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3685A -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3685A
KR20150103685A KR1020157018870A KR20157018870A KR20150103685A KR 20150103685 A KR20150103685 A KR 20150103685A KR 1020157018870 A KR1020157018870 A KR 1020157018870A KR 20157018870 A KR20157018870 A KR 20157018870A KR 20150103685 A KR20150103685 A KR 20150103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locking
gear
ring gear
sw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8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필
민경모
Original Assignee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filed Critical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15010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reinforcing trenches or ditches; with arrangements for making or assembling conduits or for laying conduits or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0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digging trenches or ditches
    • E02F5/14Component parts for trench excavators, e.g. indicating devices travelling gear chassis, supports, skids
    • E02F5/145Component parts for trench excavators, e.g. indicating devices travelling gear chassis, supports, skids control and 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10Supports for movable superstructures mounted on travelling or walking gears or on other superstructures
    • E02F9/12Slewing or traversing gears
    • E02F9/121Turntables, i.e. structure rotatable about 360°
    • E02F9/125Loc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636Detents
    • Y10T74/20654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Shovels (AREA)

Abstract

운전자가 캐빈 내부에서 스윙장치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의 로킹 여부를 확인하거나 이를 조작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에 있어서,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에 스윙장치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 선회체;
상기 스윙장치를 이루는 스윙장치용 링기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이와 이맞물림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어 실린더로드에 고정되는 로킹기어를 인게이지 또는 디스인게이지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으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와 로킹기어의 이맞물림에 의한 셋팅완료 여부를 검출하는 얼라인먼트 셋팅 확인 센서;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으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로킹기어가 인게이지되는 스윙 락 상태 또는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로부터 로킹기어가 디스인게이지되는 스윙 언락 상태를 검출하는 스윙 락/언락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SWING LOCK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캐빈 내부에서 스윙장치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의 로킹 여부(swing lock 또는 swing unlock 상태)를 확인하거나 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 및 스윙이 가능한 굴삭기를 이용하여 중량체의 송유관 등을 매설하거나 또는 송유관 등을 인양하여 매설 장소로 운반하게 되는 파이프 레잉(pipe laying) 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송유관 등을 와이어 로프에 의해 인양한 상태에서 주행하는 도중에, 운전자가 스윙장치 오조작으로 인해 상부 선회체를 급 선회시킬 경우, 관성에 의해 인양물이 장비의 선회 방향으로 흔들리게 된다. 이로 인해 장비와 송유관이 접촉되는 사고가 발생되거나, 와이어 로프로부터 인양물이 이탈되는 등의 심각한 안전사고 발생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한 스윙장치 오조작으로 인해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선회체를 선회시키는 스윙장치를 구성하는 링기어에 대해, 별도의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ring gear)를 체결함에 따라, 스윙장치 오조작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반면에,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를 별도로 체결하여 스윙장치를 로킹시킬 경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와 이와 대응되는 스윙장치측 링기어가 인게이지된 상호 얼라인먼트(alignment)를 맞추기 위해서는 운전자를 제외한 별도의 작업자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를 스윙장치에 체결하여 스윙장치를 로킹시킬 경우에도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가 스윙장치측 링기어에 완전하게 로킹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의 강도가 약할 경우에, 스윙장치가 로킹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오조작으로 인해 무리하게 스윙시킬 경우 스윙 압력에 의해 링기어가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운전자가 캐빈 내부에서 스윙장치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의 로킹 여부를 확인한 후 스윙장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굴삭기를 이용하여 파이프 레잉 작업을 하는 경우에, 운전자의 스윙장치 오조작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에 스윙장치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 선회체;
상기 스윙장치를 이루는 스윙장치용 링기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이와 이맞물림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어 실린더로드에 고정되는 로킹기어를 인게이지 또는 디스인게이지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으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와 로킹기어의 이맞물림에 의한 셋팅완료 여부를 검출하는 얼라인먼트 셋팅 확인 센서;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으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로킹기어가 인게이지되는 스윙 락 상태 또는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로부터 로킹기어가 디스인게이지되는 스윙 언락 상태를 검출하는 스윙 락/언락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액츄에이터로서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전자가 스윙 락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로킹기어를 인게이지시킬 경우, 인게이지된 여부를 캐빈 내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며 상기 스윙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운전자가 스윙 언락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로부터 로킹기어를 디스인게이지시킬 경우, 디스인게이지된 여부를 캐빈 내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며 상기 스윙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얼라인먼트 셋팅 확인 센서는
