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658A - 음장 조정 필터 및 음장 조정 장치 및 음장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음장 조정 필터 및 음장 조정 장치 및 음장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658A
KR20150100658A KR1020157015700A KR20157015700A KR20150100658A KR 20150100658 A KR20150100658 A KR 20150100658A KR 1020157015700 A KR1020157015700 A KR 1020157015700A KR 20157015700 A KR20157015700 A KR 20157015700A KR 20150100658 A KR20150100658 A KR 20150100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field
speaker
sound
signal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우미 야나가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센틱 인터내셔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센틱 인터내셔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센틱 인터내셔날
Publication of KR20150100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7Frequency adjustment, e.g. ton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1/00Two-channel systems
    • H04S1/002Non-adaptive circuits, e.g. manually adjustable or static, for enhancing the sound image or the spatial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 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AREA)

Abstract

청취자의 양이간 상관계수를 조정하여 청취자의 기호에 따른 양호한 음장을 제공할 수 있는 간편하며 저렴한 장치를 제공한다.
음장 조정 필터(5)는 좌우 채널에 대응하는 한 쌍의 필터 회로군(5L, 5R)을 구비하고, 음향 신호의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나누고, 음장 조정 신호를 주파수 대역마다 생성하도록 소정의 통과 특성을 할당하여, 음향 신호의 원하는 주파수 대역 전체에 대하여 협동하여 원하는 임펄스 응답을 설정한다. 통과 특성은 음향 신호를 분할 주파수 대역마다 시간 지연과 게인을 부가하여 조정한다. 음장 조정 필터(5)는 필터 회로군(5L, 5R)에 의해 생성한 음장 조정 신호를 서로 다른 채널의 음향 신호에 연산 출력기(4L, 4R)에 의해 부가하고, 스테레오 스피커(2)측에 출력한다. 음장 조정 신호의 조정에 의해 청취자에 대한 가상 스피커의 개방각을 변경하여, 특정의 확산 음장의 양이간 상관계수에 근사시킨다.

Description

음장 조정 필터 및 음장 조정 장치 및 음장 조정 방법{SOUND FIELD ADJUSTMENT FILTER, SOUND FIELD ADJUSTMENT DEVICE AND SOUND FIELD ADJUSTMENT METHOD}
본 발명은 음향 신호에 특정의 음장 특성을 부여하여 스테레오 스피커에 의한 재생 음장에 양호한 수청감(受聽感)을 제공하는 음장 조정 필터 및 음장 조정 장치 및 음장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청취자의 양이간(兩耳間) 상관계수를 사용하여 악음(樂音)의 퍼짐감을 정량적으로 나타냄으로써 양호한 퍼짐감을 지각할 수 있는 재생 음장(音場)을 제공하는 음장 생성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음장 생성 장치는 하나의 입력 신호에 대하여 제1, 제2 한 쌍의 처리 회로에 의해 잔향음 처리가 시행되고, 제1 필터에 의해 제1 처리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진폭 특성을 부여하고, 제2 필터에 의해 제2 처리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진폭 특성을 부여하고, 제1 처리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제1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및 제2 필터의 반전 출력 신호가 제1 가산기에 의해 가산되는 한편, 제2 처리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제1 및 제2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가 제2 가산기에 의해 가산되고, 제1 가산기로부터 출력되는 가산 신호에 의해 제1 스피커가 명동(鳴動)하고, 제2 가산기로부터 출력되는 가산 신호에 의해 제2 스피커가 명동한다. 제1 및 제2 필터의 진폭 특성은 협대역인 정상 랜덤 신호에 대한 양이간 상관계수의 주파수 특성을 확산 음장(잔향실)의 그것에 근사시키도록 조정하여, 좌우 스피커간에 한정되어 있던 음상(音像)을 확대한다.
