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849A -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 Google Patents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849A
KR20150096849A KR1020140017648A KR20140017648A KR20150096849A KR 20150096849 A KR20150096849 A KR 20150096849A KR 1020140017648 A KR1020140017648 A KR 1020140017648A KR 20140017648 A KR20140017648 A KR 20140017648A KR 20150096849 A KR20150096849 A KR 20150096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reaction tank
battery
waste battery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695B1 (ko
Inventor
신선명
주성호
신동주
왕제필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017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695B1/ko
Publication of KR2015009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2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cells or batteries, e.g.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유가금속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처리장치는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응조(12)가 있고, 상기 반응조(12)의 외면과 상기 프레임(10)의 내면 사이에 위치되어 반응조(12)의 발열체(13)에서 나온 열이 프레임(10)의 외부로 전달되는 것과 소음 전달츨 차단하는 방음재(14)가 있다. 상기 반응조(12)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차폐하도록 덮개(16)가 사용되는데, 상기 덮개(16)와 반응조(12)의 사이에는 시일이 있어 외부와 밀폐된다. 상기 반응조(12)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투입구(18)가 있는데, 상기 투입구(18)의 상단은 상기 반응조(12)의 원심방향으로 경사지게 되고, 상기 투입구(18)의 상단에 있는 입구(20)의 내부에는 가스차단도어(22)가 설치되어, 외부와 상기 반응조(12)의 내부공간을 차폐한다. 상기 가스차단도어(22)는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자동으로 이동된다. 상기 덮개(18)를 관통하여 다수개의 가스주입구(26)와 가스배출구(24)가 형성된다. 상기 가스주입구(26)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끝부분이 서로 다른 높이에 있도록 되고 불활성가스를 내부공간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가스배출구(24)는 내부공간에서 발생한 유해가스와 더스트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Continuous Heat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Recovering Valuable Metals from Litium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전지로부터 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전지에서 금속을 회수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연속 열처리를 통해 먼저 수행하고 이후에 파,분쇄 공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전지란 예를 들면, 리모콘, 계산기, 무전기, 전자시계, 카세트, 완구 등 각종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1차 전지와 핸드폰, 노트북, 자동차용 배터리 등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가 수명이 다해 발생하는 폐기물을 일컫는다.
이와 같은 폐전지에는 은, 코발트, 니켈, 아연, 망간, 리튬, 구리 등의 유가금속들이 포함되어 있어 유한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기 위해 폐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폐전지에는 유해금속인 납, 카드뮴, 수은 등을 비롯하여 KOH, NH4Cl, 리튬염, H2SO4 등이 전해액으로 사용되고 있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재활용 기술을 개발해야 할 필요가 있다.
종래에 개발된 폐전지 재활용 기술들은 수거된 폐전지를 각 전지별, 예컨대 1차 전지와 2차 전지별로 각각 분류하는 공정, 그 분류된 폐전지를 파쇄하는 공정, 파쇄물을 체로 분급하는 공정, 회수하고자 하는 금속과 잔사를 선별하는 공정이 전처리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수거된 폐전지를 1차 전지와 2차 전지의 전지별로 분류 및 파쇄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고, 폐전지를 직접 파쇄하는 공정에서는 전지의 폭발성 위험이 발생하며, 또한 발생하는 전해액과 그 가스가 대기 중에 노출됨으로써 환경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선행기술문헌으로 제시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폐전지에서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이 제공되었으나, 여기서는 한 번에 정해진 양만큼의 폐전지만을 반응조에 투입하여 작업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폐전지에 대한 전처리에서 대량처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2638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응조 내에 폐전지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전처리 과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리튬계 폐혼합전지를 연속열처리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작업대상물인 폐전지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반응조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반응조의 사이에 위치되어 내화 및 방음작용을 하는 방음재와, 상기 반응조의 상단에 형성된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반응조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폐하는 덮개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내부에 가스차단도어가 위치되고 상기 반응조의 내부공간으로 작업대상물을 투입하는 경로가 되는 투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투입구의 상단은 상기 반응조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투입구의 상단에 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투입구는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내부공간으로 불활성가스를 주입하는 다수개의 