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7526A -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 Google Patents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7526A KR20150097526A KR1020157016142A KR20157016142A KR20150097526A KR 20150097526 A KR20150097526 A KR 20150097526A KR 1020157016142 A KR1020157016142 A KR 1020157016142A KR 20157016142 A KR20157016142 A KR 20157016142A KR 20150097526 A KR20150097526 A KR 201500975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thermistor
- metal nitride
- nitride material
- typ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7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1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5546 reactive sputte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77 sputtering targe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52984 zinc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441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29910018509 Al—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33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01873 di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87 coverlay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21 nitri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45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6 bo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8 nio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07 poly(ethylene-2,6-na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9719 polyimid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233 thin-film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9590 Cr-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588 Cr—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491 TaAl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0038 T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7 antimon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5 arsen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8 b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0 bery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7 bismut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4 calc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1 elemental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22 epoxy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41 grazing-angle X-ray diff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5 haf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31 hot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8 in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0 molybde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2 os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7 polyep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1 rar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2 r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3 rh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7 ruthe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5 tantal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6 th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14 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9 wet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6 zirco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641—Nitr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021—Reactive sputtering or evaporation
- C23C14/0036—Reactive sputte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22—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coating
- C23C14/34—Sputtering
- C23C14/3407—Cathode assembly for sputtering apparatus, e.g. Target
- C23C14/3414—Metallurgical or chemical aspects of target preparation, e.g. casting, powder metallurgy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26—Treatment with charged partic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46—Reactive treatment
- C23C14/586—Nitrid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17/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 H01C17/0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coating resistive material on a base
- H01C17/065—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dapted for coating resistive material on a base by thick film techniques, e.g. serigraphy
- H01C17/06506—Precursor compositions therefor, e.g. pastes, inks, glass frits
- H01C17/06513—Precursor compositions therefor, e.g. pastes, inks, glass frits characterised by the resistive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008—Thermis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C—RESISTORS
- H01C7/00—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 H01C7/04—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having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 H01C7/042—Non-adjustable resistors formed as one or more layers or coatings; Non-adjustable resistors made from powdered conducting material or powdered semi-conducting material with or without insulating material having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non-metallic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istors And Varistor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Apparatuse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ing Resistors (AREA)
Abstract
필름 등에 비소성으로 직접 성막할 수 있고,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 신뢰성이 높은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를 제공한다. 서미스터에 사용되는 금속 질화물 재료로서, 일반식 : (Ti1-wCrw)xAlyNz (0.0 < w < 1.0, 0.70 ≤ y/(x+y) ≤ 0.95, 0.4 ≤ z ≤ 0.5, x+y+z = 1) 로 나타내는 금속 질화물로 이루어지고, 그 결정 구조가 육방정계의 우르츠광형의 단상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름 등에 비소성으로 직접 성막할 수 있는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에 관한 것이다.
온도 센서 등에 사용되는 서미스터 재료는, 고정밀도, 고감도를 위해서 높은 B 정수 (定數) 가 요구되고 있다. 종래, 이와 같은 서미스터 재료에는 Mn, Co, Fe 등의 천이 금속 산화물이 일반적이다 (특허문헌 1 및 2 참조). 또, 이들 서미스터 재료에서는, 안정된 서미스터 특성을 얻기 위해서 600 ℃ 이상의 소성이 필요하다.
또, 상기와 같은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서미스터 재료 외에, 예를 들어 특허문헌 3 에서는, 일반식 : MxAyNz (단, M 은 Ta, Nb, Cr, Ti 및 Zr 중 적어도 1종, A 는 Al, Si 및 B 중 적어도 1 종을 나타낸다. 0.1 ≤ x ≤ 0.8, 0 < y ≤ 0.6, 0.1 ≤ z ≤ 0.8, x+y+z = 1) 로 나타내는 질화물로 이루어지는 서미스터용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또, 이 특허문헌 3 에서는, Ta-Al-N 계 재료이며, 0.5 ≤ x ≤ 0.8, 0.1 ≤ y ≤ 0.5, 0.2 ≤ z ≤ 0.7, x+y+z = 1 로 한 것만이 실시예로서 기재되어 있다. 이 Ta-Al-N 계 재료에서는, 상기 원소를 포함하는 재료를 타깃으로서 사용하며 질소 가스 함유 분위기 중에서 스퍼터링을 실시하여 제조되었다. 또, 필요에 따라, 얻어진 박막을 350 ∼ 600 ℃ 에서 열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또, 서미스터 재료와는 상이한 예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4 에서는, 일반식 : Cr100-x-yNxMy (단, M 은 Ti, V, Nb, Ta, Ni, Zr, Hf, Si, Ge, C, O, P, Se, Te, Zn, Cu, Bi, Fe, Mo, W, As, Sn, Sb, Pb, B, Ga, In, Tl, Ru, Rh, Re, Os, Ir, Pt, Pd, Ag, Au, Co, Be, Mg, Ca, Sr, Ba, Mn, Al 및 희토류 원소에서 선택되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원소이고, 결정 구조가 주로 bcc 구조 또는 주로 bcc 구조와 A15 형 구조의 혼합 조직이다. 0.0001 ≤ x ≤ 30, 0 ≤ y ≤ 30, 0.0001 ≤ x+y ≤ 50) 로 나타내는 질화물로 이루어지는 변형 센서용 저항막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이 변형 센서용 저항막 재료는, 질소량 x, 부성분 원소 M 량 y 를 모두 30 원자% 이하의 조성에 있어서, Cr-N 기 변형 저항막의 센서의 저항 변화로부터 변형이나 응력의 계측 그리고 변환에 사용된다. 또, 이 Cr-N-M 계 재료에서는, 상기 원소를 함유하는 재료 등의 타깃으로서 사용하고, 상기 부성분 가스를 포함하는 성막 분위기 중에서 반응성 스퍼터링을 실시하여 제조되었다. 또, 필요에 따라 얻어진 박막을 200 ∼ 1000 ℃ 에서 열처리를 실시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는 이하의 과제가 남아 있다.
