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348A -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348A
KR20150094348A KR1020140015531A KR20140015531A KR20150094348A KR 20150094348 A KR20150094348 A KR 20150094348A KR 1020140015531 A KR1020140015531 A KR 1020140015531A KR 20140015531 A KR20140015531 A KR 20140015531A KR 20150094348 A KR20150094348 A KR 20150094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h
hinge
space
front opening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주)엔코에스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코에스앤디 filed Critical (주)엔코에스앤디
Priority to KR1020140015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94348A/ko
Publication of KR2015009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3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4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 E04B1/3442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with hinged parts folding out from a core ce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22Sales kio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play 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데크(30)가 힌지(20)를 중심으로 접혀질 경우 바닥면(11)과 수직상태를 이루면서 전방 개방부(16)를 폐쇄시킬 수 있어 클로즈시 방범 및 방충의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 있고, 확장데크(30)가 힌지(20)를 중심으로 펼쳐질 경우 바닥면(11)과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전방 개방부(16)를 개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면(11)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어 각종 커피 또는 주스 등을 판매하기 위한 공간 나아가 여러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를 통한 업주 및 고객 편리를 동시에 만족케 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EXTENDABLE BOOTH FOR SHOP}
본 발명은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커피 또는 주스 등을 판매하기 위한 공간 나아가 여러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를 통한 업주 및 고객 편리를 동시에 만족케 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장용 부스(Booth)는 커피 또는 주스 등을 판매하거나 각종 상품을 진열하기 위하여 일정한 공간을 이루도록 간이형으로 설치된 건축물을 말한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라 가동틀이 인출된 상태의 공간 가변형 조립식 부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창측 종단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횡단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부 상세도이며, 도 5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라 고정틀에 가동틀이 수납된 상태의 공간 가변형 조립식 부스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공간가변형 조립식 부스는 그 평면적을 대략 반분한 크기로 된 고정틀(1)과 가동틀(2)과의 조합체이며, 방음판제 또는 방음구조를 갖춘 판제이다.
고정틀(1)은 피아노 등의 악기가 차지할 공간으로서, 앞벽을 완전 생략한 사각박스이며, 그 천장(1a)과 측벽(1b) 및 바닥(1c)에는 앞 뒤 방향으로 가동틀(2)을 레일 끼움하여 안내하는 직선상의 홈레일(3)이 형성되어 있다.
모든 홈레일(3)의 앞 끝에는 가동틀(2)이 빠지지 않게 저지하는 레일 스토퍼(4)도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틀(1)의 바닥(1c) 저면에는 베이스를 겸한 방진고무(5)가 부착되어 있다.
가동틀(2)은 피아노 등의 악기를 연주할 사람이 차지하는 공간용으로서, 뒷벽이 생략된 사각박스형이며, 고정틀(1)의 앞쪽으로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게 조립되어 있고, 그 천장(2a)과 측벽(2b) 및 바닥(2c)은 상기 홈레일(3)에 대한 레일 역할을 한다.
천장(2a)과 측벽(2b) 및 바닥(2c)의 모든 후단에는 레일 스토퍼(4)의 안쪽에 걸려서 빠지지 않게 하는 걸림턱(6)도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틀(2)의 바닥(1c) 저면에는 출납시 이동편의와 악기 연습할 때 부스가 놓인 실내의 바닥으로 진동이 미치지 않도록 억제하고 구름 안내하는 고무바퀴(7)가 부착되어 있으며, 앞벽(2d)에는 출입문(11)과 환기창(12)도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동틀(2)이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 그 앞벽(2d)의 내면 하단과 고정틀(1)의 바닥(1c) 선단면간에는 바닥공간(a)이 남는다.
이 바닥공간(a)은 부스 내에서의 활동의 영향으로 가동틀(2)이 유동하여 이미 확보해 둔 부스의 평면적이 줄어들 수 있는 빌미가 되므로 이 바닥공간(a)을 메꿔서 인출된 가동틀(2)을 움직이지 못하게 해야 안전하다. 고정판(9)은 이런 이유에서 필요하다.
