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3578A -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 Google Patents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3578A
KR20150093578A KR1020140150284A KR20140150284A KR20150093578A KR 20150093578 A KR20150093578 A KR 20150093578A KR 1020140150284 A KR1020140150284 A KR 1020140150284A KR 20140150284 A KR20140150284 A KR 20140150284A KR 20150093578 A KR20150093578 A KR 20150093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gear
intermediate member
internal gear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955B1 (ko
Inventor
마나부 안도
신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93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3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49/00Other gearings
    • F16H49/001Wave gearings, e.g. harmonic drive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휨맞물림식 기어장치의 구동축과 내치기어와의 사이의 심 어긋남이 존재하여도 성능 및 수명의 저하를 방지하고, 축방향 길이의 증대를 억제 가능하게 한다.
구동축(101)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기진체(106)를 가지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에 있어서, 구동축(101)과 기진체(106)는, 기진체(106)의 축심의 직경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이음매부재(103)에 의하여 연결되고, 기진체(106)와 이음매부재(103)는 축방향(O)으로 대향함과 함께, 기진체(106)가 이음매부재(103)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어 배치된다.

Description

휨맞물림식 기어장치{Flexible engagement gear device}
본 출원은, 2014년 2월 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4-022894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휨맞물림식 기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구동축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기진체(起振體)를 가지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휨맞물림식 기어장치에서는, 올덤 커플링이라고 불리는 이음매부재가 구동축에 구성되어 기진체에 마련되어 있다. 올덤 커플링은, 조립 시의 구동축과 내치(內齒)기어와의 사이에 심 어긋남(간단하게 구동축의 심 어긋남이라고도 한다)이 존재하여도 이것을 허용하여 성능 및 수명의 저하를 방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소60-241550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구조에서는, 장치의 축방향 길이가 길어질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휨맞물림식 기어장치의 구동축의 심 어긋남이 존재하여도 성능 및 수명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축방향 길이의 증대를 억제한 휨맞물림식 기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축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기진체를 가지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기진체가, 상기 기진체의 축심의 직경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이음매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기진체와 상기 이음매부재가 축방향으로 대향함과 함께, 상기 기진체가 상기 이음매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어 배치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축과 기진체가 이음매부재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구동축에 대한 기진체의 축심의 직경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고 있다. 동시에, 본 발명에서는, 기진체가 이음매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어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기진체와 구동축과의 연결부의 축방향 길이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휨맞물림식 기어장치의 구동축의 심 어긋남이 존재하여도 성능 및 수명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축방향 길이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휨맞물림식 기어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휨맞물림식 기어장치의 근방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기진체와 이음매부재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구동부재의 사시도(a)와 단면도(b)이다.
도 5는 도 3의 중간부재의 사시도(a)와 단면도(b)이다.
도 6은 도 3의 기진체의 사시도(a)와 단면도(b)이다.
이하, 도 1~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101)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기진체(106)를 가진다. 그리고,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는, 고정측부재(136)에 지지되어, 출력을 출력측부재(152)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 자체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진체(106)와, 기진체(106)의 외주에 배치되어, 기진체(106)의 회전에 의하여 휨 변형되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진 외치(外齒)기어(120)와, 기진체(106)와 외치기어(120)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기진체 베어링(110)과, 외치기어(120)가 내접하여 맞물리는 강성을 가진 감속용 내치기어(제1 내치기어)(130A)와, 감속용 내치기어(130A)에 축방향(O)으로 병설되어 외치기어(120)와 내접하여 맞물리는 강성을 가진 출력용 내치기어(제2 내치기어)(130B)를 구비한다. 다만, 감속용 내치기어(130A)와 출력용 내치기어(130B)를 합쳐서 내치기어(130)라고 칭한다.
먼저, 고정측부재(136)와 출력측부재(152)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측부재(136)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조케이싱(138)과, 구동축케이싱(140)과, 제1 고정부재(142)와, 제2 고정부재(144)와, 제3 고정부재(146)를 가진다. 보조케이싱(138)은, 원통형상이다. 보조케이싱(138)은, 구동축(101)이 끼워 넣어지는 오일실(Os1)을 지지하며, 구동축케이싱(140)에 접속되어 있다. 구동축케이싱(140)은, 일단측이 플랜지부(140A)로 된 원통형상이다. 구동축케이싱(140)은, 이 원통형상의 내측에서 2개의 베어링(Br)을 통하여 구동축(101)을 지지하고 있다. 플랜지부(140A)에는, 감속용 내치기어(130A)가 고정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140A)의 감속용 내치기어(130A)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의 직경방향 외측에는, 제1 고정부재(142)가 고정되어 있다. 반대로, 플랜지부(140A)의 감속용 내치기어(130A)가 고정되어 있는 위치의 직경방향 내측에는, 원환형상의 접촉부재(148)가 존재한다. 접촉부재(148)는, 외치기어(120) 및 기진체 베어링(110)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와 플랜지부(140A)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접촉부재(148)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성이 높은 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제1 고정부재(142)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고정부재(144)가 고정되어 있다. 제1 고정부재(142)와 제2 고정부재(144)는 모두, 원환형상이며, 출력측부재(152)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고정부재(142)는, 그 외주로 제3 고정부재(146)에 고정되어 있다. 