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5148A -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5148A
KR20240045148A KR1020230131688A KR20230131688A KR20240045148A KR 20240045148 A KR20240045148 A KR 20240045148A KR 1020230131688 A KR1020230131688 A KR 1020230131688A KR 20230131688 A KR20230131688 A KR 20230131688A KR 20240045148 A KR20240045148 A KR 20240045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edded material
electrolyte
recovery
sp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8019B1 (ko
Inventor
한길수
김응배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풍
Publication of KR20240045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8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8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5Shredding, crush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 B01D5/0057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 B01D5/006Condensation of vapours; Recovering volatile solvents by condensation in combination with other processes with evaporation or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15Electronic waste
    • B09B2101/16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배터리의 전처리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폐배터리를 파쇄하여 제1파쇄물을 생성하는 파쇄부; 상기 제1파쇄물을 원심분리하여 전해액과 제2파쇄물로 분리하는 제1회수부; 및 상기 제2파쇄물을 감압증류하여 전해액과 제3파쇄물로 분리하는 제2회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Apparatus for pre-treating used battery and method of pre-treating used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전동공구 및 전기자동차 등에 배터리가 다량 사용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이차전지배터리 또한 다량 발생하고 있다.
폐이차전지배터리에는 코발트, 구리, 니켈 및 니켈과 같은 유가금속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며, 유가금속의 회수가 중요하다.
유가금속의 회수방법으로는 습식방법과 건식방법이 있다. 두 방식 모두 모듈 형태로 투입하여 유가금속을 회수하기 어려우며 이를 파쇄 및 분쇄하는 전처리공정이 필요하다.
폐이차전지배터리는 잔류 전류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방전하지 않으면 파쇄하는 공정에서 잔류 전류 단락에 의해 전지 내의 전해액과 반응하여 화재, 폭발의 위험이 있다.
전처리공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파쇄전 방전공정을 적용한다. 대표적인 방전공정은 염수방전, 전기적 방전을 꼽을 수 있다. 염수방전은 많은 소요시간이 필요하고, 전기적 방전은 미량의 잔류 전류가 존재하여 이 역시 안정성에 문제가 있다.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5-0096849호(2015.08.26.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폐이차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공정의 전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폐배터리의 전처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폐배터리를 파쇄하여 제1파쇄물을 생성하는 파쇄부; 상기 제1파쇄물을 원심분리하여 전해액과 제2파쇄물로 분리하는 제1회수부; 및 상기 제2파쇄물을 감압증류하여 전해액과 제3파쇄물로 분리하는 제2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파쇄부는, 상기 파쇄공간을 형성하는 파쇄부 본체; 상기 파쇄공간 내에 위치하는 슈레더; 상기 파쇄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유닛; 및 상기 파쇄공간에 비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투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쇄부는, 상기 파쇄공간 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농도 측정기; 상기 파쇄공간 내의 불꽃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불꽃 감지기; 및 상기 파쇄공간에 소화약재를 투입하는 소화약재 투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부는, 제1회수공간을 형성하는 제1회수부 본체; 상기 제1회수공간 내에 위치하는 메시 형태의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제1회수공간에 상기 제1파쇄물을 공급하는 호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회수공간 내에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제1회수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상기 제1회수공간에서 회수된 전해액이 배출되는 전해액 배출구; 및 상기 제2파쇄물이 배출되는 파쇄물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원심분리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상기 제1파쇄물은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제1방향을 따라 상기 파쇄물 배출구로 이동하며, 상기 전해액 배출구는 상기 파쇄물 배출구보다 상류에 위치하며, 상기 제1회수부 본체는 상기 전해액 배출구에서 상기 파쇄물 배출구에 가까워질수록 하부의 