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9529A -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 Google Patents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9529A
KR20150099529A KR1020157016519A KR20157016519A KR20150099529A KR 20150099529 A KR20150099529 A KR 20150099529A KR 1020157016519 A KR1020157016519 A KR 1020157016519A KR 20157016519 A KR20157016519 A KR 20157016519A KR 20150099529 A KR20150099529 A KR 20150099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ill
container
cap
sliding member
re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9120B1 (ko
Inventor
아츠시 하나와
타케시 코쿠분
캄포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ublication of KR20150099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9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65D47/38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with piercing means arranged to act subsequently as a valve to control the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일반적인 내측 마개를 구비한 화장료 용기 등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내용물을 확실하고도 용이하게 리필 가능한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해당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는, 리필될 용기의 입구 목부에 씌워져서, 리필될 용기의 입구부 또는 해당 입구부에 부착된 내측 마개의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을 리필 가능한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로서, 밑부분과 해당 밑부분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둘레벽에 의해 리필될 용기의 입구 목부가 삽입가능한 삽입부를 형성하는 캡과, 천장벽과 해당 천장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늘어뜨린 둘레벽을 갖고, 상기 삽입부 내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캡의 밑부분에는 파단 가능한 밀봉부에 의해 폐쇄된 주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천장벽에는 상기 입구부 또는 상기 토출구에 삽입가능한 주출 노즐이 세워 설치되는 동시에 천장벽의 하부면에는 압압부가 아래쪽으로 돌출되며, 해당 주출 노즐로부터 압압부에 걸쳐서 주출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부재가 캡 내에 밀려 들어감으로써 상기 밀봉부에 맞닿는 압압부의 선단부가 밀봉부를 파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POURING STRUCTURE FOR REFILL CONTAINER}
본 발명은, 액상 화장료나 액상 세제, 액상의 음식물, 약품 등과 같은 액체를 용기에 다시 채워 넣기 위한 리필용 용기의 주출(注出) 구조(스파우트(spou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본체에 대해서 개량을 가하는 일 없이, 리필 용기에 장착되어서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내용물을 다시 채워 넣는 것이 가능한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세제나 샴푸, 린스류를 다시 채워 넣기(리필) 위하여 내용물만 판매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지만, 최근, 고가인 액상 화장료에 대해서도 리필용으로 화장료만이 판매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고가인 화장료의 경우에는, 저렴한 샴푸나 린스 등과는 달리, 다소라도 내용물이 낭비가 되지 않도록, 내용물을 흘리는 일 없이 확실하게 리필하고자 하는 요청이 특히 강하다.
그런데, 액상 화장료는 통상 병 등의 용기에 넣어져서 판매되고 있지만, 이러한 용기의 입구부는, 토출용으로서는, 내용물의 토출량을 적당량으로 제어하기 위해서 구경은 적절하게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용기의 입구부 선단을 직접 소구경으로 형성할 경우도 있지만, 한편으로, 내용물을 충전하는 충전구로서는, 용기에의 충전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입구부의 구경을 될 수 있는 한 넓게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토출용으로 용기 입구부에 소구경의 토출구를 구비한 내측 마개(inner plug)를 부착하는 방법이, 양자를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므로,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이 내측 마개의 토출구는, 내용물의 액체의 점성 등에 따라서 그 구경 치수가 결정되지만, 일반적으로 3㎜ 내지 12㎜ 정도이며, 샴푸나 린스 등보다도 점성이 낮은 화장수, 유액 등의 액상 화장료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3㎜ 내지 8㎜ 정도로 그 구경은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향에 있다. 