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662B1 -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662B1
KR102010662B1 KR1020170155530A KR20170155530A KR102010662B1 KR 102010662 B1 KR102010662 B1 KR 102010662B1 KR 1020170155530 A KR1020170155530 A KR 1020170155530A KR 20170155530 A KR20170155530 A KR 20170155530A KR 102010662 B1 KR102010662 B1 KR 10201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wall surface
circumferential wall
seat plat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983A (ko
Inventor
김종찬
김민성
Original Assignee
김종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찬 filed Critical 김종찬
Priority to KR1020170155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6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2Office stool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A47C1/00, A47C3/00 or A47C7/00; Workshop stool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에 관한 것으로, 내부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윗면이 좌판을 이루는 간이의자에 있어서; 전후 방향 직경보다 좌우 방향 직경이 긴 원통체의 둘레 벽면(31)과, 중앙부에 공기 환기공(32a)을 구비하는 윗면 좌판(32)과, 상기 둘레 벽면(31)과 윗면 좌판(32)의 좌우 경계부 전후에 형성된 다수의 밴드공(32b)과, 상기 둘레 벽면(31)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절개부를 갖춘 결합돌기(32c)로 구성되는 제 1의자(30)와; 전후 방향 직경보다 좌우 방향 직경이 긴 원통체의 둘레 벽면(31')과, 중앙부에 공기 환기공(32a')을 구비하는 윗면 좌판(32')과, 상기 둘레 벽면(31')과 윗면 좌판(32')의 좌우 경계부 전후에 형성된 다수의 밴드공(32b')과, 상기 둘레 벽면(31')의 전면과 후면에 상하 다단으로 형성된 결합구멍(32c')으로 구성되는 제 2의자(30')로 이루어져 상기 제 2의자(30')의 중공부에 상기 제 1의자(30)가 삽입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원통상의 좌판에 원통상의 좌판을 끼우는 방식으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면서 두 좌판을 분리하면, 2명이서 간이의자로 사용할 수 있고, 의자 위의 4개의 홈에 밴드를 끼워 비닐하우스 등에서 작업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경비의 절감으로 제품의 가격 저렴화로 경제성이 탁월한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Versatile chair with easy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은 간이(簡易)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상의 좌판에 원통상의 좌판을 끼우는 방식으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면서 두 좌판을 분리하면, 2명이서 간이의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자 위의 4개의 홈에 밴드를 까워 비닐하우스 등에서 작업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낚시터에서 사용하는 간이(簡易)의자는 매우 가벼워서 간편하게 들어 옮기거나 휴대하여 들고다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간이의자들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대량생산될 뿐 아니라 상당히 가벼워 가격이 저렴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의자 중의 하나이다.
이 중에서도 의자의 상면에 돌기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좌판이 회전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때에는 좌판이 회전될 때 마찰음 등이 형성되어 편안한 감을 줄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좌판이 분리되어 분실되는 경우에는 의자의 표면에 돌기가 많아 의자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그에 따라 개발된 종래의 "간이의자"가 특허 제1152387호로서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 제1152387호의 "간이의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원통형 몸체(10)의 상부 평탄면(11) 중앙에는 구멍(11a)이 뚫려지고, 원형의 좌판(20) 저면에는 둥근 동심원 돌기(21)들이 연속 형성되어 평탄면(11)과 선 첩촉되며, 좌판(20)의 저면 중앙에는 결합관(22)이 형성되고, 결합관(22)에는 하향 경사진 걸림턱(22a)이 형성되어 결합관(22)을 강제 삽입시키면 걸림턱(22a)이 구멍(11a)의 저면 둘레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좌판(20)을 회전시키면 저면에는 형성된 동심원 돌기(21)들이 의자의 평탄면(11)과 첩촉되어 좌판(20)이 부드럽게 회전되는 것이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좌판(20)이 분리되어 분실되더라도 매끈한 평탄면(11)에 앉아서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제1152387호의 "간이의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식당과 같은 장소에서 사람들이 모였을 시 앉을 수 있는 간이(簡易) 의자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도록 출시된 바 있다.
