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685A - 속눈썹용 화장료 - Google Patents

속눈썹용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685A
KR20150098685A KR1020157021638A KR20157021638A KR20150098685A KR 20150098685 A KR20150098685 A KR 20150098685A KR 1020157021638 A KR1020157021638 A KR 1020157021638A KR 20157021638 A KR20157021638 A KR 20157021638A KR 20150098685 A KR20150098685 A KR 20150098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cosmetic
eyelashes
water
co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1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4951B1 (ko
Inventor
키리코 치바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Publication of KR20150098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2Alcohols having more than seven atoms in an unbroken ch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47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e.g. crotonic acid, (meth)acryl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유화 타입의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로서, 컬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콤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고, 양호한 볼륨감, 매끄러운 사용감이 얻어지고, 또한 온수로 지울 수 있는 화장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는 (a) 20∼30질량%의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 (b) 3∼6질량%의 보습제, 및 (c) 0.1∼0.4질량%의 폴리아크릴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d) 0.5∼6질량%의 수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속눈썹용 화장료{EYELASH COSMETIC}
본 발명은 속눈썹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특히, 콤(comb)형의 도포구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유화 타입의 마스카라 조성물로서, 컬력 및 사용감이 우수하고, 온수로 지우는 것이 가능한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마스카라는 속눈썹을 굵고 길게 하거나 컬시키거나 함으로써 눈매를 인상적으로 연출할 수 있는 주요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이다. 마스카라에는 휘발성의 유분에 왁스, 수지, 색재 등을 분산시킨 유성(油性) 타입과, 수지나 색재 등을 수성 성분에 유화 분산한 유화(乳化) 타입이 있다.
유성 타입의 마스카라는 용제 휘발후에 형성되는 피막에 의해 속눈썹의 형상을 강고하게 조절할 수 있지만, 그 피막을 지우기 위해서는 용제를 주성분으로 하는 리무버(제거액)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수중유형의 유화 타입에서는 내수성이 있으면서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고 온수로 간단하게 지울 수 있는 마스카라가 판매되어 인기를 모으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폴리비닐알콜, (메타)아크릴산 알킬을 구성단위로서 포함하는 중합체, N-비닐피롤리돈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유화 타입의 속눈썹용 화장료가 기재되고, 우수한 화장 효과의 지속성(땀 등에 대한 내수성을 포함한다)을 가지면서 물로도 용이하게 지울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수중유형의 유화 타입 마스카라는 일반적으로 아크릴계의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에멀젼이 피막 형성 성분으로서 배합되고, 도포후에 건조되어 내수성의 피막을 형성한다. 온수(또는 물)로 용이하게 지울 수 있는 마스카라에서는 수용성 고분자 등의 수용성 물질을 더 배합하지만, 이 경우, 해당 수용성 물질이 수지피막중에 봉입되므로 온수에 접촉함으로써 수지피막이 팽윤되어 풀어져서 속눈썹으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진다고 여겨지고 있다.
마스카라는 통상 브러시형 또는 콤(빗)형의 도포구를 이용하여 속눈썹에 도포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브러시형의 도포구는 속눈썹 한개한개에 마스카라액이 섬세하게 달라붙어 풍성한 느낌을 준다고 되어 있고, 종래의 유화 타입의 마스카라에는 브러시형의 도포구가 사용되고 있었다.
이에 대해서 콤형의 도포구는 속눈썹을 밑에서부터 빗어올려 아름다운 길이와 볼륨을 준다고 되며, 액부착성이 좋아 볼륨감이 우수하고, 속눈썹을 빗으로 빗은 것 같은 세퍼레이트감이 얻어진다는 특징을 갖는다.