최근, 수지 필름 상에 서미스터 재료를 형성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의 개발이 검토되고 있어, 필름에 직접 성막할 수 있는 서미스터 재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즉,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플렉시블한 서미스터 센서가 얻어지는 것이 기대된다. 또한 0.1 ㎜ 정도의 두께를 갖는 매우 얇은 서미스터 센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는데, 종래에는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스 재료를 사용한 기판 재료가 자주 사용되고, 예를 들어, 두께 0.1 ㎜ 로 얇게 하면 매우 취약하여 잘 부서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매우 얇은 서미스터 센서가 얻어지는 것이 기대된다.
그러나,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필름은, 일반적으로 내열 온도가 150 ℃ 이하로 낮고, 비교적 내열 온도가 높은 재료로 알려진 폴리이미드도 200 ℃ 정도의 내열성밖에 없기 때문에, 서미스터 재료의 형성 공정에 있어서 열처리가 가해지는 경우에는 적용이 곤란하였다. 상기 종래의 산화물 서미스터 재료에서는, 원하는 서미스터 특성을 실현하기 위해서 600 ℃ 이상의 소성이 필요하여, 필름에 직접 성막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를 실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비소성으로 직접 성막할 수 있는 서미스터 재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지만, 상기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서미스터 재료에서도 원하는 서미스터 특성을 얻기 위해, 필요에 따라 얻어진 박막을 350 ∼ 600 ℃ 에서 열처리할 필요가 있었다. 또, 이 서미스터 재료에서는, Ta-Al-N 계 재료의 실시예에 있어서, B 정수 : 500 ∼ 3000 K 정도의 재료가 얻어지고 있지만, 내열성에 관한 기술이 없어, 질화물계 재료의 열적 신뢰성이 불명확하였다.
또, 특허문헌 4 의 Cr-N-M 계 재료는, B 정수가 500 이하로 작은 재료이고, 또한 200 ℃ 이상 1000 ℃ 이하의 열처리를 실시하지 않으면 200 ℃ 이내의 내열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필름에 직접 성막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를 실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비소성으로 직접 성막할 수 있는 서미스터 재료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필름 등에 비소성으로 직접 성막할 수 있고,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 신뢰성이 높은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질화물 재료 중에서도 AlN 계에 주목하여 예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절연체인 AlN 은, 최적의 서미스터 특성 (B 정수 : 1000 ∼ 6000 K 정도) 을 얻기 어렵지만, Al 사이트를 전기 전도를 향상시키는 특정한 금속 원소로 치환함과 함께, 특정한 결정 구조로 함으로써, 비소성으로 양호한 B 정수와 내열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지견으로부터 얻어진 것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하였다.
즉, 제 1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는, 서미스터에 사용되는 금속 질화물 재료로서, 일반식 : (Ti1-wCrw)xAlyNz (0.0 < w < 1.0, 0.70 ≤ y/(x+y) ≤ 0.95, 0.4 ≤ z ≤ 0.5, x+y+z = 1) 로 나타내는 금속 질화물로 이루어지고, 그 결정 구조가 육방정계의 우르츠광형의 단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에서는, 일반식 : (Ti1-wCrw)xAlyNz (0.0 < w < 1.0, 0.70 ≤ y/(x+y) ≤ 0.95, 0.4 ≤ z ≤ 0.5, x+y+z = 1) 로 나타내는 금속 질화물로 이루어지고, 그 결정 구조가 육방정계의 우르츠광형의 단상이므로, 비소성으로 양호한 B 정수가 얻어짐과 함께 높은 내열성을 갖고 있다.
또, 상기「y/(x+y)」(즉, Al/(Ti+Cr+Al)) 가 0.70 미만이면, 우르츠광형의 단상이 얻어지지 않고, NaCl 형 상과의 공존 상 또는 NaCl 형 상만의 상이 되어 버려, 충분한 고저항과 고 B 정수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y/(x+y)」(즉, Al/(Ti+Cr+Al)) 가 0.95 를 초과하면, 저항률이 상당히 높고, 극히 높은 절연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서미스터 재료로서 적용할 수 없다.
또, 상기「z」(즉, N/(Ti+Cr+Al+N)) 가 0.4 미만이면, 금속의 질화량이 적기 때문에, 우르츠광형의 단상이 얻어지지 않아, 충분한 고저항과 고 B 정수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z」(즉, N/(Ti+Cr+Al+N)) 가 0.5 를 초과하면, 우르츠광형의 단상을 얻을 수 없다. 이런 점은, 우르츠광형의 단상에 있어서, 질소 사이트에서의 결함이 없는 경우의 화학량론 비가 N/(Ti+Cr+Al+N) = 0.5 인 것에서 기인된다.
또, 상기 「w」(즉, Cr/(Ti+Cr)) 에 대해서는, 0.70 ≤ y/(x+y) ≤ 0.95 이며 또한 0.4 ≤ z ≤ 0.5 이며 또한 x+y+z = 1 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0.0 < w <1.0 의 넓은 범위에 있어서 우르츠광형의 단상이 얻어져, 충분한 고저항과 고 B 정수가 얻어진다.
제 2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주상 (柱狀) 결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에서는,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주상 결정이므로, 막의 결정성이 높고 높은 내열성이 얻어진다.
제 3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는, 제 1 또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a 축보다 c 축이 강하게 배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에서는,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a 축보다 c 축이 강하게 배향되어 있으므로, a 축 배향이 강한 경우에 비해 높은 B 정수가 얻어지고, 또한 내열성에 대한 신뢰성도 우수하다.
제 4 발명에 관련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는, 절연성 필름과, 그 절연성 필름 상에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로 형성된 박막 서미스터부와, 적어도 상기 박막 서미스터부의 위 또는 아래에 형성된 1 쌍의 패턴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에서는, 절연성 필름 상에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로 박막 서미스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소성으로 형성되며 고 B 정수이고 내열성이 높은 박막 서미스터부에 의해, 수지 필름 등의 내열성이 낮은 절연성 필름을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서미스터 특성을 가진 박형이면서 플렉시블한 서미스터 센서가 얻어진다.
또한, 종래에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스를 사용한 기판 재료가 자주 사용되고, 예를 들어, 두께 0.1 ㎜ 로 얇게 하면 매우 취약하여 잘 부서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두께 0.1 ㎜ 의 매우 얇은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를 얻을 수 있다.
