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2581B1 - 케익 포장 용기 - Google Patents

케익 포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2581B1
KR102122581B1 KR1020190042707A KR20190042707A KR102122581B1 KR 102122581 B1 KR102122581 B1 KR 102122581B1 KR 1020190042707 A KR1020190042707 A KR 1020190042707A KR 20190042707 A KR20190042707 A KR 20190042707A KR 102122581 B1 KR102122581 B1 KR 102122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ke
wing
packaging container
folding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병천
윤서은
박병국
김소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세계푸드
Priority to KR1020190042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2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2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2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10Devices to locate articles in containers
    • B65D25/106Elements projecting into a recess or through a hole in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25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 B65D2585/36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iscuits or other bakery products specific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Abstract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는 케익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향하는 양 측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상자 몸체; 및 상자 몸체의 측벽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 날개를 포함하며, 날개는, 상자 몸체와 연결된 제1 접힘부재와, 제1 접힘부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에 고정홈이 형성된 제2 접힘부재, 및 제2 접힘부재가 제1 접힘부재를 기준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제1 접힘부재와 제2 접힘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 접힘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익 포장 용기 {CAKE PACKAGING VESSEL}
안정적인 케익 배송이 가능한 케익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념일이나 행사 등에 케익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케익은 케익 포장 용기에 담겨 배송된다. 이러한 케익 포장 용기는 케익의 하부를 지지하는 케익 받침판과, 케익 외부를 감싸 보호하는 상자 등의 포장 상자 등을 포함한다.
이 중, 케익 포장 상자로는 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종이를 사용한 조립식 종이 포장 상자를 사용한다. 이러한 포장 상자는 육면체, 타원, 원형, 등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주로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최근 온라인/오프라인 배송 시장 확대에 따라 이러한 케익의 소규모 내지 대규모 배송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육면체형 종이 케익 포장 상자를 케익 포장 용기로 사용할 경우, 종이 케익 포장 상자를 다단으로 적재하는 것 자체는 용이하나, 하단에 위치한 케익 포장 상자가 하중을 버티지 못하고 눌리거나 찌그러질 우려가 있다. 이 경우, 내부에 든 케익 또한 눌려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케익 받침판은 케익의 크기에 맞추어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데, 케익 받침판 크기에 상응하도록 다양한 케익 포장 상자를 사용할 경우, 포장 및/또는 배송 공정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케익 받침판 크기에 상응하지 못하는 경우(예컨대, 하부면이 케익 받침판보다 큰 케익 포장 상자를 사용할 경우), 케익 받침판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되지 못하므로 배송 중 케익이 케익 포장 상자 내벽과 접촉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일 구현예는 케익 받침판의 크기와 무관하게 단일화된 규격을 가지는 케익 포장 용기로서, 다단으로 쌓더라도 안정적인 케익 배송이 가능한 케익 포장 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케익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향하는 양 측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상자 몸체; 및 상기 상자 몸체의 측벽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는, 상기 상자 몸체와 연결된 제1 접힘부재; 상기 제1 접힘부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에 고정홈이 형성된 제2 접힘부재; 및 상기 제2 접힘부재가 상기 제1 접힘부재를 기준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접힘부재와 상기 제2 접힘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 접힘선을 포함하는, 케익 포장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접힘부재와 상기 제2 접힘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접힘선과 평행한 보조 접힘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접힘선은 2 이상이 상기 제1 접힘부재와 상기 제2 접힘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힘부재의 가로 길이는 상기 제1 접힘부재의 가로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접힘부재는 하단 모서리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절단선과, 상기 한 쌍의 절단선을 잇는 수평 절단선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한 쌍의 수직 절단선 및 상기 수평 절단선에 의해 개구되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접힘부재는 하단 모서리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절단선과, 상기 한 쌍의 절단선을 잇는 수평 접힘선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수평 접힘선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절단선 사이를 절첩하여 형성되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 접힘부재의 가로 방향을 따라 2 이상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2 접힘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보조 고정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개방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2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날개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상자 