고정판(9)은 가동틀(2)을 인출한 후 그 바닥공간(a)에 끼워서 가동틀(2)을 고정시키고, 가동틀(2)을 수납할 적에는 고정판(9)을 빼서 고정틀(1)의 바닥(1c)에 올려 놓든가 가동틀(2)의 앞벽(2d) 내면에 세워 둔다.
고정틀(1)의 양 측벽(1b)에도 앞 끝에 레일 스토퍼(4)를 가진 홈레일(3)이 형성되어 있고, 홈레일(3)에는 가동틀(2)의 측벽(2b)을 레일삼아 끼워진 가운데 그 후단에 형성된 걸림턱(6)이 레일 스토퍼(4)의 내면에 걸려서 앞쪽으로 빠지지 않게 되어 있다.
도 4에서 측벽(2b)의 걸림턱(6)은 내측면에 그리고 천장(2a)의 걸림턱(6)은 저면에 각각 안내바퀴(8)가 부착되어 있다. 이들 안내바퀴(8)는 가동틀(2)이 홈레일(3)에 안내되어 순탄하고 소음 적게 출입하도록 돕는다.
부스는 고정틀(1)에 피아노(b)와 의자(c)를 비치해 두고 평소에는 도 5의 실선표시대로 가동틀(2)을 밀어 넣어서 부스의 평면적으로 줄여 실내공간을 넓게 활용하고, 피아노 연습을 할 시에는 도 1, 2 및 도 5의 점선표시대로 가동틀(2)을 인출하고 출입문(11)을 열고 들어가서 고정판(9)을 들어 바닥공간(a)에 깔아 고정틀(2)을 안정시킨 후 피아노 연습에 돌입한다.
가동틀(2)이 고정틀(1)을 출입할 때 가동틀(2)의 천장(2a)과 측벽(2b) 나아가 바닥(2c)은 레일 역할을 하고 고정틀(1)의 천장(1a)과 측벽(1b) 및 바닥(1c)에 주어진 홈레일(3)은 가동틀(2)이 미끄러지듯이 직선으로 이동하는 움직임이 순탄하게 이뤄지도록 안내하며 안내바퀴(8)는 천장(1a)측 홈레일(3)의 상면과 측벽(1b) 쪽 홈레일(6)의 내면 및 바닥(1c)의 홈레일(6) 바닥을 타고 굴러 가동틀(2)의 이동을 아주 부드럽게 하므로 소음이 거의 나지 않는다.
피아노 연습을 마친 뒤에는 의자(c)를 피아노(b) 밑으로 밀어 넣고 고정판(9)을 빼서 전과 같이 가동틀(2)의 앞벽(2d)에 세워 붙인 다음에 출입문(11)을 열고 나와 닫고 고정틀(1) 쪽으로 가동틀(2)을 밀어 넣는다.
그런데,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공간 가변형 조립식 부스는 고정틀(1)과 가동틀(2)이라는 이중 구조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가동틀(2)이 고정틀(1) 속으로 출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무게가 많이 나갈 뿐만 아니라 가동틀(2)이 고정틀(1)에 입출될 때마다 그 속에 채워진 예를 들면 피아노 등을 자리 이동시켜야만 하여 번거로운 단점을 안고 있다.