제 5 발명에 관련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전극의 적어도 상기 박막 서미스터부에 접합되는 부분이 Cr 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에서는, 패턴 전극의 적어도 박막 서미스터부에 접합되는 부분이 Cr 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TiCrAlN 의 박막 서미스터부와 패턴 전극의 Cr 의 높은 접합성이 얻어진다. 즉, 박막 서미스터부를 구성하는 원소의 하나인 Cr 을 패턴 전극의 접합부 재료로 함으로써, 양자의 높은 접합성이 얻어지져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제 6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은,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Ti-Cr-Al 복합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질소 함유 분위기 중에서 반응성 스퍼터를 실시하여 성막하는 성막 공정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는, Ti-Cr-Al 복합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질소 함유 분위기 중에서 반응성 스퍼터를 실시하여 성막하므로, 상기 (Ti,Cr)AlN 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를 비소성으로 성막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스퍼터에 있어서의 스퍼터 가스압을 0.67 Pa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는, 반응성 스퍼터에 있어서의 스퍼터 가스압을 0.67 Pa 미만으로 설정하므로,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a 축보다 c 축이 강하게 배향되어 있는 제 3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은, 제 6 또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막 공정 후에, 형성된 막에 질소 플라즈마를 조사하는 공정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는, 성막 공정 후에, 형성된 막에 질소 플라즈마를 조사하므로, 막의 질소 결함이 적어져 내열성이 더 향상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에 의하면, 일반식 : (Ti1-wCrw)xAlyNz (0.0 < w < 1.0, 0.70 ≤ y/(x+y) ≤ 0.95, 0.4 ≤ z ≤ 0.5, x+y+z = 1) 로 나타내는 금속 질화물로 이루어지고, 그 결정 구조가 육방정계의 우르츠광형의 단상이므로, 비소성으로 양호한 B 정수가 얻어짐과 함께 높은 내열성을 갖고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Ti-Cr-Al 복합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질소 함유 분위기 중에서 반응성 스퍼터를 실시하여 성막하므로, 상기 (Ti,Cr)AlN 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를 비소성으로 성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에 의하면, 절연성 필름 상에 본 발명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로 박막 서미스터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 필름 등의 내열성이 낮은 절연성 필름을 사용하여 양호한 서미스터 특성을 가진 박형이면서 플렉시블한 서미스터 센서가 얻어진다. 또한, 기판 재료가, 얇게 하면 매우 취약하여 잘 부서지는 세라믹스 재료가 아니라 수지 필름인 점에서, 두께 0.1 ㎜ 의 매우 얇은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가 얻어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조성 범위를 나타내는 (Ti+Cr)-Al-N 계 3 원계상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의 제조 방법을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막 평가용 소자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25 ℃ 저항률과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l/(Ti+Cr+Al)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Cr/(Ti+Cr)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Al/(Ti+Cr+Al) = 0.76 으로 한 c 축 배향이 강한 경우에 있어서의 X 선 회절 (XRD) 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Al/(Ti+Cr+Al) = 0.76 으로 한 a 축 배향이 강한 경우에 있어서의 X 선 회절 (XRD) 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비교예에 있어서, Al/(Ti+Cr+Al) = 0.61 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X 선 회절 (XRD) 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a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와 c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를 비교한 Al/(Ti+Cr+Al)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a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와 c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를 비교한 Cr/(Ti+Cr)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c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SEM 사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a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SEM 사진이다.
도 2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의 제조 방법을 공정순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막 평가용 소자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25 ℃ 저항률과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Al/(Ti+Cr+Al)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Cr/(Ti+Cr)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Al/(Ti+Cr+Al) = 0.76 으로 한 c 축 배향이 강한 경우에 있어서의 X 선 회절 (XRD) 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Al/(Ti+Cr+Al) = 0.76 으로 한 a 축 배향이 강한 경우에 있어서의 X 선 회절 (XRD) 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관련된 비교예에 있어서, Al/(Ti+Cr+Al) = 0.61 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X 선 회절 (XRD) 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a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와 c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를 비교한 Al/(Ti+Cr+Al)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a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와 c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를 비교한 Cr/(Ti+Cr)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c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SEM 사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에 있어서, a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 SEM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에 있어서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사용하는 도면에서는, 각 부를 인식할 수 있거나 또는 인식하기 용이한 크기로 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축척을 적절히 변경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는, 서미스터에 사용되는 금속 질화물 재료로서, 일반식 : (Ti1-wCrw)xAlyNz (0.0 < w < 1.0, 0.70 ≤ y/(x+y) ≤ 0.95, 0.4 ≤ z ≤ 0.5, x+y+z = 1) 로 나타내는 금속 질화물로 이루어지고, 그 결정 구조가 육방정계의 결정계로서 우르츠광형 (공간군 P63mc(No.186)) 의 단상이다. 즉,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Ti+Cr)-Al-N 계 3 원계상도에 있어서의 점 A, B, C, D 로 둘러싸이는 영역 내의 조성을 갖고, 결정 상이 우르츠광형인 금속 질화물이다.
또한, 상기 점 A, B, C, D 의 각 조성비 (x, y, z) 는, A (15, 35, 50), B (2.5, 47.5, 50), C (3, 57, 40), D (18, 42, 40) 이다.
또,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는 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주상 결정이다. 또한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a 축보다 c 축이 강하게 배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 (막 두께 방향) 으로 a 축 배향 (100) 이 강한지 c 축 배향 (002) 이 강한지의 판단은, X 선 회절 (XRD) 을 사용하여 결정축의 배향성을 조사함으로써, (100) (a 축 배향을 나타내는 hkl 지수) 와 (002) (c 축 배향을 나타내는 hkl 지수) 의 피크 강도비로부터,「(100) 의 피크 강도」/「(002) 의 피크 강도」가 1 미만인 것에 의해 결정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를 사용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에 대해 설명한다. 이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1)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 필름 (2) 과, 그 절연성 필름 (2) 상에 상기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로 형성된 박막 서미스터부 (3) 와, 적어도 박막 서미스터부 (3) 상에 형성된 1 쌍의 패턴 전극 (4) 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절연성 필름 (2) 은,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 수지 시트로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연성 필름 (2) 으로는, 그 밖에 PET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N :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1 쌍의 패턴 전극 (4) 은, 예를 들어 Cr 막과 Au 막의 적층 금속막으로 패턴 형성되고, 서로 대향 상태로 배치한 빗살형 패턴의 한 쌍의 빗살형 전극부 (4a) 와, 이들 빗살형 전극부 (4a) 에 선단부가 접속되고 기단부가 절연성 필름 (2) 의 단부에 배치되어 연장된 1 쌍의 직선 연장부 (4b) 를 갖고 있다.
