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6662A - 다층 취입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수득된 필름 - Google Patents

다층 취입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수득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6662A
KR20150096662A KR1020157015921A KR20157015921A KR20150096662A KR 20150096662 A KR20150096662 A KR 20150096662A KR 1020157015921 A KR1020157015921 A KR 1020157015921A KR 20157015921 A KR20157015921 A KR 20157015921A KR 20150096662 A KR20150096662 A KR 20150096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cyclic
group
layer
aliphatic n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드 브링크
알렉산더르 안토니우스 마리 스트루쿠스
카타리나 토믹
Original Assignee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filed Critical 디에스엠 아이피 어셋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50096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66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29C47/0004
    • B29C47/0026
    • B29C47/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olefins obtained by a metallocene or single-site cataly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5/00Closures, end caps, sto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4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4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4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7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yamid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하는 다층 필름을 취입 필름 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으로, 여기에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a) 지방족 비-환상 다이아민 X 및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 Y 또는 지방족 비-환상 α,ω-아미노산 Z, 및 (b)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다이아민 M 및 이산 N(여기에서 M 및 N은 환상이다)의 단량체 단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하는 다층 취입 필름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a) 지방족 비-환상 다이아민 X 및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 Y 또는 지방족 비-환상 α,ω-아미노산 Z, 및 (b)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다이아민 M 및 이산 N(여기에서 M 및 N은 환상이다)의 단량체 단위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 취입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수득된 필름{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 BLOWN FILM AND FILM OBTAINED BY THE PROCESS}
본 발명은 취입 필름 공정에 의해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coPA)층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하는 다층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을 함유하는 다층 취입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종종, 예를 들어 농예용 필름, 및 예를 들어 식료품용 포장 필름의 제조에 사용된다. 상기 폴리올레핀층은 상기 필름에 몇몇 성질들, 예를 들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이 폴리올레핀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높은 인열 강도, 또는 폴리프로필렌이 폴리올레핀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양호한 표면 광택을 부여하는 반면, 상기 폴리아미드층은 대체로 상기 필름에 차단 성질을 부여하고자 사용된다.
공지된 방법의 문제는, 폴리아미드층 및 폴리올레핀층의 조합이 그 자체로는 상기 필름에 목적하는 성질들의 조합을 부여하기에 충분하지만, 종종 취입 필름 공정에 의해 가공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상기 취입 필름 장치의 적합한 설정을 찾아내기가 어려운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또한 상기와 같은 설정을 좁은 한계내에서 유지시켜야 한다. 이는 상기 공정을, 특히 생산속도와 취입 비(blow-up ratio; BUR)에 관하여 어렵고 덜 융통성으로 만든다. 폴리아미드 대신에 코폴리아미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공정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상기 필름의 차단 성질이, 특히 보다 높은 습도에서 손상된다. 이는 상기 다층 필름을, 예를 들어 식품 포장 또는 의약 포장에 적용하기에 덜 적합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높은 생산 속도를 나타내는 취입 필름 공정에 의해 취입 필름을 제조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차단 성질을 갖는 다층 취입 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하는 다층 필름을 취입 필름 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성취되며, 여기에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a) 지방족 비-환상 다이아민 X 및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 Y 또는 지방족 비-환상 α,ω-아미노산 Z, 및
(b)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다이아민 M 및 이산 N(여기에서 M 및 N은 환상이다)
의 단량체 단위들을 포함한다.
상기 언급한 층들을 함유하는 필름 버블은 보다 양호한 안정성을 가지며 상기 코폴리아미드에 의해 보다 높은 처리율로 취입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존재로 인해, 예를 들어 불량한 버블 안정성으로 유명한 LLDPE 및 폴리프로필렌(PP)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조차, 버블 안정성이 폴리아미드-6과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과의 조합의 경우보다 더 높다. 놀랍게도, 상기 차단 성질이 또한, 특히 보다 높은 습도에서 높게 유지된다. 다층 필름의 취입 필름 공정을 포함하여, 취입 필름 공정은 그의 공지된 실시태양에서 상기 공정에 대해 어떠한 특별한 요구도 부과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그 자체로서 공지된 공정이다.
