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12468A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12468A KR20210112468A KR1020200027514A KR20200027514A KR20210112468A KR 20210112468 A KR20210112468 A KR 20210112468A KR 1020200027514 A KR1020200027514 A KR 1020200027514A KR 20200027514 A KR20200027514 A KR 20200027514A KR 20210112468 A KR20210112468 A KR 2021011246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hole
- vertical
- pair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045—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foldable side to side onl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47C3/045—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with tipping-up sea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10—Camp, travelling, or sports stool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면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에 의하면,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설치면 상에 놓여지는 베이스 부재와,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에 놓여지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그 자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 사이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람들이 엉덩이를 안착하면서 앉을 수 있는 것으로서, 가정이나 사무실 뿐만 아니라 야외 활동 시에도 가장 자주 접할 수 있는 가구이다.
이러한 의자 중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것은 고정된 특정 형태를 가지면서 형성되나, 캠핑 및 낚시 등 야외에서 사용되는 것은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도록 일부분을 접을 수 있거나, 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간이 의자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그러나,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간이 의자에 의하면, 상기 간이 의자 중 일부분만 접히거나 일부분의 높낮이만 조절됨으로써 그 크기를 축소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기에 상대적으로 더 소형화된 간이 의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간이 의자에 의하면, 사용자들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그 높이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없거나, 높이가 조절되더라도 그 조절 단계가 미리 정해진 몇 개의 단계로만 이루어져서 다양한 사용자들이 실제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는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설치면 상에 놓여지는 베이스 부재;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에 놓여지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그 자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 사이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에 의하면,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가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설치면 상에 놓여지는 베이스 부재와,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에 놓여지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그 자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 사이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에 적용된 높이 조절 본체의 일부가 길어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높이 조절 본체가 최대로 길어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외측 돌기부가 연장 관통 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6은 도 5의 외측 돌기부가 고정 관통 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7은 도 6의 외측 돌기부를 우측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에 적용된 이탈 방지부의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이탈 방지부를 구성하는 상측 팽창체가 팽창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에 적용된 높이 조절 본체의 일부가 길어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높이 조절 본체가 최대로 길어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외측 돌기부가 연장 관통 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6은 도 5의 외측 돌기부가 고정 관통 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7은 도 6의 외측 돌기부를 우측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에 적용된 이탈 방지부의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도 10은 도 9의 이탈 방지부를 구성하는 상측 팽창체가 팽창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의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에 적용된 높이 조절 본체의 일부가 길어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높이 조절 본체가 최대로 길어진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의 일부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외측 돌기부가 연장 관통 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외측 돌기부가 고정 관통 홀로 이동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6의 외측 돌기부를 우측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100)는 베이스 부재(110)와, 안착 부재(115) 및 높이 조절 부재(1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100)는 탄성 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안착 부재(115) 및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는 무게를 상대적으로 최소화하기 위해 플라스틱 등의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설치면 상에 놓여지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는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면서 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11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일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삽입할 수 있는 베이스측 삽입 홈이다.
상기 안착 부재(115)는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에 놓여지고, 엉덩이 등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착 부재(115)는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면서 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도면 번호 116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안착 부재(115)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일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삽입할 수 있는 안착측 삽입 홈이다.
도면 번호 117은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100)를 이동시킬 때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잡거나 상기 사용자의 어깨에 걸칠 수 있는 손잡이용 끈이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베이스측 삽입 홈(111) 및 상기 안착측 삽입 홈(116)에 손가락을 각각 삽입하여 외력을 전달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덮힌 상기 안착 부재(115)를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를 상기 안착 부재(115)가 덮게 되면, 그 내부에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그 내부 공간에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수용된다.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는 상기 베이스 부재(110) 및 상기 안착 부재(115) 사이에 배치되고 그 자체의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되면서 가변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110) 및 상기 안착 부재(115) 사이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 및 상기 안착 부재(115)와 서로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나, 이러한 형태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 및 상기 안착 부재(115)가 서로 분리되어 있다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에 그 길이가 가변된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를 얹히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상부에 상기 안착 부재(115)를 얹혀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는 높이 조절 본체(12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는 상측 돌출체(122)와, 외측 돌기부(123)와, 관통 홀부(130)와, 가이드부(140)와, 수직 돌기부(125)를 더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는 그 상하부가 개방된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되, 그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면서 서로 연결된 것이다.
