍이 열풍 부로와 및 열풍 투입라인이 연결되어 열풍을 계속해서 공급받을 수 있도록하고, 열풍 배기라인이 연결되어 싸이클론에 열풍이 배기되도록 연결하되;
상기 열풍 부로와는 열풍 투입라인을 통해 열풍을 공급하고, 분진포집 싸이클론은 열풍 배기라인이 연결되어 열풍을 흡입하는 순환 사용으로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제습만 수행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일부만을 흡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열풍 배기라인을 싸이클론과 연결하여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고, 공조기에 연결되며, 상기 공조기는 내부에 설치된 콘덴서가 냉각수 탱크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정화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냉동기와 연결되는 것이며, 냉각수 온도는 7∼15℃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건조 발효장치에 대한 우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건조 발효장치에 대한 좌측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건조 발효장치에 대한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건조 발효장치에 대한 내부를 보인 정면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건조 발효장치에 다양한 기능성 장치를 연결한 상태의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건조 발효장치에 다양한 기능성 장치를 연결한 상태의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공기 가열장치에 대한 주요 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퇴비화에 대한 실시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펠렛화에 대한 실시예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럭도
12 : 선별 투입 콘베어 13 : 투입 전환장치
14 : 공급 호퍼 20 : 건조 발효장치
21 : 상부 건조 발효탱크 21a : 하부 건조 발효탱크
22 : 보온 열선 22a : 열수 가열공간
23 : 동력장치 23a, 23b : 동력체인
24 : 상부 회전축 24a : 하부 회전축
25 : 회전축 26 : 발효 교반날개
40 : 열풍 투입라인 42 : 싸이크론
45 : 응축기 46 : 열풍 부로와
47 : 냉동기 48 : 열풍 배기라인
49 : 배출구 50 : 열수조
51 : 열수 투입라인 52 : 열수 배출라인
60 : 냉각수 탱크 75 : 인크라인 콘베어
80 : 배출 제어장치 81 : 펠렛 성형기
85 : 톤백 거치대
Claims (7)
- 유기성 폐기물을 건조 발효장치에 투입 콘베어를 통하여 공급한 후 가열과 정역 교반으로 발효 건조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하여 얻어지고 투입 콘베어(10)에 연결된 선별 투입 콘베어(12)에 설치되어 공급호퍼(14)에 정량 배출하는 투입 전환장치(13)와; 상기 공급호퍼(14)가 설치되며 동력장치(23)와 동력체인(23a)으로 연결되고 횡형으로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에서 회전축(25)에 발효 교반날개(26)를 설치한 상부 회전축(24)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이 열수 가열공간(22a)을 갖는 상부 건조 발효탱크(21)와; 상기 상부 건조 발효탱크(21)와 연결구(21b)로 연결되며 동력장치(23)와 동력체인(23b)으로 연결되고 횡형으로 설치되어 일정한 간격에서 회전축(25)에 발효 교반날개(26)를 설치한 하부 회전축(24a)으로 이루어지고 외경이 열수 가열공간(22a)을 갖는 하부 건조 발효탱크(21a)와; 상기 하부 건조 발효탱크(21a)의 선단 배출구(49)에 배출 제어장치(80)를 설치해 발효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되;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21, 21a)는 횡형으로 설치되어 열수 가열공간(22a)을 열수 투입라인(51)과 열수 배출라인(52)으로 열수조(50)에 연결하는 퇴비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21, 21a)는 동력장치(23)와 동력체인(23a, 23b)로 연결된 상, 하부 회전축(24, 24a)에 일정한 간격으로 원주방향에 설치한 교반축(25)의 선단에 발효 교반날개(26)가 설치되고,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21, 21a)의 내부를 3개의 열수 가열공간(22a)으로 구분하여 열수 투입라인(51)과 열수 배출라인(52)을 열수조(50)에 연결하는 것과;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21, 21a)는 외경에 열수 가열공간(22a)을 형성해 외부에서 60∼70℃로 가열된 열수가 공급되고, 상기 열수 가열공간(22a)의 외경에는 보온열선(22)이 나선형으로 감겨 온도를 정확하게 조절 및 보온 유지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과;
