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0248A - 치환된 트라이아졸 붕소산 화합물 - Google Patents

치환된 트라이아졸 붕소산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0248A
KR20150090248A KR1020157017722A KR20157017722A KR20150090248A KR 20150090248 A KR20150090248 A KR 20150090248A KR 1020157017722 A KR1020157017722 A KR 1020157017722A KR 20157017722 A KR20157017722 A KR 20157017722A KR 20150090248 A KR20150090248 A KR 201500902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
triazole
acid
compound
m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7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2235B1 (ko
Inventor
스티븐 엠 린치
베르너 나이드하르트
장-마르크 플랑쉐
탄야 슐츠-가쉬
Original Assignee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filed Critical 에프. 호프만-라 로슈 아게
Publication of KR201500902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02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2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5/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3 or 13 of the Periodic Table
    • C07F5/02Boron compounds
    • C07F5/025Boronic and borinic acid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9Bor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41,2,3-Triazoles; Hydrogenated 1,2,3-triazo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pct00011

또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사용 방법, 뿐만 아니라 상기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LMP7 억제제이고, 예컨대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과민성 장 질환과 같은 연관 염증성 질환 및 장애의 치료에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환된 트라이아졸 붕소산 화합물{SUBSTITUTED TRIAZOLE BORONIC ACID COMPOUNDS}
본 발명은, 포유류에서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용한 유기 화합물, 특히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과민성 장 질환(IBD)의 치료용 치환된 트라이아졸 붕소산 화합물, 이의 제조,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LMP7 억제제로서의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LMP7은 면역 세포, 예컨대 T/B 림포사이트 및 모노사이트, 및 IFN-γ 및 TNFα을 비롯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노출되는 비-면역 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이뮤노프로테아좀(immunoproteasome)의 필수 성분이다. 이뮤노프로테아좀은 항원성 펩타이드 레퍼토리의 생성 및 MHC 클래스 I 제한 CD8+ T 세포 반응의 형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헌[Moebius J. et al . European Journal of Immunology . 2010; Basler, M. et al . Journal of Immunology . 2004. 3925-34]. 최근의 데이터는, LMP7이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및 면역 세포 기능을 MHC 클래스 I 매개 항원 표시(presentation)의 조절을 능가하여 조절하는 것을 제시한다.
소분자 LMP7 억제제인 PR-957은 강력하게 Th1/17 분화, B 세포 효과기(effector) 기능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TNF-α, IL-23)의 생성을 차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Muchamuel T. et al . Natural Medicine . 2009. 15, 781-787]; [Basler M. et al . Journal of Immunology . 2010, 634-41].
또한, PR-957에 의한 LMP7 차단은 몇몇 임상전 자가면역 질환 모델에서 치료적 이익을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PR-957은, 상당히 감소된 염증 및 골 미란(bone erosion)의 특징과 함께 마우스 CAIA 및 CIA 관절염 모델에서 질병 스코어를 상당히 감소시킴을 보여주었다. 문헌[Muchamuel T. et al . Natural Medicine. 2009. 15, 781-787]. 또한, PR-957은 MRL/lpr 루푸스-경향성 마우스 모델에서 형질 세포 수 및 항-dsDNA IgG의 수준을 감소시키고, 이들 마우스에서 질병 진행을 방지하였다. 문헌[Ichikawa HT , et al . Arthritis & Rheumatism . 2012. 64, 493-503]. 또한, PR-957은 마우스에서의 DSS-유발 대장염 모델에서 염증 및 조직 파괴를 감소시켰다. 문헌[Basler M. et al . Journal of Immunology . 2010, 634-41]. 마지막으로, LMP7 넉아웃(knockout) 마우스는 IBD 모델에서 질병으로부터 보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Schmidt N. et al . Gut 2010. 896-906].
종합하면, 데이터는, LMP7 활성이 B/T 림포사이트의 기능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과 밀접하게 관련되고, 이들 모두는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IBD의 발병기전에서 임상적으로 유효한 표적/경로임을 강하게 제시한다. 따라서, 존재하고 있는 데이터는 자가면역 질환 증상에 대한 LMP7의 표적화에 대한 강한 근거를 제공하였다. 만성 질환, 예컨대 자가면역성에서의 공유결합성 억제제의 장기간 사용에 대한 잠재적 책임 때문에, 공유결합성 가역성 또는 비공유결합성 소분자 LMP7 억제제가 자가면역 질환 증상에 상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1' 및 R1''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콕시, 할로겐 또는 -CF3이고;
R2는 C1 -7 알킬 또는 페닐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 및 상기 화합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인용 또는 참조된 모든 문헌은 명시적으로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하기의 구체적 용어 및 어구는 하기에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잔기"는 하나 이상의 화학적 결합에 의해 또 다른 원자 또는 분자에 부착됨으로써 분자의 일부를 형성하는, 화학적으로 결합된 원자의 원자 또는 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화학식 I의 R 변수는 공유결합에 의해 화학식 I의 코어 구조에 부착된 잔기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를 가지는 특정 잔기에 관하여, 용어 "치환된"은 잔기의 수소 원자 중 하나 이상이 또 다른 치환기 또는 잔기로 대체되는 사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용어 "할로겐으로 치환된 C1 -7 알킬"은 C1 -7 알킬(하기에 정의됨)의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대체되는 사실을 나타낸다(예를 들어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다이플루오로메틸, 플루오로메틸, 클로로메틸 등).
용어 "알킬"은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의 지방족 직쇄 또는 분지쇄 포화 탄화수소 잔기를 나타낸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알킬은 1 내지 10개, 더욱 특히는 1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다.
용어 "C1 -7 알킬"은 1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알킬 잔기를 나타낸다. C1-7 알킬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sec-부틸 및 tert-부틸을 포함한다.
용어 "알콕시"는 R'이 알킬 기인, 화학식 -O-R'의 기를 나타낸다. 알콕시 잔기의 예는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및 tert-부톡시를 포함한다.
