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8106A - 차례상 납골단 - Google Patents

차례상 납골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8106A
KR20150098106A KR1020140019237A KR20140019237A KR20150098106A KR 20150098106 A KR20150098106 A KR 20150098106A KR 1020140019237 A KR1020140019237 A KR 1020140019237A KR 20140019237 A KR20140019237 A KR 20140019237A KR 20150098106 A KR20150098106 A KR 20150098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owl
pedestal
housing
cine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찬석
박춘희
김경자
박병태
박기동
Original Assignee
이찬석
김경자
박춘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찬석, 김경자, 박춘희 filed Critical 이찬석
Priority to KR102014001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8106A/ko
Publication of KR2015009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1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례상 납골단에 따르면,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되, 내부 양측면 각각에 전후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납골보관부; 외벽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벽의 외측면 각각에 상기 납골보관부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납골함이 안치되는 납골외함; 및 상기 납골외함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납골외함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차례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납골함의 전방에 차례상을 차릴 수 있거나 소중한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부가 형성됨으로써, 단순한 인사가 아닌 정성드려진 예식을 갖춰 제사를 지낼 수 있고, 그로 인해, 아이들의 정서발달은 물론, 효문화를 교육할 수 있는 차례상 납골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례상 납골단{Cinerarium support table}
본 발명은 차례상 납골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납골함의 전방에 차례상을 차릴 수 있거나 소중한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부가 형성된 차례상 납골단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납골함 수납함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육면체 상자형태로 되고 전면이 개방되어 내부공간에 납골함(B)을 수납시키는 납골함 수납함(A)은 개구된 전면의 가장자리에 다수개의 볼트체결구(1)가 형성된 플랜지(2)가 형성된 상자형 몸체(3)와, 상기 개방된 전면을 커버링하는 판유리(4)와, 판유리와 몸체의 사이에 삽입되어 완충과 밀착력을 부여하기 위한는 사각 띠로 형성된 고무띠(5)와, 고무띠와 판유리의 가장자리를 누르며 몸체의 플렌지에 고정용 볼트(b)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볼트삽입구가 형성된 사각형을 이룬 밀착대(6)와, 판유리를 밀착고정시킨 밀착대의 가장자리를 덮어 장식하는 사각 커버(7)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대부분의 납골함 수납함은 납골함(B) 만을 수납할 수 있도록 납골함 수납함(A)이 좁고 깊은 내부 공간을 갖는 것이어서, 납골함(B)을 양손으로 잡아 납골함 수납함(A)의 내부 공간부로 납골함(B) 넣어 납골함(B)을 납골함 수납함(A)의 바닥면 중앙에 안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중앙부 근처에 대충 올려놓은 다음 한손으로 납골함(B)을 밀어 수납함(A)의 바닥면 중앙에 납골함(B)을 정렬하여야 하므로 납골함(B)의 안치가 매우 번거로운 정렬 작업을 수반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사를 지낼 때 납골함을 반출하여 제사를 지내고 싶으나 납골함을 반출하여 재치 할 장소가 없어 납골함을 반출할 수가 없었다.
더불어, 후술할 특허문헌 1과 같이, 납골함을 반출시키더라도, 제사를 지내기 위해서, 차례상을 올릴 수 있는 공간이 없기 때문에, 단순히 인사만하고 되돌아 오는 경우가 있어, 허무함을 느끼게도 하였다.
즉, 납골당을 찾아가 제사를 지내더라도, 납골함의 위치이동이 불편하였고, 차례상을 차릴 수 있는 공간이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520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납골함의 전방에 차례상을 차릴 수 있거나 소중한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부가 형성됨으로써, 단순한 인사가 아닌 정성드려진 예식을 갖춰 제사를 지낼 수 있고, 그로 인해, 아이들의 정서발달은 물론, 효문화를 교육할 수 있는 차례상 납골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례문화의 선진화 달성이 가능하고, 편의시설의 변화로 납골당을 찾는 자손들이 많아지게 함으로써, 아이들의 정서발달은 물론, 가족가느이 소중함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차례상 납골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례상 납골단에 따르면,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되, 내부 양측면 각각에 전후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납골보관부; 외벽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벽의 외측면 각각에 상기 납골보관부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납골함이 안치되는 납골외함; 및 상기 납골외함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납골외함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차례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는, 양쪽 끝단에 경첩으로 각각 결합되되, 상기 받침부의 상측면으로 폴딩되도록 결합된 보조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의 좌우측 폭의 1/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납골외함의 하판에 구비되고, 흑연, 칠보석, 은, 구리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수맥차단부재; 상기 납골외함의 하판 테두리를 따라 요입 형성된 수용홈에 결합되어 향기를 발산시키도록 형성된 향기부재; 및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고, 상기 향기부재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공이 관통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납골외함의 외벽 내측면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외벽의 내측면 중앙부분과, 모서리부분이 볼록하게 볼록부가 돌출형성되어, 상부에 안치되는 납골함을 고정시키는 고정패드; 및 상기 납골외함의 하판 상측면에 결합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수축되고, 외력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복귀되는 연질재질의 라텍스패드;를 더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납골함의 전방에 차례상을 차릴 수 있거나 소중한 물건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부가 형성됨으로써, 단순한 인사가 아닌 정성드려진 예식을 갖춰 제사를 지낼 수 있고, 그로 인해, 아이들의 정서발달은 물론, 효문화를 교육할 수 있는 차례상 납골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장례문화의 선진화 달성이 가능하고, 편의시설의 변화로 납골당을 찾는 자손들이 많아지게 함으로써, 아이들의 정서발달은 물론, 가족가느이 소중함을 느끼게 할 수 있는 차례상 납골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는, 종ㄹ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의 납골보관부에 삽입되는 납골외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의 결합공간에 삽입되는 차례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의 차례상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의 납골외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의 납골외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례상 납골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의 납골보관부에 삽입되는 납골외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의 결합공간에 삽입되는 차례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의 차례상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10)은, 납골보관부(11), 납골외함(20) 및 차례상(30)을 포함한다.