몸체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3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날개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개방부를 사이에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4 날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자 몸체의 상부 모서리, 하부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덮개는 상기 상부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 중 어느 하나에는 연결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 돌기가 끼워지도록 하나 이상의 연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자 몸체 내부로 수용되는 케익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익 받침대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 상부면에 위치되고, 상기 받침판 상부면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고정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은 상기 받침판 상부면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면적은 상기 받침판 상부면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고정판은 개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는 케익 받침판의 크기와 무관하게 단일화된 규격을 가지므로, 크기가 다양한 케익 및/또는 케익 받침판을 사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케익 배송이 가능하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는 다단으로 적재되더라도 구조적 강성의 보강에 의해 외형적인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바, 안정적인 케익 배송이 가능하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에서 날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날개에 의해 고정된 케익 받침대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도 2에 개시된 날개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에서 복수의 날개 간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지는 케익 받침대를 다수의 날개를 이용하여 고정한 예시들이고,
도 12 내지 도 1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에서 케익 받침대의 다양한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은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익 포장 용기(10)는 상자 몸체(100), 날개(200), 덮개(300), 및 상기 상자 몸체(100) 내부의 빈 공간으로 수용되는 케익 받침대(400)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상자 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케익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자 몸체(100) 내 빈 공간은 상자 몸체(100) 양 측부의 개방부(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00)의 양 측부에는 각각 한 쌍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개방부는 후술할 덮개(300)에 의해 덮여 폐쇄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자 몸체(100)는 케익 받침대(400) 및/또는 케익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판, 하부판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개방부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양 측부를 덮도록 절첩되어진 한 쌍의 측벽, 및 상기 한 쌍의 측벽과 각각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부판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상부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하부판과 상부판은 서로 상응하는 면적을 구비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자 몸체(100)는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일 구현예가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판, 상부판, 및 이로 인해 구성되는 상자 몸체의 입체적 형상이 다른 다양한 형상들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상부판과 하부판의 형상이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각형이나 원형, 타원형 등의 형상 중에서 서로 상이하게 구성되도록 선택될 수도 있고, 상부판과 하부판 면적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상자 몸체(1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종이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단, 일 구현예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플라스틱 등 알려진 공지의 포장 용기용 소재들로 이루어져 있을 수도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이 상자 몸체(100)의 상부판에는 손잡이 형성용 절개선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 형성용 절개선은 몸체(100) 상부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포개어지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몸체의 상부판으로부터 절첩 가능한 상부 손잡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자 몸체(100)는 적어도 내부에 수용될 케익의 높이 및 폭 보다 큰 가로, 세로 길이를 가지며, 케익의 높이와 케익 받침대(400)의 두께를 합한 길이보다 큰 높이를 가진다. 배송 중 상자 몸체(100)와 케익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자 몸체(100) 내벽과 수용된 케익 간에는 소정의 간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정의 간격은 케익 및/또는 케익 받침대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날개(200)는 상자 몸체(100)의 측벽 모서리와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날개(200)는 상자 몸체(100)의 측벽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날개(200)는 상자 몸체(100)의 측벽 모서리를 고정축으로 하는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날개(200)는 상자 몸체(100)의 외측벽을 향해 젖혀질 수도 있고, 개방부(110)를 일부 또는 전부 덮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개방부(110)를 통해 상자 몸체(100)의 내측벽을 향해 상자 몸체(100) 내부로 일부 또는 전부 수용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날개(200)의 가로 길이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나, 개방부(110)의 가로 길이를 초과하지는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200)의 가로 길이는, 예를 들어 개방부(110)의 가로 길이 이하, 예를 들어 개방부(110)의 가로 길이의 절반 이하로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날개(200)의 가로 길이가 개방부(110)의 가로 길이 이하일 경우, 날개(200) 일부 또는 전부를 상자 몸체(100) 내부로 접어 수용하기 용이하다.