또, 1 쌍의 직선 연장부 (4b) 의 기단부 상에는, 리드선의 인출부로서 Au 도금 등의 도금부 (4c)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금부 (4c) 에는, 리드선의 일단이 땜납재 등에 의해 접합된다. 또한 도금부 (4c) 를 포함하는 절연성 필름 (2) 의 단부를 제외하고 그 절연성 필름 (2) 상에 폴리이미드 커버레이 필름 (5) 이 가압 접착되어 있다. 또한, 폴리이미드 커버레이 필름 (5) 대신에, 폴리이미드나 에폭시계의 수지 재료를 인쇄로 절연성 필름 (2) 상에 형성해도 상관없다.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 및 이것을 사용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1) 의 제조 방법에 대해, 도 3 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은, Ti-Cr-Al 복합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질소 함유 분위기 중에서 반응성 스퍼터를 실시하여 성막하는 성막 공정을 갖고 있다. 또, 상기 Ti-Cr-Al 복합 스퍼터링 타깃은, TiAl 합금 분말과 CrAl 합금 분말을 혼합하여, 핫 프레스법으로 굳힌 Ti-Cr-Al 소결체이다.
또, 상기 반응성 스퍼터에 있어서의 스퍼터 가스압을 0.67 Pa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막 공정 후에, 형성된 막에 질소 플라즈마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두께 50 ㎛ 의 폴리이미드 필름의 절연성 필름 (2) 상에,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응성 스퍼터법으로 상기 본 실시형태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로 형성된 박막 서미스터부 (3) 를 200 ㎚ 성막한다. 그 때의 스퍼터 조건은, 예를 들어 도달 진공도 : 5 × 10-6 Pa, 스퍼터 가스압 : 0.4 Pa, 타깃 투입 전력 (출력) : 200 W 이고, Ar 가스+질소 가스의 혼합 가스 분위기하에서 질소 가스 분압 : 60 % 로 한다. 또, 메탈 마스크를 사용하여 원하는 사이즈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를 성막하여 박막 서미스터부 (3) 를 형성한다. 또한, 형성된 박막 서미스터부 (3) 에 질소 플라즈마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진공도 : 6.7 Pa, 출력 : 200 W 및 N2 가스 분위기하에서 질소 플라즈마를 박막 서미스터부 (3) 에 조사시킨다.
다음으로, 스퍼터법으로 예를 들어 Cr 막을 20 ㎚ 형성하고, 추가로 Au 막을 200 ㎚ 형성한다. 또한, 그 위에 레지스트액을 바 코터로 도포한 후, 110 ℃ 에서 1 분 30 초의 프리베이크를 실시하고, 노광 장치로 감광 후, 현상액으로 불필요 부분을 제거하여, 150 ℃ 5 분의 포스트베이크로 패터닝을 실시한다. 그 후, 불필요한 전극 부분을 시판되는 Au 에천트 및 Cr 에천트에 의해 웨트 에칭을 실시하여, 도 3 의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지스트 박리로 원하는 빗살형 전극부 (4a) 를 갖는 패턴 전극 (4) 을 형성한다. 또, 절연성 필름 (2) 상에 먼저 패턴 전극 (4) 을 형성해 두고, 그 빗살형 전극부 (4a) 상에 박막 서미스터부 (3) 를 성막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박막 서미스터부 (3) 아래에 패턴 전극 (4) 의 빗살형 전극부 (4a) 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 의 (d)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두께 50 ㎛ 의 접착제가 부착된 폴리이미드 커버레이 필름 (5) 을 절연성 필름 (2) 위에 얹고, 프레스기로 150 ℃, 2 ㎫ 로 10 분 가압하여 접착시킨다. 또한, 도 3 의 (e)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 연장부 (4b) 의 단부를, 예를 들어 Au 도금액에 의해 Au 박막을 2 ㎛ 형성하여 도금부 (4c) 를 형성한다.
또, 복수의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1) 를 동시에 제작하는 경우, 절연성 필름 (2) 의 대판 (大判) 시트에 복수의 박막 서미스터부 (3) 및 패턴 전극 (4) 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형성한 후에, 대판 시트로부터 각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1) 로 절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예를 들어 사이즈를 25 × 3.6 ㎜ 로 하고, 두께를 0.1 ㎜ 로 한 얇은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1) 가 얻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에서는, 일반식 : (Ti1-wCrw)xAlyNz (0.0 < w < 1.0, 0.70 ≤ y/(x+y) ≤ 0.95, 0.4 ≤ z ≤ 0.5, x+y+z = 1) 로 나타내는 금속 질화물로 이루어지고, 그 결정 구조가 육방정계의 결정계로서 우르츠광형의 단상이므로, 비소성으로 양호한 B 정수가 얻어짐과 함께 높은 내열성을 갖고 있다.
또,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에서는,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주상 결정이므로, 막의 결정성이 높고, 높은 내열성이 얻어진다.
또한, 이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에서는,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a 축보다 c 축을 강하게 배향시키는 것, a 축 배향이 강한 경우에 비해 높은 B 정수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에서는, Ti-Cr-Al 복합 타깃을 사용하여 질소 함유 분위기 중에서 반응성 스퍼터를 실시하여 성막하므로, 상기 (Ti,Cr)AlN 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를 비소성으로 성막할 수 있다.