특히, 식당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는 공간을 절약하고자 사용자의 짐이나 물건을 넣을 수 있는 드럼형태의 간이 의자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드럼형태의 간이 의자는 술에 취하거나 몸을 가누기 힘든 장애인 또는 앉는 중심을 잡기 어려운 아이 등이 몸을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387호(2012.05.25. 등록)는 간이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387호(2012.05.25. 등록)는 등받침이 마련되지 않아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오랜 시간 착석에 의해 허리 등의 신체에 무리가 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개발된 "간이 의자"가 실용신안등록 제0484913호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84913호의 "간이 의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수납공간(110)을 가진 원기둥 형상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제1수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0)과 상기 제1수용홈(120)을 구분짓는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11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개폐가능한 뚜껑(130)을 포함하는 몸체부(100); 상기 제1수용홈(1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수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부에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형성되고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제2수용홈(210)이 형성된 등받침부(200); 상기 제2수용홈(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수용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되면 상기 뚜껑과 간섭이 방지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가장자리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등받침부(200)와 함께 하방으로 슬라이딩이 방지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개구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손잡이(310)를 포함하는 옆받침부(300); 상기 옆받침부(300)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사용자의 측부를 지지하는 날개부(320); 및 상기 날개부(32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옆받침부(300)가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몸체부(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벅지를 회피하도록 마련된 회피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필요시 등받침과 옆받침을 몸체부(100)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오랜 시간 앉아 있더라도 피곤함을 경감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를 등 부분과 측부를 동시에 지지가 가능하므로, 몸을 가누기 어려운 사용자라 할지라도 몸을 올바르게 지탱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등받침과 옆받침을 설치가능하므로, 미사용시 등받침과 옆받침을 몸체부에 숨김으로써 공간의 절약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0484913호의 "간이 의자"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특허 제1152387호로서 공개특허공보, 특허문헌 2 : 실용신안등록 제048491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통상의 좌판에 원통상의 좌판을 끼우는 방식으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면서 두 좌판을 분리하면, 2명이서 간이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자 위의 4개의 홈에 밴드를 끼워 비닐하우스 등에서 작업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경비의 절감으로 제품의 가격 저렴화로 경제성이 탁월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는 내부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윗면이 좌판을 이루는 간이의자에 있어서; 전후 방향 직경보다 좌우 방향 직경이 긴 원통체의 둘레 벽면(31)과, 중앙부에 공기 환기공(32a)을 구비하는 윗면 좌판(32)과, 상기 둘레 벽면(31)과 윗면 좌판(32)의 좌우 경계부 전후에 형성된 다수의 밴드공(32b)과, 상기 둘레 벽면(31)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절개부를 갖춘 결합돌기(32c)로 구성되는 제 1의자(30)와; 전후 방향 직경보다 좌우 방향 직경이 긴 원통체의 둘레 벽면(31')과, 중앙부에 공기 환기공(32a')을 구비하는 윗면 좌판(32')과, 상기 둘레 벽면(31')과 윗면 좌판(32')의 좌우 경계부 전후에 형성된 다수의 밴드공(32b')과, 상기 둘레 벽면(31')의 전면과 후면에 상하 다단으로 형성된 결합구멍(32c')으로 구성되는 제 2의자(30')로 이루어져 상기 제 2의자(30')의 중공부에 상기 제 1의자(3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통상의 좌판에 원통상의 좌판을 끼우는 방식으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면서 두 좌판을 분리하면, 2명이서 간이의자로 사용할 수 있고, 의자 위의 4개의 홈에 밴드를 끼워 비닐하우스 등에서 작업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경비의 절감으로 제품의 가격 저렴화로 경제성이 탁월한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간이의자의 일실시에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간이의자의 좌판이 의자의 평탄면에 결합되는 과정을 예시한 일부단면도,