즉,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는 동일한 중심을 가지고,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은 중심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그 직경이 커지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는 복수 개가 서로 겹쳐지면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면, 상기 안착 부재(115)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를 덮을 때는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가 동일한 높이인 하나의 층으로 서로 겹쳐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 및 상기 안착 부재(115)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그에 따라,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100)의 휴대가 간편해지고, 보관 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다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상기 안착 부재(115)가 소정 높이로 이격될 때는 서로 겹쳐져 있던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적어도 일부가 그 이웃하는 것들에서 상승되어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의 길이가 가변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대한 상기 안착 부재(115)의 높이가 가변된다.
여기서, 상기 안착 부재(115)의 이격 높이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 또는 사용 환경에 따라 요구되는 높이가 되고, 이 때,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는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것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안착 부재(115)를 따라 상부로 이동되면서 그 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상측 돌출체(122)는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후술되는 연장 관통 홀(132) 및 고정 관통 홀(133)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외측 돌기부(123)는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의 외측면 중 상대적으로 저면에 근접된 곳에서 돌출된 것으로, 그 좌우측의 폭이 그 상하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타원형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외측 돌기부(123)에는 상기 외측 돌기부(123)의 하측에서 상기 외측 돌기부(123)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 삽입 홀(124)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삽입 홀(124)에는 상기 가이드부(140)가 삽입된다.
상기 관통 홀부(130)는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 중 상기 외측 돌기부(123)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관통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지팡이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세히, 상기 관통 홀부(130)는 수직 관통 홀(131)과, 상기 연장 관통 홀(132)과, 상기 고정 관통 홀(133)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관통 홀(131)은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에서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의 축 방향인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관통 형성된 것이다.
상기 연장 관통 홀(132)은 상기 수직 관통 홀(131)의 상측 말단에서 연장되되, 상기 수직 관통 홀(131)이 형성된 방향으로의 가상의 연장선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기울어지면서 관통 형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관통 홀(132)은 상기 상측 돌출체(12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관통 홀(131)이 형성된 방향으로의 가상의 연장선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 관통 홀(133)은 상기 연장 관통 홀(132)에서 상기 수직 관통 홀(131)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일정 길이 관통되되, 그 관통되는 길이가 상기 수직 관통 홀(131)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것이다.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관통 홀부(130)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가 연결된다.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 관통 홀(13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상기 안착 부재(115)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외측 돌기부(123)는 상기 수직 관통 홀(131)을 따라 상승되다가 상기 연장 관통 홀(132)을 경유한 후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 위치된다.
또한,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상기 안착 부재(115)가 이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외측 돌기부(123)는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서 상기 연장 관통 홀(132)을 경유한 후 상기 수직 관통 홀(131)에 위치된다.