또, 반응성 스퍼터에 있어서의 스퍼터 가스압을 0.67 Pa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a 축보다 c 축이 강하게 배향되어 있는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성막 공정 후에, 형성된 막에 질소 플라즈마를 조사하므로, 막의 질소 결함이 적어져 내열성이 더 향상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를 사용한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1) 에서는, 절연성 필름 (2) 상에 상기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로 박막 서미스터부 (3)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소성으로 형성되고 고 B 정수이며 내열성이 높은 박막 서미스터부 (3) 에 의해, 수지 필름 등의 내열성이 낮은 절연성 필름 (2) 을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양호한 서미스터 특성을 가진 박형이면서 플렉시블한 서미스터 센서가 얻어진다.
또, 종래에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스를 사용한 기판 재료가 자주 사용되고, 예를 들어, 두께 0.1 ㎜ 로 얇게 하면 매우 취약하여 잘 부서지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두께 0.1 ㎜ 의 매우 얇은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패턴 전극 (4) 의 적어도 박막 서미스터부 (3) 에 접합되는 부분이 Cr막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TiCrAlN 의 박막 서미스터부 (3) 와 패턴 전극 (4) 의 Cr 막의 높은 접합성이 얻어진다. 즉, 박막 서미스터부 (3) 를 구성하는 원소의 하나인 Cr 을 패턴 전극 (4) 의 접합부 재료로 함으로써, 양자의 높은 접합성이 얻어져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에 대해, 상기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제조된 실시예에 의해 평가한 결과를 도 4 내지 도 14 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막 평가용 소자의 제조>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도 4 에 나타내는 막 평가용 소자 (121) 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반응성 스퍼터법으로 여러가지 조성비의 Ti-Cr-Al 복합 타깃을 사용하여, Si 기판 (S) 이 되는 열 산화막이 부착된 Si 웨이퍼 상에, 두께 500 ㎚ 의 표 1 에 나타내는 여러가지 조성비로 형성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박막 서미스터부 (3) 를 형성하였다. 그 때의 스퍼터 조건은, 도달 진공도 : 5 × 10-6 Pa, 스퍼터 가스압 : 0.1 ∼ 1 Pa, 타깃 투입 전력 (출력) : 100 ∼ 500 W 이고, Ar 가스+질소 가스의 혼합 가스 분위기하에 있어서 질소 가스 분압을 10 ∼ 100 % 로 변경하여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박막 서미스터부 (3) 상에 스퍼터법으로 Cr 막을 20 ㎚ 형성하고, 추가로 Au 막을 200 ㎚ 형성하였다. 또한, 그 위에 레지스트액을 스핀 코터로 도포한 후, 110 ℃ 에서 1 분 30 초의 프리베이크를 실시하여 노광 장치로 감광 후, 현상액으로 불필요 부분을 제거하여, 150 ℃ 에서 5 분의 포스트베이크로 패터닝을 실시하였다. 그 후, 불필요한 전극 부분을 시판되는 Au 에천트 및 Cr 에천트에 의해 웨트 에칭을 실시하여, 레지스트 박리로 원하는 빗살형 전극부 (124a) 를 갖는 패턴 전극 (124) 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칩상으로 다이싱하여, B 정수 평가 및 내열성 시험용의 막 평가용 소자 (121) 로 하였다.
또, 비교로서 (Ti,Cr)xAlyNz 의 조성비가 본 발명의 범위 밖으로서 결정계가 상이한 비교예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제조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막의 평가>
(1) 조성 분석
반응성 스퍼터법으로 얻어진 박막 서미스터부 (3) 에 대해, X 선 광전자 분광법 (XPS) 으로 원소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XPS 에서는, Ar 스퍼터에 의해 최표면으로부터 깊이 20 ㎚ 의 스퍼터 면에 있어서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이하의 표 중의 조성비는 「원자%」로 나타내고 있다. 일부 샘플에 대해 최표면으로부터 깊이 100 nm 의 스퍼터 면에 있어서의 정량 분석을 실시하여, 깊이 20 nm 의 스퍼터 면과 정량 정밀도의 범위내에서 동일한 조성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 상기 X 선 광전자 분광법 (XPS) 은, X 선원을 MgKα (350 W) 로 하고, 패스 에너지:58.5 eV, 측정 간격:0.125 eV, 시료면에 대한 광전자 취출각:45 deg, 분석 에어리어를 약 800 ㎛φ 의 조건하에서 정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정량 정밀도에 대해 N/(Ti+Cr+Al+N) 의 정량 정밀도는 ±2 %, Al/(Ti+Cr+Al) 의 정량 정밀도는 ±1 % 이다.
(2) 비저항 측정
반응성 스퍼터법으로 얻어진 박막 서미스터부 (3) 에 대해 4 단자법으로 25 ℃ 에서의 비저항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3) B 정수 측정
막 평가용 소자 (121) 의 25 ℃ 및 50 ℃ 의 저항값을 항온조 내에서 측정하고, 25 ℃ 와 50 ℃ 의 저항값으로부터 B 정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B 정수 산출 방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25 ℃ 와 50 ℃ 의 각각의 저항값으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구한다.
B 정수 (K) = ln (R25/R50)/(1/T25-1/T50)
R25 (Ω) : 25 ℃ 에서의 저항값
R50 (Ω) : 50 ℃ 에서의 저항값
T25 (K) : 298.15 K 25 ℃ 를 절대 온도 표시
T50 (K) : 323.15 K 50 ℃ 를 절대 온도 표시
이들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i,Cr)xAlyNz 의 조성비가 도 1 에 나타내는 3 원계의 삼각도에 있어서, 점 A, B, C, D 로 둘러싸이는 영역 내, 즉, 「0.70 ≤ y/(x+y) ≤ 0.95, 0.4 ≤ z ≤ 0.5, x+y+z = 1」이 되는 영역 내의 실시예 전부에서, 저항률 : 20 Ωcm 이상, B 정수 : 1500 K 이상의 서미스터 특성이 달성되어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25 ℃ 에서의 저항률과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도 5 에 나타낸다. 또, Al/(Ti+Cr+Al)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도 6 에 나타낸다. 이들 그래프로부터 Al/(Ti+Cr+Al) = 0.7 ∼ 0.95 이며 또한 N/(Ti+Cr+Al+N) = 0.4 ∼ 0.5 의 영역에서, 결정계가 육방정의 우르츠광형의 단일 상인 것은, 25 ℃ 에서의 비저항값이 100 Ωcm 이상, B 정수가 1500 K 이상인 고저항이면서 또한 고 B 정수의 영역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6 의 데이터에 있어서, 동일한 Al/(Ti+Cr+Al) 비에 대해 B 정수에 편차가 있는 것은, 결정 내의 질소량이 상이하거나 또는 질소 결함 등의 격자 결함량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Cr/(Ti+Cr)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를 도 7 에 나타낸다.
