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9048A - 창과 단부 판을 갖는 쿡탑, 조리 기구, 및 쿡탑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창과 단부 판을 갖는 쿡탑, 조리 기구, 및 쿡탑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9048A
KR20150089048A KR1020157016764A KR20157016764A KR20150089048A KR 20150089048 A KR20150089048 A KR 20150089048A KR 1020157016764 A KR1020157016764 A KR 1020157016764A KR 20157016764 A KR20157016764 A KR 20157016764A KR 20150089048 A KR20150089048 A KR 20150089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ubstrate
seal
cooktop
en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1643B1 (ko
Inventor
아델 베라-드베이유
제라르 위쉐
베아트리스 모텔레
갸엘 페리
Original Assignee
유로케라 에스.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케라 에스.엔.씨. filed Critical 유로케라 에스.엔.씨.
Publication of KR20150089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tops, hot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688Fabrication of the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6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 plates or analogous hot-plates
    • H05B3/74Non-metallic plates, e.g. vitroceramic, ceramic or glassceramic hobs, also including power or control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식 또는 이동식 조리 기구용 쿡탑(1)으로서, 기판(2)을 가지며, 상기 창(5)의 주변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기판(2)의 주변 외부 에지(27)의 평면에 있지 않은 쿡탑(1)에 있어서, 상기 쿡탑은, 시일(6)의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시일(6) 위에 또는 시일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판(66)을 가지며, 상기 기판(2)의 외표면(21)과 상기 창(5)의 외표면(5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시일(6)의 외표면(6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단부 판(66)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과 단부 판을 갖는 쿡탑, 조리 기구, 및 쿡탑 제조 방법{COOKTOP WITH WINDOW AND END PLATE,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OKTOP}
본 발명은 쿡탑(cooktop)을 갖는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작업면 또는 스토브에 제공된 베이 내에 통합되도록 의도된 고정식 조리 기구, 또는 수동으로 쉽게 이동될 수 있는 이동식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쿡탑을 갖는 조리 기구는, 가열되거나 조리될 식료품을 수용할 수 있는 냄비, 프라이팬 또는 임의의 기타 형태의 조리도구가 그 위에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심지어 가열되거나 조리될 식료품이 그 위에 직접 배치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유리 세라믹으로 제조된 쿡탑을 갖는다.
이 조리 기구는 또한 일반적으로, 그 안에 하나(또는 그 이상)의 가열 요소(들), 예를 들어 하나(또는 그 이상)의 복사 또는 할로겐 가열기(들)가 배치되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바닥과 측벽을 갖는 케이싱을 가지며, 또한 그 파워를 변경하거나 또는 심지어 그 기동 및 정지 시기를 프로그래밍하기 위한 조절 수단을 갖는다. 쿡탑은 케이싱의 상단부를 폐쇄한다.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을 갖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을 갖는 기판, 특히 유리-세라믹 기판을 갖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조리 기구용 쿡탑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은 합성 재료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시일에 의해 상기 기판으로부터 분리되는 창에 의해 형성된다.
그 아래에 화면이 배치되는 창과 기판 사이에 시일을 형성하는 것은 특히 프랑스 특허 출원 FR 2 746 904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의 발명의 요지는 창과 기판 사이를 밀봉할 수 있도록 시일의 재료를 선택하는 것에 있다.
상기 문헌의 도 3에는 "공간 내에서 부유 상태인" 화면이 도시되어 있지만, 화면 고정 수단은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화면이 케이싱에 고정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이에 관한 정보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 구성의 첫 번째 단점은, 시일에 근접하여 위치하거나 시일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 고온의 조리 용품에 의해 방출되는 열에 의해 시일이 손상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구성의 두 번째 단점은, 화면을 그 위에 위치하는 창에 대해 공간의 3차원 전체에서 정확히 위치설정 및 고정하기가 어렵다는 점인데, 이 위치설정은 창을 통한 화면 표시의 품질 인식을 보장하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이들 두 가지 단점은 창과 기판 사이의 연결부가 상기 문헌에 따른 영구 탄성을 갖는 연결부라는 사실에 의해 강화된다. 그러나, 이 연결부는 그 부근의 또는 그 위의 조리 용품에 의해 방출될 수 있는 열에 대해 취약하며, 따라서 튼튼하지 않고, 따라서 창이 사용에 의해 움직일 수 있다. 이 움직임은 창을 통한 화면 표시의 인식에 지장을 준다.
창을 통한 화면 표시의 양호한 인식이라는 이 문제는 이제 매우 높은 레벨의 해상도를 갖는 소형 화면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훨씬 더 중요한데, 화면과 관찰자 사이에 개재되는 마지막 요소가 잘 설계되지 않으면 최종 해상도가 그로 인해 심각하게 영향받을 것이다.
기판과 창 사이에 실리콘을 포함하는 시일을 제공하는 것은 추가로 유럽 특허 출원 EP 570 670호 및 EP 2 226 565호와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07 021 939호에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시일은 내열성을 갖지만 고가이며, 특히 몰딩에 의해 대규모 공업 제조 방법에 사용되기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며, 시일에 의해 창과 기판 사이에 외부에 대한 밀봉을 제공하고 이 시일을 시일의 근처에 배치되거나 심지어 시일 상에 또는 위에 배치되는 고온의 조리 용품에 대해 보호하기 위해 실시하기 쉬운 저렴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목적은, 이 화면의 표시를 볼 수 있도록 쿡탑에 제공되는 창에 대해 표시 화면을 확실하고 정확하게 위치설정 및 고정하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따라서 그 최광의의 의미에서 청구항 1에 따른 고정식 또는 이동식 조리 기구용 쿡탑에 관한 것이다. 이 쿡탑은 측부 에지, 주변 외표면, 및 평면을 형성하고 기판의 측부 에지와 기판의 외표면 사이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주변 외부 에지를 갖는 기판, 특히 유리-세라믹 기판을 가지며, 상기 쿡탑은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과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을 갖고, 상기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분리되고 측부 에지, 외표면 및 창의 측부 에지와 창의 외표면 사이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주변 외부 에지를 갖는 창을 가지며, 상기 쿡탑은 또한 창과 기판 사이에 외부에 대한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측부 에지의 일부와 상기 창의 측부 에지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합성 재료로 제조된 시일을 갖고, 상기 시일은 외표면을 갖는다.
이 쿡탑은,
- 상기 창의 주변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기판의 주변 외부 에지의 평면에 있지 않으며,
- 상기 기판의 외표면과 상기 창의 외표면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시일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가 시일의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단부 판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일은 외부에 대한 밀봉을 제공한다. 이는 상기 기판의 측부 에지의 높이의 적어도 절반과 접촉하고 상기 창의 측부 에지의 높이의 적어도 절반과 접촉하며; 이는 외부에서 유래하는 일체의 유체가 이들 두 측부 에지 사이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밀봉을 보장한다.