그 때문에, 용기 본체로부터 내측 마개를 떼어내는 일 없이 그 토출구로부터 리필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그래서, 액상 화장료의 리필을 행할 경우에는, 용기 내측 마개를 떼어내고 행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내측 마개는 통상의 사용으로 빠지는 일이 없도록 용기 입구부에 대해서 무리하게 끼워맞춤되어 있어, 떼어내기 작업이 번잡하였다. 또, 내측 마개를 떼어낼 때에 잘못해서 용기 내에 남아있는 화장료를 흘려버릴 우려도 있었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허문헌 1 및 2에는 내측 마개가 용기의 입구부에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된 리필용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상기와 같은 내측 마개의 떼어냄에 수반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이지만, 내측 마개를 캡 형상으로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 위로부터 씌워지는 외측 뚜껑이 용기 입구부에 대해서 크게 되어 버려, 용기의 디자인적인 밸런스가 붕괴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내측 마개를 빼냄으로써 주입 작업은 용이해지지만, 리필 중에 리필 용기의 주출구가 용기 입구부로부터 떨어져 버리거나, 용기를 뒤집거나 하는 등 해서 내용물이 흘러나올 우려가 있었다. 또한, 화장수나 유액 등의 액상 화장료는 일반적으로 6,000m㎩·s(25℃) 정도보다 낮은 점도인 것이 많고, 샴푸나 린스 등과 비교해도 점성이 낮기 때문에, 리필 용기의 주출구를 아래로 향하게 해서 용기 입구부에까지 나올 때까지의 사이에 리필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흘러나와 버릴 우려도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 3 및 4에는, 리필 시의 내용물의 흘러 나옴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필 용기의 입구부에 부착되는 내부 캡(장착 통)과, 해당 내부 캡(장착 통)에 대해서 용기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 외부 캡(조작 부재)을 구비하고, 이러한 내부 캡(장착 통)에는 주출구를 폐쇄하는 밀봉부를 설치한 리필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샴푸나 린스의 디스펜서(dispenser) 용기와 같이 리필할 때에 리필될 용기 본체의 입구부가 넓게 개구된 상태인 것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화장료 용기와 같이 내측 마개 부착 용기에 관한 사용은 상정되어 있지 않고, 내측 마개를 빼내는 일 없이 리필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또한, 이들 용기는, 잘못하여 외부 캡(조작 부재)이 이동해서 밀봉부를 파단하지 않도록 그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가 필요한 등, 구조도 복잡하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H7-33861 A
(특허문헌 2) JP4793813 B
(특허문헌 3) JP2011-157097 A
(특허문헌 4) JP2012-30856 A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리필 용기의 리필기구의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여, 화장료 용기를 비롯해서 일반적인 액체용의 용기에 대해서, 내측 마개 장착의 유무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소구경의 토출구를 가진 내측 마개를 장착한 리필될 용기에 대해서, 내측 마개 장착된 채의 상태에서 리필될 용기의 입구 목부에 씌워져서 내용물을 확실하고도 용이하게 리필 가능한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제공을 그 과제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리필될 용기의 입구 목부에 씌워서, 리필될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또는 리필될 용기 입구부에 부착된 내측 마개의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을 리필 가능한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로서, 밑부분과 해당 밑부분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둘레벽에 의해 리필될 용기의 입구 목부가 삽입가능한 삽입부를 형성하는 캡과, 천장벽과 해당 천장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늘어뜨린 둘레벽을 갖고, 상기 삽입부 내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캡의 밑부분에는 파단 가능한 밀봉부에 의해 폐쇄된 주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천장벽에는 상기 리필될 용기의 입구부 또는 상기 내측 마개의 토출구에 삽입가능한 주출 노즐이 세워 설치되는 동시에 천장벽의 하부면에는 압압부가 아래쪽으로 돌출 설치되며, 해당 주출 노즐로부터 압압부에 걸쳐서 주출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부재가 캡 내로 밀려 들어감으로써 상기 밀봉부에 맞닿는 압압부의 선단부가 밀봉부를 파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는 리필 용기를 거꾸로 해도 내용물이 흘러나올 염려가 없고, 리필될 용기의 입구부를 캡 내에 삽입해서 밀봉부를 파단함으로써 비로소 내용물이 주출되므로,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내용물을 리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는, 