상기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상기 안착 부재(115)가 이격되는 방향 및 이격되는 반대 방향으로의 외력 전달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측 삽입 홈(111) 및 상기 안착측 삽입 홈(116)에 손가락을 삽입한 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 및 상기 안착 부재(115)를 상대적으로 근접되도록 밀거나, 상기 베이스 부재(110) 및 상기 안착 부재(115)가 상대적으로 멀어지도록 당기는 힘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 관통 홀(132)의 내측면 중 천정 부분, 즉 상기 상측 돌출체(122)의 내측면에는 일정 곡률을 가진 가이드 곡면(126)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 돌기부(125)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수직 돌기부(125)는 상기 외측 돌기부(123)의 상측에서 수직 방향, 즉, 상기 수직 관통 홀(131)이 형성된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그 상면이 일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가이드 곡면(126) 및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기 수직 관통 홀(131)로부터 상기 고정 관통 홀(133)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연장 관통 홀(132)을 경유할 때, 상기 수직 돌기부(125)의 상면에 형성된 곡면체는 상기 가이드 곡면(126)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곡면(126)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기 고정 관통 홀(133)로부터 상기 수직 관통 홀(131)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연장 관통 홀(132)을 경유할 때도 상기 수직 돌기부(125)의 상면에 형성된 곡면체가 상기 가이드 곡면(126)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곡면(126)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외측 돌기부(123)의 이동 경로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관통 홀부(13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기 관통 홀부(130)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 삽입 홀(124)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 돌기부(123)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140)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체(141)와, 연장 가이드체(142)와, 고정 가이드체(143)와, 걸림턱(14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부(140)는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의 하부에 위치되고, 양측 말단부가 한 쌍의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와 각각 연결되는 수직측 연결 가이드체(145)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는 상기 수직 관통 홀(131) 중 대면하는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일정 길이 길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기 수직 관통 홀(131)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때, 한 쌍의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가 상기 가이드 삽입 홀(124)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외측 돌기부(123)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수직측 연결 가이드체(145)는 상기 수직 관통 홀(131)의 최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 관통 홀(131)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면서 반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장 가이드체(142)는 상기 연장 관통 홀(132)의 내측면 일부에서 돌출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연장 가이드체(142)는 상기 연장 관통 홀(132)에 형성된 상기 가이드 곡면(126) 중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와 연결된 일측 말단부의 반대 측인 타측 말단부에서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와 평행하게, 즉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고정 가이드체(143)는 상기 고정 관통 홀(133)의 내측면 일부에서 돌출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고정 가이드체(143)는 상기 연장 가이드체(142)의 하부와 한 쌍의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 중 상기 연장 가이드체(142)와 상대적으로 근접된 것의 상부를 서로 연결시키되, 하부 쪽으로 라운드지면서 일정 곡률을 가지면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기 관통 홀부(130)에서 이동되는 동안, 한 쌍의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 및 상기 연장 가이드체(142)는 상기 가이드 삽입 홀(124)의 양측 말단부 쪽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 가이드체(143)는 상기 가이드 삽입 홀(124)의 하부 쪽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턱(144)은 상기 고정 가이드체(143)와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가 이어지는 모서리 부분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 위치될 때 상기 외측 돌기부(123)의 일부가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걸림턱(144)은 상기 고정 가이드체(143)의 말단부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높게 돌출되는 것으로, 그 말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면서 전체적로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 위치되면서 상기 고정 가이드체(143)가 상기 가이드 삽입 홀(124)에 삽입될 때, 상기 걸림턱(144)이 상기 외측 돌기부(123)의 측면에 걸려서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일정 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 안착되면서 상기 걸림턱(144)에 의해 고정될 때, 상기 걸림턱(144)이 상기 연장 가이드체(142) 쪽으로 굽혀진 갈고리 형태로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대적으로 상기 연장 가이드체(142) 쪽으로 밀리면서 상기 수직 돌기부(125)의 측면과 상기 연장 가이드(142)체의 측면이 서로 접촉되어 상기 연장 가이드체(142)가 상기 수직 돌기부(125)를 지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기 걸림턱(144)에 의해 걸리면서 그 위치가 고정될 때, 상기 걸림턱(144)의 반대 방향에서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상기 연장 가이드체(14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와 같이 상기 외측 돌기부(123) 및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함께 지지됨에 따라 상기 외측 돌기부(123)는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14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때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에 형성된 상기 외측 돌기부(123) 및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수직 관통 홀(131)에서 상기 연장 관통 홀(132)로 이동되다가, 상기 수직 돌기부(125)의 상면이 상기 가이드 곡면(126)과 접하게 되면,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상기 가이드 곡면(126)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된 후, 상기 고정 관통 홀(133)로 이동되고, 상기 걸림턱(144)에 