상기 로킹기어를 중심으로 이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으로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와 로킹기어의 이맞물림에 의한 셋팅완료 여부를 각각 검출하는 제1,2센서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윙 락/언락 검출센서는
상기 액츄에이터 신장구동으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로킹기어가 인게이지되는 스윙 락 상태를 검출하는 제3센서와,
상기 액츄에이터 수축구동으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로부터 로킹기어가 디스인게이지되는 스윙 언락 상태를 검출하는 제4센서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로킹기어가 인게이지되거나 또는 디스인게이지된 여부를 캐빈 내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수단으로
캐빈 내에 설치되는 지시램프, 알람 또는 음성 메시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운전자가 캐빈 내부에서 스윙장치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의 로킹 여부를 표시수단을 통해 확인한 후 스윙장치를 조작하므로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굴삭기를 이용하여 파이프 레잉 작업시 스윙장치 오조작으로 관성에 의해 흔들리는 송유관의 접촉 등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에서,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와 로킹기어의 인게이지 또는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에서,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대한 로킹기어의 이맞물림으로 인한 스윙 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에서,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대한 로킹기어의 이맞물림 해제로 인한 스윙 언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참조 부호의 설명〉
10;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
11; 로킹기어
12; 액츄에이터
13; 제1센서
14; 제2센서
15; 제3센서
16; 제4센서
17; 스윙 락 스위치
18; 스윙 언락 스위치
19; 제어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에서,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와 로킹기어의 인게이지 또는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에서,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대한 로킹기어의 이맞물림으로 인한 스윙 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에서,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대한 로킹기어의 이맞물림 해제로 인한 스윙 언 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는,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에 스윙장치(스윙모터와, 스윙모터에 축이음연결되는 피니언기어, 피니언기어와 이맞물림되는 링기어를 포함함)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 선회체;
상기 스윙장치를 이루는 스윙장치용 링기어(기어 이빨이 생략됨)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외륜으로 형성됨);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에 이와 이맞물림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어 실린더로드에 고정되는 로킹기어(11)(도 2,3에 빗금으로 표기됨)를 인게이지(engage) 또는 디스인게이지(disengage)시키는 액츄에이터(12);
상기 액츄에이터(12) 구동으로 인해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의 이맞물림에 의한 셋팅완료 여부를 검출하는 얼라인먼트 셋팅 확인 센서;
상기 액츄에이터(12) 구동으로 인해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에 로킹기어(11)가 인게이지되는 스윙 락(swing lock) 상태 또는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로부터 로킹기어(11)가 디스인게이지되는 스윙 언락(swing unlock) 상태를 검출하는 스윙 락/언락 검출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2)로서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
운전자가 스윙 락 스위치(17)를 조작하여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에 로킹기어(11)를 인게이지시킬 경우, 인게이지된 여부를 캐빈 내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며 상기 스윙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고, 운전자가 스윙 언락 스위치(18)를 조작하여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로부터 로킹기어(11)를 디스인게이지시킬 경우, 디스인게이지된 여부를 캐빈(cabin) 내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며 상기 스윙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on)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얼라인먼트 셋팅 확인 센서는
상기 로킹기어(11)를 중심으로 이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12)의 구동으로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의 이맞물림(인게이지 또는 디스인게이지됨을 말함)에 의한 셋팅완료 여부를 각각 검출하는 제1,2센서(13,14)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스윙 락/언락 검출센서는
상기 액츄에이터(12)의 신장구동으로 인해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에 로킹기어(11)가 인게이지되는 스윙 락 상태를 검출하는 제3센서(15)와,
상기 액츄에이터(12)의 수축구동으로 인해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로부터 로킹기어(11)가 디스인게이지되는 스윙 언락 상태를 검출하는 제4센서(16)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에 로킹기어(11)가 인게이지되거나 또는 디스인게이지된 여부를 캐빈 내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수단으로
캐빈 내에 설치되는 지시램프(21)(indicator lamp), 알람 또는 음성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2는 주행장치(주행모터, 트랙 등을 포함)가 장착되며, 스윙장치에 의해 상부 선회체가 선회 가능하게 탑재되는 하부 프레임(lower frame)이다.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캐빈 내의 운전자에 의해 상기 스윙 락 스위치(17)를 조작할 경우 이의 조작신호가 제어부(19)에 출력된다. 상기 제어부(1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밸브(유압펌프(미 도시됨)로부터 액츄에이터(12)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임)를 절환시킴에 따라,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액츄에이터(12)를 신장구동시켜 로킹기어(11)를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에 인게이지시킨다. 이때 액츄에이터(12)의 구동으로 인해 로킹기어(11)가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에 인게이지될 경우, 상기 제3센서(15)에 의해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가 인게이지된 스윙 락(swing lock) 상태를 검출하게 되며, 검출신호는 제어부(19)에 출력된다.