제3 고정부재(146)는, 도시하지 않은 고정벽과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출력측부재(152)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출력부재(154)와, 제2 출력부재(156)와, 제3 출력부재(158)를 가진다. 제1 출력부재(154)는, 원환형상이며, 출력용 내치기어(130B)에 고정되어 있다. 제1 출력부재(154)의 출력용 내치기어(130B)가 고정되어 있는 부분의 직경방향 내측에는, 원환형상의 접촉부재(150)가 존재한다. 접촉부재(150)는, 외치기어(120) 및 기진체 베어링(110)의 단면에 대향하도록,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와 제1 출력부재(154)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접촉부재(150)는, 접촉부재(148)와 동일한 재질로 되어 있다). 다만, 제1 출력부재(154)와 제1 고정부재(142)와의 사이에는, 주베어링(Mb)(크로스 롤러 링, 앵귤러 볼 베어링, 테이퍼 롤러 베어링 등)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출력부재(156)는, 원판형상이며, 제1 출력부재(154)에 고정되어 있다. 제2 출력부재(156)와 제2 고정부재(144)와의 사이에는, 제2 고정부재(144)에 지지되는 오일실(Os2)이 배치되어 있다. 제3 출력부재(158)도, 원판형상이며, 제2 출력부재(156)에 고정되어 있다. 제3 출력부재(158)는, 도시하지 않은 기계 장치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구동축(101)과, 이음매부재(103)와,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와의 관계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에 있어서,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101)과 기진체(106)는, 기진체(106)의 축심의 직경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이음매부재(10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진체(106)와 이음매부재(103)는 축방향(O)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기진체(106)는, 이음매부재(103)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어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구동축(101)과, 이음매부재(103)와,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을 행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진체(106)의 축방향(O)에 수직인 단면이 대략 타원형상이다. 이로 인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축심으로부터 기진체(106)의 외주까지의 거리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장축 위치라고 부르고, 2개의 장축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뻗는 방향을 장축(X)방향이라고 부른다. 동시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심으로부터 기진체(106)의 외주까지의 거리가 최소가 되는 위치를 단축 위치라고 부르고, 2개의 단축 위치를 연결하는 직선이 뻗는 방향을 단축(Y)방향이라고 부른다.
구동축(101)은, 구동원인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부터 뻗는 모터축 등이다. 구동축(10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축케이싱(140)에 베어링(Br)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10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부재(103)의 일단측으로부터 삽입되며, 스톱부재(102)로 축방향(O)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이음매부재(103)는, 올덤 커플링으로 되어 있다. 즉, 구동축(101)과 기진체(106)는,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음매부재(103)에 의하여 기진체(106)의 축심의 직경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음매부재(103)는, 구동축(101)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구동부재(104)와, 중간부재(105(105A, 105B))를 가지고 있다. 즉, 이음매부재(10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개의 구동부재(104)와, 구동부재(104)의 축방향(O)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1 중간부재(105A)와, 축방향(O)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2 중간부재(105B)를 가진다. 제1 중간부재(105A)와 제2 중간부재(105B)는, 동일한 구성이다. 이로 인하여, 이후, 제1 중간부재(105A)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중간부재(105B)에 대한 설명은 기본적으로 생략한다.
구동부재(104)는, 도 3,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에 관통구멍(104B)을 가지는 원환형상(외경(Dd))으로 되어 있다. 관통구멍(104B)은, 구동축(101)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구동부재(104)가 구동축(101)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관통구멍(104B)에는 키 홈(104C)이 마련되어, 구동부재(104)와 구동축(101)은 도시하지 않은 키로 연결된다. 구동부재(104)의 축방향(O)의 양측면(104AA, 104AB)에는 각각, 2개의 오목부(104D)가 마련되어 있다. 양측면(104AA, 104AB)의 형상은 동일하므로, 측면(104AA)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측면(104A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측면(104AA)에 있어서, 도 4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오목부(104D)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는, 구동부재(104)의 외주를 따른 위치이고, 또한 구동부재(104)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180도 위상이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다. 즉, 2개의 오목부(104D)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은,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또한 장축(X)방향과 일치한다. 그리고, 오목부(104D)의 측면(104DA)은 각각, 장축(X)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다만, 부호 Ld는, 오목부(104D)에 있어서의 측면(104DA) 사이의 거리(오목부(104D)의 폭)이다. 또, 부호 Lg는, 2개의 오목부(104D)의 사이의 거리이다.
제1 중간부재(105A)는,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에 관통구멍(105AB)을 가지는 원환형상(외경(Dj))으로 되어 있다. 관통구멍(105AB)의 크기(직경(Lb))는, 구동축(101)의 심 어긋남이 최대가 되어 구동부재(104)가 직경방향으로 상대변위하여도, 구동축(101)과 접촉하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다. 제1 중간부재(105A)의 축방향(O)의 양측면(105AAA, 105AAB)에는 각각, 제1 중간부재(105A)의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까지 계속되는 2개의 볼록부(105AD)와 2개의 볼록부(105AC)가 마련되어 있다.
일방의 측면(105AAA)에 있어서,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볼록부(105AD)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는, 제1 중간부재(105A)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180도 위상이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다. 즉, 2개의 볼록부(105AD)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은,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또한 단축(Y)방향과 일치한다(이로 인하여, 관통구멍(105AB)의 직경(Lb)은 2개의 볼록부(105AD)의 사이의 거리가 되고, 또한 외경(Dj)은 2개의 볼록부(105AD)의 외주면(105ADB)의 사이의 거리가 된다). 그리고, 볼록부(105AD)의 측면(105ADA)은 각각, 단축(Y)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다만, 부호 Ljx는, 볼록부(105AD)에 있어서의 측면(105ADA)사이의 거리(볼록부(105AD)의 폭)이다.