상기 측정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l/(Ti+Cr+Al) = 0.7 ∼ 0.95 이며 또한 N/(Ti+Cr+Al+N) = 0.4 ∼ 0.5 의 조건을 만족시키면, 0.0 < Cr/(Ti+Cr) < 1.0 의 넓은 조성 범위에서, 25 ℃ 에서의 비저항값이 100 Ωcm 이상, B 정수가 1500 K 이상인 고저항이면서 또한 고 B 정수의 영역을 실현할 수 있다.
표 1 에 나타내는 비교예 2, 3 은 Al/(Ti+Cr+Al) < 0.7 의 영역이고, 결정계는 입방정의 NaCl 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Al/(Ti+Cr+Al) < 0.7 의 영역에서는, 25 ℃ 에서의 비저항값이 100 Ωcm 미만, B 정수가 1500 K 미만이고, 저저항이면서 또한 저 B 정수의 영역이었다.
표 1 에 나타내는 비교예 1 은 N/(Ti+Cr+Al+N) 이 40 % 에 미치지 못하는 영역으로, 금속이 질화 부족의 결정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비교예 1 은, NaCl 형도 우르츠광형도 아닌, 매우 결정성이 열등한 상태였다. 또, 이들 비교예에서는 B 정수 및 저항값이 모두 매우 작아, 금속적 거동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었다.
(4) 박막 X 선 회절 (결정 상의 동정)
반응성 스퍼터법으로 얻어진 박막 서미스터부 (3) 를, 시사각 입사 X 선 회절 (Grazing Incidence X-ray Diffraction) 에 의해 결정 상을 동정하였다. 이 박막 X 선 회절은 미소각 X 선 회절 실험으로, 관구 (管球) 를 Cu 로 하고, 입사각을 1 도로 함과 함께 2θ = 20 ∼ 130 도의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일부 샘플에 대해서는, 입사각을 0 도로 하고, 2θ = 20 ∼ 100 도의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Al/(Ti+Cr+Al) ≥ 0.7 의 영역에 있어서는, 우르츠광형 상 (육방정, AlN 과 동일한 상) 이고, Al/(Ti+Cr+Al) < 0.65 의 영역에 있어서는 NaCl 형 상 (입방정, CrN, TiN 과 동일한 상) 이었다. 또, 0.65 < Al/(Ti+Cr+Al) < 0.7 에 있어서는, 우르츠광형 상과 NaCl 형 상이 공존하는 결정 상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이 (Ti,Cr)AlN 계에 있어서는, 고저항이면서 또한 고 B 정수의 영역은, Al/(Ti+Cr+Al) ≥ 0.7 의 우르츠광형 상으로 존재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불순물 상은 확인되지 않고, 우르츠광형의 단일 상이다.
또, 표 1 에 나타내는 비교예 1 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결정 상이 우르츠광형 상도 NaCl 형 상도 아니고, 본 시험에 있어서는 동정할 수 없었다. 또한, 이들 비교예는, XRD 의 피크 폭이 매우 넓기 때문에, 결정성이 매우 열등한 재료였다. 그 이유는, 전기 특성에 의해 금속적 거동에 가깝기 때문에, 질화 부족의 금속 상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두 우르츠광형 상의 막이고, 배향성이 강하기 때문에, Si 기판 (S) 상에 수직인 방향 (막 두께 방향) 의 결정축에 있어서 a 축 배향성이 강한지, c 축 배향성이 강한지에 대해 XRD 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이 때, 결정축의 배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100) (a 축 배향을 나타내는 hkl 지수) 와 (002) (c 축 배향을 나타내는 hkl 지수) 의 피크 강도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스퍼터 가스압이 0.67 Pa 미만에서 성막된 실시예는, (100) 보다 (002) 의 강도가 매우 강하고, a 축 배향성보다 c 축 배향성이 강한 막이었다. 한편, 스퍼터 가스압이 0.67 Pa 이상에서 성막된 실시예는, (002) 보다 (100) 의 강도가 매우 강하고, c 축 배향보다 a 축 배향이 강한 재료였다.
또, 동일한 성막 조건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성막해도, 마찬가지로 우르츠광형 상의 단일 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동일한 성막 조건에서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성막해도, 배향성은 바뀌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c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의 XRD 프로파일의 일례를 도 8 에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Al/(Ti+Cr+Al) = 0.76 (우르츠광형, 육방정) 이고, 입사각을 1 도로 하여 측정하였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100) 보다 (002) 의 강도가 매우 강해져 있다.
또, a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의 XRD 프로파일의 일례를 도 9 에 나타낸다. 이 실시예는, Al/(Ti+Cr+Al) = 0.76 (우르츠광형, 육방정) 이고, 입사각을 1 도로 하여 측정하였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002) 보다 (100) 의 강도가 매우 강해져 있다.
또, 그래프 중 (*) 은 장치 유래 및 열산화막 Si 기판 유래의 피크이고, 샘플 본체의 피크 혹은 불순물 상의 피크가 아닌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입사각을 0 도로 하여 대칭 측정을 실시하여, 그 피크가 소실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장치 유래 및 열산화막 Si 기판 유래의 피크인 것을 확인하였다.
또, 비교예의 XRD 프로파일의 일례를 도 10 에 나타낸다. 이 비교예는, Al/(Ti+Cr+Al) = 0.61 (NaCl 형, 입방정) 이고, 입사각을 1 도로 하여 측정하였다. 우르츠광형 (공간군 P63mc (No.186)) 으로서 지수 부여할 수 있는 피크는 검출되지 않고, NaCl 형 단독 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우르츠광형 재료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추가로 결정 구조와 전기 특성의 상관을 상세하게 비교하였다.
