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1287A - 수단자 금구 - Google Patents

수단자 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1287A
KR20150111287A KR1020150036115A KR20150036115A KR20150111287A KR 20150111287 A KR20150111287 A KR 20150111287A KR 1020150036115 A KR1020150036115 A KR 1020150036115A KR 20150036115 A KR20150036115 A KR 20150036115A KR 20150111287 A KR20150111287 A KR 20150111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tab portion
wall
main body
t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6301B1 (ko
Inventor
가즈미 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1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8Resiliently-mounted rigid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6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bend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별히 단자 금구의 판두께를 증대시키지 않더라도, 탭부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수단자 금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수단자 금구는, 통형상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탭부(40)를 구비한다. 본체부(10)중, 탭부(40)에 이어지는 전단부에는, 탭부(40)에 대하여 그 탭부(40)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과대한 외력(P1, P2)이 작용하는 경우에 굴곡의 기점이 되는 제1 지점(51)과 제2 지점(52)이, 외력(P1, P2)의 작용 방향과 대향하는 면측과 그 반대측의 면측에 각각 설치된다. 제1 지점(51)과 제2 지점(52)은 서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

Description

수단자 금구{MALE TERMINAL FITTING}
본 발명은 수단자 금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수단자 금구는, 통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전방으로 가늘고 길게 돌출된 판 형상의 탭부(tab)를 구비하고 있다. 탭부는, 상대측의 암형 단자와 접촉하여 도통 접속되는 것으로, 그 근원이 본체부의 전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만약 탭부에 판두께 방향을 따르는 과대한 외력(하중)이 작용하면, 탭부가 본체부와의 연결 위치(본체부의 전단)를 기점으로 하여 굴곡된다고 생각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9-35801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탭부에 판두께 방향을 따르는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탭부가 전단 또는 굴곡되지 않도록, 탭부와 본체부의 연결 위치에서의 단면적을 크게 취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예컨대 판두께를 증대시킴으로써 단면적을 크게 취하면, 비용이 높아지는 동시에 고중량화를 초래하여 바람직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특별히 판두께를 증대시키지 않더라도, 탭부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수단자 금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전성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여 성형되는 수단자 금구로서, 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대측의 암단자 금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판 형상의 탭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 중, 상기 탭부에 이어지는 전단부에는, 상기 탭부에 대하여 그 탭부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과대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굴곡의 기점이 되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이, 상기 외력의 작용 방향과 대향하는 면측과 그 반대측의 면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탭부의 굴곡의 기점이 되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이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기 때문에, 제1 지점과 제2 지점이 전후 방향의 동일 위치에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연결하는 절단선(전단선)을 포함한 단면적(전단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어, 탭부가 전단 또는 굴곡되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따라서, 특별히 판두께를 증대시키지 않더라도, 탭부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단자 금구의 정면에서 본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수단자 금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수단자 금구의 정면에서 본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수단자 금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수단자 금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수단자 금구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제1 지점이 배치되는 면측에는, 상기 탭부에 걸쳐서 전후 방향으로 단차없이 연속되는 스트레이트벽과, 상기 스트레이트벽에 피복되도록 배치되는 피복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피복벽의 전단이 상기 스트레이트벽과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이면, 탭부에 대하여 제1 지점을 굴곡의 내측으로 하는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스트레이트벽에 응력이 분산되어 탭부가 전단 또는 굴곡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제1 지점을 설치할 때에, 피복벽의 전단 위치를 조정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탭부의 근원에 제1 지점이 설치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높다.