외부에 대한 밀봉을 보장하는 것은 단부 판이 아니고 시일이며; 단부 판은 시일을 보호하기 위해 시일 상에 또는 위에 위치한다.
상기 창의 외부 에지의 일부만 상기 기판의 외부 에지의 평면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의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기판의 외부 에지의 평면에 있을 수 있다.
기판의 주변 외부 에지는 따라서 기판 주위로 연장되고, 기판의 바로 주위에 기판의 측부 에지와 기판의 외표면 사이의 접합부를 형성한다.
마찬가지로, 창의 주변 외부 에지는 따라서 창 주위로 연장되고, 창의 바로 주위에 창의 측부 에지와 창의 외표면 사이의 접합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따라서, 고온의 조리 용품과 시일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창과 기판 사이에서 창의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시일의 보호를 제공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의 측부 에지의 일부와 상기 창의 측부 에지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시일은 실리콘을 구비하지 않는다.
제1 옵션은 단부 판이 추가 내열성을 제공하기 위해서 단부 판의 재료를 이것이 상기 시일의 재료의 변태점(transformation point)(Tg')보다 큰, 고체에서 점성상태로의 변태점(Tg) 또는 융점(Tf)을 갖도록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부 판의 재료는 상기 시일의 재료의 변태점(Tg')보다 큰, 2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 50℃ 이상의 고체에서 점성상태로의 변태점(Tg) 또는 융점(Tf)을 갖는다.
제2 옵션은 단부 판의 재료를 이것이 200℃ 초과, 바람직하게 250℃ 초과, 또는 심지어 300℃ 초과의 고체에서 점성상태로의 변태점(Tg) 또는 융점(Tf)을 갖도록 선택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단부 판의 재료는 200℃ 또는 250℃ 또는 심지어 300℃ 각각의 열원의 존재 및 열원과의 접촉에 대해 내성을 가질 것이다.
시일의 재료를, 이것이 200℃ 이하 또는 심지어 180℃ 이하의, 고체에서 점성상태로의 변태점(Tg) 또는 융점(Tf)을 갖도록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일 재료를 이것이 매우 높은 고체에서 점성상태로의 변태점(Tg) 또는 매우 높은 융점(Tf)을 갖도록 선택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일부 열가소성 실리콘 재료는 225℃ 이하 또는 심지어 320℃ 이하의 온도에 대해 내성을 (즉, 그 기계적 특성의 수정 없이) 가질 수 있지만, 이들 재료는 대체로 매우 고가이며 사용하기 어렵다.
본 명세서와 관련하여, "고체에서 점성상태로의 변태점(Tg)"이라는 표현은 통상적으로 "유리 전이 온도(Tg)"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단부 판에 의한 시일 보호 효과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단부 판의 일부 아래에서 상기 단부 판과 상기 시일 사이에 에어 갭 및/또는 절연 요소(예를 들어 발포 폴리스티렌이나 발포 폴리우레탄 또는 세라믹으로 제조되거나 광물 섬유 및 특히 유리 섬유를 포함)가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부 판은 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창을 분리하는 시일 부분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을 따라서 복수의 단부 판이 제공될 경우, 두 개의 단부 판 사이의 거리는 방열 효과를 보존하기 위해 2mm 이하여야 한다.
시일은 바람직하게 상기 기판의 외부 에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및/또는 시일은 바람직하게 상기 창의 외부 에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단부 판의 양호한 시각적 통합을 달성하기 위해 단부 판은 상기 기판의 외부 에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할(flush) 수 있거나 및/또는 상기 창의 외부 에지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서 볼때 상기 시일은 2mm 이하의 폭을 갖는 가시적 외표면(즉 단부 판 부분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외표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부 판은 조리 용품으로부터의 열이 시일을 손상시킬 수 없도록 확실히 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외표면과 상기 창의 외표면 사이에 위치하는 시일의 전체 외표면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정 버전에서, 상기 단부 판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서 볼때 두 개의 부분을 갖는 바;
- 상기 기판의 외표면의 평면 위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수직한 부분, 및
- 상기 창의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창의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는 대략 수평한 부분을 갖는다.
다른 특정 버전에서, 상기 단부 판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서 볼때 S형상을 가지며, S의 상측 부분은 상기 창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창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고, S의 하측 부분은 상기 기판을 향해서 연장되며 상기 기판의 외표면 위에 위치한다.
다른 특정 버전에서, 상기 단부 판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서 볼때 S형상을 가지며, S의 상측 부분은 상기 창의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창의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고, S의 하측 부분은 상기 기판을 향해서 연장되며 상기 기판의 외표면의 평면보다 아래에 위치한다.
다른 특정 버전에서, 상기 단부 판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서 볼 때 C 또는
Figure pct00001
형상을 가지며, C의 상측 부분은 상기 창의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창의 외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고, C의 하측 부분은 상기 창을 향해서 연장되며 상기 기판의 외표면의 평면 위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쿡탑은 상기 창 아래에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을 갖는다. 따라서 이것은 이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을 상기 창 아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시일 및/또는 단부 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따라서,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을 이 창에 대해 정확히 위치설정 및 고정하기 위해 창과 기판 사이에서 창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시일의 직접 사용, 및/또는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을 이 창에 대해 정확히 위치설정 및 고정하기 위해 창과 기판 사이에서 창 주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시일을 보호하는 단부 판의 직접 사용을 제안한다.
따라서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 위에 위치하는 창은 이를 통해서 화면 상에 표시되는 것을 볼 수 있도록 투명하고; 이는 기판과 다른 재료로 제조되며; 화면은 LCD, LED 또는 OLED 형태의 화면이거나,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화면은 시일에 기계적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화학적으로(특히 접착에 의해) 고정되지 않는다.
상기 시일은 따라서, 창의 측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고 기판에 형성되어 창을 수용하는 구멍의 둘레의 일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중심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시일은 상기 기판의 내표면 아래 및/또는 상기 창의 내표면 아래에서 연장되는 내측 시일 부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내측 부분은 따라서 시일과 상기 기판 및/또는 상기 창 사이 각각의 연결의 기계적 완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내측 시일 부분은 예를 들어 창의 내표면 하에 수직 단면으로 C 또는 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쿡탑은 하기를 가질 수 있다:
- 상기 시일 내에 완전히 통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체(insert);
- 상기 시일의 재료 부분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완전히 통합되는 플랜지, 및 상기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시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완전히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
-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을 상기 시일에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나사 및/또는 장착부 및/또는 클립 및/또는 레일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창의 외표면의 적어도 일부(창이 기판에 대해 경사진 경우) 또는 상기 창의 전체 외표면(창이 기판에 대해 돌출하거나 오목한 경우)이 상기 기판의 외표면의 평면에 있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일은 중심 시일 부분 위에서 연장되고 경우에 따라서 상기 기판의 외표면 위에서 및/또는 상기 창의 외표면 위에서 연장되는 외측 시일 부분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쿡탑을 갖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쿡탑을 제조하는 여러가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쿡탑을 제조하기 위한 제1 방법에서, 상기 기판, 상기 창 및 상기 단부 판은 나중에 폐쇄되는 몰드 내에 배치되고, 이후 상기 시일을 형성하기 위해 합성 재료가 몰딩 공동 내에 주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쿡탑을 제조하기 위한 제2 방법에서는, 적어도 상기 단부 판을 포함하는 예비성형된 시일이 상기 기판 및/또는 상기 창에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쿡탑을 제조하기 위한 제3 방법에서는, 적어도 상기 단부 판을 포함하는 상기 시일이 상기 기판에 대해 또는 상기 창에 대해 몰딩되며, 상기 창 또는 상기 기판은 각각 이후 시일이 고온일 때 시일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의 홈 안에 도입된다.