일본 특허공개 2006-257052호 공보 국제공개 제WO2009/084343호
그러나, 종래의 수중유형의 유화 타입의 마스카라에 콤형 도포구를 이용하여 볼륨감이나 세퍼레이트감을 얻으려고 하면 도포후에 불과 수분간 방치한 것만으로 콤의 막힘이 생겨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마스카라에 배합하는 수지 에멀젼의 양을 감량함으로써 막힘은 어떤 정도 억제되지만, 충분한 컬력이 얻어지지 않게 된다. 한편, 수지 에멀젼량을 바꾸지 않고 컬력을 유지하고, 보습제를 증량함으로써도 막힘은 억제되지만, 도포후의 건조가 느려진다는 사용성의 문제가 생긴다.
또한 콤형 도포구의 빗살간격(피치)을 넓힘으로써도 막힘은 감소하지만, 콤형 도포구의 특징인 세퍼레이트 효과가 얻어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콤형 도포구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유화 타입의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로서, 컬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콤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볼륨감, 매끄러운 사용감이 얻어지고, 또한 온수로 지울 수 있는 속눈썹용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 등은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수지 에멀젼을 함유하고, 온수로 지울 수 있는 유화 타입의 마스카라에 폴리아크릴산염을 배합함으로써 콤형 도포구로 사용해도 막힘이 생기지 않고, 콤형에 특징적인 볼륨감 및 세퍼레이트감이 있는 속눈썹 메이크업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a) 20∼30질량%의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
(b) 3∼6질량%의 보습제, 및
(c) 0.1∼0.4질량%의 폴리아크릴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는 우수한 속눈썹 컬력을 발휘하는데에 충분한 양의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을 함유하고 있으면서, 소정량의 보습제 및 폴리아크릴산염을 배합함으로써 콤형 도포구에 막힘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또한, 매끄러운 사용감으로 건조도 빠르고, 속눈썹에 양호한 볼륨감을 줄 수 있음과 아울러 온수로 쉽게 씻어 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a)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성분a)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코폴리머의 에멀젼이며, 예를 들면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2-에틸헥실 및 메타크릴산으로 이루어지는 코폴리머,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부틸 및 아크릴산 2-에틸헥실로 이루어지는 코폴리머, 아크릴산 알킬/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에멀젼이어도 좋지만, 특히, 표시 명칭 「아크릴산/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에멀젼이 바람직하다.
에멀젼을 구성하는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20℃∼100℃, 바람직하게는 -5℃∼70℃의 유리전이점을 갖는 폴리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에멀젼은 1종의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2종이상의 다른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에멀젼중의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수지)의 실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에멀젼의 20∼70질량%, 바람직하게는 40∼60질량%정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으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요드졸 GH34F, 요드졸 GH810(아크조노벨(주) 제품), 다이토졸 5000A-S(다이토 카세이 고교(주) 제품), 대시코트 CG-1(다이토 카세이 고교(주) 제품) 등을 대표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의 배합량은 20∼30질량%, 바람직하게는 22∼28질량%이며,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지의 실분으로서는 5∼15질량%, 바람직하게는 8∼12질량%이다.
(b)보습제
본 발명의 화장료에 배합되는 보습제(성분b)로서는 화장료 등에 통상 배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400,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보습제(성분b)의 배합량은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성분a)의 배합량과의 비가 b:a=1:3∼1:8, 바람직하게는 1:4∼1:7,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가 되도록 조정한다. 구체적인 배합량으로서는 3∼6질량%, 바람직하게는 4∼6질량%이다. 보습제의 배합량이 3질량% 미만이면 콤의 막힘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6질량%를 초과해서 배합하면 도포후의 건조가 느려져서 사용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c)폴리아크릴산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산염(성분c)은 화장료나 의약부외품 등에 수용성 증점제로서 배합될 수 있는 폴리아크릴산의 염,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암모늄염 등이다. 폴리아크릴산염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0만∼600만정도의 분자량을 갖는 것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크릴산염은 시판품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완전 중화물(나트륨염)로서는 아론비스 SX(분자량 400만∼500만), 아론비스 MX(분자량 200만∼300만) 등을 들 수 있고, 부분 중화물로서는 아론비스 AHX 등을 들 수 있다(모두, 도아 고세이(주) 제품).