타방의 측면(105AAB)에 있어서, 도 5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볼록부(105AC)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도, 제1 중간부재(105A)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180도 위상이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다. 즉, 2개의 볼록부(105AC)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은,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또한 장축(X)방향과 일치한다(이로 인하여, 관통구멍(105AB)의 직경(Lb)은 2개의 볼록부(105AC)의 사이의 거리가 되고, 또한 외경(Dj)은 2개의 볼록부(105AC)의 외주면(105ACB)의 사이의 거리가 된다). 그리고, 볼록부(105AC)의 측면(105ACA)은 각각, 장축(X)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다만, 부호 Ljy는, 볼록부(105AC)에 있어서의 측면(105ACA) 사이의 거리(볼록부(105AC)의 폭)이다.
여기에서, 볼록부(105AC)와 볼록부(105AD)는 동일 형상으로, 볼록부(105AC)의 폭(Ljy)과 볼록부(105AD)의 폭(Ljx)은 동일하다(Ljy=Ljx). 즉, 측면(105AAA)과 측면(105AAB)은, 위상이 90도 어긋나 있지만, 형상은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볼록부(105AC)의 축방향(O) 높이는, 오목부(104D)의 축방향(O) 깊이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부(105AC)의 폭(Ljy)은, 오목부(104D)의 폭(Ld)보다 약간 좁게 되어 있다(Ljy<Ld). 그리고, 외경(Dj)과 외경(Dd)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Dj≒Dd). 그리고, 2개의 볼록부(105AC)의 사이의 거리(Lb)는, 2개의 오목부(104D)의 사이의 거리(Lg)보다 적절히 크게 되어 있다(Lb>Lg+α, α>0).
이로 인하여, 2개의 볼록부(105AC)는 각각, 2개의 오목부(104D)에 끼워 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 2개의 볼록부(105AC)의 배치(2개의 오목부(104D)의 배치)에 의하여, 구동부재(104)에 대한 제1 중간부재(105A)의 단축(Y)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규제된다. 그러나, 구동부재(104)에 대한 제1 중간부재(105A)의 장축(X)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허용되게 된다(예를 들면 1mm 이하). 즉, 구동부재(104)와 제1 중간부재(105A)는, 축방향(O)에 대향하여, 직경방향의 일방향(장축(X)방향)으로 상대변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2개의 볼록부(105AC)와 2개의 오목부(104D)의 끼워 맞춤에 의하여, 구동부재(104)와 제1 중간부재(105A)는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만, 구동부재(104)와 제2 중간부재(105B)도 동일하게 연결된다. 또, 볼록부(105AC, 105BC)나 오목부(104D)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동부재(104)와 중간부재(105(105A, 105B))가 직경방향으로 상대변위 가능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상이면 된다.
기진체(106)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중간부재(105A)와 연결되는 제1 기진체(106A)와, 제2 중간부재(105B)와 연결되는 제2 기진체(106B)를 가진다. 제1 기진체(106A), 제2 기진체(106B)는 각각, 감속용 내치기어(130A), 출력용 내치기어(130B)의 직경방향 내측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기진체(106A)와 제2 기진체(106B)는 모두, 동일한 구성이다. 이로 인하여, 이하, 제1 기진체(106A)에 대하여 설명하고, 제2 기진체(106B)에 대한 설명은 기본적으로 생략한다.
제1 기진체(106A)는,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원형의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진체(106A)는, 본체부(106AA)와 연재부(延在部)(106AD)를 가진다.
본체부(106AA)는,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심에 관통구멍(106AB)을 가지고 있다. 관통구멍(106AB)의 크기(직경(Lp))는, 구동축(101)의 심 어긋남이 최대가 되어 구동부재(104)와 제1 중간부재(105A)가 직경방향으로 상대변위하여도, 구동축(101)과 접촉하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다. 축방향(O)으로부터 본 본체부(106AA)의 외형은, 축방향(O)으로부터 본 제1 기진체(106A)의 외형과 동일하다. 즉, 단축(Y)방향에 있어서의 축심으로부터 본체부(106AA)의 외주까지의 거리(Ry)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축(X)방향에 있어서의 축심으로부터 본체부(106AA)의 외주까지의 거리(Rx)보다 짧게 되어 있다(Ry<Rx). 즉, 단축(Y)위치에서는 외치기어(120)와 감속용 내치기어(130A)와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함으로써, 비맞물림 상태가 실현된다. 한편, 장축(X)위치의 부근에서는, 외치기어(120)와 감속용 내치기어(130A)와의 맞물림 상태가 실현된다(다만, 부호 Pc는, 거리(Rx)를 반경으로 하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진원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6AA)의 축방향(O)의 연재부(106AD)가 뻗어 있는 측의 측면(106AAA)에는, 본체부(106AA)의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의 연재부(106AD)의 내주까지 계속되는 2개의 오목부(106AC)가 마련되어 있다. 2개의 오목부(106AC)가 마련되어 있는 위치는, 본체부(106AA)의 중심에 대하여 서로 180도 위상이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다. 즉, 2개의 오목부(106AC)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은, 일직선으로 연결되고, 또한 단축(Y)방향과 일치한다(이로 인하여, 관통구멍(106AB)의 직경(Lp)은 2개의 오목부(106AC)의 사이의 거리가 되고, 또한 연재부(106AD)의 내경(Dw)은, 2개의 오목부(106AC)의 외측 내주면(106ACB)의 사이의 거리가 된다). 그리고, 오목부(106AC)의 측면(106ACA)은 각각, 단축(Y)방향과 평행하게 되어 있다. 다만, 부호 Lw는, 오목부(106AC)에 있어서의 측면(106ACA) 간의 거리(오목부(106AC)의 폭)이다.