가스주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주입구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끝부분이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더스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구가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덮개를 승강시키기 위한 호이스트가 상기 덮개의 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연직상방으로 연장되는 호이스트 본체와, 상기 호이스트본체에 견인줄이나 견인체인으로 연결되는 견인고리와, 상기 견인줄이나 견인체인을 풀고 감는 동력을 제공하는 호이스트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프레임, 반응조, 덮개, 투입구를 포함하는 연속연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를 이용하여 리튬계 전지로부터 연속 열처리 공정에 의한 유가금속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반응조 내부의 온도를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투입구의 가스차단도어를 개방하여 폐전지를 투입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폐전지 투입단계 후에, 반응조 내부의 유해가스나 더스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스차단도어를 폐쇄되는 단계; (d) 상기 덮개의 가스배출구를 통하여 열처리 중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더스트를 방출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방출된 더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유가금속분말을 집진기를 거쳐 분리하는 단계; (f) 상기 (d)단계의 방출된 유해가스를 스크러버에서 NaOH 용액으로 중화하여 대기로 배출하는 단계; (g) 상기 (c)단계의 열처리된 폐전지를 상기 반응조로부터 수거하는 단계; (h) 상기 수거된 폐전지를 파쇄 또는 분쇄하는 단계; 및 (i) 상기 패쇄 또는 분쇄된 폐전지의 자력 선별 및 체거름으로 유가금속분말을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b)단계와 동시 또는 (b)단계 후에, (b') 상기 반응조 내부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주입구를 통해 불활성 가스를 상기 반응조 내부로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b')단계와 동시 또는 (b')단계 후에, (b") 반응조와 덮개 사이를 밀봉하는 시일을 냉각하기 위하여 냉각수주입구를 통해 냉각수를 주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a)단계의 반응조 온도는 470 ~ 550℃의 범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단계의 폐전지는 1분당 5 ~ 15개의 속도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사용한 유가금속 회수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는 반응조에서 열처리작업이 진행되는 중에도 반응조의 내부로 폐전지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폐전지 처리장치에서의 전처리 양이 크게 늘어날 수 있게 되어 보다 많은 양의 유가금속을 보다 신속하게 폐전지로부터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처리장치에서는 반응조에서 폐전지에 대한 전처리공정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반응조의 내부로 불활성가스를 주입하여 폐전지가 열처리중에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고, 반응조의 내부에서 외부로 유해가스 및 먼지(dust)등을 가수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고 이를 처리하여 대기중으로 배출하므로 보다 환경친화적으로 유가금속을 회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작업대상물을 반응조로 투입하는 투입구 입구가 연직방향에 대해 소정의 경사지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입구 내부에 가스차단도어가 설치되어 반응조 내부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먼지가 반응조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므로 작업대상물에 대한 연속적인 처리 및 친환경적인 작업공정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장치의 상면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가금속의 회수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로우차트.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연속열처리를 위한 폐전지 처리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프레임(10)이 외관과 골격을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져 처리장치 내외부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아래에서 설명될 방음재(14)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10)이 반드시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하는 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내측 중앙에는 반응조(12)가 설치되는데, 상기 반응조(12)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부로 입구가 구비된다. 상기 반응조(12)는 본 실시례에서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 반응조(12)의 형상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반응조(12)도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내폭발성, 내열성 및 내식성이 뛰어날 것이 요구되므로, 예를 들면, SUS 3103S로 만들어진다. 이는 SUS 3103S가 Ni-Cr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고온산화에 저항력이 우수하며 고온강도가 좋기 때문이다.
상기 반응조(12)에는 발열체(13)가 있다. 상기 발열체(12)는 상기 반응조(12) 자체의 내부 또는 상기 반응조(12)의 외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발열체(12)는 반응조(12) 내부에서의 열처리에 필요한 열을 발생시킨다.
상기 반응조(12)의 외면과 프레임(1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방음재(14)가 설치된다. 상기 방음재(14)는 상기 반응조(12)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음재(14)는 내화재의 역할도 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면 좋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방음재(14)가 상기 반응조(12)의 외측면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 사이에만 위치하고 있으나, 상기 반응조(12)의 저면과 프레임(10)의 바닥 사이에도 둘 수 있다.