도 3은 종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의자의 사시도,
도 4의 (a)는 종래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간이 의자에서 옆받침부가 펼쳐진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5의 (a)는 종래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이 의자의 평면도,
도 5의 (b)는 도 5의 (a)의 간이 의자에서 옆받침부가 펼쳐진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치부 및 가이드 홈을 나타낸 일부 평면 사시도의 사진,
도 10은 본 따른 안치부 및 가이드 돌기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의 사진,
도 11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2명이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를 작업용으로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 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안치부 및 가이드 홈을 나타낸 일부 평면 사시도의 사진, 도 10은 본 따른 안치부 및 가이드 돌기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의 사진, 도 11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2명이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를 작업용으로 사용하는 사용 상태도로서,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는 내부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윗면이 좌판을 이루는 간이의자에 있어서; 전후 방향 직경보다 좌우 방향 직경이 긴 원통체의 둘레 벽면(31)과, 중앙부에 공기 환기공(32a)을 구비하는 윗면 좌판(32)과, 상기 둘레 벽면(31)과 윗면 좌판(32)의 좌우 경계부 전후에 형성된 다수의 밴드공(32b)과, 상기 둘레 벽면(31)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절개부(33)를 갖춘 결합돌기(32c)로 구성되는 제 1의자(30)와; 전후 방향 직경보다 좌우 방향 직경이 긴 원통체의 둘레 벽면(31')과, 중앙부에 공기 환기공(32a')을 구비하는 윗면 좌판(32')과, 상기 둘레 벽면(31')과 윗면 좌판(32')의 좌우 경계부 전후에 형성된 다수의 밴드공(32b')과, 상기 둘레 벽면(31')의 전면과 후면에 상하 다단으로 형성된 결합구멍(32c')으로 구성되는 제 2의자(30')로 이루어져 상기 제 2의자(30')의 중공부에 상기 제 1의자(30)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 1의자(30)와 제 2의자(30') 각각의 윗면 좌판(32, 32')은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낮아 평면이 아닌 아래로 볼록한 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둘레 벽면(31, 31')의 하단부에는 소정 부위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의 안치부(31a, 31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의자(30)의 결합돌기(32c)의 좌우 벽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3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밴드공(32b, 32b')에 삽입 고정되는 밴드(32d)와 윗면 좌판(32, 32')을 덮는 덮개(32e)를 더 구비하여 작업용 의자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의자(30')의 결합구멍(32c')의 좌우 벽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31b')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의자(30)와 제 2의자(30') 각각 의자로 사용할 수 있고,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의자(30')의 중공부에 제 1의자(30)를 끼워서 하나의 의자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의자(30')의 중공부에 제 1의자(30)를 끼워서 하나의 의자로 사용할 경우에는 제 1의자(30)의 결합돌기(32c)를 제 2의자(30')의 어느 결합구멍(32c')에 삽입하여 사용하느냐에 따라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즉, 제 2의자(30')의 중공부에 제 1의자(30)를 끼울 때에는 제 1의자(30)의 결합돌기(32c)를 손으로 누르면, 절개부(33)에 의해 결합돌기(32c)가 중공부 쪽으로 눌러지게 되므로 제 2의자(30')의 중공부에 제 1의자(30)를 끼울 수 있게 되고, 필요로 하는 의자의 높낮이에 따라 제 2의자(30')의 선택된 결합구멍(32c')에 제 1의자(30)의 결합돌기(32c)를 끼워주게 된다.
