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913Y1 - 간이 의자 - Google Patents

간이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913Y1
KR200484913Y1 KR2020170000413U KR20170000413U KR200484913Y1 KR 200484913 Y1 KR200484913 Y1 KR 200484913Y1 KR 2020170000413 U KR2020170000413 U KR 2020170000413U KR 20170000413 U KR20170000413 U KR 20170000413U KR 200484913 Y1 KR200484913 Y1 KR 2004849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user
receiving
edge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0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윤
이원구
Original Assignee
이지윤
이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윤, 이원구 filed Critical 이지윤
Priority to KR2020170000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47C13/005Modular s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8Mattress hand-straps, hand-gr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622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 A47C7/626Receptacles, e.g. cup holders, storage containers directly under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간이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중공의 수납공간을 가진 원기둥 형상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제1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부에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제2수용홈이 형성된 등받침부; 및 상기 제2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옆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필요시 등받침과 옆받침을 몸체부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오랜 시간 앉아 있더라도 피곤함을 경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이 의자{CHAIR}
본 고안은 간이 의자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도록 가변가능한 간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과 같은 장소에서 사람들이 모였을 시 앉을 수 있는 간이(簡易) 의자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도록 출시된 바 있다.
특히, 식당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는 공간을 절약하고자 사용자의 짐이나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드럼형태의 간이 의자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드럼형태의 간이 의자는 술에 취하거나 몸을 가누기 힘든 장애인 또는 앉는 중심을 잡기 어려운 아이 등이 몸을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387호(2012.05.25. 등록)는 간이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387호(2012.05.25. 등록)는 등받침이 마련되지 않아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오랜 시간 착석에 의해 허리 등의 신체에 무리가 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152387 B1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등받침과 옆받침의 사용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선택가능한 간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기둥형상의 의자로부터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슬라이딩을 통해 의자 사용자의 등뿐만 아니라 측부까지 받칠 수 있는 간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몸을 가누기 힘든 사용자가 착석하더라도 몸을 지지함으로써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간의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는, 중공의 수납공간을 가진 원기둥 형상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제1수용홈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제1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부에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제2수용홈이 형성된 등받침부; 및 상기 제2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옆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에 있어서, 상기 옆받침부는 상단 일부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등받침부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내부의 상기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에 있어서, 상기 옆받침부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사용자의 측부를 지지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옆받침부가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몸체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벅지를 회피하도록 마련된 회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침부는 상기 옆받침부가 돌출되면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에 걸려 하방으로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은 필요시 등받침과 옆받침을 몸체부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오랜 시간 앉아 있더라도 피곤함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신체를 등 부분과 측부를 동시에 지지가 가능하므로, 몸을 가누기 어려운 사용자라 할지라도 몸을 올바르게 지탱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등받침과 옆받침을 설치가능하므로, 미사용시 등받침과 옆받침을 몸체부에 숨김으로써 공간의 절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2의 (b)는 도 2의 (a)의 간이 의자에서 옆받침부가 펼쳐진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평면도이다.
도 3의 (b)는 도 3의 (a)의 간이 의자에서 옆받침부가 펼쳐진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의 (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며, 도 2의 (b)는 도 2의 (a)의 간이 의자에서 옆받침부가 펼쳐진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고, 도 3의 (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평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의 간이 의자에서 옆받침부가 펼쳐진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는 몸체부(100)와, 등받침부(200) 및 옆받침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00)는 중공의 수납공간(110)을 가진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몸체부(100)는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두께의 제1수용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용홈(120)은 후술하는 등받침부(200)가 수용될 수 있다. 제1수용홈(120)은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즉, 제1수용홈(120)은 몸체부(100)의 수납공간(110)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제1수용홈(120)과 수납공간(110) 사이에는 서로의 공간을 구분하는 격벽(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몸체부(100)의 상면에는 뚜껑(130)이 배치될 수 있다. 뚜껑(130)은 몸체부(100)의 상면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커버할 수 있다. 즉, 뚜껑(130)은 몸체부(100)의 수납공간(110)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개폐가능하다. 이때, 사용자는 뚜껑(130)을 개폐함으로써,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물건이나 외투 등을 몸체부(100)에 형성된 수납공간(110)에 수납 또는 인출할 수 있다.