코폴리아미드는 공지되어 있으며 문헌[Nylon Plastics Handbook, Edited by Melvin I. Kohan, Hanser Publishers, 1995, pages 365] 등에 일반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명명법은 문헌[Nylon Plastics Handbook, Edited by Melvin I. Kohan, Hanser Publishers, 1995]에 사용되는 바를 고수한다; 예를 들어 PA-612는 빌딩 블록 헥산-1,6-다이아민 및 1,12-도데칸산을 갖는 동종중합체를 나타내고, PA-6/12는 ε-카프로락탐 및 라우로락탐으로 제조된 공중합체를 나타내고, PA-6 및 PA-12의 블렌드는 PA-6/PA-12로서 개시된다.
폴리아미드 동종중합체는 예를 들어 다이아민(X) 및 이산(Y)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AABB 유형 폴리아미드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PA-612는 빌딩 블록 헥산-1,6-다이아민(HMDA) 및 1,12-도데칸산을 갖는 동종중합체를 나타낸다. 폴리아미드 동종중합체는 또한 아미노산(Z)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AB-유형 폴리아미드로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PA-6은 ε-카프로락탐으로부터의 동종중합체를 나타낸다.
코폴리아미드는 대개 PA-XY/MN(여기에서 PA-XY는 AABB 유형 폴리아미드이다), 또는 PA-Z/MN(여기에서 PA-Z는 AB-유형 폴리아미드이고, M 및 N은 처음 언급된 단량체 단위보다 더 낮은 양으로 존재한다)로서 개시된다. 이러한 표시법은 코폴리아미드의 유형에 대해서는 기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랜덤하거나, 블록이거나, 또는 심지어 교번될 수 있다.
취입 필름 공정은 그 자체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문헌[Nylon Plastics Handbook, Edited by Melvin I. Kohan, Hanser Publishers, 1995, pages 228, 229]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구체적인 취입 필름 공정은 예를 들어 이중 버블, 삼중 버블 및 취입 필름 공정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버블은 물에 의해 냉각된다.
지방족 비-환상 단량체 단위 X, Y 및 Z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코폴리아미드는 지방족 비-환상 다이아민 X 및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 Y 또는 지방족 비-환상 α,ω-아미노산 Z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X+Y의 합은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에 관하여 70 중량% 이상 또는 Z의 70 중량%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 X+Y 또는 Z의 합은 80 중량%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상이다. 비-환상이란 용어는 원자들의 고리가 존재하지 않는 구조를 나타낸다. 중량 백분율을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에 관하여 나타낸다.
상기 지방족 비-환상 단량체 단위는 AB-유형, 따라서 하나 이상의 아민기 및 하나 이상의 산기를 가질 수 있으며, 또한 아미노산으로서 나타내고 본 발명에서 Z로서 지칭된다. AB-유형 지방족 비-환상 단량체 단위의 예는 입실론-카프로락탐, 아미노데칸산, 아미노운데칸산 및 아미노도데칸산이다.
상기 지방족 비-환상 단량체 단위는 또한 다이아민 및 이산일 수 있고, 따라서 AA 및 BB 유형의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X 및 Y로서 나타낸다. 지방족 비-환상 다이아민 X의 예는 1,4-다이아미노부탄, 1,5-다이아미노펜탄, 1,6-다이아미노헥산을 포함한다. 지방족 비-환상 이산 Y의 예는 1,6-헥산다이오산, 1,8-옥탄다이오산, 1,9-노난다이오산, 1,11-데칸다이오산, 운데칸다이오산 및 1,12-도데칸다이오산, 1,13-트라이데칸다이오산, 1,14-테트라데칸다이오산, 1,15-헵타데칸다이오산, 1,16-헥사데칸다이오산, 1,17-셉타데칸다이오산 및 1,18-옥타데칸다이오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몰비 X:Y는 1.1:1 내지 1:1.1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방족 비-환상 단량체 단위는, 하기의 지방족 비-환상 단량체 단위들을 쉽게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i) Z의 경우 ε-카프로락탐 또는
(ii) X의 경우 1,6-다이아미노헥산 및 Y의 경우 1,6-헥산다이오산이다.