먼저, 납골보관부(11)는,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된다.
또한, 납골보관부(11)는, 내부 양측면 각각에 전후방향으로 돌출부(12)가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12)는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납골보관부(11)는,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납골외함(20)은, 외벽(22)과 하판(21)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방에 손잡이(24)가 형성된다.
또한, 납골외함(20)은, 외벽(22)의 외측면 각각에 납골보관부(11)의 돌출부(12)가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홈(23)이 형성된다. 이때, 슬라이딩홈(23)은 수평방향으로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납골외함(20)은, 납골보관부(11)에서 수평방향으로 전후 슬라이딩되며 삽입 또는 토출시킬 수 있다.
이때, 납골외함(20)을 슬라이딩 시키는 것은, 소정의 무게를 갖는 납골함(40)이 안치되기 때문에 용이하게 전후방향 이동시키는 동시에, 납골외함(20)을 다른 장소의 납골보관부(11)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납골외함(20)은, 상부에 납골함(40)이 안치된다.
차례상(30)은, 납골외함(2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공간(25)에 결합되되, 납골외함(20)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전방에 손잡이(31)가 형성된다.
또한, 차례상(30)은 받침부(32)와 보조받침대(33)를 포함한다.
받침부(32)는 차례를 차릴 수 있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조받침대(33)는, 받침부(32)의 양쪽 끝단에 경첩(34)으로 각각 결합되되, 받침부(32)의 상측면으로 폴딩되도록 보조받침대(33)가 결합된다.
보조받침대(33)는, 받침대의 좌우측 폭의 1/2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보조받침대(33)를 펼치면, 받침부(32)의 좌우측 폭이 2배로 길어진다. 또한, 보조받침대(33)는 외측 끝단에 경첩(34)으로 결합되어 폴딩되는 보조받침대(33)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받침대(33)의 전후길이는, 받침대의 전후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되, 받침대의 후단이 보조받침대(33)의 후단보다 보조받침대(33)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받침대의 후측 양쪽에는 보조받침대(33)가 결합공간(25)에서 토출되면 받침부(32)가 결합공간(25)으로부터 더이상 토출되지 않도록 스톱퍼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스톱퍼에 걸릴 수 있는 걸림턱이 받침대의 결합공간(25) 입구 양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의 납골외함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10)은, 수맥차단부재(50), 향기부재(60) 및 커버부(70)를 더 포함한다.
수맥차단부재(50)는, 납골외함(20)의 하판(21)에 구비되고, 흑연, 칠보석, 은, 구리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수맥차단부재(50)는 상술한 재질 외에 수맥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면 충분하므로, 상기 재질에 한정하지 않는다.
향기부재(60)는, 납골외함(20)의 하판(21) 테두리를 따라 요입 형성된 수용홈(71)에 결합되어 향기를 발산시키도록 형성된다.
또한, 향기부재(60)는 수용홈(71)에 간편하게 결합하고 교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야 하는데, 수용홈(71)에 고체 방향제가 채워지거나, 액체 상태로는 통과하지 못하고 기체상태만 통과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밀봉포장 내부에 액체 방향제가 채워질 수 있다.
커버부(70)는 수용홈(71)을 커버하고, 향기부재(60)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공이 관통형성된다.
또한, 커버부(70)는 수용홈(71)을 커버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용홈(71)에 향기부재(60)를 넣은 상태에서 상기 수용홈(71)을 밀폐시킨다.
그리고, 커버부(70)는 수용홈(71)의 상단에 억지끼움방식, 나사결합방식, 벨크로테이프 또는 본드를 이용한 접착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수용홈(71)을 밀폐시킨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의 납골외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례상 납골단(10)은, 고정패드(27) 및 라텍스패드(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고정패드(27)는, 납골외함(20)의 외벽(22) 내측면 둘레에 결합되고, 외벽(22)의 내측면 중앙부분과, 모서리부분이 볼록하게 볼록부(26)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고정패드(27)는, 상부에 안치되는 납골함(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즉, 도 5를 참조하면, 납골함(40)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그러한, 납곱함의 외형과 상관없이 중앙부와 모서리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볼록부(26)가 형성된 고정패드(27)에 의해 안정적으로 납골외함(2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패드(27)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표면에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즉, 고무재질이며, 돌기로 인해서, 납골함(40)이 미끄러짐없이 납골외함(2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납골함(40)을 납골외함(20)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시키며 안치시키는 과정에서, 볼록부(26)와 납골함(40)의 접촉면적이 점점 증가되므로 흔들림없이 정확한 위치에 납골함(40)을 안치시킬 수 있다. 또한, 납골함(40)을 납골외함(20)으로부터 빼낼때, 볼록부(26)와 납골함(40)의 접촉면적이 점점 감소되므로 안치된 납골함(40)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더불어, 납골함(40)은, 고정패드(27)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어, 납골외함(20)을 납골보관부(11)로부터 슬라이딩하며 전후방향 이동시키더라도 안치시킨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전하며 용이하게 납골외함(20)을 위치이동시킬 수 있다.
라텍스패드는, 납골외함(20)의 하판(21) 상측면에 결합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수축되고, 외력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복귀되는 연질재질인 라텍스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라텍스재질로 이루어진 라텍스패드는, 깨질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납골함(40)을 안정적으로 안치시킬 수 있는 쿠션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납골단 11: 납골보관부
12: 돌출부 20: 납골외함
21: 하판 22: 외벽
23: 슬라이딩홈 24: 손잡이
25: 결합공간 26: 볼록부
27: 고정패드 30: 차례상
31: 손잡이 32: 받침부
33: 보조받침대 34: 경첩
40: 납골함 50: 수맥차단부재
60: 향기부재 70: 커버부
71: 수용홈

