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4249A - 자동차 도어 거치대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4249A
KR20150094249A KR1020140015300A KR20140015300A KR20150094249A KR 20150094249 A KR20150094249 A KR 20150094249A KR 1020140015300 A KR1020140015300 A KR 1020140015300A KR 20140015300 A KR20140015300 A KR 20140015300A KR 20150094249 A KR20150094249 A KR 20150094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oor
clamp
screw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5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012B1 (ko
Inventor
김우근
Original Assignee
김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우근 filed Critical 김우근
Priority to KR1020140015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0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94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4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5/00Servicing, maintaining, repairing, or refit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1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 B60S9/16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 B60S9/18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both lifting and manoeuvring for operating only on one end of vehicle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도어(200)의 유리창이 삽입되는 도어 패널의 상단부를 잡아 지지하는 도어지지 클램프(10)와;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10)를 전후진시키는 클램프 전후진부(20)와; 상기 클램프 전후진부(20)를 지지하고 상하로 승강시키는 클램프 승강부(30)와; 상기 클램프 승강부(30)를 지지하고 밑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기판 프레임(40)과; 상기 클램프 승강부(30)의 승강 지지대(33)하부 전면에 부착되어 상기 클램프 승강부(30)의 상승 및 하강에 따라 승강하고 상기 자동차 도어(2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동차 도어를 차체에서 분리하고 기판 프레임에 부착된 바퀴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자동차 도어의 탈부착, 교체, 도장 등의 작업시에 편리하게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거치대{door holder frame for an automotive}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도어의 탈부착, 교체, 도장 등의 작업시에 자동차 도어를 고정시켜 지지함으로써 편리하게 작업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를 교환, 수리 등을 위해 자동차 차체에서 탈부착하여야 하는데 자동차 도어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막기 위해 강도높은 강철로 제작되고 그 내부에 외부충격에 견딜 수 있는 임팩트 바 등이 설치되고, 유리창을 열고 닫는 장치 및 자동차 도어를 잠그는 자물쇠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자동차 도어의 무게는 한사람이 차체에서 탈부착하기 용이하지 않을 정도로 무겁다.
따라서 자동차 도어를 차체에서 분리하기 위해 작업자 2명이 필요하고 자동차 도어를 차체에서 분리한 후에도 운반하기 위해 2명의 작업자가 필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자동차 도어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등의 중량체의 부품을 정비하기 위해서는 카리프트를 통해 자동차를 들어올린 후 엔진 등의 정비할 부품을 차체로부터 떼어내어 정비를 한 후 재차 조립하게 되는 것이 보통인 바, 종래에 있어서는 차체로부터 떼어내는 과정이나 정비하는 과정에서 엔진을 지지하기 위하여 엔진룸 상부에 크레인형의 엔진정비용 지지대를 설치하는 예가 많았다 .
상기 종래의 크레인형 엔진정비용 지지대는 엔진룸 상부 차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에 승강로드가 상하방향으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 승강로드의 하부에 연결로프 및 연결훅이 설치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연결훅을 엔진 등의 정비할 부품의 상단부에 걸고 차체로부터 정비할 부품을 떼어낸 후 승강로드에 접속된 회전손잡이를 회전시키게 되면 승강로드 및 그에 매달린 엔진 등의 부품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게 되지만 엔진 등의 부품을 매달아 지지하기 때문에 승강과정에서 엔진 등의 부품의 유동이 심하게 되어 인근 부품을 손상시키게 되거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많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실용신안등록 제20-00250902호에 자동차의 엔진이나 트랜스미션 등 중량체의 부품을 간편하게 인출하여 정비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엔진정비용 지지대가 제안되어 있다.