표 2 및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l/(Ti+Cr+Al) 비가 거의 동일한 비율인 것에 대해, 기판면에 수직 방향의 배향도가 강한 결정축이 c 축인 재료와 a 축인 재료가 있다.
이들 양자를 비교하면, Al/(Ti+Cr+Al) 비가 동일하면, a 축 배향이 강한 재료보다 c 축 배향이 강한 재료 쪽이, B 정수가 200 K 정도 큰 것을 알 수 있다. 또, N 량 (N/(Ti+Cr+Al+N)) 에 주목하면, a 축 배향이 강한 재료보다 c 축 배향이 강한 재료 쪽이, 질소량이 약간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적인 화학량론 비 : N/(Ti+Cr+Al+N) = 0.5 인 점에서, c 축 배향이 강한 재료 쪽이, 질소 결함량이 적어 이상적인 재료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우르츠광형의 금속 원소 사이트에 Ti, Cr, Al 의 3 종 원소가 첨가되어 있는 점에서, 질소 결함에 의한 격자 변형을 3 종의 금속 원소 Ti, Cr, Al 에 의해 격자 변형을 해소할 수 있고, 보다 높은 신뢰성 (내열성) 의 플렉시블 질화물 서미스터 재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 a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와 c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를 비교한 Cr/(Ti+Cr) 비와 B 정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도 12 에 나타낸다. 또, 도 12 에는, 도 11 의 Al/(Ti+Cr+Al) 비가 거의 동일한 재료가 플롯되어 있다. Al/(Ti+Cr+Al) 비가 동일하고 또한 Cr/(Ti+Cr) 비가 동일하면, a 축 배향이 강한 재료보다 c 축 배향이 강한 재료 쪽이, B 정수가 200 K 정도 큰 것을 알아냈다.
<결정 형태의 평가>
다음으로, 박막 서미스터부 (3) 의 단면에 있어서의 결정 형태를 나타내는 일례로서, 열 산화막이 부착된 Si 기판 (S) 상에 250 nm 정도 성막된 실시예 (Al/(Ti+Cr+Al) = 0.76, 우르츠광형, 육방정, c 축 배향성이 강하다) 의 박막 서미스터부 (3) 에 있어서의 단면 SEM 사진을 도 13 에 나타낸다. 또, 다른 실시예 (Al/(Ti+Cr+Al) = 0.76, 우르츠광형 육방정, a 축 배향성이 강하다) 의 박막 서미스터부 (3) 에 있어서의 단면 SEM 사진을 도 14 에 나타낸다.
이들 실시예의 샘플은 Si 기판 (S) 을 벽개 파단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 45°각도로 경사 관찰한 사진이다.
이들 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어느 실시예나 고밀도의 주상 결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c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 및 a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 모두 기판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주상의 결정이 성장되어 있는 모습이 관측되고 있다. 또한, 주상 결정의 파단은 Si 기판 (S) 을 벽개 파단했을 때에 발생한 것이다. 또, 열 산화막이 부착된 Si 기판 (S) 상에 200 nm, 500 nm, 1000 nm 의 두께로 각각 성막한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고밀도의 주상 결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내열 시험 평가>
표 3 에 나타내는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대기 중, 125 ℃, 1000 h 의 내열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저항값 및 B 정수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또, 비교로서 종래의 Ta-Al-N 계 재료에 의한 비교예도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이들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Al 농도 및 질소 농도는 상이하지만, Ta-Al-N 계인 비교예와 동일한 B 정수로 비교했을 때, 내열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전기 특성 변화로 보았을 때의 내열성은 Ti-Cr-Al-N 계 쪽이 우수하다. 또한, 실시예 4, 5 는 c 축 배향이 강한 재료이고, 실시예 9, 10 은 a 축 배향이 강한 재료이다. 양자를 비교하면, c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 쪽이 a 축 배향이 강한 실시예에 비해 훨씬 내열성이 향상되어 있다.
또한, Ta-Al-N 계 재료에서는, Ta 의 이온 반경이 Ti, Cr, Al 에 비해 매우 크기 때문에, 고농도 Al 영역에서 우르츠광형 상을 제조할 수 없다. TaAlN 계가 우르츠광형 상이 아니기 때문에, 우르츠광형 상의 Ti-Cr-Al-N 계 쪽이 내열성이 양호한 것으로 생각된다.
<질소 플라즈마 조사에 의한 내열성 평가>
표 1 에 나타내는 실시예 5 의 박막 서미스터부 (3) 를 성막 후에, 진공도 : 6.7 Pa, 출력 : 200 W, N2 가스 분위기하에서 질소 플라즈마를 조사시켰다. 이 질소 플라즈마를 실시한 막 평가용 소자 (121) 와 실시하지 않은 막 평가용 소자 (121) 에서 내열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이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질소 플라즈마를 실시한 실시예에서는, 비저항 및 B 정수의 변화가 작아 막의 내열성이 향상되어 있다. 그 이유는, 질소 플라즈마에 의해 막의 질소 결함이 저감되어 결정성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또, 질소 플라즈마는 라디칼 질소를 조사하면 더 좋다.