연재부(106AD)는, 도 3, 도 6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106AA)로부터 축방향(O)으로 뻗은 원통형상의 부분이다. 연재부(106AD)의 내경(Dw)은, 구동부재(104)의 외경(Dd) 및 제1 중간부재(105A)의 외경(Dj)보다 적절히 크게 되어 있다(Dw>Dd(Dj)+β, β>0). 즉, 내경(Dw)은, 구동축(101)의 심 어긋남이 최대가 되어 직경방향으로 변위한 구동부재(104)와 제1 중간부재(105A)가 접촉하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다. 연재부(106AD)는, 제1 중간부재(105A) 및 구동부재(104)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재부(106AD)는, 제1 중간부재(105A) 및 구동부재(104)의 일부(구동부재(104)의 축방향(O) 길이의 대략 절반까지)의 외주를 덮도록 마련되어 있다. 다만, 내경(Dw)이 일정하므로, 연재부(106AD)의 단축(Y)위치에 있어서의 직경방향 두께(Ty)는, 장축(X)위치에 있어서의 직경방향 두께(Tx)보다 얇게 되어 있다(Ty<Tx).
여기에서, 볼록부(105AD)(볼록부(105AC))의 축방향(O) 높이는, 오목부(106AC)의 축방향(O) 깊이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부(105AD)의 폭(Ljx)은, 오목부(106AC)의 폭(Lw)보다 약간 좁게 되어 있다(Ljx<Lw). 그리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내경(Dw)은, 외경(Dj), 외경(Dd)보다 적절히 크게 되어 있다(Dw>Dd(Dj)+β, β>0). 즉, 2개의 볼록부(105AD)의 외주면(105ADB)의 사이의 거리(Dj)(도 5의 (a), (b))는, 2개의 오목부(106AC)의 외측 내주면(106ACB)의 사이의 거리(Dw)보다 적절히 작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2개의 볼록부(105AD)는 각각, 2개의 오목부(106AC)에 끼워 맞춤 가능하다. 이 때, 2개의 볼록부(105AD)의 배치(2개의 오목부(106AC)의 배치)에 의하여, 제1 기진체(106A)에 대한 제1 중간부재(105A)의 장축(X)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규제된다. 그러나, 제1 기진체(106A)에 대한 제1 중간부재(105A)의 단축(Y)방향으로의 상대 이동은 허용되게 된다(예를 들면 1mm 이하). 즉, 제1 기진체(106A)는, 단축(Y)위치에 제1 중간부재(105A)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106AC)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1 기진체(106A)와 제1 중간부재(105A)는, 축방향(O)에 대향함과 함께, 장축(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단축(Y)방향)으로 상대변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게 된다.
다만, 2개의 볼록부(105AD)의 외주면(105ADB)의 사이의 거리(Dj)는, 2개의 오목부(106AC)의 사이의 거리(Lp)와, 1개의 오목부(106AC)의 직경방향 길이((Dw-Lp)/2)와의 합보다 크게 되어 있다(Dj>(Dw+Lp)/2). 이로 인하여, 제1 중간부재(105A)가 제1 기진체(106A)에 대하여 최대한으로 직경방향으로 상대변위하여도, 반드시 2개의 볼록부(105AD)가 각각, 2개의 오목부(106AC)와 끼워 맞춰져, 어느 볼록부(105AD)도 대응하는 오목부(106AC)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볼록부(105AD)와 2개의 오목부(106AC)의 끼워 맞춤에 의하여, 제1 기진체(106A)와 제1 중간부재(105A)는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다만, 제2 기진체(106B)와 제2 중간부재(105B)도 동일하게 연결된다. 또, 볼록부(105AD, 105BD)나 오목부(106AC, 106BC)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기진체(106(106A, 106B))와 중간부재(105(105A, 105B))가 직경방향으로 상대변위 가능하고, 또한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형상이면 된다.
다만, 제2 기진체(106B)도 제1 기진체(106A)와 동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기진체(106)는, 이음매부재(103)의 축방향(O) 전체 길이를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진체 베어링(110(110A, 110B))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속용 내치기어(130A)와 출력용 내치기어(130B)에 대응하여, 축방향(O)에 2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기진체 베어링(110A), 기진체 베어링(110B)은 모두, 동일한 구성이다. 이로 인하여, 이하, 기진체 베어링(110A)에 대하여 설명하고, 기진체 베어링(110B)에 대한 설명은 기본적으로 생략한다.
기진체 베어링(110A)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륜(112A)과, 리테이너(114A)와, 전동체로서의 롤러(116A)와, 외륜(118A)으로 구성된다.
내륜(112A)은, 가요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내륜(112A)은 제1 기진체(106A)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륜(112A)의 내주면은 제1 기진체(106A)와 맞닿고, 내륜(112A)은 제1 기진체(106A)와 일체로 회전한다. 리테이너(114A)는, 롤러(116A)를 수용하여, 롤러(116A)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및 자세를 규제한다. 즉, 리테이너(114A)의 축방향(O) 길이(L2)는, 롤러(116A)의 축방향(O) 길이(L2)보다 크게 되어 있다(L2>L1). 롤러(116A)는, 원기둥형상(니들형상을 포함함)이다. 외륜(118A)은, 롤러(116A) 및 리테이너(114A)의 외주에 배치된다. 외륜(118A)도, 가요성의 소재로 형성되어 있다. 외륜(118A)은, 그 외주에 배치되는 외치기어(120)와 함께 기진체(106)의 회전에 의하여 휨 변형한다. 다만, 내륜(112A)과 리테이너(114A)와 외륜(118A)의 축방향(O) 외측의 단부의 위치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O)에서, 대략 일치하고 있다. 그러나, 내륜(112A)과 리테이너(114A)와 외륜(118A)의 축방향(O) 외측의 단부의 위치는, 제1 기진체(106A)의 축방향(O) 외측의 단부의 위치보다 약간 내측으로 되어 있다.