Claims (4)

  1. 전면이 개구되고,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되되, 내부 양측면 각각에 전후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다수개의 납골보관부;
    외벽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벽의 외측면 각각에 상기 납골보관부의 돌출부가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홈이 형성되고, 상부에 납골함이 안치되는 납골외함; 및
    상기 납골외함의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납골외함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차례상;을 포함하는 차례상 납골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례상은,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양쪽 끝단에 경첩으로 각각 결합되되, 상기 받침부의 상측면으로 폴딩되도록 결합된 보조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받침대는, 상기 받침대의 좌우측 폭의 1/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례상 납골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외함의 하판에 구비되고, 흑연, 칠보석, 은, 구리 및 알루미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수맥차단부재;
    상기 납골외함의 하판 테두리를 따라 요입 형성된 수용홈에 결합되어 향기를 발산시키도록 형성된 향기부재; 및
    상기 수용홈을 커버하고, 상기 향기부재의 향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출공이 관통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차례상 납골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납골외함의 외벽 내측면 둘레에 결합되고, 상기 외벽의 내측면 중앙부분과, 모서리부분이 볼록하게 볼록부가 돌출형성되어, 상부에 안치되는 납골함을 고정시키는 고정패드; 및
    상기 납골외함의 하판 상측면에 결합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수축되고, 외력이 사라지면 원상태로 복귀되는 연질재질의 라텍스패드;를 더 포함하는 차례상 납골단.
KR1020140019237A 2014-02-19 2014-02-19 차례상 납골단 KR20150098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237A KR20150098106A (ko) 2014-02-19 2014-02-19 차례상 납골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9237A KR20150098106A (ko) 2014-02-19 2014-02-19 차례상 납골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106A true KR20150098106A (ko) 2015-08-27

Family

ID=5405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9237A KR20150098106A (ko) 2014-02-19 2014-02-19 차례상 납골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81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7600A (zh) * 2018-08-24 2020-03-03 江西广泉钢艺有限公司 多功能存放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57600A (zh) * 2018-08-24 2020-03-03 江西广泉钢艺有限公司 多功能存放架
CN110857600B (zh) * 2018-08-24 2021-07-06 江西广泉钢艺有限公司 多功能存放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75715A (ja) ボタン開放式化粧品ケース
KR101253099B1 (ko) 콤팩트 용기
KR200482302Y1 (ko) 서로 다른 함침부재를 갖는 이액 혼합 콤팩트 용기
KR101497815B1 (ko) 화장품 케이스
KR20150098106A (ko) 차례상 납골단
KR20180001658U (ko) 화장품 용기
JP2017095127A (ja) 多機能ボックス
KR200488601Y1 (ko) 케이크 상자
KR20130027746A (ko) 블록식 화장품 케이스
JP3209007U (ja) 携帯電話ケース
JP2005230452A (ja) 化粧用容器
KR20160115336A (ko) 반찬국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도시락 용기
KR20170003642U (ko) 탈착 가능한 거울을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JP2013111351A (ja) 化粧料容器
JP3198459U (ja) 携帯端末用ケース
CN213247312U (zh) 一种便携式移动投屏箱
JP2010184720A (ja) スライド式容器
KR200306587Y1 (ko) 김치 보관 용기
JP4953897B2 (ja) 気密コンパクト
JP4562166B2 (ja) コンパクト容器
US10384748B2 (en) Storage compartment for a personal watercraft
JP2015109897A (ja) 棺収納ケース
KR200297624Y1 (ko) 분통
KR200470671Y1 (ko) 식품용기
KR200410607Y1 (ko) 앨범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