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1977A - 관 - Google Patents
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91977A KR20150091977A KR1020147035917A KR20147035917A KR20150091977A KR 20150091977 A KR20150091977 A KR 20150091977A KR 1020147035917 A KR1020147035917 A KR 1020147035917A KR 20147035917 A KR20147035917 A KR 20147035917A KR 20150091977 A KR20150091977 A KR 201500919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nest
- decorative cloth
- frame
- clo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A61G17/042—Linings and venee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4—Fittings for coffi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 A61G17/0106—Woo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07—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material used, e.g. biodegradable material; Use of several materi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측판, 끝판 또는 덮개판의 표면에 장식천을 간단하게 붙일 수 있고, 게다가, 붙인 후의 장식천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관을 제공한다. 관은, 덮개판(13)의 외측면에 장식천(Da)을 붙일 수 있다. 덮개판(13)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덮개체(13)의 외주부를 따라서 틀체(21)가 마련된다. 틀체(21)의 틀 내에는, 네스트(22)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장식천(Da)은, 덮개판(13)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을 향해서 되접힌다. 틀체(21)에 네스트(22)가 수납될 때, 틀체(21)와 네스트(22)의 사이에, 되접힌 장식천(Da)의 단부가 협지됨에 의해, 덮개판(13)에 장식천(Da)이 고정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관 표면에 장식천을 붙인 관에 관한 것이다.
관의 외관에 장식 처리하는 경우, 각종 디자인이나 자수 등을 곁들인 장식천을 채용하는 경우가 있다. 나무관이나 골판지관 등의 리사이클 재료로 이루어지는 관에서는, 재료의 표면을 숨기기 위해서 장식천이 필수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적지 않다.
종래, 이러한 장식천을 붙인 관은, 상자 형상으로 조립되는 바닥판, 측판(lateral plate), 끝판(end plate) 및 덮개판 중, 바닥판을 제외한 각 판의 외측면에 장식천이 붙여진다. 장식천을 붙이는 고정 수단으로서는, 핀(스테이플(staple)), 못 등의 고정구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아울러, 관의 장식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는, 특허 문헌 1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의 관에서는, 관 표면에 일단, 장식천을 붙이면, 장식천의 교체가 곤란해진다. 핀(스테이플)이나 못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화장시에 금속편(金屬片)의 잔존물이 문제가 되기도 한다.
최근, 장의시에는, 고인의 추억이나 관련이 있는 물건을 관에 넣는 등의 일이 보통 행해진다. 최근에는, 장의의 양식이 다양화에 수반하여, 고인의 정장(着物), 옷 등의 천을, 관의 장식천으로 사용하고 싶다는 등의 요청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관의 장식천을 간단하게 교체하는 수단으로서는, 압정과 같은 제거 가능한 압핀으로 판 면에 장식천을 고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관에서는, 압핀의 장착·제거 작업이 번거럽고, 관의 외관에 압핀이 보이면, 제품으로서의 품질 저하를 초래한다.
또한, 미리 관의 사이즈에 맞추어 장식천을 주머니 형상으로 봉제해 두고, 관에 씌우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관에서는, 관의 표면과 장식천의 사이에 헐거워짐이나 이완이 생겨서, 외관이 보기 나쁘게 되어 버린다.
이러한 현상태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관 표면에 장식천을 붙이기 위한 새로운 고정 수단에 대해서 검토를 거듭하여, 각종 시제품을 제작했다. 그 결과, 관의 외관으로서 통상 보이지 않는 개소에, 틀체와 네스트(nest)의 끼워 맞춤 구조를 마련해 두고, 이들 사이에 장식천을 협지하여 고정함에 의해, 장식천을 착탈 가능하게 한 관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 표면에 장식천을 간단하게 붙일 수 있고, 게다가, 붙인 후의 장식천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는 관을 제공함에 있다.
[제 1 발명]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1 발명의 관은,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좌우에 세워지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후에 세워지는 끝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끝판의 상방에 탑재되는 덮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 상기 끝판 및 상기 덮개판 중 적어도 상기 덮개판의 외측면에 장식천을 붙여서 이루어지는 관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내측면에서의 외주부를 따라서 마련되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틀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네스트와,
상기 덮개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덮개판의 내측면을 향해서 되접히는 상기 장식천을 구비하고,
상기 틀체에 상기 네스트가 수납될 때, 상기 틀체와 상기 네스트의 사이에, 되접힌 상기 장식천의 단부가 협지됨에 의해, 상기 덮개판에 상기 장식천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했다.
제 1 발명에 있어서의 덮개판에 장식천을 붙이는 경우의 순서로서는, 예를 들면, 덮개판의 외측면을 장식천으로 덮고, 그 양단부를 덮개판의 내측면으로 되접는다. 그리고, 되접은 장식천의 단부를 틀체의 내측에 넣는다. 이 상태에서 틀체에 네스트를 밀어넣고, 장식천을 당기면서 덮개판에 고정한다.
제 1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덮개판과 장식천의 고정 수단으로서, 틀체와 네스트가 채용되기 때문에, 핀(스테이플), 못 등의 고정구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덮개판에 장식천을 붙일 수 있다.
틀체에 대해서 네스트가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틀체와 네스트에 의해 덮개판에 장식천을 붙인 후라도, 장식천을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다.
틀체와 네스트에 의한 장식천의 붙임 작업은, 몇 번이고 반복하여 행할 수 있는 것이며, 반드시 관의 제조 공장에서 행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장의장이나 관의 판매점에서 원하는 장식천을 선택한 후에 덮개판에 붙일 수도 있다. 또한, 고인의 추억이나 인연이 있는 천을 장식천으로서 덮개판에 붙이는 등의 요청에도 용이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발명]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발명의 관은,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좌우에 세워지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후에 세워지는 끝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끝판의 상방에 탑재되는 덮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 상기 끝판 및 상기 덮개판 중 적어도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장식천을 붙여서 이루어지는 관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서의 외주부를 따라서 설치되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틀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네스트와,
상기 측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측판 상부의 내측면을 향해서 되접히는 상기 장식천을 구비하고,
상기 틀체에 상기 네스트가 수납될 때, 상기 틀체와 상기 네스트의 사이에, 되접힌 상기 장식천의 단부가 협지됨에 의해, 상기 측판에 상기 장식천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했다.