"아릴"은 일환형, 이환형 또는 삼환형 방향족 고리를 가지는 1가 환형 방향족 탄화수소 잔기를 의미한다. 아릴 기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아릴 잔기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페닐, 나프틸, 페난트릴, 플루오렌일, 인덴일, 펜탈렌일, 아줄렌일, 옥시다이페닐, 바이페닐, 메틸렌다이페닐, 아미노다이페닐, 다이페닐설피딜, 다이페닐설폰일, 다이페닐이소프로필리덴일, 벤조다이옥산일, 벤조퓨란일, 벤조다이옥실릴, 벤조피란일, 벤조옥사진일, 벤조옥사지논일, 벤조피페라딘일, 벤조피페라진일, 벤조피롤리딘일, 벤조모폴린일, 메틸렌다이옥시페닐, 에틸렌다이옥시페닐 등, 및 이의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유도체를 포함하고, 각각은 임의적으로 치환된다.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용어 "할로", "할로겐" 및 "할라이드"는 치환된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를 나타낸다.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용어 "수소" 또는 "하이드로"는 수소 원자(-H)의 잔기를 나타내지만, H2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화학식의 화합물"은 화학식으로 정의된 화합물의 속(genus)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화합물(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임의의 이러한 화합물의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를 포함)을 나타낸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유리염기 또는 유리산의 생물학적 유효성 및 특성을 보유한 염을 나타내고, 이는 생물학적으로 또는 달리 바람직하다. 염은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 바람직하게 염산, 및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살리실산, 석신산, 퓨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p-톨루엔설폰산, N-아세틸시스테인 등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염은 유리산에 무기염기 또는 유기염기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무기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비제한적으로 나트륨, 칼륨, 리튬, 암모늄, 칼슘 및 마그네슘 염 등을 포함한다. 유기염기로부터 유도된 염은 비제한적으로 1급, 2급 또는 3급 아민, 자연적으로 발생한 치환된 아민을 포함하는 치환된 아민, 환형 아민 및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예컨대 이소프로필아민, 트라이메틸아민, 다이에틸아민, 트라이에틸아민, 트라이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리신, 아르기닌, N-에틸피페리딘, 피페리딘, 폴리아민 수지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에스터의 형태(즉, 전구약물로서 사용될 화학식 I의 산의 메틸 또는 에틸 에스터)로 존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용매화, 즉 수화될 수 있다. 용매화는 제조 공정의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거나, 초기에 무수물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흡습성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다(수화).
동일한 분자식을 가지나 성질이 상이하거나 이들 원자의 결합 순서 또는 공간내 이들 원자의 배열이 상이한 화합물을 "이성질체"라 칭하고,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공간내 원자의 배열이 상이한 이성질체를 "입체이성질체"로 칭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하나 이상의 키랄 중심에서 반대의 배열을 가지는 입체이성질체이고 이는 거울상이성질체가 아니다. 서로 겹쳐질 수 없는 거울상 이미지인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가지는 입체이성질체를 "거울상이성질체"로 칭한다. 화합물이 비대칭 중심을 가지는 경우, 예를 들어 탄소 원자가 4개의 상이한 기에 결합되는 경우, 한 쌍의 거울상이성질체가 가능하다. 거울상이성질체는 이의 비대칭 중심의 절대 배열에 의해 특징될 수 있고, 이는 칸, 인골드 및 프레로그(Cahn, Ingold and Prelog)의 R- 및 S-순서 규칙 또는 분자가 편광판을 회전시기는 방식에 의해 개시되고, 우회전성 또는 좌회전성으로 표시된다(즉, 각각 (+)- 또는 (-)-이성질체). 키랄 화합물은 개별적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동일한 비율의 거울상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라세미 혼합물"로 칭한다.
용어 화합물의 "치료 효과량"은 질병의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개선에 유효하거나, 치료받을 개체의 생존을 연장하는데 유효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 효과량의 결정은 당분야의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치료 효과량 또는 투여량은 광범위한 한계내에서 변할 수 있고 당분야에 공지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투여량은 투여될 화합물, 투여의 경로, 치료될 질환 및 치료받을 환자를 포함하는 각각의 특정한 경우에서 개별적 요구에 조절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약 70 kg의 성인에게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하는 경우, 지시된 경우 하한 및 상한이 초과될 수 있지만, 약 0.1 내지 약 5,000 mg, 1 내지 약 1,000 mg 또는 1 내지 100 mg의 일일 투여량이 적절할 수 있다. 일일 투여량은 단일 투여 또는 분할 투여로서 투여될 수 있거나, 비경구 투여에 대해, 연속 주입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용매, 분산액 매질, 코팅, 항균제 및 항진균제, 등장제 및 흡수 지연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투여와 양립할 수 있는 임의의 모든 물질, 및 약학적 투여와 양립할 수 있는 다른 물질 및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임의의 종래의 매질 및 제제가 활성 화합물과 양립하지 않음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이의 용도가 고려된다. 또한, 보충적 활성 화합물이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원의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한 약학적 담체는 고체, 액체 또는 기체일 수 있고; 따라서, 조성물은 정제, 알약, 캡슐, 좌제, 분말, 장용 코팅되거나 다른 보호된 제형(예를 들어 이온교환수지 상에 결합하거나 지질-단백질 비히클에 포장됨), 서방성 제형, 용액, 현탁액, 엘릭서, 에어로졸 등의 형태로 섭취될 수 있다. 담체는 페트롤륨 오일,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또는 합성 기원 오일, 예를 들어 땅콩 오일, 대두 오일, 미네랄 오일, 참깨 오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오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액체 담체, 특히(혈액과 등장인 경우) 주사용 용액용 액체 담체는 물, 염수, 수성 덱스트로스 및 글리콜이다. 예를 들어, 정맥내 투여용 제형은, 고체 활성 성분을 수중에 용해시켜 수용액을 생성하고, 상기 용액을 멸균하여 제조되는 멸균 수용액을 포함한다. 적합한 약학적 부형제는 전분, 셀룰로스, 활석, 글루코스, 락토스, 젤라틴, 맥아, 쌀, 밀가구, 초크, 실리카,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나트륨,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염화 나트륨, 건조 탈지 우유,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물, 에탄올 등을 포함한다. 