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465B1 -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465B1
KR102440465B1 KR1020200127130A KR20200127130A KR102440465B1 KR 102440465 B1 KR102440465 B1 KR 102440465B1 KR 1020200127130 A KR1020200127130 A KR 1020200127130A KR 20200127130 A KR20200127130 A KR 20200127130A KR 102440465 B1 KR102440465 B1 KR 102440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late
height adjustment
chair
height
simpl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7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3573A (ko
Inventor
김종찬
김민성
Original Assignee
김종찬
김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찬, 김민성 filed Critical 김종찬
Priority to KR1020200127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46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3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3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바깥 원통(11)과 내부 원통(12)의 이중 원통 및 중앙 원통체(13)로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바깥 원통체(11)와 일체를 이루고 원둘레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다단 높낮이 조절구(20)와; 상기 중앙 원통체(13)에 끼워지는 원통 좌판(30)과; 상기 원통 좌판(30)의 하부 외면에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40) 및;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접합으로 고정되는 패킹(50)으로 구성되어 원통상의 좌판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높이가 낮아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높이가 높아지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면서 높이조절을 정밀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경비의 절감으로 제품의 가격 저렴화로 경제성이 탁월한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Simple chair with easy height adjustment}
본 발명은 간이(簡易)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상의 좌판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높이가 낮아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높이가 높아지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면서 높이조절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낚시터, 목욕탕에서 사용하는 간이(簡易)의자는 매우 가벼워서 간편하게 들어 옮기거나 휴대하여 들고다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간이의자들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대량생산될 뿐 아니라 상당히 가벼워 가격이 저렴하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의자 중의 하나이다.
이 중에서도 의자의 상면에 돌기들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좌판이 회전되는 경우도 있으나 이때에는 좌판이 회전될 때 마찰음 등이 형성되어 편안한 감을 줄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좌판이 분리되어 분실되는 경우에는 의자의 표면에 돌기가 많아 의자로 사용할 수 없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그에 따라 개발된 종래의 "간이의자"가 특허 제1152387호로서 공개특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 특허 제1152387호의 "간이의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원통형 몸체(10)의 상부 평탄면(11) 중앙에는 구멍(11a)이 뚫려지고, 원형의 좌판(20) 저면에는 둥근 동심원 돌기(21)들이 연속 형성되어 평탄면(11)과 선 첩촉되며, 좌판(20)의 저면 중앙에는 결합관(22)이 형성되고, 결합관(22)에는 하향 경사진 걸림턱(22a)이 형성되어 결합관(22)을 강제 삽입시키면 걸림턱(22a)이 구멍(11a)의 저면 둘레에 걸려져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좌판(20)을 회전시키면 저면에는 형성된 동심원 돌기(21)들이 의자의 평탄면(11)과 첩촉되어 좌판(20)이 부드럽게 회전되는 것이므로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할 뿐 아니라 좌판(20)이 분리되어 분실되더라도 매끈한 평탄면(11)에 앉아서 의자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 제1152387호의 "간이의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식당과 같은 장소에서 사람들이 모였을 시 앉을 수 있는 간이(簡易) 의자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도록 출시된 바 있다.
특히, 식당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서는 공간을 절약하고자 사용자의 짐이나 물건을 넣을 수 있는 드럼형태의 간이 의자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드럼형태의 간이 의자는 술에 취하거나 몸을 가누기 힘든 장애인 또는 앉는 중심을 잡기 어려운 아이 등이 몸을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사용에 있어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387호(2012.05.25. 등록)는 간이 의자를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2387호(2012.05.25. 등록)는 등받침이 마련되지 않아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오랜 시간 착석에 의해 허리 등의 신체에 무리가 전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개발된 "간이 의자"가 실용신안등록 제0484913호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484913호의 "간이 의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공의 수납공간(110)을 가진 원기둥 형상으로, 가장자리를 따라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를 갖는 제1수용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공간(110)과 상기 제1수용홈(120)을 구분짓는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수납공간(11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커버하며 개폐가능한 뚜껑(130)을 포함하는 몸체부(100); 상기 제1수용홈(1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1수용홈(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고, 내부에 미리 정해진 두께와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형성되고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부에 개구부가 마련된 제2수용홈(210)이 형성된 등받침부(200); 상기 제2수용홈(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제2수용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되면 상기 뚜껑과 간섭이 방지되고 상기 몸체부(100)의 가장자리에 걸려 지지됨으로써 상기 등받침부(200)와 함께 하방으로 슬라이딩이 방지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개구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개구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손잡이(310)를 포함하는 옆받침부(300); 상기 옆받침부(300)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사용자의 측부를 지지하는 날개부(320); 및 상기 날개부(32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옆받침부(300)가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몸체부(100)에 착석한 사용자의 허벅지를 회피하도록 마련된 회피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필요시 등받침과 옆받침을 몸체부(100)로부터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오랜 시간 앉아 있더라도 피곤함을 경감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를 등 부분과 측부를 동시에 지지가 가능하므로, 몸을 가누기 어려운 사용자라 할지라도 몸을 올바르게 지탱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등받침과 옆받침을 설치가능하므로, 미사용시 등받침과 옆받침을 몸체부에 숨김으로써 공간의 절약이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실용신안등록 제0484913호의 "간이 의자"도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봐와 같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는 특허 제2010662호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를 발명한 바 있다.