제 2 발명에 있어서의 측판에 장식천을 붙이는 경우의 순서로서는, 예를 들면, 바닥판의 아래에 장식천을 깔고, 이 장식천의 좌우를 접어 올려서 측판의 외측면을 덮고, 그 양단부를 측판의 내측면으로 되접는다. 그리고, 되접은 장식천의 단부를 틀체의 내측에 넣는다. 이 상태에서 틀체에 네스트를 밀어넣고, 장식천을 당기면서 측판에 고정한다.
제 2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측판과 장식천의 고정 수단으로서, 틀체와 네스트를 채용하기 때문에, 핀(스테이플), 못 등의 고정구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측판에 장식천을 붙일 수 있다.
틀체에 대해서 네스트가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틀체와 네스트에 의해 측판에 장식천을 붙인 후라도, 장식천을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제 1 발명과 동일하게, 장의장이나 판매점에서 원하는 장식천을 선택하여 측판에 붙이거나, 고인의 추억이나 인연이 있는 천을 장식천으로서 측판에 붙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 3 발명]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3 발명의 관은,
바닥판과,
이 바닥판의 좌우에 세워지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후에 세워지는 끝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끝판의 상방에 탑재되는 덮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 상기 끝판 및 상기 덮개판 중 적어도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장식천을 붙여서 이루어지는 관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하측면에 있어서의 외주부를 따라서 마련되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틀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네스트와,
상기 측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하측면을 향해서 되접히는 상기 장식천을 구비하고,
상기 틀체에 상기 네스트가 수납될 때, 상기 틀체와 상기 네스트의 사이에, 되접힌 상기 장식천의 단부가 협지됨에 의해, 상기 바닥판에 상기 장식천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했다.
제 3 발명에 있어서의 측판에 장식천을 붙이는 경우의 순서로서는, 예를 들면, 측판의 외측면을 장식천으로 덮고, 그 상단부를 측판의 내측면에 되접어서 고정한다. 또한, 이 고정 수단으로서는, 제 2 발명의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장식천의 하단부는, 바닥판의 하측면을 따라서 접어 구부리고, 접어 구부린 장식천의 단부를 틀체의 내측에 넣는다. 이 상태에서 틀체에 네스트를 밀어넣고, 장식천을 당기면서 바닥판에 고정한다.
제 3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바닥판과 장식천의 고정 수단으로서 틀체와 네스트를 채용하기 때문에, 핀(스테이플)이나 못 등의 고정구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측판에 장식천을 붙일 수 있다.
틀체에 대해서 네스트가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틀체와 네스트에 의해 측판에 장식천을 붙인 후라도, 장식천을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장의장이나 판매점에서 원하는 장식천을 선택하여 측판에 붙이거나, 고인의 추억이나 인연이 있는 천을 장식천으로서 측판에 붙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 4 발명]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4 발명의 관은, 제 2 발명 또는 제 3 발명의 관으로서, 상기 측판 대신에, 상기 끝판에 상기 장식천이 붙여지는 구성으로 했다.
제 4 발명의 구성에 의해서도, 장식천의 고정 수단으로서, 틀체와 네스트를 채용하기 때문에, 핀(스테이플)이나 못 등의 고정구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끝판에 장식천을 붙일 수 있다.
틀체에 대해서 네스트가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틀체와 네스트에 의해 끝판에 장식천을 붙인 후라도, 장식천을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장의장이나 판매점에서 원하는 장식천을 선택하여 끝판에 붙이거나, 고인의 추억이나 인연이 있는 천을 장식천으로서 끝판에 붙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제 5 발명]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5 발명의 관은, 제1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관으로서,
상기 네스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분할판과,
상기 한 쌍의 분할판이 서로 이웃이 되는 위치에서 이들 분할판끼리를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분할판이 상기 힌지를 개재하여 동일 평면 상에 연속되는 전개 상태와, 상기 힌지를 개재하여 각각 다른 평면 상으로 접어 구부려지는 접어 구부림(折曲) 상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더하여,
상기 틀체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을 향하는 틀면에, 각각 상기 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 쌍의 받이 홈과,
상기 한 쌍의 분할판의 상기 힌지와 반대측의 단부에, 상기 한 쌍의 받이 홈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와 상기 네스트의 사이에 상기 장식천의 단부가 협지될 때, 상기 분할판이 굴곡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환되어서 상기 한 쌍의 받이 홈에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끼워 넣어지는 구성으로 했다.
제 5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는 경우에, 네스트(한 쌍의 분할판)가 굴곡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환되고, 동시에 틀체의 받이 홈에 네스트(한 쌍의 분할판)의 돌출부가 끼워진다. 이때, 받이 홈과 돌출부의 사이에 장식천을 협지함에 의해, 장식천의 천 면이 받이 홈 측에 당겨진다. 그 결과, 장식천을 붙일 때에, 장식천에 주름이나 늘어짐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관의 마무리가 양호해진다.
또한, 받이 홈과 돌출부의 사이에 장식천이 물려서 고정되므로, 관 표면(덮개판, 측판 또는 끝판)으로부터의 장식천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 5 발명]
제1 내지 제 5 발명에 있어서, 관의 용도(사람용, 애완동물용 등)나 종류(평관, 좌관(座棺) 등)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덮개 형상은, 평판 형상(평관) 외에, 카마보코(KAMABOKO, 단면이 D자) 형상(R관)이라도 좋다.
바닥판, 측판, 끝판 및 덮개판의 재료는, 목재(합성재나 집성재(集成材)), 골판지재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장식천의 재료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면, 견 등의 천연 섬유 외에, 합성 섬유 또는 반합성 섬유를 채용해도 좋다. 종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시트 또는 필름을 장식천으로서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시트 또는 필름에는 메세지나 사진, 오쿠리에(送繪, 일본 전통적인 그림 중 하나) 등을 프린트해도 좋다.