높이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드럼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파쇄물은 상기 드럼 내에 위치하면서 원심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1파쇄물을 상기 제1회수부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파쇄물의 상기 제1회수부로의 이동은 자유낙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부는 로타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수부는, 증발공간을 형성하는 제2회수부 본체; 상기 증발공간의 개폐를 결정하는 게이트; 상기 증발공간을 가열하는 발열유닛; 상기 증발공간에 연결된 진공펌프; 및 상기 제2파쇄물로부터 증발된 전해액을 응축하는 응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파쇄물을 상기 제2회수부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파쇄물의 상기 제2회수부로의 이동은 자유낙하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수부에서 회수된 전해액을 수용하는 제1전해액 수용부; 및 상기 제2회수부에서 회수된 전해액을 수용하는 제2전해액 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폐배터리의 전처리 방법에 있어서, 폐배터리를 파쇄하여 제1파쇄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파쇄물을 원심분리하여 전해액과 제2파쇄물로 분리하는 제1회수단계; 및 상기 제2파쇄물을 감압증류하여 전해액과 제3파쇄물로 분리하는 제2회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제1파쇄물의 생성은 비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파쇄물 및 상기 제2파쇄물의 이송은 자유낙하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장치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및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장치에서 파쇄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장치에서 제1회수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장치에서 제2회수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폐배터리는 폐리튬전지 내지 폐리튬이차전지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폐리튬이차전지를 파쇄하는 것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폐리튬이차전지는 리튬, 코발트, 니켈, 구리, 알루미늄, 망간, 철 및/또는 탄소를 포함할 수 있고, 무방전 또는 전기적 방전 후의 모듈 또는 셀 형태일 수 있으나 그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방법은 파쇄 단계, 물리적인 전해액 회수 단계, 감압 증류에 의한 전해액 회수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처리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처리 장치(1)는 파쇄부(10), 제1이송부(20), 제1회수부(30), 제2이송부(40), 제2회수부(50), 제1전해액 수용부(61) 및 제2전해액 수용부(62)를 포함한다.
파쇄부(10)에서는 폐배터리를 파쇄하여 제1파쇄물을 생성하며, 제1회수부(30)는 제1파쇄물을 원심분리하여 전해액과 제2파쇄물로 분리한다. 제2회수부(50)는 제2파쇄물을 감압증류하여 전해액과 제3파쇄물로 분리한다.
제1이송부(20)는 제1파쇄물을 제1회수부(30)로 이송한다. 제1파쇄물은 자유낙하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제1이송부(20)는 낙하여부를 결정하는 온-오프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로타리 밸브(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이송부(40)는 제2파쇄물을 제2회수부(50)로 이송한다. 제2파쇄물은 자유낙하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제2이송부(40)는 온-오프 기능이 없는 배관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이송부(40)는 제1이송부(20)와 같이 온-오프 장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로타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쇄부(10), 제1회수부(30) 및 제2회수부(50)가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어 있어, 제1파쇄물과 제2파쇄물이 자유낙하로 이동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파쇄부(10), 제1회수부(30) 및 제2회수부(50)가 다른 배치관계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파쇄물은 컨베이어 밸트 등 다른 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1전해액 수용부(61)는 제1회수부(30)에서 회수된 전해액을 수용하며, 제2전해액 수용부(62)는 제2회수부(50)에서 회수된 전해액을 수용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해액은 단일의 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파쇄부(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파쇄부(10)는, 파쇄공간을 형성하는 파쇄부 본체(110), 개폐유닛(120), 슈레더(130), 슈레더 모터(140), 가스배출구(150), 산소농도측정기(160), 불꽃 감지기(170), 가스투입구(180) 및 소화약재 투입구(190)을 포함한다.
파쇄공간은 상부는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하부는 제1파쇄물의 이동을 위해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한다.
개폐유닛(120)은 파쇄공간을 개폐한다. 파쇄공간이 개방되면 파쇄공간의 상부로부터 폐배터리가 공급될 수 있으며, 파쇄공간이 폐쇄되면 파쇄공간은 외부의 공기와 차단된다. 개폐유닛(120)은 슬라이드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폐배터리는 컨베이어 벨트 등을 이용해 공급될 수 있다.