등받침부(200)는 몸체부(100)의 제1수용홈(120)에 수용될 수 있다. 등받침부(200)는 제1수용홈(120)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등받침부(200)는 몸체부(10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제1수용홈(120)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즉, 등받침부(200)는 제1수용홈(120)의 외부를 향하여 상단 일부가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상방으로 잡아당겨질 수 있다. 이때, 등받침부(200)의 상하방향의 높이는 몸체부(100)의 상하방향의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등받침부(200)가 몸체부(100)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후술하는 옆받침부(300)가 설치될 때, 등받침부(200)의 하단 일부는 제1수용홈(120)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등받침부(200)는 전체가 제1수용홈(1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수용홈(120)에 수용된 하단 일부에 턱과 같은 이탈 방지 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등받침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 조절 수단(미도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등받침부(200)는 내부에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제2수용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수용홈(210)에는 후술하는 옆받침부(300)가 수용될 수 있다. 등받침부(200)는 후술하는 옆받침부(300)가 등받침부(200)의 측부를 향해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면, 옆받침부(300)가 몸체부(100)의 가장자리에 걸려 하방으로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다.
옆받침부(300)는 등받침부(200)로부터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옆받침부(300)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등받침부(200)의 제2수용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수용홈(210)으로부터 돌출됨에 따라, 사용자의 측부는 지지될 수 있다. 즉, 옆받침부(300)는 제2수용홈(210)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옆받침부(300)는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받침부(200)의 제2수용홈(210)과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옆받침부(300)는 제2수용홈(210)에 최대한 수용될 때, 등받침부(200)의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른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등받침부(200)가 몸체부(100)의 제1수용홈(120)에 수용될 때, 옆받침부(300)는 등받침부(200)가 제1수용홈(120)에 수용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옆받침부(300)가 제2수용홈(210)에 완전히 수용된 경우, 사용자는 옆받침부(300)를 등받침부(200)로부터 인출 및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옆받침부(300)는 상단에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손잡이(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310)는 등받침부(200)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310)를 잡아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제2수용홈(2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옆받침부(300)는 몸체부(100)의 가장자리 또는 제2수용홈(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옆받침부(300)는 날개부(320)와 회피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날개부(320)는 옆받침부(300)의 측부의 상부에서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측부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옆받침부(300)의 측부의 하부는 날개부(320)를 제외한 회피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옆받침부(300)가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등받침부(200)로부터 돌출되며 슬라이딩함에 따라 옆받침부(300)는 사용자의 허벅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이 방해받을 수 있는데,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회피부(330)에 사용자의 허벅지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옆받침부(300)가 사용자의 허벅지를 회피하여 온전한 설치가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불편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작동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는 중공의 수납공간(110)을 가진 원기둥의 형상으로, 등받침부(200)와 옆받침부(300)가 몸체부(1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는 몸체부(100)의 뚜껑(130)을 열어 수납공간(110)을 오픈하며,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짐 또는 물건을 수납공간(110)에 수납시킨 후, 다시 몸체부(100)의 상부에 뚜껑(130)을 닫아 수납공간(110)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는 몸체부(100)의 상부로 일부 돌출된 등받침부(200)의 돌출된 부분을 잡아 상방으로 잡아당긴다. 이때, 등받침부(200)는 몸체부(100)의 제1수용홈(120)을 따라 상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등받침부(200)는 하단 일부에 이탈 방지 수단(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제1수용홈(120)의 외측으로 전부 인출되지 않은 채, 하단 일부가 제1수용홈(120)에 수용된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다양한 형태의 높낮이 조절 수단이 등받침부(200)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등받침부(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등받침부(200)를 파지하지 않더라도, 중력에 의해 등받침부(200)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수단(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등받침부(200)를 제1수용홈(120)으로부터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서, 손잡이(310)를 파지한다. 사용자는 손잡이(3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잡이(310)를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옆받침부(300)를 등받침부(200)의 제2수용홈(210)으로부터 돌출시켜 설치한다. 이때, 옆받침부(300)의 하단이 몸체부(100)의 상단에 접하여 걸림으로써 등받침부(200)는 중력에 의해 제1수용홈(120)에 다시 수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옆받침부(300)에 돌출된 날개부(320)와 날개부(320)에 의해 형성된 회피부(330)에 의해, 사용자의 허벅지 부분과의 간섭 회피할 수 있으므로, 옆받침부(300)를 온전히 설치하면서도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등받침부(200)로 인해 등을 지지받을 수 있고, 옆받침부(300)를 통해 측부를 지지받을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본 고안의 사용을 마쳤을 때에는 상기에서 언급한 순서를 거꾸로 실행함으로써,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사용을 마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의자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몸체부 110 : 수납공간
120 : 제1수용홈 130 : 뚜껑
200 : 등받침부 210 : 제2수용홈
300 : 옆받침부 310 : 손잡이
320 : 날개부 330 : 회피부