소구경의 토출구를 구비한 내측 마개가 장착되어 있는 화장료 등의 용기에 대해서도, 용기 입구 목부에 씌워짐으로써 주출 노즐이 내측 마개 토출구에 삽입되므로, 내측 마개를 리필될 용기로부터 떼어내는 일 없이, 용이하고도 확실하게 내용물을 리필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캡부의 정면도, 도 1(b)는 그의 평면도, 도 1(c)는 그의 중앙 세로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슬라이딩 부재의 정면도, 도 2(b)는 그의 평면도, 도 2(c)는 그의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다른 양상에 있어서의, 주출 노즐의 횡단면도, 도 3(b)는 또 다른 양상에 있어서의 그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사용 상태의 일 양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사용 상태의 일 양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제2 양상에 있어서의 캡부의 정면도, 도 6(b)는 그의 평면도, 도 6(c)는 그의 중앙 세로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제2 양상에 있어서의 슬라이딩 부재의 정면도, 도 7(b)는 그의 평면도, 도 7(c)는 그의 중앙 세로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제2 양상에 있어서 캡부에 슬라이딩 부재를 삽입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제2 양상에 있어서 밀봉부를 개봉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 하등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캡부의 정면도, (b)는 그의 평면도, (c)는 그의 중앙 세로단면도, 도 2의 (a)는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슬라이딩 부재의 정면도, (b)는 그의 평면도, (c)는 그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1)은 캡, (2)는 슬라이딩 부재, (11)은 밑부분, (12)는 둘레벽, (13)은 뚜껑부, (14)는 하부 둘레벽, (15)는 개구부, (16)은 주출구, (17)은 밀봉부, (18)은 둘레벽, (19)는 삽입부, (21)은 천장벽, (22)는 둘레벽, (23)은 주출 노즐, (24)는 압압부, (25)는 주출로, (121)은 걸림돌기, (122)는 미끄럼 방지부, (131)은 누름부, (132)는 걸어맞춤부, (141)은 부착부, (171)은 파단용이부, (172)는 접속부, (211)은 세장형 돌출부, (221a)는 걸림홈, (22lb)는 걸림홈, (241)은 선단부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는, 리필 용기 본체에 부착되어, 리필될 용기의 입구 목부에 씌워지는 캡(1)과, 캡(1)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2)로 구성된다. 이하, 각 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은, 밑부분(11)과 밑부분(1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세워 설치하는 둘레벽(12)에 의해 화장료 용기의 입구 목부를 삽입가능한 삽입부(19)를 형성하고 있고, 둘레벽(12) 상단에는 삽입부(19)의 상부 개구부(15)를 밀봉하기 위한 뚜껑부(13)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도 1에서 뚜껑부(13)는 개방 상태이다). 또한, 밑부분(11)의 이면에는 통 형상의 하부 둘레벽(14)이 늘어뜨려지고, 리필 용기 본체가 부착되는 부착부(141)가 가로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캡(1)의 밑부분(11)에는, 그 중앙에 주출구(16)가 설치되어 있고, 이 주출구(16)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둘러싸도록 해서 둘레벽(18)이 삽입부(19) 내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주출구(16)는 밀봉부(17)에 의해서 그 개구부가 폐쇄되고, 이러한 밀봉부(17)는 압압에 의해 파단 가능한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파단용이부(171)에 의해 둘레벽(18)의 내주면에 연접되어 있다. 이러한 파단용이부(171)는 밀봉부(17)의 전체 둘레 가장자리에 설치해도 되지만, 밀봉부(17)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에 파단용이부(171)보다도 두껍게 해서 압압으로는 파단되지 않는 접속부(172)를 설치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밀봉부(17)는 캡(1)의 다른 부분과 동일한 재질에 의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보관 시에 있어서 주출구(16)를 확실히 폐쇄할 수 있고, 또한, 리필 시에는 압압으로 파단 개봉할 수 있는 것이면 되며, 예를 들면, 파단 가능한 필름 형태의 소재나 시트 형태의 소재에 의해 밀봉부(17)를 형성해도 된다. 그 경우, 밀봉부 자체가 파단될 수 있으므로, 가장자리에 파단용이부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캡(1)의 둘레벽(12)의 내주면의 하부에는, 걸림돌기(121)가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볼록하게 설치되고, 둘레벽(12)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미끄럼 방지부(122)가 볼록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둘레벽(12)의 상단에 개폐 가능한 뚜껑부(13)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뚜껑부(13)는 둘레벽(12)으로부터 독립된 착탈 가능한 부재로 해도 된다. 