유리하게, 본 발명은 쿡탑에서 기판과 창 사이에 위치하는 시일을 열로부터 간단히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자체가 상기 시일의 근처에 또는 그 위에 배치되는 조리 용품으로부터의 열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될 매우 복잡하고 매우 비싼 시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부 판은 시일을 그 특성 및/또는 그 외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열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을 형성한다.
또한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시일은 창이 판의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지 않은(판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만 판에 평행한) 경우 또는 창이 판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우에도 창의 측부 에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시일은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을 그 위에 위치된 창에 대해 공간의 3차원 전체에서 정확히 위치설정 및 고정할 수 있다. 위치설정 정확도 및 고정 정확도는 예를 들어 십분의 일 밀리미터로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시일은 창이 판의 표면과 동일 평면에 있지 않은(판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만 판에 평행한) 경우 또는 창이 판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경우에도 창의 측부 에지와 판에 생성된 구멍의 둘레 사이를 유체에 대해 확실히 밀봉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이 쿡탑의 에지에 위치할 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하게,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이 시일에 및/또는 단부 판에 고정되는 사실은 필요할 경우에(화면 고장의 경우에) 화면을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하며; 필요한 모든 것은 쿡탑 아래의 액세스를 달성하고 화면 고정 수단을 취소하는 것이며; 또한 고장난 화면을 창에 대해 정확히 위치설정되어 고정될 정확히 작동하는 화면으로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고 저렴하며; 기판 또는 창을 교체하거나 기판과 창 사이의 시일을 개조할 필요가 없다.
또한, 단부 판이 동일한 외관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특히 하나의 동일한 범위의 쿡탑을 "개별화"할 수 있도록 각각의 쿡탑마다 동일한 외표면 색상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예시적 실시예 및 첨부도면의 하기 상세한 설명을 숙독함으로써 보다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완전한 구멍을 갖는 기판 및 이 구멍 내의 창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쿡탑의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상에서 취한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은 각각 본 발명의 추가적인 변형예에 대한, 도 2의 단면도와 동등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창을 수용하기 위한 절취부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기판의 개략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따른 시일의 실시예에 따른 시일을 생산하기 위한 몰드의 예시적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각각 도 13의 몰드 부분의 평면도 및 도 14의 B-B' 및 C-C' 선상에서 취한 부분 수직 단면도이다.
도시된 각종 요소 사이의 비율은 이들 도면에서 엄격히 존중되지 않으며 배경 요소는 그 판독이 용이하도록 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특히, 기판과 창 사이의 도면에 도시된 거리는 제한적 의미를 갖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구의 예시적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 도시된 기구는 대체로 직각 평행육면체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에 도시된 기구는 작업면 또는 스토브에 제공된 베이에 설치되도록 의도되고 설치 및 고정되면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통합 기구"로도 알려져 있는 고정식 조리 기구이지만; 본 발명은 케이싱 형태이고 예를 들어 작업면 상에 또는 식탁 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식 조리 기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조리 기구는, 편평하고 대체로 직각 평행육면체 형상(즉 위에서 볼 때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형상)을 갖는 쿡탑(1)을 갖는다.
이 쿡탑(1)은 특히 유리-세라믹 판일 수 있는 기판(2)을 갖는다.
기판의 가장 보편적인 형상은 위에서 볼 때 장방형 형상이지만, 기판은 위에서 볼 때 원형, 콩-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유일한 형상 제약은 기판 제조 방법과 연관된 것이다.
기판(2)은 수평적으로 배치되도록 의도되고 가열될 조리 용품(냄비 등)이 얹히는 외표면(21)을 갖는다. 나머지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쿡탑(1)은 수평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간주되며; 하/아래 및 상/위의 위치는 수직에 대해 실현된다.
기판(2)은 또한, 그 외표면(21)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내표면(22)을 가지며, 이들 두 표면 사이에 위치하는 주변 측부 에지(20)도 갖는다.
기판(2)은 또한, 그 측부 에지(20)와 그 외표면(21) 사이의 접합부에 위치하고 평면을 형성하는 주변 외부 에지(27)를 갖는다. 이 평면은 따라서 외부 에지(27)에 의해 형성되는 기판(2)의 둘레에 대해 규정된다.
기판은 일반적으로 편평하지만, 곡선형일 수 있으며, 특히 조리 기구의 내부를 향해서 곡선형일 수 있다. 이 경우에, 곡선형 형상은, 외부 에지(27)가 항상 평면을 형성하도록, 외부 에지(27)에 의해 규정되는 기판의 주변 둘레의 내부에 생성된다.
쿡탑(1)은 이 경우에 네 개의 조리 영역(3, 3', 3", 3'")을 가지며, 이들 조리 영역은 여기에서 상이한 직경을 갖는 원으로 표시되지만,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쿡탑(1)은 또한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4)을 갖는다.
각각의 조리 영역 아래에 배치되는 것은 복사 또는 할로겐 가열기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가스 버너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가열 코일과 같은 가열 요소(도시되지 않음)이다. 또한, 단순화를 위해서도, 가열 요소의 전원은 도시되지 않았다.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4)은, 각각의 조리 영역(3, 3', 3", 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고 및/또는 각각의 조리 영역(3, 3', 3", 3'")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소이다.
여기에서는, 단일의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4)이 조리 영역(3, 3', 3", 3'") 전체의 작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들 조리 영역(3, 3', 3", 3'") 전체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소이지만; 예를 들어 두 개의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이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에서는 네 개의 조리 영역 중 두 개의 영역의 작동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이들 두 개의 영역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또는 각각의)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은 추가 기구(들)를 제어할 수 있거나 및/또는 추가 기구(들)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거나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4)은 기판(2)의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창(5)에 의해 형성된다.
특히, 기판(2)이 유리 세라믹으로 제조될 때, 상기 기판(2)의 구성 재료는 이를 통한 정보의 명확하고 정확한 전달을 방지한다.
