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601Y1 - 케이크 상자 - Google Patents

케이크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601Y1
KR200488601Y1 KR2020170005059U KR20170005059U KR200488601Y1 KR 200488601 Y1 KR200488601 Y1 KR 200488601Y1 KR 2020170005059 U KR2020170005059 U KR 2020170005059U KR 20170005059 U KR20170005059 U KR 20170005059U KR 200488601 Y1 KR200488601 Y1 KR 200488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ox
cake
main
larg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50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073U (ko
Inventor
조경환
Original Assignee
조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경환 filed Critical 조경환
Publication of KR20180003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6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크가 내부에 수용되는 상자 본체; 상기 상자 본체의 상면 중앙 영역에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 손잡이; 및 상기 상자 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손잡이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자 본체에 마련되는 대형 서브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크 상자{Cake box}
본 고안은,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래 형성되어 있던 메인 손잡이 외에 메인 손잡이보다 사이즈가 큰 별도의 대형 서브 손잡이를 추가로 더 적용함으로써 손의 사이즈가 다른 여러 사람에게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케이크 상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크 상자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케이크 상자는 케이크가 내부에 수용되는 상자 본체(20)와, 상자 본체(20)의 개방된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접이식 날개 플랜지(22,23,24)를 포함한다.
상자 본체(20) 내에 케이크를 넣은 후, 상자 본체(20)의 개방된 일면을 차폐하고자 할 때는 접이식 날개 플랜지(22,23,24)의 마주보는 것부터 접은 후, 반대편의 것들을 후크 타입으로 접어 결합시키면 된다. 반대로, 상자 본체(20)의 일면을 개방할 때는 위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상자 본체(20)의 상면에는 손잡이(21)가 형성된다. 손잡이(21)는 상자 본체(20)에 접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손잡이(21)를 사용할 때는 도 1처럼 상자 본체(20)에 대해 세워서 파지하면 된다.
한편, 도 1과 같은 형태의 케이크 상자가 극히 일반적인 것이고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것인데, 이와 같은 케이크 상자에 마련되는 손잡이(21)는 실질적으로 최소한의 공간만을 허용하게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라서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어른처럼 손이 큰 사람이 도 1의 일반적인 케이크 상자의 손잡이(21)를 파지한 경우, 이 상태에서 다른 짐, 예컨대 서류가방이나 꽃 등을 함께 들고자할 때, 혹은 현관문 도어락의 키패드를 누르거나 주머니에서 소지품을 꺼내고할 할 때, 상당한 제약이 따르거나 상당히 불편할 수밖에 없다. 이는 손잡이(21)가 너무 협소하기 때문에 야기되는 상황이라는 점에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9-000759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86-0008475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1774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5-0015992호
본 고안의 목적은, 원래 형성되어 있던 메인 손잡이 외에 메인 손잡이보다 사이즈가 큰 별도의 대형 서브 손잡이를 추가로 더 적용함으로써 손의 사이즈가 다른 여러 사람에게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케이크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케이크가 내부에 수용되는 상자 본체; 상기 상자 본체의 상면 중앙 영역에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 손잡이; 및 상기 상자 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손잡이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자 본체에 마련되는 대형 서브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메인 손잡이와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는 각각 한 쌍씩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는 상기 상자 본체의 상면에서 한 쌍의 상기 메인 손잡이의 외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는 역 U자 형태의 터널 구조를 가지며,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는 상기 상자 본체의 상면에서 최외곽 라인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의 내면에 팔걸이용 자리홈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는 상기 메인 손잡이에서 상기 상자 본체의 코너(corner)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사이즈가 커지게 다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자 본체의 내측 하단에 배치되되, 상면에는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되는 케이크의 하단과 대응되도록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홈 바닥면에 홈 형상의 미끄럼 방지홈이 마련된 판 형의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본체 양측에 내측 방향으로 접혀 상기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래 형성되어 있던 메인 손잡이 외에 메인 손잡이보다 사이즈가 큰 별도의 대형 서브 손잡이를 추가로 더 적용함으로써 손의 사이즈가 다른 여러 사람에게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케이크 상자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충분히 서류가방이나 꽃 등을 함께 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관문 도어락의 키패드를 누르거나 주머니에서 소지품을 꺼내는 작업 역시 번거롭지 않게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케이크를 냉장고에 보관 시 케이크의 직경보다 큰 고정판을 분리가능하되, 케이크의 하단에 케이크의 둘레와 동일한 직경의 서브판을 구비함으로써, 케이크의 냉장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케이크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메인 손잡이를 세운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대형 서브 손잡이를 세운 상태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일측의 대형 서브 손잡이를 세운 상태의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메인 손잡이를 세운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5는 대형 서브 손잡이를 세운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100)는 원래 형성되어 있던 메인 손잡이(120) 외에 메인 손잡이(120)보다 사이즈가 큰 별도의 대형 서브 손잡이(130)를 추가로 더 적용함으로써 손의 사이즈가 다른 여러 사람에게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100)는 케이크가 내부에 수용되는 상자 본체(110)를 포함한다.