조성물은 종래의 약학적 첨가제, 예컨대 방부제, 안정화제, 습윤제 또는 유화제, 삼투압 조절용 염, 완충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적합한 약학적 담체 및 이의 제형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by E. W. Martin]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임의의 경우에 수용자에게 적절한 투여를 위해 효과량의 활성 화합물과 함께 적합한 담체를 함유하여 적절한 투여량 형태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실시에서, 효과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중 임의의 하나 또는 본 발명의 임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에스터의 조합은 단일 또는 조합으로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일반적 및 허용되는 방법을 통해 투여된다. 따라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경구(예를 들어 구강), 설하, 비경구(예를 들어 근육내, 정맥내 또는 피하), 직장(예를 들어 좌제 또는 워싱(washing)에 의해), 경피(예를 들어 피부 전기천공법) 또는 흡입(예를 들어 에어로졸에 의해) 투여, 및 정제 및 현탁액을 포함하는 고체, 액체 또는 기체 투여량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는 연속 치료법으로 단일 단위 투여량 형태로 또는 임의량으로 단일 투여 치료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치료적 조성물은 친유성 염, 예컨대 파모산과 함께 오일 유화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로 또는 피하 또는 근육내 투여용 생분해성 서방성 조성물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pct00002
상기 식에서,
R1, R1' 및 R1''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콕시, 할로겐 또는 -CF3이고;
R2는 C1 -7 알킬 또는 페닐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R1, R1' 및 R1''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 불소 또는 -CF3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R1, R1' 및 R1'' 중 하나가 수소이고, 다른 2개가, 서로 독립적으로, 알콕시, 할로겐 또는 -CF3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R1, R1' 및 R1'' 중 하나가 수소이고, 다른 2개가, 서로 독립적으로, 메톡시, 불소 또는 -CF3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R1, R1' 및 R1'' 중 하나가 오르토 위치의 메톡시이고, 하나가 메타 위치의 메톡시이고, 하나가 파라 위치의 메톡시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R1, R1' 및 R1'' 중 하나가 오르토 위치의 플루오르이고, 하나가 메타 위치의 수소이고, 하나가 파라 위치의 -CF3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R1, R1' 및 R1'' 중 하나가 오르토 위치의 메톡시이고, 하나가 메타 위치의 수소이고, 하나가 파라 위치의 -CF3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R2가 메틸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R2가 페닐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이 하기의 것인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R)-3-메틸-1-(1-(2-(2,3,4-트라이메톡시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부틸붕소산;
(R)-2-페닐-1-(1-(2-(2,3,4-트라이메톡시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에틸붕소산;
(R)-1-(1-(2-(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2-페닐에틸붕소산; 또는
(R)-1-(1-(2-(2-메톡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2-페닐에틸붕소산.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치료 효과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치료적 활성 물질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과민성 장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과민성 장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과민성 장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치료 효과량의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과민성 장 질환(IBD)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발명을 제공한다.
합성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출발 물질 및 시약은 일반적으로 상업적 공급자, 예컨대 알드리치 컴패니(Aldrich Chemical Co.)로부터 입수가능하거나 참고문헌, 예컨대 문헌[Fieser and Fieser's Reagents for Organic Synthesis; Wiley & Sons: New York, 1991, Volumes 1-15]; [Rodd's 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1989, Volumes 1-5] 및 [Supplementals; and Organic Reactions, Wiley & Sons: New York, 1991, Volumes 1-40]에 기재된 절차에 따라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하기 합성 반응식은 단지 본 발명의 화합물이 합성될 수 있는 일부 방법의 예시이고, 이러한 반응식에 대한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고, 이는 본원을 포함하는 개시내용에 관련된 분야의 숙련자에게 제안될 것이다.
합성 반응식의 출발 물질 및 중간체는 필요에 따라 비제한적으로 여과, 증류, 결정화, 크로마토그래피 등을 포함하는 종래의 기술을 사용하여 단리 및 정제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은 물리적 상수 및 스펙트럼 데이터를 포함하는 종래의 수단을 사용하여 특성화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원에 개시된 반응은 바람직하게 불활성 분위기 하에 대기압에서 약 -78 내지 약 150℃ 범위의 온도, 보다 바람직하게 약 0 내지 약 125℃, 가장 바람직하고 편리하게 약 실온(주위 온도), 예를 들어 약 20℃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수의 통상의 기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들에 개략된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pct00003
반응식 1에서와 같이, 브로마이드(1)를 나트륨 아자이드를 사용하여 아자이드(2)로 전환시킨 후에, 구리 (II) 설페이트 및 나트륨 아스코베이트의 존재 하에 메틸 프로피올레이트(3)와 반응시켜 위치선택적 방식으로 1,2,3-트라이아졸(4)을 수득할 수 있다. N-Boc 보호기는 강산, 예컨대 HCl 또는 TFA를 사용하여 제거될 수 있다. 생성된 아민 염(5)을, 활성화제, 예컨대 HATU를 사용하여 다양하게 치환된 산(6)과 커플링시켜 에스터(7)를 수득할 수 있다. 염기성 조건 하에 가수분해시켜 산(8)을 수득한다. R1, R1' 및 R1''는, 서로 독립적으로, 예컨대 수소, 알콕시,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R2는, 예컨대 C1 -7 알킬 또는 페닐일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pct00004
반응식 2에 따르면, 산(8)을, 활성화제, 예컨대 HATU 또는 TBTU를 사용하여 다양하게 치환된 피난다이올 붕소산 에스터(9)와 커플링시켜 트라이아졸(10)을 수득할 수 있다. 이소부틸 붕소산과의 에스터 교환에 의해 목적 붕소산(11)을 제공할 수 있다. R1, R1' 및 R1''는, 서로 독립적으로, 예컨대 수소, 알콕시, 할로겐 또는 -CF3일 수 있다. R2는, 예컨대 C1 -7 알킬 또는 페닐일 수 있다.
실시예
특정 예시적 실시양태가 본원에 도시 및 기재되었지만,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본원에 일반적으로 개시된 방법 및/또는 당업자에게 이용가능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공기-민감성 시약을 포함하는 모든 반응은 불활성 분위기 하에서 수행되었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시약은 상업적 공급자로부터 입수된 그대로 사용하였다.