창(5)은 바람직하게, 유리로 제조되며, 경우에 따라서 열적으로 또는 화학적으로 강화된 유리로 제조되거나 또는 경우에 따라서 경화 유리로 제조된다. 이는 70% 초과의 가시적인 통합 광투과율(예를 들어 광원 D65 하에서 측정됨)을 갖고 투명하며; 선명하고 바람직하게는 50% 미만의 탁도를 갖는다.
특히 강한 창(5)을 형성하기 위해 유리 시트 아래에 투명 폴리머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창(5)은 합성 비광물 재료로 제조된 시일(6)에 의해 기판(2)으로부터, 바람직하게 직접적인 물리적 접촉 없이, 분리된다.
여기에서, 창(5)은 위에서 볼 때 장방형 형상을 가지며, 유사한 형상을 갖지만 그 둘레(25)가 창보다 약간 더 크고 약간 더 길며 기판(2)에 사전에 형성된 긴 구멍 내에 배치된다. 이 구멍은 기판(2)의 외표면(21) 상으로 및 그 대향 표면인 기판(2)의 내표면(22)(도 1에 도시되지 않음) 상으로 개방된다는 의미에서 관통 구멍이며; 평행육면체 형태인 이 구멍은 그 외주 전체가 외표면(21)에 생성되고 그 내주 전체가 내표면(22)에 생성된다는 의미에서 완전한 구멍이다.
창의 가장 보편적인 형상은 위에서 볼 때 장방형 형상이지만, 창은 위에서 볼 때 원형, 콩-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유일한 형상 제약은 창 제조 방법과 연관된 것이다.
창(5)은, 공간 내에 기판(2)의 외표면(21)처럼 배향되는, 즉 조리 기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표면(51)을 갖는다.
창(5)은 또한, 그 외표면(51)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내표면(52)을 가지며, 이들 두 표면 사이에 위치하는 주변 측부 에지(50)도 갖는다.
창(5)의 측부 에지(50)는 창이 기판내 구멍 안에 위치할 때 기판 내 구멍의 둘레(25)보다 작지만; 창(5)이 구멍보다 클 때는 이 구멍 위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창(5)의 측부 에지(50)가 기판 내 구멍의 둘레(25)보다 클 수 있다.
창(5)은 또한, 그 측부 에지(50)와 그 외표면(51) 사이의 접합부에 위치하고 평면을 형성하는 주변 외부 에지(57)를 갖는다. 이 평면은 따라서 외부 에지(57)에 의해 형성되는 창(5)의 둘레에 대해 규정된다.
창(5)은 일반적으로 편평하지만, 곡선형일 수 있으며, 특히 조리 기구의 내부를 향해서 곡선형일 수 있다. 이 경우에, 곡선형 형상은, 창(5)을 기판(2)에 대해 통합시키는 것을 더 쉽게 만들기 위해 외부 에지(57)가 평면을 형성하도록, 외부 에지(57)에 의해 규정되는 창(5)의 주변 둘레의 내부에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2)의 측부 에지(20)의 일부와 창(5)의 측부 에지(50)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고 따라서 기판의 측부 에지와 창의 측부 에지 사이에 재료 접합부를 생성하는 시일(6)은 추가로, 역시 공간 내에 기판(2)의 외표면(21)처럼 배향되는, 즉 조리 기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표면(61)을 갖는다.
시일(6)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물질에 기초할 수 있고; 시일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우레탄에 기초하거나 이것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재료는 모두 200℃ 이하 및 심지어 180℃ 이하의 융점을 갖는다.
상기 기판(2)의 외표면(21)과 창(5)의 외표면(51) 사이에 위치하는 시일(6)의 외표면(61)의 적어도 일부는 시일(6)의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단부 판(66, 66')에 의해 커버된다.
단부 판(66)은 따라서, 도 5 내지 도 8 및 도 9의 우측에서 및 도 10과 도 11에서 볼 수 있듯이 창(5)의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기판(2)의 외부 에지(27)의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구조로 시일(6)을 보호한다.
단부 판(66')은 따라서, 도 2 내지 도 4 및 도 9의 좌측에서 볼 수 있듯이 창(5)의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기판(2)의 외부 에지(27)의 평면에 위치하는 구조로 시일(6)을 보호한다.
단부 판(66, 66')은 예를 들어, 2mm이거나 심지어 어쩌면 그 미만의 두께를 갖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될 수 있다. 단부 판의 재료의 융점은 200℃를 초과하고, 심지어 250℃를 초과하며, 심지어 300℃를 초과한다.
도 2, 도 3 및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상기 시일(6)은 창(5) 아래의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7)을 공간의 3차원(x, y, z) 전체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시일(6)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따라서 창(5)에 대한 상기 화면의 배향은 화면이 상기 창에 단단히 고정되자마자 변함없이 유지되고, 따라서 창(5)을 통해서 화면(7)의 표시를 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다른 변형예에서, 상기 창(5) 아래에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7)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은 단부 판(66')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 변형예는 또한 단부 판(66)에 적용되며, 이것은 따라서 창(5)의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기판(2)의 외부 에지(27)의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 구조로 시일(6)을 보호한다.
이들 두 변형예에서, 화면(7)은 따라서 창(5)에 대해 정확히 평행하며, 디스플레이의 관찰은 이상적이다. 창(5)을 통한 화상의 변형은 전혀 없다.
바람직하게, 창은 그 에지에서 변형예에 따라 시일(6) 또는 단부 판(66, 66')에 의해서만 기판(2)에 부착된다.
시일(6)은 창(5)의 전체 둘레 주위에 존재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기판(2)과 대향하는 창(5)의 둘레를 따라서 존재한다.
단부 판(66, 66')은 따라서, 시일을 보호하기 위해, 창(5)의 전체 둘레 주위에 존재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기판(2)과 대향하는 창(5)의 둘레를 따라서 존재한다.
시일(6)은 따라서, 창(5)의 측부 에지(50)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고 기판(2)에 형성되어 창(5)을 수용하는 구멍의 둘레(20)의 일부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중심 부분(60)을 갖는다.
후술하듯이, 이 중심 부분(60)은 측부 에지(50)의 길이 및/또는 높이에 걸쳐서 창(5)의 측부 에지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으며, 구멍의 길이 및/또는 높이에 걸쳐서 구멍의 둘레(25)의 적어도 일부와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시일(6)은 판(2)의 내표면(22) 아래에서 및/또는 창(5)의 내표면(52) 아래에서 연장되는 내측 시일 부분(62)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일(6)에 의해 창(5)과 기판(2) 사이의 기계적 완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시일(6)은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하듯이, 판(2)의 내표면(22) 아래에서 및 창(5)의 내표면(52) 아래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한 내측 시일 부분(62)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1 서브-변형예에서, 화면(7)을 직접 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시일(6) 자체이며; 이를 위해서 내측 시일 부분(62)은 창(5)의 내표면(52) 아래에서, 수직 단면으로 하기의 형상을 갖는다:
- 도 2 및 도 5에 도시하듯이, 예를 들어 C의 아암 사이에 생성된 홈(63) 안에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7)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C 형상, 또는
- 예를 들어 L의 베이스와 창(5)의 내표면(52) 사이에서 L의 베이스 상에 화면(7)을 안착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L 형상.