분할판의 힌지는, 금속이나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첩을 채용하는 것 외에, 골판지재나 천재(布材)를 접어 구부려서 이루어지는 것을 채용해도 좋다.
아울러, 제 1 내지 제 5 발명은, 단독으로 적용해도 좋고, 이들 발명을 필요에 대응하여 조합해서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5 발명에 본 명세서에 기재되는 다른 발명을 조합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관의 관 본체를 나타내는 일부 절취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상기 관 본체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A)의 R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상기 관 본체의 끝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배면도, (B)는 바닥면도이다.
도 5는 상기 관의 덮개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바닥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덮개판의 틀체로부터 네스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바닥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덮개판의 네스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바닥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덮개판의 네스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의 네스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굴곡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덮개판에 장식천을 붙이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단면도, (B)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킨 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덮개판에 장식천을 붙이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부분 확대 단면도, (B)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킨 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관 본체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관 본체의 바닥면에 장식천을 붙이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단면도, (B)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킨 후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덮개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바닥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덮개판에 장식천을 붙이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단면도, (B)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킨 후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관 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관의 틀체 및 네스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부분 확대 단면도, (B)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킨 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관의 관 본체를 나타내는 일부 절취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상기 관 본체의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B)는 (A)의 R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상기 관 본체의 끝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배면도, (B)는 바닥면도이다.
도 5는 상기 관의 덮개판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바닥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덮개판의 틀체로부터 네스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바닥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덮개판의 네스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바닥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덮개판의 네스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B)의 네스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전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굴곡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덮개판에 장식천을 붙이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단면도, (B)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킨 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덮개판에 장식천을 붙이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부분 확대 단면도, (B)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킨 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관 본체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관 본체의 바닥면에 장식천을 붙이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단면도, (B)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킨 후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덮개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바닥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덮개판에 장식천을 붙이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A)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단면도, (B)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킨 후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상기 관 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상기 관의 틀체 및 네스트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키기 직전의 부분 확대 단면도, (B)는 틀체에 네스트를 수납시킨 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강화 골판지재를 이용한 조립식 관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이다. 아울러, 이하에 기재된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는, 본 발명을 적용한 형태의 일례이며,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립식 관의 구성]
실시 형태에 의한 관의 외관을 도 1에 나타냈다.
관(10)은, 상자 형상의 관 본체(12)와, 전후 2매의 덮개판(13, 13)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들의 외측면에 장식천(Da ~ Dc)이 붙여진다. 관 본체(12)의 내측에는, 주름 형상의 안감(F)이 장착된다.
관(10)의 치수는, 예를 들면 길이(장변)가 170 내지 200 cm 정도, 폭(단변)이 50 내지 70 cm 정도, 관 본체(12)와 덮개판(13)을 포함한 높이가 40 내지 50 cm 정도이다.
관 본체(12) 및 덮개판(13)의 주요 부분은, 강화 골판지재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골판지면을 덮어서 숨기도록 장식천(Da ~ Dc)이 붙여진다. 관 본체(12)의 4 모퉁이부, 및 덮개판(13)의 전후 단부에는, 목재로 이루어지는 단부재(端部材)(15)가 있다. 이들 단부재(15)는, 이들 4 모퉁이부 및 단부를 강화함과 아울러, 관 본체(12)의 조립시에 판재끼리의 연결 맞춤 강도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관 본체(12) 및 덮개판(13)의 주요 부분을 형성하는 재료는, 골판지재에 한정되지 않고, 편백나무(檜), 느티나무, 삼나무(杉), 전나무 등의 목재를 채용해도 좋고, 이들 목재는, 원목재라도 좋고, 합성재, 집성재, 압축 성형재(파티클 보드 등) 등의 목질 재료라도 좋다. 각 판의 전부 또는 일부에 수지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 본체(12)는, 바닥판(12A)과, 측판(12B, 12B)과, 끝판(12C)을 가지고 있다. 바닥판(12A)의 좌우에 측판(12B, 12B)이 세워지고, 바닥판(12A)의 전후에 끝판(12C)이 세워진다. 측판(12B, 12B) 및 끝판(12C) 상에 덮개판(13)이 탑재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 본체(12)가 조립식으로 되어 있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12B)은, 소정의 높이 위치에서 내측을 향하여 접기 가능하게 되어 있고, 도 3의 실선 상태로부터 2점쇄선의 기립 자세로 세울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립 자세로 유지된 상태에서 그 전후단(前後端)에 끝판(12C)이 후술의 결합 수단을 개재하여 연결 맞춤됨에 의해, 관 본체(12)가 완성된다.
관 본체(12)를 형성하는 강화 골판지재로서는, 바람직하게는 판두께가 10 내지 20 mm 정도인 2층 강화 골판지재(예를 들면 트라이월사(TRI-WALL社)제품)가 채용된다. 이 강화 골판지재는, 덮개판(13)에도 채용되어 있고,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매의 후판(厚板, 라이너(liner))(Rb, Rf) 사이에, 2층의 파도판(r1) 및 파도판(r2)이 칸막이(r3)를 개재하여 적층되어서 이루어진다. 2매의 후판(라이너)(Rb, Rf) 중, 관 외측을 향하는 쪽이 외판으로 되고, 관 내측을 향하는 쪽이 내판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단면도에 있어서, 점 모양의 개소는, 강화 골판지재로 형성되는 부분이며, 사선(斜線)의 개소는, 목재 또는 목질 재료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층 강화 골판지재를 채용하고 있지만, 3층 강화 골판지재(예를 들면 트라이월사 제품)를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측판(12B)의 소정의 높이 위치에는, 힌지(H1)가 마련된다. 이 힌지(H1)는, 측판(12B)의 강화 골판지재의 외측 부분을 절단하고, 내측 부분에 나머지 후판(라이너)을 접어 구부리는 것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강화 골판지재의 원판(原板)을 소정의 가로 세로 사이즈로 컷팅하고, 측판(12B)의 상부와 하부의 경계선에 평면 형상(단면 I자 형상)의 노치를 형성한다. 이 노치는, 강화 골판지재를 구성하는 후판(Rb, Rf) 및 파도판(r1, r2)(도 3의 (B)) 중, 관 내측으로 되는 후판(내판(Rf))을 남기고 다른 판을 골판지 지면(紙面)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절단하여 형성한다. 이 후판(내판(Rf))의 잔부를 측판(12B)의 상부와 하부의 경계선(힌지 회동축)에 맞추어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이 접어 구부림선 부분이 힌지(H1)로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12B) 및 끝판(12C)의 개구 단부에는 되접힘판(16)이 형성된다. 되접힘판(16)은, 강화 골판지재를 2열로 나열한 V 홈에서 되접어서 형성된다.