상기 지방족 비-환상 단량체 단위는 또한 AB-유형 및 AA-유형 및 BB-유형 단량체일 수 있다. ε-카프로락탐 자체는 환상이지만, 상기 코폴리아미드에 통합시, 상기 단량체 단위는 더이상 환상이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하는 다층 취입 필름에 관한 것이다.
X가 1,4- 다이아미노부탄인 실시태양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코폴리아미드는 X가 1,4-다이아미노부탄이고 Y가 탄소수 8 이상의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인 단량체 단위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 Y의 단량체 단위는 탄소수 18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 Y의 단량체 단위는 1,8-옥탄다이오산, 1,9-노난다이오산, 1,11-데칸다이오산, 1,11-운데칸다이오산 및 1,12-도데칸다이오산, 1,13-트라이데칸다이오산, 1,14-테트라데칸다이오산, 1,15-펜타데칸다이오산, 1,16-헥사데칸다이오산, 1,17-헵타데칸다이오산 및 1,18-옥타데칸다이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훨씬 더 바람직하게 상기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의 단량체 단위는 짝수의 탄소 원자를 갖는데, 그 이유는 상기 짝수의 탄소 원자가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비교적 더 높은 융점을 생성시키기 때문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지방족 선형 다이카복실산의 단량체 단위는 1,10-데칸다이오산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하는 다층 취입 필름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X 및 Y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택된다.
다이아민 M 및 이산 N의 단량체 단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코폴리아미드는 다이아민 M 및 이산 N을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총량으로 포함하며, 여기에서 M 및 N은 환상이다.
놀랍게도, 이미 상기 양은, 차단 성질은 유지하면서 보다 높은 생산 속도를 허용하는 보다 높은 취입 비를 나타내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바람직하게, M+N의 총량은 1.9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 1.8 중량%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 1.5 중량% 미만이다. M+N의 총량은 0.1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0.2 중량% 이상, 훨씬 더 바람직하게 0.5 중량% 이상이다. 가장 바람직한 상기 합은 0.2 내지 1.5 중량%이다. 바람직하게, 몰비 M:N은 2:1 내지 1:2, 보다 바람직하게 1.2:1 내지 1:1.2이다.
환상 다이아민 M은 방향족 및 비-방향족 다이아민, 예를 들어 다이아미노사이클로헥산, 이소포론다이아민(IPD), 비스-(p-아미노사이클로헥산)메탄(PACM), 2,2-다이-(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 p-자일릴렌다이아민, m-자일릴렌다이아민, 3,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을 포함한다.
환상 이산 N은 방향족 이산, 예를 들어 이소프탈산(I), 테레프탈산(T), 4-메틸이소프탈산, 4-3차-부틸이소프탈산, 1,4-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및 2,6-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을 포함한다. 환상 이산 N은 또한 비-방향족 환상 이산, 예를 들어 시스-1,4-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트랜스-1,4-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시스-1,3-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및 트랜스-1,3-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상 이산 N은 방향족 이산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환상 이산 N은 이소프탈산 및/또는 테레프탈산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환상 다이아민 M은 이소포론다이아민이고 상기 환상 이산 N은 테레프탈산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지방족 비-환상 단량체 단위는
(i) Z의 경우 ε-카프로락탐 또는
(ii) X의 경우 1,6-다이아미노헥산 및 Y의 경우 1,6-헥산다이오산이고,
M은 이소포론다이아민(IPD)이고 N은 테레프탈산(T)이며,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양이다.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통상적인 첨가제, 예를 들어 분지화제, 분지된 단량체 단위, 단부캡퍼(endcapper)뿐만 아니라, X, Y 또는 Z와 상이한 다른 단량체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을 갖는 다층 필름을 생성시키지만, 또한 다수의 코폴리아미드층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
폴리올레핀층의 물질로서, 공지된 폴리올레핀, 특히 에틸렌의 동종중합체 및 에틸렌과 하나 이상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의 동종중합체 및 프로필렌과 하나 이상의 α-올레핀, 특히 에틸렌과의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적합한 폴리올레핀은 LDPE, LLDPE, 폴리프로필렌 및 이들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특히, LLDPE 및 LDPE의 블렌드는 70 중량%의 LLDPE 및 30 중량%의 LDPE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하나 초과의 폴리올레핀층이 존재하는 다층 필름의 제조에 적합하다. 임의로, 내부층은 상기 필름의 용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메탈로센 PE 또는 이오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대체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코폴리아미드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층에 인접한다. 서로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이음(tie) 층에 의해 연결되는 인접한 작용층들로서 코폴리아미드층 및 폴리올레핀층의 적용은 가장 높은 버블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상기 층들을 서로 직접 인접시킬 수도 있지만, 이음층이 또한 상기 층들 사이에 존재할 수도 있다. 이들 이음층에 적합한 물질의 예는 소위 이음 수지이다. 