이러한 뚜껑부(13)의 뒤쪽으로부터는 걸어맞춤부(132)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뚜껑부(13)를 폐쇄한 때에 캡(1)의 둘레벽(12)의 내주면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뚜껑부(13)의 뒤쪽의 중앙에는 누름부(131)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2)는 천장벽(21)과 천장벽(2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늘어뜨린 둘레벽(22)에 의해 뚜껑 부착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장벽(21)의 상부면으로부터는 주출 노즐(23)이 위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천장벽(21)의 하부면으로부터는 압압부(24)가 둘레벽(22)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들 주출 노즐(23)과 압압부(24) 내에는 주출로(25)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주출 노즐(23)은 화장료 등 용기 내측 마개의 토출구(421)에 삽입가능한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주출 노즐(23)과 내측 마개 토출구(421) 사이에는 약간의 공극을 마련해서 리필 시 용기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그 외경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천장벽(21)의 상부면에는 세장형 돌출부(211)가 방사상으로 복수개 볼록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둘레벽(22)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걸림홈(221a) 및 걸림홈(221b)이 상하 2개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에서는, 리필될 용기에 내측 마개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는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내측 마개를 떼어낸 상태이더라도 입구부로부터 직접 리필할 수 있고, 더욱이, 내측 마개를 지니지 않고 용기의 입구부 선단에 직접 소구경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용기에 대해서도 토출구로부터 리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의 경우에도, 리필될 용기의 입구부(토출구)와 주출 노즐(23) 사이에 약간의 공극을 마련해서 리필 시 용기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그 외경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출 노즐(23)의 내벽의 형상, 즉, 주출로(25)의 횡단면의 형상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이지만, 주출로(25)를 보다 넓게 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출 노즐(23)의 내벽의 일부에 1개 또는 복수개의 세로 오목홈(26)을 형성해도 된다. 세로 오목홈(26)의 횡단면 형상은 도 3(a)에서는 거의 반원 형상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꼭지각을 1개 또는 복수개 가진 다각형의 횡단면 형상의, 예를 들면 도 3(b)과 같은 형상이 것이어도 된다. 또한, 세로 오목홈(26)은 주출로(25)의 축선에 대해서 평행하게 형성해도 되지만, 내용물의 주출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나선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도 4는, 캡(1) 내에 슬라이딩 부재(2)를 부착한 리필 전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캡(1)의 삽입부(19) 내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2)는 주출 노즐(23)을 위로 향한 상태에서 장착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부재(2)의 둘레벽(22)의 외경은 캡(1)의 둘레벽(12)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서로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축방향(도면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부재(2)가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사용 전의 걸림 상태이며, 캡(1)의 걸림돌기(121)가, 슬라이딩 부재(2)의 걸림홈(221a)에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 상태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2)의 압압부(24)의 하부는 캡(1)의 둘레벽(18) 내에 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고, 그 선단부(241)가 밀봉부(17)에 환 형상으로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압압부(24)는 통 형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부(241)가 밀봉부(17)의 둘레 가장자리의 파단용이부(171)를 따르는 형태로 접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와 같이, 압압부(24)의 둘레벽이 선단으로 감에 따라서 얇게 형성되고, 그 선단부(241)에서 가장 얇게 되도록 함으로써, 파단용이부(171)에 압압이 집중되어 확실히 파단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뚜껑부(13)는 폐쇄 상태로 되어 있지만, 이 상태에서 뚜껑부(13)의 뒷면에 설치되어 있는 누름부(131)가 주출 노즐(23)의 선단에 맞닿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2)는 위에서부터 억제되어 있는 상태로 되고, 압압부(24)의 선단부(241)가 맞닿는 밀봉부(17)도 간접적으로 뚜껑부(13)에 의해 위에서부터 억제된 상태로 된다. 