다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진체 베어링(110A) 중, 롤러(116A)의 축방향(O) 길이(L1)보다 제1 기진체(106A)의 외주의 축방향(O) 길이(L)가 길게 되어 있다(L1<L). 여기에서, 기진체 베어링(110A)에서 실질적으로 토크 전달하는 것은 롤러(116A)이다. 이로 인하여, 제1 기진체(106A)의 외주의 축방향(O) 길이(L)는, 실질적으로 제1 기진체(106A)의 외주에 배치되는 기진체 베어링(110A)의 축방향(O) 길이(L2)보다 길게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테이너(114A)와 접촉부재(148)와의 사이의 간극(γ1)은, 롤러(116A)의 외측 단부로부터 리테이너(114A)의 외측 단부까지의 거리(γ2)보다 좁게 되어 있다(γ1<γ2). 이로 인하여, 롤러(116A)가 축방향(O) 외측으로 이동하여도, 롤러(116A)의 이동은 간극(γ1)만큼이다. 즉, 롤러(116A)가 축방향(O) 외측으로 이동한 경우여도, 롤러(116A)의 축방향(O) 길이 전체가 제1 기진체(106A)의 외주의 축방향(O) 길이(L) 내에 머물게 된다.
외치기어(120)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속용 내치기어(130A), 출력용 내치기어(130B)에 대응하여 축방향(O)으로 병설된 외치기어(120A, 120B)로 구성되어 있다. 외치기어(120A)는, 감속용 내치기어(130A)와 내접하여 맞물린다. 외치기어(120A)는, 도시하지 않은 베이스 부재 및 외치로 구성된다. 베이스 부재는, 외치를 지지하는 가요성을 가진 통형상 부재이며, 외치기어(120B)의 베이스 부재와 공통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치기어(120A)는, 기진체 베어링(110A)의 외주에 배치되어, 제1 기진체(106A)의 회전에 의하여 휨 변형한다. 외치는, 이론 맞물림을 실현하도록 트로코이드 곡선에 근거하여 치형(齒形)이 결정되어 있다.
외치기어(120B)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용 내치기어(130B)와 내접하여 맞물린다. 그리고, 외치기어(120B)는, 외치기어(120A)와 마찬가지로, 베이스 부재 및 외치로 구성된다. 외치기어(120B)의 외치는, 외치기어(120A)의 외치와는 축방향(O)에서 분리되어 있지만, 동일한 수,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치기어(130)를 구성하는 감속용 내치기어(130A), 출력용 내치기어(130B)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방향(O)으로 병설되어 있다. 내치기어(130)는 강성을 가진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감속용 내치기어(130A)는, 외치기어(120A)의 외치의 치수(齒數)보다 i(i는 2 이상) 많은 치수의 내치를 구비한다. 내치는, 트로코이드 곡선에 근거한 외치에 이론 맞물리도록 성형되어 있다(출력용 내치기어(130B)의 내치도 동일). 감속용 내치기어(130A)는, 외치기어(120A)와 맞물림으로써, 기진체(106)의 회전을 감속한다.
한편, 출력용 내치기어(130B)는, 외치기어(120B)의 외치의 치수와 동일한 치수의 내치를 구비한다. 출력용 내치기어(130B)로부터는, 외치기어(120B)의 자전과 동일한 회전이 외부에 출력된다.
다만,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에는, 윤활제가 봉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윤활제는, 외치기어(120)와 내치기어(130)와의 맞물리는 부분 등을 윤활하고 있다.
다음으로,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주로 도 1,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구동축(101)의 회전에 의하여, 기진체(106)가 회전하면, 그 회전 상태에 따라, 기진체 베어링(110A)을 통하여, 외치기어(120A)가 휨 변형한다. 이 때, 외치기어(120B)도, 기진체 베어링(110B)을 통하여, 외치기어(120A)와 동위상에서 휨 변형한다.
외치기어(120A, 120B)가 기진체(106)로 휨 변형함으로써, 외치기어(120A)의 외치가 감속용 내치기어(130A)의 내치에 맞물린다. 마찬가지로, 외치기어(120B)의 외치가 출력용 내치기어(130B)의 내치에 맞물린다.
외치기어(120A)와 감속용 내치기어(130A)와의 맞물림 위치는, 기진체(106)의 장축(X)위치의 이동에 따라, 회전 이동한다. 여기에서, 기진체(106)가 1회전하면, 외치기어(120A)는 감속용 내치기어(130A)와의 치수차만큼, 회전 위상이 늦는다. 즉, 감속용 내치기어(130A)에 의한 감속비는 ((외치기어(120A)의 치수-감속용 내치기어(130A)의 치수)/외치기어(120A)의 치수)로 구할 수 있다. 구체적인 수치에 의한 감속비는 ((100-102)/100=-1/50)이 된다. 여기에서, “-”는 입출력이 역회전의 관계가 됨을 나타내고 있다.
