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8594A - 도어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도어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8594A
KR20150108594A KR1020140031576A KR20140031576A KR20150108594A KR 20150108594 A KR20150108594 A KR 20150108594A KR 1020140031576 A KR1020140031576 A KR 1020140031576A KR 20140031576 A KR20140031576 A KR 20140031576A KR 20150108594 A KR20150108594 A KR 20150108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key
door
signal
vehicl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태
유범석
조민성
최재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1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8594A/ko
Publication of KR20150108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5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 제어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차량에 제공되며, 스마트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키로 소정 신호를 송신하는 제1무선모듈과,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상기 제1무선모듈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에 소정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무선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무선모듈을 가지는 스마트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제어시스템{CONTROL SYSTEM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키를 소지한 운전자는, 키를 통해 차량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차량 내부에는 전자제어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무선모듈이 탑재되고, 키의 내부에도 무선모듈과 메모리가 제공되어, 사용자가 키의 버튼을 입력하는 경우 차량도어가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운전자가 짐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키의 버튼을 눌러야 하므로,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차량의 소정 위치에 킥센서(kick sensor)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발로 차는 행위를 하면, 이를 인식하여 도어의 개폐가 제어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나, 차량 외형에 무리를 주거나, 사용자가 차를 발로 차는 행위를 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편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키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 도어에 접근하여 소정 시간 이상 머무르는 경우 차량도어가 오픈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지만,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도 도어가 오픈될 수도 있으므로, 이 역시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마트키의 신호의 세기에 따라, 설정된 도어제어를 수행하는, 도어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 제어 시스템은, 차량에 제공되며, 스마트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키로 소정 신호를 송신하는 제1무선모듈;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상기 제1무선모듈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에 소정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무선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무선모듈을 가지는 스마트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도어 제어와 관련한 정보를 상기 제1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키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스마트키에 사용자가 설정한 도어 제어를 위한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상기 도어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 제어 시스템은, 도어에 제공되며, 스마트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키로 소정 신호를 송신하는 제1무선모듈;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제1무선모듈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를 오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소정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하는 제2무선모듈을 가지는 스마트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스마트키에 도어오픈을 위한 신호를 요청할 수 있다.
스마트키로부터 송출되는 RSSI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마트키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4는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설정메뉴의 일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어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제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제어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차량 도어를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스마트키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도어제어 시스템은, 차량(1) 및 스마트키(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차량(1)은 그 내부에 제어부(11), 무선모듈(12), 디스플레이부(13) 및 저장부(14)를 포함할 수 있고, 스마트키(2)는 저장부(21) 및 무선모듈(2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1)의 무선모듈(12)과, 스마트키(2)의 무선모듈(22)은, 소정 통신규약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차량(1)의 저장부(14)와 스마트키(2)의 저장부(21)는, 차량(1) 및 스마트키(2)에 고유한 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마트키(2)와 차량(1)간 고유한 코드를 식별하여 도어개폐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키(2)의 무선모듈(22)은, 저장부(21)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지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차량(1)의 제어부(11)는, 스마트키(2)를 소지하는 사용자가 차량에 근접하는 경우에 제공되는 기능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차량(1) 내부의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사용자가 스마트키(2)를 소지하고 근접하는 경우, 어떠한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문의할 수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제공되는 설정메뉴를 통해, 스마트키(2)를 소지하고 차량에 근접하는 경우, 어떠한 기능을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는, 차량 내부에 제공되는 것으로서, 운전자가 디스플레이부(13)를 통해 차량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제어부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는 설정메뉴의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1)는, 디스플레이부(13)에 사용자가 선택하능하게, 스마트키(2)를 소지하고 근접할 경우 수행할 수 있는 기능목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운전석 도어 오픈, 조수석 도어 오픈, 트렁크 도어 오픈, 시동, 등의 항목을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능을 상정하여 사용자가 선택가능하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4의 예에서, 사용자가 운전석 도어 오픈을 선택('√'는 선택하였음을 나타냄)한 경우를 나타내었다.
사용자는, 차량 내부에서 선택장치가 제공되는 경우, 해당 선택장치를 통해 도 4의 기능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으며, 또는 디스플레이부(13)가 터치스크린 방식인 경우, 해당 선택박스를 터치함으로써 선택할 수도 있다.
제어부(11)는, 도 4의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근접시 운전석 도어 오픈 기능을 선택한 경우, 이를 저장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1)는, 스마트키(2)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1)에 접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차량(1)에 접근하는지 여부는, 차량(1)의 무선모듈(12)이 스마트키(2)의 무선모듈(22)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11)는 해당 신호의 세기(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를 확인하여, RSSI가 미리 설정된 크기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능, 즉, 운전석 도어가 오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는, 스마트키(2)의 RSSI로부터, 사용자가 접근하는지 확인하고, RSSI가 미리 설정된 크기에 해당하는 경우, 즉, 사용자가 소정 위치에 접근한 경우에,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기능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1)는, 도 4와 같은 설정메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무선모듈(12)을 통해 스마트키(2)에 전송하고, 스마트키(2)의 해당 기능실행을 위한 신호를 저장부(21)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스마트키(2)를 소지한 사용자가 차량(1)에 접근하는 경우, 즉, 제어부(11)가 스마트키(2)로부터 수신되는 RSSI가 미리 설정된 크기에 해당하는 경우, 스마트키(2)에 기능실행을 위한 신호를 요청하고, 스마트키(2)는 해당 기능실행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여, 이를 수신한 제어부(11)가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고 차량(1)에 접근하는 경우, 제어부(11)는 스마트키(2)로부터 송출되는 RSSI를 확인하여,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미리 사용자가 설정한 바에 따라, 운전석 도어를 오픈함으로써, 사용자의 어떠한 행위를 요구하지 않고서도 손쉽게 도어를 오픈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차량 도어와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일반 도어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제어장치(3)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제어장치(3)를 일반 도어에 설치하고, 스마트키(4)를 소지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3)는, 무선모듈(32) 및 제어부(3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5)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도 5에서는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스마트키(4)는 제어장치(3)와 페어를 이룰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유의 식별번호에 의해, 사용자가 스마트키(4)에 제공되는 오픈버튼을 누르면 제어장치(3)의 제어에 의해 도어(5)가 오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위의 예와 유사하게, 제어장치(3)의 제어부(31)는, 스마트키(4)로부터 송출되는 RSSI를 확인하여,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도어(5)가 오픈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제어부(31)는, 스마트키(4)로부터 송출되는 RSSI를 확인하여,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도어(5)의 오픈신호를 송신하도록 스마트키(4)에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스마트키(4)는 오픈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제어부(31) 오픈신호에 대응하여 도어(5)를 오픈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소지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키(4)로부터 송출되는 RSSI를 확인하고,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즉, 도어(5)에 일정 거리 접근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도어를 오픈하게 함으로써, 조작이 어려운 경우에도 쉽게 도어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차량 2, 4: 스마트키
3: 제어장치 5: 도어