의해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질 때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에 형성된 상기 외측 돌기부(123) 및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서 상기 걸림턱(144)에서 분리되어 상기 연장 관통 홀(132)로 이동되다가, 상기 수직 돌기부(125)의 상면이 상기 가이드 곡면(126)과 접하게 되면,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상기 가이드 곡면(126)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된 후, 상기 수직 관통 홀(131)로 이동되어 상기 수직 관통 홀(131)의 하부 측에 머물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외측 돌기부(123), 상기 관통 홀부(130), 상기 가이드부(140), 상기 수직 돌기부(125) 및 상기 상측 돌출체(122)는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로 이격되면서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에는 복수 개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 복수 개의 상기 관통 홀부(130), 복수 개의 상기 가이드부(140), 복수 개의 상기 수직 돌기부(125) 및 복수 개의 상기 상측 돌출체(122)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는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즉,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에 상기 안착 부재(115)가 덮인 상태로 있다가, 외력에 의해 상기 안착 부재(115)가 상기 중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승되면,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그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안착 부재(115)와 연결된 것부터 상기 안착 부재(115)와 함께 상승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중 상대적으로 하나인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것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중 상대적으로 다른 하나인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것에 형성된 복수 개의 상기 관통 홀부(130)에 삽입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가 서로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 방법이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에 동일하게 적용됨으로써,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거나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최대 길이는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가 서로 다른 층을 이루면서 상승될 때이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최소 길이는 상기 각 조절 본체가 동일한 높이로 서로 겹쳐질 때이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는 각각 상승될 수 있어,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그 일부만 서로 다른 층을 이루면서 상승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요구되는 높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양측 말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안착 부재(115)에 각각 연결되면서 탄성 변형되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150)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 안착되어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진 상태로 고정되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대해 상기 안착 부재(115)가 소정 높이 이격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150)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그러다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서 이탈되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 복원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가 겹쳐지면서 상기 안착 부재(115)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설치가 필요한 설치면에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상기 안착 부재(115)가 덮어지고, 상기 베이스 부재(110) 및 상기 안착 부재(115) 사이에 수용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100)를 마련한다.
그런 다음, 상기 베이스 부재(110)로부터 상기 안착 부재(115)가 상공으로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상기 안착 부재(115)에 외력을 인가한다.
그러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 관통 홀(131)에 위치되어 있다가, 인가된 외력에 의해 상기 외측 돌기부(123)는 상기 수직 관통 홀(131)을 따라 상승되다가 상기 연장 관통 홀(132)을 경유한 후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 위치된다.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상기 수직 관통 홀(131)로부터 상기 연장 관통 홀(132)을 경유한 후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 위치될 동안, 상기 가이드 삽입 홀(124)에 상기 수직 가이드체(141)와, 상기 연장 가이드 체 및 상기 고정 가이드체(143)가 각각 삽입되면서 상기 외측 돌기부(123)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세히,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때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에 형성된 상기 외측 돌기부(123) 및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수직 관통 홀(131)에서 상기 연장 관통 홀(132)로 이동되다가, 상기 수직 돌기부(125)의 상면이 상기 가이드 곡면(126)과 접하게 되면,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상기 가이드 곡면(126)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된 후, 상기 고정 관통 홀(133)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상기 외측 돌기부(123)는 상기 고정 관통 홀(133)로 이동된 후 상기 걸림턱(144)에 걸림으로써 상기 외측 돌기부(123)의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 안착되어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진 상태로 고정되면,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대해 상기 안착 부재(115)가 소정 높이 이격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150)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 부재(115)를 따라 각 층을 이루면서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110)에 대한 상기 안착 부재(115)의 높이가 가변된다.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100)의 사용이 완료되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서 이탈되도록 외력을 인가한다.
그러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에 형성된 상기 외측 돌기부(123) 및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서 상기 연장 관통 홀(132)로 이동되다가, 상기 수직 돌기부(125)의 상면이 상기 가이드 곡면(126)과 접하게 되면, 상기 수직 돌기부(125)가 상기 가이드 곡면(126)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된 후, 상기 수직 관통 홀(131)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121)는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서로 겹쳐진다.