강화 골판지재를 접어 구부리는 경우는, 골판지층 중 후판(Rf) 및 후판(Rb) 중 어느 하나를 남기고 다른 층에 회전날 등을 이용하여 V 홈을 형성하며, 남긴 다른 한쪽의 후판(라이너)만을 접어 구부려서, V 홈의 경사진 홈면을 서로 밀착시킨다(도 3 참조). V 홈의 홈각이 거의 90˚로 되도록 V 홈 가공을 실시하면, 서로 이웃하는 판끼리가 거의 수직으로 접혀 구부려진다. V 홈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는, 프레스기 등으로 골판지판을 단면 V자 모양으로 압축해도 좋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2열의 V 홈의 사이에는 강화 골판지재의 두께에 거의 동일한 간극이 있고, 이 간극 부분에 강화 골판지재로 이루어지는 중간판(16a)이 협지된다. 이에 의해 되접힘판(16)을 포함하는 관 본체(12)의 상단이 강화 골판지재의 3매분의 두께로 되고, 관 본체(12) 상에 덮개판(13)의 탑재면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판(12B) 및 끝판(12C)의 개구 단부에 되접힘판(16)을 마련함으로써, 관 본체(12)의 강도를 큰 폭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관 본체(12)에 덮개판(13)을 탑재했을 때의 안정감이 증가한다.
측판(12B)과 끝판(12C)의 각각 마주보는 위치에는, 양판을 연결 맞춤하기 위한 결합 수단(상부 결합 돌기(17) 및 하부 결합 돌기(18): 도 2 참조, 결합 홈(19): 도 4 참조)이 마련된다.
상부 결합 돌기(17)는, 측판(12B)의 전후의 단면에 높이 방향을 따라서 마련되고, 하부 결합 돌기(18)는, 측판(12B)의 전후의 단면에 상부 결합 돌기(17)와 동일선상에 마련된다. 그리고, 끝판(12C)의 내측면의 좌우 단부에 결합 홈(19)이 마련되어 있다.
끝판(12C)이 측판(12B)과 전후 외측으로 서로 이웃하는 위치에 안착되면, 결합 홈(19)이 상부 결합 돌기(17)로부터 하부 결합 돌기(18)에 걸쳐서 슬라이딩 삽입되고, 기립 자세의 측판(12B)에 끝판(12C)이 연결 맞춤된다.
상부 결합 돌기(17) 및 하부 결합 돌기(18)와, 결합 홈(19)과의 결합 부분은, 횡단면이 거의 사다리꼴로서 길이 방향으로 연속된다. 즉, 결합 홈(19)은, 더브테일 홈(dovetail groove) 형상으로, 그 홈 바닥부의 폭이 개구부의 폭보다도 넓고(도 4(B) 참조), 상부 결합 돌기(17) 및 하부 결합 돌기(18)는, 그 베이스부보다 돌기 선단부의 폭이 넓다. 상부 결합 돌기(17) 및 하부 결합 돌기(18)에 결합 홈(19)이 슬라이딩 삽입되면, 결합 홈(19) 내에 각 돌기(17, 18)가 거의 밀착되어 수납된다. 이에 의해, 상부 결합 돌기(17) 및 하부 결합 돌기(18)와 결합 홈(19)은, 서로 홈 길이 방향(높이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홈 깊이 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는 관계로 되어 측판(12B)에 끝판(12C)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맞춰지게 된다.
결합 수단(상부 결합 돌기(17), 하부 결합 돌기(18) 및 결합 홈(19))의 상방에는, 이들 이음매를 숨기기 위한 공극부(17s)(도 2 참조)와 커버부(19t)(도 4 참조)가 마련된다. 공극부(17s)는, 측판(12B)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부 결합 돌기(17)를 마련함에 의해, 그 상방에 생기는 공간이며, 커버부(19t)는, 끝판(12C)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로부터 결합 홈(19)을 마련함에 의해, 그 상방에 형성되는 끝판(12C)의 두께 부분이다.
결합 홈(19)이 상부 결합 돌기(17)로부터 하부 결합 돌기(18)에 걸쳐서 슬라이딩 삽입될 때, 공극부(17s)에 커버부(19t)가 수납되어서 결합 홈(19)의 내측에 상부 결합 돌기(17) 및 하부 결합 돌기(18)가 숨겨진다.
[조립식 관의 조립 순서]
다음으로, 관(10)의 조립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관(10)의 사용 전은, 관 본체(12)의 측판(12B)이 내측을 향하도록 접혀서(도 3 참조), 끝판(12C)이 빠진 상태에 있다. 관 본체(12)를 조립하는 경우, 우선, 도 3에서 좌우의 측판(12B, 12B)을 외측을 향하도록 세우고, 이들을 기립 자세로 유지하여 보조판(도시 생략) 등으로 임시 고정한다.
다음으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12B, 12B)의 전후에 끝판(12C)을 안착시킨다. 이때, 끝판(12C)의 결합 홈(19)을, 측판(12B)의 상부 결합 돌기(17)로부터 하부 결합 돌기(18)에 걸쳐서 슬라이딩 삽입하면, 끝판(12C)이 측판(12B)에 연결 맞춤되어서 그 기립 자세가 끝판(12C)으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관 본체(12)를 조립한 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 본체(12)의 상방에 덮개판(13)을 탑재함으로써, 관(10)의 조립이 완료된다.
관 본체(12)를 접는 경우에는, 상술과 반대의 순서로, 우선 끝판(12C)을 상방으로 뽑아 내고, 다음으로, 좌우의 측판(12B, 12B)을 좌우 내측을 향하도록 접는다.