이와 같이 상기 평가에 있어서, N/(Ti+Cr+Al+N) : 0.4 ∼ 0.5 의 범위에서 제작하면, 양호한 서미스터 특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화학량론 비는 N/(Ti+Cr+Al+N) = 0.5 이고, 이번 시험에 있어서는 질소량이 0.5 보다 작아, 재료 중에 질소 결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질소 결함을 보충하는 프로세스를 부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하나로서 상기 질소 플라즈마 조사 등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을 부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2 : 절연성 필름
3 : 박막 서미스터부
4, 124 : 패턴 전극
2 : 절연성 필름
3 : 박막 서미스터부
4, 124 : 패턴 전극
Claims (8)
- 서미스터에 사용되는 금속 질화물 재료로서,
일반식 : (Ti1-wCrw)xAlyNz (0.0 < w < 1.0, 0.70 ≤ y/(x+y) ≤ 0.95, 0.4 ≤ z ≤ 0.5, x+y+z = 1) 로 나타내는 금속 질화물로 이루어지고,
그 결정 구조가 육방정계의 우르츠광형의 단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 제 1 항에 있어서,
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주상 결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 제 1 항에 있어서,
막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막의 표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a 축보다 c 축이 강하게 배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 절연성 필름과,
그 절연성 필름 상에 제 1 항에 기재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로 형성된 박막 서미스터부와,
적어도 상기 박막 서미스터부의 위 또는 아래에 형성된 1 쌍의 패턴 전극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전극의 적어도 상기 박막 서미스터부에 접합되는 부분이 Cr 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 제 1 항에 기재된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Ti-Cr-Al 복합 스퍼터링 타깃을 사용하여 질소 함유 분위기 중에서 반응성 스퍼터를 실시하여 성막하는 성막 공정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스퍼터에 있어서의 스퍼터 가스압을 0.67 Pa 미만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성막 공정 후에, 형성된 막에 질소 플라즈마를 조사하는 공정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2-279148 | 2012-12-21 | ||
JP2012279148A JP6015425B2 (ja) | 2012-12-21 | 2012-12-21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PCT/JP2013/082518 WO2014097883A1 (ja) | 2012-12-21 | 2013-11-27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7526A true KR20150097526A (ko) | 2015-08-26 |
Family
ID=5097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7016142A KR20150097526A (ko) | 2012-12-21 | 2013-11-27 |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9903013B2 (ko) |
EP (1) | EP2937440A1 (ko) |
JP (1) | JP6015425B2 (ko) |
KR (1) | KR20150097526A (ko) |
CN (1) | CN104797734B (ko) |
TW (1) | TW201435104A (ko) |
WO (1) | WO201409788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80995B2 (ja) * | 2015-03-26 | 2020-04-15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窒化物熱電変換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熱電変換素子 |
CN111826621A (zh) * | 2019-04-17 | 2020-10-27 | 中国兵器工业第五九研究所 | 玻璃模压模具涂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90011A (ja) | 1991-09-26 | 1993-04-09 | Anritsu Corp | 感温抵抗体及びその製造方法 |
JPH06158272A (ja) * | 1992-11-17 | 1994-06-07 | Ulvac Japan Ltd | 抵抗膜および抵抗膜の製造方法 |
AU721993B2 (en) * | 1995-06-02 | 2000-07-20 | A.H. Casting Services Limited | Ceramic material with high density and thermal shock resistance, and method of preparation |
JP3642449B2 (ja) | 1997-03-21 | 2005-04-27 | 財団法人電気磁気材料研究所 | Cr−N基歪抵抗膜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歪センサ |
JPH11289909A (ja) * | 1998-04-13 | 1999-10-26 | Jiyunji Komatsu | 浄化装置付き金魚鉢 |
US20040224459A1 (en) * | 1999-07-07 | 2004-11-11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Layered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element |
US6989574B2 (en) * | 2000-08-24 | 2006-01-24 | Heetronix | High temperature circuit structures with thin film layer |
JP2003111217A (ja) * | 2001-10-02 | 2003-04-11 | Hitachi Ltd | 配電盤 |
JP2003226573A (ja) | 2002-02-01 | 2003-08-12 | Mitsubishi Materials Corp | 複合磁器材料およびlc複合部品 |
JP3862080B2 (ja) * | 2002-11-01 | 2006-12-27 | 防衛庁技術研究本部長 | 熱型赤外線検出器の製造方法 |
JP4436064B2 (ja) * | 2003-04-16 | 2010-03-24 | 大阪府 | サーミスタ用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6324520A (ja) | 2005-05-19 | 2006-11-30 | Mitsubishi Materials Corp | サーミスタ薄膜及びその製造方法 |
JP2006219739A (ja) * | 2005-02-14 | 2006-08-24 | Hitachi Cable Ltd | 金属酸化膜形成方法 |
US20100104495A1 (en) * | 2006-10-16 | 2010-04-29 |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 Method for producing nitride semiconductor, crystal growth rate increasing agent, single crystal nitride, wafer and device |
JP5160583B2 (ja) * | 2009-06-16 | 2013-03-13 | 日本電波工業株式会社 | 感知装置及び感知方法 |
JP5703842B2 (ja) * | 2011-02-28 | 2015-04-22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温度センサ付き非接触給電装置 |
JP5477670B2 (ja) * | 2012-02-28 | 2014-04-23 |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JP6014959B2 (ja) * | 2012-06-29 | 2016-10-26 |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 表面被覆切削工具 |
-
2012
- 2012-12-21 JP JP2012279148A patent/JP601542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
- 2013-11-27 US US14/652,739 patent/US9903013B2/en active Active
- 2013-11-27 CN CN201380060050.2A patent/CN10479773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3-11-27 EP EP13865505.5A patent/EP2937440A1/en not_active Withdrawn
- 2013-11-27 WO PCT/JP2013/082518 patent/WO201409788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11-27 KR KR1020157016142A patent/KR2015009752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3-12-06 TW TW102144815A patent/TW201435104A/zh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50315695A1 (en) | 2015-11-05 |
US9903013B2 (en) | 2018-02-27 |
CN104797734A (zh) | 2015-07-22 |
CN104797734B (zh) | 2017-03-29 |
JP2014122387A (ja) | 2014-07-03 |
EP2937440A1 (en) | 2015-10-28 |
TW201435104A (zh) | 2014-09-16 |
JP6015425B2 (ja) | 2016-10-26 |
WO2014097883A1 (ja) | 2014-06-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2063B1 (ko) |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 |
JP6015423B2 (ja)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
KR101871547B1 (ko) |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 |
JP6308435B2 (ja)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
KR20160046788A (ko) |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 |
EP2937441B1 (en) | Metal-nitride thermistor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film-type thermistor sensor | |
JP6311878B2 (ja)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
JP6318915B2 (ja)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
JP6120250B2 (ja)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
KR20160021103A (ko) |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 |
WO2015012414A1 (ja)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
WO2014097949A1 (ja)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
KR20160048761A (ko) |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 |
WO2014196583A1 (ja)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
KR20150097526A (ko) | 서미스터용 금속 질화물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필름형 서미스터 센서 | |
WO2014196649A1 (ja) | サーミスタ用金属窒化物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フィルム型サーミスタセン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6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