상기 탭부는, 상기 본체부의 축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1 지점이 배치되는 면측으로 편심된 축선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보다 전방에서 상기 탭부에 굴곡되어 이어지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이면, 제2 지점을 굴곡의 내측으로 하는 외력에 대해서도 탭부가 전단 또는 굴곡되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실시예>
실시예의 수단자 금구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수단자 금구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도 6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펀칭한 후, 도 1∼도 4에 나타내는 형태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관해서는, 도 1 및 도 2의 우측을 전방으로 하고, 상하 방향에 관해서는, 도 1, 도 3∼도 5의 각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이 수단자 금구는, 대략 각진 통형상의 본체부(10)와, 본체부(10)의 전방으로 돌출된 2장 겹친 판 형상의 탭부(40)와, 본체부(10)의 후방에 위치하는 오픈 배럴형의 배럴부(70)와, 배럴부(70)와 본체부(1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단면이 대략 U자형인 연결부(6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수단자 금구에는, 탭부(40)로부터 배럴부(70)에 걸친 전역에, 좁은 판형의 베이스벽(11)이 설치된다.
배럴부(70)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의 단말부에 접속되는 것으로, 와이어 배럴(71)과, 와이어 배럴(71)의 후방에 위치하는 인슐레이션 배럴(72)을 갖고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 배럴(71)은, 베이스벽(1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진 한 쌍의 와이어 배럴편(73)을 가지며, 전선의 단말부에서의 피복을 제거함으로써 노출되는 심선에 양 와이어 배럴편(73)이 감기도록 하여 압착 접속된다. 인슐레이션 배럴(72)은, 베이스벽(1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진 한 쌍의 인슐레이션 배럴편(74)을 가지며, 전선의 단말부에서의 피복에 양 인슐레이션 배럴편(74)이 감기도록 하여 압착 접속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베이스벽(11)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세워진 한 쌍의 측벽(12)과, 양 측벽(12) 중의 한쪽 측벽(12A)의 상단으로부터 다른쪽 측벽(12B) 방향으로 베이스벽(11)과 대략 평행하게 돌출된 스트레이트벽(13)과, 다른쪽 측벽(12B)의 상단으로부터 한쪽 측벽(12A) 방향으로 돌출되어 스트레이트벽(13)의 상면에 피복되도록 배치되는 피복벽(20)으로 구성된다. 스트레이트벽(13)은, 전후 방향으로 거의 똑바로 연장되어 탭부(40)에 이어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0)에는, 다른쪽 측벽(12B)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스태빌라이저(14)가 설치된다. 스태빌라이저(14)는, 베이스벽(11)에 형성된 대략 U자형의 슬릿(15) 사이의 판조각 부분(16)(도 6을 참조)을 구부려 세워서 형성된다. 단자 금구가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될 때에, 스태빌라이저(14)에 의해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이 안내됨과 함께, 부정확한 자세의 단자 금구의 삽입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에는, 베이스벽(11)으로부터 양 측벽(12)의 하단부에 걸친 범위에 랜스 수용부(18)가 설치된다. 랜스 수용부(18)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벽(12)의 하단부에서 대향형으로 절곡된 한 쌍의 폐쇄편(19)에 의해 구획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쇄편(19)이 베이스벽(11) 중의 랜스 수용부(18)를 사이에 끼운 전후 양측의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베이스벽(11)에 오목하게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자 금구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면,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랜스(lance)가 랜스 수용부(18)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단자 금구가 커넥터 하우징로부터 빠지는 것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전단부에는, 탭부(40)와의 연결 위치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축소되어 좁아지는 형태의 협소부(21)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벽(13)은, 협소부(21)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고, 그 상면이 탭부(40)의 상면과 단차없이 연속하여 배치된다. 협소부(21)의 베이스벽(11)은, 상측에 위치하는 탭부(40)로 갈수록 점차 오르막 구배가 되는 사면벽(22)으로 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소부(21)의 양 측벽(12) 중의 한쪽 측벽(12A)은, 베이스벽(11)으로부터 스트레이트벽(13)에 이르기까지의 범위를 전역에 걸쳐서 덮음과 함께 탭부(40)의 후술하는 연결벽(43)에 연속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에 비해, 도 2∼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소부(21)의 양 측벽(12) 중의 다른쪽 측벽(12B)은, 베이스벽(11)으로부터 피복벽(20)의 후술하는 피복벽 본체(20A)에 걸쳐서 오르막 구배로 경사진 경사 가장자리부(23)에 의해 탭부(40)로부터 분리된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벽(20)은, 스트레이트벽(13)의 전단부로부터 후단에 걸친 범위를 전면적으로 덮는 직사각형 판형의 피복벽 본체(20A)와, 피복벽 본체(20A)의 전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설편형의 돌기(20B)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20B)의 외면(상면)에는, 전단(선단)으로 갈수록 테이퍼형으로 경사진 사면(24)이 설치된다. 