도 2는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에서 날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일 구현예에서, 날개(200)는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갖는 케익 받침판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접힘부재(210), 제2 접힘부재(230), 및 수직 접힘선(220)을 포함한다.
제1 접힘부재(210)는 상자 몸체(100)의 측벽 모서리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고, 제2 접힘부재(230)는 제1 접힘부재(210)와 연결된 부분이자 날개(200)의 끝단을 포함하는 부분이며, 수직 접힘선(220)은 제1 접힘부재(210)와 제2 접힘부재(230) 사이를 절첩 가능하게 해 주는 부분이다.
일 구현예에서, 제1, 제2 접힘부재(210, 230)의 가로 길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 단, 제2 접힘부재(230)의 절첩을 통해 케익 받침대(400)가 제2 접힘부재(230)와 접촉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제2 접힘부재(230)의 가로 길이는 제1 접힘부재(210)의 가로 길이 이상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2 접힘부재(230)는 하단에 고정홈(23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홈(2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자 몸체(100) 내부로 수용되는 케익 받침대(400)의 모서리를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2 접힘부재(230)는 하단 모서리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절단선과, 상기 한 쌍의 절단선을 잇는 수평 절단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홈(231)은 상기 한 쌍의 수직 절단선과 수평 절단선에 의해 개구되어진 것일 수 있다.
단, 일 구현예에 따른 고정홈(231)의 형성 방법이 전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2 접힘부재(230)가 하단 모서리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절단선과, 상기 한 쌍의 절단선을 잇는 수평 접힘선을 포함하며, 고정홈(231)이 상기 수평 접힘선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절단선 사이를 절첩함으로써 형성되어진 것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홈(231)은 제2 접힘부재의 가로 방향을 따라 2 이상, 예를 들어 3 이상, 예를 들어 4 이상, 예를 들어 5 이상 배열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다수의 고정홈(231) 각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절단 개구홈일 수도 있고, 절첩에 의해 임시적으로 개구가 형성된 홈 일수도 있으며,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날개에 의해 고정된 케익 받침대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접힘부재(210)는 상자 몸체(100)의 측벽 모서리와 약 60 도 내지 90 도의 각을 이루도록 절첩될 수 있고, 제2 접힘부재(230)는 끝단이 상자 몸체(100) 내측벽을 향하도록, 예컨대 끝단이 내측벽에 접촉하도록 제1 접힘부재(210)로부터 절첩될 수 있다.
또한, 제1 접힘부재(210)와 제2 접힘부재(230)는 상기 상자 몸체(100)의 상부판, 하부판과 각각 접촉하여 상부판과 하부판을 각각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일 구현예에 따른 날개(200)는 제2 접힘부재(230) 하단에 형성된 고정홈(231)을 이용하여 케익 받침대(400)의 모서리를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뿐만 아니라, 제1 접힘부재(210) 및 제2 접힘부재(230)를 상자 몸체(100) 내부로 접어 상부판과 하부판을 지지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힘부재(210) 및 제2 접힘부재(230)를 통해 상자 몸체(100) 상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예컨대 케익 받침대(400)가 상자 몸체(100)의 하부판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더라도 고정홈(231)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다만, 일 구현예에 따른 제1 접힘부재(210), 제2 접힘부재(230)의 절첩에 의한 배치관계가 반드시 도 3의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 제2 접힘부재(210, 230)에 의한 상자 몸체(100)의 하중 분산 기능 및 고정홈(231)을 통한 케익 받침대(400)의 고정이 가능하다면, 상자 몸체(100)의 측벽 모서리, 및 수직 접힘선(220)에 의해 절첩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조합하여 제1, 제2 접힘부재(210, 230)의 접힌 형태를 달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 접힘부재(210)를 상자 몸체(100)의 내측벽에 가깝도록, 예를 들어 내측벽에 접촉하도록 절첩시키면서 제2 접힘부재를 상자 몸체(100)의 내측벽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절첩시키도록 배치할 수도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도 2에 개시된 날개의 다양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변형예에서, 날개(200)는 제1 접힘부재(210)와 제2 접힘부재(230)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고, 수직 접힘선(220)과 평행한 보조 접힘선(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접힘선(221)은 2 이상이 제1 접힘부재(210)와 제2 접힘부재(230)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접힘선(221)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 개로 구성되어 제1, 제2 접힘부재(210, 230) 모두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고, 제1, 제2 접힘부재 중 어느 하나에만 하나 이상의 보조 접힘선이 위치할 수도 있다.