본 발명의 화장료에 있어서의 폴리아크릴산염의 배합량은 0.1∼0.4질량%, 바람직하게는 0.15∼0.3질량%이다. 폴리아크릴산염의 배합량이 0.1질량% 미만이면 콤의 막힘이 일어나기 쉬워지고, 0.4질량%를 초과해서 배합하면 도포후의 건조가 느려져서 사용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는 온수로 씻어 낼 수 있는 타입의 화장료이며, 상기 필수성분(a∼c)에 추가해서 (d)수용성 고분자(폴리아크릴산염 이외) 등의 수용성 물질을 배합할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알콜(PVA) 등의 합성 수용성 고분자, 아라비아검, 트라간트검, 가라크탄, 구아검, 캘롭검, 카라야검, 카라기난, 펙틴, 한천, 퀸스시드(마르멜로), 알게콜로이드(갈조 엑기스), 전분(쌀, 옥수수, 감자, 밀), 글리틸리틴산, 크산탄검, 덱스트란, 석시노글루칸, 블루란, 콜라겐, 카제인, 알부민, 젤라틴 등의 천연 수용성 고분자, 카르복시메틸전분, 메틸히드록시프로필전분,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프로필렌글리콜에스테르 등의 반합성 수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물질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5∼6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질량%이다. 배합량이 6질량%를 초과하면 도포후의 건조가 느려져 사용성이 저하된다.
또한, 속눈썹용 화장료, 특히 마스카라에 통상 배합될 수 있는 다른 임의 성분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분말 성분, 액체 유지, 고체 유지, 납류,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고급 알콜,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음이온 계면활성제, 양이온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친유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친수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증점제, 금속 이온 봉쇄제, 저급 알콜, 완충제, 산화 방지제, 방부제, 소염제, 각종 추출물, 부활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는 유화 타입의 마스카라에 통상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서 제조할 수 있다. 간결하게 말하면, 유상 성분을 약 90℃로 가열해서 균일하게 혼합해서 유상A로 하고, 수상 성분 및 수지 에멀젼을 실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해서 수상B로 하고, 유상A를 교반하면서 수상B를 첨가해서 유화시키고,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는 콤형 도포구를 이용하여 도포하는데에 특히 적합하다.
콤형 도포구란 일반적으로 원기둥상 또는 다각형 기둥상 등의 축부를 갖고, 축부의 일단에 파지부, 타단에 콤부를 구비하고 있다. 콤부는 축부에 수직으로 복수의 돌기편(빗살)을 배열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도 4, 일본 특허공개 2011-4804호 공보의 도 2 등을 참조).
본 발명의 속눈썹용 화장료는 특히 콤형 도포구를 이용하여 적용함으로써 종래의 유화 타입의 속눈썹용 화장료(마스카라)에서는 얻어지기 어려웠던 볼륨감 및 세퍼레이트감을 달성할 수 있고, 또한 컬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콤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속눈썹용 화장료, 그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 및 콤형 도포구를 포함하는 속눈썹용 화장 키트도 제공한다.
실시예
이하, 구체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조금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실시예 등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이다.
하기 표 1∼4의 각 예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 타입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조제했다.
각 예에서 얻어진 마스카라 조성물에 대해서 전문 패널 10명에 의해 콤형 도포구를 사용한 실사용 시험을 실시했다. 구체적으로는 각 예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각 패널의 속눈썹에 적용하고, 속눈썹의 컬력, 액부착의 우수함(볼륨감), 매끄러움, 속눈썹 상에서의 건조의 빠름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평가기준>
(1) 「컬력」 「액부착의 우수함(볼륨감)」 「매끄러움」에 대해서
◎: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이 10명 중 7명이상.