이음 수지는, α,β-불포화된 다이카복실산, 예를 들어 말레산, 퓨마르산 및 이타콘산 및 이들의 무수물, 산성 에스터, 산성 이미드 및 산성 이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그래프트화된 변형된 폴리올레핀, 예를 들어 LDPE, LLDPE, 메탈로센 PE, 폴리에틸렌-비닐 알콜, 폴리에틸렌-아크릴산, 폴리에틸렌-메트아크릴산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에틸렌 및 상기 언급한 다이카복실산의 변형된 공중합체를 또한 이음 수지로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층들이 서로 직접 인접하는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층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및 이음-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코폴리아미드층은 또한 양면이 폴리올레핀층에 인접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LLDPE층일 수 있으며, 이와 역일 수도 있다. 이어서 상기 형성된 필름은 예를 들어 coPA-LLDPE-coPA 또는 LLDPE-coPA-LLDPE 샌드위치 구조를 함유한다.
상기 언급한 층들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작용성 층들이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종종 다층 필름에 사용되는 층들은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알콜 및 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것들이다.
취입 필름 공정에 의해 및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실제로 생성되는 다층 필름의 총 두께는 20 내지 30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다층 필름 중의 폴리올레핀층은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의 두께를 갖는다. 상기 두께의 상한은 의도되는 용도 및 이에 필요한 성질들에 의해 제공되며 실제로는 대략 200 ㎛ 까지 연장된다. 코폴리아미드층은 대개 2 ㎛ 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층의 두께의 20% 이상, 최대 1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 ㎛ 이하의 두께를 갖는다. 존재하는 임의의 다른 층들은 상기 층들이 생산 공정 동안 또는 형성되는 상기 다층 필름 중에서 그들의 의도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두께를 갖는다. 예를 들어 이음층은 코폴리아미드층과 유사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적용되는 취입 비는 통상적인 폴리아미드-6이 적용되는 경우보다 더 높게 선택될 수 있음이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식품 및 의약품의 포장 또는 높은 습도가 존재하는 다른 용도에 탁월하게 적합한 다층 필름의 제조를 허용한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및 비교 실험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하는 다층 취입 필름에 관한 것이며,
(a) 지방족 비-환상 다이아민 X 및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 Y 또는 지방족 비-환상 α,ω-아미노산 Z, 및
(b)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총량의 다이아민 M 및 이산 N(여기에서 M 및 N은 환상이다)
의 단량체 단위들을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층 취입 필름은 LLDPE, 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다층 취입 필름에서 N은 이소프탈산(I), 테레프탈산(T), 4-메틸이소프탈산, 4-3차-부틸이소프탈산, 1,4-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및 2,6-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더욱 또 다른 실시태양에서, 상기 다층 취입 필름에서 M은 이소포론다이아민(IPD), 비스-(p-아미노사이클로헥산)메탄(PACM), 2,2-다이-(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 p-자일릴렌다이아민, m-자일릴렌다이아민, 및 3,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상기 다층 취입 필름은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하며, 여기에서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a) 지방족 비-환상 다이아민 X 및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 Y 또는 지방족 비-환상 α,ω-아미노산 Z(여기에서 X는 1,4-다이아미노부탄, 다이아미노펜탄 및 헥사메틸렌 다이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는 1,6-헥산다이오산, 1,8-옥탄다이오산, 1,9-노난다이오산, 1,11-데칸다이오산, 운데칸다이오산 및 1,12-도데칸다이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Z는 ε-카프로락탐, 아미노데칸산, 아미노운데칸산 및 아미노도데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및
(b)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총량의 다이아민 M 및 이산 N(여기에서 M 및 N은 환상이고, M은 이소포론다이아민(IPD), 비스-(p-아미노사이클로헥산)메탄(PACM), 2,2-다이-(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 p-자일릴렌다이아민, m-자일릴렌다이아민, 및 3,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N은 이소프탈산(I), 테레프탈산(T), 4-메틸이소프탈산, 4-3차-부틸이소프탈산, 1,4-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및 2,6-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시스-1,4-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트랜스-1,4-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시스-1,3-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및 트랜스-1,3-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의 단량체 단위들로부터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취입 필름은 뚜껑, 열성형, 수축 및 진공 주머니와 같은 용도, 및 파우치로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다층 취입 필름은 하나 이상의 동종-폴리아미드층을 함유하는 다층 필름과 비교시, 능가하는 신장비가 성취될 수 있기 때문에 뚜껑 및 열성형 필름으로서 사용된다.