일본 특개 평08-130799호 공보
상기 종래의 음장 생성 장치에 있어서는, 양이간 상관계수의 제어를 반사음 발생 회로와 상관계수 제어 회로에 의해 행하고 있다. 원음에 반사음이 별도 부가된 다음 상관계수를 조정하기 때문에, 목적으로 하는 음장이나 음질로부터 벗어나버린다. 또, 양이간 상관계수를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확산 음장에 근사시키기 위해서는, 하드 상 부하가 크고 장치를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진동판을 공통으로 하는 패널 스피커에 있어서 중고음역의 주파수대의 음향 신호에 대해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채널에 입력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채널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압 레벨보다 타방의 채널의 음압 레벨이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의 주파수 영역(A)이 있어, 패널 스피커에 의해 출력 생성하는 음장을 어지럽힌다.
그래서, 본 발명은 청취자의 양이간 상관계수를 기호에 따른 음장에 대응하는 값에 용이하게 근사시킬 수 있고, 또한 이것을 패널 스피커에 적용하는 간편하며 저렴한 장치 및 음향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좌우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2)에 출력하는 음향 신호에 특정의 음장 특성을 부여하는 음장 조정 신호를 부여하는 음장 조정 필터(5)에 있어서, 좌우 양 채널의 음향 신호를 각각 받아, 음향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주파수 대역마다 시간 지연 및 레벨을 조정하여,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 전체에 대하여 협동하여 원하는 임펄스 응답을 설정함으로써, 좌우 채널에 대응하는 음장 조정 신호를 생성하고, 서로 다른 채널에 각각 출력하는 좌우 한 쌍의 필터 회로군(5L, 5R)을 구비시킨다. 주파수 대역마다의 통과 특성을 조정함으로써, 청취자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된 한 쌍의 스피커(2, 2)의 개방각을 변경 가능한 가상 스피커(2', 2')를 지각시켜, 청취자의 기호에 따른 수청감을 지각할 수 있는 양이간 상관계수에 근사시킨다.
진동판(7a)을 공통으로 하는 패널 스피커(7)에 대하여, 중고음역의 주파수대의 음향 신호에 대해서 일방의 채널에 입력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채널의 스피커(7)로부터 출력되는 음압 레벨보다 타방의 채널의 음압 레벨이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의 주파수 영역(A)을 분리하여, 타방의 채널에 출력하는 좌우 한 쌍의 분리 필터(10L, 10R)를 구비시키고, 이 분리 필터(10L, 10R)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필터 회로군(5L, 5R)이 음장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의 주파수 영역(A)의 레벨을 저감하는 저감 필터(16L, 16R)를 구비시키고, 저레벨로 출력된 주파수 영역(A)을 복원하도록 필터 회로군(5L, 5R)에 레벨을 조정한 통과 특성을 할당한다.
필터 회로군(5L, 5R)을 구성하는 복수의 필터 회로(50a, 50b…50n)는 통과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밴드패스 필터(51a, 51b…51n)와, 분할 주파수 대역의 추가 시간 지연을 부가하는 시간 지연 설정 수단(52a, 52b…52n)과, 분할 주파수 대역의 소정의 추가 게인을 부가하는 게인 설정 수단(53a, 53b…53n)을 각각 구비한다.
저감 필터(16L, 16R)에 있어서의 특정의 주파수 영역(A)의 추가 게인은 필터 회로군(5L, 5R)에 있어서의 특정의 주파수 영역(A)의 게인(k)의 역수(1/k)로 설정한다.
음향 신호에 음장 조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연 시간을 부가하는 지연 회로(6L, 6R)와, 음향 신호에 음장 조정 신호를 부가하고, 스테레오 스피커(2, 2)측에 출력하는 연산 출력기(4L, 4R)를 구비시켜 음장 조정 필터(5)를 사용한 음장 조정 장치(1)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테레오 스피커에 대한 청취자의 양이간 상관계수를 가상 스피커의 개방각의 변경만으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확산 음장의 생성 뿐만아니라 청취자의 기호에 합치한 음장을 지각시키는 값에 근사시킬 수 있으며, 그것을 위한 하드, 소프트 상의 부하가 작아, 따라서 간편한 장치이며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
또, 좌우 채널의 진동판을 공통으로 하는 패널 스피커에 특유의 음압 레벨의 역전 현상에 의해 음장을 어지럽히지 않고 조정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장 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음장 조정 필터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음장 조정의 설명도이다.
