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153B1 -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153B1
KR101991153B1 KR1020160098428A KR20160098428A KR101991153B1 KR 101991153 B1 KR101991153 B1 KR 101991153B1 KR 1020160098428 A KR1020160098428 A KR 1020160098428A KR 20160098428 A KR20160098428 A KR 20160098428A KR 101991153 B1 KR101991153 B1 KR 101991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equipment
warning
unit
m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8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4950A (ko
Inventor
김필주
Original Assignee
김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필주 filed Critical 김필주
Priority to KR1020160098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1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4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4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는 주변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제1신호와 설정된 근접한계거리에 도달을 감지하는 제2신호를 출력하는 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건설장비의 운전자 및 외부 작업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고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1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경고부로 경고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2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건설장비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1차 경고로 경고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하여 미리 사고를 방지하고, 1차 경고음 발생한 뒤에 설정된 근접한계거리에 도달하면 장비를 강제로 멈추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STRICTURE PREVENTION DEVICE FOR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 가동 시 발생할 수 있는 협착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장비의 작동간에 센서를 구비하여 건설 장비의 가동 시 협착을 방지하고, 모드에 따라 건설장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 사용되는 중장비는 일반 차량에 비해 그 규모가 커서, 중장비 등이 후방작업을 위해 후진할 경우 사각지대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따라서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못하여 작업중에 주변의 장애물이나 사람에게 충돌하는 안전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중장비로 인한 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는 대부분 중대한 산업재해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재해를 사전에 방지할 필요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일종인 굴삭기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기 위해 사용되는 토목 기계로서, 택지조성사업, 도로 및 하수도 공사, 하천개조 및 차수공사, 터널 및 지하철 공사, 토석 채취작업, 임야개간공사, 토사 적재작업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다.
특히 굴삭기는 붐에 설치되는 버킷 등을 구비하여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크롤라형의 경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프로켓과 궤도를 구비하여 굴삭기를 주행시키게 된다.
이러한 굴삭기는 전,후차축에 연결된 트랜스 미션으로 압유를 공급하여 속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변속전환밸브를 포함하여, 필요한 경우 변속전환밸브를 제어함으로써 굴삭기의 진행 속도를 고속 또는 저속으로 변환하여 원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굴삭기의 작업 특성 상 좌우 회전과 후진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협착사고가 많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부 협착 방지봉을 달아 사용하고 있으나, 실효성이 없어 사고를 방지하기에는 미흡하다,
또한, 굴삭기의 경우 작업공간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장시간 굴삭기를 주행할 때 자칫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작업 장치가 움직이게 되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1330342호(2013.11.15)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카메라와 센서를 이용하여 장비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하는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보시 근접한계에 도달하면 장비를 자동으로 멈추게 하는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는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행 시 건설장비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하는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는 주변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제1신호와 설정된 근접한계거리에 도달을 감지하는 제2신호를 출력하는 둘 이상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와, 상기 건설장비의 운전자 및 외부 작업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고부, 및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1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경고부로 경고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2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건설장비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자동모드, 수동모드 또는 주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전환버튼과 상기 전환버튼의 모드를 표시하며 상기 건설장비 내외에 설치되는 경광등을 더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버튼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상기 경광등에 표시하고, 자동모드에서 상기 건설장비를 가동 중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2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건설장비의 가동을 중지함과 동시에 주행을 금지시키고 상기 전환버튼의 수동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건설장비가 주행되게 한다.