상기 반응조(12)의 상단에 있는 입구는 덮개(16)에 의해 닫혀진다. 상기 덮개(16)는 상기 반응조(12)의 내부를 외부와 차폐하여 반응조(12) 내부가 외부와 차단된 환경을 가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반응조(12)와 덮개(16) 사이에는 시일을 두어 밀폐하게 된다. 상기 시일이 열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시일의 냉각을 수행하는 냉각수관(도시되지 않음)을 상기 반응조(12)와 덮개(16)에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덮개(16)에는 투입구(18)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구(18)는 상기 반응조(12)의 내부로 작업대상물인 폐전지를 투입하는 부분이다. 상기 투입구(18)는 상기 덮개(16)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투입구(18)는 전체적으로 상기 덮개(16)를 관통하므로 상기 덮개(16)에 대해 직교하게 연직방향으로 연장된다. 하지만, 상기 투입구(18)의 상단 일부는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투입구(18)의 상단이 경사지게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반응조(12)를 평면으로 볼 때, 반응조(12)의 원심방향이다. 이와 같이 투입구(18)의 상단이 형성되는 것은, 상기 투입구(18)의 선단에 형성된 입구(20)를 통해 상기 프레임(10)의 외측에서 상기 투입구(18)로 폐전지를 투입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투입구(18)의 입구(20) 내측에는 가스차단도어(22)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차단도어(22)는 상기 반응조(12) 내부와 외부의 환경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상기 반응조(12) 내부에서의 열처리 작업중에 발생하는 가스와 더스트(dust)가 폐전지의 투입작업중에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스차단도어(22)는 상기 투입구(18)의 내면에 그 가장자리가 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좋고, 개폐시의 회전중심이 되는 회전축에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가스차단도어(22)를 밀어 개방한 후에 가스차단도어(22)를 밀던 힘을 제거하면 자동으로 닫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폐전지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반응조(12)의 내부와 외부의 환경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투입구(18)는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덮개(16)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으나, 상기 반응조(12)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덮개(16)에는 또한 가스배출구(24)가 다수 곳에 설치된다. 상기 가스배출구(24)는 열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더스트를 방출하는 것이다. 상기 가스배출구(24)는 집진기에 연결되어 있어, 집진기에서 상기 더스트를 걸러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더스트는 일반적으로 전지분말로 구성되고, 주 성분은 유가금속분말이다. 상기 유해가스는 스트러버로 이동되어 스크러버 내에서 유동되고 있는 NaOH용액으로 중화되어 대기로 배출된다. 상기 가스배출구(24)가 반드시 상기 덮개(16)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반응조(12)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덮개(16)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이 반응조(12)의 상부에 있는 유해가스와 더스트를 외부로 보다 잘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덮개(16)에는 가스주입구(26)가 설치된다. 상기 가스주입구(26)는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주입구(26)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반응조(12) 내부로 연장된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스주입구(26)를 통해 주입되는 불활성가스, 예를 들면 아르곤(Ar)이 반응조(12)의 내부에 보다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스주입구(26)를 통해 주입되는 불활성가스는 상기 반응조(12) 내부에서 폐전지의 폭발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덮개(16)에는 열전대(28)가 설치된다. 상기 열전대(28)는 상기 반응조(12)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전대(28)는 상기 덮개(16)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반응조(12)의 내부로 연장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호이스트(30)가 설치된다. 