상기 특허 제2010662호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중공부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 1의자(30)와 제 2의자(30') 각각의 윗면 좌판(32, 32')은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낮아 평면이 아닌 아래로 볼록한 곡면이고, 전후 방향 직경보다 좌우 방향 직경이 긴 원통체의 둘레벽면(31)과, 중앙부에 공기 환기공(32a)을 구비하는 윗면 좌판(32)과, 상기 둘레 벽면(31)과 윗면 좌판(32)의 좌우 경계부 전후에 형성된 다수의 밴드공(32b)과, 상기 둘레 벽면(31)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절개부를 갖춘 결합돌기(32c)로 구성되는 제 1의자(30)와; 전후 방향 직경보다 좌우 방향 직경이 긴 원통체의 둘레 벽면(31')과, 중앙부에 공기 환기공(32a')을 구비하는 윗면 좌판(32')과, 상기 둘레 벽면(31')과 윗면 좌판(32')의 좌우 경계부 전후에 형성된 다수의 밴드공(32b')과, 상기 둘레 벽면(31')의 전면과 후면에 상하 다단으로 형성된 결합구멍(32c')으로 구성되는 제 2의자(30')로 이루어져 상기 제 2의자(30')의 중공부에 상기 제 1의자(3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에 있어서; 상기 둘레 벽면(31, 31')의 하단부에는 소정 부위가 수평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의 안치부(31a, 31a')가 각 각 형성되고; 상기 제 1의자(30)의 결합돌기(32c)의 좌우 벽면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31b)이 형성되며; 상기 밴드공(32b, 32b')에 삽입 고정되는 밴드(32d)와 윗면 좌판(32, 32')을 덮는 덮개(32e)를 더 구비하여 동일한 구조의 의자가 결합되어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간이의자는 의자와 의자의 결합을 분리하여 여러 명이 사용하는 장점이 있으나 이러한 장점도 높은 의자를 좋아하는 사용자가 있는 경우 그 장점을 발휘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의자와 의자의 결합에 따른 특정 높이로 의자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높이로 의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특허 제1152387호로서 공개특허공보, 2 : 실용신안등록 제048491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3 : 특허 제2010662호 특허공개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원통상의 좌판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높이가 낮아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높이가 높아지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면서 높이조절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경비의 절감으로 제품의 가격 저렴화로 경제성이 탁월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는 바깥 원통(11)과 내부 원통(12)의 이중 원통 및 중앙 원통체(13)로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바깥 원통체(11)와 일체를 이루고 원둘레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다단 높낮이 조절구(20)와; 상기 중앙 원통체(13)에 끼워지는 원통 좌판(30)과; 상기 원통 좌판(30)의 하부 외면에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40) 및;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접합으로 고정되는 패킹(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통상의 좌판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높이가 낮아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높이가 높아지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면서 높이조절을 정밀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작에 소요되는 경비의 절감으로 제품의 가격 저렴화로 경제성이 탁월한 각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간이의자의 일예를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간이의자의 일예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간이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간이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정면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5는 종래 간이의자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종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사시도,
도 7은 종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종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높낮이 조절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저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높낮이 조절구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저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의 사용 상태도로서, 본 발명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는 바깥 원통(11)과 내부 원통(12)의 이중 원통 및 중앙 원통체(13)로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바깥 원통체(11)와 일체를 이루고 원둘레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다단 높낮이 조절구(20)와; 상기 중앙 원통체(13)에 끼워지는 원통 좌판(30)과; 상기 원통 좌판(30)의 하부 외면에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40) 및;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접합으로 고정되는 패킹(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 좌판(30)은 가장자리보다 중앙부가 낮아 평면이 아닌 아래로 볼록한 곡면인 구조를 갖는다.