슈레더(130)는 파쇄공간 내에 위치하며, 도 3과 같이 한쌍의 회전체로 마련되어 있다. 슈레더(130)의 개수, 설치위치, 형상, 재질 및 간격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슈레더 모터(140)는 슈레더(130)를 회전시킨다.
가스배출구(150)는 후술할 가스투입구(180)를 통한 불활성가스 투입 시에 내부가스를 배출시킨다.
산소농도측정기(160)는 파쇄공간 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며, 측정된 산소농도를 이용하여 파쇄공간이 충분히 비활성가스 분위기인지 판단한다.
불꽃 감지기(170)는 파쇄공간 내에서 불꽃이 발생하는지 감지하며, 불꽃이 감지되면 소화약재 투입구(190)를 통해 소화약재가 공급된다.
가스투입구(180)를 통해서는 불활성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불활성가스로는 질소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1회수부(30)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회수부(30)는 회수공간을 형성하는 제1회수부 본체(310), 호퍼(320), 회전축(330), 회수부 모터(340), 체인(331), 드럼 모터 (341) 스크류(350), 드럼(360), 전해액 배출구(370) 및 파쇄물 배출구(380)를 포함한다.
회수공간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다.
호퍼(320)를 통해 공급되는 제1파쇄물은 회수공간 내로 공급되며, 바람직하게는 드럼(36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회전축(330)은 회수공간 내에서 가로방향(또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회수부 모터(340)에 의해 회전한다.
스크류(350)는 회전축(330)에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축(330)을 따라 회전한다.
드럼(360)은 도 5와 같이 메시형태이며, 양단은 개방되어 있다. 드럼(360)의 양단은 회수공간의 양단과 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메시의 크기는 제1파쇄물의 크기보다 작게 마련된다. 드럼(36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스테인리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드럼(360)은 체인(331)으로 외부에 연결되어 있는 드럼 모터(341)에 의해 회전한다.
드럼(360)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은 체인(331) 및 드럼 모터(341) 외에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1파쇄물은 스크류(350)의 회전에 의해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전해액 배출구(370)는 제1방향의 상류에 위치하며 제2파쇄물이 배출되는 파쇄물 배출구(380)는 제1방향의 하류에 위치한다.
제1회수부 본체(310)의 하부(A)는 전해액 배출구(370)에서 파쇄물 배출구(380)로 갈수록 높아진다. 즉 제1회수부 본체(310)의 하부(A)는 분리된 전해액이 구배를 통해 전해액 배출구(370)로 흘러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2회수부(5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회수부(50)는 증발공간을 형성하는 제2회수부 본체(510), 게이트(520), 발열유닛(530), 응축유로(540), 응축기(550), 냉각기(560) 및 진공펌프(570)를 포함한다.
증발공간은 원통형 또는 직육면체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520)는 증발공간의 개폐를 결정한다. 증발공간이 개방되면 제2파쇄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증발공간이 폐쇄되면, 증발공간은 외부와 차단된다. 게이트(520)는 슬라이드 형태일 수 있으며, 증발공간의 진공형성을 위해 폐쇄 시에 밀폐가 용이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발열유닛(530)는 증발공간의 온도를 올리거나 조절한다. 발열유닛(530)의 형태 및 열원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응축유로(540)는 증발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응축유로(540)에는 응축기(550)가 연결되어 있으며, 응축기(550)는 냉각기(560)를 통해 냉각유체를 공급받는다.
진공펌프(570)는 증발공간의 진공을 형성한다.
응축유로(540)에서 응축된 전해액은 제2전해액 수용부(62)로 수용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폐배터리를 파쇄하여 제1파쇄물을 생성한다(S100)
개폐유닛(120)을 오픈하고 파쇄공간에 폐배터리를 투입한다. 폐배터리는 컨베이어 밸트 등을 통해 투입될 수 있으며, 무게를 계측하여 일정량 투입될 수 있다.