외치기어(120B)와 출력용 내치기어(130B)는 모두 치수가 동일하므로, 외치기어(120B)와 출력용 내치기어(130B)는 서로 맞물리는 부분이 이동하지 않고, 동일한 치끼리 맞물리게 된다. 이로 인하여, 출력용 내치기어(130B)로부터 외치기어(120B)의 자전과 동일한 회전이 출력된다. 결과적으로, 출력용 내치기어(130B)로부터는 기진체(106)의 회전을 (-1/50)로 감속한 출력을 취출할 수 있다. 즉, 구동축(101)의 회전이 (-1/50)로 감속되어, 그 출력을 출력측부재(152)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구동축(101)이 감속용 내치기어(130A)(출력용 내치기어(130B))의 축심으로부터 단축(Y)방향으로 소정의 양만큼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구동부재(104)와 제1 중간부재(105A)(제2 중간부재(105B))에 대하여, 제1 기진체(106A)(제2 기진체(106B))가 단축(Y)방향으로 당해 소정의 양만큼 변위한다. 구동축(101)이 감속용 내치기어(130A)(출력용 내치기어(130B))의 축심으로부터 장축(X)방향으로 소정의 양만큼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구동부재(104)에 대하여 제1 중간부재(105A)(제2 중간부재(105B))와 제1 기진체(106A)(제2 기진체(106B))가 일체가 되어 장축(X)방향으로 당해 소정의 양만큼 변위한다. 이로써, 이음매부재(103)는, 제1 기진체(106A), 제2 기진체(106B) 각각의 축심의 직경방향으로의 변위를 독립하여 허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축(101)과 기진체(106)가 이음매부재(103)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축(101)에 대한 기진체(106)의 축심의 직경방향으로의 변화를 허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기진체(106)와 이음매부재(103)는 축방향(O)에 대향하는 구성이면서, 기진체(106)는 이음매부재(103)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어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기진체(106)의 외주에는, 기진체 베어링(110)이나 외치기어(120)가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기진체(106)의 외주는 축방향(O)에 상응하는 길이가 필요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기진체(106)의 외주의 일부(연재부(106AD, 106BD))가 이음매부재(103)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기진체(106)의 외주의 필요한 축방향(O) 길이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기진체(106)와 이음매부재(103)의 연결구조 전체에서의 축방향(O) 길이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동시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진체(106)의 연재부(106AD, 106BD)에 의하여 기진체(106)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본체부(106AA, 106BA)의 축방향(O) 두께(Lo)(도 3)를 얇게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음매부재(103)가 구동부재(104)와 중간부재(105)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구동부재(104)와 중간부재(105)는 직경방향의 일방향(장축(X)방향)으로 상대변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중간부재(105)와 기진체(106)는 장축(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단축(Y)방향)으로 상대변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기진체(106)는, 중간부재(105)와 축방향(O)에 대향함과 함께, 중간부재(105)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어 배치되어 있다. 즉, 이음매부재(103)는, 간소하고 또한 부품 개수를 적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면서, 구동축(101)과 감속용 내치기어(130A) 및 출력용 내치기어(130B)와의 심 어긋남을 확실히 허용할 수 있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음매부재는 구동부재 및 중간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예를 들면 판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을 이용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구동부재(104)와 중간부재(105)가 축방향(O)에 대향하고, 기진체(106)는 구동부재(104)의 직경방향 외측까지 뻗어 배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구동부재(104)의 축방향(O) 두께분까지 이용하여, 기진체(106)의 외주에 기진체 베어링(110)을 배치할 수 있다. 즉,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의 축방향(O) 길이를 보다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해짐과 함께, 기진체(106)가 기진체 베어링(110)으로부터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동시에, 제1 기진체(106A), 제2 기진체(106B)끼리의 축방향(O)에서 발생하는 간극을 좁힐 수 있으므로, 제1 기진체(106A), 제2 기진체(106B)의 축방향(O)의 변위를 서로 규제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구동부재와 중간부재가 축방향(O)에 대향하지 않아도 되고, 기진체가 구동부재의 직경방향 외측까지 뻗어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감속용 내치기어(130A)와 출력용 내치기어(130B)를 구비하고, 이음매부재(103)는 1개의 구동부재(104)와 제1 중간부재(105A)와 제2 중간부재(105B)를 가지며, 기진체(106)는 제1 기진체(106A)와 제2 기진체(106B)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통형의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의 감속용 내치기어(130A), 출력용 내치기어(130B) 각각에 대한 구동축(101)의 심 어긋남을 독립하여 허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기진체(106A), 제2 기진체(106B)가 단축(Y)위치에 제1 중간부재(105A), 제2 중간부재(105B)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106AC, 106BC)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장축(X)위치에는 오목부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 장축(X)위치의 본체부(106AA)의 축방향(O)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장축(X)위치의 연재부(106AD(106BD))의 직경방향 두께(Tx)는 단축(Y)위치의 연재부(106AD(106BD))의 직경방향 두께(Ty)보다 두껍게 되어 있다(Ty<Tx). 즉, 기진체(106)에 걸리는 하중이 가장 커지는 장축(X)위치의 부근에 있어서, 기진체(106)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기진체(106)의 장축(X)위치의 부근에 있어서, 안정적으로 그 하중을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해져, 기진체(106)의 변형이나 파손을 확실히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축(Y)위치 이외에 중간부재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를 가지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진체(106)가 이음매부재(103)의 축방향(O) 전체 길이를 덮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이음매부재(103)의 존재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기진체 베어링(110)의 장착을 행할 수 있어, 조립 시에 기진체 베어링(110) 및 기진체(106)를 부주의하게 손상시킬 우려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진체가 이음매부재의 축방향(O) 전체 길이를 덮지 않고 일부만 덮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체가 롤러(116A, 116B)이다. 