돌기(20B)는, 사면(24)에 의해 전단측으로 갈수록 얇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20B)의 전단은, 협소부(21)의 사면벽(22)의 전단보다 후방으로 물러나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돌기(20B) 및 피복벽 본체(20A)는, 스트레이트벽(13)의 상면에 거의 밀착하여 접촉하고 있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탭부(40)는, 협소부(21)의 사면벽(22)의 전단에서 굴곡되어 이어지고, 그 연결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벽(41)과, 스트레이트벽(13)과 거의 동일 높이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상벽(42)과, 협소부(21)의 한쪽 측벽(12A)에 굴곡되어 이어지고, 하벽(41)의 일측 가장자리와 상벽(42)의 일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높이 방향(상하 방향)을 따르는 연결벽(43)으로 구성된다. 하벽(41)은 탭부(40)의 베이스벽(11)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벽(41)과 상벽(42)은, 전단부를 제외하고 미세한 간극(44)을 두고 대향하여 배치된다. 탭부(40)의 전단부에는, 하벽(41)의 전단부를 상측으로 굴곡시킴과 함께, 상벽(42)의 전단부를 하측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하벽(41) 및 상벽(42)의 서로의 전단들을 맞댄 형태를 이루는 안내부(45)가 설치된다. 탭부(40)는, 안내부(45)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상대측의 커넥터 하우징 및 도시하지 않은 상대측의 암단자 금구의 상자부 내로 원활하게 유입되고, 하벽(41)의 하면 및 상벽(42)의 상면에 암단자 금구의 접점부가 접촉함으로써, 암단자 금구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단자 금구에 있어서, 만약 탭부(40)에 대하여 그 탭부(40)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그리고 하벽(41) 및 상벽(42)이 서로 겹치는 방향이 되는 상하 방향 중 어느 방향을 따라서 과대한 외력(P1, P2)(하중)이 가해지면, 탭부(40)는, 본체부(10)의 전단부에서의 후술하는 제1 지점(51)과 제2 지점(52)을 기점으로 하여 굴곡되게 된다.
제1 지점(51)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트레이트벽(13)의 상면 중 피복벽(20)의 돌기(20B)의 전단이 접촉하는 위치에 있고,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20B)의 전단을 따라서 설치된다. 한편, 제2 지점(52)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협소부(21)의 사면벽(22)의 하면 중 탭부(40)의 근원이 굴곡되어 이어지는 전단 위치에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벽(41)의 하면을 따라서 설치된다. 따라서, 제1 지점(51)과 제2 지점(52)은, 서로 반대면측에 배치되게 되고, 전후 방향으로 서로 위치가 어긋나 있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지점(52)이 제1 지점(51)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예컨대, 탭부(40)에 대하여 그 탭부(40)를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외력(P1)(도 1을 참조)이 작용하면, 그 외력(P1)의 작용 방향과 대향하는 하면측에 배치된 제2 지점(52)을 굴곡의 외측으로 하고, 제2 지점(52)과 반대측의 상면측에 배치된 제1 지점(51)을 굴곡의 내측으로 하는 양태로, 탭부(40)가 굴곡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예컨대 탭부(40)에 대하여 그 탭부(40)를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밀어 내리는 외력(P2)(도 3을 참조)이 작용하면, 그 외력(P2)의 작용 방향과 대향하는 상면측에 배치된 제1 지점(51)을 굴곡의 외측으로 하고, 제1 지점(51)과 반대측의 하면측에 배치된 제2 지점(52)을 굴곡의 내측으로 하는 양태로, 탭부(40)가 굴곡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지점(51)과 제2 지점(52)을 연결하는 절단선(C)(전단선)이 상하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절단선(C)이 상하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비하여 연장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절단선(C)을 포함하는 단면적(전단 면적)도 상하 방향을 따르는 단면적보다 증대되게 되고, 그 만큼, 탭부(40)가 전단 또는 굴곡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과대한 외력(P1, P2)이 작용하지 않는 한, 탭부(40)가 전단 또는 굴곡되지 않는다.
또한, 탭부(40)를 상측으로 밀어 올리는 외력(P1)에 대하여, 스트레이트벽(13)의 전역에 응력이 분산되기 때문에, 제1 지점(51)을 굴곡의 내측으로 하는 양태로, 탭부(40)가 전단 또는 굴곡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게다가, 돌기(20B)의 피복벽 본체(20A)로부터의 돌출량을 조정함으로써, 제1 지점(51)의 위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제1 지점(51)과 제2 지점(52) 사이의 거리를 길게 취할 수 있기 때문에, 탭부(40)를 한층 더 전단 또는 굴곡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지점(52)이 제1 지점(51)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탭부(40)를 하측으로 밀어 내리는 외력(P2)에 대하여, 제2 지점(52)에 생기는 굽힘 모멘트를 작게 억제할 수 있고, 제2 지점(52)을 굴곡의 내측으로 하는 양태로, 탭부(40)가 전단 또는 굴곡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탭부(40)에 대하여 상하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부터 작용하는 외력(P1, P2)에 대해서도, 탭부(40)가 변형되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그 결과, 특별히 판두께를 증대시키지 않더라도, 탭부(40)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다음과 같은 양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탭부가 1장의 판 형상을 이루는 것이어도 좋다.
(2) 피복벽으로부터 돌기를 생략하고, 피복벽 본체의 전단이 스트레이트벽과 접촉하는 위치에 따라 제1 지점이 규정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3) 제1 지점이 제2 지점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10 : 본체부 11 : 베이스벽
13 : 스트레이트벽 20 : 피복벽
20B : 돌기 21 : 협소부
40 : 탭부 51 : 제1 지점
52 : 제2 지점 P1, P2 : 외력