폐배터리는 무방전 상태일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부분 또는 완전 방전 상태일 수 있다.
폐배터리 투입 후 개폐유닛(120)을 닫고, 가스투입구(180)를 통해 비활성가스를 공급한다.
비활성가스 분위기에서 슈레더(130)를 가동하고 폐배터리를 파쇄하여 제1파쇄물을 생성한다. 비활성가스 분위기의 형성 여부는 산소농도 측정기(160)의 측정값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산소 농도가 5,000ppm이하이면 비활성 가스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파쇄과정에서 불꽃 감지기(170)를 사용하여 불꽃 발생여부를 감지하고, 불꽃이 발생하여 화재라고 판단되면 소화약재 투입구(190)를 통해 소화약재를 투입한다.
파쇄과정에서 제2이송부(20)는 닫힌 상태이며, 파쇄 완료 후에 로타리 밸브(210)를 오픈한다. 로타리 밸브(210)의 오픈에 의해 제1파쇄물은 자유낙하하여 제1회수부(30)로 공급된다.
제1파쇄물과 공기의 접촉을 막기 위해, 제1파쇄물이 제1회수부(30)로 공급된 후 제2이송부(20)를 닫은 후 개폐유닛(130)을 열어 새로운 폐배터리를 투입한다.
다음으로 제1파쇄물을 원심분리하여 전해액과 제2파쇄물로 분리한다(S200)
호퍼(320)를 통해 공급된 제1파쇄물은 드럼(360) 내부에 위치한다. 회전축(330)을 회전시키면 스크류(350)가 회전하며 드럼(360)은 드럼모터(341)과 연결되어 있는 체인(331)에 의해 회전한다.
스크류 회전에 의해 제1파쇄물은 원심분리되면서 제1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원심분리에 의해 제1파쇄물은 전해액과 제2파쇄물로 분리된다. 전해액은 드럼(360)을 빠져나와 전해액 배출구(370)로 이동하며, 전해액 배출구(370)를 통해 제1전해액 수용부(61)로 수용된다.
드럼(360)의 여러 부분에 빠져나온 전해액은 제1회수부 본체(310)의 하부에 형성된 구배에 의해 전해액 배출구(370)로 원활히 이동하게 된다.
제2파쇄물은 제1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파쇄물 배출구(380)와 제2이송부(40)를 통해 제2회수부(50)로 공급된다.
마지막으로 제2파쇄물을 감압증류하여 전해액과 제3파쇄물로 분리한다(S300).
게이트(520)를 개방하여 증발공간으로 제2파쇄물을 자유낙하방식으로 공급한 뒤, 게이트(520)를 폐쇄한다.
발열유닛(530)을 통해 증발공간의 온도를 올리고, 진공펌프(570)를 통해 증발공간의 압력을 낮추어 제2파쇄물 내의 잔여 전해액을 증발시킨다.
증발 시 증발공간의 온도는 20℃ 내지 60℃ 또는 20℃ 내지 40℃이며, 증발공간의 압력은 500hpa이하 또는 400hpa이하이며, 구체적으로 50hpa 내지 500hpa일 수 있다.
증발된 전해액은 응축유로(540)로 이동 후 응축기(550)에 의해 응축되어 제2전해액 수용부(62)에 수용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소요시간이 짧은 전기적방전 또는 무방전 폐이차전지에 대해 안전한 파쇄가 가능하여, 염수 방전의 긴 방전시간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전해액의 회수율이 높으며, 파쇄물의 안전한 이송이 가능하다.
이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면한다.