○: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이 10명 중 5명이상 7명미만
△: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이 10명 중 3명이상 5명미만
×: 우수하다고 평가한 것이 2명이하
(2) 「건조의 빠름」에 대해서
○: 적당한 빠르기로 마르므로 사용성 양호
△ (빠르다) :도포후의 건조가 빨라서 사용하기 어렵다
△ (느리다) :도포후의 건조가 느려서 사용하기 어렵다
× (느리다) :도포후의 건조가 너무 느려서 제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다
이어서, 각 예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적용에 사용한 콤형 도포구를 실온에서 방치한 후의 막힘에 대해서 이하의 기준에 따라서 평가했다.
<평가기준>
○:막힘을 일으키지 않고,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었다.
△:막힘이 생겼지만, 간이한 처리로 제거할 수 있었다.
×:막힘을 발생시켜 재사용을 할 수 없었다.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낸 결과로부터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성분a), 보습제(성분b) 및 폴리아크릴산염(성분c)을 소정량 배합함으로써, 평가한 모든 항목에 대해서 만족할 수 있는 결과가 얻어졌다(실시예 1∼3). 또한 종래의 온수로 지울 수 있는 마스카라에 배합되어 있던 PVA를 배합하지 않는 실시예 3의 조성물도 폴리아크릴산염을 함유하고 있으로써 온수로 용이하게 지울 수 있었다. 그러나, 폴리아크릴산염의 배합량이 0.4질량%를 초과하면 도포후의 건조이 느려져 사용성이 저하되었다(비교예 1).
Figure pct00002
폴리아크릴산염을 배합하지 않는 경우, 종래의 유화 타입 마스카라에 해당되는 비교예 3보다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배합량을 줄이면 막힘은 방지할 수 있었지만 충분한 컬력이 얻어지지 않는다(비교예2), 반대로,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배합량을 증가시키면 컬력은 향상되지만 막힘을 발생시키기 쉬워지고, 도포후의 건조가 지나치게 빨라지고 매끄러움이 부족해서 사용성이 저하되었다(비교예 4 및 5). 또한 표 2의 모든 예에서 우수한 볼륨감이 얻어지지 않았다.
Figure pct00003
폴리아크릴산염을 배합하지 않는 경우, 종래 (비교예 3)보다 보습제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막힘은 방지할 수 있었지만 도포후의 건조가 매우 느려지고(비교예 6 및 7), 보습제의 배합량을 억제하면서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의 배합량을 증가시켜도 우수한 볼륨감이 얻어지지 않았다(비교예 8 및 9).
Figure pct00004
폴리아크릴산염을 배합하지 않는 경우, 종래 (비교예3)보다 수용성 고분자(PVA)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막힘은 방지할 수 있었지만, 도포후의 건조가 느려져서 충분한 컬력이 얻어지지 않았다(비교예 10 및 11).

Claims (6)

  1. (a) 20∼30질량%의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
    (b) 3∼6질량%의 보습제, 및
    (c) 0.1∼0.4질량%의 폴리아크릴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2. 제 1 항에 있어서,
    (d) 0.5∼6질량%의 수용성 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에멀젼은 실분으로서 화장료에 대해서 5∼15질량%의 아크릴산 알킬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디프로필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400, 및 글리세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크릴산염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속눈썹용 화장료와, 상기 화장료를 수용하는 용기와, 콤형 도포구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눈썹용 화장 키트.