실시예
실험을 7-층 필름상에서 수행하였다.
필름을 100 ㎛의 총 두께로 생산하는 7-층 바렉스(Varex) 기계를 사용하였다. 상기 필름 구조는 하기와 같았다:
-27 ㎛ LDPE(엑손 모빌(Exxon Mobil)의 LD150BW) MFI 0.75
-8 ㎛ 이파렉스(Yparex) 9601 이음 수지, MFI 1.3
-12 ㎛ (코)폴리아미드
-6 ㎛ 이파렉스 9601, 이음 수지
-12 ㎛ (코)폴리아미드
-8 ㎛ 이파렉스 9601, 이음 수지
-27 ㎛ LDPE(LD150BW)
상기 기계의 총 출력은 대략 400 ㎏/시간에 달하였다. 배출(haul-off) 속도는 대략 25 m/분이나, 이는 취입 비의 변화를 보상하기에 적합하였다. 상기 다이의 다이 간격은 내부에서 1.25 ㎜이고, 외부에서 2.25 ㎜이었다.
온도 설정:
PE 압출기: 170 - 180 - 180 - 180 - 180 ℃; 홈진 부분 50 ℃
이음 수지 압출기: 200 - 210 - 210 - 210 - 210 ℃; 홈진 부분 50 ℃
(코)폴리아미드 압출기: 250 - 255 - 255 - 255 - 255 ℃; 홈진 부분 170 ℃
다이: 250 ℃ 모노립(Monolip) 냉각 고리
취입 비(BUR)를 주름이 발생하는 수준으로 증가시켰다. 주름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상기 BUR은 주름의 출현 없이 최대 출력을 갖도록 가능한 한 높은 것이 유리하다.
비교예 A: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폴리아미드-6(아쿨론(Akulon) F136-E2)인 하나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초기 BUR은 2.5이었다. 상기 BUR을 2.55 및 2.60/2.65로 단계적으로 증가시켰다. 2.5 이하에서, 주름은 볼 수 없었다. 2.6의 BUR에서 약간의 주름이 관찰될 수 있었으며, 이는 2.65의 BUR에서 허용될 수 없게 되었다.
결론: 상기 공정은 1400 ㎜의 층 평폭(flat width)으로 2.55의 BUR까지 안정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상기 (코)폴리아미드가 코폴리아미드 PA6/IPDT인 상기 명세서에 따른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이때 상기 IPDT의 양은 1 중량%(아쿨론 XS136-E2)이고, 따라서 Z는 ε-카프로락탐이고, M은 이소포론다이아민이며, N은 테레프탈산이다. M+N은 1 중량%이었다. 비교예 A의 필름에 비해 필름 투명성의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2.65의 BUR에서 주름을 볼 수 없었다. 후속으로, 상기 BUR을 2.73으로 증가시켰고 나중에 2.8로 증가시켰다. 부수적으로, 2.8의 BUR에서 주름을 볼 수 있었다. 1400 ㎜ 층 평폭뿐만 아니라 1550 ㎜ 층 평폭으로도 안정한 필름을 수득할 수 있었다.
상기 공정은 1550 ㎜의 층 평폭으로 2.73의 BUR까지 안정하다.