도 4는 주파수에 대한 스피커의 개방각의 대응표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장 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장 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패널 스피커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주파수에 대한 양이간 상관계수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주파수에 대한 양이간 상관계수의 변화에 대해서 음장 조정의 신호 처리의 유무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일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독립된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2)에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음장 조정 장치(1)는 좌우 각 채널에 대응하는 입력 단자(3L, 3R), 연산 출력기(4L, 4R) 및 음장 조정 필터(5), 지연 회로(6L, 6R)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단자(3L, 3R)에는 디지털화된 음향 신호가 입력된다. 단, 음향 신호 처리 장치(1)가 AD 변환기를 내장하여,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음장 조정 필터(5)는 좌우의 채널에 대응하는 한 쌍의 필터 회로군(5L, 5R)으로 구성된다. 일방의 필터 회로군(5L)은 좌측 채널의 입력 단자(3L)에 입력된 음향 신호를 음장 조정 신호로 생성하고, 우측 채널의 연산 출력기(4R)에 출력한다. 연산 출력기(4R)는 지연 회로(6R)를 통과한 우측 채널의 음향 신호와, 음장 조정 필터(5L)에 의해 생성한 음장 조정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마찬가지로, 타방의 필터 회로군(5R)은 우측 채널의 입력 단자(3R)에 입력된 음향 신호를 음장 조정 신호로 생성하고, 좌측 채널의 연산 출력기(4L)에 출력한다. 연산 출력기(4L)는 지연 회로(6L)를 통과한 좌측 채널의 음향 신호와, 필터 회로군(5R)에 의해 생성한 음장 조정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한다. 지연 회로(6L, 6R)는 음장 조정 필터(5L, 5R)의 음장 조정 신호의 생성에 의한 지연 시간을 음향 신호에 부가한다.
음장 조정 필터(5)를 구성하는 필터 회로군(5L, 5R)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필터 회로(50a, 50b…50n)를 구비한다. 이들 필터 회로(50a, 50b…50n)는 협동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밴드패스 필터(51a, 51b…51n)와, 각 밴드패스 필터(51a, 51b…51n)에 소정의 추가 시간 지연(τ1, τ2…τn)을 부가하는 시간 지연 설정 수단(52a, 52b…52n)과, 소정의 추가 게인(K1…Kn)을 부가하는 게인 설정 수단(53a, 53b…53n)을 구비한다. 필터 회로(50a, 50b…50n)의 각 주파수 대역의 합성 출력의 위상은 반전기(54)에 의해 반전된다. 필터 회로군(5L, 5R)의 임펄스 응답은 시간 지연 설정 수단(52a, 52b…52n) 및 게인 설정 수단(53a, 53b…53n)을 통하여 각 밴드패스 필터(51a, 51b…51n)의 주파수 대역마다 조정되어 합산되고, 원하는 통과 특성을 설정 가능하다.
또한, 필터 회로군(5L, 5R)은 상기와 마찬가지의 임펄스 응답을 가지는 FIR 필터를 적용해도 된다.
그런데, 스테레오 스피커에 의한 재생 음장의 양호한 공간적 퍼짐감은 음향 환경을 갖춘 잔향실(확산 음장)에 있어서의 청취자의 청취 위치의 양이간 상관계수에 근사시킴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그러나, 양이간 상관계수는 통상의 좌우 스피커를 개방각(청취자를 중심으로 하는 각 스피커의 방향각(θOP)) 60°에 배치한 재생 음장에서는, 도 9의 삼각점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별히 확산 음장의 양이간 상관계수에 대하여 중음역 이상에 있어서 확산 음장의 그것(도 9의 파선)과 비교하여 크게 상이하다. 그래서, 주파수대를 협소 대역으로 분할하여, 협소 대역마다 개별로 양이간 상관계수를 조정함으로써, 확산 음장의 양이간 상관계수에 근사시키는 것으로 한다(도 9의 둥근 검은점). 이 양이간 상관계수를 조정하기 위해서, 양이간 상관계수에 대응하는 스피커 위치를 가상적으로 변경한다. 이 가상 스피커의 위치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취자에 대한 한 쌍의 스피커의 개방각(θOP)을 물리량으로서 나타낸다.