Claims (8)

  1. 차량에 제공되며, 스마트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키로 소정 신호를 송신하는 제1무선모듈;
    상기 차량에 제공되며, 상기 제1무선모듈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차량에 소정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무선모듈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제2무선모듈을 가지는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도어를 오픈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설정한 도어 제어와 관련한 정보를 상기 제1무선모듈을 통해 상기 스마트키에 전송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스마트키에 사용자가 설정한 도어 제어를 위한 신호를 요청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상기 도어 제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도어를 오픈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
  6. 도어에 제공되며, 스마트키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키로 소정 신호를 송신하는 제1무선모듈;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제1무선모듈이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를 오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소정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하는 제2무선모듈을 가지는 스마트키를 포함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도어를 오픈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수신한 신호의 세기(RSSI)가 소정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스마트키에 도어오픈을 위한 신호를 요청하는 도어 제어 시스템.
KR1020140031576A 2014-03-18 2014-03-18 도어 제어시스템 KR201501085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576A KR20150108594A (ko) 2014-03-18 2014-03-18 도어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576A KR20150108594A (ko) 2014-03-18 2014-03-18 도어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594A true KR20150108594A (ko) 2015-09-30

Family

ID=54246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576A KR20150108594A (ko) 2014-03-18 2014-03-18 도어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85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202A (ko) 2018-11-03 2020-05-14 세기 리미티드 카드 타입의 스마트 키를 이용한 rssi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2202A (ko) 2018-11-03 2020-05-14 세기 리미티드 카드 타입의 스마트 키를 이용한 rssi 기반의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56263A (ko) 2018-11-13 2020-05-22 세기 리미티드 다중 통신부를 포함하는 카드 타입의 리모컨, 제어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9840B2 (en) Vehicle manipulation device, vehicle system, vehicle manipul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6253120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CN107054294B (zh) 用于按需禁用被动进入的系统和方法
JP2014148842A (ja) 車両扉開閉装置
CN105715441B (zh) 引擎远程启动系统
US20150314756A1 (en) Passive access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corresponding method
US20160048249A1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for handsfree controlling of vehicle components and method therefor
JP2014148791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CN109695383B (zh) 钥匙单元、控制系统、控制方法和具有存储在其中的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4234667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
JP6400963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4141804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50108594A (ko) 도어 제어시스템
US10424193B1 (en) Locking mechanisms for enabling or disabling the operations of trainable transceivers
JP2007085141A (ja) 車両用遠隔操作装置
US10696273B2 (en) Method for operating at least one function of a motor vehicle by means of a portable key device and key device
JP6424098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JP6148027B2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6108882A (ja) ドアロックシステム
JP2014152510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KR101469786B1 (ko) 차량의 핸즈프리 킥 트렁크 오픈 시스템
KR101428884B1 (ko) 포브 키를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JP6905814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2019210726A (ja) 制御システム
WO2018194877A1 (en) Locking mechanisms for enabling or disabling the operations of trainable transcei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