도 1에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차 엔진정비용 지지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차 엔진정비용 지지대는 I 자형 받침프레임(1)의 상단 후방 중앙에 수직프레임(2)을 설치하고, 수직프레임(2)의 상단부와 그 하부에 연결간(5)을 통해 접속되어 상호 연동하는 한 쌍의 회동프레임(3)(4)을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며, 받침프레임(1)과 상단 후방부와 하부 회동프레임(4)의 하단 사이에 유압실린더(6)및 지지실린더(7)를 설치하는 한편, 상부 회동프레임(3)의 상단 전방에 고정판(8)을 설치하고, 고정판(8)의 상부에 받침판(9)을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며, 받침판(9)의 상단부에 다수의 지지편(9a)을 방사상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차 엔진정비용 지지대는 중량체 부품인 엔진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자동차 도어를 고정하여 거치하는 장치가 아니어서 자동차 도어를 거치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량이 무거워 한명의 작업자가 들어 이동하기 어려운 자동차 도어를 자동차 도어의 유리창이 삽입되는 내부 패널의 상단부를 클램프로 집어 고정하고 하단부를 기판 프레임의 지지대로 지지하여 자동차 도어를 차체에서 분리하고 기판 프레임에 부착된 바퀴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자동차 도어의 탈부착, 교체, 도장 등의 작업시에 편리하게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는 자동차 도어의 도어 패널의 상단부를 잡아 지지하는 도어지지 클램프와;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를 전후진시키는 클램프 전후진부와; 상기 클램프 전후진부를 지지하고 상하로 승강시키는 클램프 승강부와; 상기 클램프 승강부를 지지하고 밑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기판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 승강부의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부착되어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고 상기 자동차 도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어지지 클램프는 자동차 도어의 안쪽에서 내부 패널의 상단부를 집어서 지지할 수 있는 한쌍의 좌,우측 집게와; 상기 우측 집게에 고정되고 상기 좌측 집게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좌측 집게를 전진시켜 상기 우측 집게에 밀착시켜 상기 자동차 도어의 내부 패널의 상단부를 집어서 지지하도록 하는 조임쇠와; 상기 조임쇠와 나사결합되고 클램프 전후진부의 전후진 지지대에 고정되는 스크류 지지대와; 클램프 전후진부의 전후진 지지대에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클램프 전후진부는 그 후단에 부착된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를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스크류(21)와; 상기 전후진 스크류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전후진하는 너트 고정구와; 상기 너트 고정구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전후진 스크류를 따라 전후진하는 전후진 지지대와; 승강연결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구가 그 밑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후진 지지대를 전후진 하도록 가이드 하는 전후진 가이드와; 상기 전후진 스크류가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고 상기 전후진 가이드에 삽입되어 조정노브에 의해 고정되는 스크류 지지대와; 상기 전후진 가이드가 삽입되어 고정노브에 의해 고정되어 결합되고 승강부의 승강 지지대에 연결되는 승강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클램프 승강부는 기판 프레임의 우측변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그 사이에 승강 지지대가 설치되고 하단부가 기판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에 부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 지지대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볼 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스크류 볼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 하단부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볼 스크류의 스크류 볼트에 부착되어 승강하는 연결지지대와; 상기 연결지지대의 위에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연결지지대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 지지대와;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가 일정한 각으로 좌우로 회전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회전 고정부와; 상기 승강 지지대가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좌,우측 수직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승강 고정구와; 상기 승강 지지대가 승강된 상태로 고정될 때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자동차 도어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 방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클램프 승강부의 좌,우측 수직지지대는 기판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하단이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부의 중심에 회전축 구멍이 형성되어 회전축이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기판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좌,우측 수직지지대의 사이에 연결 지지대가 볼 스크류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볼트 지지대가 부착되고, 상기 볼트 지지대에 의해 스크류 볼트가 나사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류 볼트의 상단에 유니버설 조인트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는 회전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스크류 볼트에 전달하고,