또한, 상기 로킹기어(11)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설치된 상기 얼라인먼트 셋팅여부를 확인하는 제1,2센서(13,14)에 의해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의 얼라인먼트 상태를 검출하게 되며, 검출신호는 제어부(19)에 출력된다. 이로 인해 제어부(19)는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가 이맞물림 완료된 경우,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의 얼라인먼트 셋팅 완료상태를 캐빈 내의 운전자에게 지시램프(21)(일 예로서 led가 사용될 수 있음)의 점등을 통해 알려주게 된다. 또한 제어부(19)는 스윙장치의 스윙 락 및 스윙 언락용 솔레노이드밸브(20)(전기적 제어신호 입력에 따라 절환되어 스윙장치의 스윙모터에 공급되는 작동유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밸브임)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해 주행장치용 조작레버(미 도시됨)를 조작하여 장비를 전,후진시켜 주행할 수 있다. 반면에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가 인게이지되어 로킹된 상태이므로, 스윙장치의 스윙모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스윙 락 및 스윙 언락용 솔레노이드밸브(20)에 제어부(19)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차단되어 장비를 선회시킬 수 없게 된다. 즉 상기 액츄에이터(12)의 구동으로 인해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로부터 로킹기어(11)를 디스인게이지시켜 언락 상태로 전환시킬 경우에도, 상기 제4센서(16)에 의해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에 대한 로킹기어(11)의 언락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신호가 제어부(19)에 출력되지않을 경우에는,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의 락이 해제되지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운전자에 의해 상부 선회체를 선회시키기 위해 스윙장치용 조작레버(미 도시됨)를 조작하는 경우 스윙장치는 작동되지않아 상부 선회체는 선회되지 않게 된다.
한편, 운전자에 의해 상기 스윙 언락 스위치(18)를 조작하는 경우 조작신호가 제어부(19)에 출력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어부(19)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액츄에이터(12)를 수축구동시켜 로킹기어(11)를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로부터 디스인게이지시킨다. 이때 액츄에이터(12)의 수축구동으로 인해 로킹기어(11)가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로부터 디스인게이지될 경우, 상기 제4센서(16)에 의해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가 디스인게이지된 스윙 언락(swing unlock) 상태를 검출하게 되며, 검출신호는 제어부(19)에 출력된다.
또한, 상기 얼라인먼트 셋팅여부를 확인하는 제1,2센서(13,14)에 의해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의 디스인게이지 상태를 검출하게 되며, 검출신호는 제어부(19)에 출력된다. 이로 인해 제어부(19)는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가 디스인게이지된 상태로 판단하게 되며,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의 디스인게이지된 상태를 캐빈 내의 운전자에게 지시램프(21)의 소등을 통해 알려주게 된다. 또한 제어부(19)는 스윙장치의 스윙 락 및 스윙 언락용 솔레노이드밸브(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on) 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에 의해 주행장치용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장비를 주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윙장치의 스윙모터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스윙 락 및 스윙 언락용 솔레노이드밸브(20)에 전원이 인가되어 절환시킬 경우, 유압펌프로부터 스윙모터에 공급되는 작동유에 의해 스윙장치를 구동시켜 상부 선회체를 선회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빈 내부에서 운전자는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10)와 로킹기어(11)의 인게이지 또는 디스인게이지되는 얼라인먼트 상태를 지시램프 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파이프 레잉 작업을 하는 경우에, 운전자 부주의로 인해 스윙장치를 오조작하는 경우에도 장비는 선회되지않게 되므로 중량체의 송유관 등의 움직임으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캐빈 내부에서 스윙장치를 로킹시키는 로킹장치의 로킹 여부를 표시수단을 통해 확인한 후 스윙장치를 조작하므로 운전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레잉 작업시 스윙장치 오조작으로 인해 송유관의 접촉 등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하부 주행체;
    상기 하부 주행체에 스윙장치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탑재되는 상부 선회체;
    상기 스윙장치를 이루는 스윙장치용 링기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이와 이맞물림되도록 대응되게 형성되어 실린더로드에 고정되는 로킹기어를 인게이지 또는 디스인게이지시키는 액츄에이터;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으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와 로킹기어의 이맞물림에 의한 셋팅완료 여부를 검출하는 얼라인먼트 셋팅 확인 센서;
    상기 액츄에이터 구동으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로킹기어가 인게이지되는 스윙 락 상태 또는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로부터 로킹기어가 디스인게이지되는 스윙 언락 상태를 검출하는 스윙 락/언락 검출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로서 유압 실린더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운전자가 스윙 락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로킹기어를 인게이지시킬 경우, 인게이지된 여부를 캐빈 내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며 상기 스윙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 상태로 전환하고, 운전자가 스윙 언락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로부터 로킹기어를 디스인게이지시킬 경우, 디스인게이지된 여부를 캐빈 내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며 상기 스윙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온 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먼트 셋팅 확인 센서는