Claims (5)

  1. 중공의 수납공간을 가진 원기둥 형상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제1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과 상기 제1수용홈을 구분짓는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개폐가능한 뚜껑을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제1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부에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형성되고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제2수용홈이 형성된 등받침부;
    상기 제2수용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되면 상기 뚜껑과 간섭이 방지되고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등받침부와 함께 하방으로 슬라이딩이 방지되며,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개구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옆받침부;
    상기 옆받침부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사용자의 측부를 지지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옆받침부가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몸체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벅지를 회피하도록 마련된 회피부;
    를 포함하는 간이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70000413U 2017-01-23 2017-01-23 간이 의자 KR2004849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13U KR200484913Y1 (ko) 2017-01-23 2017-01-23 간이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0413U KR200484913Y1 (ko) 2017-01-23 2017-01-23 간이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913Y1 true KR200484913Y1 (ko) 2017-11-06

Family

ID=6040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413U KR200484913Y1 (ko) 2017-01-23 2017-01-23 간이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983A (ko) 2017-11-21 2019-05-29 김종찬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KR20230064189A (ko) 2021-11-03 2023-05-10 변창심 수납공간 및 스마트폰 충전기능을 갖춘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5397A (ja) * 2005-12-28 2007-07-12 Hitoshi Kawazoe 椅子
KR101152387B1 (ko) 2009-09-04 2012-06-05 이희상 간이의자
KR20150062113A (ko) * 2013-11-27 2015-06-05 성용기업 주식회사 신축이 가능한 보관주머니가 부착된 간이의자
KR20160097724A (ko) * 2015-02-10 2016-08-18 이어진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5397A (ja) * 2005-12-28 2007-07-12 Hitoshi Kawazoe 椅子
KR101152387B1 (ko) 2009-09-04 2012-06-05 이희상 간이의자
KR20150062113A (ko) * 2013-11-27 2015-06-05 성용기업 주식회사 신축이 가능한 보관주머니가 부착된 간이의자
KR20160097724A (ko) * 2015-02-10 2016-08-18 이어진 의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983A (ko) 2017-11-21 2019-05-29 김종찬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KR20230064189A (ko) 2021-11-03 2023-05-10 변창심 수납공간 및 스마트폰 충전기능을 갖춘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8442B1 (en) Mobile chair with storage capabilities
KR200471652Y1 (ko) 의자 일체형 가구
US6042180A (en) Folding chair with fishing accessories
KR102563594B1 (ko) 컵홀더를 갖는 콘솔
KR200484913Y1 (ko) 간이 의자
RU2698617C2 (ru) Система чашкодержателя (варианты) для мотор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60166070A1 (en) Cooler
US20080211362A1 (en) Piece of Furniture With a Removable Container in a Drawer
KR102010662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KR101868133B1 (ko) 차량용 텐트 및 이를 갖춘 차량
JP5925565B2 (ja) 車両用保持装置
JP2007307214A (ja) 洗面化粧台
KR200488601Y1 (ko) 케이크 상자
CN208624991U (zh) 一种具有私密空间的座椅
JP5763812B1 (ja) 椅子構造
KR101389622B1 (ko) 기능성 의자
KR20170053481A (ko) 덮개판 확장형 티슈박스 케이스
KR20090022867A (ko) 화장용구 및 화장품 보관 케이스
US20220330705A1 (en) Armrest for chair
KR101523170B1 (ko) 방석을 구비한 가방
US9624000B1 (en) Article holding tray
KR20170004244U (ko) 아동용 의자, 침대 가방
KR102462845B1 (ko) 휴대용 테이블
JPH073397U (ja) 車両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
CN110150894A (zh) 一种具有私密空间的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