상기 스크류 볼트의 하부는 스크류 너트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는 연결 지지대의 하부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상기 스크류 너트는 스크류 볼트 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고, 상기 스크류 너트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승강 지지대가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부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좌,우측 수직지지대에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도어 지지대는 클램프 승강부의 상기 스크류 볼트의 스크류 너트에 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에 부착되는 연결 지지대와, 상기 연결 지지대에 결합되는 다각형 형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윗면에 설치되고 자동차 도어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도어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도어의 내부 패널의 상단부 등을 클램프로 집어 고정하고 자동차 도어의 하단부를 도어 지지대로 지지하여 자동차 도어를 차체에서 분리하고 도어 지지대가 설치되는 기판 프레임에 부착된 바퀴에 의해 이동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자동차 도어의 탈부착, 교체, 도장 등의 작업시에 편리하게 이동시켜 작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 전,후진부의 분해된 상태와 도어지지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 승강부와 기판 프레임 및 도어 지지대 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로 자동차 도어를 고정시켜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를 구성하는 도어지지 클램프의 제2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100)는 자동차 도어(200)의 유리창이 삽입되는 도어 패널의 상단부를 잡아 지지하는 도어지지 클램프(10)와;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10)를 전후진시키는 클램프 전후진부(20)와; 상기 클램프 전후진부(20)를 지지하고 상하로 승강시키는 클램프 승강부(30)와; 상기 클램프 승강부(30)를 지지하고 밑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기판 프레임(40)과; 상기 클램프 승강부(30)의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34)의 스크류 너트(34d)에 부착되어 상기 볼 스크류(34)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고 상기 자동차 도어(20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 전,후진부의 분해된 상태와 도어지지 클램프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지지 클램프(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안쪽에서 자동차 도어의 내부 패널의 상단부를 집어서 지지할 수 있는 한쌍의 좌,우측 집게(11a, 11b)와; 상기 우측 집게(11b)에 고정되고 상기 좌측 집게(11a)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좌측 집게(11a)를 전진시켜 상기 우측 집게(11b)에 밀착시켜 상기 자동차 도어의 내부 패널의 상단부를 집어서 지지하도록 하는 조임쇠(12)와; 상기 조임쇠(12)와 나사결합되고 클램프 전후진부(20)의 전후진 지지대(24)에 고정되는 스크류 지지대(13)와; 상기 조임쇠(12)와 좌측 집게(11a)사이에 개재되는 부쉬(14)와; 클램프 전후진부(20)의 전후진 지지대(24)에 결합되는 결합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 전후진부(20)는 그 후단에 부착된 손잡이(2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10)를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스크류(21)와; 상기 전후진 스크류(21)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전후진하는 너트 고정구(23)와; 상기 너트 고정구(23)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전후진 스크류(21)를 따라 전후진하는 전후진 지지대(24)와; 승강연결구(28)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구(25a)가 그 밑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후진 지지대(24)를 전후진 하도록 가이드 하는 전후진 가이드(25)와; 상기 전후진 스크류(21)가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고 상기 전후진 가이드(25)에 삽입되어 조정노브(27)에 의해 고정되는 스크류 지지대(26)와; 상기 전후진 가이드(25)가 삽입되어 고정노브(28a)에 의해 고정되어 결합되고 승강부(30)의 승강 지지대(33)에 연결되는 승강연결구(28)로 구성된다.
여기서 설명안된 부호 25b는 전후진 가이드(25)의 밑면에 형성되어 승강연결구(28)에 삽입되어 클램프 전후진부(20)와 클램프 승강부(30)를 연결하는 결합구(25a)와 동일한 기능을 하고, 자동차 도어와 클램프(10)사이의 거리가 멀 때 제2 결합구(25b)를 승강 연결구(28)에 결합시켜 자동차 도어와 클램프(10)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조절하는 제2 결합구이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 승강부와 기판 프레임 및 도어 지지대 부분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 승강부(30)는 기판 프레임(40)의 우측변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그 사이에 승강 지지대(33)가 설치되고 하단부가 기판 프레임(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와;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에 부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 지지대(33)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볼 스크류(34)와; 상기 볼 스크류(34)의 스크류 볼트(34a)를 회전시키는 회전부(35)와;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하단부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볼 스크류(34)의 스크류 너트(34d)에 부착되어 승강하는 연결지지대(51)와; 상기 연결지지대(51)의 위에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연결지지대(51)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 지지대(33)와;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가 일정한 각으로 좌우로 회전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회전 고정부(36)와; 상기 승강 지지대(33)가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승강 고정구(37)와; 상기 승강 지지대(33)가 승강된 상태로 고정될 때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10)에 의해 지지되는 자동차 도어(200)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 방지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 승강부(30)의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는 기판 프레임(40)에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하단이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부의 중심에 회전축 구멍(31b)이 형성되어 회전축(31a)이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기판 프레임(40)에 회전축(31a)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의 사이에 승강 지지대(33)가 볼 스크류(34)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의 상부에 볼트 지지대(34b)가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볼트 지지대(34b)에 의해 스크류 볼트(34a)가 나사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스크류 볼트(34a)의 상단에 유니버설 조인트(34c)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34c)는 회전부(35)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스크류 볼트(34a)에 전달한다.