상자 본체(110)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것처럼 사각 박스(box)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케이크가 수용될 수 있다.
상자 본체(110)의 측면에는 상자 본체(110)의 측면을 개폐하는 다수의 접이식 날개 플랜지(111,112)가 마련된다. 접이식 날개 플랜지(111,112)의 구조는 도 1을 참조한다.
상자 본체(110)의 상면 중앙 영역에는 메인 손잡이(120)가 마련된다. 메인 손잡이(120)는 도 1과 같은 통상의 케이크 상자에 형성되는 손잡이(21, 도 1 참조)에 해당된다.
이러한 메인 손잡이(120)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자 본체(110)의 상면 중앙 영역에서 접철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에, 메인 손잡이(120)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처럼 접힌 상태로 두면 되고, 케이크 상자(100)를 파지하고자 할 때는 도 4처럼 메인 손잡이(120)를 세운 상태에서 손가락을 넣어 파지하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100)에는 종래(도 1)와 달리 대형 서브 손잡이(130)가 더 적용된다.
대형 서브 손잡이(130)는 상자 본체(110)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메인 손잡이(120)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케이크 상자(100)가 비뚤지 않고 바르게 파지될 수 있도록 대형 서브 손잡이(130) 역시,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대형 서브 손잡이(130)는 도시된 것처럼 상자 본체(110)의 상면에서 한 쌍의 메인 손잡이(120)의 외측에 배치된다.
즉 도 1의 종래기술을 참조하더라도 통상적인 케이크 상자에서 메인 손잡이(120)의 외측은 넓은 빈 공간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넓은 빈 공간에 대형 서브 손잡이(130)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있는 것이다.
특히, 역 U자 형태의 터널 구조를 갖는 대형 서브 손잡이(130)를 상자 본체(110)의 상면에서 최외곽 라인에 인접하게 배치할 경우, 메인 손잡이(120)의 외측 빈 공간의 활용에 유리하고 최대한 가장 큰 대형 서브 손잡이(130)를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대형 서브 손잡이(130)를 상자 본체(110)에 적용한 후, 도 2에서 도 5처럼 대형 서브 손잡이(130)를 세우게 되면 팔을 끼울 수 있을 정도로 큰 사이즈를 이룰 수 있다. 때문에 케이크 상자(100)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충분히 서류가방이나 꽃 등을 함께 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관문 도어락의 키패드를 누르거나 주머니에서 소지품을 꺼내는 작업 역시 번거롭지 않게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원래 형성되어 있던 메인 손잡이(120) 외에 메인 손잡이(120)보다 사이즈가 큰 별도의 대형 서브 손잡이(130)를 추가로 더 적용함으로써 손의 사이즈가 다른 여러 사람에게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크 상자(100)를 파지한 상태에서도 충분히 서류가방이나 꽃 등을 함께 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관문 도어락의 키패드를 누르거나 주머니에서 소지품을 꺼내는 작업 역시 번거롭지 않게 진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200) 역시, 상자 본체(110)의 상면 외곽에 한 쌍의 대형 서브 손잡이(230)가 적용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대형 서브 손잡이(230)의 내면에는 팔걸이용 자리홈(231)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앞서 기술한 것처럼 대형 서브 손잡이(230)는 팔을 끼울 수 있을 정도의 큰 사이즈를 갖는데, 이러한 대형 서브 손잡이(230)에 팔걸이용 자리홈(231)이 형성되면 팔걸이용 자리홈(231)에 팔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들지 않더라도 케이크 상자(200)를 흔들리지 않게 파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원래 형성되어 있던 메인 손잡이(120, 도 2 참조) 외에 메인 손잡이(120)보다 사이즈가 큰 별도의 대형 서브 손잡이(230)를 추가로 더 적용함으로써 손의 사이즈가 다른 여러 사람에게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300) 역시, 상자 본체(110)의 상면 외곽에 제1 및 제2 대형 서브 손잡이(330a,330b)가 적용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1 및 제2 대형 서브 손잡이(330a,330b)는 메인 손잡이(120)에서 상자 본체(110)의 코너(corner)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사이즈가 커지게 다수 개로 마련된다. 즉 제1 대형 서브 손잡이(330a)의 사이즈보다 제2 대형 서브 손잡이(330b)의 사이즈가 훨씬 크다.