상기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21, 21a)는 45∼60℃의 건조 발효온도를 유지하는 열풍이 열풍부로와(46)와 열풍 투입라인(40)이 연결되어 열풍을 계속해서 공급받을 수 있도록하고, 열풍 배기라인(48)이 연결되어 싸이클론(42)에 열풍이 배기되도록 연결하되;
상기 열풍부로와(46)는 열풍 투입라인(40)을 통해 열풍을 공급하고, 분진포집 싸이클론(42)은 열풍 배기라인(48)이 연결되어 열풍을 흡입하는 순환 사용으로 공기의 오염을 방지하고, 제습만 수행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일부만을 흡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열풍 배기라인(48)을 싸이클론(42)과 연결하여 먼지를 제거하도록 하고, 공조기(45)에 연결되며, 상기 공조기(45)는 내부에 설치된 콘덴서가 냉각수 탱크(60)에 연결되어 응축수를 정화 배출되도록 하는 동시에 냉동기(47)와 연결되는 것이며, 냉각수 온도는 7∼15℃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한 퇴비화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유기성 폐기물을 슬러지 저장조에 저장하며 하측에서 연속 균질기에 정량 공급하는 유기성 폐기물 저장 공급단계(S1); 톱밥으로 이루어진 희석제를 저장하는 희석제 투입조의 하측에서 연속 균질기에 유기성 폐기물의 함수율 희석과 빠른 발효 건조를 위해 정량 공급하는 희석제 저장 공급단계(S2); 상기 연속 균질기에 덩어리의 유기성 폐기물과 희석재를 공급하여 균질화하는 연속 혼합단계(S3); 상부 건조 발효탱크(21)에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는 혼합물 공급단계(S4); 횡형으로 설치되는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21, 21a)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수 온도조절단계(S5); 열풍이 공급되어 건조 발효되는 상부 건조 발효단계(S6); 열풍이 공급되어 건조 발효되는 하부 건조 발효단계(S7); 건조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을 인크라인 콘베어(75)에 배출하는 배출단계(S8); 및 펠렛 성형단계(S9); 로 이루어지는 퇴비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속 혼합단계(S3)는 연속 균질기에 덩어리의 유기성 폐기물과 희석제를 공급하여 600rpm으로 혼합 및 분쇄를 통해 균질화하여 공급되도록 하는 것과;
상기 혼합물 공급단계(S4)는 연속 균질기에서 유기성 폐기물과 희석제가 균질화된 후 건조 발효장치(20)의 투입 콘베어(10)에 공급된후 선별 투입 콘베어(12)에 공급되는 것이며, 상기 선별 투입 콘베어(12)에서 투입 전환장치(13)를 통하여 공급호퍼(14)에서 상부 건조 발효탱크(21)에 1일 처리량의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는 것과;
상기 열수 온도조절단계(S5)는 횡형으로 설치되는 상, 하부 건조 발효탱크(21, 21a)의 폭을 3등분하여 외경으로 각각의 열수 가열공간(22a)을 형성한 후 상기 열수 가열공간(22a)에 열수 투입라인(51)과 열수 배출라인(52)을 열수조(50)와 연결해 열수에 의해 온도를 조절하는 것과;
상부 상부 건조 발효단계(S6)는 건조 발효탱크(21)에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은 상부 회전축(24)에 설치한 회전축(25)과 발효 교반날개(26)가 동력장치(23)를 통하여 정방향 10분, 역방향 10분, 정지상태 10분 간격으로 교반시키며 60∼80%의 수분을 함유하는 유기성 폐기물이 열풍 투입라인(40)에서 공급되는 열풍과 열수 가열공간(22a)에 열수조(50)에서 열수 투입라인(51)을 통해 공급되는 열수를 통하여 60∼70℃의 온도를 유지하며, 45∼55℃의 건조 품온을 유지하고 공조기의 냉각수 온도가 7∼10℃를 유지하도록 3일간 건조 발효되어 68∼76시간 동안 체류하며 40∼60%의 함수율을 유지하도록 호기 및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열수조(50)에 열수 투입라인(51)과 열수 배출라인(52)이 상부 건조 발효장치(21)에 연결되고, 열풍 배기라인(48)에 싸이클론(42)과 냄새 공급라인(48)으로 공조기(45)에 연결된 후 냉각수탱크(60)와 냉동기(47) 및 열풍 부로와(46)를 통하여 열풍 투입라인(40)으로 열풍이 공급되어 건조 발효되는 것과;
상부 하부 건조 발효단계(S7)는 건조 발효탱크(21)에서 발효 건조된 후 연결구(21b)를 통하여 하부 건조 발효탱크(21)에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은 하부 회전축(24a)에 설치한 회전축(25)과 발효 교반날개(26)가 동력장치(23)를 통하여 정방향 10분, 역방향 10분, 정지상태 10분 간격으로 교반시키며 40∼60%의 수분을 함유하는 유기성 폐기물이 열풍 투입라인(40)에서 공급되는 열풍과 열수 가열공간(22a)에 열수조(50)에서 열수 투입라인(51)을 통해 공급되는 열수를 통하여 60∼70℃의 온도를 유지하며, 45∼55℃의 건조 품온을 유지하고 공조기의 냉각수 온도가 7∼10℃를 유지하도록 2일간 건조 발효되어 46∼50시간 동안 체류하며 18∼20%의 함수율을 유지하도록 호기 및 혐기성 미생물의 증식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열수조(50)에 열수 투입라인(51)과 열수 배출라인(52)이 상부 건조 발효장치(21)에 연결되고, 열풍 배기라인(48)에 싸이클론(42)과 냄새 공급라인(48)으로 공조기(45)에 연결된 후 냉각수탱크(60)와 냉동기(47) 및 열풍 부로와(46)를 통하여 열풍 투입라인(40)으로 열풍이 공급되어 건조 발효되는 것과;