즉, 슬라이딩 부재(2)는 캡(1)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홈(221a)과 걸림돌기(121)의 걸림에 의해 고정 유지되어 있지만, 이것에 부가해서 뚜껑부(13)에서 고정됨으로써, 밀봉부(17)도 위에서부터 억제되어, 사용자가 리필 용기(특히 파우치)를 강하게 파지한 경우에 용기의 내압상승에 의해서 밀봉부(17)나 파단용이부(171)가 주출로(25) 측에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부(13)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부재(2)는 외부로부터 접촉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잘못하여 상부에서부터 눌려서 밀봉부(17)를 파단할 우려도 없고, 그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도 필요 없다.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를 이용해서 내용물을 리필 하는 방법에 대해서, 내측 마개가 장착된 상태의 화장료 용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는 리필 용기(3)의 입구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리필될 화장료 용기(4)는 내측 마개(42)의 토출구(421)로부터 내용물을 주출하는 타입의 것이고, 점도가 낮은 액상 화장료를 내용물로 하기 위하여, 내측 마개 토출구(421)의 직경은 작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화장료 용기(4)에의 리필 작업의 순서는 아래와 같다. 우선, 리필 용기(3)를 뒤집어서, 캡(1)이 아래를 향한 상태로 유지하고, 뚜껑부(13)를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는, 밀봉부(17)는 폐쇄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리필 용기(3)의 내용물이 누설될 우려는 없다. 다음에,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1)의 삽입부(19) 내에 개구부(15)로부터 리필될 화장료 용기(4)의 입구 목부(41)를 삽입하고, 화장료 용기(4) 내측 마개(42)에 설치되어 있는 내측 마개 토출구(421)에 주출 노즐(23)을 삽입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와는 달리, 내측 마개를 떼어낸 상태의 화장료 용기에 리필할 경우에는 용기 입구부에, 또한, 내측 마개를 지니지 않고 용기의 입구부 선단에 직접 소구경의 토출구를 가진 용기에 리필할 경우에는 해당 토출구에 주출 노즐(23)을 삽입한다.
다음에, 화장료 용기(4) 내측 마개(42)의 천장면에 슬라이딩 부재(2)의 세장형 돌출부(211)가 접하는 상태가 될 때까지 삽입부(19) 내에 화장료 용기(4)의 입구 목부(41)를 삽입한다. 그리고, 내측 마개(42)와 슬라이딩 부재(2)의 세장형 돌출부(211)가 접하면, 또한 화장료 용기(4)의 입구 목부(41)를 삽입부(19) 내에 삽입하기 위해서 밀려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딩 부재(2)에는 입구 목부(41)에 의해 상향에의 힘이 가해지지만, 이러한 상향에의 압압이 일정 이상이 되면, 걸림홈(221a)과 걸림돌기(121)의 걸림이 빠지고, 슬라이딩 부재(2)는 더욱 위쪽으로 슬라이딩 가능해진다.
걸림홈(221a)과 걸림돌기(121)의 걸림이 빠지면, 슬라이딩 부재(2)의 이동을 방해하고 있는 것은 압압부(24)와 밀봉부(17)의 접촉뿐이기 때문에, 압압부(24)의 선단부(241)와 밀봉부(17)의 접촉 부분에 압압이 집중한다. 그리고, 그 압압이 일정 이상이 되면 밀봉부(17)의 둘레 가장자리가 접속부(172)를 남기고 파단용이부(171)로부터 파단되고, 주출구(16)가 개봉되어서 압압부(24)의 선단부(241)가 주출구(16) 내에 진입한다. 이 때, 접속부(172)를 남기고 파단용이부(171)만 파단하므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172)로 연결된 상태인 채로 밀봉부(17)가 캡(1) 내로 밀려들어간 상태로 된다. 또, 슬라이딩 부재(2)가 가장 깊게 삽입부(19)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캡(1)의 걸림돌기(121)가 슬라이딩 부재(2)의 걸림홈(22lb)에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주출구(16)의 밀봉부(17)에 의한 폐쇄는 개봉되어서 내용물이 주출 가능한 상태로 된다.
도 5(b)의 상태에서, 내용물은 해방된 주출구(16)로부터 슬라이딩 부재(2)의 주출로(25)를 통해서 리필될 용기에 주출된다(화살표 A). 이때, 리필될 용기의 공기가 빠짐으로써 내용물이 원활하게 주입되지만, 주출 노즐(23)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공기 빼기용의 공극이 만들어지도록 내측 마개(42)의 토출구(421)의 내경이 설정되어 있고, 또한, 슬라이딩 부재(2)의 천장벽(21)과 내측 마개(42)는, 세장형 돌출부(211)에 의해 밀착이 방해되기 때문에 공극이 생기고, 이러한 공극으로부터 용기 내의 공기를 빠져나가게 할 수 있으므로, 원활하게 리필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출 노즐(23)이 내측 마개(42)의 토출구(4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필이 행해지므로, 용기 본체로부터 내측 마개를 떼어낼 필요가 없고, 또한, 리필 작업 중에 화장료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잘못해서 주출구가 빠져서 내용물이 흘러나갈 염려도 없다.