중간체 1
1-(2-아미노-에틸)-1H-[1,2,3] 트라이아졸 -4- 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Boc-아미노)에틸 브로마이드 (5.0 g, 22.3 mmol)를 50 ml DMF 중에 용해시키고, 나트륨 아자이드 (1.6 g, 24.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다이에틸 에터 (200 ml)로 희석하고, 물 (3x) 및 염수 (2x)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3.9 g (94%) (2-아자이도-에틸)-카밤산 tert-부틸 에스터를 무색 점성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GC/MS: (M+H)+ = 187.191.
(2-아자이도-에틸)-카밤산 tert-부틸 에스터 (3.9 g, 20.8 mmol) 및 메틸 프로피올레이트 (3.5 g, 3.71 ml, 41.7 mmol)를 50 ml tert-부탄올 중에 용해시켰다. 1.0 M 구리(II) 설페이트 펜타하이드레이트 (4.17 ml, 4.17 mmol) 수용액을 첨가한 후, 1.0 M 나트륨 아스코베이트 (16.7 ml, 16.7 mmol)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0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50 ml 물로 켄칭하고, EtOAc (3 x 8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치고,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다이클로로메탄 (구배: 0-40% EtOAc)을 사용하여 70 g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모든 분획을 합치고, 농축시켜 3.2 g (57%) 1-(2-tert-부톡시카본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HR-MS: (M+H)+ = 271.1401.
1-(2-tert-부톡시카본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1.75 g, 6.47 mmol)를 다이옥산 중 4N HCl (16.2 ml, 64.7 mmol) 중에 용해시키고,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1.32 g (99%) 1-(2-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실시예 1
(R)-3- 메틸 -1-(1-(2-(2,3,4- 트라이메톡시벤즈아마이도 )에틸)-1H-1,2,3- 트라이아졸 -4- 카복사마이도 ) 부틸붕소산
Figure pct00005
플라스크를 2,3,4-트라이메톡시벤조산 (1.29 g, 6.08 mmol), 57 ml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및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2.9 ml, 16.9 mmol)으로 충전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HATU (2.83 g, 7.45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2-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4 g, 6.78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M HCl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수성 KHCO3, 물 및 염수로 세척한 후, 농축시키고,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다이에틸 에터로 마쇄하여 1-[2-(2,3,4-트라이메톡시-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를 연갈색 반고체로서 수득하고, 이를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플라스크를 1-[2-(2,3,4-트라이메톡시-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2.22 g, 6.1 mmol) 및 60 ml 메탄올로 충전시켰다. 그 후, 1.0 M NaOH (24 ml, 2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부분적으로 농축시킨 후, 물에 취하고, 1.0 M HCl로써 산성화시키고, 200 ml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치고,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70 ml 다이클로로메탄, 40 ml EtOAc 및 10 ml 메탄올 중에 취한 후, 농축시켜 약 30 ml의 체적으로 농축시켰다. 다이에틸 에터를 첨가하고, 현탁액을 여과시키고, 다이에틸 에터로 세정하고,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1.8 g (84%) 1-[2-(2,3,4-트라이메톡시-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HR-MS: (M+H)+ = 351.1293.
1-[2-(2,3,4-트라이메톡시-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160 mg, 0.46 mmol), TBTU (161 mg, 0.50 mmol) 및 (R)-보로류(BoroLeu)(+)-피난다이올-HCl (138 mg, 0.46 mmol)을 0℃에서 6 ml 다이클로로메탄에 현탁시켰다. 1 ml 다이클로로메탄 중에 용해된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7 ml, 1.00 mmol)을 0℃에서 15 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및 실온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 ml 다이클로로메탄으로 희석하고, 50 ml 1M HCl, 50 ml 2M KHCO3 및 50 ml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다이클로로메탄 (구배: 0-50% EtOAc)를 사용하여 20 g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모든 분획을 합치고, 농축시켜 111 mg (41%)의 1-[2-(2,3,4-트라이메톡시-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R)-3-메틸-1-((1S,2S,6R,8S)-2,9,9-트라이메틸-3,5-다이옥사-4-보라-트라이사이클로[6.1.1.02,6]데크-4-일)-부틸]-아마이드를 백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LC/HR-MS: (M+H)+ = 460.2359.
1-[2-(2,3,4-트라이메톡시-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R)-3-메틸-1-((1S,2S,6R,8S)-2,9,9-트라이메틸-3,5-다이옥사-4-보라-트라이사이클로[6.1.1.02,6]데크-4-일)-부틸]-아마이드 (109 mg, 0.18 mmol), 이소부틸붕소산 (52 mg, 0.51 mmol) 및 2N HCl (0.15 ml, 0.30 mmol)을 1.5 ml 메탄올 및 1.5 ml 헵탄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메탄올성 층을 분리하고, 3 ml 헵탄으로 2회 세척하였다. 메탄올성 층을 7 ml EtOAc로 처리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7 ml EtOAc에 취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다이에틸 에터로 마쇄하였다. 생성된 백색 고체를 다이클로로메탄 및 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다이에틸 에터로 마쇄하여(triturated) 21 mg (25%)의 (R)-3-메틸-1-(1-(2-(2,3,4-트라이메톡시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부틸붕소산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HR-MS: (M-H)-=462.2161.
실시예 2
(R)-2- 페닐 -1-(1-(2-(2,3,4- 트라이메톡시벤즈아마이도 )에틸)-1H-1,2,3- 트라이아졸 -4- 카복사마이도 ) 에틸붕소산
Figure pct00006
10 ml 환저 플라스크에서, 1-(2-(2,3,4-트라이메톡시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150 mg, 0.43 mmol) 및 (R)-보로페(BoroPhe)-(+)-피난다이올-HCl (158 mg, 0.47 mmol)을 3 ml DMF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0℃에서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9 ml, 1.09 mmol), 이어서 HATU (179 mg, 0.47 mmol)를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 후, 빙욕을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켄칭시키고, 1:1 다이에틸 에터/EtOAc (4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2회 및 염수로 1회 세척한 후, 합치고,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다이클로로메탄 (구배: 0-50% EtOAc)을 사용하여 25 g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모든 분획을 합치고, 농축시켜 153 mg (57%) 1-[2-(2,3,4-트라이메톡시-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R)-2-페닐-1-((1S,2S,6R,8S)-2,9,9-트라이메틸-3,5-다이옥사-4-보라-트라이사이클로[6.1.1.02,6]데크-4-일)-에틸]-아마이드를 회백색 포움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630.