상기 배출단계(S8)는 하부 건조 발효탱크(21a)에서 건조 발효가 종료되면 배출 제어장치(80)가 배출구(49)를 개방하여 건조 발효된 유기성 폐기물을 인크라인 콘베어(75)에 배출하며 동시에 투입되는 것과;
상기 펠렛 성형단계(S9)는 발효 건조된 유기성 폐기물은 펠렛 성형기(81)에공급되어 펠렛으로 성형된 후 톤백 거치대(85)의 톤백에 배출되어 펠렛화 되도록 하는 것;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한 퇴비화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7885A KR102063120B1 (ko) | 2018-12-10 | 2018-12-10 |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한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7885A KR102063120B1 (ko) | 2018-12-10 | 2018-12-10 |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한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63120B1 true KR102063120B1 (ko) | 2020-02-11 |
Family
ID=69568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7885A Active KR102063120B1 (ko) | 2018-12-10 | 2018-12-10 |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한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63120B1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77583A (zh) * | 2020-04-20 | 2020-07-07 | 王涵琳 | 污泥处理发酵罐 |
KR102213606B1 (ko) * | 2020-07-08 | 2021-02-08 | 문을국 | 슬러지 감량 처리시스템 |
KR102359864B1 (ko) * | 2021-05-28 | 2022-02-10 |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 하수,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협잡물 처리장치 |
KR20230159901A (ko) | 2022-05-12 | 2023-11-23 | 백대현 | 유기성 찌꺼기의 연속 혼합 분쇄조를 통한 적정토양 건조장치와 그 방법 |
KR102645645B1 (ko) * | 2023-06-19 | 2024-03-11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비옥비월드 |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악취저감 고체연료 제조방법 |
KR20240107772A (ko) | 2022-12-30 | 2024-07-09 |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 이동형 퇴비 부숙 장치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3724A (ko) | 2002-03-13 | 2003-09-19 | 주식회사 창진 | 음식물과 가축분뇨 발효장치 및 그 방법 |
KR20030073719A (ko) | 2002-03-13 | 2003-09-19 | 주식회사 창진 | 음식물과 가축분뇨 발효장치 및 그 방법 |
KR100935446B1 (ko) * | 2009-08-13 | 2010-01-06 |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 고 함수율 유기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 방법과 그 장치 |
KR101024527B1 (ko) | 2010-06-01 | 2011-03-23 | 명인구 | 축산분뇨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고체 연료화 장치 |
KR101276399B1 (ko) * | 2012-12-17 | 2013-06-19 | (주)동보 |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장치 |
KR101363357B1 (ko) | 2012-05-22 | 2014-02-14 | 정정호 | 축분과 톱밥을 혼합한 펠릿의 제조장치 |
KR20170079894A (ko) * | 2015-12-31 | 2017-07-10 | 주식회사 금호환경 | 연속처리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2018
- 2018-12-10 KR KR1020180157885A patent/KR10206312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73724A (ko) | 2002-03-13 | 2003-09-19 | 주식회사 창진 | 음식물과 가축분뇨 발효장치 및 그 방법 |