실시예 1은 훨씬 더 높은 취입 비(2.55 대신에 2.73)뿐만 아니라 훨씬 더 높은 층 평폭(1500 ㎜ 대 1400 ㎜)을 획득할 수 있었음을 명백하게 입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특정한 코폴리아미드를 사용함으로써 약 7% 더 많은 필름 생산을 허용한다.
투과 데이터를, ASTM D3985에 따라 모콘 옥스트란(Mocon Ox-tran) 2/21 장치상에서 23 ℃의 온도에서 0% 내지 85%의 상대 습도에서 시험기체 100% O2 및 50 ㎠의 샘플 면적으로 상기 수득된 필름상에서 측정하고 하기에 개시하였다. 일부 필름에 대해, 또한 50%의 습도에서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제시한다.
투과 데이터
실시예 (코)폴리아미드층의 물질 상대 습도 [%] 투과 cc*㎜/(m2*일)
실시예 1:
1400 ㎜ 층 평폭
PA6/IPDT 0 3.6
85 5.4
실시예 1:
1550 mm 층 평폭
PA6/IPDT 0 3.6
85 5.6
비교예 A:
1400 mm 층 평폭
PA6 0 3.3
85 5.5
표 1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폴리아미드-6의 경우와 동일한 정도의 투과 결과를 획득할 수 있음을 명백히 나타낸다. 특히 높은 상대 습도에서의 투과는 상기 투과가 다소 낮게 유지되므로 양호한 결과를 보이고, 이는 상기 필름을 통해 낮은 양의 기체가 투과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폴리아미드-6과 동일한 수준으로 차단 성질을 유지시키면서 보다 높은 층 평폭을 갖는 필름을 보다 많이 제조할 수 있음을 보인다.
또 다른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여기에서 2개의 7-층 취입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필름 구조는 하기와 같았다:
A. 메탈로센, LDPE 및 블로킹 방지제(AB) 마스터배치의 블렌드로 이루어지는 봉합층
B. 이음 층
C. -본문 참조
D. -본문 참조
E. 이음 층
F. PP 랜덤 공중합체
G. PP 랜덤 공중합체 + AB-마스터배치
하나의 필름, 실시예 2에서, 코폴리아미드가 층 C 및 D에 사용되었다. 상기 코폴리아미드는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1 중량%의 IPDT를 함유하는 PA6/IPDT이었다. 상기 필름을, 층 C 및 D가 90 중량% PA6 및 10 중량%의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셀라(Selar) 3426)의 블렌드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비교하였다: 비교예 B.
상기 전체 필름 두께는 60 ㎛이었고, 층 C 및 D는 총 18 ㎛이었다. 층 C 및 D에 대한 압출기들의 온도는 상기 다이 온도와 같이 240 ℃였다.
취입 비(BUR)는 2.8이었다.
공정 안정화 후에, 상기 공정은 순조롭게 수행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방법, 실시예 2에 의해, 버블 안정성이 비교예 B만큼 양호하였다. 이는 비교예 B에서의 10 중량%의 비결정성 물질에 비해, 실시예 2에서와 같이 훨씬 더 낮은 양의 환상 다이아민 및 환상 이산이 존재하였기 때문에 놀라운 것이다. 놀랍게도, 실시예 2는 비교예 B에 비해 완성된 필름에서 주름을 덜 나타내었다.