이에, 팔이 얇은 초중고 학생인 경우에는 제1 대형 서브 손잡이(330a)를 세워 사용하면 되고, 팔이 두껍거나 손이 큰 어른의 경우에는 제2 대형 서브 손잡이(330b)를 세워 사용하면 된다. 물론, 제1 및 제2 대형 서브 손잡이(330a,330b)를 사용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메인 손잡이(12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원래 형성되어 있던 메인 손잡이(120) 외에 메인 손잡이(120)보다 사이즈가 큰 별도의 제1 및 제2 대형 서브 손잡이(330a,330b)를 추가로 더 적용함으로써 손의 사이즈가 다른 여러 사람에게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부분 측단면도, 도 9는 도 8에서 일측의 대형 서브 손잡이를 세운 상태의 도면, 그리고 도 10은 도 9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400)는 상자 본체(110)와, 상자 본체(110)의 중앙 영역에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는 메인 손잡이(120)와, 메인 손잡이(120)보다 사이즈가 큰 대형 서브 손잡이(4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대형 서브 손잡이(430)는 상자 본체(110)의 상면이 아닌 상자 본체(110)의 측면에 마련되며, 그 위치에서 업/다운(up/down) 동작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하다.
이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대형 서브 손잡이(430)의 적용을 위해 상자 본체(110)의 측면에는 사이드 포켓(450)이 마련된다.
사이드 포켓(450)의 내부에는 대형 서브 손잡이(430)가 승하강되기 위한 공간부(451)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이드 포켓(450)의 상부 영역의 내부에는 대형 서브 손잡이(430)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45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사이드 포켓(450)에 대형 서브 손잡이(430)가 결합된 상태에서 승하강 동작될 수 있다.
이때, 대형 서브 손잡이(430)가 사이드 포켓(450) 내로 완전히 들어가지 않도록 하면서 파지 시 손가락이나 팔을 넓은 면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431)가 대형 서브 손잡이(430)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대형 서브 손잡이(430)의 하단부에는 사이드 포켓(450)의 걸림턱(452)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스토퍼(432)가 마련된다.
스토퍼(432)가 사이드 포켓(450)의 걸림턱(452)에 걸리는 구조라서 대형 서브 손잡이(430)가 사이드 포켓(450)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대형 서브 손잡이(430)가 필요할 경우, 도 8에서 도 9 및 도 10처럼 대형 서브 손잡이(430)를 상부로 뽑아 사용하면 된다. 물론, 대형 서브 손잡이(430)를 사용하지 않거나 메인 손잡이(120)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도 8처럼 대형 서브 손잡이(430)를 사이드 포켓(450) 내에 넣어두면 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원래 형성되어 있던 메인 손잡이(120) 외에 메인 손잡이(120)보다 사이즈가 큰 별도의 대형 서브 손잡이(430)를 추가로 더 적용함으로써 손의 사이즈가 다른 여러 사람에게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500)는 상자 본체(110)와, 상자 본체(110)의 중앙 영역에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는 메인 손잡이(120)와, 케이크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판(510)을 포함한다.
고정판(510)은 상자 본체(110)의 내측 하단에 배치되도록 판 형으로 마련되되, 상면에는 상자 본체(110) 내에 수용되는 케이크(C)의 하단과 대응되도록 삽입홈(512)이 마련되며, 삽입홈(512) 바닥면에는 홈 형상의 미끄럼 방지홈(514)이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고정판(510)은 상자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케이크(C)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자 본체(110) 내측에 삽입된다.
삽입홈(512)은 고정판(510)에 고정되는 케이크(C)가 외부 흔들림에 의해 케이크(C)가 고정판(510)의 중앙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판(510)의 상면 중앙에 케이크(C)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된다.
이때, 케이크(C)의 형상이 원형일 경우 원형 홈이 형성되며, 케이크(C)의 형상이 사각형일 경우 사각형 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삽입홈(512)은 케이크의 다양한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미끄럼 방지홈(514)은 삽입홈(512)에 고정된 케이크(C)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 및 이탈되지 않도록 마찰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삽입홈(512)의 바닥면에 다양한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케이크 상자에 수용된 케이크가 케이크 상자가 흔들림에 따라 함께 흔들려 본 형상이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판에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별도의 서브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으며, 서브판 상면에 케이크가 고정된다.
이는, 케이크를 냉장 보관할 시, 고정판을 제거한 후 서브판만 분리하여 냉장고에 넣음으로써 공간활용에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크 상자(600)는 상자 본체(110)와, 상자 본체(110)의 중앙 영역에 접철 가능하게 마련되는 메인 손잡이(120)와, 케이크(C) 하단에 결합되는 고정판(510) 및 상자 본체(110) 내에서 고정판(510)을 고정시키는 고정구(610)를 포함한다.