Claims (3)

  1. 도전성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하여 성형되는 수단자 금구로서,
    통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대측의 암단자 금구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판 형상의 탭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 중, 상기 탭부에 이어지는 전단부에는, 상기 탭부에 대하여 그 탭부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과대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굴곡의 기점이 되는 제1 지점과 제2 지점이, 상기 외력의 작용 방향과 대향하는 면측과 그 반대측의 면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이 서로 전후 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자 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제1 지점이 배치되는 면측에는, 상기 탭부에 걸쳐서 전후 방향으로 단차없이 연속되는 스트레이트벽과, 상기 스트레이트벽에 피복되도록 배치되는 피복벽이 설치되고, 상기 제1 지점은, 상기 피복벽의 전단이 상기 스트레이트벽과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자 금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탭부는, 상기 본체부의 축중심에 대하여 상기 제1 지점이 배치되는 면측으로 편심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점은, 상기 제1 지점보다 전방에서 상기 탭부에 굴곡되어 이어지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단자 금구.
KR1020150036115A 2014-03-25 2015-03-16 수단자 금구 KR1016663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2206 2014-03-25
JP2014062206A JP6143194B2 (ja) 2014-03-25 2014-03-25 雄端子金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287A true KR20150111287A (ko) 2015-10-05
KR101666301B1 KR101666301B1 (ko) 2016-10-13

Family

ID=5419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115A KR101666301B1 (ko) 2014-03-25 2015-03-16 수단자 금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56375B2 (ko)
JP (1) JP6143194B2 (ko)
KR (1) KR1016663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96219B2 (ja) 2017-10-18 2022-01-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雄端子、雄コネクタ、治具、及び雄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JP6876255B2 (ja) 2017-11-24 2021-05-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雄端子、及びコネクタ対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5801A (ja) 1995-05-17 1997-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雄型コネクタ及びその雄型端子の姿勢矯正方法
US20020111082A1 (en) * 2001-02-13 2002-08-15 Takao Murakami Male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308903A (ja) * 2002-04-18 2003-10-31 Sumitomo Wiring Syst Ltd 雄側端子金具
JP2014225388A (ja) * 2013-05-16 2014-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雄端子金具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43711B1 (en) 1995-05-17 2001-03-2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Male connector
JP3478010B2 (ja) * 1996-07-26 2003-12-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雄側端子金具
JP3561464B2 (ja) * 2000-08-25 2004-09-02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雄型コンタクト
JP2002373720A (ja) * 2001-06-15 2002-12-26 Sumitomo Wiring Syst Ltd 雄端子金具
JP2003036910A (ja) * 2001-07-19 2003-02-07 Yazaki Corp コネクタ端子
US7361066B2 (en) * 2005-02-02 2008-04-22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and a blank therefor
JP4442450B2 (ja) * 2005-02-02 2010-03-31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2011175899A (ja) * 2010-02-25 2011-09-08 Sumitomo Wiring Syst Ltd 雄端子金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5801A (ja) 1995-05-17 1997-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雄型コネクタ及びその雄型端子の姿勢矯正方法
US20020111082A1 (en) * 2001-02-13 2002-08-15 Takao Murakami Male terminal fitt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308903A (ja) * 2002-04-18 2003-10-31 Sumitomo Wiring Syst Ltd 雄側端子金具
JP2014225388A (ja) * 2013-05-16 2014-12-04 住友電装株式会社 雄端子金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43194B2 (ja) 2017-06-07
US20150280330A1 (en) 2015-10-01
KR101666301B1 (ko) 2016-10-13
JP2015185448A (ja) 2015-10-22
US9356375B2 (en) 201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5007B2 (en) Terminal fitting
JP5375564B2 (ja) 端子金具
JP6080821B2 (ja) 端子
JP6119524B2 (ja) 端子金具
JP6780571B2 (ja) 端子金具
JP5958394B2 (ja) 端子金具
WO2012029352A1 (ja) 電線付き端子金具
JP2011181330A (ja) 端子金具
JP2014207216A (ja) 端子金具
EP2626953A1 (en) Terminal fitting
US9601855B2 (en) Female terminal
JP2016051689A (ja) コネクタ端子
JP5999510B2 (ja) 雌端子金具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160544A (ja) 雌端子金具
KR101666301B1 (ko) 수단자 금구
JP2018181631A (ja) 雌端子
JP6405235B2 (ja) 雌型電気端子、及びコネクタ
JP5720526B2 (ja) 端子金具
JP2007141769A (ja) 端子金具および端子金具の製造方法
JP2006216324A (ja) 端子金具
JP2010067432A (ja) コネクタ
JP2007194047A (ja) 端子金具
JP5343779B2 (ja) 端子金具
JP6746357B2 (ja) コネクタ端子およびコネクタ
JP2014225388A (ja) 雄端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