그렇게 하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의자(30')의 중공부에 제 1의자(30)를 끼워진 상태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밴드공(32b, 32b')에 밴드(32d)를 삽입 체결하고 윗면 좌판(32, 32')에 덮개(32e)를 덮어서 밴드(32d)를 사용자의 허리에 묶어 비닐하우스 내의 작업용 의자로 사용할 수 있고, 바닷가에서도 작업용 의자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30 : 제 1의자 30' : 제 2의자
31, 31' : 둘레 벽면 31a, 31a' : 안치부
31b : 가이드 홈 31b' : 가이드 돌기
32, 32' : 윗면 좌판 32a, 32a' : 공기 환기공
32b, 32b' : 밴드공 32c : 결합돌기
32c' : 결합구멍 32d : 밴드
32e : 덮개

Claims (6)

  1. 내부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 1의자(30)와 제 2의자(30') 각각의 윗면 좌판(32, 32')은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낮아 평면이 아닌 아래로 볼록한 곡면이고, 전후 방향 직경보다 좌우 방향 직경이 긴 원통체의 둘레 벽면(31)과, 중앙부에 공기 환기공(32a)을 구비하는 윗면 좌판(32)과, 상기 둘레 벽면(31)과 윗면 좌판(32)의 좌우 경계부 전후에 형성된 다수의 밴드공(32b)과, 상기 둘레 벽면(31)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절개부를 갖춘 결합돌기(32c)로 구성되는 제 1의자(30)와; 전후 방향 직경보다 좌우 방향 직경이 긴 원통체의 둘레 벽면(31')과, 중앙부에 공기 환기공(32a')을 구비하는 윗면 좌판(32')과, 상기 둘레 벽면(31')과 윗면 좌판(32')의 좌우 경계부 전후에 형성된 다수의 밴드공(32b')과, 상기 둘레 벽면(31')의 전면과 후면에 상하 다단으로 형성된 결합구멍(32c')으로 구성되는 제 2의자(30')로 이루어져 상기 제 2의자(30')의 중공부에 상기 제 1의자(3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에 있어서;
    상기 둘레 벽면(31, 31')의 하단부에는 소정 부위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의 안치부(31a, 31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의자(30)의 결합돌기(32c)의 좌우 벽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31b)이 형성되며;
    상기 밴드공(32b, 32b')에 삽입 고정되는 밴드(32d)와 윗면 좌판(32, 32')을 덮는 덮개(32e)를 더 구비하여 동일한 구조의 의자가 결합되어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자(30')의 결합구멍(32c')의 좌우 벽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31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KR1020170155530A 2017-11-21 2017-11-21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KR10201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30A KR102010662B1 (ko) 2017-11-21 2017-11-21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530A KR102010662B1 (ko) 2017-11-21 2017-11-21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83A KR20190057983A (ko) 2019-05-29
KR102010662B1 true KR102010662B1 (ko) 2019-08-13

Family

ID=66673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530A KR102010662B1 (ko) 2017-11-21 2017-11-21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66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468A (ko) 2020-03-05 2021-09-15 김연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KR20220043573A (ko) 2020-09-29 2022-04-05 김종찬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KR20240003545A (ko) 2022-07-01 2024-01-09 케이비아이 주식회사 다목적 의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12Y1 (ko) * 2006-06-27 2006-09-06 노영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다리
JP2012061185A (ja) * 2010-09-17 2012-03-29 Ishiyama:Kk 簡易携帯椅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387B1 (ko) 2009-09-04 2012-06-05 이희상 간이의자
KR20160026080A (ko) * 2014-08-29 2016-03-09 김근태 의자 겸용 받침대
KR200484913Y1 (ko) 2017-01-23 2017-11-06 이지윤 간이 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612Y1 (ko) * 2006-06-27 2006-09-06 노영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상다리
JP2012061185A (ja) * 2010-09-17 2012-03-29 Ishiyama:Kk 簡易携帯椅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468A (ko) 2020-03-05 2021-09-15 김연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KR20220043573A (ko) 2020-09-29 2022-04-05 김종찬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KR20240003545A (ko) 2022-07-01 2024-01-09 케이비아이 주식회사 다목적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83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662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US11602249B2 (en) Children's toilet bowl with adjustable height
USD962713S1 (en) Four receptacle tray with platform
KR101914900B1 (ko) 수납가구용 프레임
USD484350S1 (en) Child's seat cushion
AU2015100116B4 (en) Child seat
US4208070A (en) Leisure chair
US20100138984A1 (en) Infant toilet trainer
USD931650S1 (en) Seat cushion
KR200484913Y1 (ko) 간이 의자
KR200250514Y1 (ko) 절첩식 좌의자
KR102440465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US20210386205A1 (en) Foam seat with removable nesting insert
US6022075A (en) Chair cushion
KR200399753Y1 (ko) 휴대용 좌변기
CA2108445A1 (en) Foldable chair
KR200373176Y1 (ko) 유아용 변기 보조 좌대
US20220400912A1 (en) Potty training device
USD510502S1 (en) Child's tableware set
KR20200072248A (ko) 분할형 다용도의자
JP3134426U (ja) 赤ちゃん用便器
JP3237202U (ja) 高さ調整可能な椅子
USD510616S1 (en) Child toilet seat
CN210354508U (zh) 一种多功能便器
CN210112696U (zh) 儿童餐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