즉, 전동체가 구인 경우에 비하여, 롤러(116A, 116B)가 내륜(112A, 112B) 및 외륜(118A, 118B)과 접촉하는 부분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로 인하여, 롤러(116A, 116B)를 이용함으로써, 기진체 베어링(110)의 전달 토크를 증대시키고, 또한 수명을 장기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기진체(106A)(제2 기진체(106B))의 외주의 축방향(O) 길이(L)가 기진체 베어링(110A(110B))의(롤러(116A(116B))의) 축방향(O) 길이(L1)보다 길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기진체 베어링(110)이 축방향(O)으로 변위하고 있지 않으면, 기진체 베어링(110)으로부터 기진체(106)에 걸리는 하중이 커도, 그 하중을 롤러(116A(116B))의 축방향(O) 길이로 확실히 분산시킬 수 있다. 즉, 기진체(106)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더욱 방지할 수도 있다. 다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진체(106)의 외주의 축방향(O) 길이(L)가 기진체 베어링의 축방향(O) 길이(L2)보다 길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진체 베어링(110)이 축방향(O)으로 변위하여도 반드시 제1 기진체(106A)(제2 기진체(106B))의 외주의 축방향(O) 길이(L) 내에 롤러(116A(116B))가 머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기진체 베어링(110)이 축방향(O)으로 변위하여도, 제1 기진체(106A)(제2 기진체(106B))는, 롤러(116A(116B))에 걸리는 하중을 안정적으로 받을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중간부재(105A)와 제2 중간부재(105B)가 동일하고, 또한 제1 기진체(106A)와, 제2 기진체(106B)가 동일하다. 즉, 공통의 부재의 비율을 많게 할 수 있으므로 부재 관리가 용이함과 함께, 부재의 저비용화를 진행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중간부재(105A)와 제2 중간부재(105B)에는 방향성이 없다. 이로 인하여, 제1 중간부재(105A)와 제2 중간부재(105B)의 방향을 신경쓰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이음매부재(103)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딩성이 높은 재료로 성형된 접촉부재(148, 150)를 외치기어(120) 및 기진체 베어링(110)의 단면에 대향시켜 배치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외치기어(120) 및 기진체 베어링(110)의 단면에서 발생하는 마찰 로스를 저감할 수 있다. 동시에, 접촉부재(148)는, 외치기어(120) 및 기진체 베어링(110)의 축방향(O)의 이동도 규제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의 구동축(101)과 내치기어(130)와의 사이에 심 어긋남이 존재하여도 성능 및 수명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의 축방향(O) 길이의 증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형태를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개량 및 설계의 변경이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진체 베어링(110)이 내륜(112A, 112B) 및 외륜(118A, 118B)을 가지고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진체의 외주 부분이 내륜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외륜을 가질 필요도 없고, 예를 들면, 롤러가 직접적으로 외치기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외치기어의 내주 부분이 외륜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전동체가 롤러가 아니고, 볼이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외치를 트로코이드 곡선에 근거한 치형으로 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치는, 원호치형이어도 되고, 그 외의 치형을 이용하여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감속용 내치기어(130A)와 출력용 내치기어(130B)를 가지는 통형의 휨맞물림식 기어장치(100)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내치기어와 외치기어가 각각 1개이며, 컵형(혹은 실크해트형)의 휨 변형하는 외치기어를 가지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에 적용하여도 상관없다.
또, 이음매부재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기진체의 축심의 직경방향의 변위를 허용하면서, 구동축과 기진체를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조이면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통형, 컵형, 혹은 실크해트형의 외치기어를 구비하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에 대하여 널리 적용 가능하다.
100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101 구동축
102 스톱부재
103, 103A, 103B 이음매부재
104 구동부재
104B, 105AB, 105BB, 106AB, 106BB 관통구멍
104C 키 홈
104D, 106AC, 106BC 오목부
105, 105A, 105B 중간부재
105AC, 105AD, 105BC, 105BD 볼록부
106, 106A, 106B 기진체
106AA, 106BA 본체부
106AD, 106BD 연재부
110, 110A, 110B 기진체 베어링
112A, 112B 내륜
114A, 114B 리테이너
116A, 116B 롤러
118A, 118B 외륜
120, 120A, 120B 외치기어
130, 130A, 130B 내치기어
136 고정측부재
138 보조케이싱
140 구동축케이싱
142 제1 고정부재
144 제2 고정부재
146 제3 고정부재
148, 150 접촉부재
152 출력측부재
154 제1 출력부재
156 제2 출력부재
158 제3 출력부재
Br, Mb 베어링
O 축방향
Os1, Os2 오일실
Pc 거리(Rx)를 반경으로 하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진원 형상
X 기진체의 장축
Y 기진체의 단축

Claims (7)

  1. 구동축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기진체를 가지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상기 기진체는, 상기 기진체의 축심의 직경방향으로의 변위를 허용하는 이음매부재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기진체와 상기 이음매부재는 축방향으로 대향함과 함께, 상기 기진체가 상기 이음매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매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구동부재와, 중간부재를 가지고,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중간부재는 직경방향의 일방향으로 상대변위 가능하게 연결됨과 함께,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기진체는 상기 일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변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기진체는, 상기 중간부재와 축방향으로 대향함과 함께, 상기 중간부재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뻗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중간부재는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상기 기진체는 상기 구동부재의 직경방향 외측까지 뻗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진체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기진체의 회전에 의하여 휨 변형되는 가요성을 가진 외치기어와, 상기 외치기어가 내접하여 맞물리는 강성을 가진 제1 내치기어와, 상기 제1 내치기어에 축방향으로 병설되어 상기 외치기어가 내접하여 맞물리는 강성을 가진 제2 내치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이음매부재는, 1개의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구동부재의 축방향 일방측에 배치되는 제1 중간부재와, 축방향 타방측에 배치되는 제2 중간부재를 가지며,