상기 호이스트(30)는 상기 덮개(16)를 승강시켜 상기 반응조(12)의 내부를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호이스트(30)의 골격을 호이스트본체(32)가 형성한다. 상기 호이스트본체(32)는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호이스트본체(32)의 일부는 상기 덮개(16)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호이스트본체(32)에는 견인고리(34)가 설치된다. 상기 견인고리(34)는 상기 덮개(16)를 향해 하강되고 상승될 수 있도록 된다. 상기 견인고리(34)의 승강을 위해 상기 호이스트본체(32)에는 호이스트모터(36)가 설치된다. 상기 호이스트모터(36)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견인고리(34)가 승강하면서 상기 덮개(16)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견인고리(34)는 견인줄이나 견인체인에 설치되고(도시되지 않음), 상기 견인줄이나 견인체인은 상기 호이스트모터(36)의 구동력에 의해 풀려나가고 감아지면서 상기 견인고리(34)를 승강시키게 된다. 참고로 상기 견인고리(34)를 상기 덮개(16)에 걸기 위해서 상기 덮개(16)에 걸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폐전지에서 유가금속을 뽑아내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고, 다음의 공정을 수행하여 유가금속을 폐전지에서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반응조(12)는 상기 덮개(16)가 덮어짐에 의해 내부공간이 외부와 차폐되어 폐전지에 대한 전처리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반응조(12)에서 폐전지의 열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발열체(13)가 발열하여 반응조(12)의 온도를 470 ~ 550℃ 정도로 만든 후(S10)에, 상기 투입구(18)를 통해 분당 10개 정도의 폐전지를 투입하면서 열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 반응조(12)에서 처리가능한 폐전지의 전체 양은 상기 반응조(12)의 크기에 따라 다르나, 전지 공급속도는 1분에 5 ~ 15개의 속도로 반응조에 폐전지를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구(18)는 상기 가스차단도어(22)에 의해 차폐되어 있어 반응조(12) 내부와 외부의 환경이 서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데, 폐전지를 열처리를 위해 투입할 때에는 상기 가스차단도어(22)를 잠시 개방하여 폐전지를 투입하게 된다(S20). 상기 폐전지를 투입하고 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스차단도어(22)가 다시 닫혀서 상기 반응조(12) 내부에서 유해가스나 더스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S30).
상기 폐전지를 상기 투입구(18)를 통해 반응조(12)의 내부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상기 입구(20)가 경사지게 반응조(12)의 원심방향으로 향해 있어 작업자가 보다 쉽게 상기 투입구(18)를 통해 폐전지를 반응조(12)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작업이 이루어지는 과(S40)정에서는 상기 가스주입구(26)를 통해 불활성가스를 상기 반응조(12)의 내부로 주입하여, 내부에서 폭발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냉각수주입구를 통해 냉각수를 주입하여 시일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가스배출구(24)를 통해서는 열처리 중에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더스트가 방출된다(S50). 상기 방출되는 유해가스와 더스트는 집진기를 거치고 다시 스크러버를 거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더스트에 있는 유가금속분말들이 걸러지고(S51), 유해가스는 스크러버에서 NaOH용액으로 중화되어 대기로 배출된다(S52).
한편, 정해진 용량의 폐전지를 상기 반응조(12) 내부로 투입하여 전처리 과정이 모두 끝나게 되면, 상기 반응조(12) 내부에 남아 있는 열처리된 폐전지를 수거하게 된다(S60). 이를 위해서 상기 호이스트(30)가 사용된다. 상기 호이스트(30)의 호이스트모터(36)가 구동되어 상기 견인고리(34)가 상기 덮개(18)의 걸이에 걸어지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견인고리(34)를 상승시키면 상기 덮개(18)가 개방되면서 상기 반응조(12)의 내부에 작업자가 접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반응조(12)의 온도는 분당 10℃ 정도의 비율을 작업자가 충분히 작업할 수 있는 온도로 만들어야 한다.
이와 같이 연속열처리를 거친 폐전지는 상기 반응조(12)에서 수거되어 파쇄기로 전달되고, 파쇄기에서 파/분쇄를 실시한 후(S70), 자력 선별 및 체거름(sieving)기로 전지구성품 및 전지내 유가금속분말을 분리 및 회수하게 된다(S80).