확산 음장의 양이간 상관계수(ρd)는 ρd=sin(kr)/kr로 표시된다.
단, k=ω/c=2πf/c이며, k:파장 상수, c:음속, r:등가 양이간 거리 31.5cm로 한다.
스피커의 재생 음장에 있어서의 청취 위치에서의 양이간 상관계수(ρlr)는
Figure pct00001
로 표시된다.
단, A 및 A':진폭값, τlr:양이간 시간차, Φ11lr):신호의 자기 상관 함수, Φ12lr):좌우 신호간의 상호 상관 함수이다.
여기서, 신호간 상관계수는 무상관이므로, 상기 식에 있어서 항(A'2+A212(0)=0, 2AA'Φ12lr)=0가 되고,
ρlr은 Φ11lr)에 의해 결정되고, 양이간 시간차(τlr)는 스피커의 방향에 의해 정해진다.
상기한 추정값은 실측값과는 대략 일치하고, 주파수에 대한 스피커의 개방각은 도 4의 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된다. 따라서, 표 중의 주파수를 대역 중간값으로 하는 주파수대로 분할하여, 대응하는 개방각으로 스피커 위치를 조정하면, 확산 음장의 양이간 상관계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상을 전제로 하여, 가상 스피커의 개방각의 조정을 음장 조정 필터에 의해 제어한다. 즉, 음장 조정 필터(5)는 분할한 주파수 대역마다 밴드패스 필터(51a, 51b…51n)의 임펄스 응답을 미리 설정하여, 이것에 좌우 각 채널의 음향 신호를 통과시킴으로써 음장 조정 신호를 생성하고, 다른 채널의 음향 신호로부터 위상을 반전하여 가산함으로써, 청취자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기 한 쌍의 스테레오 스피커의 개방각을 변경한 가상 스피커의 음장에 의해, 확산 음장의 양이간 상관계수에 근사시킬 수 있다.
음장 조정 필터(5)의 필터 회로군(5L, 5R)은 도 2에 나타내는 각 대역의 밴드패스 필터(51a, 51b…51n)마다의 통과 특성을 시간 지연 설정 수단(52a, 52b…52n)의 추가 시간 지연(τ1…τn) 및 게인 설정 수단(53a, 53b…53n)의 추가 게인(K1…Kn)에 의해 조정함으로써 원하는 임펄스 응답으로 설정할 수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청취자(P)를 중심으로 하고 스피커(2)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호 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하도록, 가상 스피커(2')의 개방각(θOP)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2, 2)에 의한 재생 음장이 청취자의 주위를 감싸도록 양호한 퍼짐감을 실현할 수 있고, 확산 음장 뿐만아니라 청취자의 수청감을 기호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음향 처리 장치를 도 5에 나타낸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음향 처리 장치(8)에 있어서의 음장 조정 필터(9)는 진동판(7a)을 공통으로 하는 패널 스피커(7)에 대해서 적용된다. 음장 조정 필터(9)는 한 쌍의 필터 회로군(5L, 5R)에 더해, 각 채널에 대응하는 분리 필터(10L, 10R) 및 연산 출력기(11L, 11R)를 구비한다. 음향 신호는 1,000Hz 이하의 중저역 주파수대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같이 양이간 상관계수의 변화의 경향에 따라 필터 회로군(5L, 5R)에 추가 시간 지연(τ1…τn) 및 추가 게인(K1…Kn)을 설정할 수 있지만, 1,414Hz 이상의 중고역 주파수대에서는 양이간 상관계수가 부(負)가 되는 경향이 있고, 좌우의 귀로의 서로 타방측의 채널의 스피커의 음압 레벨이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생긴다(도 7의 영역(A)). 분리 필터(10L, 10R)는 음향 신호 중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의 주파수 영역(A)을 분리하여, 타방의 채널에 출력하는 추출 필터(12L, 12R)와, 역전 현상이 일어나고 있지 않은 주파수 대역을 당해 채널에 통과시키는 투과 필터(13L, 13R)를 구비한다. 연산 출력기(11L, 11R)는 서로 타방의 채널의 추출 필터(10R, 10L)에 의해 분리된 특정의 주파수 영역(A)의 음향 신호를 당해 채널의 음향 신호와 합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필터 회로군(5L, 5R)은 연산 출력기(11L, 11R)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음장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 즉, 분리 필터(10L, 10R)의 추출 필터(12R, 12L)에 의해 분리된 특정의 주파수 영역(A)의 음향 신호가 타방의 채널에 합성되고, 이 합성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음장 조정 신호가 생성된다. 이것에 의해, 스피커(7)에 있어서 역전 현상이 회피되고, 앞선 실시형태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가상 스피커(7')의 개방각(θOP)을 조정하여, 확산 음장의 양이간 상관계수에 근사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의 음향 처리 장치를 도 6에 나타낸다.