이들 두 구조에서, 내측 시일 부분(62)은 판(2)의 내표면(22) 아래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들 두 구조에서, C 또는 L 형상은 화면(7)의 두 측부를 수용하기 위한 레일의 형성이 가능하도록 충분히 길다.
이들 구조에서는, 따라서 화면(7)을 창(5) 아래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해 화면을 x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y방향으로의 이동 금지는 각각의 홈(63) 안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충합부(64)에 의해 보장된다. z방향으로의 이동 금지는 홈(63)의 높이가 화면(7)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거나 적어도 홈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도록 의도된 화면(7) 부분의 두께와 동일한 사실에 의해 보장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화면은 따라서 창(5) 아래에서 홈(63) 안에서 우로부터 또는 좌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또한 화면이 창(5) 아래에 정확히 위치되면 세 변에서 구속되도록 시일(6)의 좌측 또는 우측 에지에 L형 또는 C형 내측 시일 부분(63)이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시일(6)의 기계적 완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시일의 재료 내에 완전히 통합되는 삽입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삽입체는, 비교적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시일(6) 제조 및 조리 기구 작동의 열적 제약에 적응되는 팽창 계수를 갖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체는 시일의 재료가 천공부를 통과하여 삽입체와 시일 사이의 기계적 완결성을 증가시키도록 천공될 수 있다.
단면에서 볼 때, 삽입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심 시일 부분(60)에 및/또는 외측 시일 부분(61)에 및/또는 내측 시일 부분(62)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서브-변형예에 대한 대안에서, 화면(7)을 직접 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시일(6) 자체가 아니지만, 화면(7)을 시일(6)에 간접 부착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시일(6)에 체결된 액세서리이다.
이 액세서리는 예를 들어 전술한 삽입체일 수 있지만, 상기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7)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시일(6)의 재료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완전히 통합되는 플랜지(80), 및 상기 시일(6)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완전히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 요소(81)를 갖는다. 돌출 요소(81)는 플랜지(80)의 전체 평면에 대략 수직하게 연장된다.
플랜지(80)는 (도 1에서의 위치설정을 참조하여) 창(5)의 두 개의 좌측 및 우측 에지를 따라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시일(6)과 화면(7)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돌출 요소(81)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 도 3, 도 4 및 도 6에서, 돌출 요소는 그 상단부에서 플랜지(80)에 용접되고 그 하부에는 너트 상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이 제공되는 나사(82)이며; 나사(82) 상에 끼워지고 그 위에 화면(7)이 고정되는 마운트(85)를 홀드할 수 있고 따라서 화면을 공간의 3차원 전체에서 시일(6)에 간접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 두 개의 나사가 적어도 창(5)의 두 개의 좌측 및 우측 에지의 각각을 따라서 제공된다;
- 도 7에서, 돌출 요소는 구부러진 L형 마운트(83)(또는 클립)이며; 화면(7)을 창(5) 아래에 정확히 위치설정 및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두 개의 마운트(83)가 바람직하게 창(5)의 두 개의 좌측 및 우측 에지의 각각을 따라서 제공되며; 보다 양호한 유지를 위해서, 화면이 각각의 좌측 및 우측에서 마운트(83)와 내측 시일 부분(62)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고; 이 마운트(83)는 예를 들어 벤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 도 8 내지 도 11에서, 삽입체는 H형 레일(84)이며; 화면(7)이 창(5) 아래에 정확히 위치하도록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레일(84)이 바람직하게 창(5)의 두 개의 좌측 및 우측 에지의 각각을 따라서 제공되고; 보다 양호한 유지를 위해서, 화면이 각각의 좌측 및 우측에서 레일(84)의 돌출부와 내측 시일 부분(62) 사이에 샌드위치될 수 있고; 이 레일은 예를 들어 압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변형예로서, 돌출 요소는 판유리를 차체 내의 개구에 고정하는 용도로 공지되어 있는 클립 형태의 클립일 수 있다.
또한 삽입체의 돌출 부분에 너트가 체결(예를 들어 용접)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창(5)은 기판(2)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며, 창(5)의 외표면(51)은 기판(2)의 외표면(21)과 정확히 동일한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창(5)은 기판(2)보다 두께가 얇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시일(6)은 창(5)의 외표면(51)이 기판(2)의 외표면(21)과 정확히 동일 평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 두께 차이를 보상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창(5)의 내표면(52)은 기판(2)의 내표면(22)으로부터 상측으로 물러나 배치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 중심 시일 부분(60)은 창(5)의 외표면(51)과 기판(2)의 외표면(21) 사이에 이들 두 표면 사이의 이용 가능한 공간을 매우 정확히 유체-밀봉식으로 충전함으로써 표면 연결을 형성할 수 있다. 창(5)의 외부 에지(57)와 기판(2)의 외부 에지(27) 사이에도 표면 연결이 형성된다.
도 2에서, 시일(6)은 외부 에지(27) 및 외부 에지(57)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만, 단부 판(66')은 외부 에지(27)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대해 상승된다. 단부 판(66')은 수직 단면으로 장방형 또는 정방형 형상을 갖는다. 단부 판의 이 상승된 위치는 수직 충합부를 생성함으로써 조리 용품과 시일(6) 사이의 일체의 접촉을 방지한다.
도 3에서, 단부 판(66')은 외부 에지(27)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에서 그 외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도 4에서, 창(5)은 또한 기판(2)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시일(6)은 또한 외부 에지(27) 및 외부 에지(57)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고, 단부 판(66')은 또한 외부 에지(27)에 의해 규정된 평면에 대해 상승되지만, 추가로,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7)을 상기 창(5) 아래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이 단부 판(66')에 체결된다. 또한, 단부 판(66')은 수직 단면으로, 외부 에지(27)에 의해 규정된 평면 위에 있는 그 부분에서, 하부에 사다리꼴의 넓은 베이스를 갖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단부 판의 이 상승된 위치는 수직 충합부를 생성함으로써 조리 용품과 시일(6) 사이의 일체의 접촉을 방지한다. 보다 양호한 홀드를 위해서 중심 시일 부분(60)의 재료가 단부 판을 통과하도록 단부 판에 구멍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서, 창(5)의 외표면(51)은 기판(2)의 외표면(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하며; 창(5)의 외표면(51)은 따라서 기판(2)의 외표면(21)에 대해 상승된다. 이 구조에서,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는 상기 기판(2)의 외부 에지(27)의 평면에 전혀 위치하지 않는다.