10 ml 환저 플라스크에서, 1-[2-(2,3,4-트라이메톡시-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R)-2-페닐-1-((1S,2S,6R,8S)-2,9,9-트라이메틸-3,5-다이옥사-4-보라-트라이사이클로[6.1.1.02,6]데크-4-일)-에틸]-아마이드 (151 mg, 0.24 mmol) 및 이소부틸붕소산 (70 mg, 0.69 mmol)을 1.2 ml 메탄올 및 2.4 ml 헥산 중에 용해시켰다. 1.0 M 염산 (0.60 ml, 0.60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10 ml 메탄올로 희석하고, 헥산으로 추출하였다. 헥산 층을 10 ml 메탄올로 역추출하였다. 메탄올성 층을 헥산으로 2회 세척한 후, 합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0 ml 다이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2 ml 물 및 2 ml 포화 NaHCO3 용액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치고,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OH/다이클로로메탄 (구배: 0-10% MeOH 이후 10% MeOH/클로로폼)을 사용하여 4 g 실리카 겔 상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모든 분획을 합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다이에틸 에터로 마쇄하여 24 mg (20%) (R)-2-페닐-1-(1-(2-(2,3,4-트라이메톡시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에틸붕소산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M+Na)+ = 520; 1H NMR (400 MHz, CDCl3) δ: 8.23 (t, J = 5.7 Hz, 1H), 8.18 (s, 1H), 7.88 (d, J = 9.0 Hz, 1H), 7.72 (br. s., 1H), 7.18 - 7.33 (m, 5H), 6.77 (d, J = 9.0 Hz, 1H), 4.71 (t, J = 5.6 Hz, 2H), 3.98 (d, J = 5.6 Hz, 2H), 3.91 (s, 3H), 3.84 (s, 3H), 3.82 (s, 3H), 3.36 (br. s., 1H), 3.06 (dd, J = 14.1, 4.8 Hz, 1H), 2.87 (dd, J = 14.1, 9.3 Hz, 1H).
실시예 3
(R)-1-(1-(2-(2- 플루오로 -4-( 트라이플루오로메틸 ) 벤즈아마이도 )에틸)-1H-1,2,3-트 이아졸-4- 카복사마이도 )-2- 페닐에틸붕소산
Figure pct00007
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산 (2.31 g, 11.1 mmol)을 160 ml N,N-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중에 용해시켰다.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4.75 ml, 27.8 mmol)을 첨가하고, 반응을 0℃로 냉각시키고, HATU (4.64 g, 12.2 mmol)를 첨가하였다. 0℃에서 1 시간 교반 후, 1-(2-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29 g, 11.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 후, 1M HCl로 켄칭하고,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수성 KHCO3, 물 및 염수로 세척 후, 농축시켰다. 조질 잔류물을 다이에틸 에터로 마쇄하여 2.79 g (70%) 1-[2-(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HR-MS: (M+H)+ = 361.0921.
1-[2-(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2.79 g, 7.74 mmol)를 60 ml MeOH에 현탁시켰다. 진한 슬러리에 1.0 M NaOH (31 ml, 31.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 시간 동안 반응은 균질해졌다. MeOH를 증발시킨 후, 잔류물을 물에 취하고, 수성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치고,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켜 소량의 고체를 수득하였다. 수성 층을 합치고, 수성 NaOH로 염기성으로 만들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0℃로 냉각시키고, 진한 HCl로 산성화시켰다. 생성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2개의 배취를 합쳐 2.0 g (75%) 1-[2-(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HR-MS: (M+H)+ = 347.0760.
10 ml 환저 플라스크에서, 1-(2-(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125 mg, 0.36 mmol) 및 (R)-보로페-(+)-피난다이올-HCl (133 mg, 0.40 mmol)을 2.5 ml DMF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0℃에서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6 ml, 0.92 mmol), 이어서 HATU (151 mg, 0.40 mmol)를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 후, 빙욕을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켄칭시키고, 1:1 다이에틸 에터/EtOAc (4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2회 및 염수로 1회 세척 후, 합치고,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다이클로로메탄 (구배: 0-40% EtOAc)을 사용하여 25 g 실리카 겔 상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모든 분획을 합치고, 농축시켜 124 mg (49%)의 1-[2-(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R)-2-페닐-1-((1S,2S,6R,8S)-2,9,9-트라이메틸-3,5-다이옥사-4-보라-트라이사이클로[6.1.1.02,6]데크-4-일)-에틸]-아마이드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626.
10ml 환저 플라스크에서, 1-[2-(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R)-2-페닐-1-((1S,2S,6R,8S)-2,9,9-트라이메틸-3,5-다이옥사-4-보라-트라이사이클로[6.1.1.02,6]데크-4-일)-에틸]-아마이드 (117 mg, 0.17 mmol) 및 이소부틸붕소산 (50 mg, 0.49 mmol)을 0.8 ml 메탄올 및 1.6 ml 헥산 중에 용해시켰다. 1.0 M 염산 (0.42 ml, 0.42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10 ml 메탄올로 희석하고, 헥산으로 추출하였다. 헥산 층을 10 ml 메탄올로 역추출하였다. 메탄올성 층을 헥산으로 2회 세척한 후, 합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0 ml 다이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2 ml 물 및 2 ml 포화 NaHCO3 용액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치고,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MeOH/클로로폼 (구배: 0-10% MeOH, 이후 10% MeOH/EtOAc)을 사용하여 4 g 실리카 겔 상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모든 분획을 합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다이에틸 에터로 마쇄하여 19 mg (21%)의 (R)-1-(1-(2-(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2-페닐에틸붕소산을 회백색 고체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M+Na)+ = 516; 1H NMR (400 MHz, CDCl3) δ: 8.21 (br. s., 1H), 8.02 (t, J = 7.6 Hz, 1H), 7.77 (br. s., 1H), 7.41 (d, J = 8.1 Hz, 1H), 7.06 - 7.30 (m, 7H), 4.55 - 4.63 (m, 2H), 3.92 (d, J = 4.5 Hz, 2H), 3.22 (br. s., 1H), 2.90 - 2.98 (m, 1H), 2.71 - 2.82 (m, 1H).