또한, 제어부는 상기 건설장비가 주행중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광등을 수동모드로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건설장비의 가동을 강제정지시키고, 경광등은 자동모드는 녹색으로 수동모드는 적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건설장비의 운전자, 감독관 및 외부 작업자가 내외부에서도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판별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건설장비는 상기 건설장비의 변속기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절환하여 주행 속도를 변경시키는 전환밸브와 상기 건설장비의 작업을 위한 압유가 공급되는 유압라인을 차단하는 차단밸브를 포함하게 구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설장비가 주행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차단밸브를 동작시켜 유압라인을 차단하고, 상기 전환밸브를 통하여 주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장치에 의하면, 건설장비가 작동하는 작동간에 카메라와 센서를 부착하고, 센서 작동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손쉽게 경고 상황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미연에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장치에 의하면, 1차 경고음 발생한 뒤에 설정된 근접거리에 도달하면 장비를 강제로 멈추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장치에 의하면,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경광등으로 건설장비의 내외에 설치되어 표시하기 때문에 운전자, 외부 작업자뿐만 아니라 관제센터에서도 해당 건설장비의 운행 상태를 점검할 수 있어 운전자의 부주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장치에 의하면, 주행 시 건설장비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운행 중 건설장비의 조작을 방지할 수 있어,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설장비 협착 방지 장치의 주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운전 장치와 관련된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센서 동작시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장치"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설장비 협착 방지 장치의 주요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설장비 협착 방지 장치는 건설장비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하도록 하기 위하여 모드에 따라 선택하여 운전할 수 있게 하고, 주행 시는 건설장비의 작동을 중지하도록 하며, 1차 경고 후 근접한계에 도달하면 장비를 자동으로 멈추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장치는 건설장비의 작동부(130)와 작동부(130)를 구동하기 위하여 유압으로 구동되는 구동부(140)와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작업 목적에 맞도록 작동부(130)가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0), 건설장비를 구동하기 위한 각 제어키가 마련되는 입력부(180)를 포함한다.
또한, 자동모드와 수동모드 또는 주행모드 중 어느 하나의 건설장비 모드를 선택하는 전환버튼(190)과, 전환버튼(190)의 선택된 모드를 표시하도록 건설장비의 운전자, 감독관 및 외부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건설장비의 내외에 설치되는 경광등(150), 각 건설장비의 작동부(130)에 구비되는 센서부(170)와 센서부(170)의 감지신호에 따라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부(120), 그리고 건설장비의 주행을 제어하는 주행부(160)를 더 포함한다.
센서부(170)는 가동중인 건설장비의 주변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제1신호와 설정된 근접한계거리에 도달을 감지하는 제2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하고, 각 건설장비의 작동부(130) 즉, 소정 작업을 위하여 가동되는 부위에 센서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굴삭기의 경우는 암실린더, 버킷, 트랙슈, 바디의 전후방 모서리 드에 설치할 수 있고, 도저(Dozer)의 경우는 트랙터 전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작업 반경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 대상에는 모두 센서를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센서부는 감지 거리 내에 물체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제1신호를 출력하고, 물체가 근접한계거리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2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근접한계거리는 각 건설장비에 따라 더 이상 물체가 접근할 경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한계거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센서부(170)는 감지거리 내에 있는 물체의 유무를 감지하는 기능과 근접한계거리를 감지하고, 해당 작동부의 작동여부를 감시하는 센서들로 구성된다.
이하 설명에서는 주로 물체의 감지유무와 근접거리에 따른 경고방법을 설명하나,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더라도 상기 센서부들은 설치되는 작동부의 정상동작 유무도 판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경고부(120)는 건설장비의 운전자 및 외부 작업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도록 표시부(121)와 사운드부(122)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부(170)의 각 센서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카메라부(123)로 구성한다.