투과 결과
실시예 (코)폴리아미드층의 물질 상대 습도 [%] 투과 cc*㎜/(m2*일)
실시예 2 PA6/IPDT 0 3.4
50 2.0
85 4.6
비교예 B PA6 + 10 중량% 비결정성 PA 0 3.4
50 1.7
85 3.9
표 2의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및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특히 보다 낮은 습도 수준에서 유사한 투과 결과가 획득될 수 있었음을 명백히 가리킨다. 이는 기준이 10 중량%의 비결정성 폴리아미드의 블렌드를 함유한 반면, 실시예 2에서는 단지 1 중량%의 IPDT만이 상기 코폴리아미드 중에 존재하였기 때문에 놀라운 것이다.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하는 다층 필름을 취입 필름 공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지방족 비-환상 다이아민 X 및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 Y 또는 지방족 비-환상 α,ω-아미노산 Z, 및
    (b)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총량의 환상 다이아민 M 및 환상 이산 N
    의 단량체 단위들을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를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이 LLDPE, LDPE 또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이 LLDPE 및 LDPE의 혼합물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이 폴리프로필렌으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음(tie) 층이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과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 사이에 존재하는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이 이소프탈산(I), 테레프탈산(T), 4-메틸이소프탈산, 4-3차-부틸이소프탈산, 1,4-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및 2,6-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이 이소포론다이아민(IPD), 비스-(p-아미노사이클로헥산)메탄(PACM), 2,2-다이-(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 p-자일릴렌다이아민, m-자일릴렌다이아민, 및 3,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M이 이소포론다이아민(IPD), 비스-(p-아미노사이클로헥산)메탄(PACM), 2,2-다이-(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 p-자일릴렌다이아민, m-자일릴렌다이아민, 및 3,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이 이소프탈산(I), 테레프탈산(T), 4-메틸이소프탈산, 4-3차-부틸이소프탈산, 1,4-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및 2,6-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시스-1,4-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트랜스-1,4-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시스-1,3-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및 트랜스-1,3-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Z가 ε-카프로락탐, 아미노데칸산, 아미노운데칸산 및 아미노도데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X가 1,4-다이아미노부탄, 다이아미노펜탄 및 헥사메틸렌 다이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가 1,6-헥산다이오산, 1,8-옥탄다이오산, 1,9-노난다이오산, 1,11-데칸다이오산, 운데칸다이오산 및 1,12-도데칸다이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상 다이아민 M 및 환상 이산 N이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1.5 중량%의 총량으로 존재하는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M의 환상 다이아민의 단량체 단위가 이소포론 다이아민이고 N의 환상 이산의 단량체 단위가 테레프탈산인 방법.
  14. 하나 이상의 코폴리아미드층 및 하나 이상의 폴리올레핀층을 함유하는 다층 취입 필름으로서,
    (a) 지방족 비-환상 다이아민 X 및 지방족 비-환상 다이카복실산 Y 또는 지방족 비-환상 α,ω-아미노산 Z, 및
    (b) 상기 코폴리아미드의 총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 중량%의 총량의 환상 다이아민 M 및 환상 이산 N
    의 단량체 단위들을 포함하는 코폴리아미드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취입 필름.
  15. 제 14 항에 있어서,
    X가 1,4-다이아미노부탄, 다이아미노펜탄 및 헥사메틸렌 다이아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Y가 1,6-헥산다이오산, 1,8-옥탄다이오산, 1,9-노난다이오산, 1,11-데칸다이오산, 운데칸다이오산 및 1,12-도데칸다이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Z가 ε-카프로락탐, 아미노데칸산, 아미노운데칸산 및 아미노도데칸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M이 이소포론다이아민(IPD), 비스-(p-아미노사이클로헥산)메탄(PACM), 2,2-다이-(4-아미노사이클로헥실)-프로판, 3,3'-다이메틸-4,4'-다이아미노다이사이클로헥실메탄, p-자일릴렌다이아민, m-자일릴렌다이아민, 및 3,6-비스(아미노메틸)노르보르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N이 이소프탈산(I), 테레프탈산(T), 4-메틸이소프탈산, 4-3차-부틸이소프탈산, 1,4-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2,6-나프탈렌다이카복실산, 시스-1,4-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트랜스-1,4-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시스-1,3-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 및 트랜스-1,3-사이클로헥산다이카복실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다층 취입 필름.