실시예 4
(R)-1-(1-(2-(2- 메톡시 -4-( 트라이플루오로메틸 ) 벤즈아마이도 )에틸)-1H-1,2,3-트 이아졸-4- 카복사마이도 )-2- 페닐에틸붕소산
Figure pct00008
50 ml 환저 플라스크에서, 1-(2-tert-부톡시카본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500 mg, 1.85 mmol)를 7 ml 다이클로로메탄에 현탁시켰다.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4.0 ml, 52 mmol)을 천천히 첨가하여 모든 고체가 용해되게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5 시간 동안 교반 후, 농축시키고,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5 ml DMF 중에 용해시키고, 2-메톡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 벤조산 (390 mg, 1.77 mmol)을 첨가하였다.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1.5 ml, 8.6 mmol), 이어서 HATU (741 mg, 1.95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 후, 물로 켄칭시키고, 페트롤륨 에터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 및 소량의 페트롤륨 에터로 세정한 후,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557 mg (84%)의 1-[2-(2-메톡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373; 1H NMR (400 MHz, CDCl3) δ: 8.30 (dd, J = 8.1, 0.8 Hz, 1H), 8.19 (br. s., 1H), 8.14 (s, 1H), 7.37 (dd, J = 8.1, 0.8 Hz, 1H), 7.20 (s, 1H), 4.69 - 4.76 (m, 2H), 4.02 - 4.09 (m, 2H), 4.00 (s, 3H), 3.98 (s, 3H).
50ml 환저 플라스크에서, 1-[2-(2-메톡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메틸 에스터 (555 mg, 1.49 mmol)를 3 ml 메탄올 및 30 ml THF에 현탁하였다.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161 mg, 6.71 mmol), 이어서 3 ml 물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 후, 유기 용매를 증발시켰다. 수성 잔류물을 0℃로 냉각시키고, 약 pH 2가 될 때까지 1.0 M HCl로 산성화시켜 침전물이 형성되게 하였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물로 세척한 후, 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52 mg (84%)의 1-[2-(2-메톡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359.
10 ml 환저 플라스크에서, 1-[2-(2-메톡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150 mg, 0.42 mmol) 및 (R)-보로페-(+)-피난다이올-HCl (155 mg, 0.46 mmol)을 2.5 ml DMF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켰다. 0℃에서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0.19 ml, 1.09 mmol), 이어서 HATU (175 mg, 0.46 mmol)를 적가하였다. 첨가 완료 후, 빙욕을 제거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물로 켄칭시키고, 1:1 다이에틸 에터/EtOAc (40 ml)로 2회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물로 2회 및 염수로 1회 세척 후, 합치고,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OAc/다이클로로메탄 (구배: 0-50% EtOAc)을 사용하여 25 g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모든 분획을 합치고, 농축시켜 195 mg (66%)의 1-[2-(2-메톡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R)-2-페닐-1-((1S,2S,6R,8S)-2,9,9-트라이메틸-3,5-다이옥사-4-보라-트라이사이클로[6.1.1.02,6]데크-4-일)-에틸]-아마이드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H)- = 638.
10ml 환저 플라스크에서, 1-[2-(2-메톡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조일아미노)-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실산 [(R)-2-페닐-1-((1S,2S,6R,8S)-2,9,9-트라이메틸-3,5-다이옥사-4-보라-트라이사이클로[6.1.1.02,6]데크-4-일)-에틸]-아마이드 (189 mg, 0.27 mmol) 및 이소부틸붕소산 (78 mg, 0.77 mmol)을 1.3 ml 메탄올 및 2.6 ml 헥산 중에 용해시켰다. 1.0 M 염산 (0.67 ml, 0.67 mmo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10 ml 메탄올로 희석하고, 헥산으로 추출하였다. 헥산 층을 10 ml 메탄올로 역추출하였다. 메탄올성 층을 헥산으로 2회 세척 후, 합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20 ml 다이클로로메탄 중에 용해시키고, 2 ml 물 및 2 ml 포화 NaHCO3 용액의 혼합물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다이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합치고,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다이에틸 에터/EtOAc로 마쇄하여 51 mg (38%)의 (R)-1-(1-(2-(2-메톡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 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2-페닐에틸붕소산을 백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 LC/MS: (M+Na)+ = 528; 1H NMR (400 MHz, CDCl3) δ: 8.26 (d, J = 8.1 Hz, 1H), 8.14 (s, 1H), 7.97 (t, J = 5.7 Hz, 1H), 7.71 (br. s., 1H), 7.34 (dd, J = 8.1, 0.9 Hz, 1H), 7.24 - 7.28 (m, 4H), 7.16 - 7.23 (m, 1H), 7.14 (s, 1H), 4.70 (t, J = 5.4 Hz, 2H), 3.94 - 4.05 (m, 2H), 3.89 (s, 3H), 3.30 - 3.40 (m, 1H), 3.07 (dd, J = 14.3, 5.1 Hz, 1H), 2.86 (dd, J = 14.3, 10.0 Hz, 1H).
실시예 5
분석 프로토콜 및 결과
세포-기반 프로테아좀 활성/선택도 분석
세포-기반 프로테아좀 서브유닛 활성/선택도 분석은 배양되는 세포에서 프로테아좀 콤플렉스와 연관된 β5c 또는 β 5i (키모트립신-유사 활성), β 2c/2i (트립신-유사), 및 β 1c 또는 β 1i (캐스파제-유사) 프로테아제 활성을 측정한 5개의 형광원 분석의 패널이었다. 구체적으로, 하기의 기질들을 개별 서브유닛 활성에 대해 사용하였다: β 1i: (PAL)2Rh110, β 1c: (LLE)2 Rh110, β 2c/2i: (KQL)2Rh110, β 5c: (WLA)2Rh110, β 5i: (ANW)2Rh110. 하기 절차를 따랐다:
세포 준비: 25 μl의 라모스(Ramos) 세포 (DPBS 중 2 x106/ml)를 하프 에어리어 플레이트(half area plate) (퍼킨엘머(PerkinElmer) Cat 6005569)에 최종 5x104 세포/웰로 플레이팅하였다. 0.5 μl 의 100x 4-배 계대 희석된 시험 화합물 또는 DMSO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시험되는 화합물의 최고 농도는 20 μM이었고, 따라서 화합물 계대 희석은 200 mM로부터 시작하였다. 30 분 동안 37℃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실온에서 15 분 동안 평형화시켰다. 25 μl의 2x 반응 믹스 (DPBS 중의 0.025% 디지토닌, 20 μM의 각각의 기질 및 0.5M 수크로즈로 구성됨)를 첨가하였다. 700 rpm으로 1 분 동안 진탕시켰다. 120 분 동안 실온에서 배양시켰다. 그 후, 인비젼(Envision) 다중라벨 플레이트 판독기(퍼킨엘머) (500 nm 여기 /519 nm 방출)로 플레이트를 판독하였다.