선행기술문헌(20-2000-0005191; 공간 가변형 조립식 부스)
본 발명의 목적은 클로즈시 방범 및 방충의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 있고 오픈시 각종 커피 또는 주스 등을 판매하기 위한 공간 나아가 여러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를 통한 업주 및 고객 편리를 동시에 만족케 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늑한 매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업주의 공간 활용을 더욱 편리하게 실현토록 한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확장데크에 가해지는 무게를 버티면서도 확장데크의 수평상태를 보장토록 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 상측면, 좌측면, 우측면, 후측면 및 전방 개방부를 지닌 공간박스를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힌지로 결합되어 클로즈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접혀져 상기 바닥면과 수직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전방 개방부를 폐쇄시키고 오픈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펼쳐져 상기 바닥면과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전방 개방부를 개방시키는 확장데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확장데크가 힌지를 중심으로 접혀질 경우 바닥면과 수직상태를 이루면서 전방 개방부를 폐쇄시킬 수 있어 클로즈시 방범 및 방충의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 있고, 확장데크가 힌지를 중심으로 펼쳐질 경우 바닥면과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전방 개방부를 개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면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어 각종 커피 또는 주스 등을 판매하기 위한 공간 나아가 여러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를 통한 업주 및 고객 편리를 동시에 만족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폴딩도어의 클로즈시 공간박스의 폐쇄를 더욱 철저히 할 수 있고, 폴딩도어의 오픈시 확장된 확장데크의 측면을 가려주어 보다 아늑한 매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간박스의 상측면에 결합되어 클로즈시 감겨져 축소되고 오픈시 햇볕 및 비를 차단토록 펼쳐지는 어닝(Awining)을 더 포함하여 기상상태에 맞추어 적극적으로 대응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매장 테이블을 공간박스 속에 진열하거나 공간박스 밖의 확장데크로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업주의 공간 활용을 더욱 편리하게 실현케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확장데크에 가해지는 무게를 버티면서도 확장데크의 수평상태를 보장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라 가동틀이 인출된 상태의 공간 가변형 조립식 부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창측 종단측면도.
도 3은 도 1의 횡단 평면도.
도 4는 도 2의 A부 상세도.
도 5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라 고정틀에 가동틀이 수납된 상태의 공간 가변형 조립식 부스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의 클로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의 오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의 클로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의 오픈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1), 상측면(12), 좌측면(13), 우측면(14), 후측면(15) 및 전방 개방부(16)를 지닌 공간박스(10)를 포함한다.
공간박스(10)는 각종 커피 또는 주스 등을 판매하거나 여러 상품을 진열하기 위하여 일정한 공간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바닥면(11)에 힌지(20)로 결합되어 클로즈시 힌지(20)를 중심으로 접혀져 바닥면(11)과 수직상태를 이루면서 전방 개방부(16)를 폐쇄시키고 오픈시 힌지(20)를 중심으로 펼쳐져 바닥면(11)과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전방 개방부(16)를 개방시키는 확장데크(30)를 포함한다.
확장데크(30)가 힌지(20)를 중심으로 접혀질 경우 바닥면(11)과 수직상태를 이루면서 전방 개방부(16)를 폐쇄시킬 수 있어 클로즈시 방범 및 방충의 기능을 수행토록 할 수 있고, 확장데크(30)가 힌지(20)를 중심으로 펼쳐질 경우 바닥면(11)과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전방 개방부(16)를 개방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면(11)의 확장을 기대할 수 있어 각종 커피 또는 주스 등을 판매하기 위한 공간 나아가 여러 상품을 진열하기 위한 공간의 확보를 통한 업주 및 고객 편리를 동시에 만족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는 좌측면(13) 또는 우측면(14)에 경첩(40)을 통해 결합되어 클로즈시 전방 개방부(16)를 폐쇄시키고 오픈시 전방 개방부(16)를 오픈시키는 폴딩도어(Folding Door; 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폴딩도어(50)의 클로즈시 공간박스(10)의 폐쇄를 더욱 철저히 할 수 있고, 폴딩도어(50)의 오픈시 확장된 확장데크(30)의 측면을 가려주어 보다 아늑한 매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공간박스(10)의 상측면(12)에 결합되어 클로즈시 감겨져 축소되고 오픈시 햇볕 또는 비를 차단토록 펼쳐지는 어닝(Awining; 60)을 더 포함하여 