다음에, 도 6 내지 도 8에 의해, 본 발명의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양상의 것과 공통이므로, 이하에서는 상위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딩 부재(2)는, 압압부(24)의 선단부(241)가 측면에서 보아서 비스듬히 형성되고, 본 도면에서는 정면측이 다른 부분에 대해서 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해서 돌출부(241a)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압부(24)의 정면측이 돌출하고 있지만, 돌출하는 것은 정면 측에 한하지 않고, 좌우의 어느 하나의 측면, 또는 배면 측의 선단에 돌출부(241a)를 돌출시켜 형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압부(24)의 선단부(241)는 거의 직선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선단부(241)는 곡선적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해도 되고, 또한, 선단부(241)의 일부 또는 전부를 파형이나 산형의 곡선에 의해 구성해서, 해당 파형 혹은 산형의 꼭때기부가 다른 부분보다도 돌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압압부(24)의 선단부(241)의 일부를 다른 부분보다도 돌출하도록 돌출부(241a)를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돌출부(241a)의 꼭때기부가 밀봉부(17)에 맞닿게 된다. 그리고 리필 작업 시에는, 해당 부분에 압압이 집중되므로, 파단용이부(171)를 보다 확실하게 파단하여, 밀봉부(17)를 개봉할 수 있다.
압압부(24)의 선단부(241)에 있어서 돌출부(241a)는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지만, 리필 작업 시 해당 돌출부(241a)가 확실히 파단용이부(171)에 맞닿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캡(1) 내에 있어서 슬라이딩 부재(2)가 둘레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러한 돌출부(241a)와 파단용이부(171)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가 어긋나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1)과 슬라이딩 부재(2)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딩 부재(2)의 회전 방지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캡(1)의 둘레벽(12)의 내주면에는, 슬라이딩 부재(2)의 회전 방지 수단으로서, 세장형 돌출부(123)가 수직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볼록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세장형 돌출부(123)의 위치나 수는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지만,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적어도 2개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슬라이딩 부재(2)에는, 둘레벽(22)의 외주면에 오목 홈부(222)가 수직방향으로 연신되도록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 홈부(222)는 캡(1)의 세장형 돌출부(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세장형 돌출부(123)가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장형 돌출부(123)가 오목 홈부(222) 내에 삽입됨으로써, 슬라이딩 부재(2)의 캡(1) 내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캡(1)의 뚜껑부(13)는, 캡(1) 측면의 둘레벽(12) 상단에 설치되어 있지만, 뚜껑부(13)의 부착 위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캡(1)의 배면 측에 마련해도 된다.
도 8(a)는, 본 실시형태의 캡(1) 내에 슬라이딩 부재(2)가 삽입되고, 밀봉부(17)가 미개봉인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부(24)의 선단부(241)는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출부(241a)에 있어서 파단용이부(171)에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리필 작업 시 슬라이딩 부재(2)를 삽입부(19) 내로 더욱 밀어넣으면, 선단부(241)의 돌출부(241a)와 파단용이부(171)의 맞닿음 부분에 압압이 집중한다. 따라서, 이러한 파단용이부(171)와 돌출부(241a)의 맞닿음 부분으로부터 파단이 개시되어, 밀봉부(17)는 개봉 상태가 된다(도 8b).
본 발명에 따른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의 캡(1)과 슬라이딩 부재(2)는, 각각을 동종 또는 다른 소재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재생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스타이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마이드 수지(나일론 등), 폴리아세탈 수지(POM), 아크릴 수지 등의 각종 합성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캡(1)에 부착되는 리필 용기의 재질에 대해서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 수지 필름으로 형성되는 파우치가 주출 노즐(23)과 같은 미세한 주출구로부터도 원활하게 주출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기에 리필되는 액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액상이면 화장료나 세제, 피부 외용제, 음료, 식품, 약품, 문방구, 잉크, 염색제, 도료 등, 각종 액체 제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이용할 수 있지만, 특히 화장료나 피부 외용제, 약품 등, 내용물이 고가인 것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를 특히 유효하게 얻을 수 있다.