[덮개판에 있어서의 장식천의 붙임]
다음으로, 덮개판(13)에 장식천을 붙이기 위한 구성과 그 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후의 덮개판(13, 13)은 동일하기 때문에, 한쪽의 구조만을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판(13)은, 그 내측(뒤측)에 틀체(21) 및 네스트(22)를 구비하고 있다. 틀체(21)는, 덮개판(13)의 외주부를 따라서 사각형을 이루는 것으로, 도 5에서 상하로 나열된 틀 편(片)과, 좌우로 나열된 틀 편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틀 편에 둘러싸이는 사각형의 틀 내에 네스트(22)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된다.
네스트(22)는, 틀체(21)의 틀 내 치수보다도 약간 작은 가로 세로 치수로 평면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판재이다. 네스트(22)의 두께는, 틀체(21)의 수납 공간의 깊이보다도 크고, 틀 내에 네스트(22)를 수납하면, 틀체(21)의 판 면에서 네스트(22)의 상부가 돌출된다(도 5의 (B) 참조).
덮개판(13)에 붙여지는 장식천(Da)은, 틀체(21)와 네스트(22)의 사이에 협지되어 고정된다.
도 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21)의 좌우로 마주보는 내측을 향하는 틀면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한 쌍의 받이 홈(21x, 21x)이 형성된다(도 (B) 참조). 이들 받이 홈(21x, 21x)은, 틀체(21)의 깊이 방향(바닥부)을 향해서 좌우에 틀 내 공간이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즉, 틀체(21)의 수납 공간은, 그 입구 좌우 치수보다도 바닥면의 좌우 치수가 길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스트(22)는, 한 쌍의 사각형의 분할판(22a, 22a)에 의해 형성된다. 분할판(22a, 22a)은, 강화 골판지재를 사각형으로 컷팅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이웃하는 위치에서 힌지(H2)에 의해서 좌우로 연결되어 있다.
힌지(H2)가 닫히면, 분할판(22a, 22a)이 동일 평면 상에 연속되어서 전개 상태로 된다(도 9의 (A) 참조). 힌지(H2)가 열리면, 분할판(22a, 22a)이 힌지축을 중심으로 산(山) 형상으로 접어 구부러져서 굴곡 상태로 된다(도 9의 (B) 참조).
아울러, 힌지(H2)는, 상술한 힌지(H1)와 동일하게, 강화 골판지재의 외측 부분을 절단하고, 내측 부분에 남은 후판(라이너)을 접어 구부리는 것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강화 골판지재의 원판을 소정의 가로 세로 사이즈로 컷팅하고, 분할판(22a, 22a)의 경계선에 평면 형상(단면 I자 모양)의 노치를 형성한다. 이 노치는, 강화 골판지재를 구성하는 후판(Rb, Rf) 및 파도판(r1, r2)(도 3의 (B) 참조) 중, 도 9에서 하측이 되는 후판(내판(Rf))을 남기고 다른 판을 골판지 지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절단하여 형성한다. 이 후판(내판(Rf))의 잔부를 분할판(22a, 22a)의 경계선(힌지 회동축)에 맞추어 접어 구부리는 것에 의해, 이 접어 구부림선 부분이 힌지(H2)로 된다.
분할판(22a, 22a)의 힌지(H1)와는 반대측인 단부에는, 돌출부(22y, 22y)가 형성된다. 돌출부(22y, 22y)는, 강화 골판지재의 좌우 양단부를 경사지도록 컷팅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선단은, 받이 홈(21x, 21x)에 거의 밀착되어 끼워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22y, 22y)의 선단이, 힌지(H2)의 도 9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도 9의 (A)에 나타내는 분할판(22a, 22a)의 전개 상태에서는, 돌출부(22y, 22y)의 선단이 좌우 가장 바깥측에 있고, 도 9의 (B)에 나타내는 분할판(22a, 22a)의 굴곡 상태에서는, 돌출부(22y, 22y)의 선단이 가장 하측에 있다.
틀체(21)에 네스트(22)를 수납하는 경우, 도 10의 (A) 및 도 1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판(13)에 감은 장식천(Da)의 단부를 틀체(21)내에 넣고, 그 위에 네스트(22)를 세팅한다. 분할판(22a, 22a)의 전개 상태 그대로는, 좌우 치수의 관계(틀체 < 네스트)로, 틀체(21)의 입구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분할판(22a, 22a)을 굴곡 상태로 하여, 그 돌출부(22y, 22y)를 받이 홈(21x, 21x)을 향해서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분할판(22a, 22a)을 굴곡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환하면, 돌출부(22y, 22y)가 받이 홈(21x, 21x)에 끼워지고, 이에 수반하여 장식천(Da)이 덮개판(13)의 판 면을 따라서 당겨진다(도 10의 (B) 및 도 11의 (B) 참조). 이에 의해, 돌출부(22y, 22y)와 받이 홈(21x, 21x)의 사이에 장식천(Da)이 협지되어서 고정된다.
도 6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21)의 틀 내에는, 네스트(22)를 수납하는 공간으로부터 바닥부에 더 들어간 위치에 덮개 뒷공간(S1)이 마련된다. 또한, 도 8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네스트(22)의 뒤측(도 11에서 하측)에는 덮개 뒷공간(S2)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덮개 뒷공간(S1, S2)에는, 틀체(21)와 네스트(22)의 사이에 장식천(Da)을 협지하여 고정할 때, 틀 내에 남은 천 끝부분이 수납된다.
이와 같이 덮개 뒷공간(S1, S2)를 확보해 두는 것으로, 장식천(Da)이 덮개판(13)의 판 면보다도 필요 이상으로 긴 경우라도, 장식천(Da)을 재단하는 일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21)의 바닥면과, 네스트(22)의 내측면에는, 각각 면 지퍼(zipper)(25a) 및 면 지퍼(25b)가 장착된다. 틀체(21)의 면 지퍼(25a)는, 대판(臺板)(24)에 의해서 틀체(21)의 덮개 뒷공간(S1)에 돌출되도록 그 높이가 조정된다. 네스트(22)의 면 지퍼(25a)는, 분할판(22a, 22a)의 경계를 걸친 위치에서 힌지(H2)에 맞추어 접어 구부러지도록 장착되어 있다.