이 때,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123)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 관통 홀(133)에서 이탈되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부재(150)의 탄성력 복원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121)가 겹쳐지면서 상기 안착 부재(115)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100)가 상기 베이스 부재(110)와, 상기 안착 부재(115) 및 상기 높이 조절 부재(120)를 포함함에 따라,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를 구성하는 높이 조절 부재에 적용된 이탈 방지부의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이탈 방지부를 구성하는 상측 팽창체가 팽창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가 베이스 부재와, 안착 부재와, 높이 조절 부재(220)를 포함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220)는 높이 조절 본체와, 상측 돌출체(222)와, 외측 돌기부(223)와, 관통 홀부와, 가이드부와, 수직 돌기부(225) 및 이탈 방지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이탈 방지부(260)는 상기 상측 돌출체(222)에 배치되어, 상기 외측 돌기부(223)가 고정 관통 홀(233)에 안착되면서 그 위치가 고정될 때, 상기 수직 돌기부(225)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 관통 홀(233)로부터 상기 외측 돌기부(223) 및 상기 수직 돌기부(225)의 임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이탈 방지부(260)는 연장측 베이스체(261)와, 연장측 팽창체(262)와, 상측 베이스체(263)와, 상측 팽창체(264) 및 공기 유동관(265)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측 베이스체(261)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가이드부를 구성하는 연장 가이드체(242)의 내부로 일정 깊이 함몰된 홈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연장측 팽창체(262)는 상기 연장측 베이스체(261)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면서 그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그 내부가 빈 타원형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 돌기부(223)가 상기 고정 관통 홀(233)에 안착될 때 상기 수직 돌기부(225)의 측면과 접촉되면서 그 외표면이 가압되는 것이다.
상기 연장측 팽창체(262)는 그 내부가 팽창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측 팽창체(262)는 상기 수직 돌기부(225)의 측면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각 높이 조절 본체가 이격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의 길이가 그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상측 베이스체(263)는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상측 돌출체(222)의 저면에서 상기 상측 돌출체(222)의 내부로 일정 깊이 함몰된 홈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상측 팽창체(264)는 상기 상측 베이스체(263)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되면서 그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수 있도록 그 내부가 빈 타원형 반구 형태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공기가 채워질 때 상기 상측 베이스체(263)로부터 상기 수직 돌기부(225) 쪽으로 팽창되어 상기 수직 돌기부(225)를 가압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측 팽창체(264)는 그 내부가 팽창될 수 있도록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측 팽창체(264)는 도 9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각 높이 조절 본체가 이격되는 방향인 상하 방향의 길이가 그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러면, 그 내부에 채워지는 공기에 의해 상기 상측 팽창체(264)는 일정 길이 길게 팽창되면서 상기 수직 돌기부(225)의 상면에 접촉되어 상기 수직 돌기부(225)를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 유동관(265)은 상기 연장측 팽창체(262)와 상기 상측 팽창체(264)를 연통시켜, 상기 연장측 팽창체(262)의 내부에 있던 공기를 상기 상측 팽창체(264)의 내부로 유동시키거나, 상기 상측 팽창체(264)의 내부에 있던 상기 공기를 상기 연장측 팽창체(262)의 내부로 유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외측 돌기부(223)가 상기 고정 관통 홀(233)에 안착되면, 그 측면이 상기 상측 팽창체(264)에 접촉되는 상기 수직 돌기부(225)에 의해 상기 상측 팽창체(264)가 가압되고, 상기 수직 돌기부(225)의 가압에 의해 상기 연장측 팽창체(262)의 내부에 있던 공기가 상기 공기 유동관(265)을 통해 상기 상측 팽창체(264) 쪽으로 유동되어 상기 상측 팽창체(264)가 상기 수직 돌기부(225) 쪽으로 팽창되고, 팽창된 상기 상측 팽창체(264)가 상기 수직 돌기부(225)를 가압하면서 눌러 주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 중 적어도 일부에 충격 등의 외력이 전달되더라도 상기 외측 돌기부(223)가 상기 고정 관통 홀(233)에서 임의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 본체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짧게 하기 위해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외측 돌기부(223)가 상기 고정 관통 홀(233)에서 이탈될 때는 상기 수직 돌기부(225)가 가이드 곡면에 접촉되도록 상승하면서 상기 수직 돌기부(225)의 상면이 상기 상측 팽창체(264)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수직 돌기부(225)의 가압에 의해 상기 상측 팽창체(264) 내부에 있던 상기 공기가 상기 공기 유동관(265)을 통해 상기 연장측 팽창체(262) 쪽으로 유동되어 상기 연장측 팽창체(262)가 상기 연장 가이드체(242)에서 상기 수직 돌기부(225) 쪽으로 팽창되고, 팽창된 상기 연장측 팽창체(262)가 상기 수직 돌기부(225)의 측면을 밀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 관통 홀(233)로부터 상기 외측 돌기부(223)의 이탈이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에 의하면,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사용자의 신체 조건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높이를 자유롭게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110 : 베이스 부재