1: 캡 2: 슬라이딩 부재
3: 리필 용기 본체 4: 화장료 용기
11: 밑부분 12: 둘레벽
13: 뚜껑부 14: 하부 둘레벽
15: 개구부 16: 주출구
17: 밀봉부 18: 둘레벽
19: 삽입부 21: 천장벽
22: 둘레벽 23: 주출 노즐
24: 압압부 25: 주출로
26: 세로 오목홈 41: 입구 목부
42: 내측 마개 121: 걸림돌기
122: 미끄럼 방지부 123: 세장형 돌출부
131: 누름부 132: 걸어맞춤부
141: 부착부 171: 파단용이부
172: 접속부 211: 세장형 돌출부
221a: 걸림홈 22lb: 걸림홈
222: 오목 홈부 241: 선단부
241a: 돌출부 421: 내측 마개 토출구

Claims (15)

  1. 리필될 용기의 입구 목부에 씌워져서, 리필될 용기의 입구부로부터, 또는 리필될 용기 입구부에 부착된 내측 마개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을 리필 가능한 리필 용기용 주출(注出) 구조로서, 밑부분과 해당 밑부분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둘레벽에 의해 리필될 용기의 입구 목부가 삽입가능한 삽입부를 형성하는 캡과, 천장벽과 해당 천장벽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늘어뜨린 둘레벽을 갖고, 상기 삽입부 내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캡의 밑부분에는 파단 가능한 밀봉부에 의해 폐쇄된 주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천장벽에는 상기 리필될 용기의 입구부 또는 상기 내측 마개의 토출구에 삽입가능한 주출 노즐이 세워 설치되는 동시에 천장벽의 하부면에는 압압부가 아래쪽으로 돌출 설치되며, 해당 주출 노즐로부터 압압부에 걸쳐서 주출로가 관통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딩 부재가 캡 내에 밀려 들어감으로써 상기 밀봉부에 맞닿는 압압부의 선단부가 밀봉부를 파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 가장자리에 압압에 의해 파단 가능한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파단용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의 둘레 가장자리의 일부에 상기 파단용이부보다도 두껍게 형성되어, 압압으로는 파단되지 않는 접속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가 압압에 의해 파단 가능한 필름 형태 혹은 시트 형태의 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둘레벽의 상단에는 상기 삽입부의 개구부를 밀봉하기 위한 뚜껑부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둘레벽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둘레벽 외주면에는, 서로 걸림 가능한 걸림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둘레벽 내주면에 설치된 걸림 수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볼록하게 설치된 걸림돌기이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둘레벽 외주면에 설치된 걸림 수단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해서 상하 2개소에 설치된 상기 걸림 돌기를 걸림 가능한 걸림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천장벽 상부면에는 세장형 돌출부가 볼록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주출 노즐의 외경이, 해당 주출 노즐과, 상기 리필될 용기의 입구부 또는 상기 내측 마개의 토출구 사이에 약간의 간극을 마련해서 리필 시 용기 내의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필될 용기의 입구부에 부착된 내측 마개의 토출구로부터 내용물을 리필 가능한,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선단부의 일부에 있어서, 다른 부분보다도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선단부가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부의 선단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파단용이부에 맞닿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둘레벽 내주면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의 둘레벽 외주면에는, 슬라이딩 부재의 캡 내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의 회전 방지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수단이, 캡의 둘레벽 내주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신되어 돌출 설치되는 세장형 돌출부와, 슬라이딩 부재의 둘레벽 외주면에 수직방방향으로 연신되어 오목하게 설치되어, 상기 세장형 돌출부를 장입 가능한 오목 홈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KR1020157016519A 2012-12-28 2013-11-21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KR102089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84102 2012-12-28
JPPCT/JP2012/084102 2012-12-28
PCT/JP2013/081367 WO2014103574A1 (ja) 2012-12-28 2013-11-21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9529A true KR20150099529A (ko) 2015-08-31