변형된 PBMC 프로테아좀 활성 분석
본 세포-기반 프로테아좀 활성 분석은, 상기 기질의 이전의 라모스 세포-기반 분석과 유사하되, 반응 완충액으로서 10 % FBS를 포함하는 완전 RPMI와 관련하여 인간 PBMC를 사용하였다. 이 분석은 1차(primary) 인간 세포에서 시험 화합물의 세포 투과의 수준을 산정하도록 설계되었다. 하기의 절차를 따랐다:
건강한 공여체로부터 갓 단리된 PBMC를, V형 바닥의 96 플레이트에서 1x105 세포/웰로 10% FBS를 갖는 100 μl의 완전 RPMI에서 플레이팅하였다. 1 μl의 100X 4-배 계대 희석된 화합물/웰을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시험되는 화합물의 최고 농도는 20 μM (100X, 2 mM로써 작업 스톡 개시)이었다. 세포를 2000rpm에서 5 분 동안 세포를 스피닝 다운시켰다. 모든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그 후 세포를 25 μl DPBS에서 재현탁시키고, 세포를 신선한 하프-에어리어 플레이트 (퍼킨엘머 Cat 6005569)로 옮겼다. 최종 반응 부피는 50 μl이었으며, 이는 25 μl 세포 현탁액, 0.5 μl 100x 억제제 또는 DMSO, 25 μl 기질 믹스 [0.025% 디지토닌, 20 uM 기질 (기질: (PAL)2Rh110, (LLE)2 Rh110, (KQL)2Rh110, (WLA)2Rh110, 또는 (ANW)2Rh110)/ 10% FBS를 함유함] 및 0.5M 수크로즈 혼합물을 포함하였다. 1 분 동안 진탕하였다(@ 700 rpm). 2 시간 동안 배양시키고, 그 후 500 nm 여기/519 nm 방출을 사용하는 인비젼 플레이트 판독기로써 플레이트를 판독하였다.
PBMC IP -10 분석
PBMC를 전혈로부터 하기와 같이 단리시켰다: 혈액을 멸균 환경에서 헤파린 처리된 튜브 내에 혈액을 수집하였다. 혈액을 동 부피의 PBS/2% FCS로 희석하고, 이 혼합물 30 ml을 사전에 800 g에서 30 초 동안 원심분리된 15 ml 히스토페이크(Histopaque)-1077을 함유하는 어쿠스핀(ACCUSPIN) 튜브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가온시켰다. 그 후 상기 튜브를 800 g에서 20 분 동안 실온에서 중단 없이 원심분리시켰다. 단핵 밴드(폴리에틸렌 프릿(frit) 바로 위)를 파스테르 피펫으로 제거하였다. 이들 단핵 세포를 멸균 PBS로 3회 세척하고, 계수하고, 10% 열 불활성화된 우태아 혈청, 10 mM HEPES, 1 mM 나트륨 피루베이트, 페니실린 (50 U/ml), 스트렙토마이신 (50 μg/ml) 및 글루타민 (2 mM)으로 보충된 RPMI 1640 중에서 약 1.5 x 106/ml로 재현탁시켰다. 약 2 x 105 세포/웰을 96 웰 조직 배양 플레이트 (BD 팔콘 353072)에 플레이팅하고, 화합물의 적정과 함께 60 mi/37℃로 1% DMSO의 최종 농도로 예비배양시켰다. 그 후 세포를 2.5 μM의 최종 농도로 CpG Type A (인비보겐, Cat # tlrl-2216; ODN 2216)로써 자극하였다. 세포를 밤새 배양시키고, 상청액을 제거하였다. 웰에 남아 있는 세포의 PBMC 생존능을 제조사의 지침서에 따라서 ATP라이트(ATPlite) 발광 분석 (퍼킨-엘머)으로써 측정하였다. 발광을 퍼킨-엘머 인비젼 상에서, 발광 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부피를 1/2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IP10 수준을 제조사의 지침서에 따라서 CXCL10/IP10 알파LISA 키트 (퍼킨-엘머)로써 측정하였다. 형광을 알파스크린(AlphaScreen) 표준 설정을 이용하여 인비젼 다중라벨 플레이트 판독기 상에서 측정하였다.
결과:
본 발명의 개별 화합물에 대한 상기 분석의 결과가 하기 표 1에 제공되며, 여기서 IC50 및 EC50 활성 값은 μM 단위이다:
[표 1]
Figure pct00009

상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양태의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내에 속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 특정 실시양태로 제한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I]
    Figure pct00010

    상기 식에서,
    R1, R1' 및 R1''는,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콕시, 할로겐 또는 -CF3이고;
    R2는 C1 -7 알킬 또는 페닐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 R1' 및 R1''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메톡시, 불소 또는 -CF3인,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1, R1' 및 R1'' 중 하나가 수소이고, 다른 2개가, 서로 독립적으로, 알콕시, 할로겐 또는 -CF3인,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1, R1' 및 R1'' 중 하나가 수소이고, 다른 2개가, 서로 독립적으로, 메톡시, 불소 또는 -CF3인,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R2가 메틸인,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R2가 페닐인,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R)-3-메틸-1-(1-(2-(2,3,4-트라이메톡시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부틸붕소산;
    (R)-2-페닐-1-(1-(2-(2,3,4-트라이메톡시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에틸붕소산;
    (R)-1-(1-(2-(2-플루오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2-페닐에틸붕소산; 또는
    (R)-1-(1-(2-(2-메톡시-4-(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즈아마이도)에틸)-1H-1,2,3-트라이아졸-4-카복사마이도)-2-페닐에틸붕소산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8. 치료 효과량의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치료적 활성 물질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10.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과민성 장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1.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과민성 장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용 약제의 제조를 위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
  12.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과민성 장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용 또는 예방을 위한 화합물.