틀체(21)에 네스트(22)를 수납하면, 면 지퍼(25a, 25b)가 서로 위치 결정되어서 밀착한다. 이에 의해, 틀체(21)로부터 네스트(22)가 탈락하는 것이 방지된다.
덮개판(13)에 장식천(Da)을 붙이는 경우, 예를 들면, 바닥이나 받침대 등의 평평한 면에 장식천(Da)을 깔고, 그 위에 덮개판(13)을 앞뒤가 바꿔서 향하도록 둔다. 덮개판(13)의 외측면에 장식천(Da)을 맞추어 좌우로 당기고, 천의 단부를 되접어서 틀체(21)의 내측에 넣는다.
이어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21)에 네스트(22)를 배치하고, 그 분할판(22a, 22a)을 굴곡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환하도록 하여 틀 내에 네스트(22)를 수납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틀체(21)의 받이 홈(21x)과, 분할판(22a)의 돌출부(22y)의 사이에 천의 단부가 당겨짐으로써, 덮개판(13)의 외측면을 따라서 장식천(Da)에 적절한 팽팽함이 생겨서 주름이나 느슨해짐이 해소된다.
그 후, 네스트(22)의 중앙 부근을 누름에 의해, 면 지퍼(25a) 및 면 지퍼(25b)를 붙여서, 틀체(21)로부터의 네스트(22)의 탈락을 방지한다.
덮개판(13)으로부터 장식천(Da)을 제거하는 경우는, 틀체(21)에 수납된 네스트(22)를 당겨서 면 지퍼(25a) 및 면 지퍼(25b)의 맞물림을 풀고, 네스트(22)(분할판(22a, 22a))를 전개 상태로부터 굴곡 상태로 되돌린다. 이에 의해, 틀체(21)와 네스트(22)의 사이에 협지되어 있던 장식천(Da)이 개방되고, 덮개판(13)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덮개판(13)에 의하면, 덮개판(13)과 장식천(Da)의 고정 수단으로서, 틀체(21)와 네스트(22)가 채용되기 때문에, 핀(스테이플), 못 등의 고정구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덮개판(13)에 장식천(Da)을 붙일 수 있다.
틀체(21)로부터 네스트(22)가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덮개판(13)에 장식천(Da)을 붙인 후라도, 장식천(Da)을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다.
틀체(21)와 네스트(22)에 의한 장식천(Da)의 붙임 작업은, 비교적 간단하고, 몇 번이고 반복하여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관(10)의 제조 공장에서 행할 필요는 없다. 장의장이나 판매점에서 원하는 장식천(Da)을 선택하고 나서 덮개판(13)에 붙일 수도 있다. 고인의 추억이나 인연이 있는 천을 장식천(Da)으로서 덮개판(13)에 붙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받이 홈(21x)과 돌출부(22y)의 사이에 장식천(Da)을 협지함에 의해, 장식천(Da)을 받이 홈(21x) 측으로 당기면서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장식천(Da)의 붙임 작업을 행할 때에, 천 면에 주름이나 느슨해짐이 생기지 않아, 관(10)의 마무리가 양호해진다.
또한, 받이 홈(21x)과 돌출부(22y)의 사이에 장식천(Da)이 물려서 고정되므로, 덮개판(13)으로부터의 장식천(Db)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관 본체에 있어서의 장식천의 붙임]
관 본체(12)에서는, 바닥판(12A), 측판(12B) 및 끝판(12C) 중, 측판(12B)으로의 장식천(Db)의 붙임에 본 발명이 적용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 본체(12)의 바닥판(12A)에는, 틀체(31)와 네스트(32)가 마련되어 있고, 틀체(31)에 네스트(32)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틀체(31)에 네스트(32)가 수납될 때, 측판(12B)의 장식천(Db)이 양자에 협지되어서 고정된다.
틀체(31)는, 바닥판(12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일정폭으로 연장되고, 바닥판(12A)의 전후(도 12에서 상하)는 틀 내 공간이 관통하고 있다. 틀체(31)의 좌우로 마주보는 면에는, 덮개판(13)의 틀체(21)와 동일한 받이 홈이 형성된다(도 13 참조).
네스트(32)는, 한 쌍의 분할판(32a, 32a)으로부터 이루어지고, 이들 판이 힌지(H3)(도 13 참조)에 의해 전개 상태로부터 굴곡 상태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분할판(32a, 32a)의 좌우 단부에는, 덮개판(13)의 네스트(22)와 동일하게, 받이 홈에 끼워 맞춰지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도 13 참조).
측판(12B)에 장식천(Db)을 붙이는 경우,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 본체(12)의 내측에 측판(12B)을 접은 상태에서, 바닥판(12A)을 위를 향하게 하여 평평한 마루나 받침대 위에 둔다. 바닥판(12A) 상에 장식천(Db)을 씌우고, 그 천의 끝부분을 틀체(31)의 내측에 넣는다.
다음으로, 네스트(32)를 굴곡 상태로 유지하면서, 틀체(31)의 상방에 가지고 가서, 전개 상태로 전환하여 틀체(31) 내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장식천(Db)의 단부가 틀체(31)와 네스트(32)의 사이에 협지되어서 바닥판(12A)에 고정된다.
또한, 도 13에서는, 장식천(Db)이 측판(12B) 아래로 돌아 들어가고 있는데, 이 단계에서는, 측판(12B)의 좌우 외측으로 펼친 상태로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장식천(Db)의 단부를 바닥판(12A)에 고정한 후, 관 본체(12)를 상하 반전시켜서, 정상적인 방향으로 되돌려서 측판(12B, 12B)을 세운다. 그리고, 장식천(Db)을 바닥판(12A)의 하방으로부터 당겨 올려서, 측판(12B, 12B)의 상단에서 관 내측으로 되접고, 되접힘판(16)(도 2 참조)의 아래까지 가져온다. 그리고, 이 장식천(Db)의 천의 단부를 스테이플 건(staple gun) 등의 핀(스테이플)으로 측판(12B, 12B)의 내측면에 고정한다. 이때, 장식천(Db)과 함께 안감(F)을 고정함으로써, 작업 공정을 간략화해도 좋다.