    상기 로킹기어를 중심으로 이의 좌우측에 대칭으로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으로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와 로킹기어의 이맞물림에 의한 셋팅완료 여부를 각각 검출하는 제1,2센서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락/언락 검출센서는
    상기 액츄에이터 신장구동으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로킹기어가 인게이지되는 스윙 락 상태를 검출하는 제3센서와,
    상기 액츄에이터 수축구동으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로부터 로킹기어가 디스인게이지되는 스윙 언락 상태를 검출하는 제4센서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장치 로킹용 링기어에 로킹기어가 인게이지되거나 또는 디스인게이지된 여부를 캐빈 내의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수단으로
    캐빈 내에 설치되는 지시램프, 알람 또는 음성 메시지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KR1020157018870A 2013-01-21 2013-01-21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KR20150103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0482 WO2014112672A1 (ko) 2013-01-21 2013-01-21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685A true KR20150103685A (ko) 2015-09-11

Family

ID=5120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8870A KR20150103685A (ko) 2013-01-21 2013-01-21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50354168A1 (ko)
KR (1) KR20150103685A (ko)
CN (1) CN104968864A (ko)
BR (1) BR112015016770A2 (ko)
CA (1) CA2897294A1 (ko)
DE (1) DE112013006465T5 (ko)
GB (1) GB2525333A (ko)
WO (1) WO20141126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9145A (en) * 2016-04-08 2017-10-11 Caterpillar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achine
JP7488724B2 (ja) 2020-08-26 2024-05-22 日本車輌製造株式会社 杭打機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06595A (en) * 1967-04-13 1968-10-22 Giddings & Lewis Index unit
KR0115367Y1 (ko) * 1994-07-16 1998-04-17 석진철 중장비 선회체의 위치 감지장치
DE19813521A1 (de) * 1998-03-26 1999-09-30 Bauer Spezialtiefbau Drehkranzbremse
SE515691C2 (sv) * 1999-04-20 2001-09-24 Volvo Personvagnar Ab Spärranordning för ett fordon
JP5162782B2 (ja) * 2000-08-07 2013-03-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表示装置
JP2007176650A (ja) * 2005-12-28 2007-07-12 Furukawa Unic Corp 旋回範囲制限装置
JP5401251B2 (ja) * 2009-10-07 2014-01-2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KR20110075554A (ko) * 2009-12-28 2011-07-06 볼보 컨스트럭션 이큅먼트 에이비 카메라를 이용한 선회장치 락기어 검출장치가 구비되는 건설장비
JP5226733B2 (ja) * 2010-05-20 2013-07-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およびハイブリッド建設機械の蓄電器容量計測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01512016D0 (en) 2015-08-19
GB2525333A (en) 2015-10-21
DE112013006465T5 (de) 2015-10-08
US20150354168A1 (en) 2015-12-10
CN104968864A (zh) 2015-10-07
WO2014112672A1 (ko) 2014-07-24
CA2897294A1 (en) 2014-07-24
BR112015016770A2 (pt) 2017-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9856B2 (ja) 産業車両の制御装置及び該装置を搭載した産業車両
KR101654117B1 (ko)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의 제어 방법
KR20140058692A (ko)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의 제어 방법
EP2678262A1 (en) Mobile crane
US20150176254A1 (en) Disarm device
KR20150103685A (ko) 건설기계의 스윙 로킹장치
JP5013715B2 (ja) 遠隔操作用送信機の置き忘れ警報装置
JP2013076381A (ja) 作業機械
US20160189448A1 (en) Status Information Display Device for Wheeled Work Vehicle, Maintenance-Screen Display Method for Wheeled Work Vehicle, and Maintenance-Screen Display Program for Wheeled Work Vehicle
KR101555539B1 (ko) 건설기계의 엔진 제어방법
JP4923534B2 (ja) 作業機械の旋回制御装置
JP2015074052A (ja) 双腕作業機
JP2018088876A (ja) トラクタ
US10415656B2 (en) Work-machine erroneous forward/backward travelling operation notifying device
JP5125429B2 (ja) 作業機械の干渉防止装置
CN104314134B (zh) 工程机械回转锁止装置及锁止方法
JP6978462B2 (ja) 建設機械
JP2872094B2 (ja) クレ−ンの旋回範囲制限装置
KR101991153B1 (ko)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JP2007217071A (ja) 昇降装置
JP2017007377A (ja) 作業車両のpto制御装置
CN104609344B (zh) 一种新型移动升降平台的检测控制系统
JP2020190094A (ja) 作業機械
KR101568677B1 (ko) 고소작업차에서 온도변화심한 환경용 하중감지장치
JP2013023105A (ja) 作業車両のアキュムレータの異常検出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