이와 같은 공정 사이클에서 상기 폐전지를 수거하는 단계(S60)가 종료된 반응조에 새로운 폐전지 시료를 투입하는 단계(S20)부터 다시 시작함으로써 공정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프레임 12: 반응조
13: 발열체 14: 방음재
16: 덮개 18: 투입구
20: 입구 22: 가스차단도어
24: 가스배출구 26: 가스주입구
28: 열전대 30: 호이스트
32: 호이스트본체 34: 견인고리
36: 호이스트모터

Claims (12)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고 내부에 작업대상물인 폐전지가 위치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된 반응조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반응조의 사이에 위치되어 내화 및 방음작용을 하는 방음재와,
    상기 반응조의 상단에 형성된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반응조의 내부공간을 외부와 차폐하는 덮개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도록 내부에 가스차단도어가 위치되고 상기 반응조의 내부공간으로 작업대상물을 투입하는 경로가 되는 투입구를 포함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상단은 상기 반응조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투입구의 상단에 입구가 형성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는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불활성가스를 주입하는 다수개의 가스주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가스주입구는 상기 내부공간에서 서로 다른 높이에 끝부분이 있도록 구성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와 더스트를 외부로 배출하는 가스배출구가 상기 덮개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를 승강시키기 위한 호이스트가 상기 덮개의 상방에 위치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연직상방으로 연장되는 호이스트 본체와, 상기 호이스트본체에 견인줄이나 견인체인으로 연결되는 견인고리와, 상기 견인줄이나 견인체인을 풀고 감는 동력을 제공하는 호이스트모터를 포함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8. 프레임, 반응조, 덮개, 투입구를 포함하는 연속연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를 이용하여 리튬계 전지로부터 연속 열처리 공정에 의한 유가금속의 회수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반응조 내부의 온도를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투입구의 가스차단도어를 개방하여 폐전지를 투입하여 열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폐전지 투입단계 후에, 반응조 내부의 유해가스나 더스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가스차단도어를 폐쇄되는 단계;
    (d) 상기 덮개의 가스배출구를 통하여 열처리 중 발생하는 유해가스 및 더스트를 방출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방출된 더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유가금속분말을 집진기를 거쳐 분리하는 단계;
    (f) 상기 (d)단계의 방출된 유해가스를 스크러버에서 NaOH 용액으로 중화하여 대기로 배출하는 단계;
    (g) 상기 (c)단계의 열처리된 폐전지를 상기 반응조로부터 수거하는 단계;
    (h) 상기 수거된 폐전지를 파쇄 또는 분쇄하는 단계;
    (i) 상기 패쇄 또는 분쇄된 폐전지의 자력 선별 및 체거름으로 유가금속분말을 분리 및 회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동시 또는 (b)단계 후에,
    (b') 상기 반응조 내부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가스주입구를 통해 불활성 가스를 상기 반응조 내부로 주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와 동시 또는 (b')단계 후에,
    (b") 반응조와 덮개 사이를 밀봉하는 시일을 냉각하기 위하여 냉각수주입구를 통해 냉각수를 주입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반응조 온도는 470 ~ 550℃의 범위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폐전지는 1분당 5 ~ 15개의 속도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KR1020140017648A 2014-02-17 2014-02-17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KR101610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48A KR101610695B1 (ko) 2014-02-17 2014-02-17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648A KR101610695B1 (ko) 2014-02-17 2014-02-17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849A true KR20150096849A (ko) 2015-08-26
KR101610695B1 KR101610695B1 (ko) 2016-04-20

Family

ID=54058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648A KR101610695B1 (ko) 2014-02-17 2014-02-17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695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162A (zh) * 2019-03-14 2019-05-28 南昌科卓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废旧计算机重金属回收装置
KR102252019B1 (ko) 2020-09-22 2021-05-14 주식회사 영풍 폐이차전지배터리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KR20210131258A (ko) 2020-04-23 2021-11-02 김문성 폐리튬전지로부터 리튬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KR20220152104A (ko)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영풍 건식용융 방법을 이용한 폐리튬이차전지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KR20230037018A (ko) 2021-05-07 2023-03-15 주식회사 영풍 건식용융 방법을 이용한 폐리튬이차전지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CN116514571A (zh) * 2022-12-21 2023-08-01 咸阳陶瓷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利用锂渣制备无机吸音材料的方法
KR102639566B1 (ko) 2022-11-10 2024-02-23 주식회사 영풍 리튬 회수 방법
KR102641852B1 (ko) 2023-01-30 2024-02-27 주식회사 영풍 폐리튬전지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KR20240045148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영풍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KR20240045151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영풍 유가금속의 회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KR20240045149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영풍 응축기를 이용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KR20240045150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영풍 스크러버를 이용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KR20240045152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영풍 불화리튬의 전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33522A1 (en) 2002-02-01 2003-08-06 Batrec Industrie AG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torage and handling of objects comprising alkali metals, such as alkali metal containing batteries