표시부(121)는 경고를 발할 때 점멸시키거나 또는 경고라는 단어를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운전자 및 외부 작업자가 경고표시를 알 수 있도록 하고, 사운드부(122)는 경고음 즉 사이렌소리나 경고라는 메세지를 발하여 운전자 및 외부 작업자가 청각적으로 경고음을 알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제어부(110)는 센서부(170)로부터 제1신호가 입력되면 경고부(120)로 경고하고, 센서부(170)로부터 제2신호가 입력되면 건설장비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10)는 센서부(170)로부터 제1신호가 입력되면 표시부(121)와 사운드부(122)를 제어하여 운전자 및 외부 작업자가 시청각적으로 경고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제2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140)의 구동을 정지시켜 작동부(130)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전환버튼(190)은 자동모드, 수동모드 또는 주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버튼으로 구성하고, 경광등(150)은 전환버튼(190)의 모드를 표시하되 건설장비 내외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특히 경광등(150)은 건설장비의 현재를 모드를 내외에서 알 수 있게 하여, 운전자 및 외부 작업자로 하여금 주의를 요하거나 또는 관리감독관이 외부에서 운행중인 건설장비의 경광등(150)을 보고 해당 건설장비의 모드를 확인할 수 있게 하여 혹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리 방지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자동모드에서 주행을 한다거나 작업 중에 수동모드로 작업한다거나 자동모드나 수동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장거리 이동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외부에서도 경고를 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하여 경광등(150)은 내외부에서 식별이 용이하도록 자동모드는 녹색으로 수동모드는 적색으로 표시하고, 주행모드는 오프로 표시하면, 멀리있어도 경광등의 색만 보아도 해당 건설장비의 현재 모드를 쉽게 판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자동모드는 해당 건설장비가 작동중일 때는 센서부(170)의 신호를 입력받아 상술한 바와 같이 건설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수동모드는 자동모드 동작 중 센서가 동작하여 건설장비의 작동이 중지된 경우 원인이 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해당 건설장비를 수리하기 위하여 이동하는 모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행모드는 모든 장비를 원위치시킨 다음 장거리 이동을 위하여 도로를 주행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전환버튼(190)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경광등(150)에 표시하고, 자동모드에서 건설장비를 가동 중 센서부(170)로부터 제2신호가 입력되면 건설장비의 가동을 중지함과 동시에 주행을 금지시키고 전환버튼(190)이 수동모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면 건설장비가 주행되게 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110)는 건설장비가 주행중으로 판단되면, 경광등(150)을 수동모드로 표시함과 동시에 건설장비의 가동을 강제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카메라부(123)는 각 센서의 인근에 카메라를 각각 설치하여 설치된 센서가 동작할 때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해당 센서 부근의 영상을 촬영하여 표시부(121)에 표시하도록 한다.
따라서 각 카메라는 고유식별번호로 구별되게 하거나, 센서의 동작 신호와 연동되어 해당 센서로부터 제1신호 및 제2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신호에 트리거되어 인접한 카메라가 자동으로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부(123)의 각 카메라의 촬영방향을 결정할 때는 해당 작동부의 작동방향을 고려하여 설치하여야 해당 센서가 작동된 원인을 운전자가 영상을 보면서 경고원인을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경고부(120)에서 경고가 발생하거나 또는 카메라 촬영 영상 그리고 전환버튼의 선택된 모드 그리고 해당 건설장비의 운행상태를 관제센터(200)와 무선으로 통신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때 건설장비가 여러 대일 때는 각 건설장비를 식별할 수 있도록 고유식별번호로 운행상태를 전송하게 하고, 관제센서(200)에서도 해당 건설장비를 호출하여 각종 운행 상태를 점검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건설장비의 운전자가 인식하지 못한 문제로 해당 건설장비의 운행을 정지시키고자 할 때 관제센터(200)에서 해당 건설장비의 제어부(110)를 통하여 건설장비의 주행과 운전 등을 정지하라는 신호를 보낼 수가 있고, 제어부(110)는 운행과 작동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이때도, 제어부(110)는 표시부(121)와 사운드부(122)를 통하여 관제센터에서 운행금지시켰다는 메세지를 표시하여 운전자가 현 상황을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건설장비와 관제센터와의 통신 방법과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주행부(160)는 건설장비의 주행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며,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170)로부터 제2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에서 해당 건설장비의 작동을 중지하고, 안전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주행하는 기능과, 작업을 끝내고 복귀하거나 또는 장거리 이동시 건설장비의 주행을 제어하도록 동작된다.
도 2의 본 발명에서 운전장치와 관련된 구성을 예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해당 건설장비의 작업부하를 검출하는 작업압력센서(161)와 주행부하를 검출하는 주행압력센서(162), 해당 건설장비의 변속기로 공급되는 압유의 유로를 절환하여 주행 속도를 변경시키는 전환밸브(163)와 해당 건설장비의 작업을 위한 압유가 공급되는 유압라인을 차단하는 차단밸브(164)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밸브(164)는 구동부(140)에 공급되는 유압을 차단시키도록 동작한다.
따라서, 제어부(110)는 전환버튼(190)이 수동모드로 설정된 경우에 작업압력센서(162)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부(120)로 경고함과 동시에 경광등(150)을 점멸하여 현재의 모드가 수동모드임을 표시하게 할 수 있다.