상기의 장식천(Db)의 고정 개소는, 측판(12B)의 길이 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간격으로 8 내지 10개소 정도로 설정하면 충분하다.
이러한 관 본체(12)의 구성에 의하면, 바닥판(12A)과 장식천(Db)과의 고정 수단으로서, 틀체(31)와 네스트(32)를 채용하기 때문에, 핀(스테이플) 등의 고정구의 사용량을 최대한 줄여서 측판(12B)에 장식천(Db)을 붙일 수 있다.
장의장이나 판매점에서 원하는 장식천(Db)을 선택하여 측판(12B)에 붙이거나, 고인의 추억이나 인연이 있는 천을 장식천(Db)으로서 측판(12B)에 붙이는 것도 가능해진다.
아울러, 바닥판(12A)의 틀체(31) 및 네스트(32)의 구성에 있어서, 상술의 덮개판(13)과 동일하게, 각 판의 접촉부에 면 지퍼(35a) 및 면 지퍼(35b)를 마련해 두면, 틀체(31)로부터 네스트(32)의 탈락 방지를 꾀할 수 있다.
관 본체(12)에 있어서의 끝판(12C)의 장식천(Dc)에 대해서는, 종래와 동일하게, 미리 장식천(Dc)을 끝판(12C)의 표면에 붙여두던가, 혹은 끝판(12C)의 표면에 장식천(Dc)을 씌워서, 이것을 좌우에 세운 측판(12B, 12B)에 연결하여 맞출 때, 측판(12B, 12B)과 끝판(12C)의 사이에 장식천(Dc)을 협지하여 고정해도 좋다. 후자의 방법을 채용하는 경우, 덮개판(13)의 장식천(Da)과 동일하게 그 교체나, 다시 붙이는 등의 작업을 몇 번이고 반복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관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이들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변경을 수반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분할판 타입의 네스트를 채용하고 있지만, 분할판이 아닌 평판 형상의 네스트를 채용해도 좋다.
도 14에 나타내는 변형예 1에서는, 덮개판(13)의 네스트(22)가 분할판으로 되어 있지 않고, 1매의 평판을 사각형으로 컷팅하여 형성된다. 네스트(22)를 굴곡 상태로 하기 위한 힌지도 존재하지 않는다. 틀체(21)와 네스트(22)의 끼워 맞춤 면은, 덮개판(13)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시 형태의 받이 홈(21x) 및 돌출부(22y)는 채용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틀체(21)의 내측에 장식천(Da)을 넣어서, 네스트(22)를 그대로 틀체(21)에 밀어넣으면, 틀체(21)와 네스트(22)의 사이에 장식천(Da)이 협지되어서 고정된다(도 15 참조). 이에 의해, 핀(스테이플)이나 못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장식천(Da)을 덮개판(13)에 붙일 수 있다.
틀체(21)와 네스트(22)의 사이에 면 지퍼(25a) 및 면 지퍼(25b)를 장착해 두면, 네스트(22)의 탈락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관 본체(12)의 측판(12B)에 틀체 및 네스트의 구조를 채용해도 좋다.
도 16에 나타내는 변형예 2에서는, 측판(12B)의 내측에 틀체(51)와 네스트(52)가 마련된다. 틀체(51) 및 네스트(52)는, 덮개판(13)의 틀체(21) 및 네스트(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다. 면 지퍼 등의 구성에 대해서도,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측판(12B)에 장식천(Db)을 붙이는 경우, 장식천(Db)의 하단부를 바닥판(12A)측의 틀체(51)와 네스트(32)의 사이에 협지하여 고정하는 한편, 장식천(Db)의 상단부를 측판(12B)의 틀체(51) 및 네스트(52)의 사이에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측판(12B)의 내측에 고정하는 안감(F)에 대해서도, 측판(12B)의 틀체(51)와 네스트(52)에 협지하여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핀(스테이플)이나 못 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아도, 측판(12B)에 장식천(Db)을 붙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받이 홈(21x) 및 돌출부(22y)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양자가 끼워 맞춰지는 관계라면 좋다.
도 17에 나타내는 변형예 3은, 분할판(22a)의 돌출부(22y)에 훅(61)을 채용한 것이다. 돌출부(22y)의 선단에 상측을 향하는 훅(61)이 형성된다. 받이 홈(21x)에는, 훅(61)을 받아 들이는 공간이 도 17에서 상방으로 확대 형성된다.