[실험예]
완충 시 4.5V인 3.6V의 무방전 각평 폐리튬이차전지를 슬라이드 형태의 뚜껑이 있는 파쇄설비에 넣고 다시 슬라이드를 닫아 밀폐시킨 후 질소를 충진하여 산소를 5,000ppm 이하의 분위기에서 파쇄를 진행한 결과 화재 없이 파쇄가 가능하였으나 파쇄 후 대기에 노출되면 화재가 발생하였다. 이는 무방전 배터리 파쇄 시 인위적인 단락에 의해 파쇄물의 온도가 상승하고 낮은 인화성 온도를 갖는 전해액과 산소의 반응에 의해 전해액의 연소 반응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파쇄후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파쇄물에서 전해액의 분리가 필요하다. 1차적으로 전해액 회수를 진행하기 위하여 드럼의 회전 속도를 3,000rpm으로 설정하였고 약 10분간 진행하였을 시 전해액의 80%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바렐을 이용하여 물리적인 전해액의 제거를 진행한 후 잔류하는 전해액은 감압증류 장치를 이용하여 전해액을 회수하였다. 감압증류 시 파쇄물의 온도는 60℃ 이하에서 진행하였으며 챔버의 압력을 500hpa 까지 감압하면 1시간 이내에 전해액 성분이 제거되는 것을 GC 분석을 통해 확인 하였고, 감압증류 완료 후 파쇄물의 성분은 표 1과 같이 TOC가 1.2%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수 있었으며, 대기 중 파쇄물을 노출하였을 때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 하였다.
폐리튬이차전지 파쇄물의 성분 (단위: wt%)
Li Ni Co Cu Al C TOC
2.55 13.42 4.04 10.33 14.32 19 1.2

Claims (13)

  1. 폐배터리의 전처리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폐배터리를 파쇄하여 제1파쇄물을 생성하는 파쇄부;
    상기 제1파쇄물을 원심분리하여 전해액과 제2파쇄물로 분리하는 제1회수부;
    상기 제2파쇄물을 감압증류하여 전해액과 제3파쇄물로 분리하는 제2회수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파쇄공간을 형성하는 파쇄부 본체;
    상기 파쇄공간 내에 위치하는 슈레더;
    상기 파쇄공간을 개폐하는 개폐유닛; 및
    상기 파쇄공간에 비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투입구를 포함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파쇄공간 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하는 산소농도 측정기;
    상기 파쇄공간 내의 불꽃 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불꽃 감지기;및
    상기 파쇄공간에 소화약재를 투입하는 소화약재 투입구를 더 포함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수부는,
    제1회수공간을 형성하는 제1회수부 본체;
    상기 제1회수공간 내에 위치하는 메시 형태의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상기 제1회수공간에 상기 제1파쇄물을 공급하는 호퍼;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회수공간 내에 위치하는 회전축;
    상기 제1회수공간 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상기 제1회수공간에서 회수된 전해액이 배출되는 전해액 배출구; 및
    상기 제2파쇄물이 배출되는 파쇄물 배출구를 포함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회전축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원심분리는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상기 제1파쇄물은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제1방향을 따라 상기 파쇄물 배출구로 이동하며,
    상기 전해액 배출구는 상기 파쇄물 배출구보다 상류에 위치하며,
    상기 제1회수부 본체는 상기 전해액 배출구에서 상기 파쇄물 배출구에 가까워질수록 하부의 높이가 증가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드럼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파쇄물은 상기 드럼 내에 위치하면서 원심분리되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쇄물을 상기 제1회수부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파쇄물의 상기 제1회수부로의 이동은 자유낙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로타리 밸브를 포함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수부는,
    증발공간을 형성하는 제2회수부 본체;
    상기 증발공간의 개폐를 결정하는 게이트;
    상기 증발공간을 가열하는 발열유닛;
    상기 증발공간에 연결된 진공펌프;및
    상기 제2파쇄물로부터 증발된 전해액을 응축하는 응축기를 포함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쇄물을 상기 제2회수부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파쇄물의 상기 제2회수부로의 이동은 자유낙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수부에서 회수된 전해액을 수용하는 제1전해액 수용부; 및
    상기 제2회수부에서 회수된 전해액을 수용하는 제2전해액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2. 폐배터리의 전처리 방법에 있어서,
    폐배터리를 파쇄하여 제1파쇄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파쇄물을 원심분리하여 전해액과 제2파쇄물로 분리하는 제1회수단계;및
    상기 제2파쇄물을 감압증류하여 전해액과 제3파쇄물로 분리하는 제2회수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쇄물의 생성은 비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수행되며,
    상기 제1파쇄물 및 상기 제2파쇄물의 이송은 자유낙하로 수행되는 방법.