115 : 안착 부재 120 : 높이 조절 부재
121 : 높이 조절 본체 122 : 상측 돌출체
123 : 외측 돌기부 125 : 수직 돌기부
130 : 관통 홀부 140 : 가이드부
150 : 탄성 부재
115 : 안착 부재 120 : 높이 조절 부재
121 : 높이 조절 본체 122 : 상측 돌출체
123 : 외측 돌기부 125 : 수직 돌기부
130 : 관통 홀부 140 : 가이드부
150 : 탄성 부재
Claims (5)
-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설치면 상에 놓여지는 베이스 부재;
일정 면적을 가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에 놓여지고,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그 자체의 길이가 가변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 사이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이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그 상하부가 개방된 원형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되, 그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면서 서로 연결된 복수 개의 높이 조절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를 덮을 때는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가 겹쳐지면서 상기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안착 부재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베이스 부재로부터 상기 안착 부재가 소정 높이로 이격될 때는 서로 겹쳐져 있던 복수 개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적어도 일부가 그 이웃하는 것들에서 상승되어 상기 높이 조절 본체의 길이가 가변되고, 그에 따라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한 상기 안착 부재의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된 상측 돌출체와,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의 외측면에서 돌출된 외측 돌기부와,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 중 상기 외측 돌기부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관통 형성된 관통 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홀부는
상기 각 높이 조절 본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일정 길이 길게 관통 형성된 수직 관통 홀과,
상기 수직 관통 홀의 상측 말단에서 연장되되, 상기 수직 관통 홀이 형성된 방향으로의 가상의 연장선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기울어지면서 관통 형성된 연장 관통 홀과,
상기 연장 관통 홀에서 상기 수직 관통 홀과 평행하게 하방으로 일정 길이 관통되되, 그 관통되는 길이가 상기 수직 관통 홀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 고정 관통 홀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관통 홀부에 삽입됨으로써,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가 연결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상기 수직 관통 홀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외측 돌기부는 상기 수직 관통 홀을 따라 상승되다가 상기 연장 관통 홀을 경유한 후 상기 고정 관통 홀에 위치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 관통 홀에 위치된 상태에서 외력이 전달되면, 상기 외측 돌기부는 상기 고정 관통 홀에서 상기 연장 관통 홀을 경유한 후 상기 수직 관통 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돌기부에는 상기 외측 돌기부의 하측에서 상기 외측 돌기부의 폭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가이드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 관통 홀의 내측면 중 천정 부분에는 일정 곡률을 가진 가이드 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 부재는
상기 관통 홀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외측 돌기부가 상기 관통 홀부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 삽입 홀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 돌기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외측 돌기부의 상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고, 그 상면이 일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로 형성된 수직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수직 관통 홀 중 대면하는 내측면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수직 가이드체와,
상기 연장 관통 홀의 내측면 일부에서 돌출되는 연장 가이드체와,
상기 고정 관통 홀의 내측면 일부에서 돌출되는 고정 가이드체와,