보조 접힘선(221)은 절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새로운 고정축으로 작용하므로, 보조 접힘선(221)은 제1, 제2 접힘부재(210, 230)가 상자 몸체(100) 내부로 접혀 들어하는 형태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접힘선(221)은 상자 몸체(100) 하부면 면적, 케익 받침대(400)의 면적, 제1, 제2 접힘부재(210, 230) 각각의 가로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가능하다.
한편, 다른 일 변형예에서, 날개(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힘부재(230)의 상단에 형성된 보조 고정홈(232)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고정홈(232)은 상자 몸체(100)의 상하를 반전시켜 사용할 경우 케익 받침대(400)의 모서리를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고정홈(232)을 이용하면 상자 몸체(100)의 상/하 방향을 맞추어 사용할 필요 없이 고정홈(231) 또는 보조 고정홈(232)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케익 받침대(400)를 고정할 수 있다.
보조 고정홈(232)은 전술한 고정홈(231)에 상응하는 위치에, 고정홈(231)과 상응하는 형상 및/또는 수량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단, 보조 고정홈(232)의 형성 위치, 형상, 수량 등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예컨대 고정홈(231)과 다른 형성 위치, 형상, 수량 등을 갖도록 조절함으로써 고정홈(231)과 다른 규격/종류의 케익 받침대(400)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10)는 예컨대 2 이상, 예컨대 3 개 이상, 예컨대 4 개의 날개(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날개(200)는 상자 몸체(100)의 서로 다른 측벽 모서리로부터 각각 절첩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에서 복수의 날개 간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구현예에서, 날개(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날개(200a), 및 제1 날개(200a)와 개방부(11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2 날개(20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날개(200)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날개(200a), 및 제1 날개(200a)와 상자 몸체(100)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3 날개(200c)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날개(20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날개(200a), 및 제1 날개(200a)와 개방부(110)를 사이에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4 날개(200d)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10)는 상기 제1, 제2, 제3, 제4 날개(200a, 200b, 200c, 200d) 중 적어도 2 이상, 적어도 3개 이상, 또는 4 개 모두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제1, 제2, 제3, 제4 날개(200a, 200b, 200c, 200d)는 각각 전술한 제1 접힘부재(210a, 210b, 210c, 210d), 제2 접힘부재(230a, 230b, 230c, 230d) 및 수직 접힘선(220a, 220b, 220c, 220d)을 가지므로, 고정홈(232a, 232b, 232c, 232d)을 이용하여 각각 케익 받침대(400)의 모서리를 끼워 고정할 수 있다.