고정구(610)는 상자 본체(110)에 삽입된 고정판(5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자 본체(110)의 양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고정구(610)는 상자 본체(110)의 내측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4면 중 3면만 절개된 상태로 마련되며, 고정구(610)의 하단이 고정판의 상면에 밀착되면서 고정판(510)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예컨대, 고정구(610)는 상단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절개되거나, 일측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만 절개된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내측 방향으로 접혀 고정판(510)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케이크 상자가 흔들림에 따라 고정판이 들썩거려 케이크의 형상을 흐트러뜨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케이크 상자 110 : 상자 본체
120 : 메인 손잡이 130 : 대형 서브 손잡이

Claims (7)

  1. 케이크가 내부에 수용되는 상자 본체;
    상기 상자 본체의 상면 중앙 영역에 접철 가능하게 형성되는 메인 손잡이; 및
    상기 상자 본체에 형성되되 상기 메인 손잡이보다 사이즈가 크게 형성되고 상기 상자 본체에 마련되는 대형 서브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손잡이와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는 각각 한 쌍씩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는 상기 상자 본체의 상면에서 한 쌍의 상기 메인 손잡이의 외측에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는 역 U자 형태의 터널 구조를 가지며,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는 상기 상자 본체의 상면에서 최외곽 라인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의 내면에 팔걸이용 자리홈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형 서브 손잡이는 상기 메인 손잡이에서 상기 상자 본체의 코너(corner) 영역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사이즈가 커지게 다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의 내측 하단에 배치되되, 상면에는 상기 상자 본체 내에 수용되는 케이크의 하단과 대응되도록 삽입홈이 마련되며, 상기 삽입홈 바닥면에 홈 형상의 미끄럼 방지홈이 마련된 판 형의 고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양측에 내측 방향으로 접혀 상기 고정판을 고정시키는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크 상자.
KR2020170005059U 2017-04-17 2017-09-26 케이크 상자 KR20048860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913 2017-04-17
KR20170001913 2017-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73U KR20180003073U (ko) 2018-10-25
KR200488601Y1 true KR200488601Y1 (ko) 2019-02-27

Family

ID=64049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5059U KR200488601Y1 (ko) 2017-04-17 2017-09-26 케이크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6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2581B1 (ko) * 2019-04-11 2020-06-15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케익 포장 용기
KR20240040672A (ko) 2022-09-21 2024-03-28 박검제 종이 소재 창 구조의 케이크 상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103Y1 (ko) * 2003-09-30 2003-12-18 허형만 케이크 받침판
KR200370719Y1 (ko) 2004-10-05 2004-12-16 이외철 케익 포장 상자
KR200470649Y1 (ko) * 2012-08-10 2014-01-10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받침판 고정용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1795Y1 (ko) 1984-12-29 1987-05-15 주식회사 금성사 한글 디스플레이의 영상 ram내용 식별회로
KR100336603B1 (ko) 1999-08-13 2002-05-16 대한민국(관리청:특허청장, 승계청:농촌진흥청장) 근적외선을 이용한 과일당도 판정방법 및 그 장치
US7223517B2 (en) 2003-08-05 2007-05-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ithographic antireflective hardmask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TW200744851A (en) 2006-04-13 2007-12-16 Toray Industries Gas barrier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103Y1 (ko) * 2003-09-30 2003-12-18 허형만 케이크 받침판
KR200370719Y1 (ko) 2004-10-05 2004-12-16 이외철 케익 포장 상자
KR200470649Y1 (ko) * 2012-08-10 2014-01-10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받침판 고정용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073U (ko) 201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4590B2 (en) Utensil carrying case
KR200488601Y1 (ko) 케이크 상자
CA2894254A1 (en) Cantilever box
US9616563B2 (en) Tool organizer
US9955806B2 (en) Combined plate and cup holder
US4788893A (en) Automobile door handle opener
US3171700A (en) Bar cabinet
US2869769A (en) Containers, such as boxes, baskets and the like
US11174082B2 (en) Child resistant lockable container
US3000685A (en) Jewel box
KR200484913Y1 (ko) 간이 의자
US10954028B1 (en) Child resistant lockable container
KR101027486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200145045A (ko) 식판용 어린이 도시락용기
KR101812504B1 (ko) 다방향 손가락삽입구가 형성된 컵의 손잡이
KR102114856B1 (ko) 위생 장갑 또는 위생백을 수납하기 위한 패키지
KR20200000376U (ko) 기립구조로 파지 및 휴대가 용이한 피자포장박스
JP3192718U (ja) 食用具の収納容器
KR20200121604A (ko) 가구 도어
JPH02220609A (ja) ワゴン
KR200306587Y1 (ko) 김치 보관 용기
JP7110514B1 (ja) 刃物ケース
KR102440955B1 (ko) 화장품 용기
JP3216886U (ja) 箸収容箱
JPS59232519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