KR1020157021638A 2013-02-19 2014-01-17 속눈썹용 화장료 KR1015949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30395A JP5681737B2 (ja) 2013-02-19 2013-02-19 睫毛用化粧料
JPJP-P-2013-030395 2013-02-19
PCT/JP2014/050789 WO2014129240A1 (ja) 2013-02-19 2014-01-17 睫毛用化粧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685A true KR20150098685A (ko) 2015-08-28
KR101594951B1 KR101594951B1 (ko) 2016-02-17

Family

ID=51391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1638A KR101594951B1 (ko) 2013-02-19 2014-01-17 속눈썹용 화장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681737B2 (ko)
KR (1) KR101594951B1 (ko)
CN (1) CN105007892A (ko)
HK (1) HK1212629A1 (ko)
TW (1) TWI533892B (ko)
WO (1) WO20141292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644A (ko) * 2020-07-31 2022-02-08 한국콜마주식회사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210437A (ja) 2016-05-25 2017-11-30 三菱鉛筆株式会社 睫毛装飾用化粧料
JP7177461B2 (ja) * 2018-04-11 2022-11-24 株式会社トキワ 水中油型睫用化粧料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941A (ja) * 1997-09-05 1999-03-23 Noevir Co Ltd マスカラ組成物
JP2006257052A (ja) 2005-03-18 2006-09-28 Kose Corp 易水洗型睫用化粧料
JP2007153743A (ja) * 2005-11-30 2007-06-21 Kanebo Cosmetics Inc 水中油型睫用化粧料
JP2008273943A (ja) * 2007-03-30 2008-11-13 Kose Corp 水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WO2009084343A1 (ja) 2007-12-27 2009-07-09 Shiseido Co., Ltd. マスカラ塗布具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97297A1 (en) * 2002-09-06 2004-10-07 Societe L'oreal, S.A. Charging/separating cosmetic makeup compositions for keratin fibers
WO2004087078A1 (ja) * 2003-03-31 2004-10-14 Shiseido Co., Ltd. まつ毛用化粧料
FR2936420A1 (fr) * 2008-09-30 2010-04-02 Oreal Composition et procede de maquillage des cils comprenant l'application de 2 compositions.
JP5631014B2 (ja) * 2010-01-29 2014-11-26 花王株式会社 まつ毛用化粧料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941A (ja) * 1997-09-05 1999-03-23 Noevir Co Ltd マスカラ組成物
JP2006257052A (ja) 2005-03-18 2006-09-28 Kose Corp 易水洗型睫用化粧料
JP2007153743A (ja) * 2005-11-30 2007-06-21 Kanebo Cosmetics Inc 水中油型睫用化粧料
JP2008273943A (ja) * 2007-03-30 2008-11-13 Kose Corp 水性メイクアップ化粧料
WO2009084343A1 (ja) 2007-12-27 2009-07-09 Shiseido Co., Ltd. マスカラ塗布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5644A (ko) * 2020-07-31 2022-02-08 한국콜마주식회사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159386A (ja) 2014-09-04
HK1212629A1 (zh) 2016-06-17
TW201438759A (zh) 2014-10-16
WO2014129240A1 (ja) 2014-08-28
KR101594951B1 (ko) 2016-02-17
JP5681737B2 (ja) 2015-03-11
CN105007892A (zh) 2015-10-28
TWI533892B (zh) 2016-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58874B (zh) 高光泽长效持妆化妆品组合物,也可用作化妆品胶粘剂
JP6481141B2 (ja) 水系液状化粧料
JP5989918B2 (ja) アートメイク用唇パック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7083753A1 (ja) 液体化粧料
KR101594951B1 (ko) 속눈썹용 화장료
JP5890962B2 (ja) 油性スタイリング化粧料
KR101060805B1 (ko) 지속성이 우수한 방수 아이메이크업 조성물
JP2014125428A (ja) 睫用化粧料
KR20180046423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8179A (ko) 유중수형 눈 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WO2012133293A1 (ja) 睫用化粧料
JP6572230B2 (ja) 毛髪ケア感覚剤
JP2009286752A (ja) 毛髪化粧料
CN107072921B (zh) 头发用油性组合物
JP5800708B2 (ja) 睫用化粧料
JP5973097B1 (ja) 睫毛化粧料
JP2017141165A (ja) 睫用化粧料
JP6144109B2 (ja) 温水で落ちる肌用下地化粧料
KR102644813B1 (ko) 고밀착 아이 메이크업 조성물
JP5295642B2 (ja) 毛髪化粧料
JP2019077659A (ja) 睫毛化粧料
KR20120089870A (ko) 신규 왁스폴리머를 함유하는 스타일링제 조성물
JP5891116B2 (ja) 睫用化粧料
JP6093202B2 (ja) スタイリング化粧料およびヘアスプレー用組成物
JP2018016591A (ja) 毛髪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