음향 처리 장치(14)에 있어서의 음장 조정 필터(15)는 진동판(7a)을 공통으로 하는 패널 스피커(7)에 대해서 적용된다. 음장 조정 필터(15)는 한 쌍의 필터 회로군(5L, 5R)에 더해, 각 채널에 대응하는 저감 필터(16L, 16R)를 구비한다. 저감 필터(16L, 16R)는 음향 신호 중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의 주파수 영역(A)만의 레벨을 저감하고, 이 주파수 영역을 제외한 대역은 그대로 통과시킨다. 한편, 필터 회로군(5L, 5R)은 저레벨로 출력된 주파수 영역(A)의 음향 신호를 복원하도록 레벨을 조정한 다음, 소정의 통과 특성이 할당된다. 예를 들면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의 주파수 영역(A)의 음향 신호를 저감 필터(16L, 16R)에 있어서 게인을 k(0<k<1)로 설정하고, 필터 회로군(5L, 5R)에 있어서의 특정의 주파수 영역(A)의 추가 게인을 역수(1/k)로 설정하여 복원하고, 음장 조정 신호를 생성한다. 이것에 의해, 스피커(14)에 있어서 역전 현상이 회피되고, 앞선 실시형태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가상 스피커(7')의 개방각(θOP)을 조정하여, 확산 음장의 양이간 상관계수에 근사시킬 수 있다.
1…음장 조정 장치 2…스피커
3L…입력 단자 3R…입력 단자
4L…연산 출력기 4R…연산 출력기
5…음장 조정 필터 5L…필터 회로군
5R…필터 회로군 6L…지연 회로
6R…지연 회로 7…스피커
7a…진동판 8…음장 조정 장치
9…음장 조정 필터 10L…분리 필터
10R…분리 필터 11L…연산 출력기
11R…연산 출력기 12L…추출 필터
12R…추출 필터 13L…투과 필터
13R…투과 필터 14…음장 조정 장치
15…음장 조정 필터 16L…저감 필터
16R…저감 필터 50a, 50b…50n…필터 회로
51a, 51b…51n…밴드패스 필터 52a, 52b…52n…시간 지연 설정 수단
53a, 53b…53n…게인 설정 수단 54…반전기

Claims (9)

  1. 좌우 한 쌍의 스테레오 채널을 가지는 스피커에 출력하는 음향 신호에 특정의 음장 특성을 부여하는 음장 조정 신호를 부가하는 음장 조정 필터에 있어서,
    좌우 양 채널의 상기 음향 신호를 각각 받아, 음향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주파수 대역마다 시간 지연 및 레벨을 조정하여,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 전체에 대하여 협동하여 원하는 임펄스 응답을 설정함으로써, 좌우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음장 조정 신호를 생성하고, 서로 다른 채널에 각각 출력하는 좌우 한 쌍의 필터 회로군을 구비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마다의 통과 특성을 조정함으로써, 청취자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된 상기 한 쌍의 채널을 가지는 스피커의 개방각을 변경 가능한 가상 스피커를 지각시켜, 청취자의 기호에 따른 수청감을 지각할 수 있는 양이간(兩耳間) 상관계수에 근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조정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진동판을 공통으로 하는 패널 스피커이며,
    중고음역의 주파수대의 음향 신호에 대해서 일방의 채널에 입력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채널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압 레벨보다 타방의 채널의 음압 레벨이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의 주파수 영역을 분리하여, 타방의 채널에 출력하는 좌우 한 쌍의 분리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회로군은 이 분리 필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음장 조정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조정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진동판을 공통으로 하는 패널 스피커이며,