기상상태에 맞추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토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바닥면(11) 및 확장데크(30)는 서로 직선상으로 연결되는 레일홈(70)을 구비하고, 나아가 공간박스(10) 속에 수납되면서 레일홈(70)을 따라 전후진되는 롤러(81)를 지닌 매장 테이블(80)을 더 포함하여, 매장 테이블(80)을 공간박스(10) 속에 진열하거나 공간박스(10) 밖의 확장데크(30)로 부드럽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업주의 공간 활용을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확장데크(30)는 힌지(20)를 중심으로 펼쳐져 바닥면(11)과 수평상태를 이룰 경우 지면에 맞닿는 쿠션 서포터(31)를 더 포함하여 확장데크(30)에 가해지는 무게를 버티면서도 확장데크(30)의 수평상태를 보장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커피 또는 주스 등을 판매하거나 각종 상품을 진열하기 위하여 일정한 공간을 이루도록 간이형으로 설치된 건축물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공간박스 11 : 바닥면
12 : 상측면 13 : 좌측면
14 : 우측면 15 : 후측면
16 : 전방 개방부 20 : 힌지
30 : 확장데크 31 : 쿠션 서포터
40 : 경첩 50 : 폴딩도어
60 : 어닝 70 : 레일홈
80 : 매장 테이블 81 : 롤러

Claims (5)

  1. 바닥면(11), 상측면(12), 좌측면(13), 우측면(14), 후측면(15) 및 전방 개방부(16)를 지닌 공간박스(10)를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에 힌지(20)로 결합되어 클로즈시 상기 힌지(20)를 중심으로 접혀져 상기 바닥면(11)과 수직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전방 개방부(16)를 폐쇄시키고 오픈시 상기 힌지(20)를 중심으로 펼쳐져 상기 바닥면(11)과 수평상태를 이루면서 상기 전방 개방부(16)를 개방시키는 확장데크(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면(13) 또는 우측면(14)에 경첩(40)을 통해 결합되어 클로즈시 상기 전방 개방부(16)를 폐쇄시키고 오픈시 상기 전방 개방부(16)를 오픈시키는 폴딩도어(Folding Door; 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면(12)에 결합되어 클로즈시 감겨져 축소되고 오픈시 햇볕 및 비를 차단토록 펼쳐지는 어닝(Awining; 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1) 및 확장데크(30)는 서로 직선상으로 연결되는 레일홈(70)을 구비하고,
    상기 공간박스(10) 속에 수납되면서 상기 레일홈(70)을 따라 전후진되는 롤러(81)를 지닌 매장 테이블(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데크(30)는 상기 힌지(20)를 중심으로 펼쳐져 상기 바닥면(11)과 수평상태를 이룰 경우 지면에 맞닿는 쿠션 서포터(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KR1020140015531A 2014-02-11 2014-02-11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KR201500943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531A KR20150094348A (ko) 2014-02-11 2014-02-11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531A KR20150094348A (ko) 2014-02-11 2014-02-11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348A true KR20150094348A (ko) 2015-08-19

Family

ID=54057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531A KR20150094348A (ko) 2014-02-11 2014-02-11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943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821A (ko) 2019-12-12 2021-06-22 송민철 태양광 발전 기능을 갖는 이동식 판매부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821A (ko) 2019-12-12 2021-06-22 송민철 태양광 발전 기능을 갖는 이동식 판매부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59105A1 (en) Portable outdoor fitness studio
US933210A (en) Folding wardrobe cupboard, or the like.
KR20150094348A (ko) 확장 가능한 매장용 부스
US20140190092A1 (en) Prime Deck
US10526840B2 (en) Perimetrical frame for glass doors
KR102529988B1 (ko) 수장고용 수납장
ITMI20090971A1 (it) Cornice di mascheratura
JP2006255049A (ja) 収納補助椅子
KR20160020770A (ko) 푸드차량
KR101218254B1 (ko) 추락 방지장치가 형성된 창문
JP6083663B2 (ja) 出入開口構造
CN106213849A (zh) 一种客厅和卧室可相互转换的居住空间
US1724066A (en) Disappearing bed
NL2009840C2 (nl) Scheidingswand.
US10982437B2 (en) Modular barrier device for a double occupancy room partition
US3058796A (en) Safety clothes rack
JP6060108B2 (ja) システム家具及び空間可変住宅
KR200468626Y1 (ko) 출입문 개폐장치
IT202100008603A1 (it) Sistema per la partizione di un ambiente
JP2004339718A (ja) 組立式店舗
BE1017256A3 (nl) Modulaire kast en draagprofiel daarbij toegepast.
JP5373540B2 (ja) 間仕切装置
JP2017014778A (ja) 建物
JP6060107B2 (ja) 間仕切り収納家具
KR101674521B1 (ko) 전시 부스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