  13.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의 치료 효과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및 과민성 장 질환으로부터 선택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 방법.
  14. 본원에 전술된 발명.
KR1020157017722A 2012-12-03 2013-11-29 치환된 트라이아졸 붕소산 화합물 KR101782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732459P 2012-12-03 2012-12-03
US61/732,459 2012-12-03
PCT/EP2013/075031 WO2014086664A1 (en) 2012-12-03 2013-11-29 Substituted triazole boronic acid compoun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0248A true KR20150090248A (ko) 2015-08-05
KR101782235B1 KR101782235B1 (ko) 2017-09-26

Family

ID=4967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7722A KR101782235B1 (ko) 2012-12-03 2013-11-29 치환된 트라이아졸 붕소산 화합물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464098B2 (ko)
EP (1) EP2925765B1 (ko)
JP (1) JP6018319B2 (ko)
KR (1) KR101782235B1 (ko)
CN (1) CN104822689B (ko)
BR (1) BR112015012909A2 (ko)
CA (1) CA2893460C (ko)
ES (1) ES2615744T3 (ko)
HK (1) HK1212992A1 (ko)
MX (1) MX2015006715A (ko)
RU (1) RU2625801C2 (ko)
WO (1) WO20140866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9365A1 (en) 2012-12-07 2014-06-12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WO2014110442A1 (en) 2013-01-10 2014-07-17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US9944658B2 (en) 2013-03-14 2018-04-17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US9511142B2 (en) 2014-06-11 2016-12-06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ES2874579T3 (es) 2014-06-11 2021-11-05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Inhibidores de betalactamasa
AU2015327412B2 (en) * 2014-10-01 2020-01-16 Merck Patent Gmbh Boronic acid derivatives
CN108472284A (zh) * 2015-09-11 2018-08-31 维纳拓尔斯制药公司 β-内酰胺酶抑制剂
WO2017100537A1 (en) 2015-12-10 2017-06-15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eta-lactamase inhibitors
CN107151254A (zh) * 2016-03-06 2017-09-12 复旦大学 一种作为20s蛋白酶体抑制剂的硼酸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151255A (zh) * 2016-03-06 2017-09-12 复旦大学 硼酸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8027062A1 (en) 2016-08-04 2018-02-08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Boron-containing compounds
WO2018218154A1 (en) 2017-05-26 2018-11-29 VenatoRx Pharmaceuticals, Inc. Penicillin-binding protein inhibitors
CN110959008A (zh) 2017-05-26 2020-04-03 维纳拓尔斯制药公司 青霉素结合蛋白抑制剂
PL3672977T3 (pl) * 2017-08-24 2022-09-26 Merck Patent Gmbh Pochodne kwasu boronowego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T2178888E (pt) * 2007-08-06 2012-10-04 Millennium Pharm Inc Inibidores do proteassoma
ES2618482T3 (es) 2007-08-10 2017-06-21 Basil Rigas Compuestos antiinflamatorios y usos de los mismos
TW201000107A (en) * 2008-04-09 2010-01-01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Inhibitors of fatty acid amide hydrolase
AR075090A1 (es) * 2008-09-29 2011-03-09 Millennium Pharm Inc Derivados de acido 1-amino-2-ciclobutiletilboronico inhibidores de proteosoma,utiles como agentes anticancerigenos, y composiciones farmaceuticas que los comprenden.
WO2011094426A1 (en) 2010-01-29 2011-08-04 The United State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 Human Services Caspase inhibitors
JP6042724B2 (ja) * 2010-03-01 2016-12-14 オニキス セラピューティクス, インク.Onyx Therapeutics, Inc. イムノプロテアソーム阻害のための化合物
WO2012078540A1 (en) 2010-12-08 2012-06-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Modulating immune cell activity using cytokine-induced src homology 2 and/or high temperature requirement a-1
US9688702B2 (en) 2011-12-22 2017-06-27 Ares Trading Alpha-amino boronic acid derivatives, selective immunoproteasom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25801C2 (ru) 2017-07-19
RU2015123499A (ru) 2017-01-13
MX2015006715A (es) 2015-08-14
JP2016502546A (ja) 2016-01-28
US9464098B2 (en) 2016-10-11
WO2014086664A1 (en) 2014-06-12
CA2893460C (en) 2018-01-09
KR101782235B1 (ko) 2017-09-26
CA2893460A1 (en) 2014-06-12
EP2925765B1 (en) 2016-12-14
US20150329565A1 (en) 2015-11-19
EP2925765A1 (en) 2015-10-07
HK1212992A1 (zh) 2016-06-24
BR112015012909A2 (pt) 2017-07-11
ES2615744T3 (es) 2017-06-08
CN104822689B (zh) 2016-11-02
CN104822689A (zh) 2015-08-05
JP6018319B2 (ja)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235B1 (ko) 치환된 트라이아졸 붕소산 화합물
JP6662865B2 (ja) ボロン酸誘導体
ES2876287T3 (es) Derivados del ácido borónico.
IL233200A (en) Alpha-boronic acid history, their preparation and their pharmaceutical preparations
ES2811273T3 (es) Derivados del ácido borónico
US10294246B2 (en) Substituted boronic acids and boronate esters as immunoproteasome inhibitors
EP2925746A1 (en) Substituted triazole and imidazole compounds
US11661419B2 (en) Benzimidazole derivative compounds and uses thereof
CA2290252C (en) Process and intermediates for growth hormone secretagogues
CA2892368A1 (en) Ketoamide immunoproteasome inhibitors
JP2015536913A (ja) 大環状ケトアミド免疫プロテアソーム阻害薬
RU2803284C1 (ru) Производные бензимидазола
US20230280220A1 (en) Benzimidazole Derivative Compounds and Uses Thereof
WO2023243601A1 (ja) アザシクロアルキルカルボニル環状アミン化合物
MXPA99010795A (en) Procedure and intermediaries to obtain secretagogos of the hormone of the grow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