JP5594167B2 (ja) 2011-01-31 2014-09-24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電池パック処理装置および処理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07162A (zh) * 2019-03-14 2019-05-28 南昌科卓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废旧计算机重金属回收装置
KR20210131258A (ko) 2020-04-23 2021-11-02 김문성 폐리튬전지로부터 리튬을 포함하는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KR102252019B1 (ko) 2020-09-22 2021-05-14 주식회사 영풍 폐이차전지배터리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KR20220152104A (ko)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영풍 건식용융 방법을 이용한 폐리튬이차전지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KR20230037018A (ko) 2021-05-07 2023-03-15 주식회사 영풍 건식용융 방법을 이용한 폐리튬이차전지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KR20240045151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영풍 유가금속의 회수율을 향상시키는 방법
KR20240045148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영풍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KR20240045149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영풍 응축기를 이용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KR20240045150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영풍 스크러버를 이용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KR20240045152A (ko) 2022-09-29 2024-04-05 주식회사 영풍 불화리튬의 전환 방법
KR102639566B1 (ko) 2022-11-10 2024-02-23 주식회사 영풍 리튬 회수 방법
CN116514571A (zh) * 2022-12-21 2023-08-01 咸阳陶瓷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利用锂渣制备无机吸音材料的方法
KR102641852B1 (ko) 2023-01-30 2024-02-27 주식회사 영풍 폐리튬전지로부터 리튬을 회수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695B1 (ko) 201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0695B1 (ko)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KR101718422B1 (ko)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Mossali et al. Lithium-ion batteries towards circular economy: A literature review of opportunities and issues of recycling treatments
Zhong et al. Pretreatment for the recovery of spent lithium ion batteries: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Diekmann et al. Ecological recycling of lithium-ion batteries from electric vehicles with focus on mechanical processes
Neumann et al. Recycling of lithium‐ion batteries—current state of the art, circular economy, and next generation recycling
Zeng et al. Solving spent lithium-ion battery problems in Chin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P7256693B2 (ja) 廃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システム
Vanitha et al. Waste minimization and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a review
Lu et al. Sustainable recycling of electrode materials in spent Li-ion batteries through direct regeneration processes
Wang et al. Chemical evolution of LiCoO2 and NaHSO4· H2O mixtures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during roasting process
EP3936246A1 (en)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method for waste lithium ion batteries
Tang et al. Recycling of the rare earth oxides from spent rechargeable batteries using waste metallurgical slags
Anwani et al. Life cycle assessment and economic analysis of acidic leaching and baking routes for the production of cobalt oxalate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Milian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f emerging technologies for recycling spent lithium-ion batteries
Hossain et al. Technological options and design evolution for recycling spent lithium‐ion batteries: impact,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Al-Asheh et al. Treatment and recycling of spent lithium-based batteries: a review
CN105514400B (zh) 利用废旧镍氢电池制备用于电池负极活性材料储氢合金的方法
Guo et al. Managing the surge: a comprehensive review of the entire disposal framework for retired Lithium-ion batteries from electric vehicles
Wang et al. An Upcoming Global Challenge: Efficient Recycling for End‐of‐Life Lithium‐Ion Batteries
JP6853402B2 (ja) 二次電池の処理方法
KR101352638B1 (ko) 혼합 폐전지로부터 금속 회수방법
Islam et al. Lithium-Ion Battery Recycling in the Circular Economy: A Review. Recycling 2022, 7, 33
Persis et al.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nventional Methods, Benefits of Recycling the Spent Lithium-ion Batteries with a Special focus on Ultrasonic Delamination.
EP3708685A1 (en)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