    중고음역의 주파수대의 음향 신호에 대해서 일방의 채널에 입력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채널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압 레벨보다 타방의 채널의 음압 레벨이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의 주파수 영역의 레벨을 저감하는 저감 필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 회로군은 저레벨로 출력된 주파수 영역을 복원하도록 레벨을 조정하여, 상기 통과 특성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조정 필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회로군을 구성하는 복수의 필터 회로는 통과 특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는 밴드패스 필터와, 분할 주파수 대역의 추가 시간 지연을 부가하는 시간 지연 설정 수단과, 분할 주파수 대역의 소정의 추가 게인을 부가하는 게인 설정 수단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조정 필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감 필터에 있어서의 특정의 주파수 영역의 추가 게인은 상기 필터 회로군에 있어서의 특정의 주파수 영역의 게인의 역수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조정 필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에 상기 음장 조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지연 시간을 부가하는 지연 회로와,
    상기 음향 신호에 상기 음장 조정 신호를 부가하고, 스테레오 스피커측에 출력하는 연산 출력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조정 필터를 사용한 음장 조정 장치.
  7. 좌우 한 쌍의 채널을 가지는 스피커에 공급하는 음향 신호에 원하는 음장 특성을 부여하는 음장 조정 방법으로서,
    좌우 양 채널의 상기 음향 신호를 각각 받아, 음향 신호의 소정의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주파수 대역으로 분할하고, 각 분할 주파수 대역마다 시간 지연 및 레벨을 조정하여, 음향 신호의 주파수 대역 전체에 대하여 협동하여 원하는 임펄스 응답을 설정함으로써, 좌우 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음장 조정 신호를 생성하여, 서로 다른 채널에 각각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간의 개방각을 변경한 가상 스피커를 지각시켜, 청취자의 기호에 따른 수청감을 지각시키는 양이간 상관계수에 근사시키는 음장 생성 공정;,
    좌우 채널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에 상기 음장 조정 공정에 있어서의 지연 시간을 부가하는 지연 공정; 및
    좌우 채널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에 시간 지연을 수반한 상기 음장 조정 신호를 부가하는 신호 연산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조정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진동판을 공통으로 하는 패널 스피커이며,
    상기 음장 생성 공정 전에, 중고음역의 주파수대의 음향 신호에 대해서 일방의 채널에 입력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채널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압 레벨보다 타방의 채널의 음압 레벨이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의 주파수 영역을 좌우 한 쌍의 분리 필터에 의해 분리하여 타방의 채널에 출력하는 예비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조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는 진동판을 공통으로 하는 패널 스피커이며,
    상기 음장 생성 공정 전에, 중고음역의 주파수대의 음향 신호에 대해서 일방의 채널에 입력된 음향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채널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압 레벨보다 타방의 채널의 음압 레벨이 높아지는 역전 현상이 발생하는 특정의 주파수 영역의 레벨을 저감 필터에 의해 저감하는 예비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음장 생성 공정에 있어서, 저레벨로 출력된 주파수 영역을 복원한 다음, 통과 특성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 조정 방법.