    상기 기진체는, 상기 제1 중간부재와 연결되는 제1 기진체와, 상기 제2 중간부재와 연결되는 제2 기진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진체는, 단축 위치에 상기 중간부재와 끼워 맞춰지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진체는, 상기 이음매부재의 축방향 전체 길이를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진체의 외주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기진체의 외주에 배치되는 베어링의 축방향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KR1020140150284A 2014-02-07 2014-10-31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KR101644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22894A JP6238777B2 (ja) 2014-02-07 2014-02-07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JPJP-P-2014-022894 2014-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3578A true KR20150093578A (ko) 2015-08-18
KR101644955B1 KR101644955B1 (ko) 2016-08-02

Family

ID=5367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284A KR101644955B1 (ko) 2014-02-07 2014-10-31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38777B2 (ko)
KR (1) KR101644955B1 (ko)
CN (1) CN104832604B (ko)
DE (1) DE102014018184A1 (ko)
TW (1) TWI553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020B1 (ko) * 2015-12-11 2020-03-03 가부시키가이샤 하모닉 드라이브 시스템즈 플랫형 파동 기어 장치
JP6890407B2 (ja) * 2016-12-07 2021-06-1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アシスト装置
JP6795433B2 (ja) * 2017-03-17 2020-12-02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撓み噛み合い式歯車装置
JP7175084B2 (ja) * 2018-01-30 2022-11-18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JP7414375B2 (ja) * 2019-10-28 2024-01-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JP7455687B2 (ja) * 2020-07-13 2024-03-2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5435A (ja) * 1984-08-27 1986-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減速機
JPH06241550A (ja) * 1993-01-30 1994-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風向調節装置
JPH094647A (ja) * 1995-04-18 1997-01-07 Haruyoshi Nezuka たわみ継手
KR20130098835A (ko) * 2012-02-28 2013-09-05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1550A (ja) * 1984-05-14 1985-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撓み噛合式動力伝達装置
JPS61103036A (ja) * 1984-10-24 1986-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減速機
FI873139A (fi) * 1987-07-15 1989-01-16 Antti Mikael Poro Vaexelsammansaettning.
FR2749361B1 (fr) * 1996-05-28 1998-08-07 Somfy Reducteur avec accouplement de holdam
CN100453846C (zh) * 2003-10-30 2009-01-21 谐波传动系统有限公司 具有宽范围啮合齿形的波动齿轮驱动装置
JP2007187284A (ja) * 2006-01-16 2007-07-26 Jtekt Corp スラストころ軸受
US7421990B2 (en) * 2006-08-22 2008-09-09 Delphi Technologies, Inc. Harmonic drive camshaft phaser
CN201269285Y (zh) * 2008-08-26 2009-07-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平动齿轮传动机构
JP5256249B2 (ja) * 2010-06-18 2013-08-07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US8298114B2 (en) * 2010-08-13 2012-10-30 General Electric Company Planetary gear assembly
JP2013098835A (ja) * 2011-11-02 2013-05-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アレーアンテナ装置及びレーダ装置
JP2014022894A (ja) 2012-07-17 2014-02-03 Japan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Hokuriku 振幅変調信号送信装置及び振幅変調信号受信装置、並びに振幅変調信号送信方法及び振幅変調信号受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5435A (ja) * 1984-08-27 1986-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減速機
JPH06241550A (ja) * 1993-01-30 1994-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風向調節装置
JPH094647A (ja) * 1995-04-18 1997-01-07 Haruyoshi Nezuka たわみ継手
KR20130098835A (ko) * 2012-02-28 2013-09-05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휨 맞물림식 기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955B1 (ko) 2016-08-02
JP6238777B2 (ja) 2017-11-29
CN104832604A (zh) 2015-08-12
JP2015148326A (ja) 2015-08-20
DE102014018184A1 (de) 2015-08-13
TWI553245B (zh) 2016-10-11
TW201531634A (zh) 2015-08-16
CN104832604B (zh)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955B1 (ko)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KR101681247B1 (ko) 휨맞물림식 기어장치
US9382993B2 (en) Hollow-type strain wave gearing unit
US9523421B2 (en) Strain wave gearing
KR20140027312A (ko) 유닛형 파동기어장치
WO2014203295A1 (ja) 軸受ホルダー、軸受機構および波動歯車装置
EP2543909B1 (en) Gear device
US11466759B2 (en) Cycloid transmission
JP6169004B2 (ja) 偏心揺動型減速装置
JP7175084B2 (ja)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KR102262294B1 (ko) 기어 전동 장치
JP2017096343A (ja)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JP2020133686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US11555536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CN105822750B (zh) 偏心摆动型齿轮装置
JP7253089B2 (ja)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CN112368491A (zh) 减速装置
US11359699B2 (en) Speed reducer
JP2020159463A (ja) 動力伝達装置
US10955007B2 (en) Bearing retaining mechanism
CN111720497B (zh) 摆线减速机及其制造方法以及马达单元
CN111801508B (zh) 单向离合器
JP2024042447A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6511458B2 (ja) スクロール式流体機械
CN112145557A (zh) 轴承和减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