이는 예를 들어 이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 창(5)의 내표면(52)이 기판(2)의 내표면(22)과 정확히 동일 평면에 위치하지만 창(5)이 기판(2)보다 두껍거나; 또는
- 창(5)이 기판(2)과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창(5)의 내표면(52)은 기판(2)의 내표면(22)으로부터 상측으로 물러나 배치된다.
도 5는 창(5)의 측부 에지(50)를 보호하기 위해 중심 시일 부분(60)이 창(5)의 전체 둘레를 따라서 기판(2)의 측부 에지(20)와 창(5)의 측부 에지(50) 사이에 접합부를 형성하는 사실을 도시한다. 이 보호는 단부 판(66)에 의해 완성된다.
변형예로서, 창(5)의 외표면(51)의 일부 주변 에지 또는 심지어 주변 에지 전부가 경사지게(직각이 아니게) 할 수 있다.
창(5)은, 특정 초점을 갖는 유리 시트에 의해서 또는 내표면(52)에 접착된 투명 폴리머 필름에 의해서, 창(5) 위에서 화면(7)을 바라보는 관찰자에게 화면(7)에 대한 확대 유리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이전의 모든 변형예와 달리, 창(9)은 기판(2)에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고, 이 기판에 대해 2°내지 45°, 또는 심지어 5°내지 25°의 각도(α)로 경사진다.
도 9의 구조에서는,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의 일부(도면의 좌측에 있는 부분)만 상기 기판(2)의 외부 에지(27)의 평면에 위치하고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의 일부(도면의 우측에 있는 부분)는 상기 기판(2)의 외부 에지(27)의 평면에 위치하지 않는다.
도 9는 또한 창(5)의 측부 에지(50)를 보호하기 위해 중심 시일 부분(60)이 창(5)의 전체 둘레를 따라서 기판(2)의 측부 에지(20)와 창(5)의 측부 에지(50) 사이에 밀봉된 접합부를 형성하는 사실을 도시한다. 이 보호는 도면 좌측의 단부 판(66')에 의해서 및 도면 우측의 단부 판(66)에 의해서 완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서는, 다시,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는 상기 기판(2)의 외부 에지(27)의 평면에 전혀 위치하지 않는다. 중심 시일 부분(60)은 창(5)의 측부 에지(50)를 보호하기 위해 창(5)의 전체 둘레를 따라서 기판(2)의 측부 에지(20)와 창(5)의 측부 에지(50) 사이에 밀봉된 접합부를 형성하며, 이 보호는 단부 판(66)에 의해 완성된다.
도 12는 다른 기판(2)을 도시하며: 여기에서는 도 1의 기판과 달리, 두 개의 조리 영역(3, 3')만 제공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기판과 달리,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4)을 수용하는 구멍은 완전한 구멍이 아니며, 기판(2)의 에지 중 하나의 에지(이 경우 우측 에지)를 따르는 부분적인 구멍이다.
따라서, 이 구멍은 기판(2)의 외표면(21) 상으로 및 내표면(22) 상으로 개방된다는 의미에서 관통 구멍이며, 이 구멍은 내표면 및 외표면에서 그 둘레가 폐쇄되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완전한 구멍이 아니다.
이 경우에, 시일(6)은 창(5)의 둘레의 세 변을 따라서만 존재하거나, 어떤 경우에는 기판(2)과 대향하는 창(5)의 둘레를 따라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부 판은 고온 조리 용품과 시일의 일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시일을 보호한다.
창(5)은 구멍을 형성하는 절취부가 제공되는 기판(2)의 에지(이 경우 우측 에지)를 넘어서 연장될 수 있다.
도 12의 이 변형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에 제시된 시일(6) 및 단부 판(66 또는 66') 해결책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 안에 창(5)이 배치되거나 그 위에 창(5)이 배치되는 구멍(도 1 또는 도 12)의 형상에 관계없이, 이 구멍은 유리 세라믹 계열의 기판의 경우에 기판(2)을 세라믹화 단계 이전에 절단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표면(52) 상에 도전성 투명 필름을 제공함으로써 창(5)은 터치 스크린(7)과 호환될 수 있다.
상기 창(5) 아래에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7)을 고정하기 위한 전술한 해결책은, 신규 화면(7)이 창(5)에 대해 정확히 위치설정 및 고정되도록 보장하는 한편으로, 창(5)을 교체할 필요없이 무엇보다도 시일(6)을 그 단부 판과 함께 교체할 필요없이 필요에 따라 화면(7)을 바꿀 수 있다는 커다란 장점을 갖는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기판은 편평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판 내의 구멍의 주위를 따라서, 창의 외표면은 내부 또는 외부를 향해서 숄더를 갖는다.
시일(6)과 단부 판(66, 66')을 생산하기 위해서, 복수의 해결책이 선택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3의 해결책과 관련하여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캡슐화" 해결책으로 알려진 제1 해결책에서, 기판(2), 창(5) 및 단부 판(66, 66')과 또한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 고정 수단은 모두 몰드 부분(90)에 배치되며 이후 전자의 몰드 부분 내에 다른 몰드 부분(91)이 폐쇄된다. 이들 두 개의 몰드 부분 사이에는 몰딩 공동(92)이 제공되며, 이 공동은 그 중공부에서 시일(6)의 소정 형상(이 경우에 도 3에서의 시일 형상)을 갖는다.
몰딩 공동(92)은 또한, 각 나사의 플랜지(80)가 몰딩 공동 내에 배치되지만 각 나사의 나사산 부분은 시일의 재료가 시일의 몰딩 중에 나사산과 접촉하지 않게 보호되도록 몰딩 이전에 나사(82)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중공부(93)를 갖는다.
다음으로,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 고정 수단을 갖는 시일(6)을 형성하기 위해 몰딩 공동 내에 합성 재료가 주입된다.
이 해결책은 특히 시일이 삽입체를 가질 때 실시하기에 실용적인데, 그 이유는 삽입체를 몰드 내에 도입된 복수의 요소, 즉 기판(2), 창(5) 및 단부 판(66, 66')에 대해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기판(2)과 단부 판(66, 66')을 몰드 부분(90)에 대해 정확히 위치시키고 창(5)을 이 몰드 부분(90)에 대해 정확히 위치시키는 방법을 도시한다.
몰드 부분(90)은 따라서, 기판(5)을 몰드 부분(90)에 대해 중심맞춤시키기 위한 격납식(retractable) 중심맞춤 요소(95), 및 창(5)을 몰드 부분(90)에 대해 중심맞춤시키기 위한 고정식 중심맞춤 요소(96)를 갖는다.