2 이상의 날개(200)를 이용하면 케익 받침대(4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2 이상의 날개(200)가 상자 몸체(100) 내부로 접혀 들어가기 때문에 상자 몸체(100) 상부의 하중 분산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다양한 크기 및/또는 형상을 가지는 케익 받침대를 다수의 날개를 이용하여 고정한 예시들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10)는 전술한 제1 내지 제4 날개(200a, 200b, 200c, 200d)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며, 각 날개들은 모두 전술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자 몸체(100) 내부로 접혀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자 몸체(100)의 하부면 대비 많이 작은 면적을 가지는 케익 받침대(400)를 사용하더라도 전술한 제1 내지 제4 날개(200a, 200b, 200c, 200d)를 통해 네 모서리를 균형있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전술한 도 9 대비 큰 면적을 갖는 케익 받침대(400')를 사용할 경우, 제1 내지 제4 날개(200a, 200b, 200c, 200d) 중 어느 한 날개만을 상자 몸체(100) 내부로 사용하고, 나머지 날개들은 개방부(110)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전술한 도 9 및 도 10과는 다른 원형의 케익 받침대(400")를 사용할 경우, 제1 내지 제4 날개(200a, 200b, 200c, 200d)를 모두 전술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상자 몸체(100) 내부로 접혀 들어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원형의 케익 받침대(400")는 모서리가 없어 각 고정홈(232a, 232b, 232c, 232d)에 의해 끼워지지는 않으나, 제2 접힘부재(230a, 230b, 230c, 230d) 하단과 각각 접촉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덮개(300)는 전술한 상자 몸체(100)의 개방된 측부를 덮어 폐쇄할 수 있다. 덮개(300)는 상자 몸체(100)의 상부 모서리, 하부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 예를 들어 상자 몸체(100)의 상부 모서리, 하부 모서리 각각과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덮개(300)는 개방부(110)를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도록 2종의 덮개, 구체적으로 상부 덮개(310)와 하부 덮개(320)를 포함한다. 상부 덮개(310)는 상자 몸체(100) 상부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부 덮개(320)는 상자 몸체(100) 하부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부 덮개(310)와 하부 덮개(320)는 서로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 덮개(310)와 하부 덮개(320) 중 어느 하나에는 연결 돌기(330)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 돌기가 끼워지도록 하나 이상의 연결홈(34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부(110)를 덮도록 하부 덮개(320)를 먼저 상자 몸체(100) 하부면으로부터 수직 절첩시킨 다음, 상부 덮개(310)를 하부 덮개(320)에 포개지도록 절첩시키면서 연결 돌기(330)를 연결홈(340)에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상부 덮개(310) 끝단에 연결 돌기(330)가, 상기 연결 돌기(330)에 포개어지는 하부 덮개 면에 연결홈(340)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연결 돌기(330)와 연결홈(340)의 형성 위치나 형상, 수량 등이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케익 받침대(400)는 케익이 놓여질 수 있도록 상부면이 비교적 편평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케익 받침대(400)는 놓여진 케익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자 몸체(100) 내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 및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3은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에서 케익 받침대의 다양한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구현예에서, 케익 받침대(400)는 받침판(410)과 고정판(420)을 포함한다.
받침판(410)은 편평한 상부면을 가지며 케익의 하중을 지지한다. 받침판(410)은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종이, 플라스틱, 또는 이들의 조합 등으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받침판(410)은 놓여진 케익 하부면이 잔류하지 않도록 비교적 평활한, 예를 들어 다소 미끄러운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받침판(410)은 케익 하부면의 잔류를 막기 위하여 적어도 상부면에 케익과의 접착력이 낮은 물질로 이루어진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받침판(410)으로는 공지된 케익 받침대를 활용할 수 있다.
고정판(420)은 받침판(410) 상부면에 위치되되, 상기 받침판 상부면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가질 수 있다. 고정판(420)은 비교적 평활하고 다소 미끄러운 받침판(410) 표면에 비해 높은 마찰계수를 가지므로, 케익이 배송 중 미끄러지지 않고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시켜 줄 수 있다.