즉, 해당 건설장비의 운행 상태에 따라서도 제어부(110)는 경고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모드는 작동부(130)를 정지시키고 경고원인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거리 이동하는 상태인 데 작업압력센서(162)가 동작한다는 것은 의도치않게 작동부(130)가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중으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10)는 전환버튼(190)이 자동모드로 설정된 경우, 주행압력센서(161)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부(120)로 경고함과 동시에 경광등(150)을 점멸하여 현재의 모드가 자동모드임을 표시하여 운전자, 외부 작업자나 감독자 또는 관제센터에서 알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전환버튼(190)이 주행모드로 설정되거나 주행으로 판단되면, 차단밸브(164)를 동작시켜 유압라인을 차단하고, 전환밸브(163)를 통하여 주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
또한, 건설장비의 이동 중에 변속 레버를 실수로 작동시키게 되면 운전 장비를 오작동시켜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건설장비의 도로 주행 중에는 정속주행이 되도록 제어하여 사고를 방지시킴이 바람직하며, 전환버튼(190)에서 주행모드가 선택되면 사용하던 건설장비를 초기 상태로 이동시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작동시키게 된다.
상술한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건설장비의 협착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를 부착한 건설장비가 작동 중 센서부(170)의 각 센서가 동작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110).
단계 S110에서 어느 하나의 센서가 동작된 것으로 판단하면, 동작된 센서의 위치를 파악하여 경고부(120)로 경고를 함과 동시에 카메라부(123)를 통하여 해당 센서의 주위 영상을 표시부(121)에 표시하도록 한다(S111~S112).
운전자는 표시부(121)에 표시된 영상을 보면서 경고원인을 해소하고, 단계S 113에서 센서가 오프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단계 S113에서 센서가 오프 즉 경고 원인이 해소된 것으로 판단되어 센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는 경고음을 차단하고(S114), 단계 S113에서 센서가 오프되지 않은 상태에서 근접한계거리에 도달하여 센서로부터 제2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면(S115), 제어부(110)는 차단밸브(164)로 유압을 해제하고 구동부(140)가 구동되지 않게 제어하여 결국 작동부(130)가 정지하도록 제어한다(S116).
결국 센서부(170)로부터 제2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해당 건설장비의 모든 동작을 중지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전환버튼(190)의 입력만 유효하게 하고 장비의 작동을 중지시키기 때문에 이후는 전환버튼(190)의 모드 선택에 따라 안전한 장소로 이동만 가능하게 제어한다.
도면을 참고하여 정지상태에서 이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센서 동작시 이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단계 S116에서 건설장비의 모든 작동이 중지된 상태에서 전환버튼(190)이 수동모드로 전환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120).
단계 S120에서 수동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정지상태를 유지하면 되고, 수동모드로 전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경광등(150)에 수동모드를 표시하고(S121), 주행부(160)의 조작을 통하여 건설장비가 이동되게 한다(S212).
또한, 제어부(1010)는 이동중에는 작동부(130)가 동작하지 않도록 작업압력센서(162)를 통하여 작동여부를 확인하여 작동이 될 경우에는 즉시 중지시키도록 한다.
물체의 접근인 경우는 안전한 장소로 이동만 하여도 경고원인이 해소되지만 해당 작동부의 동작유무에 따라 경고음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동 후 안전한 장소에서 경고 원인을 해소하여야 한다.
단계 S123에서는 경고원인이 해소되었는 가를 판단하여, 해소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환버튼(190)의 설정모드가 자동모드로 변환되었는 지를 판단한다(S123).
단계 S123에서의 경고원인 해소여부는 여러 가지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경고 발생 시 표시부(121)와 사운드부(122)를 통하여 시청각적으로 경고하던 것을 전환버튼(190)의 조작으로 수동모드로 전환되면 사운드부(122)의 청각적인 경고는 중단을 하고 표시부(121)의 경고표시만을 유지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가 수동모드에서 전환버튼(190)을 자동모드로 변환한 경우, 센서부(170)의 동작을 확인하여 경고를 하거나 경고를 하지 않음으로써 경고원인 여부를 해소할 수 있다.