도 10에 도시하듯이 기판(2)이 격납식 중심맞춤 요소(95)에 의해 몰드 부분(90)에 대해 중심맞춤된 후, 이들 요소는 몰드 부분(90) 내에 격납되며, 이후 창(5)이 몰드 부분에 도입되고 도 11에 도시하듯이 고정식 중심맞춤 요소(96)의 도움으로 중심맞춤된다.
캡슐화 해결책을 위해서 몰드가 기판(2)의 전부를 수용할 필요가 없음을 알아야 하며; 몰딩은 기판(2)의 일 부분, 즉 창(5)이 시일(6)에 의해 그 안에 고정되는 구멍을 갖는 부분에 걸쳐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으로 알려져 있는 제2 해결책에서, 시일(6)은 예비성형(소정 형상으로 사전 제조)되고, 따라서 단부 판(66, 66') 및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7) 고정 수단을 가지며; 다음으로, 이 시일(6)은 기판(2) 및/또는 창(5)에 접착된다.
"철수(withdrawal)에 의한" 해결책으로 알려진 제3 해결책에서, 단부 판(66, 66') 및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을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시일(6)은 기판(2)에 대해 또는 창(5)에 대해 몰딩되며; 다음으로, 창(5) 또는 기판(2)은 각각 시일이 고온일 때 시일(6)에 의해 형성되는 프레임의 홈 안에 도입되고, 창(5)은 따라서, 시일과 창 또는 기판 각각 사이의 화학적 접착이 없이, 시일(6)을 형성하는 재료의 철수에 의해 기판(2)에 고정된다.
시일이 기판(2)에 대해 몰딩되면, 창(5)을 수용하는 프레임 내의 홈은 중심 시일 부분(60), 창(5) 위에서 연장되는 외측 시일 부분(61), 및 창(5) 아래에서 연장되는 내측 시일 부분(62)에 의해 형성된다.
시일이 창(5)에 대해 몰딩되면, 기판(2)을 수용하는 프레임 내의 홈은 중심 시일 부분(60), 기판(2) 위에서 연장되는 외측 시일 부분(61), 및 기판(2) 아래에서 연장되는 내측 시일 부분(62)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예로서 설명되었다. 통상의 기술자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특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예를 인식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Claims (17)

  1. 고정식 또는 이동식 조리 기구용 쿡탑(1)이며,
    측부 에지(20), 외표면(21), 및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부 에지(20)와 상기 외표면(21) 사이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주변 외부 에지(27)를 갖는 기판(2), 특히 유리-세라믹 기판을 가지며, 상기 쿡탑(1)은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3, 3')과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4)을 갖고, 상기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4)은 상기 기판(2)으로부터 분리되고 측부 에지(50), 외표면(51) 및 상기 측부 에지(50)와 상기 외표면(51) 사이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주변 외부 에지(57)를 갖는 창(5)을 가지며, 상기 쿡탑(1)은 또한 상기 창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기판(2)의 측부 에지(20)의 일부와 상기 창(5)의 측부 에지(50)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합성 재료로 제조된 시일(6)을 갖고, 상기 시일(6)은 외표면(61)을 가지며, 상기 창(5)의 주변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기판(2)의 주변 외부 에지(27)의 평면에 있지 않은, 쿡탑(1)에 있어서,
    상기 쿡탑은, 시일(6)의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시일(6) 위에 또는 시일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판(66)을 가지며, 상기 기판(2)의 외표면(21)과 상기 창(5)의 외표면(5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시일(6)의 외표면(6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단부 판(66)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판(66)의 재료는 상기 시일(6)의 재료의 변태점(Tg')보다 큰, 고체에서 점성상태로의 변태점(Tg) 또는 융점(Tf)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판(66)의 재료는 200℃ 초과, 바람직하게 250℃ 초과, 또는 심지어 300℃ 초과의 고체에서 점성상태로의 변태점(Tg) 또는 융점(Tf)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6)의 재료는 200℃ 이하, 또는 심지어 180℃ 이하의 고체에서 점성상태로의 변태점(Tg') 또는 융점(Tf')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판(66)의 일부 아래에서 상기 단부 판(66)과 상기 시일(6) 사이에는 에어 갭(67) 및/또는 절연 요소(68)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판(66)은 상기 기판(2)으로부터 상기 창(5)을 분리하는 시일(6) 부분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6)은 상기 기판(2)의 외부 에지(27)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며 및/또는 상기 시일(6)은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판(66)은 상기 기판(2)의 외부 에지(27)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및/또는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의 길이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서 볼 때, 상기 시일(6)은 2mm 이하의 폭을 갖는 가시적 외표면(64)을 가지며, 상기 단부 판(66)은 상기 기판(2)의 외표면(21)과 상기 창(5)의 외표면(51) 사이에 위치하는 시일(6)의 전체 외표면(61)을 커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6)은 상기 창(5) 아래에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7)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판(66)은 상기 창(5) 아래에 제어 및/또는 표시 화면(7)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판(66)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서 볼 때 두 개의 부분을 갖는 바;
    - 상기 기판(2)의 외표면(21)의 평면 위에 위치하는 실질적으로 수직한 부분, 및
    -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는 대략 수평한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판(66)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서 볼 때 S형상을 가지며, S의 상측 부분은 상기 창(5)의 외표면(51)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창(5)의 외표면(51)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고, S의 하측 부분은 상기 기판(2)을 향해서 연장되며 상기 기판(2)의 외표면(21) 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판(66)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서 볼 때 S형상을 가지며, S의 상측 부분은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고, S의 하측 부분은 상기 기판(2)을 향해서 연장되며 상기 기판(2)의 외표면(21)의 평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1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판(66)은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서 수직 단면에서 볼 때 C 또는
    Figure pct00002
    형상을 가지며, C의 상측 부분은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거나 상기 창(5)의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 위에 위치하고, C의 하측 부분은 상기 창(5)을 향해서 연장되며 상기 기판(2)의 외표면(21)의 평면 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쿡탑(1)을 구비하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조리 기구이며,
    상기 쿡탑은 측부 에지(20), 외표면(21), 및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측부 에지(20)와 상기 외표면(21) 사이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주변 외부 에지(27)를 갖는 기판(2), 특히 유리-세라믹 기판을 가지며, 상기 쿡탑(1)은 적어도 하나의 조리 영역(3, 3')과 적어도 하나의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4)을 갖고, 상기 제어 및/또는 정보 영역(4)은 상기 기판(2)으로부터 분리되고 측부 에지(50), 외표면(51) 및 상기 측부 에지(50)와 상기 외표면(51) 사이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주변 외부 에지(57)를 갖는 창(5)을 가지며, 상기 쿡탑(1)은 또한 상기 창과 상기 기판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기판(2)의 측부 에지(20)의 일부와 상기 창(5)의 측부 에지(50)의 일부 사이에 위치하는 합성 재료로 제조된 시일(6)을 갖고, 상기 시일(6)은 외표면(61)을 가지며, 상기 창(5)의 주변 외부 에지(57)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기판(2)의 주변 외부 에지(27)의 평면에 있지 않은, 고정식 또는 이동식 조리 기구에 있어서,
    상기 쿡탑은, 시일(6)의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되고 상기 시일(6) 위에 또는 시일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판(66)을 가지며, 상기 기판(2)의 외표면(21)과 상기 창(5)의 외표면(5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시일(6)의 외표면(61)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단부 판(66)에 의해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식 또는 이동식 조리 기구.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쿡탑(1)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판(2), 상기 창(5) 및 상기 단부 판(66)은 나중에 폐쇄되는 몰드 내에 배치되고, 이후 상기 시일(6)을 형성하기 위해 합성 재료가 몰딩 공동(92) 내에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쿡탑 제조 방법.