상기 고정판(420)은 받침판(410) 상부면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되, 고정판의 면적은 받침판(410) 상부면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받침판(410) 상부면을 모두 고정판(420)으로 덮는 것보다 케익 받침대(400)에 잔류하는 케익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고정판(420)은 소정의 개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개구 패턴을 이용하면 고정판(420)의 케익 위치 고정 기능을 발현하면서도, 고정판(420)과 케익 하부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케익 받침대(400)에 잔류하는 케익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상기 개구 패턴의 형상, 수량 등은 고정판(420)의 구체적인 형상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420)이 별 형상으로 형성되고, 개구 패턴 또한 고정판(420) 보다 작은 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420')이 물결모양의 모서리를 갖는 팔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구 패턴(421')은 사각형, 작은 원, 큰 원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판(420)의 구체적인 형상과 개구 패턴의 형상, 수량 등은 고정판(420)의 케익 위치 고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구매자의 취향이나 심미성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10)는 크기, 형상 등이 다양한 케익 받침대(400)를 이용하더라도 날개(200)를 이용하여 상자 몸체(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케익 받침대(400)의 크기나 형상 등에 따라 상자 몸체 크기를 달리하지 않더라도 안정적인 케익 배송이 가능하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익 포장 용기는 날개(200)를 몸체 내부로 접어 상부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다단으로 적재되더라도 구조적 강성의 보강에 의해 외형적인 변형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케익 배송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케익 포장 용기
100: 상자 몸체 110: 개방부
200 (200a, 200b, 200c, 200d): 날개
210 (210a, 210b, 210c, 210d): 제1 접힘 부재
220 (220a, 220b, 220c, 220d): 수직 접힘선
221: 보조 접힘선
230 (230a, 230b, 230c, 230d): 제2 접힘 부재
231 (231a, 231b, 231c, 231d): 고정홈
232: 보조 고정홈 300: 덮개
310: 상부 덮개 320: 하부 덮개
330: 연결 돌기 340: 연결홈
400: 케익 받침대 410: 받침판
420: 고정판 421: 개구 패턴

Claims (16)

  1. 케익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향하는 양 측부에 개방부가 형성된 상자 몸체; 및
    상기 상자 몸체의 측벽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날개는,
    상기 상자 몸체와 연결된 제1 접힘부재;
    상기 제1 접힘부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하단에 고정홈이 형성된 제2 접힘부재;
    상기 제2 접힘부재가 상기 제1 접힘부재를 기준으로 절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접힘부재와 상기 제2 접힘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수직 접힘선; 및
    상기 제1 접힘부재와 상기 제2 접힘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접힘선과 평행한 보조 접힘선;
    을 포함하는, 케익 포장 용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보조 접힘선은 2 이상이 상기 제1 접힘부재와 상기 제2 접힘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하는, 케익 포장 용기.
  4. 제1항에서,
    상기 제2 접힘부재의 가로 길이는 상기 제1 접힘부재의 가로 길이 이상인, 케익 포장 용기.
  5. 제1항에서,
    상기 제2 접힘부재는
    하단 모서리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절단선과, 상기 한 쌍의 절단선을 잇는 수평 절단선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한 쌍의 수직 절단선 및 상기 수평 절단선에 의해 개구되어진 것인, 케익 포장 용기.
  6. 제1항에서,
    상기 제2 접힘부재는
    하단 모서리로부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수직 절단선과, 상기 한 쌍의 절단선을 잇는 수평 접힘선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홈은 상기 수평 접힘선을 따라 상기 한 쌍의 절단선 사이를 절첩하여 형성되어진 것인, 케익 포장 용기.
  7. 제1항에서,
    상기 고정홈은 상기 제2 접힘부재의 가로 방향을 따라 2 이상 배열되어 있는, 케익 포장 용기.
  8. 제1항에서,
    상기 제2 접힘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보조 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케익 포장 용기.
  9. 제1항에서,
    상기 날개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개방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2 날개;
    를 포함하는, 케익 포장 용기.
  10. 제1항에서,
    상기 날개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상자 몸체의 측벽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제3 날개;
    를 포함하는, 케익 포장 용기.
  11. 제1항에서,
    상기 날개는, 제1 날개; 및
    상기 제1 날개와 상기 개방부를 사이에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제4 날개;
    를 포함하는, 케익 포장 용기.