KR20030073719A (ko) | 2002-03-13 | 2003-09-19 | 주식회사 창진 | 음식물과 가축분뇨 발효장치 및 그 방법 |
KR100935446B1 (ko) * | 2009-08-13 | 2010-01-06 | 주식회사 아이디알시스템 | 고 함수율 유기폐기물의 건조 및 탄화 방법과 그 장치 |
KR101024527B1 (ko) | 2010-06-01 | 2011-03-23 | 명인구 | 축산분뇨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축산분뇨 고체 연료화 장치 |
KR101363357B1 (ko) | 2012-05-22 | 2014-02-14 | 정정호 | 축분과 톱밥을 혼합한 펠릿의 제조장치 |
KR101276399B1 (ko) * | 2012-12-17 | 2013-06-19 | (주)동보 | 축인분을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장치 |
KR20170079894A (ko) * | 2015-12-31 | 2017-07-10 | 주식회사 금호환경 | 연속처리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377583A (zh) * | 2020-04-20 | 2020-07-07 | 王涵琳 | 污泥处理发酵罐 |
KR102213606B1 (ko) * | 2020-07-08 | 2021-02-08 | 문을국 | 슬러지 감량 처리시스템 |
KR102359864B1 (ko) * | 2021-05-28 | 2022-02-10 | 주식회사 두현이엔씨 | 하수, 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처리시설 협잡물 처리장치 |
KR20230159901A (ko) | 2022-05-12 | 2023-11-23 | 백대현 | 유기성 찌꺼기의 연속 혼합 분쇄조를 통한 적정토양 건조장치와 그 방법 |
KR20240107772A (ko) | 2022-12-30 | 2024-07-09 | 주식회사 이안이엔지 | 이동형 퇴비 부숙 장치 |
KR102645645B1 (ko) * | 2023-06-19 | 2024-03-11 |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비옥비월드 |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악취저감 고체연료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63120B1 (ko) | 유기성 폐기물을 속성 건조 발효한 퇴비화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224761B1 (ko) | 유기물 처리 장치 및 시스템 | |
CN102557368A (zh) | 一种城市污泥高温好氧堆肥处理工艺 | |
KR101359897B1 (ko) |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의 제조방법 | |
KR20130124429A (ko) | 축산분뇨를 이용한 고형연료화장치 | |
CN103964902A (zh) | 一种餐厨垃圾处理的方法 | |
JPWO2012093529A1 (ja) | 高カロリー発酵物の製造方法 | |
CN108238821A (zh) | 一种畜禽粪污节能快速堆肥装置及其应用 | |
CN106391676A (zh) | 一种餐厨垃圾干化稳定化快速处理方法及相关处理设备 | |
Zaman et al. | An innovative thermal composter to accelerate food waste decomposition at the household level | |
KR102235558B1 (ko) | 유기성 폐기물의 연료화와 부숙화 하이브리드 자원화시스템 | |
JP2003164841A (ja) | 家畜糞尿等有機性物質の発酵処理装置 | |
KR101634977B1 (ko) | 축분 연료화 시스템 | |
CN102344232A (zh) | 畜禽粪便干发酵生产沼气及有机肥的方法 | |
JP2001191060A (ja) | 発酵処理装置、セメント製造用原燃料製造設備およびセメント製造工場 | |
JP2003171191A (ja) | 家畜糞尿等有機肥料の製造法とその装置 | |
JP2001191059A (ja) | 発酵処理方法およびセメント製造方法 | |
JP2002233900A (ja) | 糞尿有効利用システムおよび事業系生鮮品の有効利用システム | |
JP2004113911A (ja) | 有機廃棄物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 |
JP2015063908A (ja) | 微生物と動物の排泄物及び植物残渣等で発電する装置及び炭化装置 | |
CN106905015A (zh) | 一种用蚯蚓处理混合基质并将其干燥的装置及其方法 | |
CN107903091A (zh) | 间歇循环罐治污与制肥消耗有机固体废弃污染物的方法 | |
KR20100049229A (ko) | 독립시설물의 유기성폐기물 다중소화처리방법 | |
KR100467940B1 (ko) | 축산분뇨와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바이오 유기질 비료제조장치 | |
KR102734971B1 (ko) | 가축분뇨를 포함 한 혼합 유기성폐자원의 에너지화 통합공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90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8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12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