KR102089120B1 KR102089120B1 (ko) 2020-03-13

Family

ID=51020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519A KR102089120B1 (ko) 2012-12-28 2013-11-21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6243354B2 (ko)
KR (1) KR102089120B1 (ko)
CN (1) CN104870334B (ko)
HK (1) HK1210753A1 (ko)
TW (1) TWI609822B (ko)
WO (1) WO20141035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2904A (ja) * 2014-09-03 2016-04-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収納容器、外装容器と液体収納容器の組合体、および内容液排出方法
JP6901835B2 (ja) * 2015-08-31 2021-07-14 花王株式会社 スパウト付容器及び詰め替え方法
JP6960731B2 (ja) * 2016-12-08 2021-11-05 藤森工業株式会社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JP6194132B1 (ja) * 2017-03-21 2017-09-06 藤森工業株式会社 容器の注出用スパウト
EP3431407A1 (en) 2017-07-21 2019-01-23 Smixin SA Spout with final zo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6021U (ko) * 1986-11-27 1988-06-04
JPH06122461A (ja) * 1992-10-05 1994-05-06 Orihiro Kk 詰め替え用接続具および詰め替え用袋
JP2011016581A (ja) * 2009-06-11 2011-01-27 Masaharu Shinobe 飲料用容器
JP2012158361A (ja) * 2011-01-31 2012-08-23 Yoshino Kogyosho Co Ltd 詰め替え容器
JP2012214251A (ja) * 2011-03-31 2012-11-08 Yoshino Kogyosho Co Ltd 詰め替え容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8790B2 (ja) * 2003-01-29 2008-09-10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パウチ容器
CN201358008Y (zh) * 2008-04-14 2009-12-09 刮拉瓶盖专利有限公司 用于容器的封闭件
US8062280B2 (en) * 2008-08-19 2011-11-22 Baxter Healthcare S.A. Port assembly for use with needleless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86021U (ko) * 1986-11-27 1988-06-04
JPH06122461A (ja) * 1992-10-05 1994-05-06 Orihiro Kk 詰め替え用接続具および詰め替え用袋
JP2011016581A (ja) * 2009-06-11 2011-01-27 Masaharu Shinobe 飲料用容器
JP2012158361A (ja) * 2011-01-31 2012-08-23 Yoshino Kogyosho Co Ltd 詰め替え容器
JP2012214251A (ja) * 2011-03-31 2012-11-08 Yoshino Kogyosho Co Ltd 詰め替え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870334A (zh) 2015-08-26
HK1210753A1 (en) 2016-05-06
TWI609822B (zh) 2018-01-01
KR102089120B1 (ko) 2020-03-13
WO2014103574A1 (ja) 2014-07-03
JP6243354B2 (ja) 2017-12-06
TW201502033A (zh) 2015-01-16
JPWO2014103574A1 (ja) 2017-01-12
CN104870334B (zh)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9690B2 (en) Independent off-bottle dispensing closure
KR20150099529A (ko) 리필 용기용 주출 구조
RU2316458C2 (ru) Рычажная выдачная крышка с системой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срабатывания, использующей постоянную деформацию
EP3543165A1 (en)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refill container pouring spout and package container pouring unit
EA005752B1 (ru) Дозирующая головка с запорным клапаном
JP6250485B2 (ja) リフィル容器用注出構造と該構造を備えたリフィル容器、および該リフィル容器に液状化粧料を充填した化粧料製品
TW201343490A (zh) 再填充容器用栓構件
KR20090008046U (ko) 수동식 드롭퍼
EP3543162A1 (en) Container pouring spout
JP5121144B2 (ja) パウチ用口栓、口栓付きパウチ、および包装体
RU2732089C2 (ru) Емкость
US3467282A (en) Mixing tube
JP6736558B2 (ja) 容器注出口の封止構造
CN210556616U (zh) 瓶及其瓶盖装置
JP7446057B2 (ja) 打栓キャップ
JP6877983B2 (ja) キャップ
JP5506092B2 (ja) 詰替えパックホルダ用アダプタ
WO2023112696A1 (ja) 注出口構造、及び流動物収容容器
JP5076184B2 (ja) キャップ付き注出口体
JP2007302254A (ja) 吐出容器
JP5953041B2 (ja) 詰替え容器用栓部材
JP2012106749A (ja) 内容物充填機構
JP2007302253A (ja) 吐出容器
JP7229639B2 (ja) 吐出容器
JP4817956B2 (ja) 吐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