받이 홈(21x)에 돌출부(22y)를 밀어넣으면, 틀체(21)가 탄성적으로 변형하고, 받이 홈(21x)의 확대된 공간에 훅(61)이 끼워진다. 받이 홈(21x)에 돌출부(22y)가 수납되면, 훅(61)이 돌출부(22y)의 빠짐 방지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틀체(21)로부터 네스트(22)가 더 탈락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천 붙임의 신뢰성이 높아진다. 장식천(Da)의 틀어짐이나 느슨해짐도 억제되기 때문에, 관(10)의 외관의 마무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립식 관에 본 발명을 채용했지만, 조립식이 아닌 통상의 관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의 덮개판은, 평판 타입이지만, 횡단면의 형상이 아치형, 사다리꼴 등인 입체적인 덮개판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관
12: 관 본체
13: 덮개판 12A: 바닥판
12B: 측판 12C: 끝판
15: 단부재 16: 되접힘판
17, 18: 결합 돌기 19: 결합 홈
17s: 공극부 19t: 커버부
21: 틀체 22: 네스트
22a: 분할판 21x: 받이 홈
22y: 돌출부 24: 대판
25a, 25b: 면 지퍼 Da, Db, Dc: 장식천
F: 안감 H1 ~ H3: 힌지
S1, S2: 덮개 뒷공간
13: 덮개판 12A: 바닥판
12B: 측판 12C: 끝판
15: 단부재 16: 되접힘판
17, 18: 결합 돌기 19: 결합 홈
17s: 공극부 19t: 커버부
21: 틀체 22: 네스트
22a: 분할판 21x: 받이 홈
22y: 돌출부 24: 대판
25a, 25b: 면 지퍼 Da, Db, Dc: 장식천
F: 안감 H1 ~ H3: 힌지
S1, S2: 덮개 뒷공간
Claims (5)
-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에 세워지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후에 세워지는 끝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끝판의 상방에 탑재되는 덮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 상기 끝판 및 상기 덮개판 중 적어도 상기 덮개판의 외측면에 장식천을 붙여서 이루어지는 관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외주(外周)부를 따라서 마련되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틀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네스트와,
상기 덮개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덮개판의 내측면을 향해서 되접히는 상기 장식천을 구비하고,
상기 틀체에 상기 네스트가 수납될 때, 상기 틀체와 상기 네스트의 사이에, 되접힌 상기 장식천의 단부(端部)가 협지됨에 의해, 상기 덮개판에 상기 장식천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에 세워지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후에 세워지는 끝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끝판의 상방에 탑재되는 덮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 상기 끝판 및 상기 덮개판 중 적어도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장식천을 붙여서 이루어지는 관에 있어서,
상기 측판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외주부를 따라서 마련되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틀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네스트와,
상기 측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측판 상부의 내측면을 향해서 되접히는 상기 장식천을 구비하고,
상기 틀체에 상기 네스트가 수납될 때, 상기 틀체와 상기 네스트의 사이에, 되접힌 상기 장식천의 단부가 협지됨에 의해, 상기 측판에 상기 장식천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에 세워지는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전후에 세워지는 끝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끝판의 상방에 탑재되는 덮개판을 구비하고,
상기 측판, 상기 끝판 및 상기 덮개판 중 적어도 상기 측판의 외측면에 장식천을 붙여서 이루어지는 관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의 하측면에 있어서의 외주부를 따라서 설치되는 틀체와,
상기 틀체의 틀 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네스트와,
상기 측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바닥판의 하측면을 향해서 되접히는 상기 장식천을 구비하고,
상기 틀체에 상기 네스트가 수납될 때, 상기 틀체와 상기 네스트의 사이에, 되접힌 상기 장식천의 단부가 협지됨에 의해, 상기 바닥판에 상기 장식천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대신에, 상기 끝판에 상기 장식천이 붙여지는 관.
-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스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분할판과,
상기 한 쌍의 분할판이 서로 이웃이 되는 위치에서 이들 분할판끼리를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분할판이 상기 힌지를 개재하여 동일 평면 상에 연속되는 전개 상태와, 상기 힌지를 개재하여 각각 다른 평면 상으로 접어 구부려지는 접어 구부림 상태가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에 더하여,
상기 틀체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을 향하는 틀면에, 각각 상기 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는 한 쌍의 받이 홈과,
상기 한 쌍의 분할판의 상기 힌지와 반대측의 단부에, 상기 한 쌍의 받이 홈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틀체와 상기 네스트의 사이에 상기 장식천의 단부가 협지될 때, 상기 분할판이 굴곡 상태로부터 전개 상태로 전환되어서 상기 한 쌍의 받이 홈에 상기 한 쌍의 돌출부가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2264005A JP5711203B2 (ja) | 2012-12-03 | 2012-12-03 | 棺桶 |
JPJP-P-2012-264005 | 2012-12-03 | ||
PCT/JP2013/062536 WO2014087684A1 (ja) | 2012-12-03 | 2013-04-30 | 棺桶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1977A true KR20150091977A (ko) | 2015-08-12 |
Family
ID=5088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7035917A KR20150091977A (ko) | 2012-12-03 | 2013-04-30 | 관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JP (1) | JP5711203B2 (ko) |
KR (1) | KR20150091977A (ko) |
WO (1) | WO201408768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556825B (zh) | 2013-08-13 | 2018-03-13 | 国立大学法人东北大学 | 发电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39359A (ja) * | 2006-03-10 | 2007-09-20 | Sekisui Jushi Co Ltd | シート張りパネル |
JP3129940U (ja) * | 2006-12-21 | 2007-03-08 | フジ創芸株式会社 | 棺 |
-
2012
- 2012-12-03 JP JP2012264005A patent/JP5711203B2/ja active Active
-
2013
- 2013-04-30 WO PCT/JP2013/062536 patent/WO201408768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3-04-30 KR KR1020147035917A patent/KR201500919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711203B2 (ja) | 2015-04-30 |
WO2014087684A1 (ja) | 2014-06-12 |
JP2014108261A (ja) | 2014-06-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60848A (en) | Portable display board | |
US10842283B2 (en) | Foldable headboard | |
US10136730B2 (en) | Chair, stool assembly, and system | |
KR101521068B1 (ko) | 조립식 관 | |
US6371190B1 (en) | Decor unit and method for mounting same on a wall | |
JP6797277B2 (ja) | 衣服ハンガー | |
KR20150091977A (ko) | 관 | |
CN112057289A (zh) | 瓦楞纸制棺 | |
JPH0232131Y2 (ko) | ||
JP7292677B2 (ja) | 組立式段ボール棺 | |
KR20100029168A (ko) | 포장상자 | |
US20190248173A1 (en) | Folded-bar image display and associated method | |
JP7168208B2 (ja) | 折畳式段ボール棺 | |
JP2006240713A (ja) | 包装用中枠及びその製造方法 | |
JP3135604U (ja) | 段ボール棺 | |
US9445964B1 (en) | Modular casket with tension cable system | |
JP3823300B2 (ja) | 手提げ式箱 | |
KR101515192B1 (ko) | 증서 케이스 | |
JP6045371B2 (ja) | 家具用扉 | |
KR101643153B1 (ko) | 증서 케이스 | |
JP4871964B2 (ja) | 段ボール製受け台 | |
JP2010022546A (ja) | 収納体 | |
JP4364655B2 (ja) | ボックスファイル | |
TW201600267A (zh) | 對合式工具箱 | |
JPH11137357A (ja) | 収納体およびジョイナ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