KR1020157015921A 2012-12-20 2013-12-19 다층 취입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수득된 필름 KR201500966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98591.5 2012-12-20
EP12198591 2012-12-20
PCT/EP2013/077468 WO2014096241A1 (en) 2012-12-20 2013-12-19 Process for producing multilayer blown film and film obtained by the proc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6662A true KR20150096662A (ko) 2015-08-25

Family

ID=4760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921A KR20150096662A (ko) 2012-12-20 2013-12-19 다층 취입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수득된 필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63609B2 (ko)
EP (1) EP2934849B1 (ko)
JP (1) JP6299986B2 (ko)
KR (1) KR20150096662A (ko)
CN (1) CN104884229A (ko)
BR (1) BR112015014245A2 (ko)
ES (1) ES2623227T3 (ko)
PL (1) PL2934849T3 (ko)
WO (1) WO20140962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057A (ko) * 2016-09-14 2019-05-15 바스프 에스이 디아민, 이량체 산 및 락탐의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농업용 필름
KR20190053895A (ko) * 2016-09-14 2019-05-20 바스프 에스이 디아민, 이량체 산 및 락탐의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필름
KR20190055137A (ko) * 2016-09-14 2019-05-22 바스프 에스이 1종 이상의 디아민, 디카르복실산 및 이량체 산의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6023B2 (en) * 2015-12-18 2021-06-29 Dsm Ip Assets B.V. Tapes
CN105563987B (zh) * 2016-01-18 2017-11-24 广东星格新材料有限公司 一种抗撕裂的包装袋薄膜及其制备方法和包装袋
EP3424981A4 (en) * 2016-03-03 2019-10-23 UBE Industries, Ltd. POLYAMIDE RESIN AND FILM COMPRISING SAME
CA3075401A1 (en) 2017-09-28 2019-04-04 Dupont Polymers, Inc. Polymerization proces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09420C3 (de) * 1973-02-24 1984-02-23 Bayer Ag, 5090 Leverkusen Verbundfolien
JPS559874A (en) * 1978-07-07 1980-01-24 Unitika Ltd Transparent copolyamide laminate and making method thereof
US20030129428A1 (en) 1996-06-10 2003-07-10 Mingliang Lawrence Tsai Multilayer polyamide film structures
JP4132083B2 (ja) * 1996-12-27 2008-08-13 株式会社クレハ 包装用フィルムまたはシート
AU2003225425A1 (en) * 2002-04-15 2003-10-27 Dsm Ip Assets B.V. Multilayer blown film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2057A (ko) * 2016-09-14 2019-05-15 바스프 에스이 디아민, 이량체 산 및 락탐의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농업용 필름
KR20190053895A (ko) * 2016-09-14 2019-05-20 바스프 에스이 디아민, 이량체 산 및 락탐의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필름
KR20190055137A (ko) * 2016-09-14 2019-05-22 바스프 에스이 1종 이상의 디아민, 디카르복실산 및 이량체 산의 코폴리아미드를 포함하는 중합체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99986B2 (ja) 2018-03-28
WO2014096241A1 (en) 2014-06-26
CN104884229A (zh) 2015-09-02
US9463609B2 (en) 2016-10-11
EP2934849A1 (en) 2015-10-28
EP2934849B1 (en) 2017-02-01
PL2934849T3 (pl) 2017-07-31
ES2623227T3 (es) 2017-07-10
BR112015014245A2 (pt) 2017-07-11
JP2016508081A (ja) 2016-03-17
US20150337093A1 (en)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96662A (ko) 다층 취입 필름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수득된 필름
US10246235B2 (en) Packaging film
ES2778056T3 (es) Película multicapa que incluye copolímero de olefina cíclica
US6984442B2 (en) Multilayer film comprising an amorphous polymer
CN101389709B (zh) 具有优良气体防渗性能的聚酰胺共混物组合物
TWI791499B (zh) 樹脂組成物、成形品、膜片及多層膜片
WO2005118289A1 (ja) ガスバリア性多層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法
JP2010253803A (ja) 多層容器
JP2018168383A (ja) ポリアミド樹脂及びそれを含む成形品
JPWO2009154263A1 (ja) 突起部分を有する物品用包装フィルム
ES2554385T3 (es) Película termorretráctil
JP5407521B2 (ja) 樹脂組成物および包装材料
JP2013185051A (ja) ポリアミドフィルム及び積層フィルム
JP6040985B2 (ja) 二軸延伸物
JP2006028289A (ja) 易引裂性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およびその応用
JP3038037B2 (ja) 医療容器用基材
US20190118455A1 (en) Process to prepare sequentially stretched biaxially oriented film
JP2010241910A (ja) 樹脂組成物および多層構造物
JP2012250389A (ja) 延伸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延伸積層フィルム、ピローシュリンク包装体及びケーシング包装体
JP2018051840A (ja) 多層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