상기 고정 가이드체와 상기 수직 가이드체가 이어지는 부분에서 일정 높이 돌출되어 상기 외측 돌기부가 상기 고정 관통 홀에 위치될 때 상기 외측 돌기부의 일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때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하나에 형성된 상기 외측 돌기부 및 상기 수직 돌기부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수직 관통 홀에서 상기 연장 관통 홀로 이동되다가, 상기 수직 돌기부의 상면이 상기 가이드 곡면과 접하게 되면, 상기 수직 돌기부가 상기 가이드 곡면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된 후, 상기 고정 관통 홀로 이동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질 때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하나에 형성된 상기 외측 돌기부 및 상기 수직 돌기부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상기 고정 관통 홀에서 상기 연장 관통 홀로 이동되다가, 상기 수직 돌기부의 상면이 상기 가이드 곡면과 접하게 되면, 상기 수직 돌기부가 상기 가이드 곡면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이동된 후, 상기 수직 관통 홀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는
상기 높이 조절 부재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양측 말단이 상기 베이스 부재와 상기 안착 부재에 각각 연결되면서 탄성 변형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 관통 홀에 안착되어서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진 상태로 고정되면, 상기 베이스 부재에 대해 상기 안착 부재가 소정 높이 이격되면서 상기 탄성 부재에는 탄성력이 축적되고,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하나의 상기 외측 돌기부가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 중 다른 하나의 상기 고정 관통 홀에서 이탈되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 복원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상기 높이 조절 본체가 겹쳐지면서 상기 안착 부재가 상기 베이스 부재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7514A KR102356373B1 (ko) | 2020-03-05 | 2020-03-05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7514A KR102356373B1 (ko) | 2020-03-05 | 2020-03-05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2468A true KR20210112468A (ko) | 2021-09-15 |
KR102356373B1 KR102356373B1 (ko) | 2022-01-26 |
Family
ID=77793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7514A KR102356373B1 (ko) | 2020-03-05 | 2020-03-05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6373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055Y1 (ko) | 2013-05-10 | 2014-04-01 | 전준우 | 낚시용 의자의 다리구조 |
KR200486055Y1 (ko) * | 2016-10-11 | 2018-03-28 | 이요람 | 농업용 착좌기구 |
KR102010662B1 (ko) | 2017-11-21 | 2019-08-13 | 김종찬 |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
-
2020
- 2020-03-05 KR KR1020200027514A patent/KR1023563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2055Y1 (ko) | 2013-05-10 | 2014-04-01 | 전준우 | 낚시용 의자의 다리구조 |
KR200486055Y1 (ko) * | 2016-10-11 | 2018-03-28 | 이요람 | 농업용 착좌기구 |
KR102010662B1 (ko) | 2017-11-21 | 2019-08-13 | 김종찬 |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6373B1 (ko) | 2022-0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7110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 | |
US8104724B2 (en) | Stabilising device | |
US6957867B1 (en) | Height-adjustable armrest | |
US4956886A (en) | Self adjustable neck support pillow | |
US7326159B2 (en) | Fitness apparatus for abdomen and waist | |
KR102028263B1 (ko) | 의자의 좌판부 슬라이드 구조 | |
US20070015638A1 (en) | Muscle exercising device | |
KR100549519B1 (ko) |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의자 자동 접철구조 | |
KR102356373B1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간이 의자 | |
JP4509214B1 (ja) | リンクバネ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運動補助用椅子 | |
KR200394565Y1 (ko) |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 |
CN112841990A (zh) | 关于床的改进 | |
KR100549522B1 (ko) | 의자 일체형 테이블의 받침대 구조 | |
KR101992923B1 (ko) | 골반 교정 겸용 다기능 지압 베개 | |
KR100913380B1 (ko) | 책,걸상용 받침다리의 높낮이 조절구 | |
KR101691382B1 (ko) |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구 | |
CN102670015B (zh) | 头枕 | |
JP3169443U (ja) | 高さ調節椅子 | |
KR101068588B1 (ko) | 높이 조정이 가능한 베개 | |
KR200215227Y1 (ko) | 이동이 가능한 의자 지지발 | |
KR101722949B1 (ko) | 도약운동보드용 완충다리 | |
KR100334943B1 (ko) | 운동기구 겸용 의자 | |
KR200319396Y1 (ko) | 의자의 다리 | |
KR102035079B1 (ko) | 선 채로 체중을 지지하는 초간편 테이블 | |
JP6327743B2 (ja) | ベッドガー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