단계 S123에서 자동모드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경광등(150)에 자동모드를 표시하고 해당 건설장비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 제어부 120 : 경고부
121 : 표시부 122 : 사운드부
123 : 카메라부 130 : 작동부
140 : 구동부 150 : 경광등
160 : 주행부 161 : 주행얍력센서
162 : 작업압력센서 163 : 전환밸브
164 : 차단밸브 170 : 센서부
180 : 입력부 190 : 전환버튼
200 : 관제센터

Claims (6)

  1. 건설장비의 주변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제1신호와 설정된 근접한계거리에 도달을 감지하는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두 개의 센서로 구성된 센서부;
    상기 센서의 동작신호와 연동되어 해당 센서로부터 제1신호 또는 제2신호가 발생하면 해당 신호에 트리거 되어 해당 센서 부근의 영상을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카메라부와, 사운드부와, 표시부를 구비하여 상기 건설장비의 운전자와 외부 작업자에게 시각 및 청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고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1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경고부로 경고하고,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2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건설장비의 가동을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자동모드, 수동모드 또는 주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전환버튼; 및
    상기 전환버튼의 모드를 표시하며 상기 건설장비 내외에 설치되는 경광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버튼에 의해 선택된 모드를 상기 경광등에 표시하고, 자동모드에서 상기 건설장비를 가동 중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2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건설장비의 가동을 중지함과 동시에 주행을 금지시키고, 상기 전환버튼의 수동모드 전환에 따라 상기 건설장비가 주행되게 하고,
    상기 건설장비가 주행중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광등을 수동모드로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건설장비의 가동을 강제정지시키고,
    상기 경광등은
    자동모드는 녹색으로 수동모드는 적색으로 표시하여 상기 건설장비의 운전자, 외부 작업자 및 감독관이 내외부에서도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판별할 수 있게 하고,
    상기 건설장비는
    작업부하를 검출하는 작업압력센서;및
    주행부하를 검출하는 주행압력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버튼이 수동모드에서 상기 작업압력센서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부로 경고함과 동시에 상기 경광등을 점멸하여 현재의 모드가 수동모드임을 표시하고, 상기 전환버튼이 자동모드에서 상기 주행압력센서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경고부로 경고함과 동시에 상기 경광등을 점멸하여 현재의 모드가 자동모드임을 표시하는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098428A 2016-08-02 2016-08-02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KR101991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28A KR101991153B1 (ko) 2016-08-02 2016-08-02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8428A KR101991153B1 (ko) 2016-08-02 2016-08-02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950A KR20180014950A (ko) 2018-02-12
KR101991153B1 true KR101991153B1 (ko) 2019-06-19

Family

ID=61225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8428A KR101991153B1 (ko) 2016-08-02 2016-08-02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153B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778B2 (ja) * 1991-10-24 1998-05-20 株式会社フジタ 建設作業車の自動制御装置
KR101334433B1 (ko) * 2006-11-30 2013-11-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굴삭기의 안전 주행장치 및 안전 주행 방법
KR101657308B1 (ko) * 2009-12-24 2016-10-0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의 주행 감지 장치 및 방법
EP2631374B1 (en) * 2010-10-22 2020-09-3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Work machine peripheral monitoring device
EP2792798B1 (en) * 2011-12-13 2018-02-21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ll-round hazard sensing device for construction apparatus
KR101330342B1 (ko) 2013-02-15 2013-11-15 김진하 중장비용 안전장치
KR101638839B1 (ko) * 2014-08-19 2016-07-12 주식회사 영신 중장비 접근감시 및 작동정지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4950A (ko) 2018-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7247B1 (en) Command for underground
US8477021B2 (en) Worksite proximity warning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KR101788689B1 (ko) 건설기계의 안전경고장치
CN109922991B (zh) 用于工程机械的警告系统
US10228454B2 (en) Obstacle detection device for work machine
US10114370B2 (en) Machine automation system with autonomy electronic control module
US20120287277A1 (en) Machine display system
EP3572590A1 (en) Work machine
CN109252563B (zh) 工程机械
US92283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operation of a machine
US9864375B1 (en) Area isolation system
WO2019180843A1 (ja) 作業車両
KR102109155B1 (ko) 굴삭기 안전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638839B1 (ko) 중장비 접근감시 및 작동정지 제어시스템
KR20140058692A (ko) 작업 차량 및 작업 차량의 제어 방법
KR101991153B1 (ko)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KR20190014393A (ko) 건설장비의 협착 방지 장치
AU2018201213A1 (en) Command for underground
KR20210101634A (ko) 안전 시스템을 구비하는 건설 장비
KR20120069788A (ko) 건설중장비의 트랜스미션 컷 오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20150012030A (ko) 건설 장비의 안전주행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A2810051C (en) Worksite proximity warning and collision avoidance system
KR102408114B1 (ko) 충돌사고 및 급정지 방지용 지게차 안전 정지 제어시스템
KR101657308B1 (ko) 건설기계의 주행 감지 장치 및 방법
JP7234095B2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343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719

Effective date: 20190425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