KR1020230131688A 2022-09-29 2023-10-04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KR102658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513 2022-09-29
KR20220124513 2022-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148A true KR20240045148A (ko) 2024-04-05
KR102658019B1 KR102658019B1 (ko) 2024-04-17

Family

ID=9071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1688A KR102658019B1 (ko) 2022-09-29 2023-10-04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80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1344A (ja) * 1998-08-21 2000-02-29 Iwatani Internatl Corp 廃棄ガス缶の処理方法
KR101188313B1 (ko) * 2010-04-06 2012-10-09 오씨아이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웨이퍼 제조시 발생되는 폐슬러지 재생방법 및 재생시스템
KR20150096849A (ko) 2014-02-17 2015-08-2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KR20160032803A (ko) * 2014-09-16 2016-03-25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폐기물 재활용 설비의 화재 자동소화장치
KR20180084235A (ko) * 2017-01-16 2018-07-25 라상원 폐 리튬 전지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1344A (ja) * 1998-08-21 2000-02-29 Iwatani Internatl Corp 廃棄ガス缶の処理方法
KR101188313B1 (ko) * 2010-04-06 2012-10-09 오씨아이 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웨이퍼 제조시 발생되는 폐슬러지 재생방법 및 재생시스템
KR20150096849A (ko) 2014-02-17 2015-08-26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속열처리 방식 폐전지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계 전지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방법
KR20160032803A (ko) * 2014-09-16 2016-03-25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 폐기물 재활용 설비의 화재 자동소화장치
KR20180084235A (ko) * 2017-01-16 2018-07-25 라상원 폐 리튬 전지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8019B1 (ko) 202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865B1 (ko) 폐리튬이차전지 일괄처리시스템
Yu et al. Comprehensive recycling of lithium-ion batteries: Fundamentals, pretreatment, and perspectives
EP2689487B1 (en) Recycling method and treatment device for battery pack
JP7442872B2 (ja) リチウム電池を再利用する方法
US10707544B2 (en) System for recycling volatile battery sources
CN107636875B (zh) 用于处理用过的电池、特别是能充电的电池的方法和电池处理设备
JP7256693B2 (ja) 廃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処理システム
CN1442928B (zh) 一种在保护气氛存在下分解含有含碱金属物质的电池的方法
KR102334855B1 (ko) 폐리튬이차전지 일괄처리시스템
KR102447931B1 (ko) 폐전지 친환경 재활용 방법
KR102426579B1 (ko) 중대형 폐전지 방전시스템
EP3827104A1 (en) Plant for the disposal of lithium batteries and recovery of lithium
KR100716199B1 (ko) 폐 리튬 일차전지 처리장치 및 그 방법
CN112840488A (zh) 用于回收废旧电池的设备
US11316214B2 (en) Waste lithium battery recovery system
KR102658019B1 (ko) 폐배터리의 전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처리 방법
US2023023121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lithium ion battery recycling
KR20210045887A (ko) 발포수지와 폐비닐의 오일 추출을 위한 열분해방식의 장치
EP3804869A1 (en) Method for discharging the electric charge of batteries and device that implements said method
KR20130021518A (ko) 유기폐기물의 열분해 장치
CN113546739A (zh) 一种废旧动力电池破碎装置及方法
RU2676806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отработанных литиевых источников тока
US20230175099A1 (en) Li-ion battery recycling process and system for black mass fractionation and recovery of specific materials
CN218282080U (zh) 锂离子电池极片密闭破碎装置
JP2024025709A (ja) リチウムイオンアキュムレータを処理するための可動式装置とリチウムイオンアキュムレータを処理するための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