상기 본체(10)의 하단부에는 소정 부위가 수평으로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다수의 안치부(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상부에는 원통 좌판(30)의 돌기(40)를 상하 방향을 따라 유도하는 가이드 홈(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원통 좌판(30)의 가장자리는 방사상으로 연장된 후 하향 연장되어 본체(1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테두리(3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앙 원통체(13)의 바깥면에는 상하로 다수의 리브(13a)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안 원통체(12)의 강도를 보강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체(10)의 가이드 홈(15)에 원통 좌판(30)의 돌기(40)를 위에서 삽입한 다음 원통 좌판(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4의 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원통 좌판(3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즉,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 높낮이 조절구(20)의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하든 원통 좌판(30)의 돌기(40)가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칸 낮은 위치에 위치하여 원통 좌판(30)의 높이가 낮아 지고, 계속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좌판(30)의 돌기(40)가 높이 중간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4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좌판(30)의 돌기(40)가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용이하게 원통 좌판(3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통 좌판(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반면에 원통 좌판(3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4의 화살표 방향으로 원통 좌판(30)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즉,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 높낮이 조절구(20)의 중간 위치에 원통 좌판(30)의 돌기(40)가 위치하게 되고, 계속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좌판(30)의 돌기(40)가 최상위 보다 한칸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4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 좌판(30)의 돌기(40)가 가장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용이하게 원통 좌판(30)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통 좌판(3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 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단순히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러한 실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 본체 11 : 바깥 원통
12 : 내부 원통 13 : 중앙 원통체
13a : 리브 14 : 안치부
15 : 홈 20 : 다단 높낮이 조절구
30 : 원통 좌판 31 : 테두리
40 : 돌기 50 : 패킹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바깥 원통(11)과 내부 원통(12)의 이중 원통 및 중앙 원통체(13)로 구성된 본체(10)와; 상기 바깥 원통(11)과 일체를 이루고 원둘레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다단 높낮이 조절구(20)와; 상기 중앙 원통체(13)에 끼워지는 원통 좌판(30)과; 상기 원통 좌판(30)의 하부 외면에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돌기(40) 및;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접합으로 고정되는 패킹(50)으로 구성된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측면 상부에는 원통 좌판(30)의 돌기(40)를 상하 방향 다단 높낮이 조절구(20)를 따라 유도하는 가이드 홈(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원통체(13)의 바깥면에는 상하로 다수의 리브(13a)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앙 원통체(12)의 강도를 보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KR1020200127130A 2020-09-29 2020-09-29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KR102440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130A KR102440465B1 (ko) 2020-09-29 2020-09-29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7130A KR102440465B1 (ko) 2020-09-29 2020-09-29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573A KR20220043573A (ko) 2022-04-05
KR102440465B1 true KR102440465B1 (ko) 2022-09-06

Family

ID=81182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7130A KR102440465B1 (ko) 2020-09-29 2020-09-29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04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534Y1 (ko) * 2006-03-31 2006-07-31 박준필 높낮이 조절용 작업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913B1 (ko) 2002-03-09 2005-04-2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열교환기
KR100981395B1 (ko) * 2008-08-27 2010-09-14 유승곤 휴대용 의자
KR101152387B1 (ko) 2009-09-04 2012-06-05 이희상 간이의자
KR101733870B1 (ko) * 2015-07-15 2017-05-08 벨로스주식회사 스크류식 체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높이조절 의자
KR102010662B1 (ko) 2017-11-21 2019-08-13 김종찬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534Y1 (ko) * 2006-03-31 2006-07-31 박준필 높낮이 조절용 작업 의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의장공보 등록번호 제30-0100420호(1990.02.19.등록, 1990.03.30.발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3573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23974S1 (en) Dog seat cover for a car
USD911071S1 (en) Seat cushion
US11026527B2 (en) Collapsible cup
AU2018274705B2 (en) A valve assembly
CA2892123C (en) Lounge chair
USD981764S1 (en) Seat cover
GB1600141A (en) Chairs
KR102010662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다용도 간이의자
US20020195863A1 (en) Chair backrest with ventilating function
US5887944A (en) Rocking chair apparatus
MX2014012194A (es) Charola para niños con indicador de ubicacion.
CA2923646C (en) Swivelling lounge chair with limited recline
USD834345S1 (en) Chair seat
US20180064252A1 (en) Combination seat pad
KR102440465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간이의자
US3722954A (en) Upholstered furniture
AU2015100116A4 (en) Child seat
USD981763S1 (en) Seat cover
USD1004854S1 (en) Center console pet seat
US20190365164A1 (en) Novel urine deflector
JP5512998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200477413Y1 (ko) 유아용 조립식 의자
KR20160097742A (ko) 소파용 팔걸이
KR950008841Y1 (ko) 프라스틱 쿠션의자
USD982936S1 (en) Foam seat cush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