상기 스크류 볼트(34a)의 하부는 스크류 너트(34d)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34d)는 연결 지지대(51)의 하부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된다. 따라서 스크류 너트(34d)는 스크류 볼트(34a)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고, 스크류 너트(34d)가 승강함에 따라 연결 지지대(51)가 승강하게 됨과 동시에 연결 지지대(51)위에 설치된 승강 지지대(33)도 함께 승강하게 된다.
상기 회전부(35)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34c)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도시생략)과, 상기 회전축을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에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35c)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베벨기어(35a)와, 상기 베벨기어(35a)를 회전시키는 손잡이(35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기판 프레임(40)은 예를 들면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되며, 전방 프레임(41)의 중간에 클램프 승강부(30)의 좌,우측 수직지지대(31, 32)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기판 프레임(40)의 밑면 4모서리에는 4개의 바퀴가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지지대(50)는 승강 지지대(33)의 하부에 승강 지지대(33)와 분리되어 설치되고, 상기 볼 스크류(34)의 스크류 너트(34d)에 용접 등에 의해 부착되어 설치되는 연결 지지대(51)와, 상기 연결 지지대(51)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는 사각형 형태의 지지프레임(52)과, 상기 지지 프레임(52)의 윗면에 설치되고 자동차 도어(200)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안착홈(53a)을 구비하는 도어 안착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a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로 자동차 도어를 고정시켜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5b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로 자동차 도어를 상승시켜 놓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100)는 도어지지 클램프(10)로 자동차 도어(200)의 내부 패널(201)을 집어 고정시키고, 자동차 도어(200)의 하단부를 도어 지지대(50)의 도어 안착부(53)에 올려놓아 지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200)의 내부 패널(201)이 도어지지 클램프(10)에 의해 지지되고, 자동차 도어(200)의 하단부가 도어 지지대(50)에 지지된 상태에서 자동차 도어(200)를 차체에서 분리하여 다른 도어로 교체가능하고, 도장실로 옮겨 도장할 수 있다.
도장시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지지대(33)를 위로 잡아당겨 도어 지지대(50)와 분리된 상태에서 승강 고정구(37)의 고정돌기로 좌측 수직지지대(31)에 형성된 고정구멍(31a)에 끼워 승강 지지대(33)가 올려진 상태에서 다시 내려오지 못하게 고정시켜 자동차 도어(200)와 도어 지지대(50)를 분리한 상태에서 도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에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를 구성하는 도어지지 클램프의 제2 실시예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도어 거치대(100)를 열려져 있는 자동차 도어(200)의 바깥쪽에 위치시킨 후 제2 실시예의 도어지지 클램프(60)를 전진시켜 자동차 도어의 내부 패널(201)의 상단부 또는 유리창의 상단부를 집어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도어지지 클램프(60)는 유리창의 상단부를 집을 수 있도록 좌,우측 집게(61a, 61b)사이에 고무 커버(62)가 개재되며, 좌측 집게(61a)에 부착된 제1고정노브(63)에 의해 좌,우측 집게(61a, 61b)는 밀착되어 자동차 도어의 내부 패널(201)의 상단부 또는 유리창의 상단부를 집어 지지한다.