KR1020157016764A 2012-11-26 2013-11-25 창과 단부 판을 갖는 쿡탑, 조리 기구, 및 쿡탑 제조 방법 KR102081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61217 2012-11-26
FR1261217A FR2998651B1 (fr) 2012-11-26 2012-11-26 Plaque de cuisson a fenetre et flasque, appareil de cuiss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a plaque
PCT/FR2013/052839 WO2014080145A1 (fr) 2012-11-26 2013-11-25 Plaque de cuisson a fenetre et flasque, appareil de cuiss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a pla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048A true KR20150089048A (ko) 2015-08-04
KR102081643B1 KR102081643B1 (ko) 2020-02-27

Family

ID=48040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764A KR102081643B1 (ko) 2012-11-26 2013-11-25 창과 단부 판을 갖는 쿡탑, 조리 기구, 및 쿡탑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107503B2 (ko)
EP (1) EP2923153B1 (ko)
JP (1) JP6463688B2 (ko)
KR (1) KR102081643B1 (ko)
CN (1) CN104981664B (ko)
DE (1) DE202013012188U1 (ko)
ES (1) ES2720283T3 (ko)
FR (1) FR2998651B1 (ko)
TR (1) TR201904909T4 (ko)
WO (1) WO20140801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0769B1 (fr) * 2015-09-08 2018-07-27 Eurokera Plan de travail en vitroceramique
US10935253B2 (en) 2018-06-13 2021-03-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witch box for a cooktop appliance
IT202200006542A1 (it) * 2022-04-01 2023-10-01 Elica Spa Elettrodomestic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3113A (ja) * 1988-07-29 1990-02-13 Nkk Corp ヤード貯蔵石炭に用いる水分上昇抑制剤の評価方法
EP0570670A2 (de) * 1992-05-20 1993-11-24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Kochmulde
FR2789624A1 (fr) * 1999-02-17 2000-08-18 Schott Glas Procede pour l'application d'une protection de chant a une plaque constituee d'un materiau fragile, en particulier a un plan de cuisson
DE102007021939A1 (de) * 2007-05-10 2008-11-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788U (ja) * 1983-08-15 1985-03-07 株式会社東芝 電磁調理器
JPS6446522A (en) * 1987-08-17 1989-02-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hot plate
FR2664458A1 (fr) * 1990-07-06 1992-01-10 Philips Electronique Lab Table chauffante.
JP3089729B2 (ja) * 1991-09-13 2000-09-18 東レ株式会社 熱可塑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
DE19521690A1 (de) * 1995-06-14 1996-12-19 Bosch Siemens Hausgeraete Glaskeramikmulde
DE19612621C2 (de) 1996-03-29 1999-03-11 Schott Glas Kochfeld mit einer Kochfläche aus Glas oder Glaskeramik
JP2005300128A (ja) * 2004-03-19 2005-10-27 Narumi China Corp 調理器用トッププレート
ES2311360B1 (es) * 2006-07-07 2009-12-02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Aparato electrodomestico.
DE102008031426B4 (de) * 2008-07-04 2014-07-31 Schott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siegelungsschicht für Dekorschichten, Glas- oder Glaskeramik-Artikel und dessen Verwendung
JP4712913B2 (ja) * 2008-08-08 2011-06-29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ES2358969T3 (es) * 2009-03-06 2011-05-17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Campo de cocción con elemento de pantalla.
DE102010029323A1 (de) * 2010-05-26 2011-12-0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 mit einer Kochfeldplatte
JP5220079B2 (ja) * 2010-10-15 2013-06-26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R2980556B1 (fr) 2011-09-26 2013-08-30 Eurokera Plaque de cuisson a fenetre, appareil de cuisson,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la plaqu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3113A (ja) * 1988-07-29 1990-02-13 Nkk Corp ヤード貯蔵石炭に用いる水分上昇抑制剤の評価方法
EP0570670A2 (de) * 1992-05-20 1993-11-24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Kochmulde
FR2789624A1 (fr) * 1999-02-17 2000-08-18 Schott Glas Procede pour l'application d'une protection de chant a une plaque constituee d'un materiau fragile, en particulier a un plan de cuisson
DE102007021939A1 (de) * 2007-05-10 2008-11-1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ochf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81664B (zh) 2017-09-15
US10107503B2 (en) 2018-10-23
FR2998651A1 (fr) 2014-05-30
DE202013012188U1 (de) 2015-08-10
US20150323192A1 (en) 2015-11-12
CN104981664A (zh) 2015-10-14
FR2998651B1 (fr) 2018-08-17
WO2014080145A1 (fr) 2014-05-30
EP2923153A1 (fr) 2015-09-30
JP6463688B2 (ja) 2019-02-06
TR201904909T4 (tr) 2019-05-21
JP2016502060A (ja) 2016-01-21
KR102081643B1 (ko) 2020-02-27
EP2923153B1 (fr) 2019-01-09
ES2720283T3 (es) 2019-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363919A1 (en) Cooking hob with window, cooking applianc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hob
KR20150089048A (ko) 창과 단부 판을 갖는 쿡탑, 조리 기구, 및 쿡탑 제조 방법
US6410891B1 (en) Cooking unit, such as a stove, for cooking food
CA2657881A1 (en) Full glass oven door
KR20150089049A (ko) 창과 단부 판을 갖는 쿡탑, 조리 기구, 및 쿡탑 제조 방법
US9016270B2 (en) Window mounting for thermal expansion in an oven appliance
US20220369480A1 (en) Insulated Transparent Display for an Appliance
EP2065649B1 (en) Cooking appliance, especially domestic cooking appliance
EP1489362A2 (en) Door for household appliance
GB2568396A (en) Door for a cooking appliance
CN117606057A (zh) 面板组件和电磁加热设备
ITMI20120910A1 (it) Utensile di riscaldamento
JP2016110938A (ja) 加熱調理器
JP2003065545A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