  12. 제1항에서,
    상기 상자 몸체의 상부 모서리, 하부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개방부를 덮을 수 있는 덮개를 포함하는, 케익 포장 용기.
  13. 제12항에서,
    상기 덮개는 상기 상부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모서리와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된 하부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덮개와 상기 하부 덮개 중 어느 하나에는 연결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연결 돌기가 끼워지도록 하나 이상의 연결홈이 형성되는, 케익 포장 용기.
  14. 제1항에서,
    상기 상자 몸체 내부로 수용되는 케익 받침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케익 받침대는, 받침판; 및 상기 받침판 상부면에 위치되고, 상기 받침판 상부면보다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고정판;
    을 포함하는, 케익 포장 용기.
  15. 제14항에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받침판 상부면에 포개어지도록 위치되되,
    상기 고정판의 면적은 상기 받침판 상부면 면적보다 작은, 케익 포장 용기.
  16. 제14항에서,
    상기 고정판은 개구 패턴을 포함하는, 케익 포장 용기.
KR1020190042707A 2019-04-11 2019-04-11 케익 포장 용기 KR102122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707A KR102122581B1 (ko) 2019-04-11 2019-04-11 케익 포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2707A KR102122581B1 (ko) 2019-04-11 2019-04-11 케익 포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2581B1 true KR102122581B1 (ko) 2020-06-15

Family

ID=7108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707A KR102122581B1 (ko) 2019-04-11 2019-04-11 케익 포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2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854A (ko) * 2021-05-07 2022-11-15 루트아이디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개량형 조립식 케익상자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756Y1 (ko) * 2004-12-28 2005-05-09 박기수 케이크 상자
KR20120003788U (ko) * 2010-11-22 2012-06-01 씨제이제일제당 (주) 케익받침 고정용 케익박스
KR20180003073U (ko) * 2017-04-17 2018-10-25 조경환 케이크 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3756Y1 (ko) * 2004-12-28 2005-05-09 박기수 케이크 상자
KR20120003788U (ko) * 2010-11-22 2012-06-01 씨제이제일제당 (주) 케익받침 고정용 케익박스
KR20180003073U (ko) * 2017-04-17 2018-10-25 조경환 케이크 상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1854A (ko) * 2021-05-07 2022-11-15 루트아이디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개량형 조립식 케익상자 구조
KR102602732B1 (ko) * 2021-05-07 2023-11-16 루트아이디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개량형 조립식 케익상자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703Y1 (ko) 포장상자
US7325718B2 (en) Portable food dispenser
EP1799567B1 (en) Pizza box
US11325747B2 (en) Bulk container with interlocking features
US8844798B2 (en) Dual reclosable dispenser carton
CA2721267C (en) Polygonal tray having reinforced corners
CA2867256C (en) Container with inclined walls, stacking tabs and reinforced corners
AU712036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s
US20140262932A1 (en) Container assembly including a pop-up pocket component
EP2755897B1 (en) Economically improved plastic bottle and package system
JPH03124550A (ja) 折り曲げ形成可能な輸送用コンテナ
KR102122581B1 (ko) 케익 포장 용기
KR101010242B1 (ko) 용기
JP3200776U (ja) 食品包装用容器
KR102035460B1 (ko) 포장용 종이 박스
KR20120117173A (ko) 포장상자
US20220153493A1 (en) Tray cover
EP3759026B1 (en) Carton
US8381968B2 (en) Convertible food tray
RU178006U1 (ru) Упаковка для яиц
US20230015782A1 (en) Folding box
JP3342682B2 (ja) 主に業務用のプラスチック製卵容器
CA3238302A1 (en) Containers, blanks for containers and methods for forming containers and packaging product
KR20200120885A (ko) 개별포장용기 및 이를 적용한 과일 포장용기 조립체
WO2015002102A1 (ja) 容器収納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