전단 고정쇠(64)는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회전축(64a)에 의해 연결 지지대(65)에 연결되고, 연결 지지대(65)는 클램프 전,후진부(20)의 전후진 지지대(24)의 전단부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을 형성하는 기술사상에 대한 것인 한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도어지지 클램프 11a, 11b: 좌,우측 집게
12: 조임쇠 13: 스크류 지지대
14: 부쉬 20: 클램프 전후진부
21: 전후진 스크류 22: 손잡이
23: 전방 고정구 24: 전후진 지지대
25: 전후진 가이드 26: 스크류 지지대
27: 스크류 고정구 28: 승강연결구
30: 클램프 승강부 31,32: 좌,우측 수직지지대
33: 승강 지지대 34: 볼 스크류
35: 회전부 36: 회전 고정부
40: 기판 프레임 41: 전방 프레임
50: 도어 지지대 51: 연결 지지대
52: 지지프레임 53: 도어 안착부
100: 자동차 도어 거치대

Claims (9)

  1. 자동차 도어의 도어 패널의 상단부를 잡아 지지하는 도어지지 클램프와;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를 전후진시키는 클램프 전후진부와;
    상기 클램프 전후진부를 지지하고 상하로 승강시키는 클램프 승강부와;
    상기 클램프 승강부를 지지하고 밑면에 바퀴가 부착되어 이동이 가능한 기판 프레임과;
    상기 클램프 승강부의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에 설치되는 볼 스크류의 스크류 너트에 부착되어 상기 볼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고 상기 자동차 도어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도어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는 자동차 도어의 안쪽에서 내부 패널의 상단부를 집어서 지지할 수 있는 한쌍의 좌,우측 집게와; 상기 우측 집게에 고정되고 상기 좌측 집게에 형성된 나사구멍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좌측 집게를 전진시켜 상기 우측 집게에 밀착시켜 상기 자동차 도어의 내부 패널의 상단부를 집어서 지지하도록 하는 조임쇠와; 상기 조임쇠와 나사결합되고 클램프 전후진부의 전후진 지지대에 고정되는 스크류 지지대와; 클램프 전후진부의 전후진 지지대에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
  3. 제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전후진부는 그 후단에 부착된 손잡이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를 전후진 시키는 전후진 스크류(21)와; 상기 전후진 스크류의 전단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전후진하는 너트 고정구와; 상기 너트 고정구에 일체로 부착되어 상기 전후진 스크류를 따라 전후진하는 전후진 지지대와; 승강연결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구가 그 밑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후진 지지대를 전후진 하도록 가이드 하는 전후진 가이드와; 상기 전후진 스크류가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 결합하고 상기 전후진 가이드에 삽입되어 조정노브에 의해 고정되는 스크류 지지대와; 상기 전후진 가이드가 삽입되어 고정노브에 의해 고정되어 결합되고 승강부의 승강 지지대에 연결되는 승강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
  4. 제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승강부는 기판 프레임의 우측변 중간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그 사이에 승강 지지대가 설치되고 하단부가 기판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와;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에 부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 지지대를 승강시키도록 설치되는 볼 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스크류 볼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 하단부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볼 스크류의 스크류 볼트에 부착되어 승강하는 연결지지대와; 상기 연결지지대의 위에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 사이에 끼워져 설치되고 상기 연결지지대의 승강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 지지대와; 상기 한쌍의 좌,우측 수직지지대가 일정한 각으로 좌우로 회전한 상태로 고정되게 하는 회전 고정부와; 상기 승강 지지대가 승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좌,우측 수직지지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고정시키는 승강 고정구와; 상기 승강 지지대가 승강된 상태로 고정될 때 상기 도어지지 클램프에 의해 지지되는 자동차 도어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 방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승강부의 좌,우측 수직지지대는 기판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하단이 연결되어 있고 그 연결부의 중심에 회전축 구멍이 형성되어 회전축이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기판 프레임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수직지지대의 사이에 연결 지지대가 볼 스크류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 수직지지대의 상부에 볼트 지지대가 부착되고, 상기 볼트 지지대에 의해 스크류 볼트가 나사결합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볼트의 상단에 유니버설 조인트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는 회전부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스크류 볼트에 전달하고,
    상기 스크류 볼트의 하부는 스크류 너트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는 연결 지지대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스크류 너트는 스크류 볼트의 회전에 의해 승강하고, 상기 스크류 너트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연결 지지대가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유니버설 조인트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좌,우측 수직지지대에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지지대는 클램프 승강부의 상기 스크류 볼트의 스크류 너트에 부착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너트에 부착되는 연결 지지대와, 상기 연결 지지대에 결합되는 다각형 형태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윗면에 설치되고 자동차 도어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안착홈을 구비하는 도어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거치대.