KR1020157015700A 2012-12-25 2013-12-24 음장 조정 필터 및 음장 조정 장치 및 음장 조정 방법 KR201501006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1364 2012-12-25
JP2012281364 2012-12-25
PCT/JP2013/084538 WO2014104039A1 (ja) 2012-12-25 2013-12-24 音場調整フィルタ及び音場調整置並びに音場調整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658A true KR20150100658A (ko) 2015-09-02

Family

ID=5102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700A KR20150100658A (ko) 2012-12-25 2013-12-24 음장 조정 필터 및 음장 조정 장치 및 음장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50319549A1 (ko)
JP (1) JPWO2014104039A1 (ko)
KR (1) KR20150100658A (ko)
CN (1) CN104885482A (ko)
WO (1) WO20141040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3821A (zh) * 2015-06-12 2017-01-04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串音消除方法与系统
EP3280154B1 (en) * 2016-08-04 2019-10-02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wearable loudspeaker device
CN107888857A (zh) * 2017-11-17 2018-04-06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分体电视中声场的调整方法、装置及分体电视
US10593368B2 (en) * 2018-01-15 2020-03-17 Yamaha Corporation Audio device which synchronizes audio data
CN110719564B (zh) * 2018-07-13 2021-06-08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音效处理方法和装置
JP2021154807A (ja) * 2020-03-26 2021-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近接報知システム、車両および車両近接報知方法
US11838740B2 (en) * 2020-11-13 2023-12-05 Sound United, LLC Automotive audio system and method with tri-polar loudspeaker configuration and floating waveguide equipped transducers in an automotive headrest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7813B2 (ja) * 1994-10-31 2004-07-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場生成装置
US7583805B2 (en) * 2004-02-12 2009-09-01 Agere Systems Inc. Late reverberation-based synthesis of auditory scenes
JP2004172700A (ja) * 2002-11-18 2004-06-17 Onkyo Corp スピーカシステム
JP2005157278A (ja) * 2003-08-26 2005-06-16 Victor Co Of Japan Ltd 全周囲音場創生装置、全周囲音場創生方法、及び全周囲音場創生プログラム
US20050271214A1 (en) * 2004-06-04 2005-12-08 Kim Sun-Min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wide stereo sound
KR100677119B1 (ko) * 2004-06-0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와이드 스테레오 재생 방법 및 그 장치
EP1959714A4 (en) * 2005-12-05 2010-02-24 Chiba Inst Technology TONE SIGNAL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PROCESSING A SOUND SIGNAL, SOUND REPRODUCTION SYSTEM, METHOD FOR DESIGNING A SOUND SIGNAL PROCESSING EQUIPMENT
JP2009296110A (ja) * 2008-06-03 2009-12-17 Chiba Inst Of Technology 音像定位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た音響信号処理装置並びに音響信号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85482A (zh) 2015-09-02
JPWO2014104039A1 (ja) 2017-01-12
US20150319549A1 (en) 2015-11-05
WO2014104039A1 (ja) 201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00658A (ko) 음장 조정 필터 및 음장 조정 장치 및 음장 조정 방법
JP3614457B2 (ja) 多次元音響回路及びその方法
CN111418219B (zh) 用于处理输入音频信号的系统和方法以及计算机可读介质
EP1680941B1 (en) Multi-channel audio surround sound from front located loudspeakers
EP2190221B1 (en) Audio system
CN108632714B (zh) 扬声器的声音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US85770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immersion surround sound and virtual speakers effects
EP3289779B1 (en) Sound system
WO2007066378A1 (ja) 音響信号処理装置、音響信号処理方法、音響再生システム、音響信号処理装置の設計方法
CA2610235A1 (en) Compact audio reproduction system with large perceived acoustic size and image
WO2016088745A1 (ja) スピーカ装置
JP4744695B2 (ja) 仮想音源装置
JP2004023486A (ja) ヘッドホンによる再生音聴取における音像頭外定位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JP2006279864A (ja) 音響システム
CN110312198B (zh) 用于数字影院的虚拟音源重定位方法及装置
JP3909065B2 (ja) 音響信号処理装置、音響信号処理方法、音響再生システム、音響信号処理装置の設計方法
JP4918098B2 (ja) 音像定位処理装置等
US1183207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tereo image enhancement of a multi-channel loudspeaker setup
JP2016100617A (ja) 音響信号処理装置
CN117652161A (zh) 用于回放沉浸式音频的音频处理方法
EP4378178A1 (en) A method of processing audio for playback of immersive audio
JP5828450B2 (ja) 移動音像生成装置及びその設計方法
KR200232724Y1 (ko) 실조화음향공간구현장치
JP2007184758A (ja) 音響再生装置
JPH05153698A (ja) 音場拡大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