KR1020140015300A 2014-02-11 2014-02-11 자동차 도어 거치대 KR101585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00A KR101585012B1 (ko) 2014-02-11 2014-02-11 자동차 도어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5300A KR101585012B1 (ko) 2014-02-11 2014-02-11 자동차 도어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4249A true KR20150094249A (ko) 2015-08-19
KR101585012B1 KR101585012B1 (ko) 2016-01-14

Family

ID=5405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5300A KR101585012B1 (ko) 2014-02-11 2014-02-11 자동차 도어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01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7625A (zh) * 2018-05-15 2018-10-12 安徽天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辅助车门拆卸的电动设备
CN110595411A (zh) * 2019-09-12 2019-12-20 一汽轿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扫描测量装置
CN111791846A (zh) * 2020-07-22 2020-10-20 仙居夏朗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后轮爆胎的辅助移动装置
CN113716432A (zh) * 2021-09-09 2021-11-30 曾方 一种窗口式传菜电梯用轿厢及轿门
CN115195911A (zh) * 2021-04-14 2022-10-1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试制可移动式车门装配机械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709B1 (ko) 2017-09-21 2019-03-25 이운상 자동차용 문 거치 장치
KR102491321B1 (ko) * 2018-03-15 2023-01-25 정광오 다기능 차량 부품 작업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217Y1 (ko) 2005-05-16 2005-10-12 (주)유알오 차량도어 탈,부착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37625A (zh) * 2018-05-15 2018-10-12 安徽天卓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辅助车门拆卸的电动设备
CN110595411A (zh) * 2019-09-12 2019-12-20 一汽轿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门扫描测量装置
CN111791846A (zh) * 2020-07-22 2020-10-20 仙居夏朗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后轮爆胎的辅助移动装置
CN111791846B (zh) * 2020-07-22 2021-04-27 福建旭辰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车后轮爆胎的辅助移动装置
CN115195911A (zh) * 2021-04-14 2022-10-1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试制可移动式车门装配机械手
CN115195911B (zh) * 2021-04-14 2024-05-07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汽车试制可移动式车门装配机械手
CN113716432A (zh) * 2021-09-09 2021-11-30 曾方 一种窗口式传菜电梯用轿厢及轿门
CN113716432B (zh) * 2021-09-09 2023-07-21 南京超图中小企业信息服务有限公司 一种窗口式传菜电梯用轿厢及轿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012B1 (ko) 2016-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012B1 (ko) 자동차 도어 거치대
US20170320715A9 (en) Tire lifter
CN203021169U (zh) 一种吊具工装
CN103523650B (zh) 一种汽车副车架吊具
CN107420114B (zh) 一种用于隧道施工的多功能高空作业施工装置
CN203682884U (zh) 一种发动机吊装辅具
CN210615102U (zh) 一种大型铸造砂型移动以及翻转两用机械手
CN202517216U (zh) 一种装载机铲斗焊接系统工装
CN105600667B (zh) 一种车用大拖板吊具
CN110080514B (zh) 一种用于房建的施工吊篮
CN116789005A (zh) 输送带下托辊便捷拆装装置、拆卸方法和安装方法
KR100974714B1 (ko) 자동차의 후드 해체용 서브 지그
CN203695929U (zh) 大型框式翻型机
CN214836178U (zh) 一种液压抽油杆吊筒
CN204868320U (zh) 一种水平垂直翻转的盘料加工机械手通用夹头
CN211393574U (zh) 一种电机定子组件吊装夹具
CN211540077U (zh) 一种能够固定后再次调整位置的白车身焊装装置
KR200489309Y1 (ko) 카리프트를 이용한 자동차 정비용 서포터
CN205772845U (zh) 一种搬送治具
CN107458858A (zh) 下摆臂安装机构
JPH0570872U (ja) ホイールプーラ
CN114275652A (zh) 一种吊点可调的多用途顶盖吸盘吊具
CN211034893U (zh) 一种吊具工装
CN211078147U (zh) 一种大质量异形铸造支架用柔性吊具
CN218665087U (zh) 一种牵引车悬挂系统用平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